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809B1 -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809B1
KR101162809B1 KR1020087024729A KR20087024729A KR101162809B1 KR 101162809 B1 KR101162809 B1 KR 101162809B1 KR 1020087024729 A KR1020087024729 A KR 1020087024729A KR 20087024729 A KR20087024729 A KR 20087024729A KR 101162809 B1 KR101162809 B1 KR 101162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eparator
crotch
pants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932A (ko
Inventor
도시후미 오쓰보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4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61F2013/495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with internal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61F2013/495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with vertical spacer or separator keeping other components out of cont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이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1)가 팬츠형의 피부 피복부(10)의 내면과 기저귀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개재되어 변으로 피부가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20)를 갖는다. 세퍼레이터(20)는, 기저귀(1)의 가랑이 영역(6)의 바닥부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7)과 뒤 몸통 둘레 영역(8)을 향해 연장되어 있어 가랑이 영역(6)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시트편에 의해 형성된다.
그 시트편은, 가랑이 영역(6)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를 갖는다. 이들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가랑이 영역(6)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피부 피복부(1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서로 분리할 수 없게 일체화한다.

Description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DISPOSABLE PANTS-TYP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히는 변이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팬츠형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변이 피부에 접촉되어 그 피부를 더럽히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는 공지이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1044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한 팬츠형 기저귀는 톱 시트 위에 스킨 콘택트 시트를 가지며, 그 스킨 콘택트 시트의 가랑이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 개구부를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과 일치시켜 두는 것에 의해, 변이 배설되면, 그 변은 개구를 통해 스킨 콘택트 시트의 하측으로 진행하여, 피부와 접촉하지 않는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104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한 기저귀는, 스킨 콘택트 시트에 형성된 개구부와 항문이 일치하지 않으면, 변이 피부와 스킨 콘택트 시트 사이에 침입하여, 피부를 현저하게 더럽힌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즉, 이 기저귀에서는, 기저귀를 착용시킬 때에, 스킨 콘택트 시트의 개구부를 항문에 일치시키는 것이 불가결이다. 그러나 착용시킨 기저귀에서의 개구부와 항문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는, 기저귀의 외측에서 확인할 수 없다. 또한, 스킨 콘택트 시트에는, 뇨를 직접 흡수체에 흡수시키기 위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절결부를 통과한 뇨가 흡수체의 표면상에서 변과 혼합되는 것은 피하기 어렵다. 그리고, 뇨와 변이 혼합되었을 때에는 변의 유동성이 높아져, 변에 의해 피부를 더럽힐 가능성이 높아진다.
종래의 기저귀에서의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이 과제로 하는 것 중 하나는, 기저귀 착용자의 항문과 기저귀에서의 변 수용부와의 정렬이 용이해지는 신규 기저귀의 제안이다.
또한, 본 발명이 과제로 하는 것 중 다른 하나는, 뇨와 변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는 신규 기저귀의 제안이다.
본 발명이 과제로 하는 것 중 또 다른 하나는, 다리 둘레로부터의 체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신규 기저귀의 제안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전방에 형성된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방에 형성된 뒤 몸통 둘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측면 가장자리부끼리 접합되어 팬츠형의 피부 피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부 피복부의 내면 측에는, 피부와 변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이다.
이러한 팬츠형 기저귀에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가랑이 영역의 앞뒤 방향 중앙부로부터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을 향해서 넓어지고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을 이등분하는 앞뒤 방향 중심선을 걸쳐 있으며 상기 앞뒤 방향 중심선의 양측에서 상기 내면 측에 고정되어 있는 시트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편은,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의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근처 부분 및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의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근처 부분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단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가 상기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내면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앞뒤 방향 중심선상에서 서로 분리할 수 없게 일체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이 상기 팬츠형 기저귀의 앞뒤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이, 다리 둘레 개구를 구획하며, 다리 둘레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다리 둘레 개구의 둘레 방향으로 신장?수축할 수 있는 다리 둘레 탄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의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에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 둘레 탄성 영역에서의 상기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이 상기 팬츠형 기저귀의 앞뒤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이, 다리 둘레 개구를 구획하며, 다리 둘레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다리 둘레 개구의 둘레 방향으로 신장?수축할 수 있는 다리 둘레 탄성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세퍼레이터의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가, 상기 다리 둘레 탄성 영역보다 상기 앞뒤 방향 중심선 근처에서 상기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에서의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의 각각이 상기 가랑이 영역의 상기 폭 방향에서 신장?수축할 수 있는 전방 탄성 영역과 후방 탄성 영역 각각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기저귀의 앞뒤 방향으로 이분하도록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선에 의해 상기 가랑이 영역의 바닥부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서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시트편이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근처에 위치하는 전방 시트편과, 상기 전방 시트편과는 별개의 부재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근처에 위치하는 후방 시트편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시트편이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를 가지며, 상기 후방 시트편이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방 시트편은 상기 가랑이 영역의 바닥부에 상기 전단 가장자리에 병행하는 전방 바닥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시트편은 상기 가랑이 영역의 바닥부에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에 병행하는 후방 바닥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바닥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방 바닥 가장자리부의 각각이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선에 의해 상기 가랑이 영역의 바닥부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은, 상기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분쇄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액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액 흡수부의 양측에 부직포 및 플라스틱 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체액 흡수부보다 굽힘 강성이 낮은 플랩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 둘레 탄성 영역이 상기 플랩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또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이 박리 가능하고 재접합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어, 착용시키고자 할 때에는 미리 팬츠형의 형상을 취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는, 변과 피부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그 세퍼레이터는, 양측 가장자리부가 기저귀의 앞뒤 방향 중심선의 양측에서 기저귀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어,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를 갖고 있다. 이들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는,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피부 피복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앞뒤 방향 중심선상에서 분리할 수 없게 일체화되어 있다. 이 기저귀를 착용할 때에, 앞뒤 몸통 둘레 영역을 앞뒤 방향으로 이격시켜 몸통 둘레 개구를 넓히면, 앞뒤 방향 중심선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가 앞뒤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들 양단 가장자리부 사이에 우측 다리를 삽입할 수 있고, 앞뒤 방향 중심선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도 또한 앞뒤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들 양단 가장자리부 사이에 좌측 다리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피부 피복부의 내면 사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그 개구의 내측에 뇨를 배설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세퍼레이터의 후단 가장자리부와 피부 피복부 사이에도 개구가 형성되어, 그 개구의 내측에 변을 배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뇨와 변은, 세퍼레이터와 내면 사이에 진입하기 때문에, 이들 배설물에 의해 피부를 더럽히지 않는다. 또한, 세퍼레이터는 가랑이 영역의 바닥부에서 뇨와 변의 혼합을 방지하는 구획벽으로서도 작용한다.
가랑이 영역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이, 신장?수축할 수 있는 다리 둘레 탄성 영역을 포함하고, 세퍼레이터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가 다리 둘레 탄성 영역에서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는 형태의 기저귀에서는, 몸통 둘레 개구를 넓힐 때에, 세퍼레이터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가 가랑이 영역의 양측 가장자리를 앞뒤 방향 중심선에 접근하도록 인장하는 동시에, 기저귀 내면에 대하여 기립시켜, 그 양측 가장자리부에 방루제(防漏堤)를 형성시킬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의 각각이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에서 신장?수축할 수 있는 전방 탄성 영역과 후방 탄성 영역의 각각을 포함하는 형태의 본 발명에서는, 세퍼레이터 기저귀 착용자의 다리 둘레 중 내측에 탄성적으로 밀착 가능해져, 다리 둘레로부터의 체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가,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선에 의해서, 가랑이 영역의 바닥부 내면에 접합되어 있는 형태의 본 발명에서는, 세퍼레이터와 기저귀 내면 사이에 진입한 뇨와 변의 혼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그 외의 실시형태와 이들에 의해서 얻어지는 효과는,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팬츠형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팬츠형 기저귀를 분해하고, 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선 IV-IV을 따라 취한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5는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도면.
도 6은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실시형태에 대한 도 3과 유사한 도면.
도 8은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도면.
도 10은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 7과 유사한 도면.
도 11은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팬츠형 기저귀로부터 얻어지는 기저귀의 부분 파단 평면도.
도 13은 체액 흡수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선 XIV-XIV을 따라 취한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3의 선 XV-XV을 따라 취한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13의 선 XVI-XVI을 따라 취한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팬츠형 기저귀
4: 체액 흡수부
6: 가랑이 영역
7: 앞 몸통 둘레 영역
8: 뒤 몸통 둘레 영역
10: 피부 피복부
12: 다리 둘레 개구
13: 측면 가장자리부
14b: 다리 둘레 탄성 부재
20: 세퍼레이터
20a: 전방 시트편(전방 세퍼레이터)
20b: 후방 시트편(후방 세퍼레이터)
21: 전단 가장자리부(전방 탄성 영역)
22: 후단 가장자리부(후방 탄성 영역)
41: 전방 바닥 가장자리부
42; 후방 바닥 가장자리부
C-C: 앞뒤 방향 중심선
X: 폭 방향
Y: 앞뒤 방향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의 상세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팬츠형 기저귀(1)가 착용 상태에 있을 때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팬츠형 기저귀(1)는 투액성의 내면 시트(2)와, 불투액성의 외면 시트(3)와, 이들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체액 흡수성 코어재(4)에 의해서 형성된 팬츠형의 피부 피복부(10)를 갖는다. 피부 피복부(10)는 가랑이 영역(6)과, 가랑이 영역(6)의 전방에 형성된 앞 몸통 둘레 영역(7)과, 가랑이 영역(6)의 후방에 형성된 뒤 몸통 둘레 영역(8)을 가지며,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의 측면 가장자리부분(7a, 8a)끼리 합장형으로 중첩되고,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나열하는 접합 영역(9)에서 서로 용착하여, 몸통 둘레 개구(11)와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 둘레 개구(11)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서는, 내외면 시트(2, 3) 사이에 있어서 몸통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여러 줄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14a)가 내외면 시트(2, 3) 중 적어도 한 쪽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다리 둘레 개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13) 근방에서는, 내외면 시트(2, 3) 사이에 있어서 다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여러 줄의 다리 둘레 탄성 부재(14b)가 내외면 시트(2, 3) 중 적어도 한 쪽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다리 둘레를 따르는 고리 모양의 탄성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팬츠형 기저귀(1)의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을 접합 영 역(9)에서 박리하고, 팬츠형 기저귀(1) 전체를 화살표 X로 도시하는 폭 방향과, 화살표 X에 직교하는 화살표 Y로 도시하는 앞뒤 방향으로 전개(展開)하여 얻어지는 전개 기저귀(1a)의 부분 파단 평면도로서, 도면에는 그 전개 기저귀(1a)의 내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피부 피복부(10)는 모래시계형을 나타내고 있고, 도 1에서의 몸통 둘레 개구(11)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전단 가장자리부(7b)와 후단 가장자리부(8b)가 되어 나타나고, 다리 둘레 개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13)가 가랑이 영역(6)의 측면 가장자리부(13)로서 나타나고 있다. 측면 가장자리부(13)의 각각은, 전개 기저귀(1a)에서의 가랑이 영역(6)의 폭을 이등분하는 앞뒤 방향 중심선 C-C를 향해 만곡되어 있지만,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의 측면 가장자리부(7a, 8a)의 각각은, 측면 가장자리부(13)로 이어지는 것이지만, 중심선 C-C에 평행하여 앞뒤 방향 Y로 연장되어 있다. 코어재(4)도 또한 모래시계형으로서,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4a)을 티슈페이퍼를 일례로 하는 체액의 흡수성과 확산성이 우수한 피복 시트(4b)에 의해 덮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전개 기저귀(1a)에서, 피부 피복부(10)의 내면을 형성하고 있는 내면 시트(2)의 가랑이 영역(6)에는, 소수성의 시트 재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이고 불투액성의 시트 재료로 형성된 세퍼레이터(20)가 부착되어 있다. 세퍼레이터(20)는, 가랑이 영역(6)의 양측 가장자리부(13)의 각각에 핫멜트 접착제(24)를 통해 고정되어 있는 측면 가장자리부(23)와, 가랑이 영역(6) 중 앞 몸통 둘레 영역(7) 근처 부분에서 양측 가장자리부(13)의 각각에까지 폭 방향 X로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부(21)와, 가랑이 영역(6) 중 뒤 몸통 둘레 영역(8) 근처 부분에서 양측 가장자리부(13) 각각에까지 폭 방향 X로 연장되는 후단 가장자리부(22)를 포함하고, 측면 가장자리부(23)를 제외하는 세퍼레이터(20) 대부분은 내면 시트(2)에 대하여 이격할 수 있는 비접합 상태에 있다.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세퍼레이터(20)를 되접는 것에 의해 형성된 슬리브(21a와 22a)를 포함한다. 이들 슬리브(21a, 22a)는, 각각의 내측에 전방 탄성 부재(21b)와 후방 탄성 부재(22b)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 측면 가장자리부(13)끼리의 사이에 연장되는 전방 탄성 영역과 후방 탄성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탄성 영역은 다리 둘레 탄성 부재(14b)가 형성하는 탄성 영역과 측면 가장자리부(13)에서 교차하고 있다.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또한, 피부 피복부(10)의 앞뒤 방향 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폭 방향 중심선 D-D로부터의 거리 Hr과 Hf가 거의 같고, 이들 양단 가장자리부(21, 22) 근방에는 앞뒤 방향 중심선 C-C상에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전방 접합 영역(27)과 후방 접합 영역(28)을 갖는다. 전개 기저귀(1a)가 중심선 D-D를 따라서 내측에 포개지면, 전방 접합 영역(27)과 후방 접합 영역(28)은 부합하고, 서로 접합되는 것에 의해 접합부(35)(도 3 참조)를 형성한다.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 사이에 개재하는 코어재(4)는, 가랑이 영역(6)으로부터 앞뒤 방향 Y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시와 같이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세퍼레이터(20)는, 그것이 이격할 수 있게 마주 보는 내면 시트(2) 사이에, 전단 가장자리부(21)로부터 후단 가장자리부(22)에까지 연장되는 터널형 또는 포켓형이라고 할 수 있는 배설물 수용부(31)를 형성하고 있다.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선 III-III은 도 2의 앞뒤 방향 중심선 C-C와 중첩되는 위치에 있다. 팬츠형 피부 피복부(10)는, 앞 몸통 둘레 영역(7)과 뒤 몸통 둘레 영역(8)이 서로 측면 가장자리부(7a, 8a)에서 접합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6)은 U자형으로 만곡되고, 가랑이 영역(6)의 측면 가장자리부(13)가 다리 둘레 개구(12)를 구획하고 있다. 세퍼레이터(20)에서는,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가 전방 접합 영역(27)과 후방 접합 영역(28)에서 핫멜트 접착제(32)를 통해 또는 용착함으로써 분리할 수 없게 접합되어, 접합부(35)를 형성하고 있다. 세퍼레이터(20)와 내면 시트(2) 사이에 형성된 배설물 수용부(31)는 전단 가장자리부(21)와 내면 시트(2)에 의해서 구획되는 전측부 개구(33)와, 후단 가장자리부(22)와 내면 시트(2)에 의해서 구획되는 후측부 개구(34)를 갖는다. 가랑이 영역(6)의 최하부인 바닥부(6a)에서는, 내면 시트(2)와 세퍼레이터(20)가 매우 접근한 상태에 있거나 또는 접촉된 상태에 있다.
도 4는, 도 3의 선 IV-IV를 따라 취한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으로서, 도 1의 기저귀(1)를 몸통 둘레 개구(11)의 위쪽에서 본 도면이기도 하다. 세퍼레이터(20)의 전단 가장자리부(21)는 폭 방향 X의 치수가 접합부(35)에 의해 이등분되어 있다. 그 전단 가장자리부(21)는 기저귀 착용자(도시 생략)의 우측 다리에 밀착할 수 있는 우측 전단 가장자리부(21R)와 좌측 다리에 밀착할 수 있는 좌측 전단 가장자리부(21L)를 가지며, 이들 단부 가장자리부(21R, 21L)가 V자형을 그리고 있다. 후단 가장자리부(22)도 폭 방향 X의 치수가 접합부(35)에 의해 이등분되어 있다. 그 후단 가장자리부(22)는, 기저귀 착용자의 우측 다리에 밀착할 수 있는 우측 후단 가장자리부(22R)와 좌측 다리에 밀착할 수 있는 좌측 후단 가장자리부(22L)를 가지며, 이들 단부 가장자리부(22R, 22L)가 V자형을 그리고 있다. 피부 피복부(10)에서의 다리 둘레 개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13)에는, 도시와 같이 우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와 좌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가 있고, 각각의 둘레 가장자리부(13R, 13L)가 세퍼레이터(20)의 측면 가장자리부(23)에 대하여 접합하지 않는 위쪽 가장자리부(15a)와, 측면 가장자리부(23)에 대하여 접합되어 있는 아래쪽 가장자리부(15b)를 갖고 있으며(도 3을 같이 참조), 도면에서는 위쪽 가장자리부(15a)와 아래쪽 가장자리부(15b)에 상당하는 범위의 각각이 화살표 A와 B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기저귀(1)를 착용할 때의 수순과 팬츠형 기저귀(1)의 거동은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을 앞뒤 방향 Y로 이격시키고, 몸통 둘레 개구(11)를 도 1, 도 4와 같이 크게 넓히면, 세퍼레이터(20)에서의 전단 가장자리부(21)는 우측 전단 가장자리부(21R)와 좌측 전단 가장자리부(21L)가 접합부(35)를 중앙으로 하여 V자형을 그리듯이 변형되고, 동일하게 후단 가장자리부(22)는 우측 후단 가장자리부(22R)와 좌측 후단 가장자리부(22L)가 V자형을 그리듯이 변형된다. 이들 변형에 수반하여, 전측부 개구(33)와 후측부 개구(34)가 자동적으로 크게 개구된다(도 3 참조). 또한, 우측 전단 가장자리부(21R) 와 우측 후단 가장자리부(22R)가 크게 이격되는 동시에, 좌측 전단 가장자리부(21L)와 좌측 후단 가장자리부(22L)도 크게 이격된다. 다음에, 기저귀 착용자(도시 생략)는, 다리 둘레 개구(12)에서의 우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 중 위쪽 가장자리부(15a)와 세퍼레이터(20)에서의 우측 전단 가장자리부(21R)와 세퍼레이터(20)에서의 우측 후단 가장자리부(22R)가 구획되는 우측 다리용 개구부(41R)에 우측 다리를 진입시킨다. 계속하여, 그 우측 다리를 우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의 위쪽 가장자리부(15a)와 아래쪽 가장자리부(15b)가 구획되는 다리 둘레 개구(12)에 진입시킨다. 또한 계속하여, 좌측 다리를 좌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 중 위쪽 가장자리부(15a)와 좌측 전단 가장자리부(21L)와 좌측 후단 가장자리부(22L)가 구획되는 좌측 다리용 개구부(41L)에 진입시킨다. 그 좌측 다리를 좌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의 위쪽 가장자리부(15a)와 아래쪽 가장자리(15b)가 구획되는 다리 둘레 개구(12)에 더 진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착용한 팬츠형 기저귀(1)에 있어서, 각각의 다리 둘레 개구(12)의 둘레 가장자리부(13), 즉 우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R)와 좌측 다리용 둘레 가장자리부(13L)는, 개구(12)의 둘레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장?수축할 수 있고, 세퍼레이터(20)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폭 방향 X로 탄성적으로 신장?수축할 수 있기 때문에, 우측 다리의 뿌 리 근방에서는, 위쪽 가장자리(15a)와 우측 전단 가장자리부(21R)와 우측 후단 가장자리부(22R)가 다리 둘레에 탄성적으로 밀착하여, 우측 다리 둘레에서의 체액의 누설을 막는 제1차 시일(51R)을 형성한다. 제1차 시일(51R)의 하측에서는, 아래쪽 가장자리부(15b)와 위쪽 가장자리부(15a)가 일체가 되어 우측 다리 둘레에서의 체액의 누설을 막는 제2차 시일(52R)을 형성하고, 이 제2차 시일(52R)이, 종래의 팬츠형 기저귀에서의 다리 둘레의 시일과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좌측 다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서, 좌측 다리의 뿌리 근방에서는, 위쪽 가장자리(15a)와 좌측 전단 가장자리(21L)와 좌측 후단 가장자리부(22L)가 다리 둘레에 탄성적으로 밀착하여, 좌측 다리용 제1차 시일(51L)을 형성한다. 제1차 시일(51L)의 아래쪽에서는, 아래쪽 가장자리부(15b)와 위쪽 가장자리부(15a)가 일체가 되어 좌측 다리 둘레에서의 제2차 시일(52L)을 형성한다. 착용한 팬츠형 기저귀(1)를 신체에 대하여 충분히 끌어올리는 것에 의해, 세퍼레이터(20)에서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접합부(35) 근방이 착용자의 외성기와 항문 사이에서 가랑이부에 접촉한다. 착용 후의 팬츠형 기저귀(1)에서도, 세퍼레이터(20)에서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표면 시트(2)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전측부 개구(33)와 후측부 개구(34)가 여전히 크게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착용 상태에 있는 팬츠형 기저귀(1)에서는, 세퍼레이터(20)가 기저귀 착용자의 가랑이부를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으로 명확히 구분하고 있어, 그 전방 부분에 형성된 전측부 개구(33)에는 기저귀 착용자의 외성기가 근접하고, 후방 부분에 형성된 후측부 개구(34)에는 항문이 근접하기 때문에, 외성기로부터의 뇨는 전측부 개구(33)로부터 확실히 배설물 수용부(31)에 진입하고, 항문으로부터의 변은 후측부 개구(34)로부터 확실히 배설물 수용부(31)에 진입하기 때문에, 뇨와 피부와의 접촉 및 변과 피부와의 접촉을 막을 수 있다. 수용부(31) 내의 뇨와 변은, 가랑이 영역(6)의 바닥부(6a)에서 내면 시트(2)와 세퍼레이터(20)가 접근 내지 접촉되어 있는 것에 의해, 혼합이 방해된다. 따라서, 뇨와 변과의 혼합에 의해 변의 유동성이 높아지면 변에 의해 피부를 더럽히기 쉬워진다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또한, 뇨나 변은, 만약에 배설물 수용부(31)의 내부를 향하지 않고 다리를 따라 흐르는 경우가 있어도, 양 다리 각각은 제1차 시일(51R, 51L)과 제2차 시일(52R, 52L)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히는 팬츠형 기저귀(1)로부터 누설되지 않는다.
팬츠형 기저귀(1)에 있어서, 내면 시트(2)에는 투액성의 부직포나 개공 플라스틱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외면 시트(3)에는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 이들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의 적층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코어재(4)에서는 흡액성 재료로서,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분쇄 펄프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섬유와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복 시트(4b)에는 티슈페이퍼 대신에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20)를 형성하기 위한 시트 재료로서는, 소수성 또는 소수성 불투액성의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그 시트 재료는 탄성 부재(21b, 22b)의 탄성적인 신장에 추종하여 탄성적으로 또는 비탄성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전개 기저귀(1a)에 대해서 부언해 두면, 폭 방향 중심선 D-D로부터 전방 접합 영역(27)까지의 거리 Hf와 후방 접합 영역(28)까지의 거리 Hr이 같다. 팬츠형 기저귀(1)가 유아용의 것인 경우의 바람직한 세퍼레이터(20)에서는, 거리 Hf, Hr이 20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80 ㎜의 범위에 있다. 추가로, 바람직한 세퍼레이터(20)에서의 접합부(35)의 폭 방향 X의 치수는 3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30 ㎜의 범위에 있다.
도 2의 전개 기저귀(1a)에서는 또한, 폭 방향 X에서, 코어재(4)의 외측에 내외면 시트(2, 3)에 의해 사이드 플랩(25)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25)은 폭 방향 X에서의 굽힘 강성이 코어재(4)의 그것보다 낮아 변형이 용이한 부분으로서, 내외면 시트(2, 3)와 다리 둘레 탄성 부재(14b)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개 기저귀(1a)로부터 얻어지는 팬츠형 기저귀(1)가 도 1의 상태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6)이 앞뒤 방향 Y에서 만곡되어 있으면, 사이드 플랩(25)은 다리 둘레의 탄성 영역이 수축하는 것에 따라, 폭 방향 중심선 D-D의 근방, 즉 가랑이 영역(6)의 바닥부(6a)에서, 코어재(4)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을 기단으로서 팬츠형 기저귀(1)의 위쪽을 향해 기립하는 경향을 도시한다. 한편, 세퍼레이터(20)는 측면 가장자리부(23)가 접착제(24)를 통해 다리 둘레의 탄성 영역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서는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세퍼레이터(20)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 이 V자형을 그리듯이 변형되면, 그 사이드 플랩(25)이 이들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에 의해서 앞뒤 방향 중심선 C-C와 접근하도록 팬츠형 기저귀(1)의 내측으로 인장되고, 그 결과로서, 사이드 플랩(25)은 위쪽을 향해 기립하는 경향을 강화한다. 이러한 경향을 갖는 사이드 플랩(25)은,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대하여 팬츠형 기저귀(1)의 아래쪽으로부터 잘 밀착되어, 다리 둘레로부터의 체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5의 전개 기저귀(1a)에서는, 도 2의 전개 기저귀(1a)에서의 세퍼레이터(20)보다 앞뒤 방향 Y의 치수가 큰 세퍼레이터(20)가 사용되고 있다. 이 세퍼레이터(20)는 전단 가장자리부(21)가 앞 몸통 둘레 영역(7)에 있어서, 측면 가장자리부(7a와 7a)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또한, 후단 가장자리부(22)가 뒤 몸통 둘레 영역(8)에 있어서, 측면 가장자리부(8a와 8a)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세퍼레이터(20)는 그 양측 가장자리부(23)가 핫멜트 접착제(24)를 통해 피부 피복부(10)에서의 가랑이 영역(6)의 양측 가장자리부(13)와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에서의 양측 가장자리부(7a, 8a)에 접합되어 있다. 세퍼레이터(20)는 또한, 폭 방향 중심선 D-D를 따라서 가랑이 영역(6)을 횡단하는 부분이 핫멜트 접착제(24)를 통해 내면 시트(2)에 접합되어 있고, 세퍼레이터(20)와 내면 시트(2)로 형성하는 배설물 수용부(31)가 전방 수용부(31a)와 후방 수용부(31b)로 이분되어 있다. 전개 기저귀(1a)를 폭 방향 중심선 D-D를 따라 포개어 측면 가장자리부(7a와 8a)를 접합하고, 세퍼레이터(20)의 전단 가장자리부(21)의 접합 부위(27)와 후단 가장자리부(22)의 접합 부 위(28)가 접합부(35)(도 2 참조)를 형성한 상태의 팬츠형 기저귀(1)에서는, 다리 둘레 탄성 부재(14b)를 포함하는 가랑이 영역(6)의 양측 가장자리부(13)가, 도 1, 3에 도시되는 다리 둘레 개구(12)를 구획하며, 도 3에서의 제2차 시일(52R, 52L)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는 폭 방향 중심선 D-D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기 때문에, 피부 피복부(10)의 측면 가장자리부(7a와 8a)가 접합하면, 그 접합한 측면 가장자리부(7a, 8a)로부터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의 접합부(35)에 이르는 사이의 우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R)와 우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R) 사이에 우측 다리를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좌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L)와 좌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L) 사이에 좌측 다리를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우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R)와 우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R)는 우측 다리의 다리 둘레에 탄성적으로 밀착하고, 좌측 다리용 전단 가장자리부(21L)와 좌측 다리용 후단 가장자리부(22L)는 좌측 다리의 다리 둘레에 탄성적으로 밀착하여, 우측 다리용 및 좌측 다리용의 제1차 시일(51R, 51L)로서 기능한다. 단, 도 5의 전개 기저귀(1a)로부터 형성되어야 하는 제1차 시일(51R, 51L)과 제2차 시일(52R, 52L)은 도 4의 경우와 상이하여,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또한, 이 전개 기저귀(1a)로부터 형성되는 팬츠형 기저귀(1)에서는, 배설물 수용부(31)가 접착제(24)를 통해 내면 시트(2)에 접합되 어 있는 세퍼레이터(20)에 의해 앞뒤로 이분되어 있기 때문에, 뇨와 변이 혼합되지 않는다.
도 6,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2, 3과 유사한 도면이다. 단, 도 6의 전개 기저귀(1a)에서의 세퍼레이터(20)에는, 도 2에 도시된 전방 탄성 부재(21b)와 후방 탄성 부재(22b)가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세퍼레이터(20)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가, 이들 단부 가장지리부(21, 22)와는 별개의 부재의 점착성 연결 부재(61)에 의해 접합된다. 도 6의 세퍼레이터(20)에는 탄성적으로 신장?수축할 수 있는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의 탄성 시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탄성 시트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 시트 재료로 세퍼레이터(2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세퍼레이터(20)에 주름이 잘 생기지 않고, 피부와 세퍼레이터(20)의 주름 사이로부터 체액이 생각지 않은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는 없다. 연결 부재(61)는, 도 2에서의 접합 부위(27, 28)를 접착제 등으로 접합하여 접합 부위(35)를 얻는 것 대신에 사용되는 것으로, 도 7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역 V자형으로서, 전단 가장자리부(21)에 접합제(62)를 통해 접합하는 전측부(63)와, 후단 가장자리부(22)에 접합제(62)를 통해 접합하는 후측부(64)와, 이들 양쪽 부(63, 64) 사이에 개재하는 중간부(65)를 갖는다.
도 8은, 연결 부재(61)의 사시도이다. 연결 부재(61)는 부직포나 직포, 종이, 플라스틱 필름 등의 시트 재료를 중간부(65)에서 포개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측부(63)와 후측부(64)의 외면에는 접착제나 점착제 등의 접합제(62)가 도포되어 있다. 전측부(63)와 후측부(64)는, 연결 부재(61)의 폭 방향 X의 중앙 부 분(63a, 64a)에서 중간부(65)를 통해 연결되어 있지만, 폭 방향 X의 양측 부분(63b, 63c, 64b, 64c)에서는 연결 부재(61)에 형성된 슬릿(66, 67)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다. 연결 부재(61)의 치수에 각별한 규정은 없지만, 폭 방향 X에서, 양측 부분(63b, 63c, 64b, 64c)의 치수를 크게 하면, 도 6의 기저귀(1a)를 포개어 세퍼레이터(20)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를 접합할 때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 때에, 중간부(65)의 폭 방향 X에서의 치수를 쓸데없이 크게 하지 않으면,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를 연결 부재(61)를 사용하여 일체화하여도, 이들 양단 가장자리부(21, 22)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연결 부재(61)에 의해 방해하지 않는다. 연결 부재(61)는 또한, 슬릿(66, 67)의 앞뒤 방향 Y에서의 폭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중간부(65)에서의 앞뒤 방향 Y의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앞뒤 방향 Y에서의 중간부(65)의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팬츠형 기저귀(1)에서의 세퍼레이터(20a)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9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7의 전개 기저귀(1a)에서의 세퍼레이터(20)에서는, 폭 방향 X에서의 치수가 도 2의 그것보다 짧게 만들어져 있다. 세퍼레이터(20)의 전단 가장자리부(21)나 후단 가장자리부(22)를 다리 둘레의 넓은 범위에 걸쳐 밀착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폭 방향 X의 치수가 짧은 세퍼레이터(2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7과 유사한 도면이 다. 도 8의 세퍼레이터(20)는 앞뒤 방향 Y에서 치수 W만큼 이격되어 있는 전방 세퍼레이터(20a)와 후방 세퍼레이터(20b)로 이분되어 있다. 전방 세퍼레이터(20a)는, 전단 가장자리부(21)와, 가랑이 영역(6)의 바닥부(6a)에서 전단 가장자리부(21)에 병행하여 폭 방향 X로 연장되는 전방 바닥 가장자리부(41)와, 양측 가장자리부(23a)를 가지며, 전방 바닥 가장자리부(41)와 양측 가장자리부(23a)가 핫멜트 접착제(24)를 통해 내면 시트(2)에 접합되고, 내면 시트(2)와 협동하여 전방 수용부(31a)를 형성하고 있다. 후방 세퍼레이터(20b)는 후단 가장자리부(22)와, 바닥부(6a)에서 후단 가장자리부(22)에 병행하여 폭 방향 X로 연장되는 후방 바닥 가장자리부(42)와, 양측 가장자리부(23b)를 가지며, 후방 바닥 가장자리부(42)와 양측 가장자리부(23b)가 핫멜트 접착제(24)를 통해 내면 시트(2)에 접합되어 있다. 이 전개 기저귀(1a)에서는, 바닥부(6a)에서 내면 시트(2)가 앞뒤 방향 Y에 치수 W만큼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이 전방 수용부(31a)나 후방 수용부(31b)로 유입되지 않고 세퍼레이터(20)의 내면을 따라 흘러도, 그 체액을 바닥부(6a)에서 신속히 흡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단, 도 9의 팬츠형 기저귀(1)에서는, 뒤 몸통 둘레 영역(8)의 측면 가장자리부(8a)에 패스너(46)가 부착되어 있다. 패스너(46)는 측면 가장자리부(8a)의 상하 양단부에까지 연장되어 있어, 앞 몸통 둘레 영역(7)에서의 외면 시트(3)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고 재접합할 수 있는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이 팬츠형 기저귀(1)를 유아에게 입힐 때에는, 도시와 같이 미리 팬츠 형상으로 갖춰져 있는 기저귀(1)의 몸통 둘레 개구(11)를 크게 넓혀, 도 1의 팬츠형 기저귀(1)의 경우와 같은 수순에 따른다. 착용 후의 팬츠형 기저귀(1)는, 앞 몸통 둘레 영역(7)으로부터 패스너(46)를 박리함으로써, 배설물의 유무를 점검하거나, 배설물로 더러워진 기저귀를 벗기거나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12는, 전개 기저귀(1a)에 대한 부분 파단 평면도이다. 이 전개 기저귀(1a)는 도 9의 팬츠형 기저귀(1)의 패스너(46)를 앞 몸통 영역(7)으로부터 박리하고, 추가로 세퍼레이터(20)에서의 전방 접합 영역(27)과 후방 접합 영역(28)이 형성되어 있던 접합부(도 3 참조)의 접합을 분리하여, 가랑이 영역(6)과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을 폭 방향 X와 앞뒤 방향 Y로 펴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전개 기저귀(1a)는 거의 모래시계형으로 형성된 피부 피복부(10)와, 피부 피복부(10)의 내면에 부착된 체액 흡수부(3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피부 피복부(10)는 가랑이 영역(6)과, 앞 몸통 둘레 영역(7)과, 뒤 몸통 둘레 영역(8)을 가지며, 뒤 몸통 둘레 영역(8)의 양측 가장자리부(8a)에는 패스너(46)가 부착되어 있다. 피부 피복부(10)는 패스너(46) 외에, 내면을 형성하는 제1 시트(41), 외면을 형성하는 제2 시트(42), 이들 제1, 제2 시트(41, 42) 중 적어도 한 쪽에 신장 상태로 부착된 몸통 둘레 탄성 부재(14a)와 다리 둘레 탄성 부재(14b)를 포함하고 있다. 체액 흡수부(30)는, 본체 부분(47)과, 방루제(48)와, 세퍼레이터(20)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 부분(47)은 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랑이 영역(6)으로부터 앞 몸통 둘레 영역(7)과 뒤 몸통 둘레 영역(8)까지 연장되어 있고, 핫멜트 접착제(49)를 통해 피부 피복부(10)에 접합되어 있다. 방루제(48)는, 체액 흡수부(30) 의 양측에서 앞뒤 방향 Y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방루제(48)끼리의 사이에는, 세퍼레이터(20)가 설치되어 있다. 세퍼레이터(20)는 앞뒤 방향 중심선 C-C와 폭 방향 중심선 D-D에 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앞뒤 방향 중심선 C-C상에 전방 접합 영역(27)과 후방 접합 영역(28)을 갖는다.
도 13, 14, 15, 16은 체액 흡수부(30)의 부분 파단 사시도와, 그 사시도의 선 XIV-XIV를 따라 취한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과, 선 XV-XV를 따라 취한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과, 선 XVI-XVI를 따라 취한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체액 흡수부(30)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방루제(48)는 부직포, 보다 바람직하게는 난투액성의 부직포, 더 바람직하게는 불투액성의 부직포를 Z자형 및 역 Z자형으로 접어 개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앞뒤 양단부가 핫멜트 접착제(49)를 통해 본체 부분(47)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도 14~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 부분(47)에서는, 체액 흡수성의 코어재(4)가 투액성의 톱 시트(52)와 불투액성의 백 시트(53)에 의해 샌드위치되어 있다. 톱 시트(52)와 백 시트(53)는, 코어재(4)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에서 중첩하여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Z자형 또는 역 Z자형으로 접어 개어져 있는 방루제(48)는, 밑변(48a)과 윗변(48c)과 이들 양변(48a, 48c)을 잇는 중간변(48b)을 가지며, 밑변(48a)이 핫멜트 접착제(56)를 통해 백 시트(53)에 접합되어 있다. 도 14에서는, 중간변(48b)이 핫멜트 접착제(56)를 통해 톱 시트(52)에 접합되고, 윗변(48c)이 핫멜트 접착제(56)를 통해 중간변(48b)에 접합되어 있다. 도 15에서는, 방루제(48)의 밑변(48a)이 백 시트(53)에 접합되어 있고, 중간변(48b)과 윗변(48c)이 가상선의 화살표 P로 도시되는 방향으로 기립할 수 있도록 접어 개어져 있다. 도 16에서는, 톱 시트(52)의 상면에 세퍼레이터(20)가 중첩되어 있고, 그 세퍼레이터(20)의 측면 가장자리부(23)가 앞뒤 방향 중심선 C-C를 향해 되접히며, 그 되접힌 부분(23a)이 핫멜트 접착제(24)를 통해 톱 시트(52)에 접합되어 있다. 도 16의 방루제(48)는, 밑변(48a)이 백 시트(53)에 접합되어 있고, 중간변(48b)과 윗변(48c)이 도 15와 마찬가지로 가상선과 같이 기립할 수 있도록 접어 개어져 있다. 방루제(48)에는 또한, 그 중간변(48b)에 탄성 부재(57a)가 핫멜트 접착제(도시 생략)를 통해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윗변(48c)의 가장자리에, 탄성 부재(57b)가 핫멜트 접착제(도시 생략)를 통해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세퍼레이터(20)는 측면 가장자리부(23) 외에, 폭 방향 중심선 D-D상의 부분도 핫멜트 접착제(24)를 통해 톱 시트(52)에 접합되어 있다. 세퍼레이터(20)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에는, 탄성 부재(21b와 22b)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세퍼레이터(20)는 톱 시트(52)와 협동하여, 전측부 개구(33)와 후측부 개구(34)를 갖는 배설물 수용부(31)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도 12의 전개 기저귀(1a)는, 체액 흡수부(30)를 내측으로 하여, 폭 방향 중심선 D-D를 따라 절곡하여 앞 몸통 둘레 영역(7)과 뒤 몸통 둘레 영역(8)과 중첩시키고, 접합 영역(27과 28)을 접합하여 접합부(35)(도 3 참조)를 형성하며, 패스너(46)의 접합부(46a)(도 12 참조)를 앞 몸통 둘레 영역(7)에서의 측면 가장자리부(7a)의 외면에 대하여 접합한 상태로 수요자에게 공급된다. 앞 몸통 둘레 영역(7)의 외면을 형성하는 제2 시트(42)가 플라스틱 필름인 경우에 는, 이것에 접합하는 패스너(46)의 접합부(46a)를 점착제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시트(42)가 메커니컬 패스너의 훅 부재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부직포 등인 경우의 접합부(46a)는, 그 훅 부재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의 전개 기저귀(1a)에서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을 중첩시키고 패스너(46)로 이들 양 몸통 둘레 영역(7, 8)을 연결하여 얻어지는 팬츠형 기저귀(1)에서는, 세퍼레이터(20)도 또한 폭 방향 중심선 D-D를 따라서 포개진 상태에 있다. 이 팬츠형 기저귀(1)에서, 앞뒤 몸통 둘레 영역(7, 8)을 앞뒤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몸통 둘레 개구(11)를 도 11과 같이 넓히면, 도 12에서는 폭 방향 중심선 D-D에 평행하여 연장되어 있던 세퍼레이터(20)의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후단 가장자리부(22)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접합 영역(27, 28)을 중앙으로 하여 V자형을 그리듯이 변형한다(도 4 참조). 그 변형에 따라서, 전단 가장자리부(21)와 톱 시트(52)가 구획되어 있는 배설물 수용부(31)의 전측부 개구(33)가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후단 가장자리부(22)와 톱 시트(52)가 구획되어 있는 배설물 수용부(31)의 후측부 개구(34)도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더 나아가서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20)의 측면 가장자리부(23)가 가상선의 화살표 Q로 도시되는 방향으로 움직여, 방루제(48)의 중간변(48b)과 윗변(48c)을 아래쪽으로부터 밀어 올리도록 하여 이들 양변(48b, 48c)이 가상선과 같이 기립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에 의해 피부를 더럽히지 않는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Claims (9)

  1.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전방에 형성된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방에 형성된 뒤 몸통 둘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측면 가장자리부끼리 접합되어 팬츠형의 피부 피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부 피복부의 내면 측에는, 피부와 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로서,
    상기 세퍼레이터가, 상기 가랑이 영역의 앞뒤 방향 중앙부로부터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을 향해서 넓어지고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을 이등분하는 앞뒤 방향 중심선을 걸쳐 있으며 상기 앞뒤 방향 중심선의 양측에서 상기 내면 측에 고정되어 있는 시트편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편이,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의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근처 부분 및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의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근처 부분 및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단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가 상기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내면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앞뒤 방향 중심선상에서 서로 분리할 수 없게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이 상기 팬츠형 기저귀의 앞뒤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이, 다리 둘레 개구를 구획하며, 다리 둘레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 상기 다리 둘레 개구의 둘레 방향으로 신장?수축할 수 있는 다리 둘레 탄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의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가,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에까지 연장되어 있어, 상기 다리 둘레 탄성 영역에서의 상기 내면에 접합되어 있는 팬츠형 기저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이 상기 팬츠형 기저귀의 앞뒤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 가장자리부의 각각이, 다리 둘레 개구를 구획하며, 다리 둘레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 상기 다리 둘레 개구의 둘레 방향으로 신장?수축할 수 있는 다리 둘레 탄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의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가, 상기 다리 둘레 탄성 영역보다 상기 앞뒤 방향 중심선 근처에서 상기 내면에 접합되어 있는 팬츠형 기저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에서의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의 각각이 상기 가랑이 영역의 상기 폭 방향에서 신장?수축할 수 있는 전방 탄성 영역과 후방 탄성 영역 각각을 포함하고 있는 팬츠형 기저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기저귀의 앞뒤 방향으로 이분하도록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선에 의해 상기 가랑이 영역의 바닥부 내면에 접합되어 있는 팬츠형 기저귀.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시트편이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 근처에 위치하는 전방 시트편과, 상기 전방 시트편과는 별개의 부재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에서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 근처에 위치하는 후방 시트편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시트편이 상기 전단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시트편이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를 갖고 있는 팬츠형 기저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시트편은 상기 가랑이 영역의 바닥부에 상기 전단 가장자리에 병행하는 전방 바닥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시트편은 상기 가랑이 영역의 바닥부에 상기 후단 가장자리부에 병행하는 후방 바닥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바닥 가장자리부와 상기 후방 바닥 가장자리부의 각각이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선에 의해 상기 가랑이 영역의 바닥부 내면에 접합되어 있는 팬츠형 기저귀.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은, 상기 폭 방향의 중앙 부분에 분쇄 펄프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체액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액 흡수부의 양측에 부직포 및 플라스틱 필름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체액 흡수부보다 굽힘 강성이 낮은 플랩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 둘레 탄성 영역이 상기 플랩부에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기저귀.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 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이 박리 가능하고 재접합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어, 착용시키고자 할 때에는 미리 팬츠형의 형상을 취하게 하는 것인 팬츠형 기저귀.
KR1020087024729A 2006-04-06 2007-04-03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 KR101162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5663 2006-04-06
JPJP-P-2006-105663 2006-04-06
JPJP-P-2006-308358 2006-11-14
JP2006308358A JP4871095B2 (ja) 2006-04-06 2006-11-14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PCT/JP2007/057459 WO2007114436A1 (ja) 2006-04-06 2007-04-03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932A KR20090004932A (ko) 2009-01-12
KR101162809B1 true KR101162809B1 (ko) 2012-07-05

Family

ID=3856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729A KR101162809B1 (ko) 2006-04-06 2007-04-03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7763002B2 (ko)
EP (1) EP2011461B1 (ko)
JP (1) JP4871095B2 (ko)
KR (1) KR101162809B1 (ko)
CN (1) CN101442967B (ko)
AU (1) AU2007232810B2 (ko)
BR (1) BRPI0709460A2 (ko)
CA (1) CA2647062A1 (ko)
EA (1) EA016218B1 (ko)
EG (1) EG25413A (ko)
MA (1) MA30399B1 (ko)
MX (1) MX2008012931A (ko)
MY (1) MY149106A (ko)
TW (1) TW200800120A (ko)
WO (1) WO2007114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1095B2 (ja) * 2006-04-06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4871098B2 (ja) * 2006-11-15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パンツ型おむつ
JP4871099B2 (ja) * 2006-11-15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4871097B2 (ja) * 2006-11-15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パンツ型おむつ
JP5054982B2 (ja) * 2007-01-12 2012-10-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
JP5074774B2 (ja) * 2007-01-12 2012-1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の製造方法
JP2009125315A (ja) * 2007-11-22 2009-06-11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JP5280050B2 (ja) * 2007-12-28 2013-09-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MY170651A (en) * 2007-12-07 2019-08-23 Uni Charm Corp Disposable pants-type wearing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5185669B2 (ja) * 2008-03-26 2013-04-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WO2009119376A1 (ja) 2008-03-26 2009-10-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5185671B2 (ja) * 2008-03-26 2013-04-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5185670B2 (ja) * 2008-03-26 2013-04-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DK2720862T3 (en) 2011-06-17 2016-09-19 Fiberweb Inc Vapor permeable, water impervious TOTAL MAJOR MULTI-LAYER ARTICLE
WO2012178027A2 (en) 2011-06-23 2012-12-27 Fiberweb, Inc. Vapor-permeable, substantially water-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PL2723568T3 (pl) 2011-06-23 2018-01-31 Fiberweb Llc Przepuszczalny dla pary, zasadniczo nieprzepuszczalny dla wody wielowarstwowy wyrób
US9765459B2 (en) 2011-06-24 2017-09-19 Fiberweb, Llc Vapor-permeable, substantially water-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WO2013081667A1 (en) 2011-11-30 2013-06-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mall-sized disposable pull-on diaper
JP6320693B2 (ja) * 2013-07-03 2018-05-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BR112017000890B1 (pt) * 2014-07-22 2022-05-03 Kao Corporation Fralda descartável tipo calça
CN204909840U (zh) * 2014-07-23 2015-12-30 花王株式会社 一次性尿布
WO2018143921A1 (en) 2017-01-31 2018-08-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 side pocket
CN110913815A (zh) 2017-07-31 2020-03-24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提供屏障区的身体侧衬里的吸收制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7888A (en) 1994-03-18 1995-10-04 Moelnlycke Ab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1070A (en) * 1984-04-19 1988-03-15 Personal Products Company Adult incontinent absorbent article
CA2072665C (en) * 1992-02-26 2002-06-18 David Arthur Kuen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US5554145A (en) * 1994-02-28 1996-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zone structural elastic-like film web extensible waist feature
JP3129934B2 (ja) * 1995-05-31 2001-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213958A (zh) * 1995-12-29 1999-04-14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侧边阻挡层的吸收性用品
JP3519019B2 (ja) * 1999-04-15 2004-04-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US6786895B1 (en) * 1999-07-02 2004-09-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barrier means,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JP4480859B2 (ja) * 2000-06-29 2010-06-16 王子製紙株式会社 おむつ
EP1297809A4 (en) * 2000-06-29 2005-01-19 Oji Paper Co ABSORBENT PRODUCT
JP3811001B2 (ja) * 2000-12-06 2006-08-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3734720B2 (ja) * 2001-05-18 2006-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3920593B2 (ja) * 2001-05-21 2007-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液性パッド
US20040193134A1 (en) * 2001-07-26 2004-09-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with cuffs
WO2003013679A1 (en) * 2001-08-03 2003-02-20 Nokia Corporation A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synchronising a plurality of terminals
JP3889975B2 (ja) * 2002-02-28 2007-03-07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JP3822869B2 (ja) * 2003-08-14 2006-09-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511250B2 (ja) * 2004-06-03 2010-07-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871095B2 (ja) * 2006-04-06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7888A (en) 1994-03-18 1995-10-04 Moelnlycke Ab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30399B1 (fr) 2009-05-04
MX2008012931A (es) 2008-10-15
BRPI0709460A2 (pt) 2011-07-12
US20070239129A1 (en) 2007-10-11
US20100241095A1 (en) 2010-09-23
TWI328446B (ko) 2010-08-11
JP4871095B2 (ja) 2012-02-08
KR20090004932A (ko) 2009-01-12
AU2007232810B2 (en) 2011-11-24
CN101442967B (zh) 2012-09-26
JP2007296314A (ja) 2007-11-15
EA200802113A1 (ru) 2009-04-28
EA016218B1 (ru) 2012-03-30
CN101442967A (zh) 2009-05-27
US8298204B2 (en) 2012-10-30
US7763002B2 (en) 2010-07-27
AU2007232810A1 (en) 2007-10-11
EP2011461B1 (en) 2014-06-25
CA2647062A1 (en) 2007-10-11
MY149106A (en) 2013-07-15
WO2007114436A1 (ja) 2007-10-11
EG25413A (en) 2012-01-02
EP2011461A1 (en) 2009-01-07
TW200800120A (en) 2008-01-01
EP2011461A4 (en)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809B1 (ko)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
JP5457828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1238533B1 (ko)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및 그 팬츠형 기저귀
KR101267185B1 (ko) 일회용 팬츠형 기저귀의 제조 방법 및 그 팬츠형 기저귀
WO2009145287A1 (ja) 吸収性物品
JP5185670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WO2009119376A1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2009233035A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JP5185671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WO2009084266A1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WO2009148061A1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