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627B1 -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627B1
KR101164627B1 KR1020080073630A KR20080073630A KR101164627B1 KR 101164627 B1 KR101164627 B1 KR 101164627B1 KR 1020080073630 A KR1020080073630 A KR 1020080073630A KR 20080073630 A KR20080073630 A KR 20080073630A KR 101164627 B1 KR101164627 B1 KR 101164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head support
suppor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311A (ko
Inventor
김종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73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627B1/ko
Priority to TW097137887A priority patent/TWI355299B/zh
Priority to CN2008201814350U priority patent/CN201437653U/zh
Priority to CN2008101862359A priority patent/CN101439325B/zh
Publication of KR20100012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는, 상부에 스테이지가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이 제1프레임의 양측에 제1프레임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스테이지의 상부에 헤드 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를 가로질러 위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에 연결되되, 제2프레임에 대하여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헤드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장비를 이송할 때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분리한 상태에서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전체 장비가 대형화되더라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프레임, 스테이지, 지지대, 헤드유닛, 회전운동, 직선운동

Description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Dispenser with frames capable of separation}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구성하는 기판 상에 실런트(Sealant)를 도포하거나 액정을 적하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디스펜서는 통상 평판표시소자나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기판에 실런트 또는 액정을 도포(또는 적하)하는데 이용되고 있는 장비로서, 기판을 스테이지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포 헤드유닛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실런트를 도포하거나 액정을 적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디스펜서의 주요 구성을 간단히 설명한다.
스테이지는 통상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프레임에는 상기 도포 헤드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지지대가 설치된다. 이때, 도포 헤드유닛은 기판의 상부에서 기판에 대하여 X, Y, Z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하면서 실런트 또는 액정을 도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스테이지, 헤드 지지대, 도포 헤드유닛이 자신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대하여 적어도 어느 일방향으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는 기판의 크기에 따라 소형으로부터 대형까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 기판의 크기가 더욱 대형화됨에 따라 디스펜서의 크기도 더욱 커지면서 대형 장비화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디스펜서 장비가 대형화됨에 따라 장비를 제작한 후에 디스펜서를 이송할 때, 도로 폭의 제한 등으로 인하여 디스펜서 장비 이송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대형화된 디스펜서 장비를 생산 라인에 배치하기 위해 이송할 경우에도, 주변 구조물 등에 의해 이송 경로의 공간적인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제1프레임에서 분리된 제2프레임을 접어서 전체 폭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비가 대형화되더라도 전체 장비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는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는, 상부에 스테이지가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 제1프레임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 헤드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를 가로질러 위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에 연결되되, 제2프레임에 대하여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헤드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는, 상부에 스테이지가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 제1프레임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 헤드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를 가로질러 위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에 연결되되, 제2프레임에 대하여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헤드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제2프레임과 헤드 지지대의 연결부에는, 상기 헤드 지지대가 제2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기구와 헤드 지지대 사이에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기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제2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블록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직선운동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상기 헤드 지지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지지대는 상기 회전기구에 대하여 헤드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축 이동기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축 이동기구는 헤드 지지대의 양쪽에 모두 구비되거나, 헤드 지지대의 한쪽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축 이동기구는 상기 회전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축 지지블록과, 상기 헤드 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축 지지블록이 헤드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축 이동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는, 상부에 스테이지가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 제1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 헤드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를 가로질러 위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양쪽 제2프레임에 Y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헤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양쪽 제2프레임과 헤드 지지대가 X축 방향으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과 헤드 지지대의 연결부에는, 상기 헤드 지지대가 제2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2프레임이 헤드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 이동기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는, 프레임을 필요에 따라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장비가 대형화되더라도 프레임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는, 분리된 프레임을 접어서 전체적인 폭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도로 폭이 제한된 경우에도 대형화된 장비를 보다 편리하게 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는, 생산 라인에 배치하기 위해 이송할 경우에도, 프레임의 전체 폭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이송 경로가 좁더라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도 1은 프레임이 분리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는, 기판(S)을 지지하는 스테이지(15)가 구비된 프레임(이하 제1프레임이라 함)(10)과 헤드 지지대(30)를 지지하는 프레임(이하 제2프레임이라 함)(20)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기판(S)에 실런트 패턴 또는 액정층을 형성할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 20A, 20B)을 상호 조립한 상태에서 이용하고, 디스펜서를 다른 장소로 이송할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A, 20B)을 분리한 상태에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3은 평면도이고, 도 4는 정면도이며, 도 5는 프레임을 분리한 상태에서 제2프레임을 접은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제1프레임(10)은 위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대형 사각 블록 구조를 갖도 록 구성된다. 물론 내부에는 각종 전장 장비나 제어 장비 등을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0)의 상측에는 기판(S)을 지지하는 스테이지(15)가 구비된다. 이때 스테이지(15)는 제1프레임(10)에 대하여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기판(S)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은 헤드 지지대(30)의 양쪽을 지지함과 아울러 헤드 지지대(30)가 프레임의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부분이다.
이러한 제2프레임(20)은 두 개의 긴 블록 구조로 이루어져 제1프레임(10)의 양쪽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2프레임(20)을 제1프레임(10)에 결합시킬 때 고정시키는 구조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두 블록의 상호 조립 구조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제2프레임(20A, 20B)의 측면에서 제1프레임(10)으로 관통하는 고정 부재를 삽입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은선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직선 요철 결합 구조(25)를 통해 상호 맞춤 방식으로 결합시켜 일체화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양쪽 제2프레임(20A, 20B)에는 헤드 지지대(30)의 양단부가 지지되는데, 헤드 지지대(30)는 양쪽 제2프레임(20A, 20B)에 대하여 직선 운동(Y축 방향) 및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성된다.
헤드 지지대(30)의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 가능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 서, 헤드 지지대(30)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헤드 지지대(30)는 양쪽 제2프레임(20A, 20B)에 양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스테이지(15)의 상부를 가로질러 위치되도록 설치되는데, 헤드 지지대(30)에는 기판(S)에 실런트 또는 액정 등을 도포할 수 있도록 헤드유닛(32)들이 설치된다. 이때 헤드유닛(32)은 헤드 지지대(30)에 하나만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개의 도포 헤드유닛(32)이 함께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제2프레임(20)에 2개의 헤드 지지대(30)가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는데, 이는 실런트를 도포하기 위한 실런트 도포용 헤드유닛(32)과 액정을 도포하기 위한 액정 도포용 헤드유닛(32)이 나누어져 설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헤드 지지대(30)는 필요에 따라서는 제2프레임(20)에 하나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3개 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헤드유닛(32)은 실런트 또는 액정 등을 도포 또는 적하할 수 있도록 실런트 분사노즐 또는 액정 적하노즐들이 구비될 수 있고, 통상 헤드 지지대(30)가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함으로 헤드유닛(32)은 X축 및 Z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헤드 지지대(30)에 공지된 다양한 헤드유닛(32)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헤드유닛(32)의 설치 개수 및 설치 위치 등은 도면에 예시된 구조에 한정하지 않고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제, 헤드 지지대(30)가 양쪽 제2프레임(20A, 20B)에 대하여 직선 운동 및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구조에 자세히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헤드 지지대(30)의 직선 운동 구조는 헤드 지지대(30) 전체가 제2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20A, 20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서,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직선운동 가이드 기구들을 채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헤드 지지대(30)를 Y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기구(40)는, 도면에서와 같이 제2프레임(20A, 20B)의 상부에 각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 레일(41)이 각각 설치되고, 헤드 지지대(30) 쪽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41)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45)이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 블록(45)을 상기 가이드 레일(41)을 따라 이동시키는 직선운동 구동기구도 함께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 43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레일 지지블록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기구(40)는 리니어 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이드 기구(40)가 리니어 모터로 구성될 경우에, 상기 가이드 레일(41)은 고정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블록(45)은 가동자로 이루어진다.
다음, 헤드 지지대(30)의 회전 운동 구조는 주로 디스펜서 장비를 이송하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10)으로부터 제2프레임(20)을 분리한 후에, 양쪽 제2프레임(20A, 20B)을 헤드 지지대(30)에 대하여 도 5에서와 같이 회전 운동시켜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한 회전 운동 구조는 상기 가이드 기구(40)와 헤드 지지대(30) 사이에 회전기구를 구성하는 회전축(50)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가이드 기구(40)의 가이드 블록(45)과 헤드 지지대(30)에 구비된 축 지지블록(61) 사이에 회전축(50)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블록(45)에 대하여, 축 지지블록(61)을 포함한 헤드 지지대(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축 지지블록(61)은 아래에서 설명할 축 이동기구(60)의 구성을 위해서 필요한 부분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고, 축 지지블록(61) 대신에 헤드 지지대(30)에 바로 회전축(50)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축(50)은 가이드 블록(45)과 축 지지블록(61) 사이에 연결되어 헤드 지지대(30)가 양쪽 제2프레임(20A, 20B)에 대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축의 하부는 가이드 블록(45)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축의 상부는 축 지지블록(61)에 스러스트 베어링 등으로 지지시켜 상대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5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두 블록 사이에 거의 삽입된 구조로 설치될 수 있고, 이때 하부의 가이드 블록(45)에 대하여 상부의 축 지지블록(61)이 회전할 때, 큰 저항 없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두 블록 사이에 다수의 볼 베어링이 조합된 베어링 구조물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은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참조하면, 베어링 구조물(55)은 다수개의 볼(또는 롤러) 베어링이 회전축(50)을 중심으로 링 구조로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설치된 베어링 구조물(55)은 축 지지블록(61)의 회전을 돕게 됨과 아울러, 디스펜서 사용시에 축 지지블록(61)을 비롯한 헤드 지지대(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베어링 구조물(55)을 승강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는 디스펜서 사용시와 같이 헤드 지지대(30)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을 때에는 베어링 구조물(55)이 어느 한쪽 블록(45 또는 61)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 위치시키면 되는데, 이때 축 지지블록(61)이 가이드 블록(45) 위에 안정되게 밀착되어 결합되므로 헤드 지지대(30) 이동시에 일체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디스펜서 이송시와 같이 헤드 지지대(30)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베어링 구조물(55)이 두 블록 사이로 돌출됨으로써 두 블록 사이의 간격을 벌릴 수 있게 되고 이때 축 지지블록(61)을 비롯한 헤드 지지대(30)가 회전축(50)을 중심으로 베어링의 보조 작용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베어링 구조물(55)의 승하강 구동 구조는 유압을 이용하거나 기타 승하강 구동에 이용되는 공지의 다양한 구동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 지지블록(61)과 가이드 블록(45) 사이에 정렬 구조를 구성할 수 있는데, 요철 결합 구조 또는 승강 핀을 이용한 고정 구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두 블록(61)(45)의 외면에서 클램핑 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호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베어링 구조물(55)을 승강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베어링 구조물(55)을 설치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는 회전축(50) 자체를 승강시켜 가이드 블록(45)에 대하여 축 지지블록(61)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 지지대(30)가 상기 회전축(50)에 대하여 헤드 지지대(30)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축 이동기구(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축 이동기구(60)는 도 5에서와 같이 양쪽 제2프레임(20A, 20B)이 상호 근접한 방향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분이다.
축 이동기구(60)는 도 4를 참조하면, 위에서 기술했던 축 지지블록(61)과, 헤드 지지대(30)에 구비되어 축 지지블록(61)이 헤드 지지대(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축 이동가이드(6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 지지블록(61)은 상기한 회전축(50)이 결합되는 부분이고, 축 이동가이드(65)는 헤드 지지대(30)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축 지지블록(61)이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축 이동기구(60)는 축 지지블록(61)이 축 이동가이드(65)를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축 지지블록(61)과 축 이동가이드(65)는 리니어 모터의 가동자와 고정자를 각각 구성할 있고, 이러한 리니어 모터 외에도 공지의 여러 방식의 리니어 운동 기구를 적용하여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축 이동기구(60)는 축 지지블록(61)이 축 이동가이드(65)를 따라 어느 한쪽 또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그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한 위치 고정장치로는 축 지지블록(61)과 축 이동가이드(65)를 상호 결합시 키는 고정핀 또는 클램핑 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축 이동기구(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지지대(30)의 양쪽에 모두 구비되어 양쪽의 제2프레임(20)이 나란히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헤드 지지대(30)의 어느 한쪽에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축 이동기구(60)가 헤드 지지대(30)의 한쪽에만 구성될 경우에 한 쪽 제2프레임(20A)에 대하여 다른 쪽의 제2프레임(20B)이 접힌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도 6을 비롯해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다른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구성 부분과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헤드 지지대(30)의 양쪽에 축 이동기구(60)가 구성되지 않을 때, 회전축(50)을 중심으로 양쪽 제2프레임(20A, 20B)이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여러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헤드 지지대(30)가 구비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8에서와 같이 헤드 지지대(30)가 하나만 구성된 경우에도 회전축(50) 및 축 이동기구(60) 등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도 6과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축 이동기구(60)를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시키지 않고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상기 실시예들과는 달리 회전축(50)이 설치되지 않고, 축 이동기구와 유사한 프레임 이동기구(60')만 설치된 구성을 보여준다. 즉, 헤드 지지대(30)가 제2프레임(20)에 대하여 회전 운동을 하지 않고, 헤드 지지대(30)를 중심으로 양쪽의 제2프레임(20)이 프레임 이동기구(60')를 따라 가운데 방향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양쪽 제2프레임(20A, 20B)을 약간만 좁혀도 이송이 가능한 디스펜서에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양쪽 제2프레임(20A, 20B)의 폭을 최대한 좁혀서, 트럭 등 폭이 좁은 화물공간의 바닥에 양쪽 제2프레임(20A, 20B)을 그대로 올려놓은 상태로 이송하고자 할 경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서는 제2프레임(20A, 20B)이 제1프레임(10)에 결합/분리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0은 제1프레임(10)과 양쪽 제2프레임(20A, 20B)이 분리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을 분리하는 구성은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다른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때 도면에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프레임(10)과 양쪽 제2프레임(20A, 20B) 사이에 진동차단부재를 설치하여 양쪽 프레임을 상호 결합 및 분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진동 차단 부재로는 연질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나, 기타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도 1은 프레임이 분리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3은 평면도이고,
도 4는 정면도이며,
도 5는 제2프레임을 접은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여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의 제2프레임의 접은 상태를 보인 평면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프레임 15 : 스테이지
20, 20A, 20B : 제2프레임 30 : 헤드 지지대
32 : 헤드유닛 40 : 가이드 기구
41 : 가이드 레일 45 : 가이드 블록
50 : 회전축 60 : 축 이동기구
61 : 축 지지블록 65 : 축 이동가이드

Claims (11)

  1. 상부에 스테이지가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 제1프레임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 헤드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를 가로질러 위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에 지지되는 헤드 지지대와;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헤드 지지대의 양단부 사이에서 상기 제2프레임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블록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직선운동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헤드 지지대를 상기 제2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기구와;
    상기 가이드 블록과 상기 헤드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 구조물을 포함하는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2. 상부에 스테이지가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 제1프레임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 헤드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를 가로질러 위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에 지지되는 헤드 지지대와;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헤드 지지대의 양단부 사이에서 상기 제2프레임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블록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직선운동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헤드 지지대를 상기 제2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기구와;
    상기 가이드 블록과 상기 헤드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 구조물을 포함하는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헤드 지지대에는 상기 회전기구에 대하여 상기 헤드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축 이동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축 이동기구는 상기 헤드 지지대의 양쪽에 모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축 이동기구는 상기 헤드 지지대의 한쪽에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축 이동기구는 상기 회전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축 지지블록과, 상기 헤드 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축 지지블록이 상기 헤드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축 이동가이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10. 상부에 스테이지가 배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 제1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에 헤드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를 가로질러 위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양측 제2프레임에 지지되는 헤드 지지대와;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헤드 지지대의 양단부 사이에서 상기 제2프레임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직선운동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헤드 지지대를 상기 제2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기구와;
    상기 가이드 블록과 연결되는 축 지지블록과, 상기 헤드 지지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축 지지블록이 상기 헤드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축 이동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헤드 지지대의 양단부와 상기 가이드 기구를 상기 헤드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프레임 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지지대가 상기 제2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운동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양측 제2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이동기구를 따라 가운데 방향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상기 축 이동가이드는 상기 헤드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11. 삭제
KR1020080073630A 2008-07-28 2008-07-28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KR101164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630A KR101164627B1 (ko) 2008-07-28 2008-07-28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TW097137887A TWI355299B (en) 2008-07-28 2008-10-02 Dispenser with separable frame
CN2008201814350U CN201437653U (zh) 2008-07-28 2008-12-17 具有可分离框架的涂布机
CN2008101862359A CN101439325B (zh) 2008-07-28 2008-12-17 具有可分离框架的涂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630A KR101164627B1 (ko) 2008-07-28 2008-07-28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311A KR20100012311A (ko) 2010-02-08
KR101164627B1 true KR101164627B1 (ko) 2012-07-11

Family

ID=4072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630A KR101164627B1 (ko) 2008-07-28 2008-07-28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64627B1 (ko)
CN (2) CN101439325B (ko)
TW (1) TWI3552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627B1 (ko) * 2008-07-28 2012-07-1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KR101170778B1 (ko) * 2009-11-27 2012-08-10 세메스 주식회사 처리액 토출 장치 및 방법
CN103990567B (zh) * 2014-05-29 2016-05-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喷涂装置
CN106773366A (zh) * 2016-12-28 2017-05-3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盒周边密封用卡夹装置及对液晶盒周边进行密封的方法
KR101955688B1 (ko) * 2017-02-06 2019-03-07 (주)이노시뮬레이션 모션시뮬레이터용 2자유도 직선운동 스테이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9722A (ja) * 1984-02-27 1985-09-13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638083A (en) * 2005-04-18 2006-11-01 Shibaura Mechatronics Corp The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TWI298268B (en) * 2005-07-08 2008-07-01 Top Eng Co Ltd Paste dispen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0984547Y (zh) * 2006-12-22 2007-12-05 陈荣川 全方位自动喷涂机
KR101164627B1 (ko) * 2008-07-28 2012-07-1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9722A (ja) * 1984-02-27 1985-09-13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437653U (zh) 2010-04-14
TW201004717A (en) 2010-02-01
KR20100012311A (ko) 2010-02-08
CN101439325B (zh) 2012-05-23
CN101439325A (zh) 2009-05-27
TWI355299B (en) 2012-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627B1 (ko) 분리형 프레임을 구비한 디스펜서
JP3480925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又はプローブブロックの支持枠体
CN105314343A (zh) 用于存储装置的传送机的台车
KR100568206B1 (ko) 스테이지장치
JP2011081069A (ja) 表示装置
JP2006175421A (ja) 塗布装置
JP6865423B2 (ja) 走行及びガイド機能を備えるローラユニット並びにそれを利用するパレット移送システム
KR20100025290A (ko)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실런트 등의 도포 방법
KR100999936B1 (ko) 헤드 지지대의 부하감소구조를 갖는 디스펜서
US9954033B2 (en) Bonding P-type and N-type sheets to form complementary circuits
JP6927506B2 (ja) 走行及びガイド機能を備えるレールターンモジュール並びにそれを利用するパレット移送システム
US20070146425A1 (en) Ink jet apparatus and ink jetting method
JP5208387B2 (ja) 塗布装置
CN108327231B (zh) 弯折装置
TWI531834B (zh) 塗佈機之平台以及控制塗佈機之平台及塗佈頭單元移動之方法
KR100859656B1 (ko) 회전·이방향 이동 장치, 얼라인먼트 유니트 및 얼라인먼트 스테이지 장치
CN208747130U (zh) 物料分拣生产线及输送装置
KR20210138183A (ko) 벤딩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벤딩 시험 방법
CN102540578A (zh) 密封胶涂布机
JP5244446B2 (ja) 塗布装置
CN115532534A (zh) 点胶丝印机
JP6927505B2 (ja) 走行及びガイド機能を備える走行レール並びにそれを利用するパレット移送システム
JP2609504B2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装置
KR100822279B1 (ko) 도포장치
US9433970B2 (en) Reinforcement liquid je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