KR101166488B1 - 열선원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선원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선원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선원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488B1
KR101166488B1 KR1020120049096A KR20120049096A KR101166488B1 KR 101166488 B1 KR101166488 B1 KR 101166488B1 KR 1020120049096 A KR1020120049096 A KR 1020120049096A KR 20120049096 A KR20120049096 A KR 20120049096A KR 101166488 B1 KR101166488 B1 KR 101166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ire
hot
hot wir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구
Original Assignee
신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구 filed Critical 신현구
Priority to KR102012004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5/00Warp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25/06Galloon crocheting machines
    • D04B25/14Galloon crocheting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9/00Knitting processes,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지의 경편기에 열선 공급 및 봉착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원단에 열선을 자동으로 봉착되도록 함으로 열선원단을 제조하는 열선원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선원단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선원단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원단에 열선을 자동으로 봉착하는 방식으로 열선원단을 제조하게 되면, 열선원단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어 열선원단의 생산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고, 인건비를 줄여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원단에 열선을 항상 정확하게 봉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선원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선원단 제조방법{HEATING WIRE FABRIC MANUFACTURE APPARATUS AND HEATING WIRE FABRIC MANUFACTUR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선원단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지의 경편기에 열선 공급 및 봉착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원단에 열선을 자동으로 봉착함으로 열선원단을 제조하는 열선원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선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는 보온 및 난방을 목적으로 전기가 공급되면 발열되는 열선원단이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면, 열선원단은 찜질용이나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온열매트에 사용되기도 하고, 비닐하우스를 보온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열선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면, 종래에는 원단 또는 부직포를 굴곡되도록 한 후 두 명의 작업자가 서로 마주 본 상태에서 한 명의 작업자가 열선이 꿰어진 대형 바늘을 부직포의 굴곡부를 통해 밀어 넣어 상대편 작업자에게 보내면, 상대편 작업자는 다시 반대쪽의 작업자에게 대형 바늘을 밀어 넣는 수작업으로 열선을 봉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작업에 따른 열선 봉착방법은 작업 시간 및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며,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지의 경편기에 원단과 열선 자동으로 공급하고 공급된 열선을 원단에 봉착하는 구성을 추가로 설치하여 원단의 일면에 열선을 자동으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봉착되도록 함으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열선원단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선원단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원단의 일면에 열선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봉착된 열선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본체; 상기 기기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롤; 상기 원단공급롤에서 공급되는 원단이 이송되는 라인 상에 설치되어 원단을 수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지지대로 안내되는 원단의 정면에 밀착되게 열선이 놓이도록 열선이 안착되는 받침대; 상기 지지대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설치된 니들판; 상기 니들판 상에 고정되어 함께 작동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면을 따라 안내되어 원단을 통과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다수의 니들; 상기 기기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각각의 니들로 엮는실을 공급하는 엮는실공급롤;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엮는 운동을 하는 엮는작동판; 상기 엮는작동판 상에 고정되어 함께 작동되고, 각각의 니들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엮는실공급롤에서 공급되는 엮는실을 니들로 안내하여 니들과의 협동에 의해 엮는실이 상기 원단에 엮일 수 있도록 돕는 다수의 가이더; 상기 원단의 정면에 밀착되도록 받침대에 놓이게 공급되고, 상기 엮는실이 원단에 엮일 때 함께 엮이면서 원단에 봉착되는 열선; 상기 열선을 원단의 정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안내 및 공급하는 열선공급수단; 및 상기 기기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선이 봉착된 열선원단이 권취되고, 회전하면서 열선원단이 권취되는 힘에 의해 원단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열선원단권취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원단의 정면에 열선이 공급되면 니들과 가이더가 작동되면서 엮는실에 의해 열선이 원단에 봉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원단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선공급수단은, 상기 기기본체의 정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된 좌측 지지브라켓과 우측 지지브라켓; 상기 좌측 지지브라켓과 우측 지지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기기본체의 정면에 설치되고, 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대; 상기 좌측 지지브라켓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좌측 지지브라켓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타이밍구동기어; 상기 우측 지지브라켓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축; 상기 종동축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타이밍종동기어; 상기 타이밍구동기어와 타이밍종동기어를 서로 연결하도록 조립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 상기 타이밍벨트의 상단 일부분에 고정되어 타이밍벨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타이밍벨트와 함께 좌우로 이동하며,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타이밍벨트와 함께 좌우로 이동될 때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조립된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관통 형성되어 열선이 내부로 안내되어 원단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열선안내봉; 및 상기 구동부를 작동 및 정지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열선안내봉이 타이밍벨트를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원단의 정면에 열선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놓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단에서 열선이 배열되고자 하는 폭만큼의 간격을 두고 상기 기기본체의 양측에는 열선마감지지구가 설치되되, 열선마감지지구는 받침대보다 전방 하부에 설치된 회동봉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회동봉이 정회전을 하면 원단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선의 일측에 밀착되고 회동봉이 역회전을 하면 원단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성되어, 열선이 원단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놓일 때 열선의 굴절되는 부분을 잡아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단을 공급하되, 열선이 봉착되는 구간에서 원단이 수직으로 놓이도록 안내하는 단계; 상기 원단이 수직으로 놓이는 부분에서 원단 정면에 접촉되게 열선을 공급하되, 열선을 오른쪽 끝에서 왼쪽 끝으로 이동하여 수평으로 길게 놓이도록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열선이 공급되는 부분으로 엮는실을 공급 및 안내하는 단계; 상기 엮는실을 니들을 이용하여 원단에 엮이도록 하되, 열선이 함께 엮이도록 하여 열선이 원단에 봉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원단에 수평으로 놓인 열선을 봉착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원단을 하강시키면서 열선이 원단의 왼쪽에서 수직으로 놓이도록 하는 단계; 상기 원단에 열선을 수직으로 배열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열선을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으로 굴절되게 이동시켜 다시 수평으로 길게 놓이도록 하는 단계; 상기 엮는실을 통해 원단에 수평으로 놓인 열선이 원단에 봉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원단에 수평으로 놓인 열선을 봉착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원단을 하강시켜 열선이 원단의 오른쪽에서 수직으로 놓이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열선을 다시 오른쪽 끝에서 왼쪽 끝으로 굴절되게 이동시켜 원단에 수평으로 길게 놓이도록 하고, 엮는실을 이용하여 열선을 원단에 봉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원단에 열선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하면서 엮는실을 이용하여 원단에 열선이 봉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원단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선이 원단의 정면에서 오른쪽 끝에서 왼쪽 끝으로 굴절되게 이동시켜 수평으로 놓이게 하거나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으로 굴절되게 이동시켜 수평으로 놓이게 할 때, 열선이 굴절되는 부분에 열선마감지지구가 위치하여 굴절되는 부분을 잡아주므로 열선이 굴절될 때 밀리지 않고 정확하게 굴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선원단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원단에 열선을 자동으로 봉착하는 방식으로 열선원단을 제조하게 되면, 열선원단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어 열선원단의 생산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고, 인건비를 줄여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원단에 열선을 항상 정확하게 봉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선원단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선원단 제조장치의 일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선원단 제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열선 공급수단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선원단 제조장치를 통해 생산된 열선원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통해 생산된 열선원단의 실물을 일부분만 촬영한 사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선원단 제조장치는 기기본체(10)를 구비하되, 이 기기본체(10)는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경편기를 적용한다. 즉, 기기본체(10)의 좌측에는 실의 공급을 안내하는 가이더를 작동시키는 가이더작동수단(30)이 설치되고, 기기본체(10)의 우측에는 실을 엮는 기능을 하는 니들을 작동시키는 니들작동수단(20)이 설치된다. 따라서 가이더작동수단(30)과 니들작동수단(20)이 작동되면 니들과 가이더가 움직이면서 편직 작업을 실행하게 된다. 물론, 가이더작동수단(30)과 니들작동수단(20)은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서로 연계되어 작동되는 것으로, 경편기에는 널리 사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공지의 경편기로 이루어진 기기본체(10)에 추가 구성을 설치하여 원단(W)을 공급하고 이 원단(W)에 열선(W)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자동으로 봉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열선원단(WF)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열선이 지그재그 방식은 배열되는 것은, 열선이 일측으로 수평으로 갔다가 위로 수직으로 올라간 후 다시 타측으로 수평으로 갔다가 다시 수직으로 올라간 후 다시 일측으로 수평으로 가는 지그재그 방식을 말하는 것이다(도 6와 도 7을 참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기본체(10)의 상부에는 원단공급롤(100)이 설치되고, 이 원단공급롤(100)에 권취되어 있는 원단(W)이 서서히 풀리면서 원단(W)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원단(W)은 전체적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편물지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물지 원단은 니들(410)이 자유롭게 관통하면서 엮는실(Y)을 통해 열선(W)을 원단(W)에 봉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편물지 원단 외에도 니들(410)이 관통하면서 열선(W)을 봉착할 수 있다면 어느 원단이든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원단공급롤(100)에서 공급된 원단은 열선(W)이 봉착되는 구간을 거치면서 열선(W)이 봉착된 상태로 열선원단권취롤(200)에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편의상, 원단공급롤(100)에서 공급되는 원단(W)이, 열선(W)이 봉착되는 구간을 통과하기 전까지는 그냥 원단(W)이라고 표시하고, 열선(W)이 봉착된 후부터는 열선원단(WF)이라고 표시한다. 그리고 열선원단권취롤(200)은 권취롤구동부(미도시)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하면서 열선원단(WF)이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열선원단(WF)이 열선원단권취롤(200)에 권취될 때 당겨지는 힘에 의해 원단(W)이 하방향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원단(W)의 이동은 열선(W)이 원단(W)에 봉착되는 작동과 연계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권치롤구동부는 니들작동수단(20)과 가이더작동수단(30)을 작동시키는 모터의 동력을 체인이나 벨트 방식을 이용하여 전달받아 함께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되면서 열선원단권취롤(20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원단공급롤(100)에서 공급되는 원단(W)이 이송되는 라인 상에는 원단을 수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지지대(110)가 설치된다. 원단(W)이 지지대(110)를 통과하면서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대(110)의 전방에는 받침대(310)가 설치되되, 받침대(310)는 지지대(110)의 전방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열선(W)은 받침대(310) 상에 놓일 때 지지대(110)와 받침대(310)의 사이에서 받침대(310)에 놓이게 되며, 따라서 열선(W)은 원단(W)의 정면에 밀착되도록 놓이게 된다.
지지대(110)의 후방에는 니들판(400)이 배치되되, 이 니들판(400)은 니들작동수단(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니들판(400) 상에는 다수의 니들(410)이 고정되어 함께 작동되도록 구성되고, 이 니들(410)은 지지대(110)의 상면을 따라 안내되어 원단(W)을 통과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작동된다.
원단(W)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니들(410)과 대응되는 반대편에는 엮는실(Y)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더(510)가 설치되는 데, 이 다수의 가이더(510)는 엮는작동판(500) 상에 고정되어 엮는작동판(500)과 함께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엮는실(Y)은 기기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된 엮는실공급롤(300)에서 공급되며, 각각의 가이더(510)를 통해 대응되는 니들(410)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엮는작동판(500)은 가이더작동수단(3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엮는 운동을 하게 되며, 따라서 가이더(510)를 통해 안내된 엮는실(Y)은 니들(410)로 안내되어 니들(410)과의 협동에 의해 원단(W)에 엮이게 된다. 물론, 엮는실(Y)이 원단(W)에 엮일 때 받침대(310) 상에 놓여져 있는 열선(W)도 함께 엮여 봉착되어 열선원단(WF)을 생산하게 된다. 여기서, 니들(410)을 이용하여 엮는실(Y)에 원단에 엮는 작업은 공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그 엮는 방식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열선(W)은 열선공급수단(600)을 통해 원단(W)의 정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안내 및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즉, 열선(W)이 원단(W)의 정면에 밀착되도록 받침대(310) 상에 공급되면, 니들(410)과 가이더(510)가 작동되면서 엮는실(Y)에 의해 열선(W)이 원단(W)에 봉착된다. 이러한 봉착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열선(W)이 열선공급수단(600)에 의해 지그재그 방식으로 이동하면서 새로운 열선(W)이 원단에 놓이게 되고 다시 봉착 작업이 실행되면서 열선(W)이 원단(W)에 봉착된다.
열선공급수단(600)은 원단(W)의 정면에 열선(W)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안내 및 공급하는 것으로,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선공급수단(600)은 기기본체(10)의 정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된 좌측 지지브라켓(610)과 우측 지지브라켓(612)을 구비한다. 그리고 좌측 지지브라켓(610)과 우측 지지브라켓(612)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가이드대(620)가 설치된다. 가이드대(620)는 좌측 지지브라켓(610)과 우측 지지브라켓(612)에 고정되어 기기본체(10)의 정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가이드홈(6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좌측 지지브라켓(610)에는 구동모터(650)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가 설치되어 열선공급수단(600)을 작동시키게 된다. 즉, 좌측 지지브라켓(610)의 일부분에는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6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축(630)의 후단부에 타이밍구동기어(632)가 결합되며, 우측 지지브라켓(612)의 일부분에는 종동축(63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종동축(634)의 후단부에는 타이밍종동기어(636)가 결합되며, 타이밍구동기어(632)와 타이밍종동기어(636)가 타이밍벨트(638)에 의해 서로 연결하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구동부가 작동되면 동력이 전달되어 타이밍벨트(638)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타이밍벨트(638)의 상단 일부분에는 이동블록(640)에 고정되어 타이밍벨트(638)의 회전 방향에 따라 타이밍벨트(638)와 함께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동블록(640)은 일면에 가이드홈(622)에 삽입되어 가이드홈(622)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돌기(642)가 돌출 형성되어 타이밍벨트(638)와 함께 좌우로 이동될 때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이동블록(640)의 일부분에는 열선안내봉(644)이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열선안내봉(644)은 내부가 중공으로 관통 형성되어 열선(W)이 열선안내봉(644)의 내부로 안내되어 원단(W)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열선안내봉(644)을 안내된 열선(W)이 원단(W)의 일단부에 놓인 상태에서 구동부가 작동되어 타이밍벨트(638)가 회전하면 이동블록(640)이 함께 이동하면서 열선(W)을 원단(W)에 수평으로 길게 놓이도록 한다. 물론, 구동부가 반대로 작동되어 타이밍벨트(638)가 반대로 회전하면 이동블록(640)도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열선(W)은 열선안내봉(644)이 타이밍벨트(638)를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원단(W)의 정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대(620)의 정면에는 멈춤버튼(664)과 작동버튼(662)이 구비된 스위칭부(660)가 설치되어, 구동부를 작동 및 정지시키게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부는 구동축(6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모터(650)를 직접 구동축(630)과 연결되게 설치할 수도 있지만, 구동축(6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동모터(650)의 동력을 벨트식으로 전달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좌측 지지브라켓(610)의 일측 후방에 구동모터(650)를 설치하되, 구동모터(650)의 축은 감속기어박스(651)를 통해 좌측 지지브라켓(6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원동축(652)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원동축(652)의 선단부에는 타이밍원동기어(653)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630)을 좌측 지지브라켓(6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구동축(630)의 선단부에 타이밍피동기어(654)가 결합되도록 하며, 타이밍원동기어(653)와 타이밍피동기어(654)는 동력전달용타이밍벨트(655)로 서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모터(650)가 작동되면 동력전달용타이밍벨트(655)를 통해 동력이 구동축(630)으로 전달되어 타이밍벨트(638)를 작동시켜 열선(W)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선공급수단(600)에 의해 열선(W)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공급될 때 열선(W)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수평으로 굴절되는 지점에는 열선(W)의 위치를 잡아주는 열선마감지지구(7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단(W)에서 열선(W)이 배열되고자 하는 폭만큼의 간격을 두고 기기본체(10)의 양측에는 열선마감지지구(700)가 설치되는 데, 이 열선마감지지구(700)는 받침대(310)보다 전방 하부에 설치된 회동봉(71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회동봉(710)이 정회전을 하면 원단(W)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회동봉(710)이 역회전을 하면 원단(W)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열선(W)이 원단(W)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놓일 때 열선(W)의 굴절되는 부분을 잡아주어 열선(W)이 굴절될 때 정확한 위치에서 움직임 없이 안정적으로 굴절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여기서, 회동봉(71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작동시키는 작동수단(미도시)은 니들작동수단(20) 및 가이더작동수단(30)과 연계되어 함께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원단(W)이 천천히 하강하면서 니들작동수단(20)과 가이더작동수단(30)이 작동하여 니들(410)과 가이더(510)를 움직여 열선(W)을 원단(W)에 봉착하는 작업을 실행할 때 회동봉(710)이 함께 작동되면서 열선마감지지구(700)가 원단(W)에 걸려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선(W)을 수평으로 깔기 위해 열선안내봉(644)이 이동할 때는 회동봉(710)이 정회전하여 열선마감지지구(700)가 열선(W)에 걸려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 열선(W)을 잡아주게 구성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열선원단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원단(W)에 열선(W)을 봉착하여 열선원단(WF)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열선원단(WF)을 제조하기 위해 원단(W)과 엮는실(Y) 그리고 열선(W)을 공급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열선원단 제조장치에 원단(W)과 엮는실(Y) 그리고 열선(W)을 각각 설치하여 열선(W)이 원단(W)에 엮는실(Y)을 통해 봉착되도록 준비를 한다.
그런 다음, 원단공급롤(100)에 공급되는 원단(W)을 열선(W)이 봉착되는 구간으로 안내되도록 원단(W)을 공급 및 안내한다. 원단(W)을 공급할 때 열선(W)이 봉착되는 구간에서 원단(W)이 수직으로 놓이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원단(W)이 수직으로 놓이는 부분에서 원단(W)의 정면에 접촉되도록 열선공급수단(600)을 통해 열선(W)을 공급하되, 열선(W)을 먼저 오른쪽 끝에서 왼쪽 끝으로 이동하여 수평으로 길게 놓이도록 공급한다. 여기서, 열선(W)을 오른쪽 끝에서 왼쪽 끝으로 놓은 것을 하나의 예를 설명한 것으로,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으로 놓이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 열선(W)이 공급되는 부분으로 엮는실공급롤(300)에서 공급되는 엮는실(Y)을 공급 및 안내하고, 니들(410)을 이용하여 엮는실(Y)이 원단(W)에 엮이도록 하되, 열선(W)이 엮는실(Y)에 의해 함께 엮이도록 하여 열선(W)이 원단(W)에 봉착되도록 한다. 즉, 원단(W)의 정면에 열선(W)이 수평으로 공급된 상태에서 니들(410)이 원단(W)을 관통하여 전후로 왕복 운동을 하는 작동과 더불어 가이더(510)가 엮는실(Y)을 안내하여 상하좌우로 엮는 운동을 하면서 니들(410)과 가이더(510)의 협동에 의해 엮는실(Y)이 열선(W)을 원단(W)에 엮여 봉착되도록 한다. 물론, 니들(410)과 가이더(510)의 작동은 경편기에서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작동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열선(W)이 원단(W)에 봉착되는 작업은, 열선(W)이 계속 공급되면서 연속 반복되게 수행하여 열선(W)이 원단(W)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봉착되도록 한다.
이를 좀더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원단(W)에 수평으로 놓인 열선(W)을 봉착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원단(W)을 일정한 간격으로 하강시키면서 열선(W)이 원단(W)의 왼쪽에서 수직으로 놓이도록 한다. 즉, 원단(W)은 열선(W)이 봉착된 열선원단(WF)이 열선원단권취롤(200)에 권취되는 힘에 의해 자동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원단(W)은 열선원단(WF)이 열선원단권취롤(200)에 권취되는 양만큼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원단(W)이 하강하는 만큼 상대적으로 원단(W)의 정면에는 열선이 수직으로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열선(W)을 원단(W)에 수직으로 배열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계속해서 열선(W)을 열선공급수단(600)을 통해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으로 이동시켜 열선(W)이 다시 수평으로 길게 놓이도록 한다. 이때, 열선(W)의 한쪽 끝에는 열선마감지지구(700)가 설치되어 열선(W)이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으로 이동할 때 열선(W)의 단부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열선(W)은 정확하게 수평으로 놓이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니들(410)과 가이더(510)의 협동에 의해 엮는실(Y)이 열선(W)을 원단(W)에 엮여 봉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원단(W)에 수평으로 놓인 열선(W)을 봉착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원단(W)을 하강시키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열선(W)이 원단(W)의 오른쪽에서 수직으로 놓이도록 한다. 그리고 열선(W)이 원단(W)의 오른쪽에서 수직으로 배열되는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상술한 바와 같이 열선(W)을 열선공급수단을 통해 오른쪽 끝에서 왼쪽 끝으로 이동하여 원단(W)에 수평으로 길게 놓이도록 하고 엮는실(Y)을 이용하여 열선(W)을 원단(W)에 봉착한다. 물론, 이때에도 열선마감지지구(700)가 열선(W)을 잡하주어 정확하게 수평으로 놓이게 한다.
이와 같이 열선(W)이 원단(W)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공급되고, 열선(W)이 수평으로 놓일 때 니들(410)과 가이더(510)의 협동에 의해 열선(W)이 원단(W)에 봉착되도록 하는 작업을 연속해서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원단(W)의 정면에 열선(W)은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면서 엮는실(Y)을 이용하여 원단(W)에 봉착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원단(W)의 정면에 열선(W)이 공급되는 작동을 좀더 설명하면, 열선(W)을 안내하는 열선안내봉(644)이 원단(W)이 한쪽 끝에서 받침대(310)와 지지대(110)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부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타이밍벨트(638)가 트랙운동으로 회전하면서 열선안내봉(644)이 이동블록(640)과 함께 타이밍벨트(638)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고, 열선안내봉(644)을 통해 안내되는 열선(W)은 받침대(310)와 지지대(110)의 사이에서 원단(W)의 정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으로 놓이게 된다. 이때, 열선(W)의 단부는 원단(W)의 한쪽 끝에 봉착 또는 다른 방법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열선안내봉(644)을 작동시켜야 열선(W)이 수평으로 공급되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이 상태에서 수평으로 놓인 열선(W)을 원단(W)에 봉착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수평으로 놓인 열선(W)의 봉착 작업이 완료되면, 원단(W)이 하강하면서 열선(W)이 원단(W)에 수직으로 놓이도록 한다. 즉, 원단(W)이 하강하게 되면 원단(W)에 수평으로 봉착되어 있는 열선(W)은 원단과 함께 하강하게 되고, 따라서 원단(W)의 한쪽 끝에는 일정 길이만큼의 수직 구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열선(W)이 원단(W)의 한쪽 끝에서 정해진 길이만큼 수직으로 놓이게 되면, 다시 타이밍벨트(638)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열선안내봉(644)을 반대편 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열선(W)은 받침대(310)와 지지대(110)의 사이에서 원단(W)의 정면에 밀착되도록 다시 수평으로 놓이게 되고, 이 상태에서 봉착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기기본체 20: 니들작동수단
30: 가이더작동수단 100: 원단공급롤
110: 지지대 200: 열선원단권취롤
300: 엮는실공급롤 310: 받침대
400: 니들판 410: 니들
500: 엮는작동판 510: 가이더
600: 열선공급수단 700: 열선마감지지구
710: 회동봉 F: 원단
W: 열선 WF: 열선원단
Y: 엮는실

Claims (5)

  1. 기기본체;
    상기 기기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롤;
    상기 원단공급롤에서 공급되는 원단이 이송되는 라인 상에 설치되어 원단을 수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지지대로 안내되는 원단의 정면에 밀착되게 열선이 놓이도록 열선이 안착되는 받침대;
    상기 지지대의 후방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설치된 니들판;
    상기 니들판 상에 고정되어 함께 작동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면을 따라 안내되어 원단을 통과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다수의 니들;
    상기 기기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각각의 니들로 엮는실을 공급하는 엮는실공급롤;
    상기 지지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엮는 운동을 하는 엮는작동판;
    상기 엮는작동판 상에 고정되어 함께 작동되고, 각각의 니들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엮는실공급롤에서 공급되는 엮는실을 니들로 안내하여 니들과의 협동에 의해 엮는실이 상기 원단에 엮일 수 있도록 돕는 다수의 가이더;
    상기 원단의 정면에 밀착되도록 받침대에 놓이게 공급되고, 상기 엮는실이 원단에 엮일 때 함께 엮이면서 원단에 봉착되는 열선;
    상기 열선을 원단의 정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안내 및 공급하는 열선공급수단; 및
    상기 기기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선이 봉착된 열선원단이 권취되고, 회전하면서 열선원단이 권취되는 힘에 의해 원단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열선원단권취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원단의 정면에 열선이 공급되면 니들과 가이더가 작동되면서 엮는실에 의해 열선이 원단에 봉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원단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공급수단은
    상기 기기본체의 정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고정적으로 설치된 좌측 지지브라켓과 우측 지지브라켓;
    상기 좌측 지지브라켓과 우측 지지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기기본체의 정면에 설치되고, 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대;
    상기 좌측 지지브라켓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좌측 지지브라켓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타이밍구동기어;
    상기 우측 지지브라켓의 일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축;
    상기 종동축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타이밍종동기어;
    상기 타이밍구동기어와 타이밍종동기어를 서로 연결하도록 조립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
    상기 타이밍벨트의 상단 일부분에 고정되어 타이밍벨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타이밍벨트와 함께 좌우로 이동하며,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타이밍벨트와 함께 좌우로 이동될 때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조립된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관통 형성되어 열선이 내부로 안내되어 원단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열선안내봉; 및
    상기 구동부를 작동 및 정지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열선안내봉이 타이밍벨트를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원단의 정면에 열선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놓이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원단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에서 열선이 배열되고자 하는 폭만큼의 간격을 두고 상기 기기본체의 양측에는 열선마감지지구가 설치되되, 열선마감지지구는 받침대보다 전방 하부에 설치된 회동봉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회동봉이 정회전을 하면 원단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선의 일측에 밀착되고 회동봉이 역회전을 하면 원단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성되어, 열선이 원단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놓일 때 열선의 굴절되는 부분을 잡아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원단 제조장치.
  4. 원단을 공급하되, 열선이 봉착되는 구간에서 원단이 수직으로 놓이도록 안내하는 단계;
    상기 원단이 수직으로 놓이는 부분에서 원단 정면에 접촉되게 열선을 공급하되, 열선을 오른쪽 끝에서 왼쪽 끝으로 이동하여 수평으로 길게 놓이도록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열선이 공급되는 부분으로 엮는실을 공급 및 안내하는 단계;
    상기 엮는실을 니들을 이용하여 원단에 엮이도록 하되, 열선이 함께 엮이도록 하여 열선이 원단에 봉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원단에 수평으로 놓인 열선을 봉착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원단을 하강시키면서 열선이 원단의 왼쪽에서 수직으로 놓이도록 하는 단계;
    상기 원단에 열선을 수직으로 배열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열선을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으로 굴절되게 이동시켜 다시 수평으로 길게 놓이도록 하는 단계;
    상기 엮는실을 통해 원단에 수평으로 놓인 열선이 원단에 봉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원단에 수평으로 놓인 열선을 봉착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원단을 하강시켜 열선이 원단의 오른쪽에서 수직으로 놓이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열선을 다시 오른쪽 끝에서 왼쪽 끝으로 굴절되게 이동시켜 원단에 수평으로 길게 놓이도록 하고, 엮는실을 이용하여 열선을 원단에 봉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상기 원단에 열선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하면서 엮는실을 이용하여 원단에 열선이 봉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원단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이 원단의 정면에서 오른쪽 끝에서 왼쪽 끝으로 굴절되게 이동시켜 수평으로 놓이게 하거나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으로 굴절되게 이동시켜 수평으로 놓이게 할 때, 열선이 굴절되는 부분에 열선마감지지구가 위치하여 굴절되는 부분을 잡아주므로 열선이 굴절될 때 밀리지 않고 정확하게 굴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원단 제조방법.
KR1020120049096A 2012-05-09 2012-05-09 열선원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선원단 제조방법 KR10116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96A KR101166488B1 (ko) 2012-05-09 2012-05-09 열선원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선원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96A KR101166488B1 (ko) 2012-05-09 2012-05-09 열선원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선원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488B1 true KR101166488B1 (ko) 2012-07-19

Family

ID=4671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096A KR101166488B1 (ko) 2012-05-09 2012-05-09 열선원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선원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4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1687B2 (en) 2000-03-27 2003-03-11 I.G. Bauerhin Gmbh Knitted two-dimensional heating element
JP2003173860A (ja) 2001-12-05 2003-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ヒー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1687B2 (en) 2000-03-27 2003-03-11 I.G. Bauerhin Gmbh Knitted two-dimensional heating element
JP2003173860A (ja) 2001-12-05 2003-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ヒータ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9230B1 (en) Automatic multi-function multi-needle sewingmachine and relative sewing method
US3442101A (en) Pile fabric
TW201723254A (zh) 具有一用於在梭道裏保持、供應及輸入緯紗的裝置及方法的織布機
US3030786A (en) Textile material and manufacture
KR101039467B1 (ko) 웨이브패턴 형성장치를 구비한 경편기
KR101166488B1 (ko) 열선원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선원단 제조방법
US35071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nitting fabrics
CN210558217U (zh) 床垫复合切边机的放卷机构
CN210657469U (zh) 床垫复合切边机的缝合切边机构
JP2004528492A (ja) 模様入りタフテッド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デュアル糸送り機構を備えたタフティング装置
CN218711397U (zh) 一种矩阵形排列的绣花机
KR100944536B1 (ko) 줄누비기
CN112342683B (zh) 一种经编纬编复合织造设备
CN106609423A (zh) 多针绗缝机
KR20120050208A (ko) 누빔지 원단의 테두리단 봉제장치
EP2109696A1 (en) Automatic multi -needle sewing machine for making ornamental stitches with chain stitch, to create ornamental effects with moss stitch and chenille stitch, for the application of tapes, and relative method
CN204780115U (zh) 多轴向经编机
US57585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mposite drawcord/elastic waistband
CN210650965U (zh) 床垫复合切边机
CN111809305A (zh) 一种经编机
US3395658A (en) Sew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ewn fabric
CN213357938U (zh) 曲折缝缝纫机用束褶一次成型装置
CN105714489A (zh) 组合盘带绣装置及其控制系统
CN211391924U (zh) 一种具有定位机构的新型无纺布包装装置
US3635178A (en) Machine for making shirred curt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