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005B1 -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005B1
KR101456005B1 KR1020090023140A KR20090023140A KR101456005B1 KR 101456005 B1 KR101456005 B1 KR 101456005B1 KR 1020090023140 A KR1020090023140 A KR 1020090023140A KR 20090023140 A KR20090023140 A KR 20090023140A KR 101456005 B1 KR101456005 B1 KR 101456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paging group
mobile station
base st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9537A (ko
Inventor
박기원
김용호
류기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154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JP5155457B2/ja
Priority to PCT/KR2009/007195 priority patent/WO2010071312A2/ko
Priority to CN200980155594.0A priority patent/CN102318418B/zh
Priority to US13/139,421 priority patent/US8532671B2/en
Publication of KR2010006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537A/ko
Priority to US13/971,688 priority patent/US907193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팸토 셀을 적용한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이동국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정보, 제 1 셀 영역의 제 1 페이징그룹 식별자 및 제 2 셀 영역의 제 2 페이징그룹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이동국이 제 1 기지국과 위치갱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1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와 이동국이 제 1 셀 영역에서 제 2 셀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이동국이 제 1 타이머에 기반한 위치갱신을 소정의 기간 동안 지연하기 위한 제 2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와 제 2 셀 영역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 펨토 기지국, 매크로 기지국, 타이머

Description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aging Message}
본 발명은 팸토 셀을 적용한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펨토 셀 환경에서 유휴모드 이동국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팸토셀(Femto Cell)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팸토셀이란 초소형/저전력 가정/사무실용 옥내 기지국을 의미한다. 팸토셀은 피코셀(picocell)과도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조금 더 진화된 기능을 갖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팸토셀은 광대역 라우터에 연결하는 소형 셀룰러 기지국으로 기존의 2G 시스템은 물론 3G 시스템의 음성 및 데이터를 DSL 링크 등을 통해 이동통신사의 백본망으로 연결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팸토셀의 장점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 팸토셀이 3G 보급을 촉진시키고, 옥내 커버리지를 넓히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조사 보고서가 발표되어 주목을 끌고 있다. 2011년까지 전세계 팸토셀 단말 사용자가 1억 2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이며 기지국인 AP(Access Point)의 설치도 3,200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팸토셀은 셀 커버리지를 강화할 수 있고, 음성서비스의 품질(Quality)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사들은 팸토셀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들을 완전히 3G에 적응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상기 팸토셀은 팸토 기지국(FBS: Femto Base Station) 또는 팸토 BTS(Base Transceiver Station)로 불릴 수 있다.
정리하면 팸토셀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셀 커버리지 증가(Cell Coverage Improvement), 2. 인프라 구축 비용 감소(Infrastructure cost decrease), 3. 새로운 서비스 제공(New service Offering), 4. FMC (Fixed Mobile Convergence) 가속화.
하나 이상의 팸토셀은 특정 서비스별 또는 지역별로 그룹핑되어 팸토셀 그룹(Femtocell Group)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에만 접속(Access)이 허락된 팸토셀 그룹을 폐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이라 부를 수 있다. 팸토 기지국(FBS)은 단말의 CSG 식별자(CSG ID)를 확인하여 CSG에 가입한 단말에만 접속을 허락할 수 있다.
도 1은 중첩(overlay) 네트워크에서 펨토셀 배치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펨토셀(Femto cell) 기지국의 백본(Backbone) 망은 유선으로 연결된 ISP 망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ISP 망과의 연결 점에 펨토셀 게이트웨이(FGW: Femtocell GateWay)가 존재할 수 있다. FGW는 매크로 기지국(MBS: Macro Base Station)과의 통신을 연결해주는 접점역할을 할 수 있다.
FGW는 펨토셀 기지국(FBS: Femtocell Base Station)들과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ISP마다 통합된 서버개념으로 코어망(Core Network)과 ISP 망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은 FGW의 위치에 관계없이 CNS GW, ASN GW를 통해 매크로 BS와의 통신을 보장해줄 수도 있다. 중첩 네트워크에서는 MBS가 FBS들에 대한 일부 또는 모든 정보들을 송수신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펨토셀 기지국 구성(Femtocell BS Configuration)이 끝나고 나면, MBS는 FBS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정보들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MBS는 FBS와 직접 무선 인터페이스(i.e. Air-Interfac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의 홈 펨토 기지국(Home Femto BS) 및 폐가입자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 팸토 기지국을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을 중첩 매크로 기지국(Overlay Macro BS) 또는 오버레이 매크로 기지국으로 부를 수 있다.
도 2는 비중첩(Non-overlay) 네트워크에서 팸토셀 배치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중첩(Non-overlay) 구조에서 MBS들의 인접한 경계부분에 사용자들이 일시적으로 많은 경우, 매크로 셀의 경계부분에 FBS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MBS는 FBS들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FGW는 중첩 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MBS와의 통신을 연결해주는 접점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단말의 유휴모드 및 페이징 그룹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유휴모드(Idle Mode)는 일반적으로 단말이 다중 기지국으로 구성된 무선링크 환경을 이동시, 특정 기지국에 등록하지 않더라도 하향링크(DL: Down Link)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전송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동작을 말한다.
단말은 일정 시간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트래픽(traffic)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전력을 절약(Power saving)하기 위해 유휴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유휴모드로 천이한 단말은 평균적 기간(Available interval) 동안 기지국이 전송하는 방송 메시지(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여 일반모드(normal mode)로 천이할지 또는 유휴모드로 남아 있을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은 위치갱신을 수행함으로써, 페이징 제어기(Paging controller)에 자신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유휴모드는 핸드오버와 관련된 활성 요구 및 일반적인 운영 요구들을 제거함으로써 단말에 혜택을 줄 수 있다. 유휴모드는 단말 활동을 이산 주기에서 스캐닝하도록 제한함으로써, 단말이 사용하는 전력 및 운용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휴모드는 단말에 팬딩(pending) 중인 하향링크 트래픽에 대해 알릴 수 있는 간단하고 적절한 방식을 제공하고, 비활동적인 단말로부터 무선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핸드오버(HO: Hand Over) 트래픽을 제거함으로써 네트워크 및 기지국에 혜택을 줄 수 있다.
페이징이란 이동통신에서 착신호 발생시 해당하는 이동단말(MS: Mobile Station)의 위치(예를 들어, 어느 기지국 또는 어느 교환국 등)를 파악하는 기능을 말한다. 유휴모드(Idle Mode)를 지원하는 다수의 기지국(BS: Base Station)들은 특정 페이징 그룹(Paging Group)에 소속되어 페이징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그룹은 논리적인 그룹을 나타낸다. 페이징 그룹의 목적은 이동단말(MS)을 타겟(target)으로 하는 트래픽이 있다면, 하향링크(DL: Down Link)로 페이지(page)될 수 있는 인접범위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페이징 그룹은 특정 단말이 동일 페이징 그룹 내에서 대부분의 시간 동안 존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페이징 부하가 적정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히 작아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이징 그룹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기지국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페이징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페이징 그룹은 관리 시스템에서 정의한다. 페이징 그룹에서는 페이징 그룹-실행(action) 백본망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제어기는 백본망 메시지 중 하나인 페이징 공지(paging-announce) 메시지를 이용하여 유휴모드인 단말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페이징 그룹에 속하는 모든 기지국의 초기 페이징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팸토셀 환경을 고려하는 경우에 적용될 있다. 이동국이 매크로 셀에서 펨토 셀로 이동하거나, 자신의 홈 펨토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이동국은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이 펨토셀 영역을 벗어나는 시간이 적은 경우에도 계속하여 위치갱신을 수행한다면, 이동국은 과도한 위치갱신 오버헤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은 펨토셀 환경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매크로 기지국(MBS) 및/또는 펨토 기지국(FBS)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동국이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e.g. 펨토 셀 영역)에서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보다 페이징 오버헤드가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이동국이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펨토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진입할 때마다 위치갱신을 수행해야한다. 따라서, 위치갱신 오버헤드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펨토셀 환경에서 효율적인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도한 위치갱신 오버헤드 없이 유휴모드 이동국이 위치갱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휴모드에서 이동국이 수행하는 위치갱신의 오버헤드를 줄임과 동시에 페이징 메시지의 오버헤드 또한 줄이기 위한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팸토 셀을 적용한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해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펨토 셀 환경에서 유휴모드 이동국의 다양한 통신 방법에 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팸토셀 환경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정보, 제 1 셀 영역의 제 1 페이징그룹 식별자 및 제 2 셀 영역의 제 2 페이징그룹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이동국이 제 1 기지국과 위치갱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1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와 이동국이 제 1 셀 영역에서 제 2 셀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이동국이 제 1 타이머에 기반한 위치갱신을 소정의 기간 동안 지연하기 위한 제 2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와 제 2 셀 영역에서 페이징 메시지 (예를 들어,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제 2 타이머가 만료하면, 이동국은 제 2 셀 영역에서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페이징 메시지는 제 2 기지국에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이동국은 제 2 셀 영역에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제 2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 제 1 타이머가 만료하면, 제 2 셀 영역에서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제 1 셀 영역은 매크로셀 영역이고, 제 1 페이징 그룹 식별자는 매크로 페이징 그룹 식별자이고, 제 2 셀 영역은 팸토셀 영역이고, 제 2 페이징 그룹 식별자는 팸토 페이징 그룹 식별자일 수 있다. 또는, 제 1 셀 영역은 팸토셀 영역이고, 제 1 페이징 그룹 식별자는 팸토 페이징 그룹 식별자이고, 제 2 셀 영역은 매크로셀 영역이고, 제 2 페이징 그룹 식별자는 매크로 페이징 그룹 식별자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제 1 페이징 그룹 식별자 및 제 2 페이징 그룹 식별자는 상호 상관관계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팸토셀 환경에서 제 1 기지국에서 제 1 셀 영역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이동국으로부터 등록해제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이동국으로 페이징 정보, 제 1 셀 영역의 제 1 페이징그룹 식별자 및 제 2 셀 영역의 제 2 페이징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이동국으로 페이징 메시지(e.g.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이 제 1 셀 영역에서 제 2 셀 영역으로 이동하면, 이동국은 위치갱신을 소정의 기간 동안 지연하기 위한 제 1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제 1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 1 기지국은 페이징 메시지를 소정의 횟수만큼 반복하여 방송 또는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1 기지국이 소정의 횟수만큼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이동국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 1 기지국은 페이징 제어기로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실패를 알리는 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페이징 제어기는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페이징 제어기는 제 2 셀 영역에 속한 제 2 기지국으로 페이징 메시지의 존재를 나타내는 페이징 알림 메시지(Paging Announcement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제 1 셀 영역은 매크로셀 영역이고, 제 1 페이징 그룹 식별자는 매크로 페이징 그룹 식별자이고, 제 2 셀 영역은 팸토셀 영역이고, 제 2 페이징 그룹 식별자는 팸토 페이징 그룹 식별자일 수 있다. 또는, 제 1 셀 영역은 팸토셀 영역이고, 제 1 페이징 그룹 식별자는 팸토 페이징 그룹 식별자이고, 제 2 셀 영역은 매크로셀 영역이며, 제 2 페이징 그룹 식별자는 매크로 페이징 그룹 식별자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제 1 페이징 그룹 식별자 및 제 2 페이징 그룹 식별자는 상호 상관관계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함으로써, 이동국 및 기지국은 펨토셀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위치갱신 오버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팸토 셀을 적용한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해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펨토 셀 환경에서 유휴모드 이동국의 다양한 통신 방법들을 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이동국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동국(MS: Mobile Station)'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또는 단말(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이동국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이동국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서 이동국으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폰, WCDMA(Wideband CDMA) 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 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은 개인 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PC, 스마트(Smart) 폰, 멀티모드 멀티밴드(MM-MB: Multi Mode-Multi Band)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폰이란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의 장점을 혼합한 단말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개인 휴대 단말기의 기능인 일정 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한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멀티모드 멀티밴드 단말기란 멀티 모뎀칩을 내장하여 휴대 인터넷시스템 및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시스템, WCDMA(Wideband CDMA) 시스템 등)에서 모두 작동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802.16 시스템의 표준 문서인 P802.16-2004, P802.16e-2005 및 P802.16Rev2 문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무선접속 시스템 중 하나인 IEEE 802.16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휴모드(IDLE MODE)에서 페이징은 페이징 그룹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은 하나 혹은 다수개의 페이징 그룹에 속할 수 있다. 각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제어기(PC: Paging Controller)는 호(Call)나 외부 망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패킷(User Packet)이 들어올 경우, 이동국을 찾는 페이징을 수행한다. 이때, 페이징 제어기는 페이징 그룹 내의 모든 기지국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각 기지국은 이동국으로 페이징 광고(MOB_PAG-ADV)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 하는 방식으로 페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국은 정상모드(Normal mode)에서 유휴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으로 등록해제요청(MOB_DRE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301).
등록해제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빙 기지국은 페이징 제어기와 이동국 정보 및 서빙 기지국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서빙 기지국은 유휴모드에 진입하는 이동국 식별자 및 서빙 기지국 식별자를 페이징 제어기에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제어기는 페이징 그룹 식별자(Paging Group ID) 또는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알려줄 수 있다. 페이징 그룹 식별자 또는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Paging Controller ID)는 페이징 메시지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S302).
서빙 기지국은 등록해제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등록해제명령(MOB_DREG-CMD) 메시지를 이동국에 전송할 수 있다.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는 페이징 정보(Paging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정보에는 페이징 주기(Paging Cycle), 페이징 오프셋(Paging Offset) 및 페이징 청취 구간(Paging Listen Interval) 등의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는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PC ID) 및 페이징 그룹 식별자(PG ID: Paging Group 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S303).
MOB_DREG-CMD 메시지를 확인한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진입한다. 이동국은 MOB_DREG-CMD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페이징 정보를 바탕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동국은 페이징 청취구간 동안 자신에 전달되는 페이징 메시지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무선 채널(Channel)을 모니터할 수 있다. 그 이외의 나머지 시간 동안 이동국은 수면모드(Sleep mode or Radio Turn off)로 동작하여 배터리(Power) 소모를 줄일 수 있다(S304).
페이징 제어기에 호 또는 외부 패킷이 들어올 수 있다(S305).
페이징 제어기는 호 또는 외부 패킷을 수신한 경우 페이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제어기는 페이징 그룹 내의 모든 기지국으로 페이징 알림 메시지(Paging Announcement message)를 전달한다(S306).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페이징 그룹 내의 모든 기지국은 자신이 관리하는 모든 이동국으로 MOB_PAG-ADV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S307).
이동국은 MOB_PAG-ADV 메시지를 확인하고, 페이징 제어기가 자신을 페이징 하였을 경우 정상 모드로 진입해 서빙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308, S309).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유휴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이동국(MS)은 펨토셀에서 유휴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펨토 기지국(FBS)으로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해제요청(DREQ-REQ)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10).
FBS는 MS, FBS 및 매크로 기지국(MBS: Macro BS)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페이징 제어기(PC: Paging Controller)와 교환할 수 있다(S430).
MS가 중첩 팸토셀 환경에서 유휴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FBS는 펨토 기지국이 속한 CSG 기반의 페이징 식별자(F_PGID)를 MS에 할당할 수 있다. 이때, 동일 한 CSG 그룹에 포함된 팸토 기지국들은 동일한 F_PGID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FBS는 FBS가 속한 매크로 셀의 페이징 그룹 식별자(M_PGID)를 함께 MS에 전송함으로써, F_PGID와 M_PGID 간의 상관관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FBS는 등록해제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F_PGID 및 M_PGID를 포함하는 등록해제명령(DREG-CMD) 메시지를 MS에 전송할 수 있다(S450).
다음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등록해제명령 메시지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Syntax Size Note
MOB_DREG-CMD_Message_format(){ - -
~ - -
Paging Information variable TLV type
F_PG ID variable Femto BS Paging Group ID
M_PG ID variable Overlay Macro BS Paging Group ID
CSG ID variable optional
~ - -
}//End of MOB_DREG-CMD - -
표 1을 참조하면, 등록해제명령 메시지에는 FBS 및/또는 MBS의 페이징 정보(Paging Information), 매크로 기지국이 속해 있는 페이징 그룹의 식별자(M_PGID: Macro BS Paging Group ID), 펨토 기지국이 속해 있는 CSG 기반의 페이징 그룹 식별자(F_PGID: Femto BS Paging Group ID) 및 이동국이 가입한 CSG 식별자(CGS ID)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정보에는 페이징 주기(Paging Cycle), 페이징 오프셋(Paging Offset), 페이징 청취 구간(Paging Listening Interval), 페이징 그룹 식별자(Paging Group ID) 및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Paging Controller 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팸토 기지국(FBS)으로부터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470).
유휴모드 이동국은 시간 기반의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동국은 유휴모드에 진입하면서 소정의 타이머를 설정하고,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하면 팸토 기지국과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와 유사하다. 다만, 이동국(MS)이 매크로 기지국(MBS)에 있을때 유휴모드에 진입하는 점에서 도 4(a)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MS는 MBS로 DREG-REQ 메시지를 전송하고(S320), MBS는 페이징 제어기(PC)와 MS 및 MBS 및/또는 FBS 정보를 교환하며(S340), MBS는 MS에 페이징 정보, M_PGID 및 F_PG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DREG-CMD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60).
다음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DREG-CMD 메시지 포맷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Syntax Size Note
MOB_DREG-CMD_Message_format(){ - -
~ - -
Paging Information variable TLV type
M_PG ID variable Overlay Macro BS Paging Group ID
The number of CSG Femto BS variable
For(i=0; i<The number of CSG Femto BS;i++){ optional
F_PG ID variable -
} - -
~
}//End of MOB_DREG-CMD
표 2에서 나타내는 DREG-CMD 메시지는 매크로 기지국(MBS)으로부터 전송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2를 참조하면, DREG-CMD 메시지는 페이징 정보 필드, M_PGID, 팸토 기지국의 개수 및 각 팸토 기지국의 페이징 식별자(F_PGID)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M_PGID 및 F_PGID 간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은 이동국이 서로 다른 페이징 그룹 식별자를 갖는 영역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소정의 조건이 만족하는 한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위치 갱신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유휴모드 상태에 있는 이동국은 다양한 시발 조건에 의하여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국은 시간에 기반한 위치갱신(Timer based location update), 페이징 그룹 위치갱신(Paging group location update), 전력다운 위치갱신(Power down location update) 및 MAC 해쉬 스킵 임계치 갱신(MAC hash skip threshold update) 등의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MS), 매크로 기지국(MBS) 및 펨토 기지국(FBS)들 중 하나가 가지고 있는 위치갱신 타이머가 만료되면, 이동국은 시간에 기반한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은 자신의 페이징 그룹이 변경되었을 경우 페이징 그룹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은 전원을 오프(off)하기 전에 전력다운갱신(Power Down Update)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정의되는 펨토 기지국을 변경하는 경우에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펨토 기지국을 포함하는 펨토 페이징 그룹(FPG: Femto Paging Group)을 변경하는 경우에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휴모드 상태의 이동국은 매크로 기지국에서 펨토 기지국으로 이동하거나, 펨토 기지국에서 매크로 기지국으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펨토셀 영역을 벗어난 경우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위치갱신을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동국이 매크로 기지국(MBS)의 매크로 셀 영역(Macro Cell region)에서 유휴모드에 진입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도 5(a)는 유휴모드 이동국(MS)이 매크로 셀 영역에서 홈 팸토 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팸토 기지국의 CSG 기반의 F_PGID는 PGID 1이고, 매크로 기지국의 M_PGID는 PGID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PGID 1 및 PGID 0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국은 매크로 셀 내의 B 위치(Position B)에서 팸토 셀 내의 A 위치(Position A)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은 페이징 그룹 식별자가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였으므로 위치갱신을 수행해야한다. 그러나, 이동국이 도 4에서 설명한 상관관계가 있는 페이징 그룹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이동국은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고 위치갱신지연타이머(P 타이머)를 설정함으로써 과도한 위치갱신절차의 수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동국은 유휴모드에 진입할 때 위치갱신 타이머(T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이동국이 B 위치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A 위치로 이동한 경우 이동국은 P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만약, A 위치에서 이동국의 P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에는, 이동국은 팸토 기지국(FBS)과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 이동국이 위치갱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타이머들(T 타이머 및 P 타이머)이 모두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이 P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PGID 0이 아닌 다른 페이징 영역(예를 들어, PGID 2 또는 PGID 3 등)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페이징 그룹 변경에 따른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서 P 타이머가 설정되어 동작되는 시점부터 P 타이머가 만료되기까지의 구간 동안 이동국에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이동국이 페이징 메시지를 신뢰성 있게 수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펨토셀 환경에서 이동국에 페이징 메시지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이동국은 매크로 기지국(MBS)에서 유휴모드로 진입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이동국은 MBS로부터 페이징 정보, M_PGID 및 F_PGID를 포함하는 등록해제명령(DREG-CMD)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601).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진입한 후에 위치갱신타이머(예를 들어, T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S602).
또한, 이동국은 유휴모드 상태에서 셀 영역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MBS 셀 영역에서 FBS 셀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은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고, P 타이머를 설정하여 과도한 위치갱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S603).
유휴모드 이동국으로 향하는 트래픽이나 콜이 발생한 경우, 페이징 제어기(PC: Paging Controller)는 페이징 메시지를 매크로 기지국 또는 팸토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PC는 우선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진입한 MBS로 페이징 알림(Paging Announcemen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4).
MBS는 PC로부터 페이징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동국으로 페이징 광고(PAG-ADV)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은 FBS 셀 영역에서 MBS가 방송한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605).
이동국이 펨토셀 영역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P 타이머가 만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국은 FBS와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S606).
이때, FBS는 이동국 정보 및 FBS 정보를 PC와 공유할 수 있다(S607).
또한, PC는 이동국에 향하는 트래픽 또는 콜(call)이 발생한 경우, MBS가 아닌 FBS로 페이징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8).
FBS는 PC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의 FBS 셀 영역으로 페이징 광고(PAG-ADV) 메시지를 방송하거나, 특정 이동국에 유니캐스트 형식으로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9).
다만, 도 6과 같이, 이동국이 펨토 셀 영역에서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펨토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보다 페이징 오버헤드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은 펨토 기지국으로 이동하였으므로 이동국은 MBS가 방송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펨토셀 환경에서 이동국에 페이징 메시지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S701 단계 내지 S704 단계는 도 6의 S601 단계 내지 S604 단계와 유사하다. 따라서, S701 단계 내지 S704 단계의 설명은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MBS는 자신의 셀 영역으로 페이징 광고(PAG-ADV)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으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MBS는 페이징 광고(PAG-ADV) 메시지를 소정 횟수(예를 들어, N회)만큼 반복하여 방송할 수 있다(S705).
MBS가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N회 방송한 후에도 이동국으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MBS는 페이징 제어기(PC)로 이러한 사실을 보고하기 위한 보고 메시지(report message) 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보고 메시지에는 MBS와 관련된 정보, 이동국과 관련된 정보, MBS에 속한 FBS에 관한 정보 및 페이징 횟수에 관련된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S706).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페이징 제어기는 MBS 및 FBS 중 하나 이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도 7에서는 MBS의 셀 영역에서 페이징에 실패하였으므로, PC는 FBS에 페이징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709).
FBS는 PC로부터 페이징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므로, 자신의 셀 영역으로 페이징 광고 메시지(PAG-ADV)를 방송 또는 유니캐스트 형식으로 특정 이동국에 전송할 수 있다(S710).
다만, 선택적으로 PC는 FBS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MBS에도 페이징 알림 메시지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S707).
이러한 경우, MBS는 PC로부터 페이징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므로, 이동국에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S709).
도 7에서 설명한 방법과 달리, S705 단계에서 MBS는 N회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도 이동국으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 해당 이동국과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위치갱신을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이동국이 팸토 셀 영역에서 유휴모드에 진입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도 8(a)는 유휴모드 이동국(MS)이 홈 팸토 셀 영역에서 매크로 셀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팸토 기지국의 CSG 기반의 F_PGID는 PGID 1이고, 매크로 기지국의 M_PGID는 PGID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PGID 1 및 PGID 0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국은 팸토 셀 내의 A 위치(Position A)에서 매크로 셀 내의 B 위치(Position B)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은 페이징 그룹 식별자가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였으므로 위치갱신을 수행해야한다. 그러나, 이동국이 도 4에서 설명한 상관관계가 있는 페이징 그룹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이동국은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고 위치갱신지연타이머(P 타이머)를 설정함으로써 과도한 위치갱신절차의 수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이동국은 유휴모드에 진입할 때 위치갱신 타이머(T 타이머)를 설정한다. 이후, 이동국이 A 위치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B 위치로 이동한 경우 이동국은 P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만약, B 위치에서 이동국의 P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에는, 이동국은 매크로 기지국(MBS)과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서 이동국이 위치갱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타이머들(T 타이머 및 P 타이머)이 모두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이 P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PGID 1이 아닌 다른 페이징 영역(예를 들어, PGID 2 또는 PGID 3 등)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페이징 그룹 변경에 따른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펨토셀 환경에서 이동국에 페이징 메시지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펨토셀 환경에서 이동국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서 이동국은 팸토 기지국(FBS)에서 유휴모드로 진입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이동국은 FBS로부터 M_PGID, F_PGID 및 페이징 정보(Paging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등록해제명령(DREG-CMD)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901).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진입한 후에 위치갱신타이머(예를 들어, T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S902).
또한, 이동국은 유휴모드 상태에서 셀 영역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FBS 셀 영역에서 MBS 셀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은 상관관계가 있는 셀 영역 간에 이동하는 경우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고, P 타이머를 설정하여 과도한 위치갱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S903).
유휴모드 이동국으로 향하는 트래픽이나 콜이 발생한 경우, 페이징 제어기(PC: Paging Controller)는 페이징 메시지를 매크로 기지국 또는 팸토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PC는 우선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진입한 FBS로 페이징 알림 메시지(e.g. Paging Announcement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다(S904).
FBS는 자신의 셀 영역으로 페이징 광고(PAG-ADV)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으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FBS는 페이징 광고(PAG-ADV) 메시지를 소정 횟수(예를 들어, N회)만큼 반복하여 펨토 셀 영역으로 방송할 수 있다(S905).
이동국은 S901 단계에서 등록해제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페이징 정보를 기반으로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모니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국은 FBS에서 방송 또는 전송된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FBS가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N회 방송한 이후에도 이동국으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FBS는 페이징 제어기(PC)로 이러한 사실을 보고하기 위한 보고 메시지(report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보고 메시지에는 FBS와 관련된 정보, 이동국과 관련된 정보, FBS가 속한 MBS에 관한 정보 및 페이징 횟수에 관련된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S906).
FBS로부터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페이징 제어기는 MBS 및 FBS 중 하나 이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FBS의 셀 영역에서 페이징에 실패하였으므로, MBS에 페이징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907).
MBS는 PC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므로, 자신의 셀 영역으로 페이징 광고 메시지(PAG-ADV)를 방송 또는 유니캐스트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S908).
이동국은 MBS의 셀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FBS의 하향링크 동기 정보가 잡히지 않는 경우, MBS와 하향링크 동기를 맞출 수 있다. MBS와 하향링크 동기를 맞춘 이동국은 MBS로부터 할당받은 페이징 정보를 이용하여 MBS가 전송한 PAG-ADV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동국이 MBS 영역에서도 FBS와 동기를 맞추고 있는 경우에는, 이동국은 FBS로부터 할당받은 페이징 정보를 이용하여 MBS 영역에서 FBS로부터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9에서 PC는 MBS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면서 선택적으로 FBS에도 페이징 알림 메시지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S909).
이러한 경우, FBS는 PC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므로, 이동국에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S910).
만약, 도 9에서 P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에는, 이동국은 MBS와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국은 MBS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9에서 설명한 방법과 달리, S905 단계에서 FBS는 N회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도 이동국으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MBS는 이동국과의 연결을 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펨토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의 페이징 주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수퍼프레임은 20ms의 주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수퍼프레임은 4 개의 프레임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0에서는 3개의 프레임이 페이징 가능 구간(Available Interval) 또는 페이징 청취구간(Paging Listening Interval)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6개의 수퍼프레임이 하나의 펨토 기지국 페이징 주기(Femto BS Paging Cycle) 및 매크로 기지국 페이징 주기(Macro BS Paging Cycle)로 설정될 수 있다. 펨토 기지국의 셀영역 또는 매크로 기지국의 셀 영역에 있는 이동국들은 각각의 셀 영역의 페이징 가능 구간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될 수 있는 이동국 및 기지국(FBS, MBS)을 설명한다.
이동국은 상향링크에서는 송신기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수신기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향링크에서는 수신기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송신기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이동국 및 기지국은 정보 또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 및 수신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서, 모듈, 부분 및/또는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송신기 및 수신기는 메시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모듈(수단), 암호화된 메시지를 해석하기 위한 모듈,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이동국은 저전력 RF(Radio Frequency)/IF(Intermediate Frequenc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콘트롤러 기능, 서비스 특성 및 전파 환경에 따른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 가변 제어 기능, 핸드오버(Hand Over) 기능,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 변복조 기능, 고속 패킷 채널 코딩 기능 및 실시간 모뎀 제어 기능 등을 수행하는 수단, 모듈 또는 부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이동국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저전력 RF(Radio Frequency)/IF(Intermediate Frequenc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콘트롤러 기능,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패킷 스케줄링, 시분할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패킷 스케줄링 및 채널 다중화 기능, 서비스 특성 및 전파 환경에 따른 MAC 프레임 가변 제어 기능, 고속 트래픽 실시간 제어 기능, 핸드 오버(Hand Over) 기능,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 변복조 기능, 고속 패킷 채널 코딩 기능 및 실시간 모뎀 제어 기능 등을 수행하는 수단, 모듈 또는 부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들의 일례로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2 및/또는 IEEE 802.xx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뿐 아니라,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을 응용한 모든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중첩(overlay) 네트워크에서 펨토셀 배치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중첩(Non-overlay) 네트워크에서 팸토셀 배치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무선접속 시스템 중 하나인 IEEE 802.16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유휴모드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위치갱신을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펨토셀 환경에서 이동국에 페이징 메시지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펨토셀 환경에서 이동국에 페이징 메시지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위치갱신을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펨토셀 환경에서 이동국에 페이징 메시지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펨토 기지국 및 매크로 기 지국의 페이징 주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5)

  1. 단말이 유휴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 1 페이징 그룹 및 제 2 페이징 그룹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을 벗어나되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 내에 머무르는 경우,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 또는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 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 및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 내에 위치하지 않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 및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이라도 위치 갱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휴 모드 동작 수행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선호되는 기지국의 페이징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 및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에 관련된 정보가 상기 선호되는 기지국의 상기 페이징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 및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인, 유휴 모드 동작 수행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 내에 위치하는 동안에,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에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휴 모드 동작 수행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 및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주기(paging cycle), 페이징 오프셋(paging offset), 페이징 청취 구간(paging listening interval), 페이징 그룹 식별자(paging group ID) 및 페이징 컨트롤러 식별자(paging controller ID)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주기, 페이징 오프셋, 페이징 청취 구간, 페이징 그룹 식별자 및 페이징 컨트롤러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유휴 모드 동작 수행 방법.
  7. 삭제
  8. 삭제
  9. 유휴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외부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RF)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할당된 제 1 페이징 그룹 및 제 2 페이징 그룹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을 벗어나되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 내에 머무르는 경우,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 및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 또는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 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 및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 내에 위치하지 않는지 판단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 및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이라도 위치 갱신을 수행하는 것인, 단말.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선호되는 기지국의 페이징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선호되는 기지국의 페이징 그룹을 판단하는 것인, 단말.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 내에 위치하는 동안에,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에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인, 단말.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 및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 1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주기(paging cycle), 페이징 오프셋(paging offset), 페이징 청취 구간(paging listening interval), 페이징 그룹 식별자(paging group ID) 및 페이징 컨트롤러 식별자(paging controller ID)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 2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주기, 페이징 오프셋, 페이징 청취 구간, 페이징 그룹 식별자 및 페이징 컨트롤러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15. 삭제
KR1020090023140A 2008-12-15 2009-03-18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1456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540600A JP5155457B2 (ja) 2008-12-15 2009-12-03 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
PCT/KR2009/007195 WO2010071312A2 (ko) 2008-12-15 2009-12-03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CN200980155594.0A CN102318418B (zh) 2008-12-15 2009-12-03 用于发送和接收寻呼消息的方法
US13/139,421 US8532671B2 (en) 2008-12-15 2009-12-03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messages
US13/971,688 US9071930B2 (en) 2008-12-15 2013-08-20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aging mess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41208P 2008-12-15 2008-12-15
US61/122,412 2008-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537A KR20100069537A (ko) 2010-06-24
KR101456005B1 true KR101456005B1 (ko) 2014-11-03

Family

ID=4236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140A KR101456005B1 (ko) 2008-12-15 2009-03-18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0335A (ko) 2010-12-21 2012-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9192A1 (en) 2005-12-07 2007-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dle stat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update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9192A1 (en) 2005-12-07 2007-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dle stat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update device and method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 Park et al. IEEE 802.16m Hierarchical Paging Operation for efficient power management, IEEE C802.16 m-08/777 (2008.07.07) *
H. Heng et al. Paging in Femto, IEEE C802.16m-08/1266 (2008.10.3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537A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5457B2 (ja) 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
RU2718114C1 (ru)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US8483723B2 (en) Method of location upd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576479B2 (ja) 広帯域無線接続システムでのフェムト基地局の周辺基地局リスト管理方法
US8538495B2 (en) Method of low duty mode operation in a femto base station in consideration of a femto cell type
JP5389941B2 (ja) 睡眠周期同期化を通したフェムト基地局の電力節約方法
US8483709B2 (en) Location update method and mobile station using the same
JP5588508B2 (ja) フェムト基地局の低負荷モード動作方法
KR101165644B1 (ko) 펨토 기지국의 서비스 불가 모드 동작 방법
KR101599855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컨텐트 보존 등록해제 모드 동작 방법
US20110244792A1 (en) Method for saving power of a femto base station using sleep period synchronization
JP2012529839A5 (ko)
JP2011524109A (ja) 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ページング方法
KR20100083088A (ko)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20110023743A (ko) 펨토셀 기지국에서 로우-듀티 모드 운용 방법
KR101456005B1 (ko)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1594392B1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페이징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80346A (ko)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및 지원방법
KR20100048834A (ko) 팸토 기지국의 전력 절약 방법
JP520551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更新方法
KR10166399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성 관리 방법
KR20100041643A (ko) 위치갱신 수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