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054B1 - 쇽업소버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054B1
KR101165054B1 KR1020100058874A KR20100058874A KR101165054B1 KR 101165054 B1 KR101165054 B1 KR 101165054B1 KR 1020100058874 A KR1020100058874 A KR 1020100058874A KR 20100058874 A KR20100058874 A KR 20100058874A KR 101165054 B1 KR101165054 B1 KR 10116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welding
knuckle bracket
flan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784A (ko
Inventor
강주환
현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0005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05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3Shaping by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9Joining by deformation
    • B60G2206/82092Joining by deformation by press-fi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금속판을 만곡 및 절곡하여 만들어지며 호스 브래킷 및 센서 브래킷 등의 각종 외장품이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쇽업소버에 차륜측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너클 브래킷으로서, 상기 쇽업소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장품을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부착부는 하나의 금속판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브래킷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쇽업소버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KNUCKLE BRACKET OF A SHOCK ABSOR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금속판을 만곡 및 절곡하여 만들어지며 각종 외장품이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코일스프링과 쇽업소버를 이용하여 차체와 차륜의 상하 방향 운동을 조절하여 편안한 승차감을 확보하고 상하 이외의 방향으로는 적절한 강성에 의해 조정안정성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쇽업소버는 일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타단이 차륜과 연결되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한다. 통상, 상단이 차체와 연결된 쇽업소버의 하단에는 차륜과의 결합을 위한 너클 브래킷이 설치되며, 너클 브래킷은 차륜에 연결된 너클 아암에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너클 브래킷은, 쇽업소버의 외통의 하단 외주면에 맞대어져서 고정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양측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게 돌출된 좌우 한쌍의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플랜지부에는 너클 아암과 볼트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너클 아암에도 플랜지부와 볼트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너클 브래킷은 플랜지부의 사이에 너클 아암을 개재하여 상기한 체결공들에 볼트를 삽입하고 볼트의 말단부에 너트를 끼워 조임으로써 너클 아암과 결합된다.
이러한 너클 브래킷에서 플랜지부의 강성을 보강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플랜지부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양측의 플랜지부들의 사이에 단면 ㄷ자형의 별도의 보강 부재를 설치하였다.
이 보강 부재는 너클 브래킷의 플랜지부들 사이에 용접에 의해 부착된다. 너클 브래킷은 쇽업소버의 외통의 하단 외주면에 끼워져서 용접에 의해 부착되는데, 보강 부재가 부착된 너클 브래킷은 쇽업소버의 외통의 외주면의 전체를 감싸므로 보강 부재의 전둘레에 걸쳐 용접하는 전주 용접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플랜지부들 사이에 별도의 보강 부재를 설치하게 되면 재료비 및 가공비가 증가하고 용접 등 조립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쇽업소버의 주위에 배열되는 각종 호스(hose)나 센서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각종 브래킷이 쇽업소버의 외통 혹은 너클 브래킷 등의 외부표면에 용접 등에 의해 설치되고 있으나, 이들 브래킷을 설치하기 위한 재료비 및 가공비가 증가하고 용접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금속판을 만곡 및 절곡하여 만들어지며 호스 브래킷 및 센서 브래킷 등의 각종 외장품이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쇽업소버에 차륜측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너클 브래킷으로서, 상기 쇽업소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장품을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부착부는 하나의 금속판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브래킷이 제공된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에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에서 연장되는 상기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플랜지부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맞닿도록 절곡됨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는 2겹으로 형성되어 강도가 높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클 브래킷은, 상기 제2 플랜지부가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측면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부는 중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부의 형상은 서로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클 브래킷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부 용접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부 용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쇽업소버에 상기 너클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 용접부 및 상기 하부 용접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쇽업소버의 외주면 사이에 용접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클 브래킷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되는 용접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쇽업소버에 상기 너클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용접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와 상기 쇽업소버의 외주면 사이에 용접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쇽업소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장품을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부를 포함하여, 차륜측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쇽업소버에 설치되는 너클 브래킷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나의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본체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부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프레스 가공 단계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반제품 형태로 절취된 상기 본체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부착부를 구부려 상기 너클 브래킷의 형태를 형성하는 굽힘가공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브래킷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금속판을 만곡 및 절곡하여 만들어지며 호스 브래킷 및 센서 브래킷 등의 각종 외장품이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에 의하면, 너클 브래킷의 좌우 한 쌍의 플랜지부 사이에 끼워지는 보강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재료비 및 제조비 등의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에 의하면, 하나의 철판을 프레스 가공한 후 만곡 및 절곡하는 굽힘 가공을 거쳐 제작할 수 있는 동시에 외장품의 부착을 위한 부착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각종 외장품의 부착을 위한 브래킷의 별도 제작 및 설치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너클 브래킷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너클 브래킷의 용접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일체형 너클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너클 브래킷은, 쇽업소버(1)의 외주면(즉, 외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쇽업소버(1)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부(11)와, 이 본체부(11)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플랜지부(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랜지부(13)는, 본체부(11)에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13a)와, 이 제1 플랜지부(13a)에서 연장되며 제1 플랜지부(13a)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2 플랜지부(13b)와, 이 제2 플랜지부(13b)에서 연장되는 부착부(13c)를 포함한다.
제2 플랜지부(13b)가 제1 플랜지부(13a)와 맞닿도록 절곡됨에 따라 플랜지부(13)는 2겹으로 형성되어 너클 브래킷에 요구되는 강도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서로 중첩되는 2겹의 제1 및 제2 플랜지부(13a, 13b)의 형상은 프레스 가공시 서로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절취된다.
부착부(13c)는 제2 플랜지부(13b)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13c)에는 쇽업소버(1)의 주위에 배열되는 각종 호스(hose)류 등의 고정을 위한 호스 브래킷(도시생략)이나 각종 센서류 등의 고정을 위한 센서 브래킷(도시생략) 등의 외장품이 부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너클 브래킷의 경우, 한 쌍의 부착부(13c)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부착부(13c)마다 3개의 관통구멍(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부착부의 형태 및 형성방향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부착부(13c)의 길이는 제2 플랜지부(13b)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일 뿐이다.
또한, 제2 플랜지부(13b)와 부착부(13c) 사이의 절첩선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이 아닐 수도 있고 직선일 수도 있다. 절첩선이 직선이 아닌 경우에도 너클 브래킷을 제조하기 위한 금속판의 특성을 활용하여 부착부(13c)를 절곡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필요시에는 절첩선을 직선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하나의 제2 플랜지부(13b)로부터 굽힘 가공되는 부착부(13c)를 복수개 형성할 수 있다.
관통구멍(15)에는 전술한 각종 브래킷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삽입 고정될 수도 있고, 각종 호스나 전선 등이 통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1)의 외주면에 너클 브래킷의 상하부를 용접 등에 의해 부착함으로써 쇽업소버에 설치될 수 있다. 용접은 일체형 너클 브래킷의 상부 가장자리 일부에 형성된 상부 용접부(17a) 및 하부 가장자리 일부에 형성된 하부 용접부(17b)에 실시된다.
상부 용접부(17a) 및 하부 용접부(17b)는 본체부(11)와 쇽업소버(1)가 맞닿는 부분에만 형성되고 한 쌍의 플랜지부(13) 사이의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플랜지부(13) 사이에는 용접이 실시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상부 용접부(17a) 및 하부 용접부(17b)는 대략 C자 형태로 일부가 끊어져 원호 형상을 가지며 실질적인 원형을 이루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본체부(11) 및 플랜지부(13)는 하나의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프레스 가공시 제1 플랜지부(13a) 및 제2 플랜지부(13b)에는 너클 암(도시생략)과의 연결을 위해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구멍(14)이 형성된다.
프레스 가공된 직후의 반제품은 계속해서 굽힘가공을 통해 둥글게 만곡되거나(예컨대, 본체부)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예컨대 플랜지부 등)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제품 형태를 가지도록 가공될 수 있다. 굽힘가공시 본체부(11)는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둥글게 만곡될 뿐만 아니라, 상하부 가장자리도 바깥쪽으로 라운드를 가지도록 성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플랜지부(15)의 제1 및 제2 플랜지부(15a, 15b)는, 제2 플랜지부(15b)가 바깥쪽으로 대략 360도 절곡되어 제1 플랜지부(15a)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에는 하나 이상의 용접구멍(21)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의 일부를 타원형, 원형, 슬릿형 등의 형태로 절취하여 형성되는 용접구멍(21)은 본체부의 상부뿐만 아니라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부와 하부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용접구멍(21)의 형상, 위치 및 개수는 설계시 변경될 수 있다.
본체부(11)에 용접구멍(21)이 형성된 경우, 쇽업소버(1)에 대한 너클 브래킷의 고정을 위한 용접은 이 용접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와 쇽업소버의 외주면 사이에 실시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본체부의 상하부 용접부에 대하여 용접을 실시하여 너클 브래킷을 쇽업소버에 고정시키는 대신에, 용접구멍에 대하여 용접을 실시하여 너클 브래킷을 쇽업소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필요시 용접구멍에 대한 용접과 본체부의 상하부 용접부에 대한 용접이 함께 실시될 수도 있다.
용접구멍에 대한 용접에 의해 너클 브래킷을 쇽업소버에 고정시킬 경우, 용접후 용융액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접영역 감소로 인해 용접비용 및 소모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용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쇽업소버의 열변형 등의 문제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쇽업소버, 11: 본체부, 13: 플랜지부, 13a: 제1 플랜지부, 13b: 제2 플랜지부, 13c: 부착부, 14: 체결구멍, 15: 관통구멍, 17a: 상부 용접부, 17b: 하부 용접부

Claims (6)

  1. 차량용 쇽업소버에 차륜측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너클 브래킷으로서,
    상기 쇽업소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장품을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부착부는 하나의 금속판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상기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플랜지부가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외측면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부는 중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부의 형상은 서로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브래킷.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부 용접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부 용접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쇽업소버에 상기 너클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 용접부 및 상기 하부 용접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쇽업소버의 외주면 사이에 용접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브래킷.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되는 용접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쇽업소버에 상기 너클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용접구멍의 내주 가장자리와 상기 쇽업소버의 외주면 사이에 용접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클 브래킷.
  6. 삭제
KR1020100058874A 2010-06-22 2010-06-22 쇽업소버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 KR101165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874A KR101165054B1 (ko) 2010-06-22 2010-06-22 쇽업소버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874A KR101165054B1 (ko) 2010-06-22 2010-06-22 쇽업소버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784A KR20110138784A (ko) 2011-12-28
KR101165054B1 true KR101165054B1 (ko) 2012-07-12

Family

ID=4550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874A KR101165054B1 (ko) 2010-06-22 2010-06-22 쇽업소버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0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0332A (ja) * 2006-05-30 2007-12-13 Kayaba Ind Co Ltd ストラット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0332A (ja) * 2006-05-30 2007-12-13 Kayaba Ind Co Ltd ストラット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784A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698B2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WO2010004899A1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US10000252B2 (en) Swingarm support structure
JP5928912B2 (ja) 車両前部の下部車体構造
KR20140135164A (ko) 차량용 서스펜션 암
KR101165069B1 (ko) 쇽업소버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
CA2691602C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KR101094216B1 (ko) 쇽업소버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
KR101165054B1 (ko) 쇽업소버의 일체형 너클 브래킷 및 그 제조방법
CN111746216A (zh) 扭力梁式悬架
JP6136302B2 (ja) ステアリングナックルの構造
JP6091876B2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補強構造
JP4156987B2 (ja) 運転室補強構造
KR101326974B1 (ko) 내구성과 체결력 강화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빔
JP5888316B2 (ja) 車両前部構造
KR20180068803A (ko) 자전거 휠 및 그 제조방법
JP2015131592A (ja) 車輌用クロスメンバの補強構造
JP6603578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補強構造
JP7040259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0880167B1 (ko) 너클 브라켓
CN207000081U (zh) 汽车前轴摆臂总成
JP5617657B2 (ja) サブフレーム
KR100889000B1 (ko) 너클 브라켓의 용접 방법
JP6332353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タワー部構造
KR102607438B1 (ko) 차량용 현가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