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539B1 - 부가 데이터가 삽입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가 데이터가 삽입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539B1
KR101165539B1 KR1020100101719A KR20100101719A KR101165539B1 KR 101165539 B1 KR101165539 B1 KR 101165539B1 KR 1020100101719 A KR1020100101719 A KR 1020100101719A KR 20100101719 A KR20100101719 A KR 20100101719A KR 101165539 B1 KR101165539 B1 KR 101165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noise
broadcast signal
additional data
pseud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357A (ko
Inventor
목하균
서영우
이재권
유호진
김용석
Original Assignee
(주)답스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답스,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주)답스
Priority to KR102010010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5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4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04L7/043Pseudo-noise [PN] codes variable during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부가 데이터를 삽입하고,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를 통하여 DTV 신호에 부가 데이터를 삽입한다. PN 코드 생성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한다. 제어부는 VSB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기초 신호와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가 데이터-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나타냄-를 비트 패턴으로 변환한다. PN 코드 전송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비트 패턴이 특정 기준에 의하여 맵핑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변환된 비트 패턴과 매칭되는 유사잡음(PN) 코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전송한다.

Description

부가 데이터가 삽입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ADDITIONAL DATA INSERTED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기술분야는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방송 신호에 부가 데이터를 삽입하고,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방송 신호 송신 시스템에서 입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TS)은 VSB(Vestigial Side Band) 부호화 과정을 통하여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 된다. 방송 신호 송신기의 식별 부호는 8레벨 심볼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삽입되는 방송 신호 송신기의 식별 부호의 삽입레벨은 DTV(Digital TV) 방송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워터마크 기법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삽입된 방송 신호 송신기의 식별 부호는 DTV 신호의 필드 싱크를 제외한 데이터 구간에만 삽입된다. 방송 신호 송신기의 식별 부호가 삽입된 8레벨 심볼은 VSB 변조, RF 상향 변조, 고출력 증폭기 및 채널 필터를 통과하여 최종 DTV 규격 신호로 출력된다. 방송 신호 송신기의 식별부호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분산 중계 시스템과 같이 여러 개의 중계기에서 들어오는 신호의 채널 임펄스 응답을 각각의 중계기의 신호에 따라 검출하여, 멀티패스 성분의 영향을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용도로 제안되었다.
최근에는 방송 신호 송신기의 식별 부호에 부가 데이터를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 DTV 방송 시스템 성능에 열화를 주지 않으면서, 엑사이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부가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삽입 및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사미 시퀀스를 포함한 다양한 직교 유사잡음(Pseudo Noise, PN) 코드와 시분할 다중화 기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부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직교 유사잡음(PN) 코드와 비트 패턴으로 변환된 부가 데이터를 맵핑함으로써, 부가데이터의 전송 용량을 증가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 데이터에 방송 품질에 대한 데이터를 삽입하고, 부가데이터를 검출하여 원격으로 방송 모닝터링에 활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하는 PN 코드 생성부, VSB(Vestigial Side Band)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기초 신호와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가 데이터-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나타냄-를 비트 패턴으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PN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비트 패턴이 특정 기준에 의하여 맵핑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비트 패턴과 매칭되는 유사잡음(PN) 코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전송하는 PN 코드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PN 코드 생성부는 직교성이 높은 PN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초 신호와 상기 측정 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송신되는 RF 신호의 품질 및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점검하는 상태 점검부 및 상기 점검된 RF 신호의 품질 및 상기 오작동 여부를 상기 비트 패턴으로 변환하는 비트 패턴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이고, 상기 측정 신호는 상기 중계기의 최종 출력단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를 RF 하향 변조하고, 잔류측파대역(VSB)으로 복조한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상기 기초 신호에 합성하는 제1 합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상기 기초 신호를 VSB 변조하여 제1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VSB 변조부 및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상기 VSB 변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변조하여 상기 제1 변조 신호에 합성하는 제2 합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하는 PN 코드 생성부,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2 유사잡음(PN) 코드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와 상기 PN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의 상관(correlation)도를 검출하는 상관부, 상기 상관부에서 검출된 상관 결과로부터 최대 우도를 가지는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하는 최대 우도 검출부 및 상기 최대 우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제1 유사잡음(PN) 코드와 매칭되는 부가 데이터 비트를 검출하는 부가 데이터 비트 검출부를 포함하고,상기 부가 데이터 비트는 상기 방송 송신 장치의 VSB(Vestigial Side Band)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기초 신호와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관부는 상기 제2 유사잡음(PN) 코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의 자기 상관 값 및 상호 상관 값을 통하여 상관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최대 우도 검출부는 상기 제2 유사잡음(PN) 코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코드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부가 데이터 비트 검출부는 부가 데이터 비트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가 맵핑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제1 유사잡음(PN) 코드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터 비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부가 데이터 비트는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가 비트 패턴으로 변환된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은 각각 서로 다른 유사잡음(PN) 코드들을 전송하는 복수의 중계기를 포함하는 중계부, 상기 각각 서로 다른 유사잡음(PN) 코드들을 수신하여, 각 중계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각 중계기에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 송신부, 상기 모니터링 된 상기 각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각 중계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중계기에 전송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계기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하는 제1 PN 코드 생성부, VSB(Vestigial Side Band)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기초 신호와 상기 각 중계기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가 데이터-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각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나타냄-를 비트 패턴으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PN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비트 패턴이 특정 기준에 의하여 맵핑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비트 패턴과 매칭되는 유사잡음(PN) 코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전송하는 PN 코드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송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하는 제2 PN 코드 생성부, 상기 복수의 중계기들로부터 출력된 유사잡음(PN) 코드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들과 상기 제2 PN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의 상관(correlation)도를 검출하는 상관부, 상기 상관부에서 검출된 상관 결과로부터 최대 우도를 가지는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하는 최대 우도 검출부 및 상기 최대 우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제1 유사잡음(PN) 코드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터 비트를 검출하는 부가 데이터 비트 검출부를 포함하고,상기 부가 데이터 비트는 상기 각 중계기의 VSB(Vestigial Side Band)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기초 신호와 상기 각 중계기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중계기 각각은 복수의 매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서로 다른 유사 잡음(PN) 코드에 맵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중계기 각각은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에 동일한 매체에 대한 상태 정보를 부가 데이터로 맵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중계기 각각은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에 상기 중계기에서 전송하는 모든 매체에 대한 상태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분할하여, 부가 데이터로 맵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각 중계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입력된(TS) 기초 신호와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가 데이터-상기 부가 데이터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나타냄-를 비트 패턴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비트 패턴이 특정 기준에 의하여 맵핑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비트 패턴과 매칭되는 유사잡음(PN) 코드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방송 신호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2 유사잡음(PN) 코드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의 상관(correlation)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상관 결과로부터 최대 우도 값을 가지는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1 유사잡음(PN) 코드와 매칭되는 부가 데이터 비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데이터 비트는 상기 방송 송신 장치의 VSB(Vestigial Side Band)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기초 신호와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 DTV 방송 시스템 성능에 열화를 주지 않으면서, 엑사이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부가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삽입 및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사미 시퀀스를 포함한 다양한 직교 유사잡음(Pseudo Noise, PN) 코드와 시분할 다중화 기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부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직교 유사잡음(PN) 코드와 비트 패턴으로 변환된 부가 데이터를 맵핑함으로써, 부가데이터의 전송 용량을 증가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가 데이터에 방송 품질에 대한 데이터를 삽입하고, 부가데이터를 검출하여 원격으로 방송 모닝터링에 활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직교 유사잡음(PN) 코드 발생 기능이 없는 엑사이터의 경우에도 직교 유사잡음(PN) 코드를 변조하여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송신기의 식별부호에 부가 데이터를 삽입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N 코드 전송부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망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 유사잡음(PN) 코드에 매체를 맵핑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송신기의 식별부호에 부가 데이터를 삽입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ATSC DTV의 방송 신호로서 메인 스트림에서 ATSC 필드는 필드 싱크와 데이터 영역인 랜덤 데이터로 구별될 수 있다. 방송 신호 송신기의 식별 부호의 극성에 이진 비트를 맵핑하여 식별 부호의 성분이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인 경우에 1 또는 0의 부가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식이다. 즉, 방송 신호 송신기 1의 식별 부호(110)는 성분이 플러스이므로 1의 부가 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고, 방송 신호 송신기 1의 식별 부호(120)는 성분이 마이너스이므로 0의 부가 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다. 방송 신호 송신기 1의 식별 부호(130,14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성분에 따라 부가 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하나의 방송 신호 송신기 식별 부호 코드 당 한 비트의 부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부가 데이터의 전송률이 최대 160bps로 제한 된다. 즉, 식별 부호 코드(110)에 부가 데이터를 1 또는 0의 한 비트로 삽입할 수 있을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200)는 PN 코드 생성부(210), 제어부(220), PN 코드 전송부(230) 및 제1 합성부(240)를 포함한다.
PN 코드 생성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한다. PN 코드 생성부(210)는 복수의 PN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PN 코드 생성부(210)는 직교성이 높은 PN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직교 PN 코드는 카사미 코드, M 코드, Gold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직교 PN 코드는 직교성을 가지는 어떠한 종류의 PN 코드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VSB(Vestigial Side Band) 부호화기(250)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기초 신호와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부가 데이터를 비트 패턴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부가 데이터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부가 데이터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송신하는 매체에 대한 신호를 제외한 그 밖의 정보를 의미한다.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는 출력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NR), 고출력 증폭기의 특성, 정격 출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신호는 상기 중계기의 최종 출력단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를 RF 하향 변조(259)하고, 잔류 측파 대역(VSB)으로 복조(261)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비트 패턴으로 변화된 부가 데이터를 PN 코드 전송부(230)로 전달한다.
제어부(220)는 상태 점검부(223) 및 비트 패턴 변환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점검부(223)는 상기 기초 신호와 상기 측정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송신되는 RF 신호의 품질 및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기초 신호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입력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기초 신호는 중간 주파수로 변조되기 이전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초 신호는 원하는 무선 주파수로 상향 변환되기 이전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점검부(223)에서 기초 신호는 기준 신호로서 이상적인 경우 상기 측정 신호는 상기 기초 신호와 동일해야 한다. 상태 점검부(223)는 기초 신호와 측정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발생한 다양한 종류의 상태 변화를 점검할 수 있다. 다양한 상태 변화에는 VSB 변조부(251), 주파수 상향 변환부(253), 고출력 증폭부(255), 채널 필터(257)의 상태 변화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20)의 동작은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비트 패턴 변환부(221)는 상기 점검된 RF 신호의 품질 및 상기 오작동 여부를 상기 비트 패턴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비트 패턴 변환부(221)는 상태 점검부(2230)에서 점검된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다양한 상태 변화를 비트 패턴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고출력 증폭부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문제와 관련된 정보는 001의 비트 패턴으로 변환될 수 있다. 고출력 증폭부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였는지에 대해서도 비트 패턴으로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와 비트 패턴의 맵핑 관계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PN 코드 전송부(230)는 비트 패턴 변환부(221)에서 비트 패턴으로 변환된 부가 데이터에 대응하는 유사잡음(PN) 코드를 맵핑 테이블로부터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전송한다. 여기서, 맵핑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비트 패턴이 특정 기준에 의하여 맵핑된 테이블이다. 또한, 맵핑 테이블에 적용된 특정 기준은 송신단과 수신단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맵핑 테이블을 통하여 선택된 유사잡음(PN) 코드가 송신단에서 전송되어 수신단에서 검출되면, 동일한 맵핑 테이블을 통하여 부가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비트 패턴은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 즉 부가 데이터가 비트로 변환된 것이다. 부가 데이터는 비트 패턴의 형태로 변환되어 유사잡음(PN) 코드에 할당된다. PN 코드 전송부(230)는 비트 패턴 변환부(221)에서 전송 받은 비트 패턴으로 변환된 부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유사잡음(PN) 코드를 탐색한다. PN 코드 전송부(230)는 부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직교성이 높은 유사잡음(PN) 코드를 대신 전송한다. 직교성이 높은 유사잡음(PN) 코드는 수신단에서 상관기에 의해 쉽게 검출될 수 있다.
맵핑 테이블에서 복수의 직교 유사잡음(PN) 코드는 각각의 비트 패턴과 맵핑되어 있다. PN 코드 전송부(230)는 비트 패턴에 할당 된 비트 수만큼 부가 데이터에 맵핑된 직교 유사잡음(PN)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총 2비트의 부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총 4개의 직교 유사잡음(PN) 코드가 필요하다. 또한, 부가 데이터 전송률은 160*2=320 bps 만큼 증가한다. PN 코드 전송부(230)에서 총 n개의 직교 유사잡음(PN)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면, 부가 데이터 전송률은 160*log2(n) bps 만큼 증가한다.
제1 합성부(240)는 PN 코드 전송부(230)에서 전송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상기 기초 신호에 합성한다. 제1 합성부(240)는 VSB 부호화기(250)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엑사이터는 VSB 부호화기(250)와 VSB 변조기(251)가 일체된 구조이므로 기존의 엑사이터에는 제1 합성부(240)를 위치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새로 생산될 엑사이터에 제1 합성부(240)를 위치시켜 부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제1 합성부(240)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송신하고 있는 일반 데이터에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부가 데이터로 삽입할 수 있다. 다만, 부가 데이터는 유사잡음(PN) 코드의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기존 DTV 신호인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VSB 부호화기(250)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다. 부호화 된 DTV 신호에는 제1 합성부(240)에서 부가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맵핑된 유사잡음(PN) 코드가 합성된다. 유사잡음(PN) 코드가 합성된 부호화된 DTV 신호는 VSB 변조부(251)를 통하여 지원하는 무선전송 시스템 포맷으로 변조되고, RF 상향 변환부(253)를 통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상향변조 된다. 상향 변조된 신호는 고출력 증폭기를 통과하여 신호의 크기가 증폭되고, 인접대역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채널 필터를 통과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300)는 PN 코드 생성부(310), 제어부(320), PN 코드 전송부(330), VSB 변조부(340) 및 제2 합성부(350)를 포함한다.
PN 코드 생성부(310), 제어부(320), PN 코드 전송부(330)는 도 2에서의 동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제어부(320)는 상태 점검부(323) 및 비트 패턴 변환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점검부(323) 및 비트 패턴 변환부(321)의 경우도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VSB 변조부(251)는 상기 기초 신호를 VSB(잔류측파대역) 변조하여 제1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초 신호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VSB 부호화기(250)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신호를 의미한다.
VSB 변조부(340)는 PN 코드 전송부(330)에서 전송된 유사잡음(PN) 코드를 VSB 변조부(251)의 변조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변조한다.
제2 합성부(350)는 VSB 변조부(251)의 VSB 변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변조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제1 변조 신호에 합성한다. 제2 합성부(350)는 VSB 변조부(251)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엑사이터는 VSB 부호화기(250)와 VSB 변조부(251)가 일체된 구조인데, 제2 합성부(350)는 부가 데이터를 VSB 변조하여 합성시키는 것이므로, 현재 생산되는 엑사이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엑사이터에 제2 합성부(350)를 위치시켜 부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사잡음(PN) 코드의 형태로 맵핑된 부가 데이터는 커플러를 통하여 제1 변조 신호에 합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N 코드 전송부(23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맵핑 테이블(400)에는 비트 패턴(410)과 직교 유사잡음(PN) 코드(420)가 맵핑되어 있다. 각 비트 패턴(410)은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정보, 즉 부가 데이터가 변환된 형태이다. 즉, 각 비트 패턴(410)에는 부가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삽입되어 있다. 각 비트 패턴(410)과 직교 유사잡음(PN) 코드(420)의 맵핑 관계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임의로 설정된 맵핑 관계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와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PN 코드 전송부(230)는 제어부(220)로부터 비트 패턴으로 변화된 부가 데이터를 전송 받아, 상기 비트 패턴과 대응하는 직교 유사잡음(PN) 코드를 탐색한다. 상기 비트 패턴과 대응하는 직교 유사잡음(PN) 코드가 탐색되면, PN 코드 전송부(230)는 탐색된 또는 선택된 직교 유사잡음(PN) 코드를 전송한다. PN 코드 전송부(230)에서 전송된 직교 유사잡음(PN) 코드는 VSB 부호화기 후단에서 DTV 신호와 합성될 수도 있고, VSB 변조되어 VSB 변조부 후단에서 변조된 DTV 신호와 합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프리셀렉터(550)를 통하여 특정 채널을 통과한 DTV 신호를 수신하고, RF 하향 변환부(551)를 통하여 기저대역까지 하향 변환한 후, VSB 복조부(553)를 통하여 8레벨 심볼을 생성한다. 이때, 일반 데이터를 포함하는 DTV 신호는 VSB 복호화기(555)를 통하여 복호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8레벨 심볼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PN 코드 생성부(510), 상관부(520), 최대 우도 검출부(530) 및 부가 데이터 비트 검출부(540)를 포함한다.
PN 코드 생성부(51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한다. PN 코드 생성부(210)는 복수의 PN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PN 코드 생성부(210)는 직교성이 높은 PN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되는 제1 유사잡음(PN) 코드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사용된 유사잡음(PN) 코드와 동일한 종류의 코드로 맵핑 테이블에 저장된 것과 동일한 유사잡음(PN) 코드이다.
상관부(520)는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2 유사잡음(PN) 코드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의 상관(correlation)도를 검출한다. 상관부(520)는 상기 제2 유사잡음(PN) 코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의 자기 상관 값 및 상호 상관 값을 통하여 상관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관부(520)는 제2 유사잡음(PN) 코드의 높은 직교성을 이용한다. 제2 유사잡음(PN) 코드는 자기 상관 값에 대하여 kronecker delta function 특성을 가지고, 상호 상관 값은 0에 가까운 특성을 가진다. 즉, 제2 유사잡음(PN) 코드와 제1 유사잡음(PN) 코드가 동일한 경우에 대해서만 자기 상관 값은 피크 값을 가지고, 나머지 경우에는 상호 상관 값이 0에 가까운 특성을 가진다.
최대 우도 검출부(530)는 상기 검출된 상관 결과로부터 최대 우도(Maximum Likelihood)를 가지는 상기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한다. 최대 우도 검출부(530)는 상관부(520)로부터 자기 상관 값이 피크 값인 경우의 해당 제1 유사잡음(PN)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최대 우도 검출부(530)는 상관 결과로부터 자기 상관 값이 피크 값을 가질 확률이 가장 높은 경우의 제1 유사잡음(PN)코드를 검출한다. 최대 우도 검출부(530)는 상기 제2 유사잡음(PN) 코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코드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우도 검출부(530)는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함으로써,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전송된 제2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맵핑 테이블에서 제1 유사잡음(PN) 코드와 제2 유사잡음(PN) 코드는 동일하기 때문이다.
부가 데이터 비트 검출부(540)는 상기 검출된 제1 유사잡음(PN) 코드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터 비트를 검출한다. 부가 데이터 비트 검출부(540)는 부가 데이터 비트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가 맵핑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제1 유사잡음(PN) 코드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터 비트를 검출할 수 있다. 맵핑 테이블은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맵핑 테이블에는 부가 데이터가 비트 패턴으로 변환된 부가 데이터 비트와 유사잡음(PN) 코드가 맵핑되어 있으므로, 유사잡음(PN) 코드를 알면 부가 데이터 비트를 알 수 있다. 또한, 부가 데이터 비트를 변환하여 부가 데이터 정보를 알 수 있다. 여기서, 부가 데이터 비트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가 비트 패턴으로 변환된 것일 수 있다.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는 출력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NR), 고출력 증폭기의 특성, 정격 출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망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망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중계부(610), 주 송신부(620), 데이터 베이스부(630) 및 제어부(640)를 포함한다.
중계부(610)는 각각 서로 다른 유사잡음(PN) 코드들을 전송하는 복수의 중계기를 포함한다. 복수의 중계기 각각(611,613,615)은 복수의 매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서로 다른 유사 잡음(PN) 코드에 맵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n 중계기(615)는 KBS1, KBS2, EBS 각 매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서로 다른 유사 잡음(PN) 코드에 맵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KBS1에 대한 상태 정보는 제1 유사 잡음(PN) 코드에 맵핑하고, KBS2에 대한 상태 정보는 제2 유사 잡음(PN) 코드에 맵핑하고, EBS에 대한 상태 정보는 제3 유사 잡음(PN) 코드에 맵핑할 수 있다. 복수의 중계기 각각(611,613,615)은 도 2의 PN 코드 생성부(210), 제어부(220), PN 코드 전송부(230) 및 제1 합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중계기 각각(611,613,615)은 도 2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신 장치의 각 구성을 통하여 각 매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서로 다른 유사 잡음(PN) 코드에 맵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중계기 각각(611,613,615)은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에 동일한 매체에 대한 상태 정보를 부가 데이터로 맵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중계기 각각(611,613,615)은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에 복수의 중계기 각각(611,613,615)에서 전송하는 모든 매체에 대한 상태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분할하여, 부가 데이터로 맵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주 송신부(620)는 각각 서로 다른 유사잡음(PN) 코드들을 수신하여, 각 중계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각 중계기에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주 송신부(620)는 복수의 중계기 각각(611,613,615)에서 전송되는 신호에서 서로 다른 유사잡음(PN) 코드들을 검출한다. 주 송신부(620)는 맵핑 테이블을 통하여 검출된 서로 다른 유사잡음(PN) 코드들로부터 각 중계기(611,613,615)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주 송신부(620)는 중계기로부터 출력되는 DTV 신호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으로 각 중계기(611,613,615)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중계기로부터 출력되는 DTV 신호는 커버리지 영역이 넓어서 주 송신부(620)에서도 수신될 수 있다. 종래는 별도의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중계기의 상태를 파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망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주 송신부(620)를 통하여 기존의 방송망에서 부가 데이터를 검출하여 원격으로 각 중계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기존의 방송망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DTV 시스템 성능을 열화시키지 않으면서 원격으로 중계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주 송신부(620)는 도 5의 PN 코드 생성부(510), 상관부(520), 최대 우도 검출부(530) 및 부가 데이터 비트 검출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부(630)는 상기 모니터링 된 상기 각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데이터 베이스부(630)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 각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중계기의 상태 정보는 출력 신호의 화질, 신호 대 잡음비(SNR), 고출력 증폭기의 특성, 정격 출력, 동작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각 중계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중계기에 전송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제어한다. 제어부(640)는 신호 품질이 열화된 경우 개선되도록 방송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모니터링 된 중계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효율이 높은 중계기에 방송 신호가 집중되도록 중계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각 중계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각 방송국과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각 중계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 유사잡음(PN) 코드에 매체를 맵핑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에서 중계기(615)는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에 동일한 매체에 대한 상태 정보를 부가 데이터로 맵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중계기(615)는 제1 유사잡음(PN) 코드(710)에 KBS1에 대한 상태 정보를 부가 데이터로 하여 맵핑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615)는 제2 유사잡음(PN) 코드(720)에 KBS2에 대한 상태 정보를 부가 데이터로 하여 맵핑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615)는 제3 유사잡음(PN) 코드(730)에 EBS에 대한 상태 정보를 부가 데이터로 하여 맵핑할 수 있다. 이때, 주 송신부(620)는 제1 유사잡음(PN) 코드, 제2 유사잡음(PN) 코드 및 제3 유사잡음(PN) 코드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KBS1, KBS2, EBS에 대한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중계기는 복수의 유사잡음(PN) 코드를 전송하므로 부가 데이터 전송률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B)에서 중계기(615)는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에 중계기(615)에서 전송하는 모든 매체에 대한 상태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분할하여, 부가 데이터로 맵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중계기(615)는 제1 유사잡음(PN) 코드(710)에 KBS1, KBS2, EBS에 대한 상태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741)으로 반복적으로 할당하여 맵핑할 수 있다. 이때, 주 송신부(620)는 제1 유사잡음(PN) 코드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으면, KBS1, KBS2, EBS에 대한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채널환경이 열화 되어 모드 매체를 검출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를 이용하여 모드 매체의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주 송신부(620)는 맵핑 테이블에서 제1 유사잡음(PN) 코드와 맵핑된 비트 패턴을 통해 KBS1, KBS2, EBS에 대한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810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복수의 PN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직교성이 높은 PN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직교 PN 코드는 카사미 코드, M 코드, Gold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820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입력된(TS) 기초 신호와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부가 데이터를 비트 패턴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부가 데이터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부가 데이터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송신하는 매체에 대한 신호를 제외한 그 밖의 정보를 의미한다.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는 출력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NR), 고출력 증폭기의 특성, 정격 출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를 포함할 수 있다.
830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비트 패턴이 특정 기준에 의하여 맵핑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비트 패턴으로 변환된 부가 데이터에 대응하는 유사잡음(PN) 코드를 탐색한다. 맵핑 테이블에 적용된 특정 기준은 송신단과 수신단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맵핑 테이블을 통하여 선택된 유사잡음(PN) 코드가 송신단에서 전송되어 수신단에서 검출되면, 동일한 맵핑 테이블을 통하여 부가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비트 패턴은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 즉 부가 데이터가 비트로 변환된 것이다. 부가 데이터는 비트 패턴의 형태로 변환되어 유사잡음(PN) 코드에 할당된다.
840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VSB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신호에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VSB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기초 신호를 VSB(잔류측파대역) 변조하여 제1 변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상기 VSB 변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변조하여 상기 제1 변조 신호에 합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910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되는 제1 유사잡음(PN) 코드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사용된 유사잡음(PN) 코드와 동일한 종류의 코드로 맵핑 테이블에 저장된 것과 동일한 유사잡음(PN) 코드이다.
920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2 유사잡음(PN) 코드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의 상관(correlation)도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제2 유사잡음(PN) 코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의 자기 상관 값 및 상호 상관 값을 통하여 상관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제2 유사잡음(PN) 코드의 높은 직교성을 이용한다.
930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검출된 상관 결과로부터 최대 우도 값을 가지는 상기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상관 결과로부터 자기 상관 값이 피크 값을 가질 확률이 가장 높은 경우의 제1 유사잡음(PN)코드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제2 유사잡음(PN) 코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코드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940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상기 검출된 제1 유사잡음(PN) 코드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터 비트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는 부가 데이터 비트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가 맵핑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제1 유사잡음(PN) 코드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터 비트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하는 PN 코드 생성부;
    VSB(Vestigial Side Band)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기초 신호와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가 데이터-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나타냄-를 비트 패턴으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PN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비트 패턴이 특정 기준에 의하여 맵핑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비트 패턴과 매칭되는 유사잡음(PN) 코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전송하는 PN 코드 전송부
    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N 코드 생성부는
    직교성이 높은 PN 코드를 생성하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초 신호와 상기 측정 신호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송신되는 RF 신호의 품질 및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오작동 여부를 점검하는 상태 점검부; 및
    상기 점검된 RF 신호의 품질 및 상기 오작동 여부를 상기 비트 패턴으로 변환하는 비트 패턴 변환부
    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는 방송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기이고,
    상기 측정 신호는 상기 중계기의 최종 출력단에서 출력된 출력 신호를 RF 하향 변조하고, 잔류측파대역(VSB)으로 복조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상기 기초 신호에 합성하는 제1 합성부
    를 더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신호를 VSB 변조하여 제1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VSB 변조부; 및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상기 VSB 변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변조하여 상기 제1 변조 신호에 합성하는 제2 합성부
    를 더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
  7.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하는 PN 코드 생성부;
    방송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2 유사잡음(PN) 코드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와 상기 PN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의 상관(correlation)도를 검출하는 상관부;
    상기 상관부에서 검출된 상관 결과로부터 최대 우도를 가지는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하는 최대 우도 검출부; 및
    상기 최대 우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제1 유사잡음(PN) 코드와 매칭되는 부가 데이터 비트를 검출하는 부가 데이터 비트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데이터 비트는 상기 방송 송신 장치의 VSB(Vestigial Side Band)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기초 신호와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부는
    상기 제2 유사잡음(PN) 코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의 자기 상관 값 및 상호 상관 값을 통하여 상관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우도 검출부는
    상기 제2 유사잡음(PN) 코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코드가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비트 검출부는
    부가 데이터 비트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가 맵핑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검출된 제1 유사잡음(PN) 코드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터 비트를 검출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데이터 비트는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가 비트 패턴으로 변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12. 각각 서로 다른 유사잡음(PN) 코드들을 전송하는 복수의 중계기를 포함하는 중계부;
    상기 각각 서로 다른 유사잡음(PN) 코드들을 수신하여, 각 중계기의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각 중계기에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주 송신부;
    상기 모니터링 된 상기 각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각 중계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중계기에 전송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계기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하는 제1 PN 코드 생성부;
    VSB(Vestigial Side Band)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기초 신호와 상기 각 중계기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가 데이터-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각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나타냄-를 비트 패턴으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PN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비트 패턴이 특정 기준에 의하여 맵핑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비트 패턴과 매칭되는 유사잡음(PN) 코드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전송하는 PN 코드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송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하는 제2 PN 코드 생성부;
    상기 복수의 중계기들로부터 출력된 유사잡음(PN) 코드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들과 상기 제2 PN 코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의 상관(correlation)도를 검출하는 상관부;
    상기 상관부에서 검출된 상관 결과로부터 최대 우도를 가지는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하는 최대 우도 검출부; 및
    상기 최대 우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제1 유사잡음(PN) 코드에 대응하는 부가 데이터 비트를 검출하는 부가 데이터 비트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데이터 비트는 상기 각 중계기의 VSB(Vestigial Side Band)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기초 신호와 상기 각 중계기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계기 각각은
    복수의 매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서로 다른 유사 잡음(PN) 코드에 맵핑하여 전송하는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계기 각각은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에 동일한 매체에 대한 상태 정보를 부가 데이터로 맵핑하여 전송하는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계기 각각은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에 상기 중계기에서 전송하는 모든 매체에 대한 상태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분할하여, 부가 데이터로 맵핑하여 전송하는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각 중계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
  17.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입력된(TS) 기초 신호와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가 데이터-상기 부가 데이터는 방송 신호 송신 장치의 상태 정보를 나타냄-를 비트 패턴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사잡음(PN)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비트 패턴이 특정 기준에 의하여 맵핑된 맵핑 테이블로부터, 상기 비트 패턴과 매칭되는 유사잡음(PN) 코드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VSB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신호에 합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신호를 VSB 변조하여 제1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유사잡음(PN) 코드를 상기 VSB 변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변조하여 상기 제1 변조 신호에 합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
  20.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방송 신호 송신 장치로부터 출력된 제2 유사잡음(PN) 코드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사잡음(PN) 코드의 상관(correlation)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상관 결과로부터 최대 우도 값을 가지는 제1 유사잡음(PN)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1 유사잡음(PN) 코드와 매칭되는 부가 데이터 비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데이터 비트는 상기 방송 송신 장치의 VSB(Vestigial Side Band) 부호화기에서 8레벨 심볼 값으로 부호화된 기초 신호와 상기 방송 신호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어 주파수가 하향된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20100101719A 2010-10-19 2010-10-19 부가 데이터가 삽입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 KR101165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719A KR101165539B1 (ko) 2010-10-19 2010-10-19 부가 데이터가 삽입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719A KR101165539B1 (ko) 2010-10-19 2010-10-19 부가 데이터가 삽입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357A KR20120040357A (ko) 2012-04-27
KR101165539B1 true KR101165539B1 (ko) 2012-07-16

Family

ID=4614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719A KR101165539B1 (ko) 2010-10-19 2010-10-19 부가 데이터가 삽입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5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357A (ko) 201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317B1 (ko) 고급 변조 및 코딩 모드의 무분별 식별
JP4846187B2 (ja) 放送デジタルテレビ信号を用いたロバストデータ伝送
JP5080470B2 (ja) 信号送信のためのスクランブリングコードを決定する方法と装置
AU2009307247B2 (en) Pream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FDM system
US78312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path or devices on the path of a communication signal
US201101035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US10536188B2 (e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KR10145839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165539B1 (ko) 부가 데이터가 삽입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시스템
US201503126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aster information
CN101494514A (zh) 用于被编码的无效分组辅助同步的方法和系统
JP4459260B2 (ja) 中継装置、受信装置および無線伝送システム
KR100968686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송신기 정보를 삽입/검출하는 장치및 방법
AU2015227450B2 (en) Pream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FDM system
US7940831B1 (en)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22162818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送信側システム、及び受信側システム
JPWO2018190149A1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20230080019A1 (en) Radar system, a radar arrangement, and a radar method for concurrent radar operations
JP2006148829A (ja) 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装置
US201301290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a broadcast signal in a digital broadcast system
JP4045150B2 (ja) 軌道回路伝送装置
JP2007281817A (ja) 通信システム
KR101721702B1 (ko) 부가 데이터의 패딩과 제거를 이용해서 고속으로 부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4216849A (ja) 通信システム、受信装置、半導体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のリセット方法
US20140105099A1 (en) System for synchronizing a satellite poi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