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098B1 - 주름개선 기능성 효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개선 기능성 효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098B1
KR101165098B1 KR1020050078699A KR20050078699A KR101165098B1 KR 101165098 B1 KR101165098 B1 KR 101165098B1 KR 1020050078699 A KR1020050078699 A KR 1020050078699A KR 20050078699 A KR20050078699 A KR 20050078699A KR 101165098 B1 KR101165098 B1 KR 101165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st extract
yeast
stress
hydrolyz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109A (ko
Inventor
김관철
류근석
신경훈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50078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098B1/ko
Publication of KR2007002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효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효모 추출물을 이용한 주름개선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효모에 가수분해 실크 단백질을 첨가하여 배양하면서 효모 생장에 적절하지 않은 온도와 자외선으로 스트레스를 가하여 피부에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게 한 스트레스 효모 추출물, 상기 스트레스 효모추출물을 가수분해한 가수분해 스트레스 효모추출물, 또는 상기 가수분해 스트레스 효모추출물에 구리 이온을 첨가한 구리-가수분해 스트레스 효모추출물을 원료로 한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름개선 기능성 효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Method for producing an extract of Sacchromyces cerevisiae and 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it}
본 발명은 효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효모가 가지고 있는 콜라겐 생성 증진 및 성유아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기능을 강화시킨 효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여러 가지 내.외적인 요인에 의하여 노화가 이루어진다. 세포의 활성 저하로 인한 항산화 효소(SOD: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의 생합성이 감소 되거나, 자외선에 의한 활성산소발생, 세포의 유전자 변형 등이 피부의 노화를 가져오게 된다.
피부 노화의 대표적인 예가 피부주름이 될 것이다. 주름은 피부의 진피를 구성하고 있는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세포외기질(ECM: Extra cellular metrix)을 이루고 있는 섬유단백질이 분해되거나, 콜라겐을 생성하는 세포인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활성이 감소함으로 인해 콜라겐 등의 섬유단백질 합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주름개선 화장품은 항산화 효과를 갖는 물질 내지는 콜라겐을 분해하는 콜라게나제(collagenase)를 억제하는 물질들이 사용되거나, 섬유단백질을 생성하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증식 및 활성을 촉진하는 물질을 공급하는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효과를 가진 물질로는 비타민 A 유도체, 비타민 C 유도체, AHA, 세포활성 펩타이드 등이 있으며, 화장품의 주름개선 원료로 사용이 되고 있다.
효모(Sacchromyces cerevisiae)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식품 분야에서는 안전하고 단백질, 미네랄, 베타글루칸 등의 영양이 풍부한 식품원료로 알려져 있으며 화장품에서도 효모의 세포벽을 이루고 있는 베타글루칸이나 효모추출물 등이 보습의 기능을 갖는 원료로서 사용이 되고 있으며, 미국 등에서는 상처치유(화상, 치질) 등의 목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다.
효모의 피부 유용성은 1970년대부터 연구가 되어왔으며, 효모가 상처 치유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들은 계속되어왔다.[Goodson W, Hohn D, Hunt TK, Leung DY. Augmentation of some aspects of wound healing by a "skin respiratory factor", J. Sur. Res.1976 21:125~129, Crowe MJ, McNeill RB, Schlemm DJ, Greenhalgh DG, Keller SJ. Topical application of yeast extract accelerates the wound healing of diabetic mice.J Burn Care Rehabil. 1999 Mar-Apr;20(2):155-62.] 효모추출물(Yeast Extract)이 섬유아세포의 활성을 증진시키고,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처치유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효모는 배양 환경에 따라 혐기적 또는 호기적으로 반응하고 또 환경이 좋지 않을 때에는 생장을 중지하고, 이형 접합 등을 통해 외부의 열악한 환경에 대처하는 등 다른 미생물과는 달리 외부의 영향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기능이 있으며, 모든 유기체는 스트레스를 처음 지각하면 스트레스에 대항하여 경고반응이 나타나서 신체자원을 동원하는 생리적 각성 반응이 나타나다가, 스트레스가 계속되면 유기체는 저항단계에 들어가서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노력이 효과가 있어 생리적 변화는 안정된다(Seyle,1956 )는 사실을 근거로 효모에 스트레스를 주어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여 응용하는 연구(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16210, 항 스트레스 기능, 항피로 기능 및 뇌신경영양인자로서의 기능을 갖는 효모 유래 기능성 펩타이드 및 그 제조방법)가 진행되어 왔다. 이와 동일한 기작으로 효모에 피부가 받는 스트레스(자외선 및 열, 산화 조건 등)와 유사한 환경을 가하였을 때 효모가 생산하는 단백질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았을 때와는 다르며 자외선으로 인한 세포의 손상을 더욱 줄여준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Fardon Jc et al., Stimulating materials obtained from injured and killed cells. Nature 139:589, 미국특허 Patant No.: US 6,461,857, Producing water-soluble yeast extract by adding peroxide to growing yeast cells].
이와 같이 효모의 유용성을 이용하려는 연구들이 지속 되어왔고, 세포의 배양 조건을 변화시키거나, 특정물질을 넣고 배양하는 등의 연구가 수행되어, 현재 화장품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효모의 유용성을 증진시켜 주름개선 소재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주름개선 효과가 향상된 효모추출물을 개발하려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모가 가지고 있는 콜라겐 생성 증진 및 섬유아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기능을 강화시키는 효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수분해 실크가 첨가된 효모 배양 배지에서 온도 및 자외선 스트레스를 부여하여 효모를 배양하는 단계와, 배양된 효모를 자가소화시켜 효모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효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효모 추출물에 트립신을 첨가하여 효모 추출물을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가수분해 효모 추출물에 구리 이온을 첨가하여 착화합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효모 조성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가수분해 실크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한다. 배양시 효모가 죽지 않을 정도의 온도, 예를 들면 35℃-45℃의 온도 및 자외선 스트레스를 부여하여 준다. 배양된 효모를 자가소화시켜 효모 추출물을 얻는다. 이와 같이 가수분해 실크가 첨가된 배양 배지에서 온도 및 자외선 스트레스를 받고 배양된 스트레스 효모 추출물은 콜라겐 생성 증진 및 섬유아세포 증식을 촉진한다.
본 발명에서 효모 배양 배지에 첨가되는 가수분해 실크는 화장품 원료 및 식품의 원료로서 꾸준히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서도 사용이 되고 있고, 실크 단백질이 가지고 있는 기능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실크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 중의 하나인 피브로인(Fibroin)은 해당과정을 촉진하고 인슐린에 대한 민감도를 향상시켜 당대사를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으며[Hyun CK, Kim IY et al., Soluble fibroin enhances insulin sensitivity and glucose metabolism in 3T3-L1 adipocyte. J Nutr. 2004 Dec;134(12):3257-63], 특히 화장품에서의 보습 및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화장품에 이용 및 그의 응용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여주홍 등, 가잠 실크 피브로인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품 개발. 한국 잠사학회지 45회 춘계학술연구 발표회,2002,56-56; 김정호, 실크 세리신의 가수분해 특성과 응용 II. 수용성 세리신의 특성과 피부에의 응용.한국 잠사학회지. 2003년 45권, 1호,58-65].
상기에서 얻어진 효모 추출물에 트립신을 첨가하여 효모 추출물을 가수분해하여 가수분해 스트레스 효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트립신(trypsin) 처리 시 시간은 1-6시간까지, 25% 효모 추출액 10ml당 트립신 5000 내지 5만 유닛을 첨가할 수 있으며, 반응이 일어나는데 충분한 시간과 트립신 양으로 가수분해 반응을 유도한다.
효모 추출물을 가수분해한 것은 단백질이 가수분해되어 형성되는 저분자의 펩타이드가 생체 내에서 신호전달 물질의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피부에서도 섬유아세포가 펩타이드에 의해서 콜라겐 합성이 조절된다는 연구[Wiestner, M. et al. (1979) J. Biol. Chem. 254, 10482~10484, Paglia, L. M. et al. (1979) Biochemistry 18, 5030~5034]와 함께 사람 콜라겐 Ⅰ형(human α1(I) procollagen) 프로콜라겐의 C-말단의 일부 펩타이드를 사람의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에 첨가하면 콜라겐 Ⅰ형(collagen Ⅰ), 콜라겐 Ⅲ형과 피브로넥틴(fibronectin)의 합성이 강화된다[ K. Katayama et al. (1991), Biochemistry, 30, 7097, K. Katayama et al . (1993), J. Biol. Chem. 268(14), 9941, Aycock, R.S. et. al.(1986), J. Biol. Chem. 261, 14355]고 알려져 있는 사실을 기초로 하여, 저분자화된 펩타이드 생성으로 섬유아세포의 증식 촉진 및 콜라겐 생성을 증가시키려 하였다.
상기 가수분해 효모 추출물에 구리 이온을 첨가하여 저분자의 펩타이드와 착화합물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구리-가수분해 스트레스 효모 추출물도 스트레스 효모 추출물 및 가수분해 효모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섬유아세포의 증식 촉진 및 콜라겐 생성을 증가시킨다.
구리는 피부와 관련된 많은 과정(예: 콜라겐, 엘라스틴 및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생성)의 자극을 기초로 하여 많은 유익한 생물학적 및 화장품에의 적용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Monboisse et al., Stimulation of Collagen Synthesis in Fibroblast Cultures by the Tripeptide-Copper Complex Glycyl-L-Histidyl-L- Lysine-Copper(2+), FEBS Lett. 238(2): 343-346, 1988; Wegrowski, et al., Stimulation of Sulfated Glycosaminoglycan Synthesis by the Tripeptide-Copper Complex Glycyl-L-Histidyl-L-Lysine-Copper(2+). Life Sciences 51: 1049-1056,1992; Maguart et al., In Vivo Stimulation of Connective Tissue Accumulation by the Tripeptide-Copper Complex Glycyl-L-Histidyl-L-Lysine-Copper(2+) in Rat Experimental Wounds. J. Clin. Invest. 92: 2368-2376, 1993].
하지만, 구리염 단독으로는 이러한 적용에 효과가 없거나 심지어 억제성이 있다. 구리는 생물학적으로 허용되는 형태로 전달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구리가 생물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분자(예: 펩타이드)와 착물을 형성하는 경우, 이는 세포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모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효모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01 내지 10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효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보통의 성분,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색소, 킬레이트제, 증점제, 방부제, 향료, 산화방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파우더, 연고, 에멀젼, 스프레이, 서스펜션, 미용액 등의 통상의 화장료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첨가제와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 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스트레스 효모 추출물의 제조
효모는 효모균(baker's yeast)으로 잘 알려진 Saccaromyces cerevisiae 7904를 생명공학연구소(KCTC)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배양시에 가수분해된 실크를 첨가하였다. 가수분해 실크는 실크 단백질을 가수분해한 것으로 분자량 약 2000 정도의 것을 사용하였다. 기본 배지는 효모배양시 많이 사용되는 YPD(yeast extract 1%, peptone 2%, dextrose 2%)배지를 사용하였으며, 가수분해 실크를(10% 수용액) 10%를 첨가하고 가압살균(115℃, 1.5기압, 15분)하여 사용하였다.
효모 배양시 효모 생장에 적절하지 않은 온도인 35℃-45℃정도로 하여 온도 스트레스를 부여하였고, 자외선 UVB램프(285nm-350nm, Waldmann Low press lamp TL 20W/12)를 이용하여 자외선 스트레스를 부여하였다. 배양은 48시간 동안 이루어졌으며, 효모의 생장률은 스트레스를 부여하지 않은 효모의 생장률을 기준으로 80~90%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효모의 생장률은 효모 배양액의 흡광도를 640nm에서 측정하여 스트레스를 부여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였다.
배양된 효모의 배양액을 15,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남은 효모를 생리식염수로 2~3회 세척 및 원심분리를 반복하여 효모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효모를 53℃에서 24시간 동안 자가소화를 실시하였으며, 자가소화 후 15,000rpm으로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동결건조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25% 효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가수분해 스트레스 효모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효모 추출물을 트립신 처리하여 효모 추출물을 가수분해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효모 추출물(25% 수용액) 10ml당 트립신(Sigma, T-4665) 4만 유닛(unit)을 첨가한 후 pH 7~9, 45℃에서 4시간 반응하여 분자량이 작은 펩타이드 생성을 유도하여 가수분해 스트레스 효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구리-가수분해 스트레스 효모 추출물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가수분해 효모 추출물에 총 구리 이온 농도가 15ppm이 되도록 CuCl2를 첨가하여 저분자의 펩타이드와 착화합물 형성을 유도하였다.
비교예1 . 효모 추출물의 제조
상기의 실시예와 주름개선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조건으로 배양한 효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세하게는 효모를 24℃에서 YPD배지를(yeast extract 1%, peptone 2%, dextrose 2%)가압살균하여 효모를 배양하였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자가소화하여 효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효모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농도에 따른 세포증식효과 및 콜라겐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비교예와 실시예 1, 2, 3 모두 0.45㎛ 필터로 여과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농도에 따른 세포증식 효과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효모 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증식 효과 실험을 하였다.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 에 세포의 농도가 5×104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효모 추출물 수용액을 농도별(2%, 1%, 0.5%, 0.25%, 0.125%)로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로 희석하여 교체한 후 72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버린 후 MTT용액 [3-(4,5-디메틸아졸-2-일)2,5-디페닐레트라졸륨 브로마이드: 2㎎/㎖]을 각 웰에 50㎕씩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37℃에서 추가 배양하였고, 디메틸설폭사이드를 150㎕ 가하여 10분간 진탕한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세포증식의 효과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하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농도 (v/v%) 흡광도 (비교예 1) 증식률(%) 흡광도 (실시예1) 증식률(%) 흡광도 (실시예2) 증식률(%) 흡광도 (실시예3) 증식률(%)
대조군 0.247 100.0 0.247 100.0 0.247 100.0 0.247 100.0
0.031 0.262 106.1 0.276 111.7 0.260 105.2 0.318 128.6
0.063 0.281 113.8 0.285 115.4 0.272 110.1 0.342 138.5
0.125 0.288 116.6 0.291 117.9 0.256 103.5 0.353 143.0
0.25 0.310 125.5 0.341 137.9 0.367 148.8 0.374 151.3
0.5 0.355 143.7 0.360 145.7 0.367 148.7 0.381 154.1
위 결과로 효모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증식 효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효모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효모추출물의 콜라겐 생성 증진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수준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실험하였다.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에 세포의 농도가 5×104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10% FBS(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된 DMEM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효모 추출물 수용액을 농도별(2%, 1%, 0.5%, 0.25%, 0.125%)로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으로 희석한 배지로 교체한 후 72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액의 상층액을 모아 프로콜라겐 타입 C-펩타이드(PICP) 양을 키트(TAKARA BIO inc., MK101)를 이용하여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으며, 동일과정을 3회 실시하여 콜라겐 양 합성의 평균값을 얻었다.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3의 프로콜라겐 생성률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콜라겐 양의 단위는 ng/ml이다.
농도(%) 콜라겐 양 비교예1 합성률(%) 콜라겐 양 실시예 1 합성률(%) 콜라겐 양 실시예 2 합성률(%) 콜라겐 양 실시예 3 합성률(%)
대조군 64.17 100.00 64.17 100.00 64.17 100.00 64.17 100.00
0.031 96.56 150.48 120.05 187.05 151.17 235.58 157.46 245.33
0.063 83.35 129.89 95.90 149.42 137.98 215.00 160.48 250.05
0.125 80.56 125.54 88.27 137.54 117.31 182.79 140.92 219.58
0.25 77.58 120.90 80.82 125.94 103.60 161.42 93.34 145.42
콜라겐 생성량은 일정량이상에서는 합성률이 감소하였으나, 0.031~0.063% 농도 사이에서는 합성량이 최대인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콜라겐합성을 촉진하는 펩타이드가 낮은 농도(0.000001%~0.001%)에서도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대한민국공개특허 2005-0006004)으로 판단할 때 비교예 1 및 실시예 1 , 2, 3의 효모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는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나 농도가 높아지면 증가한 콜라겐 생성이 감소 경향을 보여 효모추출물이 콜라겐 생성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정 농도범위(0.01%~1%)로 사용할 때 콜라겐 합성효과가 가장 많이 증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가수분해 실크를 첨가하여 스트레스조건에서 배양한 스트레스 효모추출물, 가수분해 스트레스 효모추출물, 구리-가수분해 스트레스 효모추출물이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에 사용한 실시예를 아래와 같이 나타내며, 본 발명이 하기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4. 화장수
성분 함량(단위:중량%)
글리세린 0.5
1,3-부틸렌글리콜 4
에탄올 8
EDTA-Na2 0.02
알란토인 0.1
효모추출물 0.001~10.0
HCO60 0.2
적량
메칠파라벤 적량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적량
정제수 To 100
합계 100
실시예 5. 로션
성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0.5
에탄올 10.0
바세린 1.0
스쿠알란 2.5
유동파라핀 2.5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5
1,3-부틸렌글리콜 8.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0.05
트리에탄올아민 0.8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효모추출물 0.001~10.0
정제수 To 100
합계 100
실시예 6. 크림
성분 함량(단위:중량%)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 2.0
스테아릴알코올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5.0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효모추출물 0.001~10.0
방부제 적량
적량
증류수 To 100
합계 100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모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스트레스 효모추출물, 가수분해 스트레스 효모추출물 및 구리-가수분해 스트레 스 효모추출물이 사람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콜라겐생성을 증진시켜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나며, 화장료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Claims (6)

  1. 가수분해 실크가 첨가된 효모 배양 배지에서 온도 및 자외선 스트레스를 부여하여 효모를 배양하는 단계와,
    배양된 효모를 자가소화시켜 효모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모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 추출물에 트립신을 첨가하여 효모 추출물을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모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효모 추출물에 구리 이온을 첨가하여 착화합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모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25% 효모 추출액 10ml당 트립신 5000 내지 5만 유닛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모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온도 스트레스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모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050078699A 2005-08-26 2005-08-26 주름개선 기능성 효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165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699A KR101165098B1 (ko) 2005-08-26 2005-08-26 주름개선 기능성 효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699A KR101165098B1 (ko) 2005-08-26 2005-08-26 주름개선 기능성 효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109A KR20070024109A (ko) 2007-03-02
KR101165098B1 true KR101165098B1 (ko) 2012-07-12

Family

ID=3809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699A KR101165098B1 (ko) 2005-08-26 2005-08-26 주름개선 기능성 효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206A (ko) 2018-08-20 2020-02-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 추출물 또는 베타 클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배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508B1 (ko) * 2008-07-31 2011-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45B1 (ko) * 2004-01-14 2006-08-29 주식회사 참 존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활성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활성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45B1 (ko) * 2004-01-14 2006-08-29 주식회사 참 존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활성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활성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206A (ko) 2018-08-20 2020-02-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섯 추출물 또는 베타 클루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배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109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559B1 (ko) 은이 버섯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345735B1 (ko) 인삼열매 아위버섯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97152B1 (ko) 장어로부터 추출한 뮤신을 이용한 항노화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제재의 제조방법
CN113712874A (zh) 一种含水溶性硅素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55207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35444B1 (ko)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와 두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7997B1 (ko)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101040508B1 (ko)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65098B1 (ko) 주름개선 기능성 효모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1661545B1 (ko) 미백 활성을 갖는 홍경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46830A (ko) 바실러스 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배양한 흑 마늘 발효액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8222B1 (ko) 무산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KR101997231B1 (ko)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8108973A1 (en) Oligopeptide fraction obtained from a biomass of bacterium or bacteria belonging to the genus vitreoscilla sp, as a cosmetic active ingredient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345B1 (ko) 피부 광노화 억제 및 피부손상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광노화 억제 및 피부손상세포 재생용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19520A (ko) 대나무수액의 균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87425B1 (ko) 갯버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24726B1 (ko) 안정화시킨 비타민 c와 파이토스핑고신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Kim et al. Preventive effect of fermented Gelidium amansii and Cirsium japonicum extract mixture against UVB-induced skin photoaging in hairless mice
KR20050038112A (ko) 차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659754B1 (ko) 유자껍질 및 귤껍질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