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064B1 -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 Google Patents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064B1
KR101165064B1 KR1020100011040A KR20100011040A KR101165064B1 KR 101165064 B1 KR101165064 B1 KR 101165064B1 KR 1020100011040 A KR1020100011040 A KR 1020100011040A KR 20100011040 A KR20100011040 A KR 20100011040A KR 101165064 B1 KR101165064 B1 KR 101165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lock
head
print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282A (ko
Inventor
권오륜
김은희
Original Assignee
김은희
권오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희, 권오륜 filed Critical 김은희
Priority to KR1020100011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0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16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tilting motion mechanisms relative to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rking or coding completed packages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포장상자의 표면에 제작일, 출고일, 제작 담당자 등을 인쇄시키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이다. 특히, 이동하는 포장상자가 항상 인쇄를 위한 인쇄기 헤드와 수평된 방향으로 이동되기 힘들고, 포장된 상태에 따라서 포장상자의 측면이 구배되어 잉크를 분사시키는 헤드와의 수평된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하는 포장상자의 면접면에 정확하고 바른 인쇄를 할 수 있도록 헤드를 수평된 상태로 연동시키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The unit to move head of printing machine}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포장상자의 표면에 제작일, 출고일, 제작 담당자 등을 인쇄시키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이다. 특히, 이동하는 포장상자가 항상 인쇄를 위한 인쇄기 헤드와 수평된 방향으로 이동되기 힘들고, 포장된 상태에 따라서 포장상자의 측면이 구배되어 잉크를 분사시키는 헤드와의 수평된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하는 포장상자의 면접면에 정확하고 바른 인쇄를 할 수 있도록 헤드를 수평된 상태로 연동시키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이나 상품이 생산되고 나면, 제품이나 상품을 포장하여 패킹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요즘 들어 이러한 제품이나 상품의 포장지에 그 생산일, 출고일 및 생산 담당자의 이름을 인쇄하여 더 나은 제품의 품질 관리를 위한 경로를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이나 상품의 포장상자에 인쇄를 하는 인쇄기가 패킹 시스템에 포함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방식에는 다소 문제가 있었다.
도시된 도 1에서처럼, 제품이나 상품의 포장상자(101) 패킹 또는 인쇄시스템은 롤을 통해서 회전하며 포장상자(101)를 이동시키는 컨베어벨트(102)가 형성되고, 그 상부로 가이드레일(103)을 비치하여 포장상자(101)의 이동을 안내한다. 포장상자(101)란 어느 정도 규격화된 상태이기에 그 크기나 부피에 맞추어 가이드레일(103)을 조절하게 되면, 항상 포장상자는 이 가이드레일(103)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서로 틀어지지 않고 일렬로 컨베어벨트(102)에 올려진 상태로 동일한 경로로 이동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컨베어벨트(102)의 일측에는 인쇄기가 장착되는데, 컨트롤러를 가진 모니터(106)와 잉크를 발사하는 인쇄기헤드 및 상기 헤드를 컨베어벨트(102)의 프레임(108)에 장착하는 장착유니트 들이다.
컨트롤러를 조절하여 발사되는 시간과 위치를 입력하고, 인쇄를 원하는 상징체계의 문자를 정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상기 헤드(107)는 조건에 따라 동일한 작동으로 인쇄를 시작하는 것이다. 일련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는 포장상자(101)의 면접면(110) 중심이 인쇄기 헤드(107)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인쇄기 헤드(107)는 잉크를 분사하여 면접면(110)에 출고일, 생산일 및 생산자의 이름을 인쇄하는 것이다. 이때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포장상자가 가이드레일로 안내가 되고는 있지만, 완벽하게 그 위치를 고수한 상태로 이동되기는 힘들다. 모두 같은 규격으로 절곡되어 생산된 포장상자일지라도, 미세한 수치적인 차이가 발생될 수 있기에 그 부피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포장되는 상품에 따라서 또는 포장을 하는 사람이 상품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보하지 않는 착오를 일으키게 되면, 포장상자의 일측면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들어가는 구배된 면접면을 확보하는 경우가 있다.
인쇄기헤드는 일정한 거리를 띤 상태에서 잉크를 발사하여 문자를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도 인쇄되는 면접면이 약간 틀어진 상태로 인쇄되어도 인쇄되는 문자는 많이 틀어지게 인쇄되는 경우가 많다. 바로 이러한 문제점이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어쩔 수 없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포장상자가 그 크기가 작거나 클 경우에 가이드레일의 안내를 정확하게 받지 못하고 이동하여 인쇄기헤드와의 거리가 너무 근접하고 멀어진다면 인쇄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포장상자가 이동중 충격을 통해서 틀어진다면 이도 문제가 발생되고, 포장상자가 이동하다가 인쇄기헤드의 끝단에 걸리게 되면 위치가 틀어져 인쇄가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된다.
더욱이 포장상자의 면접면(인쇄면)에 구배가 발생되어 인쇄기헤드와의 마찰을 일으키게 되면 이때에도 인쇄에는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포장상자의 표면에 제작일, 출고일, 제작 담당자 등을 인쇄시키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이동하는 포장상자가 항상 인쇄를 위한 인쇄기 헤드와 수평된 방향으로 이동되기 힘들고, 포장된 상태에 따라서 포장상자의 측면이 구배되어 잉크를 분사시키는 헤드와의 수평된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하는 포장상자의 면접면에 정확하고 바른 인쇄를 할 수 있도록 헤드를 수평된 상태로 연동시키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는, 인쇄기 프레임(1)에 결합을 위한 장형의 체결공(11)을 형성한 "ㄱ"자형의 체결블럭(10); 체결블럭(10)과 결합하되 인쇄시스템 가이드레일(2)을 향하여 돌출되게 체결되는 연장블럭(20); 상기 연장블럭(20)의 끝단 좌우 양방향에서 제1힌지(21)를 통해서 연결되고,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2개의 제2힌지(32)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롤(33)이 결합된 한 쌍의 연동아암(30); 및 상기 연동아암(30)의 제2힌지(32)에 결합된 체결판(40)에 체결된 인쇄용헤드 케이스(50);로 이루어져, 포장상자(3)가 컨베어벨트(5)을 타고 이동할 때, 끝단의 지지롤(33)을 밀치게 되면, 연동아암(30)은 사각으로 기울며 포장상자(3)와의 간격을 수용하지만 제2힌지(32)와 체결판(40)을 통해서 결합된 인쇄용 헤드(7)는 포장상자(3)의 면접면(9)과 수평된 상태로 이동하여 정확히 인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다 세부적인 실시예로, 상기 체결블럭(10)과 연장블럭(20)의 결합은, 체결블럭(10)의 끝단에서 돌출되는 회전힌지(13); 대응하는 연장블럭(20)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회전힌지(13)를 좌우에서 수용하는 연장블럭(20)의 대응힌지(25); 및 상기 회전힌지(13)와 대응힌지(25)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좌우 양단 대응힌지(25)의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형성된 힌지스크류(29)나 또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필요시 연장블럭(20)을 수평방향에서 테이퍼진 각도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수직연동수단(K)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연장블럭(20)의 좌우 양측면에는 선택적으로 스톱퍼패널(51)을 체결하되, 전방의 연동아암(30)의 측면을 막아 연동아암(30)의 연동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 상기 연장블럭(20)의 제1힌지(21) 외주면에는 비틀림스프링(36)을 내장시켜고, 스톱퍼패널(51)이 체결된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을 발휘하여 연동아암(30)이 팔을 뻗을 수 있도록 하며 : 상기 체결판(40)은 연동아암(30)의 제2힌지(32)에 체결을 하되, 수직방향으로 선 제2힌지(32)의 상부나 하부에 체결하여 인쇄용헤드 케이스(5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한 쌍의 지지롤(33)은 수직방향으로 선 원통형을 유지하되, 탄성을 가진 고무 재질로 형성하고 : 상기 인쇄용헤드 케이스(50)의 전방은, 인쇄를 위한 포장상자(3)의 면접면(9)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절곡가이드부(53)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는, 인쇄기 프레임(1)에 결합을 위한 장형의 체결공(11)을 형성한 "ㄱ"자형의 체결블럭(10); 상기 체결블럭(10)의 끝단 좌우 양방향에서 제1힌지(21)를 통해서 연결되고, 끝단에는 케이싱블럭(80)을 체결하되, 수직방향으로 2개의 제2힌지(32)를 통해서 케이싱블럭(80)을 결합시킨 한 쌍의 연동아암(30); 및 상기 연동아암(30)의 제2힌지(32)에 결합된 케이싱블럭(80)에 체결되어 포장상자(3)의 면접면(9)을 향하여 돌출되는 인쇄용헤드 케이스(50);로 이루어져, 포장상자(3)가 컨ㅂ가이드레일베어벨트(5)를 타고 이동할 때, 인쇄용헤드 케이스(50)를 밀치게 되면, 연동아암(30)은 그 제1힌지(21)를 축으로 사각으로 기울며 포장상자(3)와의 간격을 수용하지만 제2힌지(32)와 케이싱블럭(80)을 통해서 결합된 인쇄용 헤드(7)는 포장상자(3)의 면접면(9)과 수평된 상태로 이동하여 정확히 인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형태로, 상기 체결블럭(10)에는, 체결블럭(10)의 끝단에서 돌출되는 회전힌지(13); 대응하는 링크블럭(90)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회전힌지(13)를 좌우에서 수용하는 링크블럭(90)의 대응힌지(25); 및 상기 회전힌지(13)와 대응힌지(25)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좌우 양단 대응힌지(25)의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형성된 힌지스크류(29)나 또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필요시 링크블럭(90)을 수평방향에서 테이퍼진 각도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수직연동수단(K)을 더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체결블럭(10)이나 링크블럭(90)의 좌우 양측면에는 선택적으로 스톱퍼패널(51)을 체결하되, 전방의 연동아암(30)의 측면을 막아 연동아암(30)의 연동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 상기 체결블럭(10)이나 링크블럭(90)의 제1힌지(21) 외주면에는 비틀림스프링(36)을 내장시켜고, 스톱퍼패널(51)이 체결된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을 발휘하여 연동아암(30)이 팔을 뻗을 수 있도록 하며 : 상기 인쇄용헤드 케이스(50)의 전방은, 인쇄를 위한 포장상자(3)의 면접면(9)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절곡가이드부(53)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라 포장상자를 인쇄하는데 있어서, 포장상자의 미세한 크기에 따라 발생되는 인쇄불량을 해결하고 생산일, 출고일 및 생산자의 표시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포장상자와 인쇄용 헤드간의 마찰 및 부딪침에 대하여 헤드가 연동하여, 이동하는 포장상자의 위치, 크기, 부피의 불일치를 완충시키고 보다 정확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인쇄, 패킹 시스템에 간단하게 장착이 가능하고, 수직방향으로 기울여 설치도 가능하여 테이퍼진 면을 가진 포장상자 또는 사선으로 기울여 이동시키는 컨베어벨트에도 적용되어 정확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패킹시스템의 인쇄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인쇄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연동수단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유닛이 연동하여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인쇄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인쇄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인쇄유닛이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유닛이 수직방향으로 연동하여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닛이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상품이나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상자를 이동 중 제조일, 출고일, 생산일 및 생산자 등의 상품표시를 보다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기의 헤드 연동유니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동을 도시된 도 2 내지 8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인쇄기 프레임(1)에 결합을 위한 장형의 체결공(11)을 형성한 "ㄱ"자형의 체결블럭(10)이 있고, 체결블럭(10)과 결합하되 인쇄시스템 가이드레일(2)을 향하여 돌출되게 체결되는 연장블럭(20)이 있으며, 상기 연장블럭(20)의 끝단 좌우 양방향에서 제1힌지(21)를 통해서 연결되고,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2개의 제2힌지(32)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롤(33)이 결합된 한 쌍의 연동아암(30)이 있다. 또한 상기 연동아암(30)의 제2힌지(32)에 결합된 체결판(40)에 체결된 인쇄용헤드 케이스(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포장상자(3)가 컨베어벨트(5)를 타고 이동할 때, 끝단의 지지롤(33)을 밀치게 되면, 연동아암(30)은 사각으로 기울며 포장상자(3)와의 간격을 수용하지만 제2힌지(32)와 체결판(40)을 통해서 결합된 인쇄용 헤드(7)는 포장상자(3)의 면접면(9)과 수평된 상태로 이동하여 정확히 인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시된 도 2 내지 도 6에는 제1실시예의 헤드 연동유니트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유닛을 크게 체결블럭(10), 연장블럭(20), 연동아암(30) 및 인쇄용 헤드(7)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블럭(10)은 패킹 또는 인쇄시스템의 프레임(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체결블럭(10)의 전방으로 연장블럭(20)이 체결되고, 상기 연장블럭(20)의 전방으로 연동아암(30)이 체결되는 방식으로 결합하되, 상기 블럭과 아암의 결합은 링크구조로 힌지 결합하여 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체결블럭(10)에 형성된 장형의 체결공(11)은 그 내측에 관통하는 스크류를 통해서 프레임(1)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장형의 체결공(11)을 조절하여 유니트의 높이를 다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연장블럭(20)은 체결블럭(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인쇄를 요하는 포장상자(3)와의 근접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연장블럭(20)의 전방에는 도시된 연동아암(30)이 체결되는데, 체결의 방식은 힌지를 통한 링크 결합형태이다.
연장블럭(20)의 끝단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1힌지(21)를 형성하여 연동아암(30)의 끝단과 링크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에 따라서 상기 제1힌지(21)를 축으로 상기 연동아암(30)은 회전, 또는 연동이 가능하다. 이 연동아암(30)은 연장블럭(20)의 끝단에 좌우 쌍으로 링크 결합되는데, 제1힌지(21)의 타측단에 동일한 제2힌지(32)를 통해서 지지롤(33)을 결합시킨다. 상기 지지롤(33)은 컨베어벨트(5)를 타고 이동하는 포장상자(3)의 면접면과 마주하면서 회전하며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포장상자(3)의 면접면(9)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포장상자(3)가 컨베어벨트(5)를 타고 이동하게 되면 면접면(9)을 타고 회전하여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아주 중요한 작용을 한다.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서 밝힌 것처럼, 포장상자(3)가 크거나 포장상자(3)의 일측면이 구배하여 돌출된 상태이거나 포장상자(3)의 위치가 틀어진 경우가 발생되어 이 지지롤(33)과 충돌하게 될때 연동하는 것이다. 지지롤(33) 혹은 연동아암(30)의 끝단과 포장상자(3)의 외곽부 또는 면접면(9)이 충돌하게 되면, 포장상자(3)의 위치를 틀어주는 것이 아니고 연동아암(30)이 연동을 하여 포장상자(3)와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시된 도 4에는 이러한 작동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연동아암(30) 또는 지지롤(33)과 포장상자(3)와 충돌하게 되면, 상기 지지롤(33)의 회전력만으로 수용하기 힘들 경우에 연동아암(30)을 연동시킨다. 즉, 포장상자(3)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미 연동아암(30)의 연동작용은 허용된 상태이기에 상기 연동아암(30)은 제1힌지(21)를 축으로 회전하여 연장블럭(20)과 수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고 다소 테이퍼진 사선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렇게 테이퍼진 사선의 위치로 이동을 하면 포장상자(3)와의 근접거리를 줄이게 되고 돌출된 면접면(9)과의 무리한 접촉 또는 충돌을 피하게 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헤드(7)가 인쇄를 시작하면 크기가 다른 형태의 포장상자(3)의 면접면(9)이 구배된 상자에도 적용하여 정확히 인쇄가 가능하다.
그런데 본 발명의 상기 연동아암(30)의 작동에서 더욱 중요한 작동이 있다. 이는 비록 연동아암(30)이 연동하여 테이퍼진 사선의 위치를 확보하더라도, 상기 제2힌지(32)와 체결판(40)을 통해서 체결된 인쇄용 헤드 케이스(50)에 내장된 헤드(7)의 수직각도는 틀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보다 정확히 설명하자면, 상기 헤드(7)는 상기 포장상자(3)의 면접면(9)과 정확히 수직된 상태로 잉크를 발사해야 정확히 인쇄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만일 포장상자(3)가 틀어지거나 헤드(7)가 포장상자(3)의 면접면(9)과 틀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7)의 잉크분출 방향과 면접면(9)의 방향이 수직 방향에서 틀어지기에 정확한 인쇄를 하기 힘들다.
그런데 본 발명의 연동아암(30)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그 연동아암(30)의 각도를 틀어버린 상태이기에 헤드(7)의 잉크 분출각도가 기울어 버릴 소지가 높다. 바로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롤(33)을 고정하는 제2힌지(32)에 별도의 체결판(40)을 체결하고, 상기 체결판(40)에 인쇄용 헤드 케이스(50)를 체결하였다. 상기 연동아암(30)이 포장상자(3)와의 충돌에 의해서 사선의 방향으로 연동하더라도, 상기 연동아암(30)의 제2힌지(32)에 체결된 체결판(40)은 스톱퍼핀을 통해서 힌지에 고정된 상태이기에 틀어지지 않고 포장상자(3)의 면접면(9)과 수직된 상태로 역회전을 하여 동일한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판(40)에 결합된 인쇄용헤드 케이스(50) 내의 헤드(7)는 항상 면접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잉크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니트는 완벽하게 육면체의 포장상자(3)뿐만이 아니고 면접면(9)에 테이퍼진 각도를 유지하는 포장상자(3)의 경우도 정확히 인쇄가 가능하다. 만일 컨베어벨트(5)가 수평된 방향으로 포장상자(3)를 이동시키지 않고 약간의 테이퍼진 상태로 이동시키는 경우에서 활용가능하다. 포장상자(3)의 경우 패킹과 운송을 위해서 양단의 수준이 다른 즉, 컨베어벨트(5)가 테이퍼진 각도를 유지해야만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바로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유니트에 장착된 수직연동수단(K)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시된 도 3에서처럼, 상기 체결블럭(10)과 연장블럭(20)의 결합은, 체결블럭(10)의 끝단에서 돌출되는 회전힌지(13)가 있고, 대응하는 연장블럭(20)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회전힌지(13)를 좌우에서 수용하는 연장블럭(20)의 대응힌지(25)가 있으며, 상기 회전힌지(13)와 대응힌지(25)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좌우 양단 대응힌지(25)의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형성된 힌지스크류(29)나 또는 힌지핀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연장블럭(20)을 수평방향에서 테이퍼진 각도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수직연동수단(K)이 되는 것이다.
체결블럭(10)과 연장블럭(20)도 링크구조로 절곡, 연동 또는 회전가능하게 체결하는 방법인데, 체결블럭(10)의 끝단에서 관통공을 가지고 돌출된 회전힌지(13)를 형성하고 마주하는 연장블럭(20)의 끝단에도 대응힌지(25)를 형성한다. 회전힌지(13)가 대응힌지(25)의 사이에 끼워지고 나서는 힌지스크류(29)나 힌지핀을 관통공의 내측으로 관통시켜 견고히 죄게 되면, 연동블럭(20)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연동블럭(20)을 수직 방향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기울게 위치시키고 힌지스크류(29)를 조여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럼 보다 세부적인 본 발명의 다른 기능적 구성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장블럭(20)의 좌우 양측면에는 선택적으로 스톱퍼패널(51)을 체결하되, 전방의 연동아암(30)의 측면을 막아 연동아암(30)의 연동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스톱퍼블럭(51)은 좌우방향으로 연동이 가능한 연동아암(30)을 일측 방향 만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패킹 또는 인쇄시스템의 경우 포장상자(3)가 일측에서 만들어지고, 운송을 위해서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컨베어벨트(5)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방향은 시스템 전체를 변형시키기 전에는 틀어지지 않고 동일한 작동을 계속하는 것이다. 즉, 일단 한 번 일방향으로 포장상자의 이동방향을 설정하였으면, 포장상자(3)는 계속적으로 그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연동아암(30)의 연동방향을 고정할 필요가 있게 한다. 연동아암(30)의 경우도 상기 포장상자(3)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이 가능하면 족하다는 것이다. 무리하게 타측 방향으로도 연동이 가능하다면 보다 정확한 인쇄를 불가능하게 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연장블럭(20)의 측면에 스톱퍼패널(51)을 체결하여 상기 스톱퍼패널(51)의 전면이 연동아암(20)의 일측면을 막아 막힌 방향으로는 더 이상 연동될 수 없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도시된 면들에서는 헤드(7)를 바라본 상태에서 좌측방에 이 스톱퍼페널(51)을 장착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데, 시스템에 따라서 우측방에 장착하여 연동아암(30)의 연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연동아암(30)의 연동방향 제어는 다음과 같은 탄성력 방향과 조합되어 더욱 확실한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블럭(20)의 제1힌지(21) 외주면에는 비틀림스프링(36)을 내장시켜고, 스톱퍼패널(51)이 체결된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을 발휘하여 연동아암(30)이 팔을 뻗을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상기 제1힌지(21)의 외주면에는 비틀림스프링(36)을 끼우고, 상기 비틀림스프링(36)의 끝단은 연장블럭(20)과 연동아암(30)에 걸치거나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비틀림스프링(36)은 상기 연동아암(30)을 항상 스톱퍼패널(51)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기에 상기 연동아암(30)은 항상 그 팔을 뻗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를 고수하다가 상기 연동아암(30)이 포장상자(3)와 충돌이나 마찰을 하고 스톱퍼패널(51)의 타측으로 연동을 하게 되면서 인쇄를 하고 이 비틀림스프링(36)의 탄성력을 통해서 항상 다시 팔을 뻗는 복원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의 인쇄기 헤드 유니트는 항상 정확한 인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판(40)은 연동아암(30)의 제2힌지(32)에 체결을 하되, 수직방향으로 선 제2힌지(32)의 상부나 하부에 체결하여 인쇄용헤드 케이스(5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체결판(40)은 연동아암(30)의 제2힌지(32)에 체결된다. 도 5에는 연동아암(30)의 제2힌지(32) 상단에 체결판(40)이 부착되고, 상기 체결판(40)의 상부로 인쇄용 헤드 케이스(50)를 체결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도 6에는 연동아암(30)의 제2힌지(32)의 하단에 체결판(40)이 부착되고, 상기 체결판(40)의 하단으로 인쇄용 헤드 케이스(50)를 체결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양자의 실시예가 모두 사용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 쌍의 지지롤(33)은 수직방향으로 선 원통형을 유지하되, 탄성을 가진 고무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인쇄용헤드 케이스(50)의 전방은, 인쇄를 위한 포장상자(3)의 면접면(9)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절곡가이드부(5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지지롤(33)은 연동아암(30)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면접면(9)을 타고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지지롤(33)은 회전이 용이하고 보다 탄성을 가진 재질로 사용함이 바람직한다. 이유는 상기 지지롤(33)의 탄성력으로 허용될 수 있는 정도의 포장상자(3)와의 접촉은 연동아암(30)의 연동이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인쇄용헤드 케이스(50)의 좌우 양단에 선택적 또는 각각에 형성되는 절곡가이드부(53)는 포장상자(3)의 외곽부와 만나게 되었을 때, 포장상자(3)의 가이드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시된 도 7 내지 10에 다른 형태의 유닛을 도시하고 있다. 이 형태의 유닛은 전술된 인쇄기헤드 케이스(50)가 연동아암(3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체결되는 것이 아니고, 연동아암(30)의 전방에 체결되어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이다.
도시된 것처럼 제2실시예의 형태는, 인쇄기 프레임(1)에 결합을 위한 장형의 체결공(11)을 형성한 "ㄱ"자형의 체결블럭(10)이 있고, 상기 체결블럭(10)의 끝단 좌우 양방향에서 제1힌지(21)를 통해서 연결되고, 끝단에는 케이싱블럭(80)을 체결하되, 수직방향으로 2개의 제2힌지(32)를 통해서 케이싱블럭(80)을 결합시킨 한 쌍의 연동아암(30)이 있으며, 상기 연동아암(30)의 제2힌지(32)에 결합된 케이싱블럭(80)에 체결되어 포장상자(3)의 면접면(9)을 향하여 돌출되는 인쇄용헤드 케이스(50)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포장상자(3)가 컨베어벨트(5)를 타고 이동할 때, 인쇄용헤드 케이스(50)를 밀치게 되면, 연동아암(30)은 그 제1힌지(21)를 축으로 사각으로 기울며 포장상자(3)와의 간격을 수용하지만 제2힌지(32)와 케이싱블럭(80)을 통해서 결합된 인쇄용 헤드(7)는 포장상자(3)의 면접면(9)과 수평된 상태로 이동하여 정확히 인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전술된 실시예와는 달리 연동아암(30)의 전방에 인쇄기헤드 케이스(50)를 장착하기 위해서 별도의 케이싱블럭(80)을 제2힌지(32)에 체결한 부분이 다르고,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제2실시예는 체결블럭(10)의 전방에 연장블럭(20)을 없애고 바로 연동아암(30)을 링크 체결한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메겼고, 혹시 달라진 구성이 있다면 별도의 부호를 메겼다. 본 발명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도면의 설명에 따라 그 도면에 따른 부호를 정확한 구성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처럼 체결블럭(10)의 전방에 제1힌지(21)를 통해서 한 쌍의 연동아암(30)을 체결하고, 연동아암(30)의 끝단에 지지롤(33)을 없애고 케이싱블럭(80)을 체결하여 케이스(50)와 결합시킨 것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도, 포장상자(3)가 컨베어벨트(5)를 지날 때, 상기 헤드(7)의 전방과 포장상자(3)의 외곽부가 마찰이나 충돌을 일으키게되면, 케이스(50)의 후방에 위치한 연동아암(30)이 사선의 각도로 위치하면서 포장상자(3)와의 밀접한 거리를 수용한다. 물론 상기 연동아암(30)이 사선의 각도로 틀어진다 해도, 상기 연동아암(30)의 끝단에 제2힌지(32)를 통해서 체결된 케이싱블럭(80)은 포장상자(3)와의 수직된 방향이 틀어지지 않고, 연동아암(30)과는 역방향으로 틀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의 인쇄기 헤드(7)는 포장상자(3)의 면접면(9)에 항상 수직된 방향으로 잉크를 분사하여 정확한 인쇄를 유도한다. 이는 제2힌지에 스톱퍼핀을 통해서 케이싱블럭이 체결되기 때문이다. 힌지는 회전하지만 케이싱블럭은 제2힌지의 외주면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전술된 제1실시예의 수직연동수단과 동일한 수직연동수단을 비치하고 있다. 즉, 도시된 도 9에서처럼, 상기 체결블럭(10)에는, 체결블럭(10)의 끝단에서 돌출되는 회전힌지(13)가 있고, 대응하는 링크블럭(90)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회전힌지(13)를 좌우에서 수용하는 링크블럭(90)의 대응힌지(25)이 있으며, 상기 회전힌지(13)와 대응힌지(25)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좌우 양단 대응힌지(25)의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형성된 힌지스크류(29)나 또는 힌지핀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필요시 링크블럭(90)을 수평방향에서 테이퍼진 각도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수직연동수단(K)을 더 형성한다.
도시된 것처럼, 체결블럭(10)을 절단하여 수직연동수단(K)을 형성하고, 수직연동수단(K)의 링크블럭(90)을 연동아암(30)과 링크 결합하는 방식이다. 체결블럭(10)의 끝단에 회전힌지(13)를 형성하고, 대응하는 대응힌지(25)는 링크블럭(90)에 형성한 상태에서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서 조여 체결하는 방식이다. 이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의 유닛은 완벽하게 수평이 아닌 포장상자(3)나 테이퍼진 각도로 이동시키는 컨베어벨트(5)에 적용되어도 정확한 인쇄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블럭(10)이나 링크블럭(90)의 좌우 양측면에는 선택적으로 스톱퍼패널(51)을 체결하되, 전방의 연동아암(30)의 측면을 막아 연동아암(30)의 연동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체결블럭(10)이나 링크블럭(90)의 제1힌지(21) 외주면에는 비틀림스프링(36)을 내장시켜고, 스톱퍼패널(51)이 체결된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을 발휘하여 연동아암(30)이 팔을 뻗을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도 전술된 제1실시예의 작동의 상황과 동일하게 작동하며, 단지 차이가 있다면 연장블럭(20)이 링크블럭(90)으로 명칭변경된 부분이 존재하고, 연동아암(30)의 전방에 지지롤(33)의 구성을 없애고 케이싱블럭(80)을 체결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물론 상기 케이싱블럭(80)의 내측에는 인쇄기 헤드(7)를 내장시켜 잉크를 발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쇄용헤드 케이스(50)의 전방은, 인쇄를 위한 포장상자(3)의 면접면(9)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절곡가이드부(5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의 경우도 전술된 제1실시예의 절곡가이드부(53)와 동일한 목적과 동일한 작동을 수행하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 프레임 2; 가이드레일
3; 포장상자 5; 컨베어벨트
7; 헤드 10; 체결블럭
13; 회전힌지 20; 연장블럭
21; 제1힌지 25; 대응힌지
29; 힌지스크류 30; 연동아암
32; 제2힌지 33; 지지롤
36; 비틀림스프링 40; 체결판
50; 케이스 51; 스톱퍼패널
53; 절곡가이드부 90; 링크블럭

Claims (12)

  1. 인쇄기 프레임(1)에 결합을 위한 장형의 체결공(11)을 형성한 "ㄱ"자형의 체결블럭(10);
    체결블럭(10)과 결합하되 인쇄시스템 가이드레일(2)을 향하여 돌출되게 체결되는 연장블럭(20);
    상기 연장블럭(20)의 끝단 좌우 양방향에서 제1힌지(21)를 통해서 연결되고, 끝단에는 수직방향으로 2개의 제2힌지(32)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롤(33)이 결합된 한 쌍의 연동아암(30); 및
    상기 연동아암(30)의 제2힌지(32)에 결합된 체결판(40)에 체결된 인쇄용헤드 케이스(50);로 이루어져, 포장상자(3)가 컨베어벨트(5)를 타고 이동할 때, 끝단의 지지롤(33)을 밀치게 되면, 연동아암(30)은 사각으로 기울며 포장상자(3)와의 간격을 수용하지만 제2힌지(32)와 체결판(40)을 통해서 결합된 인쇄용 헤드(7)는 포장상자(3)의 면접면(9)과 수평된 상태로 이동하여 정확히 인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블럭(10)과 연장블럭(20)의 결합은,
    체결블럭(10)의 끝단에서 돌출되는 회전힌지(13);
    대응하는 연장블럭(20)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회전힌지(13)를 좌우에서 수용하는 연장블럭(20)의 대응힌지(25); 및
    상기 회전힌지(13)와 대응힌지(25)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좌우 양단 대응힌지(25)의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형성된 힌지스크류(29)나 또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필요시 연장블럭(20)을 수평방향에서 테이퍼진 각도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수직연동수단(K)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블럭(20)의 좌우 양측면에는 선택적으로 스톱퍼패널(51)을 체결하되, 전방의 연동아암(30)의 측면을 막아 연동아암(30)의 연동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블럭(20)의 제1힌지(21) 외주면에는 비틀림스프링(36)을 내장시켜고, 스톱퍼패널(51)이 체결된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을 발휘하여 연동아암(30)이 팔을 뻗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40)은 연동아암(30)의 제2힌지(32)에 체결을 하되, 수직방향으로 선 제2힌지(32)의 상부나 하부에 체결하여 인쇄용헤드 케이스(5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롤(33)은 수직방향으로 선 원통형을 유지하되, 탄성을 가진 고무 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헤드 케이스(50)의 전방은,
    인쇄를 위한 포장상자(3)의 면접면(9)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절곡가이드부(5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8. 인쇄기 프레임(1)에 결합을 위한 장형의 체결공(11)을 형성한 "ㄱ"자형의 체결블럭(10);
    상기 체결블럭(10)의 끝단 좌우 양방향에서 제1힌지(21)를 통해서 연결되고, 끝단에는 케이싱블럭(80)을 체결하되, 수직방향으로 2개의 제2힌지(32)를 통해서 케이싱블럭(80)을 결합시킨 한 쌍의 연동아암(30); 및
    상기 연동아암(30)의 제2힌지(32)에 결합된 케이싱블럭(80)에 체결되어 포장상자(3)의 면접면(9)을 향하여 돌출되는 인쇄용헤드 케이스(50);로 이루어져, 포장상자(3)가 컨베어벨트(5)를 타고 이동할 때, 인쇄용헤드 케이스(50)를 밀치게 되면, 연동아암(30)은 그 제1힌지(21)를 축으로 사각으로 기울며 포장상자(3)와의 간격을 수용하지만 제2힌지(32)와 케이싱블럭(80)을 통해서 결합된 인쇄용 헤드(7)는 포장상자(3)의 면접면(9)과 수평된 상태로 이동하여 정확히 인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블럭(10)에는,
    체결블럭(10)의 끝단에서 돌출되는 회전힌지(13);
    대응하는 링크블럭(90)의 끝단에서 돌출되어 회전힌지(13)를 좌우에서 수용하는 링크블럭(90)의 대응힌지(25); 및
    상기 회전힌지(13)와 대응힌지(25)의 힌지공을 관통하여 좌우 양단 대응힌지(25)의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형성된 힌지스크류(29)나 또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필요시 링크블럭(90)을 수평방향에서 테이퍼진 각도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수직연동수단(K)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10. 제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블럭(10)이나 링크블럭(90)의 좌우 양측면에는 선택적으로 스톱퍼패널(51)을 체결하되, 전방의 연동아암(30)의 측면을 막아 연동아암(30)의 연동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블럭(10)이나 링크블럭(90)의 제1힌지(21) 외주면에는 비틀림스프링(36)을 내장시켜고, 스톱퍼패널(51)이 체결된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을 발휘하여 연동아암(30)이 팔을 뻗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헤드 케이스(50)의 전방은,
    인쇄를 위한 포장상자(3)의 면접면(9)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절곡가이드부(5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KR1020100011040A 2010-02-05 2010-02-05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KR101165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040A KR101165064B1 (ko) 2010-02-05 2010-02-05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040A KR101165064B1 (ko) 2010-02-05 2010-02-05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282A KR20110091282A (ko) 2011-08-11
KR101165064B1 true KR101165064B1 (ko) 2012-07-12

Family

ID=4492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040A KR101165064B1 (ko) 2010-02-05 2010-02-05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46Y1 (ko) * 2017-11-09 2019-08-19 안용석 밀착 마킹을 위한 마킹기 거치구
KR102252491B1 (ko) * 2019-12-05 2021-05-13 안용석 본체분리 대면식 휴대용 마킹기
CN112248662A (zh) * 2020-10-30 2021-01-22 北京擎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离心管盖调姿喷码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8103A (ja) 2002-07-29 2004-02-26 Central Glass Co Ltd 基板へのマーキング方法及び装置
KR100584520B1 (ko) 2005-11-23 2006-05-29 김성진 잉크젯 마킹장치용 핸드건 및 핸드건의 잉크분사량제어방법
JP2007190737A (ja) 2006-01-18 2007-08-02 Kyocera Mita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893356B1 (ko) 2007-12-17 2009-04-15 송해용 탁상용 캘린더 자동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8103A (ja) 2002-07-29 2004-02-26 Central Glass Co Ltd 基板へのマーキング方法及び装置
KR100584520B1 (ko) 2005-11-23 2006-05-29 김성진 잉크젯 마킹장치용 핸드건 및 핸드건의 잉크분사량제어방법
JP2007190737A (ja) 2006-01-18 2007-08-02 Kyocera Mita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893356B1 (ko) 2007-12-17 2009-04-15 송해용 탁상용 캘린더 자동 인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282A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1495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液体吐出装置
KR101165064B1 (ko) 포장 인쇄기용 헤드 연동유니트
JP6070245B2 (ja) 画像形成装置
CN103129130B (zh) 喷墨记录设备
EP2875961B1 (en) Line printer and printhead moving method of a line printer
KR101643485B1 (ko) 프린터 장치
US9834019B2 (en) Recording apparatus
JP2015047836A (ja) 画像形成装置
JP4390941B2 (ja) インクジェット方式画像形成装置
JP2018176434A (ja) キャリッジ
CN206999889U (zh) 打印机
US7699419B2 (en) Spacing-sensing apparatus for use in a printing module of printer
US7101036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10155376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inkjet performance and alignment in a direct-to-object printer
KR200489846Y1 (ko) 밀착 마킹을 위한 마킹기 거치구
US10899150B2 (en) Liquid processing device
CN210526076U (zh) 一种高速喷码器
JP7151324B2 (ja) 液体処理装置
US20080284817A1 (en) Maintenance station of inkjet printer
JP621726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液体吐出ヘッドユニット
CN211518911U (zh) 一种二维码防伪数据喷码机喷头的缓冲装置
JP5605116B2 (ja) 記録装置
DE202004015278U1 (de) Kassettenaufnahmeeinrichtung mit Zustandserkennung für ein druckendes Postverarbeitungsgerät
JP6288432B2 (ja) 記録装置
JP3918910B2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