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346A -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및 지원방법 - Google Patents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및 지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346A
KR20100080346A KR1020090107578A KR20090107578A KR20100080346A KR 20100080346 A KR20100080346 A KR 20100080346A KR 1020090107578 A KR1020090107578 A KR 1020090107578A KR 20090107578 A KR20090107578 A KR 20090107578A KR 20100080346 A KR20100080346 A KR 20100080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base station
message
idle mode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원
공태곤
김용호
류기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980150421.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246570B/zh
Priority to JP2011538570A priority patent/JP5205518B2/ja
Priority to PCT/KR2009/007504 priority patent/WO2010071345A2/en
Priority to US13/139,916 priority patent/US8483723B2/en
Publication of KR20100080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6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using multi-step notification by changing the notification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동작을 지원 또는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제 1 실시예로서 이동단말이 유휴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은, 유휴모드의 진입을 요청하는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1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유휴모드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기지국과 위치갱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 2 기지국으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제 2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페이징 정보 및 제 2 페이징 정보 중 하나 이상은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휴모드, 페이징, 위치갱신, 타이머

Description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및 지원방법{Method for performing and supporting an idle mode operation}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이동단말의 동작과 관련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이동단말의 유휴모드 및 유휴모드에서 사용되는 페이징 그룹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유휴모드(idle mode)는 일반적으로 이동단말이 다중 기지국으로 구성된 무선링크 환경을 이동시, 특정 기지국에 등록하지 않더라도 하향링크(DL: DownLink)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전송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동작을 말한다.
유휴모드는 핸드오버와 관련된 활성 요구 및 일반적인 운영 요구들을 제거함으로써 이동단말에 혜택을 줄 수 있다. 유휴모드는 이동단말 활동을 이산 주기에서 스캐닝하도록 제한함으로써, 이동단말이 사용하는 전력 및 운용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휴모드는 이동단말에 팬딩(pending) 중인 하향링크 트래픽에 대해 알릴 수 있는 간단하고 적당한 방식을 제공하고, 비활동적인 단말로부터 무선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핸드오버(HO: Hand Over) 트래픽을 제거함으로써 네트워크 및 기지국에 혜택을 줄 수 있다.
도 1 은 다수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진 페이징 그룹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페이징이란 이동통신에서 착신호 발생시 해당하는 이동단말(MS: Mobile Station)의 위치(예를 들어, 어느 기지국 또는 어느 교환국 등)를 파악하는 기능을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휴모드(Idle Mode)를 지원하는 다수의 기지국(BS: Base Station)들이 페이징 그룹(Paging Group)에 소속되어 페이징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그룹은 논리적인 그룹을 나타낸다. 페이징 그룹의 목적은 이동단말(MS)을 타겟(target)으로 하는 트래픽이 있다면, 하향링크(DL: Down Link)로 페이지(page)될 수 있는 인접범위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페이징 그룹은 특정 단말이 동일 페이징 그룹 내에서 대부분의 시간 동안 존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고, 페이징 부하가 적정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히 작아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6각형 격자에 위치한 다중 기지국상에서 정의된 4개의 페이징 그룹을 나타낸다. 하나의 기지국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페이징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페이징 그룹은 관리 시스템에서 정의한다. 페이징 그룹에서는 페이징 그룹-실행(action) 백본망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제어기는 백본망 메시 지 중 하나인 페이징 공지(paging-announce) 메시지를 이용하여 유휴모드인 이동단말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페이징 그룹에 속하는 모든 기지국의 초기 페이징을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중첩(overlay) 네트워크에서 펨토셀 배치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펨토셀(Femto cell) 기지국의 백본(Backbone) 망은 유선으로 연결된 ISP 망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ISP 망과의 연결 점에 펨토셀 게이트웨이(FGW: Femtocell GateWay)가 존재할 수 있다. FGW는 매크로 기지국(MBS: Macro Base Station)과의 통신을 연결해주는 접점역할을 할 수 있다.
FGW는 펨토셀 기지국(FBS: Femtocell Base Station)들과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ISP마다 통합된 서버개념으로 코어망(Core Network)과 ISP 망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은 FGW의 위치에 관계없이 CNS GW, ASN GW를 통해 매크로 BS와의 통신을 보장해줄 수도 있다. 중첩 네트워크에서는 MBS가 FBS들에 대한 일부 또는 모든 정보들을 송수신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펨토셀 기지국 구성(Femtocell BS Configuration)이 끝나고 나면, MBS는 FBS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정보들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MBS는 FBS와 직접 무선 인터페이스(i.e. Air-Interfac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의 홈 펨토 기지국(Home Femto BS) 및 폐가입자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 팸토 기지국을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을 중첩 매크로 기지국(Overlay Macro BS) 또는 오버레이 매크로 기지국으로 부를 수 있다.
도 3은 비중첩(Non-overlay) 네트워크에서 팸토셀 배치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중첩(Non-overlay) 구조에서 MBS들의 인접한 경계부분에 사용자들이 일시적으로 많은 경우, 매크로 셀의 경계부분에 FBS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MBS는 FBS들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FGW는 중첩 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MBS와의 통신을 연결해주는 접점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폐가입자 홈 팸토 기지국(CSG Home Femto BSs)를 포함하는 오버레이 매크로셀 (Overlay Macrocell) 영역에서 유휴모드 상태의 이동단말의 동작과 관련된 것이다.
펨토셀 기지국은 초소형, 저전력 옥내 기지국을 의미한다. 펨토셀은 펨토셀 기지국에 의해 커버(cover)되는 영역으로서 피코셀(pico cell)과 유사한 개념이나, 펨토셀 기지국은 피코셀 기지국보다 기능이 더 진화된 기지국을 의미한다. 펨토셀 기지국은 브로드 밴드 라우터에 연결하는 소형 셀룰러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DSL(Digital Subscriber Line) 링크 등을 통해 이동통신사의 백본망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펨토셀은 1을 1000조로 나눈 수를 뜻하는 펨토(Femto)와 이동 통신 서비스 구역 단위를 뜻하는 셀(Cell)의 합성어로서, 펨토셀을 이용하면 유선과 무선을 효율적으로 병행해 통신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옥내 중계기를 통하지 않고 곧바로 기지국에서 교환기로 이동 통신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통신 사업자는 네트워크 구축 비용을 절감하면서 주파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펨토셀 기지국은 두 가지 타입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 타입은 폐가입자그룹 (CSG: Closed Subscriber Group) 펨토셀 기지국이고, 두 번째 타입은 개가입자그룹 (OSG: Open Subscriber Group) 펨토셀 기지국이다. OSG 펨토셀 기지국은 모든 이동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기지국이고, CSG 펨토셀 기지국은 자신에게 접근할 수 있는 이동단말들을 묶어 폐가입자그룹 식별자(CSG ID: CSG IDentification)를 부여하고, CSG ID를 부여받은 이동단말만 CSG 펨토셀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기지국이다.
CSG 기지국의 운용 모드에는 오픈접속모드(open access mode), 클로즈드접속모드(closed access mode) 및 하이브리드접속모드(hybrid access mode)가 있다.
오픈접속모드에 있는 펨토셀 기지국은 모든 사용자의 접속이 가능하고, 이동단말은 펨토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CSG ID와 이동단말의 사용자 CSG 리스트(User CSG list)를 비교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펨토셀 기지국으로 초기 진입(initial entry) 과정을 수행한다. 사용자 CSG 리스트는 이동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펨토셀의 CSG ID 리스트로서 이동단말이 관리할 수 있다.
클로즈드 접속 모드에 있는 펨토셀 기지국은 특정 사용자만 접속할 수 있고, 이동단말은 펨토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CSG ID와 이동단말의 사용자 CSG 리스트를 비교하여 수신한 CSG ID가 이동단말의 사용자 CSG 리스트에 있는 경우에만 펨토셀 기지국으로 초기 진입 과정을 수행한다.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는 오픈 접속 모드와 클로즈드 접속 모드로 모두 운용 가능한 모드이다.
하나의 매크로셀에는 매우 많은 개수의 팸토셀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유휴모드 이동단말이 펨토셀 기지국을 포함하는 매크로셀 기지국 영역을 이동하는 경우, 위치갱신(LU: Location Update)을 수행하는 횟수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동단말에 향하는 하향링크 데이터가 있으면, 매크로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기(PC: Paging Controller)는 모든 팸토 기지국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해야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페이징 방법을 펨토 기지국 환경에 적용시 네트워크에 부가되는 페이징 메시지의 오버헤드는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 및 기지국에 효율적인 유휴모드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휴모드 이동단말이 과도하게 수행하는 위치갱신의 횟수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페이징 메시지의 오버헤드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동작을 지원 또는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제 1 실시예로서 이동단말이 유휴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은, 유휴모드의 진입을 요청하는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1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유휴모드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기지국과 위치갱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 2 기지국으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제 2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페이징 정보 및 제 2 페이징 정보 중 하나 이상은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제 1 페이징 오프셋, 제 2 페이징 오프셋, 폐가입자그룹 팸토셀 페이징그룹식별자 및 매크로셀 페이징그룹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는 제 1 페이징 오프셋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페이징 오프셋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제 1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이고, 제 2 기지국은 폐가입자그룹 팸토 기지국일 수 있다. 물론, 제 1 기지국이 폐가입자그룹 팸토 기지국이거나 제 2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일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등록해제요청 메시지 및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는 이동단말이 페이징 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는 소정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예를 들어, P 타이머)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레인징 요청 메시지 및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이동단말이 페이징 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는 소정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예를 들어, P 타이머)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제 2 실시예로서 이동단말의 유휴모드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은, 제 1 기지국에서 이동단말로부터 유휴모드의 진입을 요청하는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1 기지국에서 이동단말로 제 1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유휴모드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 2 기지국에서 이동단말로부터 위치갱신을 수행하기 위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기지국에서 제 2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이동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페이징 정보 및 제 2 페이징 정보 중 하나 이상은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제 1 페이징 오프셋, 제 2 페이징 오프셋, 폐가입자그룹 팸토셀 페이징그룹식별자 및 매크로셀 페이징그룹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는 제 1 기지국에서 제 1 페이징 오프셋이 나타내는 시점에서 이동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기지국에서 제 2 페이징 오프셋이 나타내는 시점에서 이동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등록해제응답 메시지 및 레인징응답 메시지는, 이동단말이 페이징 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는 소정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제 1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이고, 제 2 기지국은 폐가입자그룹 팸토 기지국일 수 있다. 물론, 제 1 기지국이 폐가입자그룹 팸토 기지국이거나 제 2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제 3 실시예로서 유휴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단말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안테나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모듈, 안테나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유휴모드 동작과 관련된 정보 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전송모듈, 수신모듈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전송모듈 및 수신모듈을 제어하여, 유휴모드의 진입을 요청하는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1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유휴모드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2 기지국과 위치갱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 2 기지국으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제 2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페이징 정보 및 제 2 페이징 정보 중 하나 이상은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제 1 페 이징 오프셋, 제 2 페이징 오프셋, 폐가입자그룹 팸토셀 페이징그룹식별자 및 매크로셀 페이징그룹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이동단말의 프로세서는 제 1 페이징 오프셋 및 제 2 페이징 오프셋 중 하나 이상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할 수 있다.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제 1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이고, 제 2 기지국은 폐가입자그룹 팸토 기지국일 수 있다. 물론, 제 1 기지국이 폐가입자그룹 팸토 기지국이거나 제 2 기지국이 매크로 기지국일 수 있다.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등록해제요청 메시지 및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는, 이동단말이 페이징 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는 소정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예를 들어, P 타이머) 파라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동단말의 불필요한 위치갱신 수행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둘째, 기지국의 페이징 메시지 전송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 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출원단계에서 의도하지 않은 효과들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동작을 지원 또는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이동국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 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이동단말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발전된 기지국(ABS: Advanced Base Station) 또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이동국(MS: Mobile Station)'은 사용자 기기(UE: User Equipment), 가입자국(SS: Subscriber Station), 이동가입자국(MSS: Mobile Subscriber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발전된 이동단말(AMS: Advanced Mobile Station) 또는 단말(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이동국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이동국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 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802.16 시스템의 표준 문서인 P802.16e-2004, P802.16e-2005, P802.16Rev2 및 P802.16m 표준 문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즉, 각 도면의 단계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서로 조합되어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매크로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지국의 셀 영역을 커버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또한, 매크로 셀 영역은 하나 이상의 일반적인 기지국의 셀 영역을 커버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매크로 기지국은 하나 이상 다수개의 팸토셀 영역을 포함하는 논리적 기지국을 의미한다.
도 4는 무선접속 시스템 중 하나인 IEEE 802.16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휴모드(IDLE MODE)에서 페이징은 페이징 그룹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은 하나 혹은 다수개의 페이징 그룹에 속할 수 있다. 각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제어기(PC: Paging Controller)는 호(Call)나 외부 망으로부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사용자 패킷(User Packet)이 들어올 경우, 해당 이동단말을 찾는 페이징을 수행한다. 이때, 페이징 제어기는 페이징 그룹 내의 모든 기지국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각 기지국은 이동단말로 페이징 광고(MOB_PAG-ADV)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 하는 방식으로 페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단말은 정상모드(Normal mode)에서 유휴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서빙 기지국으로 등록해제요청(MOB_DREG-REQ) 메시지를 전송한다(S401).
등록해제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빙 기지국은 페이징 제어기와 이동단말의 정보 및 서빙 기지국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서빙 기지국은 유휴모드에 진입하는 이동단말 식별자(MS ID) 및 서빙 기지국 식별자(BS ID)를 페이징 제어기에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페이징 제어기는 페이징 그룹 식별자(Paging Group ID) 또는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알려줄 수 있다. 페이징 그룹 식별자 또는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는 페이징 메시지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S402).
서빙 기지국은 등록해제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등록해제명령(MOB_DREG-CMD) 메시지를 이동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는 페이징 정보(예를 들어, 페이징 주기(Paging Cycle), 페이징 오프셋(Paging Offset) 및 페이징 청취 구간(Paging Listen Interval))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는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PC ID) 및 페이징 그룹 식별자(PG ID: Paging Group 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S403).
MOB_DREG-CMD 메시지를 확인한 이동단말은 유휴모드로 진입한다. 이동단말은 MOB_DREG-CMD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페이징 정보를 바탕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동단말은 페이징 청취구간 동안 자신에 전달되는 페이징 메시지가 있는지 무선 채널(Channel)을 모니터할 수 있다. 그 이외의 나머지 시간 동안 이동단말은 수면모드(Sleep mode or Radio Turn off)로 동작하여 배터리(Power) 소모를 줄일 수 있다(S404).
페이징 제어기에 호 또는 외부 패킷이 들어올 수 있다(S405).
페이징 제어기는 호 또는 외부 패킷을 수신한 경우, 페이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제어기는 페이징 그룹 내의 모든 기지국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한다(S406).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페이징 그룹 내의 기지국들은 자신이 관리하는 이동단말들로 페이징 광고 메시지(MOB_PAG-ADV)를 브로드캐스트한다(S407).
이동단말은 MOB_PAG-ADV 메시지를 확인하고, 페이징 제어기가 자신을 페이징 하였을 경우 정상 모드로 진입해 서빙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408, S409).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은 위치 갱신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유휴모드 상태에 있는 이동단말은 다양한 시발 조건에 의하여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이동단말은 자신의 페이징 그룹이 변경되었을 경우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이동단말은 위치갱신 타이머(Location Update Timer)가 만료되었을 경우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력다운갱신(Power Down Update) 및 MAC 해쉬 스킵 임계치 갱신(MAC hash skip threshold update) 방법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이동단말은 페이징 그룹 식별자가 변경되는 경우에 (즉, 다른 페이징 그룹으로 이동하는 경우) 위치 갱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동단말은 매크로 기지국의 셀 영역에서 팸토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위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팸토 기지국의 셀 영역에서 매크로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위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페이징 그룹 식별자가 동일하더라도, 이동단말은 이동단말이 가입한 폐가입자그룹(CSG: Closed Subscription Group)을 지원하는 팸토 기지국이 있는 매크로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매크로 기지국과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두 단계(two step) 페이징을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이동단말(AMS)은 매크로 기지국(Macro BS)에서 유휴모드로 진입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현재 매크로 기지국은 이동단말이 가입한 폐가입자그룹(CSG)을 지원하는 CSG 팸토 기지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가정한다.
도 5에서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기는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이 CSG 팸토 기지국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페이징 제어기는 CSG 팸토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제어기는 CSG 팸토 기지국이 아닌 다른 팸토 기지국 및 CSG 팸토 기지국을 포함하지 않는 매크로 기지국에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네트워크에 부가되는 페이징 메시지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두 단계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동단말은 유휴모드 진입을 요청하기 위해 등록해제요청 메시지(DREG-REQ)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501).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주페이징오프셋유효 타이머(이하, P 타이머)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P 타이머는 이동단말이 매크로 기지국의 셀 영역(이하, 매크로셀 영역)에서 벗어나 팸토 기지국의 셀 영역(이하, 팸토셀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팸토셀 영역에서 벗어나 매크로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단말이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는 기설정된 시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P 타이머라는 용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타이머는 용어에 관계없이 모두 동일한 타이머를 나타낸다.
즉, 이동단말이 위치갱신을 수행해야하는 조건(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에서 CSG 팸토 기지국으로 이동)이 만족하더라도 P 타이머가 구동되고 있는 시간 동안에는 위치갱신을 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위치갱신에 따른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다.
S501 단계에서 이동단말이 P 타이머를 지원하면 P 타이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등록해제요청 메시지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P 타이머를 지원하지 않으면 이동단말은 P 타이머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등록해제요청 메시지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P 타이머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매크로 기지국은 P 타이머 파라미터 및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해제명령(DREG-CMD) 메시지를 이동단말에 전송한다(S502).
다음 표 1은 S502 단계에서 사용되는 등록해제명령 메시지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Syntax Size
(bit)
Notes
MOB_DREG-CMD_Message_format() { - -
~
P timer (Primary paging offset validity timer) 단말이 자신의 CSG femto cell 영역을 벗어났을 경우 동작시키고, 타이머가 완료되고 여전히 이동한 지역에 머물러 있을 경우 LU를 수행함.
If (P timer==0) {단말이 CGS 펨토 셀을 벗어나도 LU를 수행하지 않고 제 2 페이징 오프셋을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P timer 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Paging Information{
Macro BS PG ID
For (i=0; I < the number of MS's CSG home femtocell BS; i++)
{
MS CSG Femtocell BS PG ID
}
Paging Cycle
primary paging offset(femtocell paging offset) Small paging area (CSG Femto Cell area)에서 전송되는 paging message를 모니터하는 시점
secondary paging offset (macro paging offset) Large paging area (Overlay Macro Cell area)에서 전송되는 paging message를 모니터하는 시점
Paging listening interval Paging message 를 모니터 하는 시간
}
~
} //End of MOB_DREG-CMD
표 1을 참조하면, DREG-CMD 메시지에는 P 타이머 및 페이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정보에는 매크로 기지국의 페이징그룹식별자(Macro BS PGID), CSG 펨토셀 기지국의 페이징그룹식별자(CSG Femtocell BS PGID), 페이징 주기, 제 1 페이징 오프셋 (e.g. 펨토셀 페이징 오프셋), 제 2 페이징 오프셋 (e.g. 매크로셀 페이징 오프셋), 페이징 청취구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단말(AMS)은 매크로 기지국에서 자신이 가입한 CSG 서비스를 제공하는 CSG 팸토 기지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동단말은 팸토 기지국과 위치 갱신을 수행하기 위해 P 타이머를 포함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CSG 팸토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503).
다음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Syntax Size
(bit)
Notes
RNG-REQ_Message_format() { - -
~
P timer (Primary paging offset validity timer) If (P timer ==0) {이동단말이 Primary group 을 벗어나도 LU를 수행하지 않고, Secondary paging offset를 통해 paging message를 수신한다. 즉 P timer 를 optional 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
} //End of RNG-REQ
표 2를 참조하면, 이동단말은 P 타이머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이 자신의 CSG 팸토셀 영역을 벗어났을 경우 P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도 CSG 팸토셀 영역으로 돌아오지 않은 경우 위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P 타이머가 0으로 설정되면 이동단말은 팸토셀 영역을 벗어나도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고, 제 2 페이징 오프셋을 이용하여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CSG 팸토 기지국은 P 타이머 파라미터, 위치갱신의 결과를 나타내는 위치갱신 응답 파라미터, 이동단말에 할당된 새로운 페이징 정보,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 및 유휴모드에서 이동단말이 유지하는 임시 식별자(Temporary 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이동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504).
도 5에서 이동단말은 CSG 팸토셀 영역이 아닌 매크로셀 영역에서도 P 타이머를 이용할 수 있다. 만약, 이동단말이 P 타이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동단말이 매크로 기지국에서 CSG 팸토 기지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P 타이머 시간 동안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S503 단계 및 S504 단계는 수행되지 않는다. 즉, S503 단계 및 S504 단계는 P 타이머를 이용하지 않거나, P 타이머를 이용하더라도 이동단말이 팸토 기지국으로 이동한 후에 P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이동단말에 향하는 호(call)나 하향링크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페이징 제어기(PC)는 CSG 팸토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에 두 단계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505, S506).
예를 들어, 페이징 제어기는 CSG 팸토 기지국 및 CSG 팸토 기지국을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으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이동단말이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페이징 제어기는 이동단말이 위치 갱신을 수행한 CSG 팸토 기지국으로 먼저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매크로 기지국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제어기는 CSG 팸토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단말은 동일한 CSG 팸토셀 페이징그룹 식별자를 갖는 CSG 팸토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등록해제 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제 1 페이징 오프셋이 나타내는 시점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할 수 있다. 만약, 제 1 페이징 오프셋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이동단말은 제 2 페이징 오프셋이 나타내는 시간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할 수 있다.
도 5 및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P 타이머는 DREG-REQ/CMD 메시지들 또는 RNG-REQ/RSP 메시지들뿐만 아니라 수퍼프레임헤더(SFH: SuperFrameHeader) 또는 인근기지국 광고(NBR-ADV) 메시지를 통해 이동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두 단계(two step) 페이징을 수행하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기본 가정들 및 기본 조건들은 도 5과 동일하다. 다만, 도 6은 이동단말이 팸토 기지국에서 유휴모드에 진입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동단말은 유휴모드에 진입하기 위해 CSG 팸토 기지국으로 P 타이머를 포함하는 등록해제요청(DREG-REQ)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1).
CSG 팸토 기지국은 등록해제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P 타이머 및 페이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등록해제명령(DREG-CMD)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2).
다음 표 3은 S602 단계에서 사용되는 등록해제명령 메시지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Syntax Size
(bit)
Notes
MOB_DREG-CMD_Message_format() { - -
~
P timer (Primary paging offset validity timer) 단말이 자신의 CSG femto cell 영역을 벗어났을 경우 동작시키고, 타이머가 완료되고 여전히 이동한 지역에 머물러 있을 경우 LU를 수행함.
If (P timer==0) {단말이 CGS 펨토 셀을 벗어나도 LU를 수행하지 않고 제 2 페이징 오프셋을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P timer 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Paging Information{
Macro BS PGID
CSG Femtocell BS PGID
Paging Cycle
primary paging offset(femtocell paging offset) Small paging area (CSG Femto Cell area)에서 전송되는 paging message를 모니터하는 시점
secondary paging offset (macro paging offset) Large paging area (Overlay Macro Cell area)에서 전송되는 paging message를 모니터하는 시점
Paging listening interval Paging message 를 모니터 하는 시간
}
~
} //End of MOB_DREG-CMD
표 3을 참조하면, DREG-CMD 메시지에는 P 타이머 파라미터 및 페이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정보에는 매크로 기지국의 페이징그룹식별자(Macro BS PGID), CSG 펨토셀 기지국의 페이징그룹식별자(CSG Femtocell BS PGID), 페이징 주기, 제 1 페이징 오프셋 (e.g. 펨토셀 페이징 오프셋), 제 2 페이징 오프셋 (e.g. 매크로셀 페이징 오프셋), 페이징 청취구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단말은 유휴모드 상태에서 페이징 영역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이 CSG 팸토셀 영역에서 유휴모드에 진입한 후에, CSG 팸토셀 영역을 벗어나 매크로셀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동단말은 매크로 기지국과 위치 갱신(LU)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 이동단말이 P 타이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동단말이 매크로 기지국으로 이동한 후에도 P 타이머 시간 동안은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만, P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도 이동단말이 계속 매크로 셀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매크로 기지국과 위치갱신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이동단말은 위치갱신을 수행하기 위해 P 타이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매크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603).
이에 대한 응답으로, CSG 팸토 기지국은 P 타이머 파라미터, 위치갱신의 결과를 나타내는 위치갱신 응답 파라미터, 이동단말에 할당된 새로운 페이징 정보,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 및 유휴모드에서 이동단말이 유지하는 임시 식별자(Temporary 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이동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604).
이동단말에 향하는 호(call)나 하향링크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페이징 제어기(PC)는 CSG 팸토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에 두 단계(도 5 참조)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05, S606).
만약, 표 3에서 P 타이머가 0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이동단말은 매크로 기지국으로 이동한 후에도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고 제 2 페이징 오프셋이 나타내는 시점에서 CSG 팸토셀 기지국과 위치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S403 단계 및 S404 단계는 수행되지 않는다.
이동단말은 동일한 매크로셀 페이징그룹 식별자를 갖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등록해제 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제 2 페이징 오프셋이 나타내는 시점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할 수 있다. 다만, 이동단말은 CSG 팸토셀 근처에서는 제 1 페이징 오프셋에서 CSG 팸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단말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유휴모드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매크로 기지국 또는 CSG 팸토 기지국으로부터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해 제 1 페이징 오프셋, 제 2 페이징 오프셋, CSG 팸토셀 페이징 식별자 및 매크로셀 페이징 식별자를 할당받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단말이 위치갱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할당받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이동단말은 위치갱신을 수행할 때 수신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 표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 포맷의 일례로서 매크로 기지국이 전송하는 경우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나타낸다.
Syntax Size
(bit)
Notes
MOB_RNG-RSP_Message_format() { - -
~
P timer (Primary paging offset validity timer) 단말이 자신의 CSG femto cell 영역을 벗어났을 경우 동작시키고, 타이머가 완료되고 여전히 이동한 지역에 머물러 있을 경우 LU를 수행함.
If (P timer==0) {단말이 CGS 펨토 셀을 벗어나도 LU를 수행하지 않고 제 2 페이징 오프셋을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P timer 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Paging Information{
Macro BS PGID
For (i=0; I < the number of MS's CSG home femtocell BS; i++)
{
MS CSG Femtocell BS PGID
}
Paging Cycle
primary paging offset(Femtocell paging offset) Small paging area (CSG Femto Cell area)에서 전송되는 paging message를 모니터하는 시점
secondary paging offset (Macrocell paging offset) Large paging area (Overlay Macro Cell area)에서 전송되는 paging message를 모니터하는 시점
Paging listening interval Paging message 를 모니터 하는 시간
}
~
} //End of MOB_RNG-RSP
표 4를 참조하면, RNG-RSP 메시지에는 P 타이머 파라미터, 위치갱신의 결과를 나타내는 위치갱신 응답 파라미터, 이동단말에 할당된 새로운 페이징 정보,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 및 유휴모드에서 이동단말이 유지하는 임시 식별자(Temporary ID)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페이징 정보에는 매크로 기지국의 페이징그룹식별자(Macro BS PGID), CSG 펨토셀 기지국의 페이징그룹식별자(CSG Femtocell BS PGID), 페이징 주기, 제 1 페이징 오프셋 (e.g. 펨토셀 페이징 오프셋), 제 2 페이징 오프셋 (e.g. 매크로셀 페이징 오프셋), 페이징 청취구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 표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 포맷의 일례로서 매크로 기지국이 전송하는 경우의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나타낸다.
Syntax Size
(bit)
Notes
MOB_RNG-RSP_Message_format() { - -
~
P timer (Primary paging offset validity timer) 단말이 자신의 CSG femto cell 영역을 벗어났을 경우 동작시키고, 타이머가 완료되고 여전히 이동한 지역에 머물러 있을 경우 LU를 수행함.
If (P timer==0) {단말이 CGS 펨토 셀을 벗어나도 LU를 수행하지 않고 제 2 페이징 오프셋을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즉 P timer 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Paging Information{
Macro BS PGID
CSG Femtocell BS PGID
Paging Cycle
primary paging offset(femtocell paging offset) Small paging area (CSG Femto Cell area)에서 전송되는 paging message를 모니터하는 시점
secondary paging offset (macro paging offset) Large paging area (Overlay Macro Cell area)에서 전송되는 paging message를 모니터하는 시점
Paging listening interval Paging message 를 모니터 하는 시간
}
~
} //End of MOB_RNG-RSP
표 5을 참조하면, RNG-RSP 메시지에는 P 타이머 파라미터, 위치갱신의 결과를 나타내는 위치갱신 응답 파라미터, 이동단말에 할당된 새로운 페이징 정보, 페이징 제어기 식별자, 및 유휴모드에서 이동단말이 유지하는 임시 식별자(Temporary ID)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두 단계 페이징이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단말이 가입한 CSG 서비스를 지원하는 CSG 홈 펨토셀(CSG home Femto cell)은 CSG A 팸토셀(CSG A Femto Cell)인 펨토셀 A(Femto Cell #A) 및 팸토셀 B(Femto Cell #B)로 가정한다. 또한, 매크로 기지국 1(Macro BS #1)이 관리하는 페이징 영역을 매크로셀 1이라 하고, 매크로 기지국 2(Macro BS #2)가 관리하는 페이징 영역을 매크로셀 2라 부를 수 있다. 이때, 매크로셀 1 및 2(Macro Cell #1, #2)의 페이징 그룹 식별자는 '0'으로서 서로 동일하다. 즉, 매크로셀 1 및 2는 동일한 페이징 그룹에 속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이동단말은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매크로셀 또는 팸토셀 영역에서 유휴모드에 진입할 수 있으며 DREG-CMD 메시지 및/또는 RNG-RSP 메시지를 통해 제 1 페이징 오프셋, 제 2 페이징 오프셋, CSG 팸토셀 페이징그룹식별자 및 매크로셀 페이징그룹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다.
매크로셀 1은 팸토셀 A, B 및 C를 포함하고 있으며, 매크로셀 2는 팸토셀 D, E 및 F를 포함하고 있다. 즉, 매크로셀 1은 CSG 팸토셀을 포함하고 있으며, 매크로셀 2는 CSG 팸토셀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7에서는 유휴모드 이동단말이 매크로셀 2에서 매크로셀 1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경우, 이동단말은 매크로셀 2에서 매크로셀 1로 이동하더라도 패이징그룹식별자가 동일하기 때문에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7에서는 매크로셀 1이 이동단말의 CSG 팸토셀 (A, B)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단말은 매크로 기지국 1과 위치갱신을 수행한다.
이때, 이동단말에 외부 호가 온 경우 페이징 제어기는 두 단계로 페이징 공지(paging announcement) 메시지를 CSG 팸토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 1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징 제어기가 이동단말을 찾기 위해 우선 이동단말의 CSG 팸토셀 영역으로 페이징 공지 메시지를 전달하고, 응답이 없을 경우 오버레이 매크로셀 영역으로 페이징 공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페이징 제어기는 이동단말을 찾기 위해 모든 매크로 기지국 또는 팸토 기지국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CSG 팸토 기지국 및/또는 CSG 팸토 기지국을 포함하는 매크로 기지국(e.g. 매크로 기지국 1)에만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페이징 메시지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7과 같이, 이동단말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자신의 페이징 주기(paging cycle)에서 제 1 페이징 오프셋 및 제 2 페이징 오프셋에서 각각 CSG 팸토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이동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단말(AMS) 및 기지국(ABS)은 정보, 데이터, 신호 및/또는 메시지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800, 810), 안테나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신 모듈(Tx module, 840, 830), 안테나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Rx module, 860, 850), 기지국과의 통신과 관련된 정보 들을 저장하는 메모리(880, 870) 및 송신모듈, 수신모듈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820, 810)를 각각 포함한다. 이때, 기지국은 팸토 기지국 또는 매크로 기지국일 수 있다.
안테나(800, 810)는 전송모듈(840, 830)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모듈(860, 85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중 안테나(MIMO)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820, 81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 또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 서비스 특성 및 전파 환경에 따른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 가변 제어 기능, 핸드오버(Hand Over) 기능,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20, 830)는 다양한 메시지들의 암호화를 제어할 수 있는 암호화 모듈 및 다양한 메시지들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타이머 모듈을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모듈(840, 830)은 프로세서로부터 스케쥴링되어 외부로 전송될 신호 및/또는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부호화(coding) 및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 후 안테나(800, 810)에 전달할 수 있다.
수신모듈(860, 850)은 외부에서 안테나(800, 810)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복호(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을 수행하여 원본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여 프로세서(820, 830)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880, 870)는 프로세서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이동국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시스템 정보, 스테이션 식별자(STID), 플로우 식별자(FID), 동작 시간(Action Time), 영역할당정보 및 프레임 오프셋 정보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 설명한 이동단말 및 기지국 장치의 구성성분 및 기능들을 이용하여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국 및 기지국 장치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동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820)는 이동단말의 유휴모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20)는 유휴모드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DREG-REQ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모듈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DREG-CMD 메시지를 수신하고, DREG-CMD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디코딩하여 유휴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의 프로세서(820)는 유휴모드에서 위치갱신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 기지국과의 위치갱신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동단말의 프로세서는 P 타이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NG-REQ 메시지를 구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고, 기지국으로부터 RNG-RS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RNG-RSP 메시지에 포함된 P 타이머 파라미터 및 새로운 페이징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페이징 오프셋 및/또는 제 2 페이징 오프셋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기지국에 구비된 프로세서(830)는 이동단말의 유휴모드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로부터 DREG-REQ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의 프로세서는 P 타이머 및 페이징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DREG-CMD 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동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이동단말의 위치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로부터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의 프로세서는 P 타이머 파라미터 및/또는 새로운 페이징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이동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오버레이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팸토셀 기지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880, 89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820, 83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들의 일례로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2 및/또는 IEEE 802.xx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뿐 아니라, 상 기 다양한 무선접속 시스템을 응용한 모든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은 다수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진 페이징 그룹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중첩(overlay) 네트워크에서 펨토셀 배치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비중첩(Non-overlay) 네트워크에서 팸토셀 배치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무선접속 시스템 중 하나인 IEEE 802.16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두 단계(two step) 페이징을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두 단계(two step) 페이징을 수행하는 방법 중 다른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두 단계 페이징이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이동단말 및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7)

  1. 이동단말이 유휴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휴모드의 진입을 요청하는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1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유휴모드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 2 기지국과 위치갱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제 2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페이징 정보 및 상기 제 2 페이징 정보 중 하나 이상은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제 1 페이징 오프셋, 제 2 페이징 오프셋, 폐가입자그룹 팸토셀 페이징그룹식별자 및 매크로셀 페이징그룹식별자 중 하나 이상인,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페이징 오프셋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페이징 오프셋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이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폐가입자그룹 팸토 기지국인,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해제요청 메시지 및 상기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는,
    상기 이동단말이 페이징 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상기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는 소정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 및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이동단말이 페이징 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상기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 는 소정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8. 이동단말의 유휴모드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유휴모드의 진입을 요청하는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단말로 제 1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유휴모드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제 2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위치갱신을 수행하기 위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제 2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페이징 정보 및 상기 제 2 페이징 정보 중 하나 이상은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유휴모드 동작 지원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제 1 페이징 오프셋, 제 2 페이징 오프셋, 폐가입자그룹 팸토셀 페이징그룹식별자 및 매크로셀 페이징그룹식별자 중 하나 이상인, 유휴모드 동작 지원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상기 제 1 페이징 오프셋에서 상기 이동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휴모드 동작 지원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상기 제 2 페이징 오프셋에서 상기 이동단말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휴모드 동작 지원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해제응답 메시지 및 상기 레인징응답 메시지는,
    상기 이동단말이 페이징 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상기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는 소정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유휴모드 동작 지원방법.
  13. 유휴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단말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모듈;
    상기 안테나를 제어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유휴모드 동작과 관련된 정보 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전송모듈, 상기 수신모듈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 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모듈 및 상기 수신모듈을 제어하여,
    유휴모드의 진입을 요청하는 유휴모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제 1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유휴모드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2 기지국과 위치갱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제 2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제 1 페이징 정보 및 상기 제 2 페이징 정보 중 하나 이상은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이동단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두 단계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제 1 페이징 오프셋, 제 2 페이징 오프셋, 폐가입자그룹 팸토셀 페이징그룹식별자 및 매크로셀 페이징그룹식별자 중 하나 이상인, 이동단말.
  15. 제 1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페이징 오프셋 및 상기 제 2 페이징 오프셋 중 하나 이상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이고,
    상기 제 2 기지국은 폐가입자그룹 팸토 기지국인, 이동단말.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해제요청 메시지 및 상기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는,
    상기 이동단말이 페이징 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상기 위치갱신을 수행하지 않는 소정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
KR1020090107578A 2008-12-15 2009-11-09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및 지원방법 KR20100080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50421.XA CN102246570B (zh) 2008-12-15 2009-12-15 无线通信系统的位置更新方法
JP2011538570A JP5205518B2 (ja) 2008-12-15 2009-12-15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更新方法
PCT/KR2009/007504 WO2010071345A2 (en) 2008-12-15 2009-12-15 Method of location upd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3/139,916 US8483723B2 (en) 2008-12-15 2009-12-15 Method of location upd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67008P 2008-12-31 2008-12-31
US61/141,670 2008-12-31
US16233109P 2009-03-22 2009-03-22
US61/162,331 2009-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346A true KR20100080346A (ko) 2010-07-08

Family

ID=4264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578A KR20100080346A (ko) 2008-12-15 2009-11-09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및 지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03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1551A2 (ko) * 2011-05-25 201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무선접속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페이징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26298A (ko) * 2012-08-24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UMTS에서 Cell_PCH 또는 URA_PCH 상태인 UE의 fast dormancy를 위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1551A2 (ko) * 2011-05-25 201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무선접속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페이징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2161551A3 (ko) * 2011-05-25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무선접속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페이징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26298A (ko) * 2012-08-24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UMTS에서 Cell_PCH 또는 URA_PCH 상태인 UE의 fast dormancy를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3723B2 (en) Method of location upd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718114C1 (ru)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JP5155457B2 (ja) 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
KR10174042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갱신 방법
US8483709B2 (en) Location update method and mobile station using the same
EP2446673B1 (en) Energy efficient base station entering sleep mode
JP5576479B2 (ja) 広帯域無線接続システムでのフェムト基地局の周辺基地局リスト管理方法
US8538495B2 (en) Method of low duty mode operation in a femto base station in consideration of a femto cell type
KR20100083088A (ko)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1567830B1 (ko) 이동성 정보를 이용한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및 장치
KR101623182B1 (ko) 펨토셀 기지국에서 로우-듀티 모드 운용 방법
KR20100080346A (ko) 유휴모드 동작 수행방법 및 지원방법
KR101594392B1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페이징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20551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更新方法
KR101456005B1 (ko) 페이징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166399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성 관리 방법
KR20110081034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컨텐트 보존 등록해제 모드 수행 방법
KR20100041643A (ko) 위치갱신 수행방법
KR2010006954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갱신 방법
KR20100135158A (ko) 펨토셀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및 수신 방법
KR20100080287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 전송과정을 수행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