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644B1 -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644B1
KR101165644B1 KR1020117006010A KR20117006010A KR101165644B1 KR 101165644 B1 KR101165644 B1 KR 101165644B1 KR 1020117006010 A KR1020117006010 A KR 1020117006010A KR 20117006010 A KR20117006010 A KR 20117006010A KR 101165644 B1 KR101165644 B1 KR 101165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ervice
femto base
mode
servic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009A (ko
Inventor
정인욱
이진
김용호
류기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6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펨토 기지국의 효율적인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른 상기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를 지시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METHOD FOR OPERATING SERVICE UNAVAILABLE MODE OF FEMTO BASE STATION}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펨토 기지국의 효율적인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펨토셀(Femto Cell)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펨토(Femto)란 10^-15의 매우 작은 단위를 나타낸다. 이러한 의미에서 펨토셀이란 초소형/저전력 가정/사무실용 옥내 기지국을 의미한다. 펨토셀은 피코셀(picocell)과도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조금 더 진화된 기능을 갖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펨토셀은 광대역 라우터에 연결하는 소형 셀룰러 기지국으로 기존의 2G 시스템은 물론 3G 시스템의 음성 및 데이터를 DSL 링크 등을 통해 이동통신사의 백본망으로 연결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펨토셀의 장점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 펨토셀이 3G 보급을 촉진시키고, 옥내 커버리지를 넓히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조사 보고서가 발표되어 주목을 끌고 있다. 2011년까지 전세계 펨토셀 단말 사용자가 1억 2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이며 기지국인 AP(Access Point)의 설치도 3,200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ABI 리서치의 스튜어트 칼로우 수석 애널리스트는 "기술적인 면에서 W-CDMA, HSDPA, EVDO와 같은 기술의 옥내 커버리지 강화는 서비스 제공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하였다. 또한, 스튜어트 칼로우는 "펨토셀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트래픽을 라우팅함으로써 네트워크 품질과 수용력이 매우 강화됨과 동시에 이동통신사들이 백홀 전용회선에 투자하는 OPEX도 감소되어 전략적, 경제적인 관점에서도 커다란 혜택이 있다"고 말하였다.
펨토셀은 셀 커버리지를 강화할 수 있고, 음성서비스의 품질(Quality)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사들은 펨토셀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들을 완전히 3G에 적응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상기 펨토셀은 펨토 기지국(FBS: Femto Base Station) 또는 펨토 BTS(Base Transceiver Station)로 불릴 수 있다.
정리하면 펨토셀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1. 셀 커버리지 증가(Cell Coverage Improvement)
2. 인프라 구축 비용 감소(Infrastructure cost decrease)
3. 새로운 서비스 제공(New service Offering)
4. FMC (Fixed Mobile Convergence) 가속화
하나 이상의 펨토셀은 특정 서비스별 또는 지역별로 그룹핑되어 펨토셀 그룹(Femtocell Group)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에만 접속(Access)이 허락된 펨토셀 그룹을 폐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 이하 'CSG'라 칭함)이라 부를 수 있다. 펨토 기지국(FBS)은 단말의 CSG 식별자(CSG ID)를 확인하여 CSG에 가입한 단말에만 접속을 허락할 수 있다.
도 1은 펨토 기지국(FBS)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펨토 기지국은 기존 네트워크에 새롭게 추가되는 개체이다. 따라서, 펨토 기지국을 사용함에 따라, 전체적인 네트워크 구조에 추가 또는 변경될 사항들이 있다. 펨토 기지국은 인터넷(Internet)에 직접 접속하여 기지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펨토 기지국은 일반 매크로 기지국의 거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펨토 기지국은 일반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단말에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은 기존 네트워크 구조에 펨토 네트워크 게이트웨이(FNG: Femto Network Gateway)가 추가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FNG는 접속 서비스 네트워크(ASN: Access Service Network) 게이트웨이 및 연결 서비스 네트워크(CSN: Connectivity Service Network)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FNG는 ASN과의 통신을 위해 Rx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CSN과의 통신을 위해 Ry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펨토 기지국은 직접 TCP/IP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FNG를 통해 CSN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펨토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은 인증, IMS(IP Multimedia Subsystem) 등의 기능을 FNG 또는 CSN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펨토 기지국은 기지국과 R1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는 펨토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의 하향링크(DL: Down Link) 채널을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펨토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펨토 기지국은 소정의 조건이 만족될 때 서비스 불가(OOS: Out Of Service)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펨토 기지국은 서비스 불가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단말에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서비스 불가 모드에 진입하기 전 또는 진입 후에 단말에 자신의 상태를 알릴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펨토 기지국이 자신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상태를 효율적으로 주변의 단말에 알리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 불가 모드의 해제를 효율적으로 주변에 알려 콜백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 캐리어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들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른 상기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를 지시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는 정상 상태, 단말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상태, 단말에 정상 상태로 복귀함을 지시하는 콜백 상태 및 소정 시간 후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함을 지시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개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소정의 매체접속제어 메시지,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서비스 불가 신호 및 인터워킹 시그널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를 지시하는 비트 및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의 진입 원인을 지시하는 비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불가 신호는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을 지시하는 시작 시간 정보,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하는 기간을 지시하는 지속 시간 정보, 인근 기지국 리스트 또는 추천 기지국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정의 매체접속제어 메시지는 자가 네트워크 구성 공시(AAI_SON-ADV) 메시지이고, 상기 소정의 방송채널은 수퍼프레임 헤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개시(initiation)를 지시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펨토 기지국에 인접한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소정의 매체접속제어 메시지,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서비스 불가 신호 및 인터워킹 시그널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를 지시하는 비트 및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의 진입 원인을 지시하는 비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불가 신호는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을 지시하는 시작 시간 정보,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하는 기간을 지시하는 지속 시간 정보, 인근 기지국 리스트 또는 추천 기지국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펨토 기지국의 정상 상태 복귀(callback)를 지시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펨토 기지국의 정상 상태 복귀(callback)를 지시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기지국의 주파수 영역으로 방송되는 인터워킹 시그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이동 단말기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외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R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매체접속제어 메시지,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서비스 불가 신호 및 인터워킹 시그널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수행 여부,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망 재진입 여부 및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수행여부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기 설정된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른 상기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는 정상 상태, 임의의 단말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상태, 정상 상태로 복귀함을 지시하는 콜백 상태 및 소정 시간 후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함을 지시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개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를 지시하는 비트 및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의 진입 원인을 지시하는 비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불가 신호는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을 지시하는 시작 시간 정보,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하는 기간을 지시하는 지속 시간 정보, 인근 기지국 리스트 또는 추천 기지국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매체접속제어 메시지는 자가 네트워크 구성 공시(AAI_SON-ADV) 메시지이고, 상기 소정의 방송채널은 수퍼프레임 헤더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가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개시 상태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가 상기 콜백 상태 또는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망 재진입 또는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단말들은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상태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알 수 있어 해당 펨토 기지국으로의 불필요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거나 이미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은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콜백 방법을 통하여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을 원인으로 펨토 기지국을 떠난 단말은 신속히 펨토 기지국으로 망 재진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 네트워크 구조에 펨토 네트워크 게이트웨이(FNG: Femto Network Gateway)가 추가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IWS의 자원할당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IWS형태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단말에 알릴 수 있는 서비스 불가 신호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에서 서비스 불가 모드가 종료됨에 따라 단말이 다시 펨토 기지국으로 다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의 인터워킹시그널을 이용한 콜백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의 인터워킹시그널을 이용한 콜백 동작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단 및 수신단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펨토셀을 적용한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해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펨토 기지국의 효율적인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및 이를 단말에 알리는 다양한 방법들을 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이동국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동국(MS: Mobile Station)'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단말(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이동국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이동국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서 이동국으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폰, WCDMA(Wideband CDMA) 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 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은 개인 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PC, 스마트(Smart) 폰, 멀티모드 멀티밴드(MM-MB: Multi Mode-Multi Band)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폰이란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장점을 혼합한 단말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개인 휴대 단말기의 기능인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한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단말기란 멀티 모뎀칩을 내장하여 휴대 인터넷시스템 및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 WCDMA(Wideband CDMA) 시스템 등)에서 모두 작동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802.16 시스템의 표준 문서인 P802.16-2004, P802.16e-2005 및 P802.16Rev2 문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펨토 기지국에 적용되는 가정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펨토셀은 기존의 셀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작은 셀 반경(Cell Radius)를 갖는 독립적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다. 일반적 개념의 넓은 반경을 갖는 셀을 매크로 셀이라 할 때, 펨토셀은 백본 연결을 통해서 일반 셀과 연결되며 자체 네트워크 용량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의 매크로셀 내에는 다수의 펨토셀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매크셀과 달리 펨토셀은 온/오프가 가능하며,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수면 모드 또는 저부하 모드(LDM: Low Duty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아울러, 펨토셀은 펨토셀들 간에 직접 연결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중계국과 서로 구별될 수 있다.
한편, 펨토셀은 자신이 속한 매크로 셀과의 동기가 맞춰져 있으며, 펨토셀은 매크로 셀의 주파수 영역에서 인터워킹 시그널(IWS: Inter-Working-Signal, 이하 "IWS"라 칭함)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IWS를 이용한 단말의 펨토셀 탐색 방법을 설명한다.
같은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는 펨토 기지국들은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여 IWS를 전송할 수 있고, 다른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는 펨토 기지국들은 서로 다른 자원을 사용하여 IWS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이렇게 펨토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된 IWS를 검출함으로써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에 대한 별도의 스캐닝 없이 특정 주파수 영역을 탐색하여 해당 주파수 영역을 통하여 IWS를 전송하는 펨토셀을 검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임의의 매크로 기지국에 속하지만 해당 매크로 기지국과 다른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는 펨토 기지국은 단말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하여 매크로 기지국의 주파수 영역으로 IWS를 방송할 수 있다.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의 주파수 영역으로 스캔을 수행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 영역을 따로 스캔하지 않는다면 다른 주파수 영역에서 작동하는 펨토기지국의 존재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의 주파수 영역으로 방송되는 IWS를 검출하여 펨토기지국의 주파수 영역을 별도로 스캔할 필요없이 펨토 기지국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IWS는 수퍼프레임헤더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매체접속제어 메지지(MAC message)를 통하여 방송될 수 있다. 또한, IWS는 수퍼프레임 헤더 단위의 주기로 방송될 수 있다.
제안된 기법에서 IWS는 수퍼프레임헤더(SFH)와 유사한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지며, 자원 할당 방식은 아래 도 2와 같다.
도 2는 본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IWS의 자원할당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5MHz 시스템 대역을 가정하였을 때 주파수분할다중화(FDM)로 구분된 프리엠블 신호를 통하여 단말은 동시에 2개의 주파수영역에 대한 펨토셀을 탐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총 288 데이터 톤이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대역이 5MHz에서 10MHz, 20MHz로 확장됨에 따라 IWS가 전송되는 주파수 영역 및 그에 따른 데이터 톤의 수도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IWS의 형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IWS형태의 예들을 나타낸다.
먼저, 도 3의 (a)의 경우에는 단말이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개시하거나 수면중인 펨토 기지국을 깨우기 위해(awake Femto BS) 제 2 레이어(L2) 정보가 요구되는 경우의 IWS 형태를 나타낸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IWS는 P비트의 프리엠블 정보와 펨토 기지국의 턴온/턴오프 여부를 1비트로 지시하는 온/오프 지시자 및 8비트 크기의 순환중복검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펨토 기지국의 턴온/턴오프 여부라 함은 펨토 기지국이 소정 시간 이후에 작동하게될 상태를 온 또는 오프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IWS의 다른 형태로, 도 3의 (b)의 경우에는 단말이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개시하거나 수면중인 펨토 기지국을 깨우기 위해 제 2 레이어 정보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의 IWS 형태를 나타낸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IWS는 N비트 크기의 펨토기지국 식별자, 온/오프 지시자 및 순환중복검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기채널(SCH)을 설명한다.
동기채널의 용도는 크게 물리동기를 맞추기 위한 것과 세그먼트(segment) 정보와 기지국 식별자(BS ID)를 알기 위한 것이 있다. IEEE802.16e 표준의 경우 두 가지 용도를 한 심볼 크기의 프리엠블로 구현되었고, IEEE802.16m 표준의 경우 물리동기를 위한 주동기채널(PSCH: Primary sync. Channel)과, 세그먼트 정보와 기지국 식별자를 위한 부동기채널(SSCH: Secondary sync. Channel)로 나눠서 동기채널이 구현되고 있다. 두 번째 용도를 위한 채널은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단위로 3k, 3k+1, 3k+2 (k=0,1,..., N-1이고 3(N-1)+2는 사용되는 서브캐리어의 수보다 작거나 같다.)로 나누어 3개의 세그먼트를 구별하고, 각 세그먼트 별로 N 개의 직교 시퀀스를 이용하여 코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기지국 식별자 등을 구별 할 수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는 3 섹터의 경우 3개의 섹터 식별자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 불가 모드란 펨토기지국이 특정 조건이 만족됨에 단말에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예를 들어, 하향링크 무선 인터페이스를 불능화(disable downlink air interface transmitter)) 상태를 말한다.
펨토 기지국은 아래와 같은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되면 서비스 불가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1. 계획된 펨토 기지국 셧다운: 미리 계획한 일정에 혹은 어느 시간 이후에 셧다운되는 것을 안 상태에서 예정된 시간에 서비스 불가 모드로 천이 하는 경우로, 펨토기지국의 리부팅이 그 일례가 될 수 있다.
2. 예측하지 못한 파워 오프: 어떤 이유, 예를 들면 정전 등에 의해서 전원이 단절되어 서비스 불가 모드로 천이하는 경우
3. 예측하지 못한 백홀(backhaul) 링크 단절: 망과 통신하는데 필요한 백홀 링크가 어떤 이유에 의해서 단절되어 서비스 불가 모드로 천이 하는 경우
4. 예상치 못한 펨토 기지국 고장: 사용자의 부주의나 천재지변 등의 이유로 펨토 기지국이 고장 나서 서비스 불가 모드로 천이하는 경우
상술한 조건들 중 어느 하나가 만족되는 경우, 펨토 기지국은 서비스 불가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다만, 펨토 기지국은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자신이 서비스 불가 모드에 진입함을 자신에게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에 미리 알릴 필요가 있다. 이를 단말에 알리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의 진입 여부, 진입 시점, 지속 시간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라 칭하고,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가 단말에 전송되기 위하여 취하는 신호 형태를 "서비스 불가 신호"라 칭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단말에 알릴 수 있는 서비스 불가 신호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불가 신호는 상술한 IWS의 형태에서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더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복수의 비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가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함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서비스 불가 모드 시작 시간(OOS start time) 정보와 서비스 불가 모드 지속 시간(OOS duration)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불가 신호는 펨토셀에 속한 단말이 더이상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음에 따라 해당 단말의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하여 추천 기지국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제안한다.
1) 그 첫번째는 아래와 같이 서비스 불가 모드 시작 시간(OOS start time) 정보와 서비스 불가 모드 지속 시간(OOS duration) 정보를 제외하고 5개의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비트 #1: 서비스 불가 지시자로 값이 1로 설정이 되면 서비스 불가 모드 임을 알려 주며 0이면 정상 상태임을 지시한다.
비트 #2: 백본망 데이터 링크 상태로 값이 1로 설정이 되면 백본 링크에 이상이 있어서 데이터 통신이 불가한 상태를 지시한다. 0이면 정상 상태임을 지시한다.
비트 #3: 백본망 제어 링크 상태로 값이 1로 설정이 되면 오버레이 매크로 기지국을 포함하여 펨토 기지국을 제어하는 망 개체들과 통신하는데 이상이 발생하여 통신이 불가한 상태를 지시한다. 0이면 정상 상태임을 지시한다.
비트 #2와 #3은 백본망 링크에 관한 상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둘을 합쳐서 하나의 비트로 제어/데이터 링크 상태를 함께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비트 #4: 주전력 다운(main power down)을 알려 주는 것으로 값이 1로 설정이 되면 주전력에 이상이 발생하여 보조 전력(예를 들어, 배터리)로 동작 중임을 지시한다. 0이면 정상 상태로 펨토 기지국 전원에 아무 이상이 없음을 지시한다.
비트 #5: 펨토 기지국 다운 경보 상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값이 1로 설정이 되면 주/보조 전원이 곧 다운되거나 펨토 기지국이 예정된 관리 일정으로 전원을 끄는 것을 지시한다. 0으로 설정되면 정상상태를 지시한다.
2) 다음으로,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의 두 번째 형태는 아래와 같이 서비스 불가 모드 시작 시간(OOS start time) 정보와 서비스 불가 모드 지속 시간(OOS duration) 정보를 제외하고 4개의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비트 1및 비트 2가 함께 현재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 타입(OOS status type, 또는 서비스 불가 타입) 또는 동작 타입(Action type)을 지시할 수 있다.
비트 1 및 비트 2가 0x00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현재 펨토 기지국이 정상 상태임을 지시한다.
비트 1 및 비트 2가 0x01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현재 펨토 기지국이 콜백 절차(정상 상태로 돌아옴)를 진행 중인 상태임을 알려 준다.
비트 1 및 비트 2가 0x10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현재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 불가 모드를 진행 중(active)인 상태임을 지시한다. 본 값은, 펨토 기지국의 백본망 링크 상태에 문제가 있다 하더라도, 펨토 기지국이 동작가능한 상태에서 전송이 가능하다. 즉, 본 값은 펨토 기지국의 무선 인터페이스는 활성화되어 있더라도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지는 못함을 지시한다.
비트 1 및 비트 2가 0x11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현재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 불가 모드를 진행 예정인 상태임을 지시한다.
비트 3 및 비트 4는 서비스 불가 모드에 진입하는 이유(OOS reason type)를 나타낸다.
비트 3 및 비트 4가 0x00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백본 링크에 이상이 있어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함을 지시한다.
비트 3 및 비트 4가 0x01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백본 제어 링크에 이상이 있어 오버레이 매크로 기지국을 포함하여 펨토 기지국을 제어하는 망 개체들과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여 통신이 불가능함을 지시한다.
비트 3 및 비트 4가 0x10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주전력 다운을 알려 주는 것으로 주전력에 이상이 발생하여 보조 전력(battery power)으로 동작 중임을 지시한다.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 전송 방법
펨토 기지국은 상술한 서비스 불가 신호 또는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소정의 방송채널(예를 들어, 수퍼프레임 헤더(SFH))에 포함하여 일정주기(예컨대, 매 수퍼프레임마다)로 방송하거나, 소정의 매체접속제어 메시지(MAC message)를 통하여 방송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접속제어 메시지의 일례로는 자가 네트워크 구성 공시(AAI_SON-ADV: Advanced Air Interface Self Organizing Network ADVertizement)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신호 전송과 그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에서는 상술한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의 형태 중 두 번째 형태(k=4 비트)를 따르며, 단말은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상태를 가정한다.
펨토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자신의 서비스 불가 모드 관련 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단말에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불가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 펨토 기지국이 정상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서비스 불가 타입을 지시하는 비트(예를 들어, 비트 1 및 비트 2)를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x00)으로 설정하여 서비스 불가 신호를 단말에 방송할 수 있다(S501).
펨토 기지국이 정상모드로 작동하는 동안 단말은 펨토 기지국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S502).
펨토 기지국은 수퍼프레임 단위로 서비스 불가 신호를 단말에 방송할 수 있으며, 단말과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503, S504).
펨토 기지국은 상술한 서비스 불가 모드 진입 조건들 중 어느 하나가 만족됨에 따라 서비스 불가 모드를 시작(또는 개시: initiation)할 수 있고, 서비스 불가 타입을 지시하는 비트를 서비스 불가 모드 시작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x11)으로 설정하여 서비스 불가 신호를 단말에 방송할 수 있다(S505).
이때, 서비스 불가 신호에는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을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시작 시간(OOS start time) 정보 및 서비스 불가 모드가 지속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지속 시간(OOS duration)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서비스 불가 신호를 수신하여 펨토 기지국이 시작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시점부터 지속 시간 동안 서비스 불가 모드로 작동할 것임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단말은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계속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없음을 알고 매크로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펨토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506).
본 실시예에서는 매크로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가정하여 기술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단말은 해당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펨토셀 인근의 어떠한 기지국으로도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서비스 불가 신호에 인근 기지국의 리스트 또는 추천 기지국의 리스트가 포함된 경우 단말은 이를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의 결정에 참조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펨토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다시 매크로 기지국으로 전달하고(S507), 매크로 기지국은 그에 대한 응답으로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를 펨토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508).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펨토 기지국은 단말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는 펨토 기지국이 다시 정상 상태로 작동할 때 단말의 펨토셀 재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용 콜백 코드(dedicated callback CDMA code)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전용 콜백 코드에 대해서는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5에서는 단말이 핸드오버를 시작(AMS initatied)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펨토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시작(Femto BS initiated HO)할 수도 있다.
펨토 기지국은 시작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시점에 도달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서비스 불가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S510). 이때, 매회 방송되는 서비스 불가 신호마다 시작 시간 정보 및 지속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하여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매크로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511). 이때, 단말은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미도시).
시작 시간(OOS start time)이 도래함에 따라 펨토 기지기국은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펨토 기지국 자체의 문제가 서비스 불가 모드의 원인이 아닌 경우(예를 들어, 백본망 링크 문제) 펨토 기지국의 무선 인터페이스는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펨토 기지국은 자신이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함을 알리기 위하여 서비스 불가 타입을 지시하는 비트를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x10)으로 설정하여 서비스 불가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S512).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펨토 기지국의 콜백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에서 서비스 불가 모드가 종료됨에 따라 단말이 다시 펨토 기지국으로 다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의 상황은 도 5에서 연결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펨토 기지국은 시작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시점부터 지속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기간 동안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도 펨토 기지국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펨토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자신이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함을 알리기 위하여 서비스 불가 타입을 지시하는 비트를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x10)으로 설정하여 서비스 불가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S601, S602).
펨토 기지국은 지속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또는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서비스 불가 타입을 지시하는 비트를 서비스 불가 모드 콜백(callback)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x01)으로 설정하여 서비스 불가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S603).
단말은 소정 시간 후(예를 들어, 시작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시점으로부터 지속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 도래한 시점, 즉, 콜백타임(callback time) 도래시)에 다시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해당 펨토 기지국의 주파수 영역을 스캔할 수 있다. 이때, S603 단계에서 전송된 서비스 불가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은 해당 펨토 기지국으로 콜백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단말은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결정할 수 있고,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4).
매크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전송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5).
한편, 펨토 기지국은 다시 정상 상태로 동작함에 따라 서비스 불가 타입을 지시하는 비트를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x00)으로 설정하여 서비스 불가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S606).
단말은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하여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펨토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607). 이때, 도 5의 S509 단계에서와 같이 전용 콜백 코드를 수신한 경우, 레인징 요청 메시지 대신 전용 콜백 코드를 전송하여 핸드오버 절차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펨토 기지국은 단말이 S607 단계에서 전송한 메시지 또는 코드에 대한 응답으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608).
펨토 기지국은 정상 상태로 동작함에 따라 S606 단계와 같은 서비스 불가 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S609).
단말과 펨토 기지국은 핸드오버 절차를 마치고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610).
한편, 펨토 기지국은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인터워킹시그널(IWS)에 추가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를 주변에 공지할 수 있다. 이는 크게 두 가지 목적을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 첫 번째는,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할 당시 펨토 기지국과 교신을 끊었지만, 정상적으로 재가동하여 동작하는 시간(즉, 콜백 타임)에 펨토셀 기지국 주변에 아직 머물러 있는 단말들에게 자신의 재가동을 IWS를 통해 알릴 수 있다.
두 번째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을 수행중인 펨토 기지국이 자신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상태를 IWS를 통해 주변 단말들에게 알림으로 단말들의 해당 펨토 기지국으로 불필요한 핸드오버를 방지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경우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의 인터워킹시그널을 이용한 콜백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 또한 도 6과 유사하게 도 5에서 연결되는 상황임으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펨토 기지국은 시작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시점부터 지속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기간 동안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도 펨토 기지국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펨토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자신이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함을 알리기 위하여 서비스 불가 타입을 지시하는 비트를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x10)으로 설정하여 서비스 불가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S701, S702).
펨토 기지국은 지속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또는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서비스 불가 타입을 지시하는 비트를 서비스 불가 모드 콜백(callback)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x01)으로 설정하여 인터워킹 시그널을 매크로 기지국의 주파수 영역으로 방송할 수 있다(S703).
그에 따라 단말은 펨토 기지국의 주파수 영역이 매크로 기지국이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과 상이한 경우에도 별도로 펨토 기지국의 주파수 영역을 탐지할 필요 없이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IWS를 펨토 기지국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이하 S704 단계 내지 S710 단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S604 단계 내지 S610 단계와 각각 유사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두 번째 경우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펨토 기지국의 인터워킹시그널을 이용한 콜백 동작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 1은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단말 2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다(S801, S802).
이때, 펨토 기지국에서 서비스 불가 동작을 위한 소정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 펨토 기지국은 서비스 불가 타입을 지시하는 비트를 서비스 불가 시작(initiation)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하여 서비스 불가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S803).
이때, 서비스 불가 신호에는 시작 시간(OOS start time) 정보 및 지속 시간(OOS duration)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펨토 기지국은 자신의 주변에 존재하나, 자신에게 서비스를 받고 있지 않은 단말에 자신의 상태(즉, 서비스 불가 모드 시작)를 알려 불필요한 핸드오버를 방지하기 위하여 매크로 기지국의 주파수 영역으로 인터워킹시그널에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포함하여 방송할 수 있다(S804).
이때, 인터워킹 시그널에도 시작 시간(OOS start time) 정보 및 지속 시간(OOS duration)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말 2는 인터워킹 시그널을 수신하여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함을 알 수 있으며, 펨토 기지국으로의 불필요한 핸드오버를 시도하지 않게 된다.
그 후로도 펨토 기지국은 소정 주기(예를 들어, 수퍼프레임 마다)로 자신이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할 것임(initiation)을 알리는 서비스 불가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S805).
시작 시간(OOS start time)이 도래함에 따라 펨토 기지기국은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펨토 기지국 자체의 문제가 서비스 불가 모드의 원인이 아닌 경우(예를 들어, 백본망 링크 문제) 펨토 기지국의 무선 인터페이스는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펨토 기지국은 자신이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함을 알리기 위하여 서비스 불가 타입을 지시하는 비트를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중임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x10)으로 설정하여 서비스 불가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S806).
펨토 기지국은 시작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시점으로부터 지속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이 경과되면(즉, 콜백 타임이 도래하면) 서비스 불가 타입을 지시하는 비트를 콜백 동작을 나타내는 값(예를 들어, 0x01)으로 설정하고, 이를 인터워킹 시그널을 통하여 매크로 기지국의 주파수 영역으로 방송할 수 있다(S807).
그에 따라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 2는 펨토 기지국이 다시 정상 모드로 동작할 것임을 알 수 있고,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하여 매크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08).
매크로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809).
이후 단말 2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펨토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S810), 펨토 기지국은 그에 대한 응답으로 레인징 응답 메시지(S811)를 단말 2로 전송할 수 있다(S811).
단말 2와 펨토 기지국은 핸드오버 절차를 마치고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81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될 수 있는 단말 및 기지국(FBS, MBS)을 설명한다.
단말은 상향링크에서는 송신기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수신기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향링크에서는 수신기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송신기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단말 및 기지국은 정보 또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 및 수신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서, 모듈, 부분 및/또는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송신기 및 수신기는 메시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모듈(수단), 암호화된 메시지를 해석하기 위한 모듈,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단과 수신단의 일례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단 및 수신단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좌측은 송신단의 구조를 나타내고, 우측은 수신단의 구조를 나타낸다. 송신단과 수신단 각각은 안테나(5, 10), 프로세서(20, 30), 전송모듈(Tx module(40, 50)), 수신모듈(Rx module(60, 70)) 및 메모리(80, 9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는 서로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안테나(5, 10)는 전송모듈(40, 50)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모듈(60, 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중 안테나(MIMO)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 전송모듈 및 수신모듈은 함께 무선통신(RF)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0, 3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 전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콘트롤러 기능, 서비스 특성 및 전파 환경에 따른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 가변 제어 기능, 핸드오버(Hand Over) 기능,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는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IWS, 소정의 매체접속제어 메시지(예를 들어, AAI_SON-ADV 메시지) 또는 소정의 방송채널(예를 들어, 수퍼프레임 헤더)을 통해 소정 주기로 전송되는 서비스 불가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그에 포함된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의 형태 및 전송 방법의 상세한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프로세서는 획득한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통하여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즉, 서비스 불가 타입), 서비스 불가 모드 진입 시점(OOS start time), 서비스 불가 모드 지속 시간(OOS duration) 및 펨토 기지국이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하는 이유 등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그에 따라 해당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 재진입 여부, 매크로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수행 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펨토 기지국의 프로세서는 서비스 불가 모드 진입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의 비트를 설정하고 이를 상술한 방법을 통해 주변의 단말에 방송할 수 있다. 또한, 펨토 기지국의 프로세서는 자신이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을 결정함에 따라 수퍼프레임 헤더(SFH)의 셀 바(cell bar) 비트를 1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불필요한 단말의 접속 시도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기지국의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MAC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해석하여 단말에 필요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 내역을 단말에 알려주기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 등을 생성하여 이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전송 모듈(40, 50)은 프로세서(20, 30)로부터 스케쥴링되어 외부로 전송될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부호화(coding) 및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 후 안테나(10)에 전달할 수 있다.
수신 모듈(60, 70)은 외부에서 안테나(5, 10)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복호(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을 수행하여 원본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여 프로세서(20, 30)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80, 90)는 프로세서(20, 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기준동기정보에 따른 수면 모드 정보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80, 9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콘트롤러 기능,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패킷 스케줄링, 시분할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패킷 스케줄링 및 채널 다중화 기능, 서비스 특성 및 전파 환경에 따른 MAC 프레임 가변 제어 기능, 고속 트래픽 실시간 제어 기능, 핸드오버(Handover) 기능,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 변복조 기능, 고속 패킷 채널 코딩 기능 및 실시간 모뎀 제어 기능 등이 상술한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하거나,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 모듈 또는 부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상술한 바와 같은 펨토셀을 포함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모드 동작 및 서비스 불가모드 상태를 단말에 알리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구조는 IEEE802.16m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IEEE802.xx 시스템 이외에도 펨토 기지국을 가지는 다른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른 상기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를 지시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는,
    정상 상태, 단말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상태, 단말에 정상 상태로 복귀함을 지시하는 콜백 상태 및 소정 시간 후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함을 지시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개시 상태를 포함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소정의 매체접속제어 메시지,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서비스 불가 신호 및 인터워킹 시그널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를 지시하는 비트 및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의 진입 원인을 지시하는 비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불가 신호는,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을 지시하는 시작 시간 정보,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하는 기간을 지시하는 지속 시간 정보, 인근 기지국 리스트 또는 추천 기지국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매체접속제어 메시지는 자가 네트워크 구성 공시(AAI_SON-ADV) 메시지이고,
    상기 소정의 방송채널은 수퍼프레임 헤더인,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6.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개시(initiation)를 지시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펨토 기지국에 인접한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소정의 매체접속제어 메시지,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서비스 불가 신호 및 인터워킹 시그널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를 지시하는 비트 및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의 진입 원인을 지시하는 비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불가 신호는,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을 지시하는 시작 시간 정보,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하는 기간을 지시하는 지속 시간 정보, 인근 기지국 리스트 또는 추천 기지국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기지국의 정상 상태 복귀(callback)를 지시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 기지국의 정상 상태 복귀(callback)를 지시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기지국의 주파수 영역으로 방송되는 인터워킹 시그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11.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외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RF)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매체접속제어 메시지, 소정의 방송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서비스 불가 신호 및 인터워킹 시그널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수행 여부,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망 재진입 여부 및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수행여부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기 설정된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른 상기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를 지시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는,
    정상 상태, 임의의 단말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상태, 정상 상태로 복귀함을 지시하는 콜백 상태 및 소정 시간 후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함을 지시하는 서비스 불가 모드 개시 상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정보는,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를 지시하는 비트 및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의 진입 원인을 지시하는 비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불가 신호는,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로 진입하는 시점을 지시하는 시작 시간 정보, 상기 펨토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로 동작하는 기간을 지시하는 지속 시간 정보, 인근 기지국 리스트 또는 추천 기지국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매체접속제어 메시지는 자가 네트워크 구성 공시(AAI_SON-ADV) 메시지이고,
    상기 소정의 방송채널은 수퍼프레임 헤더인, 이동 단말기.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가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개시 상태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불가 모드 상태가 상기 콜백 상태 또는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망 재진입 또는 상기 펨토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7006010A 2009-01-06 2010-01-06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KR101165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63609P 2009-01-06 2009-01-06
US61/142,636 2009-01-06
PCT/KR2010/000078 WO2010079960A2 (ko) 2009-01-06 2010-01-06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009A KR20110069009A (ko) 2011-06-22
KR101165644B1 true KR101165644B1 (ko) 2012-07-16

Family

ID=4231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010A KR101165644B1 (ko) 2009-01-06 2010-01-06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55728B2 (ko)
EP (1) EP2387266B1 (ko)
KR (1) KR101165644B1 (ko)
WO (1) WO201007996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623A (ko) * 2009-02-13 2010-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0107278A2 (en) * 2009-03-20 2010-09-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liable handover signaling procedur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JP5541282B2 (ja) * 2009-06-26 2014-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532554A (ja) * 2009-07-01 2012-12-13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ド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リサーチ インスチチュート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頼性のあるサービスの提供および受信方法
US20110090820A1 (en) 2009-10-16 2011-04-21 Osama Hussein Self-optimizing wireless network
US20120093032A1 (en) * 2010-10-18 2012-04-19 Muthaiah Venkatachalam Airlink techniques enabling dynamic optimization and configuration of wireless network base stations
JP5668762B2 (ja) 2011-01-21 2015-02-1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US8509762B2 (en) 2011-05-20 2013-08-13 ReVerb Network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underperforming cell detection and recovery in a wireless network
EP2754271B1 (en) 2011-09-09 2019-11-13 Reverb Network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elf optimizing-organizing network manager
US9258719B2 (en) 2011-11-08 2016-02-09 Viavi Solu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artitioning wireless network cells into time-based clusters
JP5948045B2 (ja) * 2011-11-25 2016-07-06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3091188A1 (en) * 2011-12-21 2013-06-27 Nokia Corporation Providing service continuity for local area networks
US9008722B2 (en) 2012-02-17 2015-04-14 ReVerb Network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in multi-mode networks
KR101990915B1 (ko) * 2012-03-06 2019-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모드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EP2739081A1 (en) 2012-11-29 2014-06-04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Network access restoration
EP2739093A1 (en) 2012-11-29 2014-06-04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Restoration of network access
JP5983768B2 (ja) 2012-12-18 2016-09-06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通信端末及び発信規制制御方法
WO2014161593A1 (en) * 2013-04-05 2014-10-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access points
WO2015005624A1 (ko) * 2013-07-07 201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이중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113353B1 (en) 2015-02-27 2015-08-18 ReVerb Network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overage and capacity in a wireless network
CN113873615A (zh) * 2015-08-18 2021-12-3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Ue接入的方法和设备
US10271245B2 (en) * 2015-12-18 201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ferring hotspot session
KR102660593B1 (ko) * 2015-12-18 2024-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핫스팟 세션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EP3892025A4 (en) * 2018-12-03 2022-07-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PROCESSING REQUESTS AFTER A LOSS OF RADIO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397B1 (ko) * 2000-12-29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 정보송신 및 수신방법
JP2003032725A (ja) 2001-07-18 2003-01-31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基地局選択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無線基地局
GB2404113B (en) 2003-07-12 2005-11-02 * Motorola, Inc Communication units, cell-bas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frequency planning therein
US7613444B2 (en) 2006-04-28 2009-1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building of monitored set
US8244257B2 (en) * 2007-02-20 2012-08-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over from a Macro cell back to a Femto cell
US8750883B2 (en) * 2008-11-12 2014-06-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macro base station and femto base station
US8588778B2 (en) * 2008-12-18 2013-11-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femtocell reselection
US20100159991A1 (en) * 2008-12-22 2010-06-24 Mediatek Inc. Reliable femtocell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20100080740A (ko) * 2009-01-02 2010-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 기지국의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7266B1 (en) 2015-09-09
KR20110069009A (ko) 2011-06-22
US8355728B2 (en) 2013-01-15
EP2387266A2 (en) 2011-11-16
WO2010079960A3 (ko) 2010-09-23
WO2010079960A2 (ko) 2010-07-15
US20110287759A1 (en) 2011-11-24
EP2387266A4 (en)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644B1 (ko)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RU2732509C1 (ru)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JP5576479B2 (ja) 広帯域無線接続システムでのフェムト基地局の周辺基地局リスト管理方法
US9264993B2 (en) Method for saving power of a femto base station using sleep period synchronization
JP5389941B2 (ja) 睡眠周期同期化を通したフェムト基地局の電力節約方法
US8538495B2 (en) Method of low duty mode operation in a femto base station in consideration of a femto cell type
JP5155457B2 (ja) 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
KR101927568B1 (ko) 이종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소형 셀 발견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16347669A (zh) 通信系统、基站装置及通信终端装置
KR20100132427A (ko) 펨토 기지국의 저부하 모드 동작 방법
US9125125B2 (en)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97433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tate mode transition or performing state mode transition in plural communication system convergence networks
US9635593B2 (en) Communication system
CN114073131A (zh) 增加空闲模式中的服务中时间和持续移动性的稳健性
KR20100083088A (ko)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EP2747490A1 (en) Session termination in an energy-efficient cellula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1456005B1 (ko)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20100048834A (ko) 팸토 기지국의 전력 절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