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274B1 -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274B1
KR101165274B1 KR1020110106131A KR20110106131A KR101165274B1 KR 101165274 B1 KR101165274 B1 KR 101165274B1 KR 1020110106131 A KR1020110106131 A KR 1020110106131A KR 20110106131 A KR20110106131 A KR 20110106131A KR 101165274 B1 KR101165274 B1 KR 101165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cover bottle
generator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신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수 filed Critical 신현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F03D9/43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using infrastructure primarily used for other purposes, e.g. masts for overhead railway power lines
    • F03D9/46Tunnels or str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21S9/04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driven by wind power, e.g. by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로부터 교류를 얻고, 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표지병은, 터널 내의 도로 측면경계석 상부에 주행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고, 전,후방에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표지병과; 상기 표지병의 상판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축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력 발전기는, 상기 표지병의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입력축이 상판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와 연결된 발전기와; 상기 입력축에 장착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날개부와; 상기 회전 날개부의 둘레와 상부를 커버하게 상기 표지병의 상판에 고정되며, 둘레면의 전방 내측에서 후방까지 바람 유입개방부와 후방 하단에 이물질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부면에 전방 내측에서 후방까지 다수의 바람 배출홀이 형성된 바람 유입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병은, 상판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발전기의 측 둘레와 입력축의 둘레인 발전기의 상부를 방수되게 커버하는 발전기 장착용 방수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Delineator by using aerogenerator}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Delineato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로부터 교류를 얻고, 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지병은 터널 내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반사식으로 도로 경계를 표시해서 차량의 운전자가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인식하도록 한다.
즉, 터널 내에서 표지병은 차량의 전조등이 비추는 빛을 해당 차량 쪽으로 반사시켜 차량의 운전자가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인식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표지병의 반사율이 낮거나 커브(curve)가 있는 터널 내의 도로에서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표지병의 반사 빛을 인식하기가 어려워 결국, 해당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선등록된 20-0434737호에 의하면 제공된 표지병은 본체와, 상기 본체를 수직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을 통해 상기 본체를 상기 터널의 L형 측구에 고정하는 앵커볼트와,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는 다수의 마개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에 노출되는 다수의 램프가 실장된 회로기판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반사판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설치되는 분기관형태의 전선연결파이프와, 상기 전선열결파이프에 설치된 전선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회로와 축전기를 포함하며 터널의 외부에 설치된 제어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표지병은 발전소에서 공급되는 가용전원을 이용하여 램프에 공급하되, 축전기를 포함시켜 정전시에도 램프가 발광되게 함으로써, 안전유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널 안전유도용 표지병이나 외부 전원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설치비및 유지비가 많이 들며 국가적으로 많은 전력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널에서 차량이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로부터 교류를 얻고, 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용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풍력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축전하였다가 사용함에 따라, 정전과 관계없이 발광다이오드를 정상적으로 터널의 도로 측면 경계에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표지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풍력발전기를 구성하는 회전 날개부에 바람을 집중시켜 전기의 발전 성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표지병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표지병은, 터널 내의 도로 측면경계석 상부에 주행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고, 전,후방에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표지병과; 상기 표지병의 상판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축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력 발전기는, 상기 표지병의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입력축이 상판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와 연결된 발전기와; 상기 입력축에 장착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날개부와; 상기 회전 날개부의 둘레와 상부를 커버하게 상기 표지병의 상판에 고정되며, 둘레면의 전방 내측에서 후방까지 바람 유입개방부와 후방 하단에 이물질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부면에 전방 내측에서 후방까지 다수의 바람 배출홀이 형성된 바람 유입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병은, 상판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발전기의 측 둘레와 입력축의 둘레인 발전기의 상부를 방수되게 커버하는 발전기 장착용 방수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회전 날개부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원뿔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축에 삽입되는 회전 원뿔체와, 회전 원뿔체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날개부는, 상기 발전기의 입력축에 삽입되게 구비된 수직 원형봉과, 상기 수직 원형봉의 둘레 상부에 둘레로 돌출되게 구비된 원형판과, 상기 수직 원형봉의 둘레와 상기 원형판의 하면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호형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방에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는 전,후방 각각에 2개 씩 구비되고; 상기 축전부와 상기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연결선의 사이에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표지병의 전방 내측에는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부를 한 번 누르면 전방 또는 후방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시에 점등시키고, 스위치부를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전방 또는 후방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발광시키고, 스위치부를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누르면 전방 또는 후방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시에 소등시키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지병은,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주행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고, 전방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표지병과; 상기 표지병의 상부에 전방이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바람 통과유로를 가지는 상부 바람통과부와; 상기 상부 바람통과부에 구비된 상기 바람 통과유로의 바람 배출측인 후방과 표시병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 발전기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축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람통과부는, 상기 표지병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 측판과 상판을 포함하며, 내부에 전방의 내측에서 후방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판에 의해 상기 바람 통과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풍력 발전기는, 상기 표지병의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입력축이 상판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와 연결된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의 입력축에 삽입되게 구비된 수직 원형봉과 수직 원형봉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호형 날개로 구성된 회전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에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는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축전부와 상기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연결선의 사이에 구비된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표지병의 후방에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부를 한 번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가 동시에 점등되고, 스위치부를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발광하고, 스위치부를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시에 소등시키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지병은,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주행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고, 전방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표지병과; 상기 표지병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전방이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바람 통과유로가 형성된 반원뿔관과; 상기 바람 통과유로의 후방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축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력 발전기는, 상기 반원뿔관의 후방에 횡방향의 수평으로 구비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에 입력축이 관통되게 구비되어 수평판의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와 연결된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의 입력축에 삽입되게 구비된 수평 원형봉과 수평 원형봉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비틀림 날개로 구성된 회전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전방에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는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축전부와 상기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연결선의 사이에 구비된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표지병 상부의 후방 내측에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부를 한 번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가 동시에 점등되고, 스위치부를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발광하고, 스위치부를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시에 소등시키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지병은,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주행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고, 투명커버 내측에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표지병과; 상기 표지병의 상면 중앙에 축을 통해 결합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풍력발전기는, 중심부에 일 측이 방사형으로 결합되고 중앙에 반사띠가 가로로 형성되어 바람에 의해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 개의 수직형 날개와; 몸체 내부에서 상기 중심부의 중앙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에 제1기어가 결합된 중심부 축과;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기 중심부 축의 하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가로로 설치된 발전 축이 구비된 발전부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기 발전 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상기 복수 개의 수직형 날개의 회전력을 상기 발전 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발전부가 교류발전하도록 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축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직형 날개는 상기 중심부에 일 측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로부터 교류를 얻고 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기 때문에, 표지병의 반사율이 낮거나 커브가 있는 터널 내의 도로에서도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표지병의 빛을 인식하기가 용이해져 해당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쉽게 인식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축전하였다가 사용함에 따라, 정전시 발광다이오드를 정상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전시 차량의 충돌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를 구성하는 회전 날개부에 바람을 집중시켜 전기의 발전 성능을 향상시킴에 따라, 에너지를 좀 더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어 많은 경제적인 이득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표지병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단면도이며,
도 1c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표지병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표지병을 구성하는 회전 날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표지병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b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표지병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횡 단면도이며,
도 5c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요부 사시도이며,
도 6c는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d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지병 내부에 구비되어 풍력발전기가 생성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표지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표지병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단면도이며, 도 1c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표지병은,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설치되며 전,후방에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410)가 설치된 표지병(400)과, 상기 표지병(400)의 상판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300)와, 상기 표지병(4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교류/직류 변환부(340)와 축전부(3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지병(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주행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표지병(400)의 전방이 주행하는차량과 마주보게 터널 내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표지병(400)의 전,후방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410)는, 상기 축전부(35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에 의해 점등하여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풍력발전기(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지병(400)의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입력축이 상판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340)와 연결된 발전기(310)와; 상기 입력축에 장착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날개부(320)와; 상기 회전 날개부(320)의 둘레와 상부를 커버하게 상기 표지병(400)의 상판에 고정되며, 둘레면의 전방 내측에서 후방까지 바람 유입개방부(332)와 후방 하단에 이물질 배출구(333)를 형성하고, 상부면에 전방 내측에서 후방까지 다수의 바람 배출홀(334)이 형성된 바람 유입커버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람 유입커버부(330)는 날개(323)를 보호하고 바람 배출홀(334)을 통하여 공기를 위로 배출하며 공기저항을 줄여 준다.
상기 회전 날개부(320)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원뿔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축에 삽입되는 회전 원뿔체(322)와, 회전 원뿔체(322)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날개(323)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바람 유입개방부(332)로 유입된 바람이 상기 날개(323)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회전 원뿔체(322)의 외면을 타고 상부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회전 원뿔체(322)를 통해 바람의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람 배출홀(334)은, 원형홀이나 원호형의 장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원호형의 장홀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바람 유입커버부(330)의 둘레면에 형성된 바람 유입개방부(332)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을 유입 받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바람 유입커버부(33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바람 배출홀(334)들은 바람 유입커버부(330)로 유입된 바람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바람 유입개방부(332)를 통해 바람이 바람 유입커버부(330)로 집중되게 유입된 후 배출됨으로써, 상기 회전 날개부(320)의 회전 성능을 향상시켜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바람 유입개방부(332)를 통해 이물질이 들어와도 후방 하단에 형성된 이물질 배출구(333)로 빠져 나가게 된다.
또한,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3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력발전기와 연결되어 풍력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특정 전력을 유지하는 직류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전부(3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340)와 연결되어 교류/직류 변환부(34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표지병(400)의 전,후방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410)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지병(400)은, 상판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발전기(310)의 측 둘레와 입력축의 둘레인 발전기(310)의 상부를 방수되게 커버하는 발전기 장착용 방수캡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기 장착용 방수캡부(420)는, 상부가 발전기(310)의 입력축이 관통되는 상판으로 막혀있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체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발전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발전기 장착용 방수캡부(420)를 통해, 외부로 부터 수분이 발전기(3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풍력발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410)는 전,후방 각각에 2개 씩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풍력발전기는 축전부(350)와 상기 각각의 발광다이오드(410)를 연결하는 연결선의 사이에 구비된 제어부(360)가 구비된다. 아울러 표지병(400)의 전방 상부에는 상기 제어부(360)에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부(37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360)는, 스위치부(370)를 한 번 누르면 전방 또는 후방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410)가 동시에 점등되고, 스위치부(370)를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전방 또는 후방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410)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발광하고, 스위치부(370)를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누르면 전방 또는 후방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410)를 동시에 소등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스위치부(370)를 눌러 발광다이오드(410)를 제어하는 제어부(36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이다.
상기 전방 또는 후방의 발광다이오드(410)은 청색 발광다이오드와 백색 발광다이오드로 나누어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표지병의 적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설치되어 주행하는 차량과 마주보는 쪽으로 발광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은, 상기 회전 날개부(320)를 이용한 풍력발전기로부터 교류를 얻고 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서 발광다이오드(410)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기 때문에, 표지병(400)의 반사율이 낮거나 커브가 있는 터널 내의 도로에서도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표지병(400)의 빛을 인식하기가 용이해져 해당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쉽게 인식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축전하였다가 사용함에 따라, 정전시 발광다이오드(410)를 정상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전시 차량의 충돌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표지병을 구성하는 회전 날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회전 날개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전기(310)의 입력축에 삽입되게 구비된 수직 원형봉(324)과, 상기 수직 원형봉(324)의 둘레 상부에 둘레로 돌출되게 구비된 원형판(326)과, 상기 수직 원형봉(324)의 둘레와 상기 원형판(326)의 하면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호형 날개(328)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날개부(320)의 상부를 상기 원형판(326)으로 커버하고, 수직 원형봉(324)의 둘레와 원형판(326)의 하면에 다수의 원호형 날개(328)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진행시 발생되는 바람이 원호형 날개(328)의 중간 함몰부를 직접적으로 타격하면서 회전 날개부(320)를 회전시킴에 따라, 풍력발전기의 발전 효율을 좀 더 향상시키는 장점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표지병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b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표지병은,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설치되며 전방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610)가 설치된 표지병(600)과; 상기 표지병(600)의 상부에 전방이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바람 통과유로(624)를 가지는 상부 바람통과부(620)와; 상기 상부 바람통과부(620)에 구비된 상기 바람 통과유로(624)의 바람 배출측인 후방과 표시병의 후방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500)와; 상기 표지병(6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력발전기(500)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부(530)와; 상기 표지병(6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53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610)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축전부(5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지병(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주행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표지병(600)의 전방이 주행하는 차량과 마주보게 터널 내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표지병(600)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610)는, 상기 축전부(54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에 의해 점등하여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바람통과부(6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지병(6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양 측판과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에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전방이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기 바람 통과유로(624)가 구비된다.
상기 바람 통과유로(624)는, 상기 상부 바람통과부(620)의 내부에 전방의 내측에서 후방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판(622)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된 바람이, 상기 바람 통과유로(624)로 유입된 다음 후방으로 이동 배출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풍력발전기(500)를 작동시켜 발전을 일으키게 한다. 또한 상기 바람 통과유로(624)는, 전방이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짐에 따라 벤츄리효과를 얻을 수 있음에 따라, 작은 바람에도 풍력 발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풍력발전기(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지병(600)의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입력축이 상판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530)와 연결된 발전기(510)와; 상기 발전기(510)의 입력축에 삽입되게 구비된 수직 원형봉(522)과 수직 원형봉(522)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호형 날개(524)로 구성된 회전 날개부(5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수직 원형봉(522)의 둘레에 다수의 원호형 날개(524)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바람 통과유로(624)에서 배출되는 바람이 원호형 날개(524)의 중간 함몰부를 직접적으로 타격하면서 회전 날개부(520)를 회전시킴에 따라, 풍력발전기의 발전 효율을 좀 더 향상시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5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력발전기(500)와 연결되어 풍력발전기(500)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특정 전력을 유지하는 직류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전부(5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530)와 연결되어 교류/직류 변환부(53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표지병(60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610)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풍력발전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에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는 2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풍력발전기는 축전부(540)와 상기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연결선의 사이에 구비된 제어부(550)가 구비된다. 아울러 표지병(600)의 후방에는 상기 제어부(550)에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부(56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550)는, 스위치부(560)를 한 번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610)가 동시에 점등되고, 스위치부(560)를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610)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발광하고, 스위치부(560)를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610)를 동시에 소등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스위치를 눌러 발광다이오드(610)를 제어하는 제어부(55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설치되어 주행하는 차량과 마주보는 쪽으로 발광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은, 상기 회전 날개부(520)를 이용한 풍력발전기(500)로부터 교류를 얻고 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서 발광다이오드(610)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기 때문에, 표지병의 반사율이 낮거나 커브가 있는 터널 내의 도로에서도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표지병의 빛을 인식하기가 용이해져 해당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쉽게 인식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축전하였다가 사용함에 따라, 정전시 발광다이오드(610)를 정상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전시 차량의 충돌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표지병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횡 단면도이며, 도 5c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표지병은,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다가오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고, 전방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810)가 설치된 표지병(800)과; 상기 표지병(800)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전방이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바람 통과유로(824)가 형성된 반원뿔관(820)과; 상기 바람 통과유로(824)의 후방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700)와; 상기 표지병(8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력발전기(700)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부(730)와; 상기 표지병(8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73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810)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축전부(7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지병(8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주행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표지병(800)의 전방이 주행하는 차량과 마주보게 터널 내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표지병(800)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810)는, 상기 축전부(74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에 의해 점등하여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반원뿔관(8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지병(800)의 상판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내부에 전방이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바람 통과유로(824)를 형성한다.
따라서 차량의 이동에 의해 발생된 바람이, 상기 바람 통과유로(824)로 유입된 다음 후방으로 이동 배출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풍력발전기(700)를 작동시켜 발전을 일으키게 한다.
또한, 상기 풍력발전기(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원뿔관(820)의 후방에 횡방향의 수평으로 구비된 수평판(712)과, 상기 수평판(712)에 입력축이 관통되게 구비되어 수평판(712)의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730)와 연결된 발전기(710)와, 상기 발전기(710)의 입력축에 삽입되게 구비된 수평 원형봉(722)과 수평 원형봉(722)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비틀림 날개(724)로 구성된 회전 날개부(7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수평 원형봉(722)의 둘레에 다수의 비틀림 날개(724)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바람 통과유로(824)에서 통과되는 바람이 비틀림 날개(724)들을 직접적으로 타격하면서 회전 날개부(720)를 회전시킴에 따라, 풍력발전기(700)의 발전 효율을 좀 더 향상시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7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력발전기(700)와 연결되어 풍력발전기(700)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특정 전력을 유지하는 직류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전부(7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730)와 연결되어 교류/직류 변환부(73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표지병(800)의 전방과 후방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810)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풍력발전기(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810)는 2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풍력발전기(700)는 축전부(740)와 상기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연결선의 사이에 구비된 제어부(750)가 구비된다. 아울러 표지병(800)의 후방 내측에는 상기 제어부(750)에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부(76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750)는, 스위치부(760)를 한 번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810)가 동시에 점등되고, 스위치부(760)를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810)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발광하고, 스위치부(760)를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810)를 동시에 소등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스위치부(760)를 눌러 발광다이오드(810)를 제어하는 제어부(75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내의 도로 측면에 설치되어 진행하는 차량과 마주보는 쪽에서 발광을 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은, 상기 회전 날개부(720)를 이용한 풍력발전기(700)로부터 교류를 얻고 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서 발광다이오드(810)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기 때문에, 표지병(800)의 반사율이 낮거나 커브가 있는 터널 내의 도로에서도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표지병(800)의 빛을 인식하기가 용이해져 해당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쉽게 인식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전기(710)에서 생산된 전기를 축전하였다가 사용함에 따라, 정전시 발광다이오드(810)를 정상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전시 차량의 충돌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요부 사시도이며, 도 6c는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d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표지병은,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설치되며 내측에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210)가 설치된 표지병(200)과, 상기 표지병의 상면 중앙에 축(160)을 통해 결합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100)와, 상기 표지병(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교류/직류 변환부(170)와 축전부(1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지병(200)은,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주행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표지병(200)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210)는, 상기 축전부(18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에 의해 점등하여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한다. 이때 표지병(200)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210)의 주변면은 반사경으로 형성되고 표지병(200)의 덮개는 확대경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풍력발전기(100)는, 중심부(124)에 일 측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수직형 날개(120); 몸체(110) 내부에서 상기 중심부(124)의 중앙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에 제1기어(140)가 결합된 중심부 축(142); 상기 몸체(110) 내부에서 상기 중심부 축(142)의 하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가로로 설치된 발전 축(134)이 구비된 발전부(130); 및 상기 몸체(110) 내부에서 상기 발전 축(134)에 결합되고 상기 제1기어(140)와 맞물려 상기 복수 개의 수직형 날개(120)의 회전력을 상기 발전 축(134)으로 전달하여 상기 발전부(130)가 교류발전하도록 하는 제2기어(132)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수직형 날개(120)는, 중심부(124)에 일 측이 방사형으로 결합되고 중앙에 반사띠(122)가 가로로 형성되어 바람에 의해 중심부(12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복수 개의 수직형 날개(120)는 중심부(124)에 일 측이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즉, 중심부(124)는 전면의 팽이형상의 돌출부 및 그 돌출부에 연장된 봉을 포함한다.
상기 제1기어(140)의 톱니 개수는 제2기어(132)의 톱니 개수보다 많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기어(140)가 1회전 할 때 제2기어(132)는 1회전을 넘게 회전한다. 이는 제1,제2기어(140, 132)의 톱니 개수 비율에 비례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지병 내부에 구비되어 풍력발전기가 생성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1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 풍력발전기(100)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특정 전력을 유지하는 직류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전부(18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표지병(200)의 내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210)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설치되어 차량 쪽으로 발광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말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은, 상기 수직형 날개(120)를 이용한 풍력발전기로부터 교류를 얻고 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서 발광다이오드(210)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기 때문에, 표지병의 반사율이 낮거나 커브가 있는 터널 내의 도로에서도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표지병의 빛을 인식하기가 용이해져 해당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쉽게 인식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축전하였다가 사용함에 따라, 정전시 발광다이오드(210)를 정상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전시 차량의 충돌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표지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표지병의 다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 날개가 표지병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수직형 날개가 포함된 수직형 풍력발전기는 표지병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풍력발전기
110 : 몸체
120 : 수직형 날개
122 : 반사띠
124 : 중심부
130 : 발전부
132 : 제2기어
134 : 발전 축
140 : 제1기어
142 : 중심부 축
160 : 축
170 : 교류/직류 변환부
180 : 축전부
200 : 표지병
210 : 발광다이오드
300 : 풍력발전기
310 : 발전기
320 : 회전 날개부
322 : 회전 원뿔체
323 : 날개
324 : 수직 원형봉
326 : 원형판
328 : 원호형 날개
330 : 바람 유입커버부
332 : 바람 유입개방부
333 : 이물질 배출구
334 : 바람 배출홀
340 : 교류/직류 변환부
350 : 축전부
360 : 제어부
370 : 스위치부
400: 표지병
410: 발광다이오드
420 : 발전기 장착용 방수캡부
500 : 풍력발전기
510 : 발전기
520 : 회전 날개부
522 : 수직 원형봉
524 : 원호형 날개
530 : 교류/직류 변환부
540 : 축전부
550 : 제어부
560 : 스위치부
600: 표지병
610 : 발광다이오드
620 : 상부 바람통과부
622 : 경사판
624 : 바람 통과유로
700 : 풍력발전기
710 : 발전기
712 : 수평판
720 : 회전 날개부
722 : 수평 원형봉
724 : 비틀림 날개
730 : 교류/직류 변환부
740 : 축전부
750 : 제어부
760 : 스위치부
800: 표지병
810 : 발광다이오드
820 : 반원뿔관
824 : 바람 통과유로

Claims (15)

  1.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주행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고, 전,후방에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표지병과;
    상기 표지병의 상판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축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력 발전기는, 상기 표지병의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입력축이 상판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와 연결된 발전기와;
    상기 입력축에 장착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날개부와;
    상기 회전 날개부의 둘레와 상부를 커버하게 상기 표지병의 상판에 고정되며, 둘레면의 전방에서 내측에서 후방까지 바람 유입개방부와 후방 하단에 이물질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부면에 전 방 내측에서 후방까지 다수의 다수의 바람 배출홀이 형성된 바람 유입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병은, 상판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발전기의 측 둘레와 입력축의 둘레인 발전기의 상부를 방수되게 커버하는 발전기 장착용 방수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날개부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원뿔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축에 삽입되는 회전 원뿔체와, 회전 원뿔체의 둘레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날개부는,
    상기 발전기의 입력축에 삽입되게 구비된 수직 원형봉과,
    상기 수직 원형봉의 둘레 상부에 둘레로 돌출되게 구비된 원형판과,
    상기 수직 원형봉의 둘레와 상기 원형판의 하면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호형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에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는 전,후방 각각에 2개 씩 구비되고;
    상기 축전부와 상기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연결선의 사이에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표지병의 전방 내측에는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부를 한 번 누르면 전방 또는 후방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시에 점등시키고, 스위치부를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전방 또는 후방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발광시키고, 스위치부를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누르면 전방 또는 후방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시에 소등시키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5. 삭제
  6.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주행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고, 전방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표지병과;
    상기 표지병의 상부에 전방이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바람 통과유로를 가지는 상부 바람통과부와;
    상기 상부 바람통과부에 구비된 상기 바람 통과유로의 바람 배출측인 후방과 표시병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축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람통과부는, 상기 표지병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 측판과 상판을 포함하며, 내부에 전방의 내측에서 후방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판에 의해 상기 바람 통과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기는,
    상기 표지병의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입력축이 상판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와 연결된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의 입력축에 삽입되게 구비된 수직 원형봉과 수직 원형봉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호형 날개로 구성된 회전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에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는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축전부와 상기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연결선의 사이에 구비된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표지병의 후방에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부를 한 번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가 동시에 점등되고, 스위치부를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발광하고, 스위치부를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시에 소등시키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10.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주행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고, 전방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표지병과;
    상기 표지병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전방이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바람 통과유로가 형성된 반원뿔관과;
    상기 바람 통과유로의 후방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축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풍력 발전기는, 상기 반원뿔관의 후방에 횡방향의 수평으로 구비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에 입력축이 관통되게 구비되어 수평판의 후방에 고정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와 연결된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의 입력축에 삽입되게 구비된 수평 원형봉과 수평 원형봉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통과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비틀림 날개로 구성된 회전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에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는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축전부와 상기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를 연결하는 연결선의 사이에 구비된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표지병 상부의 후방 내측에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부를 한 번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가 동시에 점등되고, 스위치부를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발광하고, 스위치부를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누르면 내측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를 동시에 소등시키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13. 터널 내의 도로 측면 경계석에 주행하는 차량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터널 내의 도로 경계를 표시하고, 투명커버 내측에는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표지병과;
    상기 표지병의 상면 중앙에 축을 통해 결합되어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풍력발전기는, 중심부에 일 측이 방사형으로 결합되고 중앙에 반사띠가 가로로 형성되어 바람에 의해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복수 개의 수직형 날개와;
    몸체 내부에서 상기 중심부의 중앙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에 제1기어가 결합된 중심부 축과;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기 중심부 축의 하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가로로 설치된 발전 축이 구비된 발전부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상기 발전 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상기 복수 개의 수직형 날개의 회전력을 상기 발전 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발전부가 교류발전하도록 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풍력발전기로부터 제공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표지병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직류를 충전했다가 방전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켜 터널 내의 도로 경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축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직형 날개는 상기 중심부에 일 측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14. 삭제
  15. 삭제
KR1020110106131A 2011-07-21 2011-10-17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KR101165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55 2011-07-21
KR20110072655 2011-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274B1 true KR101165274B1 (ko) 2012-07-19

Family

ID=4671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131A KR101165274B1 (ko) 2011-07-21 2011-10-17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2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468B1 (ko) * 2015-03-19 2017-07-27 유용선 풍력 및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교통안내표시 시스템
EP3686425A4 (en) * 2017-09-21 2021-11-24 Palmerin Rodriguez, Mª Cristina WIND GENERATOR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79Y1 (ko) * 2001-03-13 2001-10-08 이계선 태양전지를 이용한 엘이디 안전유도등
JP2008144550A (ja) * 2006-12-13 2008-06-26 Takasyu Co Ltd 発電装置付防風,防雪,防砂,防塵柵
KR100981365B1 (ko) * 2009-01-28 2010-09-10 주식회사 지에이 차량의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79Y1 (ko) * 2001-03-13 2001-10-08 이계선 태양전지를 이용한 엘이디 안전유도등
JP2008144550A (ja) * 2006-12-13 2008-06-26 Takasyu Co Ltd 発電装置付防風,防雪,防砂,防塵柵
KR100981365B1 (ko) * 2009-01-28 2010-09-10 주식회사 지에이 차량의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468B1 (ko) * 2015-03-19 2017-07-27 유용선 풍력 및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교통안내표시 시스템
EP3686425A4 (en) * 2017-09-21 2021-11-24 Palmerin Rodriguez, Mª Cristina WIND GENERATO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274B1 (ko)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KR101145765B1 (ko)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델리네이터
CN209355141U (zh) 一种检修方便的城市智慧照明路灯
KR200452191Y1 (ko) 바람개비 조형물
CN107448871A (zh) 一种可排风的导光筒
KR200468885Y1 (ko) 하이브리드 가로등
CN105180063A (zh) 一种可旋转式彩色led点光源
JP4927469B2 (ja) 照明表示塔
KR100915173B1 (ko) 풍력에 의한 발광수단을 갖는 차량 시선유도봉
CN107420845B (zh) 一种具有走马灯功能的导光装置
KR20110128381A (ko) 풍력과 태양광전지를 이용한 길안내 중앙분리대
KR20060061502A (ko) 도로 표시등
KR101654729B1 (ko) 하이브리드 발전식 등명기
JP5558169B2 (ja) 自発光視線誘導標
KR100358396B1 (ko) 풍력 및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차량안내장치
CN104421817B (zh) 自发光道边灯
KR101960263B1 (ko) 도로용 안내유도봉
KR101698060B1 (ko) 모듈형 풍력발전장치
KR20130011480A (ko) 수평형 풍력발전기를 구비한 표지병
KR200308364Y1 (ko) Led램프가 구비된 십자가
KR200434737Y1 (ko) 터널안전유도용 표지병
CN209975390U (zh) 一种多棱灯光反射建筑施工保护用警示设备
KR100933468B1 (ko) 도로변에 설치되는 풍력 발전장치
KR100989221B1 (ko) 소형풍력발전기를 이용한 고속화도로등
CN215235380U (zh) 太阳能喷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