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529B1 -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 Google Patents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5529B1 KR101165529B1 KR1020090085631A KR20090085631A KR101165529B1 KR 101165529 B1 KR101165529 B1 KR 101165529B1 KR 1020090085631 A KR1020090085631 A KR 1020090085631A KR 20090085631 A KR20090085631 A KR 20090085631A KR 101165529 B1 KR101165529 B1 KR 1011655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at
- mud
- stop
- stationary
- wid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9/00—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 A01B19/02—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 A01B19/04—Harrows with non-rotating tools with tools rigidly or elastically attached to a tool-frame with two or more tool-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전체 줄의 이식 폭에 상당하는 횡폭을 갖는 정지 플로트라도, 진흙 밀어내기를 억제할 수 있어, 이미 심은 모에 영향을 억제하여 이식이 양호하게 행해지는 무논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체 줄의 이식 폭에 상당하는 횡폭(L)을 갖는 정지 플로트(11)를 설치하고, 정지 플로트(11)의 저면에 있어서의 횡폭 방향의 전체 길이 또는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횡폭 방향을 따른 띠 형상을 나타내는 띠 형상 정지부(A)를 형성하고, 상기 띠 형상 정지부(A)에, 후방으로 진흙을 유도하도록 상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진흙 도피 오목부(27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3줄 이상의 이식 폭에 상당하는 횡폭을 갖는 정지 플로트라도, 진흙 밀어내기를 억제할 수 있어 이미 심은 모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고, 또한 정지 플로트의 플로트 통과 자국이 농지면 상에 형성되기 어려워, 이식이 양호하게 행해지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3줄 이상의 이식 폭에 상당하는 횡폭(L)을 갖는 정지 플로트(11)를 설치하고, 정지 플로트(11)의 저면에 있어서의 횡폭 전체 길이 또는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횡폭 방향을 따른 띠 형상을 나타내는 띠 형상 정지부(A)를 형성하고, 정지 플로트(11)의 저면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부에서 저면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진흙을 취입하는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를 형성하고 있다.
정지 플로트, 무논 작업기, 차륜, 승강 링크 기구, 띠 형상 정지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체 줄에 상당하는 횡폭을 갖는 정지(整地) 플로트를 설치하고 있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3줄 이상에 상당하는 횡폭을 갖는 정지 플로트를 설치하고 있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정지 플로트로서, 전체 줄에 상당하는 횡폭을 구비한 플로트 본체부[공보 내 : 플로트 전방부(13)]와, 플로트 본체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3개의 후방 돌출부[공보 내 : 플로트 후방부(12)]로 이루어지는 플로트를 제시하는 것이 있고, 플로트 본체부의 후단부로부터 후방 돌출부에 걸쳐, 저면부를, 일련의 판재를 둘러싸게 하여 평판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2641636호{단락 번호 [0010] [0011], 도 1, 도 3}
따라서, 플로트 본체부로부터 후방 돌출부에 걸친 넓은 범위에 걸쳐, 판상의 저면부가 깊이 들어간 상태로 접지하므로, 판상의 저면부에 접촉하여 진흙이 그 판상의 저면부의 전단부에 체류하고, 체류한 진흙이 그 판상의 저면부의 전단부를 따라 횡측방으로 유동하면, 그 유출된 진흙이 인접하는 줄에 영향(예를 들어, 이미 심은 모를 넘어뜨리는 등)을 미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줄에 상당하는 횡폭을 갖는 정지 플로트라도 진흙을 밀어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인접 줄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여 이식이 양호하게 행해지는 무논 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3줄 이상에 상당하는 횡폭을 갖는 정지 플로트라도, 진흙 밀어내기를 억제할 수 있어 인접하는 줄로의 영향을 억제하고, 또한 정지 플로트의 플로트 통과 자국이 농지면 상에 형성되기 어려워, 이식이 양호하게 행해지는 무논 작업기를 정지 플로트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구성)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특징 구성은, 전체 줄에 상당하는 횡폭을 갖는 정지 플로트를 설치하고, 상기 정지 플로트의 저면에 있어서의 횡폭 방향의 전체 길이 또는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횡폭 방향을 따른 띠 형상을 나타내는 띠 형상 정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띠 형상 정지부에, 후방으로 진흙을 유도하도록 상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진흙 도피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즉, 전체 줄에 걸친 횡폭을 구비하고 있는 플로트 본체부에 띠 형상 정지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복수개의 플로트부로 전체 줄을 커버하는 플로트 구조를 채용하는 것에 비해, 각 플로트부의 횡측단부가 농지면 내에 깊이 들어가 형성하는 플로트 통과 자국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띠 형상 정지부로 전체 줄분의 농지면을 고르게 하여, 그 고르게 한 농지면 상에 예를 들어 모를 심을 수 있으므로, 이식 줄이 보기좋게 형성된다.
발명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항에서, 정지 플로트의 저면이 전체 줄에 걸쳐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면의 전단부에 진흙 저류부가 발생하기 쉽고, 또한 저류된 진흙이 띠 형상 정지부의 전단부를 따라 측단부보다 더욱 횡측방으로 유동하여, 인접하는 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에 대해,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띠 형상 정지부의 일부에 상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진흙 도피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진흙 도피 오목부를 통해 진흙을 정지 플로트의 후방으로 흘릴 수 있어, 띠 형상 정지부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진흙의 체류나 인접하는 줄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전체 줄에 걸친 횡폭으로 띠 형상 정지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플로트를 복 수개 설치하는 것에 비해 정지 상태를 전체 줄에 걸쳐 일정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정지 플로트를 갖는 것에 비해 플로트 통과 자국도 발생하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띠 형상 정지부의 일부에 진흙 도피 오목부를 형성하는 개선을 실시함으로써, 띠 형상 정지부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진흙의 체류나 인접하는 줄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구성)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정지 플로트를, 상기 전체 줄에 걸친 횡폭을 구비한 플로트 본체부와, 상기 플로트 본체부의 횡폭보다는 좁은 폭이며, 또한 그 플로트 본체부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하는 전방 돌출부로 형성하고, 상기 진흙 도피 오목부를, 상기 플로트 본체부에 있어서의 저면에서 상기 전방 돌출부의 양 횡측방에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즉, 전체 줄에 걸친 횡폭을 구비한 플로트 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그 플로트 본체부보다 좁은 폭의 전방 돌출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플로트 본체부에 선행하여 전방 돌출부가 농지면의 요철에 기인하는 접지압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전방 돌출부는 전체 줄에 걸친 것이 아니므로, 논둑 근처에서의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도, 논둑 근처의 요철 부분을 감지하는 정도가 작아, 정지 플로트의 센서 기능이 안정된다.
한편, 전방 돌출부를 설치함으로써, 전방 돌출부의 측 모서리부를 따라 유동 하는 진흙이 플로트 본체부에 있어서의 전단부에 체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플로트 본체부에 있어서의 저면에서 전방 돌출부의 양 횡측방에, 후방으로 진흙을 유도하도록 상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진흙 도피 오목부를 형성하였다. 이것에 의해, 전방 돌출부의 측 모서리부를 따라 유동하는 진흙은, 진흙 도피 오목부로부터 플로트 본체부를 통과하므로, 플로트 본체부의 전단부에서의 진흙의 체류는 억제된다.
(발명의 효과)
따라서, 정지 플로트를 접지 센서로서의 기능을 높이는 전방 돌출부를 설치하는 것에 기인하여, 플로트 본체부의 전단부에서의 진흙의 체류를 억제하도록 상기한 진흙 도피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진흙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식 작업시에 있어서의 모가 뜨는 일 등이 발생하기 어려운 정지 플로트 구조를 설치하였다.
(구성)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정지 플로트의 측단부의 저면을, 측단부측일수록 플로트 본체부의 상면에 근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즉, 정지 플로트의 측단부의 농지면 내로의 깊이 들어감이 크면, 진흙 밀어내기가 발생하여 정지 플로트의 횡측방에 위치하는, 예를 들어 모 이식 작업시에 이미 심은 모를 넘어뜨리는 것과 같은 사태나, 측단부의 자국이 농지면 상에 형성 되는 등의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정지 플로트의 측단부의 저면에, 측단부측일수록 플로트 본체부의 상면에 근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정지 플로트의 측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진흙이 고르게 되어, 플로트 통과 자국으로서 남는 일이 적다.
(구성)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정지 플로트를, 후방 지지점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띠 형상 정지부보다 후방측에 상기 정지 플로트의 후방 지지점 위치를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즉, 전체 줄에 걸친 횡폭을 구비하고 있는 플로트 본체부에 띠 형상 정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대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이것에 부가하여, 정지 플로트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 지지점을, 띠 형상 정지부의 후방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정지 플로트의 후방 지지점이, 요철부가 띠 형상 정지부에 의해 고르게 된 후의 농지면 위를 이동하게 되어, 후방 지지점의 덜컹거림이 적어, 농지면의 요철에 의해 상하 요동하는 정지 플로트의 기준 위치가 안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정지 플로트를 모 이식에 관한 경작 깊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자동 제어에 세트시켜, 정지 플로트를 접지 센서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후방 지 지점의 덜컹거림이 적어지는 점은, 제어의 기준점이 안정되어 제어 자체가 안정된 것이 된다.
또한, 띠 형상 정지부의 후방에 후방 지지점을 배치함으로써, 요동에 관한 지지점 위치를 충분히 후방에 배치할 수 있고, 후방 지지점으로부터 정지 플로트의 전단부까지의 간격이 크게 채용되게 되어, 동일한 높이의 볼록부에 의해 정지 플로트의 전단부가 들어올려져도 요동각을 작게 할 수 있어, 외란을 받기 어려운 정지 플로트가 된다.
(구성)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플로트 본체부로부터 상기 플로트 본체부의 횡폭보다는 좁은 폭이며, 또한 후방 방향으로 돌출하는 후방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즉, 상기 플로트 본체부로부터 상기 플로트 본체부의 횡폭보다는 좁은 폭이며, 또한 후방 방향으로 돌출하는 후방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플로트 본체부 자체의 전후 길이를 지나치게 길게 채용하는 일 없이, 정지 플로트 전체적으로 필요한 전후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정지 플로트 전체가 지나치게 대형화하지 않고, 또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플로트 구조를 구축할 수 있었다.
(구성)
다른 발명의 특징 구성은, 3줄 이상에 상당하는 횡폭을 갖는 정지 플로트를 설치하고, 상기 정지 플로트의 저면에 있어서의 횡폭 전체 길이 또는 대략 전체 길 이에 걸쳐, 상기 횡폭 방향을 따른 띠 형상을 나타내는 띠 형상 정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띠 형상 정지부에, 후방으로 진흙을 유도하도록 상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진흙 도피 오목부와, 상기 진흙 도피 오목부의 측방에 상기 진흙 도피 오목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1 정지 평탄부를 형성하고, 상기 진흙 도피 오목부와 상기 제1 정지 평탄부의 경계 부위에 완만한 경사를 나타내는 제1 경사 연결면을 형성하고, 상기 정지 플로트의 저면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부에서 상기 저면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진흙을 취입하는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와 좌우 측방에 인접하여 상기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 정지 평탄부의 경계면에, 완만한 경사를 나타내는 제2 경사 연결면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즉, 띠 형상 정지부로 농지면을 고르게 하여, 그 고르게 한 농지면 상에 예를 들어 모를 이식할 수 있으므로, 이식 줄이 보기좋게 형성된다.
발명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항에서, 정지 플로트의 저면이 전체 줄에 걸쳐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면의 전단부에 진흙 저류부가 발생하기 쉽고, 또한 저류된 진흙이 띠 형상 정지부의 전단부를 따라 측단부보다 더욱 횡측방으로 유동하여, 인접하는 줄에 작용하여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는 점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에 대해,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띠 형상 정지부의 일부에 상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진흙 도피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진흙 도피 오목부를 통하여 진흙을 정지 플로트의 후방으로 흘릴 수 있어, 띠 형상 정지부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진흙의 체류나 인접하는 줄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띠 형상 정지부에 있어서, 진흙 도피 오목부와 이 진흙 도피 오목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제1 정지 평탄부가 인접되어 배치되어 있고, 양자의 경계면이 큰 단차를 수반하는 것이면, 단차 자국이 농지면 상에 형성된다.
이에 대해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진흙 도피 오목부와 제1 정지 평탄부의 경계 부위에, 횡폭 방향을 따른 완만한 제1 경사 연결면을 형성하였으므로, 경계 부위에 단차가 형성되는 일이 적어, 농지면 상에 플로트 통과 자국이 형성되기 어렵다.
한편, 정지 플로트의 저면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부에, 상기 저면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점을 말할 수 있다. 즉,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의 경우에는, 정지 플로트의 전단부에 차단된 진흙과 흙탕물이 그 전단부를 따라 횡측방으로 유동하여 더욱 인접하는 영역에까지 이르는 것을 억제할 수 없었다. 그것에 의해, 예를 들어 인접하는 이미 심은 모 등을 유입된 진흙이 넘어뜨려, 인접하는 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전방으로부터의 진흙과 흙탕물을 진흙 취입 오목부 내로 유도하여 후방으로 유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필요 이상으로 정지 플로트의 횡측방측으로 유동시키는 일이 없어, 인접하는 줄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었다.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의 주연에는,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2 정지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와 제2 정지 평탄부의 경계 부위에, 횡폭 방향을 따른 완만한 제2 경사 연결면을 형성하였으므로, 경계 부위에 단차가 형성되는 일이 적어, 농지면 상에 플로트 통과 자국이 형성되기 어렵다.
(발명의 효과)
정지 플로트의 횡폭에 걸친 띠 형상 정지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정지 상태를 전체 횡폭에 걸쳐 일정한 것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띠 형상 정지부의 일부에 진흙 도피 오목부를 형성하는 개선을 실시함으로써, 띠 형상 정지부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진흙의 체류나 인접하는 줄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진흙 도피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제1 정지 평탄부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완만한 경사를 구비한 제1 경사 연결면으로 진흙 도피 오목부와 제1 정지 평탄부의 경계 부위를 완만하게 연결하고 있으므로, 단차 자국이 형성되지 않아, 줄의 흐트러짐이 적다.
또한,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진흙과 흙탕물이 정지 플로트의 횡측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인접 줄로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제2 정지 평탄부와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는 것을, 완만한 경사를 나타내는 제2 경사 연결면을 형성함으로써 해소한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구성)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정지 플로트의 저면에 있어서의 추진 차륜 자국을 고르게 해 가는 부분에, 진흙을 취입하는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즉, 추진 차륜의 후방측에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차륜 자국의 측방으로 솟아오른 진흙을, 이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 내로 취입하여 차륜 자국에 다시 메우는 것이 가능해, 차륜 자국에 심어지는 것의 자세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구성)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와, 상기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그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4 정지 평탄부의 경계 부위에, 전후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는 제3 경사 연결면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에 취입된 진흙은, 제3 경사 연결면에서, 제4 정지 평탄면에 의해 정지되는 면까지 유도되게 되어 단차가 없는 상태로 정지된다. 이에 의해, 정지 자국의 흐트러짐이 적어, 농지면에의 작업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구성)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와, 상기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그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3 정지 평탄부의 경계 부위에, 전후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는 제4 경사 연결면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에 취입된 진흙은, 제4 경사 연결면에서, 제3 정지 평탄면에 의해 정지되는 면까지 유도되게 되어 단차가 없는 상태로 정지된다. 이에 의해, 차륜 자국이 양호하게 정지되어, 작업이 양호하게 행해진다.
(구성)
다른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정지 플로트 측단부의 단부면을, 추진 방향을 따른 전후 방향면 또는 상기 단부면의 후단부측일수록 상기 정지 플로트의 좌우 중심측으로 편위하는 편위면으로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정지 플로트 측단부의 단부면이 추진 방향을 따른 전후 방향면, 또는 상기 단부면의 후단부측일수록 상기 정지 플로트의 좌우 중심측으로 편위하는 편위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지 플로트 측단부의 단부면을 따라 흐르는 진흙과 흙탕물이 횡측방으로 흘러가게 되는 일이 적어, 인접하는 줄로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구성)
다른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정지 플로트의 전단부이며, 또한 추진 차륜 자국을 고르게 해 가는 차륜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정지 플로트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종벽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 음과 같다.
(작용 효과)
추진 차륜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종벽을 형성함으로써, 추진 차륜이 튕겨올리는 진흙을 받아내어 정지 플로트의 상면에 진흙이 부착 퇴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성)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의 특징 구성은, 상기 띠 형상 정지부에, 상기 진흙 도피 오목부와 그 진흙 도피 오목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정지 평탄부를 설치하고, 상기 진흙 도피 오목부와 상기 정지 평탄부의 경계 위치를 횡폭 방향을 따른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띠 형상 정지부에 진흙 도피 오목부를 형성하면, 그 진흙 도피 오목부와 그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정지 평탄부의 경계 부위에 단차가 생긴다. 그렇게 하면, 그 단차 부분이 농지면 상에 플로트 통과 자국으로 되어 형성된다.
이에 대해, 진흙 도피 오목부와 정지 평탄부의 경계 부위에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단차 부분이 없고, 그 경사면에 의해 고르게 되므로 플로트 통과 자국의 형성은 억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줄에 상당하는 횡폭을 갖는 정지 플로트라도 진흙 밀어내기를 억제할 수 있어, 인접 줄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여 이식이 양호하게 행 해지는 무논 작업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줄 이상에 상당하는 횡폭을 갖는 정지 플로트라도, 진흙 밀어내기를 억제할 수 있어 인접하는 줄로의 영향을 억제하고, 또한 정지 플로트의 플로트 통과 자국이 농지면 상에 형성되기 어려워, 이식이 양호하게 행해지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무논 작업기의 일례인 승용형 이앙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용형 이앙기는 추진 차륜으로서의 전후 차륜(1, 2)을 장비한 주행 기체(走行機體)(3)의 전방부에 엔진(4) 등을 설치하고, 운전 조종부(5)를 사이에 두고 후방에 승강 링크 기구(6)를 통해 모 이식 장치(7)를 장비하여, 4줄 이식의 이앙기로 구성되어 있다.
모 이식 장치(7)는, 모 적재대(8), 모 적재대(8)의 하방에 위치하는 전후 방향 자세의 모 이식 전동 케이스(9), 모 이식 전동 케이스(9)의 후단부 좌우에 장비되어 있는 모 이식 기구(10), 모 이식 전동 케이스(9)에 후방 지지점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정지 플로트(11)를 장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정지 플로트(11)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지 플로트(11)는 전체 이식 줄 수의 이식 폭에 상당하는 횡폭(L)을 갖는,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의 플로트 본체부(12)와, 플로트 본체부(12)의 좌우 중앙 위치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전방 돌출부(13)와, 플로트 본체부(12)의 좌우 방향 2군데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돌출부(14)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돌출부(13)는 플로트 본체부(12)의 전단부의 좌우 중앙 위치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것이며, 모 이식 제어에 사용되는 센서 플로트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전방 돌출부(13)와 후방 돌출부(14)는 플로트 본체부(12)의 횡폭의 3분의 1 내지 4분의 1의 횡폭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들 플로트 본체부(12)와 전방 돌출부(13)와 후방 돌출부(14)는, 수지판을 2매 겹침으로 하여 형(型) 내에 적재하고, 2매의 수지판의 사이에 압축 공기를 불어 넣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사용되는 수지재로서는, 나일론, 폴리에틸렌, ABS, PET 등의 엔지니어링 수지가 사용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돌출부(13)와 그 전방 돌출부(13)의 후방에 위치하는 플로트 본체부(12)는, 측면에서 보아,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단부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플로트 본체부(12)의 전단부측일수록 및 전방 돌출부(13)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 약간 만곡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플로트 본체부(12)에 있어서의 전방 돌출부(13)의 횡측방에 위치하는 횡측 부분(12A)에 있어서도, 후단부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전단부측일수록 상방을 향해 약간 만곡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정지 플로트(11)는 2매의 수지판을 포개어 블로우 성형하므로, 성형 후의 형상으로서는 정지 플로트(11)의 두께의 중간 위치에 분할 라인을 명시하는 플랜지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11a)를 기준으로 상하에 플로트의 외곽이 팽출 형성되어 있다.
기체 주행시에는, 농지면에 접지하는 부분이 되는 띠 형상 정지부(A)에 대해 설명한다. 즉,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저면에는, 전체 이식 줄에 상당하는 횡폭에 걸쳐, 플로트 본체부(1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후 폭을 짧게 한 띠 형상을 나타내는 띠 형상 정지부(A)를 형성하고 있다. 띠 형상 정지부(A)는, 도 6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그 영역을 명시하고 있다. 띠 형상 정지부(A)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정지 플로트의 상면 구조]
정지 플로트(11)의 상면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도 5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돌출부(13)에 있어서, 상면은 전단부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고 완만하게 경사지는 경사 평탄면(13A)으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 평탄면(13A)의 전단부로부터 횡측방에 걸쳐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전방 하향 경사면(13C)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하향 경사면(13C)의 전단부 부근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적재면(13B)을 설치하고 있다. 적재부(13B)에는, 정지 플로트(11)를 기체 프레임측에 매달아 지지하는 전방 브래킷(15)을 장착하고 있다.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적재면(13B)은, 전방 돌출부(13)의 전단부에 있어서 전방 공간으로 개방되도록 경사 평탄면(13A) 및 전방 하향 경사면(13C)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적재면(13B)은 전방 공간과 연통되는 상태에 있으므로, 농지면 상에 있는 흙탕물을 경사 평탄면(13A) 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흙탕물을 경사 평탄면(13A) 상으로 도입할 수 있으므로, 전방 돌출부(13)의 전단부로 흙탕물을 밀어내어, 그 밀어내어진 흙탕물이 인접하는 이미 심은 모를 넘어뜨리거나 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돌출부(13)의 전단부에 흙탕물이 주행 저항이 되어 작용하므로, 그 저항으로 인해 정지 플로트(11)의 상하 요동이 안정되지 않아, 이 정지 플로트(11)의 접지압에 기초하는 상하 변동을 이용하여, 이식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이식 제어가 안정되지 않는 점을, 상기한 절결에 의해 흙탕물의 저항을 경감하여 제어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후방 돌출부(14)에는 장착용 구멍 등을 형성한 장착 시트(14A)를 형성하고 있고, 정지 플로트(11)의 후방 지지점(a)을 형성하는 후방 브래킷(20)을 장착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착 시트(14A)가 후방 돌출부(14)의 후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장착 시트(14A)와 후방 돌출부(14)의 후단부가 매우 근접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정지 플로트(11)가 후방 브래킷(20)의 후방 지지점(a) 주위에서 상방으로 회전해도, 후방 돌출부(14)의 후단부가 농지면 내로 들어가는 깊이가 지나치게 커지지 않아, 띠 형상 정지면(A)이 고르게 한 정지면을 흐트러뜨리는 일이 적다.
도 4, 도 5,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4군데에, 하향의 오목 설치부(12C)를 형성하고 있다. 이 오목 설치부(12C)는, 시비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기체 후방부에 탑재할 때에는 장착 구멍을 통해 배토판(furrower)(도시하지 않음)을 장착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 본체부(12)의 전방 돌출부(13)를 돌출시킨 좌우 중앙 부위보다 좌우 횡측방에 위치하는 횡측 부분(12A)의 전단부에는, 횡측 부분(12A)의 상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종벽(21)을 기립 설치하고 있다.
종벽(21)은 전방 돌출부(13)의 플로트 본체부(12)와의 접속 부위가 되는 근원 위치로부터 좌우 횡측단부를 향해 연속되는 상태이며, 또한 횡측 부분(12A)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종벽(21)은 횡측 부분(12A)의 전방에 위치하는 후륜(2)이 튕겨올리는 진흙을 받아내어, 횡측 부분(12A)의 상면에 진흙이 부착 퇴적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플로트 본체부(12)의 횡측 부분(12A)에 있어서의 횡측단부(12a)는, 전단부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횡측단부(12a)의 단부면은 추진 방향을 따른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횡측단부(12a)의 단부면이 추진 방향을 따른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횡측단부(12a)의 단부면을 따라 흐르는 흙탕물과 진흙이 횡측방으로 흘러가게 되는 일이 적어, 인접하는 모를 넘어뜨리는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횡측단부(12a)의 단부면을 추진 방향을 따른 면으로 구성하였지만, 횡측단부(12a)의 단부면을 후단부측일수록 정지 플로트(11)의 좌우 중심측에 근접하도록 추진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상태로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흙탕물과 진흙이 인접하는 이미 심은 모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정지 플로트의 저면 구조]
도 6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돌출부(13)의 저면과, 플로트 본체부(12)에 있어서의 전방 돌출부(13)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의 저면에 걸쳐,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는, 측면에서 보아, 전방 돌출부(13)의 전단부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것이며, 저면의 만곡 상태를 따라 대략 일정한 오목부 깊이를 유지하면서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단부 부근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어 있다.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저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는 전방 돌출부(13)의 전단부 위치로부터 개방되어 있고, 개구부(23a)의 횡폭을 서서히 좁히는 상태로 후방측으로 들어가는 부채 형상 취입 부분(23A)과, 전방 돌출부(13)와 플로트 본체부(12)의 접속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최소 횡폭이 되고, 이 최소 횡폭을 유지하는 상태로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협폭 부분(2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 구성의 경우에는, 전방 돌출부(13)의 전단부에 차단된 진흙과 흙탕물이 플로트 본체부(12)의 횡측 부분(12A)의 전단부측으로 유동하고, 다시 인접하는 이식 영역에까지 이르는 것을 억제할 수 없었다. 그것에 의해, 인접하는 이미 심은 모 등을 유입된 진흙이 쓰러뜨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전방 돌출부(13)에 진흙 취입 오목부(23) 를 형성하였으므로, 전방으로부터의 흙탕물과 진흙을 진흙 취입 오목부(23) 내로 유도하여 후방으로 유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필요 이상으로 횡측 부분(12A)측으로 유동시키는 일이 없어, 이미 심은 모 등을 쓰러뜨리는 것도 억제할 수 있었다.
다음에, 추진 차륜 자국을 고르게 해 가는 플로트 본체부(12)의 횡측 부분(12A)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진흙을 취입하는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방측 취입 오목부(24)는 플로트 본체부(12)의 횡측 부분(12A)의 전단부로부터 개방되고, 측면에서 보아, 측방측 취입 오목부(24)의 천장면(24b)은 플로트 본체부(12)의 저면[후기하는 제1 정지 평탄부(26A)]의 만곡 형상을 따른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제1 정지 평탄부(26A)의 후단부에서 동일한 높이 위치가 되도록 후단부측일수록 서서히 얕아져, 제3 정지부(26C)의 수평면(26a)에 단차없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측방측 취입 오목부(24)의 후단부는, 제3 정지부(26C)와 단차없이 연결되어 있고, 이 후단부를 제4 경사 연결면(24D)이라 칭한다.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의 저면에서 보았을 때 형상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는 플로트 본체부(12)의 횡측 부분(12A)의 전단부로부터 개방되어 있고, 개구부(24a)의 횡폭을 서서히 좁히는 상태로 후방측으로 들어가는 부채 형상의 오목부 형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후륜(1, 2)에 의해 형성된 차륜 자국의 양 횡측방 으로 솟아오른 진흙을 넓은 개구부(24a)로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 내로 취입하고, 횡폭을 서서히 좁히면서 또한 측방측 취입 오목부(24)의 천장면(24b)에 의해 하방으로 압입하여, 취입한 진흙을 차륜 자국에 모아, 차륜 자국을 다시 메울 수 있다.
도 5, 도 6,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와 그 양측에 위치하는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의 사이 및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의 횡외측방측에는 각각 상면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간 배토판 장착용 오목 설치부(12C)와 함께, 배토판의 장착에 사용되는 장착 시트(2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 시트(25)가 저면보다도 상방으로 크게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착 시트(25)에 장착구를 삽입해도 정지면을 거칠게 하는 일이 적다.
다음에, 저면에 있어서의,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와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 배토판의 장착 시트(25)를 제외한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를 둘러싸는 주위에 저면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서 보아, 저면부(26) 중 전방 저면부(26E)는 전단부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협폭 부분(24B)을 둘러싸는 후방 저면부가, 정지 플로트(11) 전체의 저면에 있어서 가장 하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후방 저면부 중, 협폭 부분(24B)을 좌우 양측으로부터 둘러싸는 부분을 제2 정지 평탄부(26B)라 칭하고, 협폭 부분(24B)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4 정지 평탄 부(26D)라 칭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정지 평탄부(26B) 및 제4 정지 평탄부(26D)의 양 횡측방에는, 제2 정지 평탄부(26B) 및 제4 정지 평탄부(26D)보다 상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7)는 제2 정지 평탄부(26B) 및 제4 정지 평탄부(26D)로부터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의 근방까지의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후 폭은 대략 플로트 본체부(12)의 전후 폭에 걸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7)는 좌우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저면의 경사 정도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다. 즉, 오목부(27)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협폭 부분(24B)을 둘러싸는 제2 정지 평탄부(26B) 및 제4 정지 평탄부(26D)의 양 횡측방에 인접 위치하는 제2 오목부(27B)와,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오목부(27B)에 인접하는 상태로 배치되고,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에 근접하는 제1 오목부(27A)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27B)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전단부측일수록 서서히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직선 형상의 경사면(27a)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단부 위치에서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부채 형상 취입 부분(23A)을 둘러싸는 전단부 저면부(26E)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1 오목부(27A)는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전단부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는 만곡면(27b)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단부에 있어서, 직선 형상의 평면(27c)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오목부(27A) 및 제2 오목부(27B) 모두,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단부까지 형성되어 있고,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단부 부근에서는 상기한 플랜지부(11a)의 높이에 맞추어져 있다.
상기한 제1 오목부(27A)는, 전방 돌출부(13)의 주연부를 따라 흘러 온 흙탕물과 진흙을 취입하여 후방으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이 제1 오목부(27A)를, 청구항 1, 2에 기재한, 후방으로 진흙을 유도하도록 상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진흙 도피 오목부라 칭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의 주위에 제1 정지 평탄부(26A)와 제3 정지 평탄부(26C)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정지 평탄부(26A)는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의 양 횡측방에 위치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플로트 본체부(12)의 저면의 만곡 형상을 따라 전단부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정지 평탄부(26C)는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1 정지 평탄부(26A)의 후방에는 수평부(26a)가 연속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수평부(26a)는 정지 플로트(11)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수평부(26a)의 후방측에는, 후방 돌출부(13)의 후단부에 근접할수록 상방에 위치하는 후방 상승 경사면(26b)을 형성하고 있다. 이 수평부(26a)와 후방 상승 경사면(26b)으로 제3 정지 평탄부(26C)를 형성하고 있다.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의 후단부는 수평부(26a)의 전단부에 단차없이 접속되어 있어,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에 취입된 진흙이 상기 접속 부위에서 체류하는 일 없이 수평부(26a)측으로 유동한다.
또한, 수평부(26a)의 후방측에 후방측일수록 상방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26b)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경사면(26b)에서의 진흙의 체류가 억제되어, 정지 플로트(11)가 후방 지지점 주위에서 상하 요동해도, 경사면(26b) 부분이 농지면 내로 깊이 들어가기 어려워 진흙을 밀어내는 것도 적다.
다음에,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 및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와, 저면부(26)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 연결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협폭 부분(23B)과 제2 정지 평탄부(26B)의 경계 부위에, 횡폭 방향을 따른 제2 경사 연결면(23C)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경사 연결면(23C)은 정지 플로트(11)를 블로우 성형할 때에 사용되는 금형의 구배각(draft angle)보다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경사 연결면(23C)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협폭 부분(23B)과 제2 정지 평탄부(26B)의 경계면의 자국이 농지면에 생기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협폭 부분(23B)과 제2 정지 평탄부(26B)의 경계면이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협폭 부분(23B)과 제2 정지 평탄부(26B)의 사이에 큰 단차가 생기고, 그 단차가 농지면 상에 형성되어 단차 자국으로 되어 남게 되어, 이식 작업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단차 자국이 남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진흙 도피 오목부(27A)와 제1 정지 평탄부(26A) 및 제3 정지 평탄부(26C)의 경계면에, 횡폭 방향을 따른 제1 경사 연결면(27C)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경사 연결면(27C)은 정지 플로트(11)를 블로우 성형할 때에 사용되는 금형의 구배각보다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차 자국이 남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어, 이식면의 요철이 고르게 되므로, 모의 이식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고 이식 깊이가 안정되어 모의 생육이 양호해진다.
다음에, 도 6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협폭 부분(23B)의 후단부와 제4 정지 평탄부(26D)의 경계 부위에, 전후 방향을 따른 제3 경사 연결면(23D)이 형성되어 있다. 제3 경사 연결면(23D)은 정지 플로트(11)를 블로우 성형할 때에 사용되는 금형의 구배각보다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방 돌출부(13)의 전단부에 도달한 흙탕물과 진흙을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 내로 취입하여, 전방 돌출부(13)의 횡측방으로 유동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중앙측 취입 오목부(23) 내로 취입된 흙탕물과 진흙을 제3 경사 연결면(23D)으로부터 원활하게 제4 정지부(26D)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3 경사 연결면(23D)이 경사도가 큰 단차 형상의 것이면, 그 단차 부분에서 진흙이 체류하는 결점이 있지만, 그 체류를 제3 경사 연결면(23D)의 경사 도를 완만한 것으로 함으로써 해소한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 본체부(12)의 좌우 측단부(12a)에 있어서의 저면에는 좌우 방향을 따른 경사면(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12b)은 플로트 본체부(12)의 횡측단부에 근접할수록 상면에 근접하는 경사 자세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로트 본체부(12)[정지 플로트(11)]의 횡측단부의 저면에 상향 경사면(12b)을 형성함으로써, 정지 플로트(11)의 횡측단부 부위의 농지면 내로의 들어감을 억제하고, 또한 횡측방으로의 진흙의 밀어내기를 경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로트 본체부(12)에 있어서의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의 형성 위치보다 더욱 횡측단부측 부분에 있어서는,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를 둘러싸는 만곡 형상의 제1 정지 평탄부(26A)가 연속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정지 평탄부(26A)의 후방에는 상기한 수평부(26a)가 연속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3 정지 평탄부(26C)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띠 형상 정지부]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단부에 띠 형상 정지부(A)를 형성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 형상 정지부(A)는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단부의 저면에 있어서의 횡폭 방향의 전체 길이 또는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횡폭 방향을 따른 띠 형상을 나타내는 면이다. 띠 형상 정지부(A)는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제4 정지 평탄부(26D),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양 횡측방에 형성되는 제2 오목부(27B)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후 방향 경사면(27a) 및 제2 오목부(27B)에 인접하는 제1 오목부(27A)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평면(27c), 평면(27c)의 횡측방에 인접하는 횡폭 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제1 경사 연결면(27C), 오목부(27)의 더욱 횡측방에 위치하는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면 형상의 제3 정지 평탄부(26C)로 구성된다. 제3 정지 평탄부(26C)는 측방측 취입 오목부(24)로부터 플로트 본체부(12)의 횡측단부에 이르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단부에 띠 형상 정지부(A)를 형성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띠 형상 정지부(A)는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단부의 저면에 있어서의 횡폭 방향의 전체 길이 또는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횡폭 방향을 따른 띠 형상을 나타내는 면이다. 띠 형상 정지부(A)는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제4 정지 평탄부(26D),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양 횡측방에 형성되는 제2 오목부(27B)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후 방향 경사면(27a) 및 제1 오목부(27A)에 인접하는 제2 오목부(27B)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평면(27c), 평면(27c)의 횡측방에 인접하는 횡폭 방향을 따라 경사지는 제1 경사 연결면(27C), 오목부(27)의 더욱 횡측방에 위치하는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면 형상의 제3 정지 평탄부(26C)로 구성된다. 제3 정지 평탄부(26C)는 측방측 취입 오목부(24)로부터 플로트 본체부(12)의 횡측단부에 이르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띠 형상 정지부(A)를 구성하는 것 중,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4 정지 평탄부(26D) 및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제3 정지 평탄부(26C)가 가장 하방으로 돌출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3 정지 평탄부(26C)와 제4 정지 평탄부(26D)에 끼워져 있는, 오목부(27)를 형성하는 경사면(27a)과 평면(27c)은 약간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한 플랜지부(11a)와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다.
제3 정지 평탄부(26C)는 전방측 돌출부(13)와 플로트 본체부(12)에 있어서의 전방측 돌출부(13)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 내에 있어서는, 가장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것이며, 정지 기능이 높은 부분이다.
제4 정지 평탄부(26D)는 후방측 돌출부(14)와 플로트 본체부(12)에 있어서의 전방측 돌출부(13)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 내에 있어서는, 가장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것이며, 정지 기능이 높은 부분이다.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와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27)가 존재하는 까닭은, 띠 형상 정지부(A)가 이식 폭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평면 상에 있으면, 정지 기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그 경우에는 띠 형상 정지부(A)에서 진흙 저류나 진흙 밀어내기가 발생하기 쉬워, 정지 기능의 향상과 진흙 밀어내기 등을 회피하는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전방 돌출부(13)의 횡측 모서리를 따라, 오목부(27)가 형성되어 있는 플로트 본체부(12)의 전단부까지 유동해 오는 흙탕물과 진흙을 플로트 본체부(12)의 전단부에서 받아내는 것이 아니라, 오목부(27)를 통해 후방으로 유도함으로써 진흙 저류를 회피하여, 그들 진흙과 흙탕물 이 플로트 본체부(12)의 횡측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후방 돌출부(14)에는 정지 플로트(11)의 후방 지지점(a)을 형성하는 후방 브래킷(20)을 장착 고정하도록 장착용 구멍 등을 형성한 장착 시트(14A)를 형성하고 있다. 이 장착 시트(14A)는, 좌우 돌출부(1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14a)과, 저면측에는 상방을 향해 크게 오목하게 들어간 장착 구멍(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 구멍(14b)은 띠 형상 정지부(A)에 형성한 진흙 도피 오목부(27B)의 평면(27c)보다 상방으로 크게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점으로서의 기능만을 발휘시키는 것이며, 띠 형상 정지부(A)에 의한 정지면을 이 장착 구멍(14b)이 흐트러뜨리는 일은 없다.
정지 플로트(11)의 띠 형상 정지부(A)는 모 이식 기구(10)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띠 형상 정지부(A)에 의해 이식면에 대한 정지 기능이 충분히 행해져, 모가 뜨는 일 등이 없이 이식 모의 자세가 쓰러지지 않게 유지된다.
띠 형상 정지부(A)는, 이식 폭의 중앙에 위치하는 전방 돌출부(13)의 후방 부분에도 형성되어 있어, 앞의 공정에서 농지면에 행해진 마커 자국을 고르게 해 갈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띠 형상 정지부(A)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진흙 도피부(27B)를 형성하였지만, 진흙 도피부(27B)의 개수 또는 형상, 폭 등에 대해서는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설치하는 위치는 전방 돌출부(13)의 횡측방에 한정되지 않는다.
(2) 진흙 취입 오목부(23, 24), 제1 내지 제3 경사 연결면(27C, 23C, 23D)에 대해서는, 특별히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체 줄에 걸친 이식 줄을 단일의 정지 플로트(11)로 구성하는 형태를 기재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복수개의 정지 플로트(11)로 구성하는 경우에, 3줄 이상의 이식 줄에 걸친 횡폭을 구비한 정지 플로트에 적용할 수도 있다.
(4) 정지 플로트(11)의 형태로서, 플로트 본체부(12)에 전방 돌출부(13)와 후방 돌출부(14)를 일체 형성한 것을 제시하였지만, 전방 돌출부(13)와 후방 돌출부(14) 중 한쪽을 생략한 구성의 것으로 형성해도 좋다.
본원 발명은, 승용형 이앙기 이외에, 보행형 이앙기 및 직파기, 골풀 이식기 등의 무논 작업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승용형 이앙기를 도시하는 전체 측면도.
도 2는 승용형 이앙기를 도시하는 전체 평면도.
도 3은 정지 플로트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정지 플로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정지 플로트를 도시하는 후방면도.
도 6은 정지 플로트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VII-VII선 단면도.
도 8은 도 6에 있어서의 VIII-VIII선 단면도.
도 9는 도 6에 있어서의 IX-IX선 단면도.
도 10은 도 6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
도 11은 도 6에 있어서의 XI-XI선 단면도.
도 12는 도 6에 있어서의 XII-XII선 단면도.
도 13은 도 6에 있어서의 XIII-XIII선 단면도.
도 14는 도 6에 있어서의 XIV-XIV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정지 플로트
12 : 플로트 본체부
12a : 측단부
12b : 경사면
13 : 전방 돌출부
14 : 후방 돌출부
21 : 종벽
23 :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
23C : 제2 경사 연결면
23D : 제3 경사 연결면
24 :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
24D : 제4 경사 연결면
26A : 제1 정지 평탄부
26B : 제2 정지 평탄부
26C : 제3 정지 평탄부
27A : 제1 오목부(진흙 도피 오목부)
27C : 제1 경사 연결면
A : 띠 형상 정지부
L : 횡폭
Claims (11)
- 전체 줄에 상당하는 횡폭(L)을 갖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이며, 상기 정지 플로트(11)의 저면에 있어서의 횡폭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횡폭 방향을 따른 띠 형상을 나타내는 띠 형상 정지부(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띠 형상 정지부(A)에는, 후방으로 진흙을 유도하도록 상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진흙 도피 오목부(27A)가 형성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정지부(A)는, 상기 정지 플로트(11)의 최하방 부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플로트(11)는, 전체 줄에 걸친 플로트 본체부(12)와, 상기 플로트 본체부(12)의 횡폭보다는 좁은 폭이며 상기 플로트 본체부(12)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돌출하는 전방 돌출부(13)를 갖고, 상기 띠 형상 정지부(A)는, 그 후방 가장자리가 상기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르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플로트(11)를, 후방 지지점(a) 주위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띠 형상 정지부(A)보다 후방측에 상기 정지 플로트(11)의 후방 지지점 위치를 설정하고 있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후방으로 진흙을 유도하는 진흙 도피 오목부(27A)를, 상기 플로트 본체부(12)의 저면이며, 상기 전방 돌출부(13)의 양 횡측방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본체부(12)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띠 형상 정지부(A)의 후방 가장자리에 걸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한 상태로 형성하고 있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플로트(11)의 측단부(12a)의 저면을, 측단부측일수록 플로트 본체부(12)의 상면에 근접하는 경사면(12b)으로 형성하고 있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정지부(A)는, 상기 정지 플로트(11)의 최하방 부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상기 정지 플로트(11)는, 전체 줄에 걸친 플로트 본체부(12)를 갖고, 상기 띠 형상 정지부(A)는, 그 후방 가장자리가 상기 플로트 본체부(12)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르고,상기 플로트 본체부(12)로부터, 상기 플로트 본체부의 횡폭보다는 좁은 폭이며, 또한 후방 방향으로 돌출하는 후방 돌출부(14)를 형성하고 있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플로트(11)의 저면에 있어서의, 추진 차륜 자국을 고르게 해 가는 부분에, 진흙을 취입하는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 24)를 형성하고 있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 24)와, 상기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24, 24)의 후방에 위치하고 그 측방측 진흙 취입 오목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3 정지 평탄부(26C)의 경계 부위에, 전후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는 제4 경사 연결면(24D)을 형성하고 있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플로트(11)의 저면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부에서 상기 저면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진흙을 취입하는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를 추가로 형성하고, 상기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23)와, 상기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그 중앙측 진흙 취입 오목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4 정지 평탄부(26D)의 경계 부위에, 전후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는 제3 경사 연결면(23D)을 형성하고 있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정지부(A)에, 상기 진흙 도피 오목부(27A)와 그 진흙 도피 오목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정지 평탄부를 설치하고, 상기 진흙 도피 오목부와 상기 정지 평탄부의 경계 위치를 횡폭 방향에 대해 경사시킨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있는,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018562A JP4901887B2 (ja) | 2009-01-29 | 2009-01-29 | 水田作業機の整地フロート構造 |
JP2009018563A JP5249802B2 (ja) | 2009-01-29 | 2009-01-29 | 水田作業機の整地フロート構造 |
JPJP-P-2009-018563 | 2009-01-29 | ||
JPJP-P-2009-018562 | 2009-01-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8058A KR20100088058A (ko) | 2010-08-06 |
KR101165529B1 true KR101165529B1 (ko) | 2012-07-16 |
Family
ID=4275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5631A KR101165529B1 (ko) | 2009-01-29 | 2009-09-11 |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552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3161B1 (ko) * | 2012-10-31 | 2014-12-16 | 송민우 | 패턴코드 인식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 |
JP6299893B2 (ja) * | 2017-01-19 | 2018-03-28 | 井関農機株式会社 | 苗移植機 |
-
2009
- 2009-09-11 KR KR1020090085631A patent/KR10116552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8058A (ko) | 2010-0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74714C (en) | Furrow opener with rear facing primary outlet | |
KR101165529B1 (ko) | 무논 작업기의 정지 플로트 구조 | |
JP4901887B2 (ja) | 水田作業機の整地フロート構造 | |
US8596914B2 (en) | Tile laying and covering apparatus | |
JP5249802B2 (ja) | 水田作業機の整地フロート構造 | |
CN106332582A (zh) | 一种插秧机浮船 | |
JP5341976B2 (ja) | 水田作業機の整地フロート | |
JP5858890B2 (ja) | 水田作業機の整地フロート | |
JP5421601B2 (ja) | 水田作業機の整地フロート構造 | |
JP2009005661A5 (ko) | ||
JP2009005661A (ja) | 苗植機の補助苗箱受装置 | |
JP5567897B2 (ja) | 水田作業機 | |
JP2543617Y2 (ja) | 苗移植機の整地フロート | |
JPH0112566Y2 (ko) | ||
JP3769126B2 (ja) | 移植機 | |
JP2813645B2 (ja) | 田植機用整地フロート | |
JPS6335537Y2 (ko) | ||
JP2017112879A (ja) | 歩行型田植機 | |
JP5822812B2 (ja) | 水田作業機の整地フロート | |
JPH0338985Y2 (ko) | ||
JPS583446Y2 (ja) | 田植機用車輪跡整地具 | |
JPH0120812Y2 (ko) | ||
JPS6238499Y2 (ko) | ||
JPH0221856Y2 (ko) | ||
JPH0216571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