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398B1 -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398B1
KR101165398B1 KR1020090066757A KR20090066757A KR101165398B1 KR 101165398 B1 KR101165398 B1 KR 101165398B1 KR 1020090066757 A KR1020090066757 A KR 1020090066757A KR 20090066757 A KR20090066757 A KR 20090066757A KR 101165398 B1 KR101165398 B1 KR 101165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s
communication
main controller
personal computer
t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381A (ko
Inventor
손강호
Original Assignee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3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01R31/007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내의 다기능 차량 버스(MVB: multifunctional vehicle bus) 상에 설치되는 메인 컨트롤러 보드와 주변기기들의 통신을 가상으로 시험하고 상태를 모니터하도록 함으로써 열차의 브레이크, 모터, 에어컨, 인버터, 선로전원장치 및 도어 컨트롤러와 같은 주변기기와 메인 컨트롤러 보드와의 통신상태를 확인하는 동시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른 동작상태를 시험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보드의 제어를 받는 전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동작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되,
상기 퍼스널 컴퓨터의 제1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다기능 차량 버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2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제3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주변기기들이 정상적인 동작이나 오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따른 센서신호를 전달하거나 주변기기에 메인 컨트롤러 보드의 정상동작이나 오동작에 따른 정보를 출 력하면서 상태를 측정하도록 하는 디버깅부(debugging)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프런트 패널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컨트롤러와,
전면의 프런트 패널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받으면서 표시하도록 하는 프런트 포트와,
상기의 프런트 포트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전압치를 변환하면서 특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전류를 저지하도록 하는 트랜스포머 및 초크와,
상기 통신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트랜스포머 및 초크를 통하여 버스형의 멀티 통신을 수행하는 RS485통신 모뎀과,
상기 통신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통신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통신 메모리들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퍼스널 컴퓨터, 보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컨트롤러, 디버깅, 통신

Description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multifunctional vehicle bus tester}
본 발명은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열차 내의 다기능 차량 버스(MVB: multifunctional vehicle bus) 상에 설치되는 메인 컨트롤러 보드와 주변기기들의 통신을 가상으로 시험하고 상태를 모니터하도록 함으로써 열차의 브레이크, 모터, 에어컨, 인버터, 선로전원장치 및 도어 컨트롤러와 같은 주변기기와 메인 컨트롤러 보드와의 통신상태를 확인하는 동시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른 동작상태를 시험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안전하고 쾌적한 운행을 위해서는 차상과 지상신호설비의 정확한 신호 정보 교환과 함께 차상에 설치된 각 제어장치나 상태 정보가 정확하게 운전실에 구비된 모니터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출력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TCN(Train Communication Network) 통신망을 이용한 경우에 각종 전장품에 부착 설치된 제어기기들은 단순한 구조의 네트워크에 연결됨으로써, 철도시스템의 전체적인 신뢰성, 안전성 및 정시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TCN 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TCN은 차량 내의 제어 장비들 간의 실시간 통신을 담당하는 MVB(Multifunction Vehicle Bus)와 차량간의 실시간 통신을 담당하는 WTB(Wire Train Bus)의 두 가지 통신망 프로토콜로 구성되어 있다.
TCN 통신망을 이용할 경우에는, 기존의 일대일 통신에 비하여 복잡한 배선구조에 따른 소요 경비와 노력을 절감할 수 있고, 디지털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 비하여 신호잡음(Noise)에 의한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TCN 통신망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차량에 치명적인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장(Fault) 개소를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고장(Fault) 개소를 찾고 그 원인을 해결하기까지는 장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차량의 안정화에 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각 장치별로 운전실에 있는 모니터 장치와 성능을 확인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왔는데, 이 방식은 네트워크 신호가 여러 경로를 거치면서 각 장치로부터 운전실에 구비된 모니터 장치로 전달되기 때문에 고장원인을 추적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어서, 그로 인해 차량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2003년 12월 17일자 특허출원 제10-2003-0092723호(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을 이용한 신호계측 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이는, 하나 차량에 MVB 카드(Card)를 설치하여 각 기기(DEVICE)들의 동작상태 및 고장 정보를 노드(Node)를 통하여 계측장치가 입력받을 수 있도록 연결하고,
각 기기(DEVICE)들의 동작상태 및 고장 정보를 입력받는 각각의 MVB Card로부터 전달된 신호들이 여러 개의 계측장치에 입력되게 되고,
상기 여러 개의 계측장치에 입력된 신호들은 차량에 별도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주 컴퓨터로 보내지므로 통합 관리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의 통신 연결은 각 계측장치를 통해서 입력된 신호들이 허브(Hub)를 거쳐 피엑스아이 모듈(PXI Module)을 통해 입력받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을 이용한 신호계측 장치에 의하여서는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을 이용하여 주컴퓨터와 주변기기인 각각의 기기들과의 다수의 계측장치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통합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가 있고, 차량의 각종 신호를 감지할 수가 있으며, 전반적인 차량의 상태신호와 고장신호를 모니터링 할 수가 있도록 하였으나, 실제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다수의 신호계측장치를 통하여 통신이 수행되므로 장치의 안정성을 미리 점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2004년 12월 30일자 특허출원 제10-2004-0116498호(고속철도차량의 브이브이브이에프 인버터 및 보조 컨버터진단 시스템)가 제안되었는 바,
이는, VVVF 인버터들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VVVF 인버터 전압 검출부와; VVVF 인버터들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VVVF 인버터 전류 검출부와;
상기 VVVF 인버터 전압/전류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VVVF 인버터의 전압 및 전류를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제 1 신호변환기와;
보조 컨버터들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보조 컨버터 전압 검출부와;
보조 컨버터들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보조 컨버터 전류 검출부와;
상기 보조 컨버터 전압/전류 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보조 컨버터의 전압 및 전류를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제 2 신호변환기와;
철도차량의 주행중 차륜의 회전수에 부응하는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속도센서와; 속도 검출 펄스의 주파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주는 주파수/전압 변환부와; 아날로그의 철도차량 속도전압을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A/D 변환부와;
철도차량의 현재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부와;
펄스를 계수하는 카운터와;
펄스수에 대비되는 철도차량의 주행거리를 산출하여 그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정보 검출부와;
TCN 통신의 WTB를 통해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들에 대한 정보들을 통합하여 입력받는 게이트 웨이부와;
상기한 각부의 출력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기억함과 동시에 특정 VVVF 인버터 또는 보조 컨버터에서 고장 발생시 그 시점에서의 속도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추진, 제동, 가선전압, 제동압, 견인력, 제동력 등과 같은 각종 전장품의 상태 정보와 함께 해당 VVVF 인버터 또는 보조 컨버터의 고장상태 정보를 기억 및 출력하는 컴퓨터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속철도차량의 브이브이브이에프 인버터 및 보조 컨버터진단 시스템에 의하여서는, 주행중인 고속철도차량에서 VVVF 인버터 및 보조 컨버터의 상태 정보는 물론 TCN통신의 WTB를 통해 입력되는 차량내 각종 전장 품들의 상태정보 및 차량의 주행속도와 주행위치 정보를 동시에 입력받아 VVVF 인버터 및 보조 컨버터의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 또한 실제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다수의 신호계측장치를 통하여 통신이 수행되므로 장치의 안정성을 미리 점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열차 내의 다기능 차량 버스(MVB: multifunctional vehicle bus) 상에 설치되는 메인 컨트롤러 보드와 주변기기들의 통신을 가상으로 시험하고 상태를 모니터하도록 함으로써 열차의 브레이크, 모터, 에어컨, 인버터, 선로전원장치 및 도어 컨트롤러와 같은 주변기기와 메인 컨트롤러 보드와의 통신상태를 확인하는 동시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른 동작상태를 시험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컨트롤러 보드를 대체하여 열차의 주변기기에 마스터 프레임을 전송하면서 주변기기의 슬레이브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주변기기의 컨트롤 보드를 대체하여 임의의 슬레이브 데이터를 메인 컨트롤 보드에 전송하도록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다른 정상동작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 기화 방법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의 메인 보드에서 제1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보드의 제어를 받는 전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동작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되,
상기 퍼스널 컴퓨터의 제1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다기능 차량 버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2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2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제3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주변기기들이 정상적인 동작이나 오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따른 센서신호를 전달하거나 주변기기에 메인 컨트롤러 보드의 정상동작이나 오동작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면서 상태를 측정하도록 하는 디버깅부(debugging)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프런트 패널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컨트롤러와,
전면의 프런트 패널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받으면서 표시하도록 하는 프런트 포트와,
상기의 프런트 포트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전압치를 변환하 면서 특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전류를 저지하도록 하는 트랜스포머 및 초크와,
상기 통신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트랜스포머 및 초크를 통하여 버스형의 멀티 통신을 수행하는 RS485통신 모뎀과,
상기 통신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으면서 통신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통신 메모리들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에 의하여서는 열차 내의 다기능 차량 버스(MVB: multifunctional vehicle bus) 상에 설치되는 메인 컨트롤러 보드와 주변기기들의 기능을 가상으로 수행하도록 한 상태에서, 주변기기들이 정상적인 동작이나 오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따른 센서신호를 전달하거나 주변기기에 메인 컨트롤러 보드의 정상동작이나 오동작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디버깅부의 신호에 의하여 메인 컨트롤러에서 통신을 시험하고 통신 상태를 모니터하도록 함으로써 열차의 브레이크, 모터, 에어컨, 인버터, 선로전원장치 및 도어 컨트롤러와 같은 주변기기와 메인 컨트롤러 보드와의 통신상태를 확인하는 동시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른 동작상태를 시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 보드를 대체하여 열차의 주변기기에 마스터 프레임을 전송하면서 주변기기의 슬레이브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주변기기의 컨트롤 보드를 대체하여 임의의 슬레이브 데이터를 메인 컨트롤 보드에 전송하도록 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다른 정상동작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모니터(2)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보드(3)와,
상기 메인 보드(3)의 제어를 받으며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데이터 인터페이스(4)와,
상기 메인 보드(3)의 제어를 받으며 동작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면 인터페이스(5)들로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1)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퍼스널 컴퓨터(1)의 제1 데이터 인터페이스(4)와 다기능 차량 버스(6)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 인터페이스(11)와,
상기 제2 데이터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12)와,
상기 제2 데이터 인터페이스(13)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1)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3)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3)와 제3 데이터 인터페이스(14)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주변기기들이 정상적인 동작이나 오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따른 센서신호를 전달하거나 주변기기에 메인 컨트롤러 보드의 정상동작이나 오동작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면서 상태를 측정하도록 하는 디버깅부(15)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전면판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사양이나 외부로부터의 산호를 입력받으면서 표시하는 프런트 포트(16)와,
상기의 프런트 포트(16)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이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전압치를 변환하면서 특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전류를 저지하도록 하는 트랜스포머 및 초크(17)와,
상기 트랜스포머 및 초크(19)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압치의 신호를 통신을 위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버스형의 멀티 통신을 수행하는 RS485통신 모뎀(18)과,
상기 메인 컨트롤러(13)의 제어를 받으면서 상기 RS485통신 모뎀(18)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사양이나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상기의 메인 컨트롤러(13)에 전달하는 통신 컨트롤러(19)와,
상기 통신 컨트롤러(19)의 제어를 받으면서 통신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통신 메모리(20)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3)의 제어를 받으면서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나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로직 메모리(22), 프래시 메모리(23) 및 SDRAM(24)의 메모리부(21)들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의 동작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는 다기능 차량 버스(MVB: multifunctional vehicle bus)를 통하여 실제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메인 컨트롤러 보드인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MVB: multifunctional vehicle bus master)(31)에 다기능 차량 버스(32)를 통하여 브레이크, 모터, 에어컨, 인버터, 선로전원장치 및 도어 컨트롤러와 같은 주변기기의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33)(33a)(33b)...(33n)를 연결함으로써 다기능 차량 버스(32)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열차의 운행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다기능 차량 버스(MVB: multifunctional vehicle bus)의 메인 컨트롤러 보드인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로 본 발명의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MVB: multifunctional vehicle bus master)의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41)에 다기능 차량 버스(42)를 통하여 브레이크, 모터, 에어컨, 인버터, 선로전원장치 및 도어 컨트롤러와 같은 주변기기의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43)(43a)(43b)...(43n)를 연결함으로써 차량 버스 테스터(41)가 다기능 차량 버스(32)를 통하여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43)(43a)(43b)...(43n)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각각의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43)(43a)(43b)...(43n)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가의 여부에 따른 테스터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4는 다기능 차량 버스(MVB: multifunctional vehicle bus)의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 중 하나로 본 발명의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MVB: multifunctional vehicle bus master)의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51)에 다기능 차량 버스(52)를 통하여 브레이크, 모터, 에어 컨, 인버터, 선로전원장치 및 도어 컨트롤러와 같은 주변기기의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53)(53b)...(53n)와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MVB: multifunctional vehicle bus slave)의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53a)를 연결함으로써 차량 버스 마스터(51)가 다기능 차량 버스(32)를 통하여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53)(53b)...(53n) 및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53a)와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각각의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53)(53b)...(53n) 및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53a)의 동작에 따라 차량 버스 마스터(5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가의 여부에 따른 테스터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의 초기화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와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를 다기능 차량 버스(6)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동작을 시작하도록 하면,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가 초기화를 수행하고(단계 60), 완료에 따른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 전송한다(단계 61).
그리고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 마스터 프레임 리스트를 전송하도록 요청한다(단계 62).
상기의 요청에 의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 마스터 프레임 리스트를 전송한다(단계 63).
상기의 마스터 프레임 리스트를 전송받은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리스트를 요청한다(단계 64).
상기의 요청에 의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 PCS 리스트를 전송한다(단계 65).
상기의 PCS 리스트에 의하여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서 PCS를 초기화한 후(단계 66),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 PCS 초기화를 완료하였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67).
상기의 PCS 초기화를 완료하였다는 메시지를 확인한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 통신을 위한 준비완료(READY)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68).
상기의 준비완료(READY) 메시지를 전송받은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 다기능 차량 버스(MVB)를 통한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을 초기화한 후(단계 69), 그에 따른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 준비(MVB READY)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70).
상기의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 준비(MVB READY) 메시지에 의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 통신을 위한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 시작을 요청한다(단계 71).
그리고 상기의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 시작 요청에 의하여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의 시작을 메시지로 알리는 동시에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31) 또 는 브레이크, 모터, 에어컨, 인버터, 선로전원장치 및 도어 컨트롤러와 같은 주변기기의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33)(33a)(33b)...(33n) 중 하나의 동작을 가상으로 수행하는 중에 디버깅부(15)를 통하여 설정한 정상적인 동작이나 오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따른 센서신호를 전달하거나 주변기기에 메인 컨트롤러 보드의 정상동작이나 오동작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면서 상태를 측정하도록 하는 장치의 동작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한다(단계 72).
그러므로 사용자가 차량 버스 테스터(10)를 메인 컨트롤러 보드인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 또는 브레이크, 모터, 에어컨, 인버터, 선로전원장치 및 도어 컨트롤러와 같은 주변기기의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 중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퍼스널 컴퓨터(1)를 통하여 설정한 상태에서 가상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퍼스널 컴퓨터(1)를 통한 설정에 의하여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로 설정한 경우에는 디버깅부(15)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거나 오동작을 하는 상태에 따른 명령을 다수의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그에 따른 결과를 다기능 차량 버스(6)를 통하여 메인 컨트롤러(13)에서 전달받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과에 따른 정보를 메인 컨트롤러(13)로부터 데이터 인터페이스(11)(4)를 통하여 전달받은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서는 모니터(2)를 통해 현재의 통신 상태는 물론 결과를 분석한 상태를 표시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메인 컨트롤러(13)에서는 통신 컨트롤러(19)와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프런트 포트(16)를 통하여 상기 퍼스널 컴퓨터(1)의 전면 인 터페이스(5)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입출력에 다른 정보를 직접 전달받도록 한다.
한편, 상기 퍼스널 컴퓨터(1)를 통한 설정에 의하여 차량 버스 테스터(10)를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로 설정한 경우에는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의하여 가상 작동하는 상태는 물론, 가상 작동을 수행하는 중에 디버깅부(15)에 의하여 오동작을 하는 상태에 따른 정보를 상기의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그에 따른 결과를 다기능 차량 버스(6)를 통하여 메인 컨트롤러(13)에서 전달받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과에 따른 정보를 메인 컨트롤러(13)로부터 데이터 인터페이스(11)(4)를 통하여 전달받은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서는 모니터(2)를 통해 현재의 통신 상태는 물론 결과를 분석한 상태를 표시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메인 컨트롤러(13)에서는 통신 컨트롤러(19)와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프런트 포트(16)를 통하여 상기 퍼스널 컴퓨터(1)의 전면 인터페이스(5)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입출력에 다른 정보를 직접 전달받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번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다기능 차량 버스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를 다기능 차량 버스의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로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를 다기능 차량 버스의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 중 하나로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의 초기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퍼스널 컴퓨터 3 : 메인 보드
10 :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13 : 메인 컨트롤러
15 : 디버깅부 17 : 통신 컨트롤러

Claims (3)

  1. 열차 내의 다기능 차량 버스 상에 설치되는 메인 컨트롤러 보드인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를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로 사용하거나 브레이크, 모터, 에어컨, 인버터, 선로전원장치 및 도어 컨트롤러인 주변기기의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 중 하나 이상을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로 사용하면서 통신을 가상으로 시험하고 상태를 모니터하도록 하여 주변기기와 메인 컨트롤러 보드와의 통신상태와 데이터에 따른 동작상태를 시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의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는,
    모니터(2)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보드(3)와,
    상기 메인 보드(3)의 제어를 받으며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1 데이터 인터페이스(4)와,
    상기 메인 보드(3)의 제어를 받으며 동작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면 인터페이스(5)들로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1)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퍼스널 컴퓨터(1)의 제1 데이터 인터페이스(4)와 다기능 차량 버스(6)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데이터 인터페이스(11)와,
    상기 제2 데이터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12)와,
    상기 제2 데이터 인터페이스(13)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1)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3)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3)와 제3 데이터 인터페이스(14)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주변기기들이 정상적인 동작이나 오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따른 센서신호를 전달하거나 주변기기에 메인 컨트롤러 보드의 정상동작이나 오동작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면서 상태를 측정하도록 하는 디버깅부(15)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13)의 제어를 받으면서 프런트 패널(16)과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컨트롤러(17)와,
    전면의 프런트 패널(16)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받으면서 표시하도록 하는 프런트 포트(18)와,
    상기의 프런트 포트(18)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전압치를 변환하면서 특정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전류를 저지하도록 하는 트랜스포머 및 초크(19)와,
    상기 통신 컨트롤러(17)의 제어를 받으면서 트랜스포머 및 초크(19)를 통하여 버스형의 멀티 통신을 수행하는 RS485통신 모뎀(20)과,
    상기 통신 컨트롤러(17)의 제어를 받으면서 통신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통신 메모리(21)들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2. 삭제
  3.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와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를 다기능 차량 버스(6)를 통해 연결한 상태에서 동작을 시작하도록 하여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가 초기화를 수행한 후, 완료에 따른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 마스터 프레임 리스트를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의 요청에 의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 마스터 프레임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의 마스터 프레임 리스트를 전송받은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 PCS 리스트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의 요청에 의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 PCS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의 PCS 리스트에 의하여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서 PCS를 초기화한 후,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 PCS 초기화를 완료하였다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의 PCS 초기화를 완료하였다는 메시지를 확인한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 통신을 위한 준비완료(READY)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의 준비완료(READY) 메시지를 전송받은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 다기능 차량 버스(MVB)를 통한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을 초기화한 후, 그에 따른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 준비(MVB READY)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의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 준비(MVB READY) 메시지에 의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서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 통신을 위한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 시작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의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 시작 요청에 의하여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10)의 메인 컨트롤러(13)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메인 보드(3)에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의 시작을 메시지로 알리는 동시에 다기능 차량 버스 마스터(31) 또는 브레이크, 모터, 에어컨, 인버터, 선로전원장치 및 도어 컨트롤러인 주변기기의 다기능 차량 버스 슬레이브(33)(33a)(33b)...(33n) 중 하나의 동작을 가상으로 수행하는 중에 디버깅부(15)를 통하여 설정한 정상적인 동작이나 오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따른 센서신호를 전달하거나 주변기기에 메인 컨트롤러 보드의 정상동작이나 오동작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면서 상태를 측정하도록 하는 장치의 동작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의 초기화 방법.
KR1020090066757A 2009-07-22 2009-07-22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 KR101165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57A KR101165398B1 (ko) 2009-07-22 2009-07-22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757A KR101165398B1 (ko) 2009-07-22 2009-07-22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81A KR20110009381A (ko) 2011-01-28
KR101165398B1 true KR101165398B1 (ko) 2012-07-19

Family

ID=4361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757A KR101165398B1 (ko) 2009-07-22 2009-07-22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9109A (zh) * 2013-05-22 2014-02-05 广东迅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安防型gps定位装置的自动化检测系统
ITUB20155877A1 (it) * 2015-11-25 2017-05-25 Tesmec Spa Metodo di comando di un convoglio di veicoli operativi per la manutenzione ferroviaria
CN111258836B (zh) * 2020-03-02 2024-01-23 浙江万里学院 一种多功能车辆总线一致性测试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993A (ja) * 2002-03-11 2003-09-16 Nissan Motor Co Ltd 車両データレコー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993A (ja) * 2002-03-11 2003-09-16 Nissan Motor Co Ltd 車両データレコ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381A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724B1 (ko) 멀티-포인트 직렬 링크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컴퓨터화된 자동차 정비 장치
CN107222362A (zh) 一种整车can网络自动化测试平台及其优化方法
CN102621436B (zh) 一种单车调试试验台及其采用的调试方法
CN207440601U (zh) 一种汽车仪表的can总线报文丢失测试系统
CN107472029A (zh) 车辆的高压故障检测方法及车辆
CN106598024B (zh) 一种缓速器信号模拟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165398B1 (ko) 다기능 차량 버스 테스터 및 그의 초기화 방법
CN113242532B (zh) 车辆通信设备、WiFi连接方法及车辆诊断系统
CN111049260B (zh) 一种用于监测铁路客运车辆交直流信号的系统
US9714970B2 (en) Method for measuring the presence of a high-voltage and establishing the absence of voltage
CN109946094A (zh) 机动车检测控制仪表及其控制电路、控制方法
CN210014916U (zh) 机动车检测控制仪表及其控制电路
KR100699549B1 (ko) 전기철도차량의 전동기 진동 가속도 측정 시스템
KR102138143B1 (ko) 프로토콜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열차자동방호장치 화면표시기
CN102343891B (zh) 车辆维修系统
CN101930233A (zh) Can总线控制器调试系统及调试方法
KR101826779B1 (ko) Asic의 제어 로직의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060077594A (ko) 고속철도차량의 브이브이브이에프 인버터 및 보조 컨버터진단 시스템
JPH0343841B2 (ko)
KR101146129B1 (ko) 배선 진단용 터미널 박스
KR20050060978A (ko) 다기능 차량 버스 통신을 이용한 신호계측 장치
KR100651194B1 (ko) 전기철도차량의 전장품상태 보조측정 시스템
CN210573254U (zh) 一种机动车检测控制系统
KR102097479B1 (ko) 전동차의 하부장치 고장정보 저장 및 분석시스템
JP2001133502A (ja) 異常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