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351B1 - 악기 소리에 연동하여 리듬감을 연습할 수 있는 리듬 체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악연습장치 - Google Patents

악기 소리에 연동하여 리듬감을 연습할 수 있는 리듬 체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악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351B1
KR101161351B1 KR1020110123456A KR20110123456A KR101161351B1 KR 101161351 B1 KR101161351 B1 KR 101161351B1 KR 1020110123456 A KR1020110123456 A KR 1020110123456A KR 20110123456 A KR20110123456 A KR 20110123456A KR 101161351 B1 KR101161351 B1 KR 101161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joint
sound wav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이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우 filed Critical 이춘우
Priority to KR102011012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6Devices for exercising or strengthening fingers or arms; Devices for holding fingers or arms in a proper position for play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09B15/003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with indication of the keys or strings to be played on instru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듬감을 느낄 수 있는 리듬 체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리듬 체험장치는 베이스(Base)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음파를 수신/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베이스에 힌지가능하게 구비되며, 관절구조를 갖음으로써 시계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궤적을 따라 선회운동을 하는 복수개의 관절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에 각각 구비되어 손가락이 삽입됨으로써 손에 착용될 수 있는 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악기 소리에 연동하여 리듬감을 연습할 수 있는 리듬 체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악연습장치{Apparatus for training rhythmical sense by interlocking sound of instrument}
본 발명은 리듬 체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에 장착되며, 외부 악기로부터 발생 되는 소리를 감지하고 이 소리에 따라 손가락 형상의 관절이 구동함으로써 손가락으로 음악의 리듬감을 느낄 수 있는 리듬 체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기, 악기 혹은 CD 플레이어 등의 음원으로부터 음악을 감상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된다.
즉, 피아노 혹은 체로와 같은 악기의 연주자가 콘서트 홀의 무대와 같은 넓은 공간에서 직접 악기를 연주하고, 청중이 이를 감상하는 전통적인 방식과, 음악 감상실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 음악을 감상하는 현대적인 방식 등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악 감상방식은 청중이 단순히 음악을 감상하기 위한 것일 뿐, 음악을 보다 체감적으로 느끼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악도들이 해당 음악을 이해하고 연주하기 위해서는 많은 반복학습을 통한 연습이 요구되는 바, 종래와 같이 단순히 음악을 청각적으로만 들어서 이해하는 방식으로는 효율면에서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악기로부터 발생 되는 음파에 의하여 구동하는 손가락 형상의 장치를 손에 장착함으로써, 음악이 연주될 때 손가락 형상의 장치도 같이 작동함으로써 손가락으로 리듬감을 느낄 수 있는 리듬 체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Base)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음파를 수신/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베이스에 힌지가능하게 구비되며, 관절구조를 갖음으로써 시계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궤적을 따라 선회운동을 하는 복수개의 관절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에 각각 구비되어 손가락이 삽입됨으로써 손에 착용될 수 있는 밴드를 포함하는 리듬 체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Base)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음파를 수신/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베이스에 힌지가능하게 구비되며, 관절구조를 갖음으로써 시계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궤적을 따라 선회운동을 하는 복수개의 관절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에 각각 구비되어 손가락이 삽입됨으로써 손에 착용될 수 있는 밴드를 포함하는 리듬 체험장치를 갖는 음악 연습장치로서,
상기 리듬 체험장치를 피아노 건반상에서 해당 건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며 고정자의 역할을 하는 LM 가이드와;
리니어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LM 가이드상에 각각 이송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리듬 체험장치가 구비되는 트랜스퍼와;
상기 트랜스퍼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리듬 체험장치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음악 연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듬 체험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음파를 수신하여 특정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신호변환부와, 이 신호변환부에 연결되어 음을 발생시키는 관절부로 구성됨으로써 악기가 연주될 때 이 관절부가 리듬에 따라 구동함으로써 손가락으로 리듬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악기 연습자가 연습을 할 때, 지도자는 다른 방에서 이 리듬 체험장치를 손에 장착함으로써 악기 연습자의 연습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음으로 연습효과도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형상의 리듬 체험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가락 형상의 리듬 체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호 변환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센서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여파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손가락 형상의 리듬 체험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와이어에 의하여 구동하는 리듬 체험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손가락 형상의 리듬 체험장치가 건반악기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손가락 형상의 리듬 체험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형상의 리듬 체험장치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손가락 형상의 리듬 체험장치(1)는 베이스(Base;3)와; 상기 베이스(3)에 배치되어 음파를 수신/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5)와; 상기 신호 변환부(5)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변환부(5)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U)와; 상기 베이스(3)에 배치되며, 관절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어부(U)의 제어에 의하여 상하 구동을 함으로써 손가락에 음감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관절부(15)와;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15)에 각각 구비되어 손가락이 삽입됨으로써 손에 착용될 수 있는 밴드(Band;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리듬 체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3)는 바람직하게는 손등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리듬 체험장치(1)를 손에 착용하는 경우, 이 베이스(3)가 손등에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 변환부(5)는 베이스(3)에 배치되며, 악기로부터 전달되는 음파를 감지하고, 이 음파의 주파수 대역중 특정 주파수만을 통과시킨다.
이러한 신호 변환부(5)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신호 변환부(5)는 기판(33)이 내재되고 음파가 확산될 수 있는 케이스(Case;35)와; 상기 케이스(35)의 내부에 구비되며 악기로부터 입력된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37)와; 상기 출력부(37)로부터 음파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파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하여 특정 주파수만을 통과시켜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센서부(Sensor Portion;3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신호 변환부(5)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5)는 내부에 적절한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출력부(37)를 통하여 출력된 음파신호가 케이스(35)의 내부공간에 균일하게 전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37)는 바람직하게는 스피커(Speaker)를 포함하며, 악기로부터 전달되는 음파신호를 증폭하여 케이스(35)의 내부 공간에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부(37)는 케이스(35)의 내부에 한 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센서부(38)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출력부(37)가 각 센서부(38)에 일대일로 배치되는 경우, 보다 감도가 높은 음파신호를 센서부(38)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부(37)는 외부 마이크폰 등에 연결됨으로써, 악기 음이 전달될 수 있다. 혹은 케이스(35)에 마이크폰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38)는 기판(33)상에 배치되며, 음파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고, 이 특정 주파수를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센서부(38)는 다수개가 배치됨으로써 손가락 형상을 갖는 5개의 관절부(15)에 적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센서부(38)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37)로부터 발생된 음파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30)와; 상기 입력부(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32)와; 증폭된 신호중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여파부(33)와; 걸러진 특정 주파수를 검파하는 검파부(34)와; 상기 검파부(3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정형화시키는 정형부(3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센서부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30)는 압전효과를 이용한 압전형 마이크로폰을 포함한다. 즉, 압전형 마이크로폰은 물질에 외력을 가하여 변형이 생기면 그 변형에 비례한 전하가 생겨서 전압을 발생하는 압전효과를 이용한다.
이러한 입력부(30)는 통상적으로 케이스(35)의 내부에 진동판과, 음향저항, 그리고 로드가 배치되고, 세라믹 소자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세라믹 소자는 굽힘응력에 대하여 전하를 발생하며, 음압이 진동판과 로드에 의하여 세라믹 소자에 전달됨으로써 전압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입력부(30)를 통과한 음파는 상기 증폭부(3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일정 주파수 이상으로 증폭될 수 있다.
그리고, 증폭된 신호는 상기 여파부(33)에 의하여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 출력될 수 있다.
즉, 상기 여파부(33)는 저항과, 복수개의 콘덴서(C1,C2)와, 다이오드에 의하여 적분회로와 미분회로를 조합한 배치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 1콘덴서(C1) 및 제 2콘덴서(C2)의 차단 주파수는 아래의 수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제 1콘덴서의 차단 주파수: fc1=1/2πRC1 -------- 수식 1
제 2콘덴서의 차단 주파수: fc2=1/2πRC2 -------- 수식 2
(fc1: 제 1차단 주파수, fc2: 제 2차단 주파수, R: 저항
C1,C2: 제1 및 제 2콘덴서)
상기 수식 1 및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콘덴서 혹은 저항의 용량을 적절하게 가변시킴으로써 제 1차단 주파수와 제 2차단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목표하는 주파수(f)가 fc1〈f〈fc2의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즉, 제 1 및 제 2차단 주파수 대역의 중간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개의 센서부(38)에 배치되는 콘덴서 혹은 저항의 용량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복수개의 센서부(38)가 갖는 목표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예들 들면, 다섯 손가락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제 1 내지 제 5번 센서부에 있어서, 1번 센서부는 260-262Hz 대역의 주파수만 통과시키고, 2번 센서부는 290-294Hz, 3번 센서부 325-330Hz, 4번 센서부는 345-349Hz, 5번 센서부는 390-392Hz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센서부(38)가 통과시키는 주파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됨으로써, 입력되는 음파의 주파수에 대응한 센서부(38)만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악기음이 "도"에 해당하는 경우, "도"에 해당하는 음파가 상기 출력부(37)에 도달하고, 출력부(37)는 이 음파를 복수개의 센서부(38)에 전달한다.
복수개의 센서부(38)에 "도" 음파가 전달되면, 복수개의 센서부(38) 중 "도"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통과시키기로 설정된 센서부(38)가 작동하게 되고, 다른 센서부는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에 해당하는 음파에 대응되는 센서부(38)만이 작동하게 되며, 이 센서부(38)가 제어부(U)에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절부(15)의 관절이 상하로 구동함으로써 "도"에 해당하는 음감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부(38)를 통과한 신호는 상기 검파부(34)를 통과한다. 상기 검파부(34)는 다이오드를 이용한 통상적인 검파회로를 의미하며, 검파부(34)에 의하여 변환된 신호는 정형부(35)를 통과함으로써 일정한 패턴의 주파수로 변환된다.
상기에서는 통상적인 여파기에 의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쏘필터(SAW;Surface Acoustic Wave Filt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쏘필터는 압전물질 표면에 빗살모양의 전극을 어긋나게 배치하면 표면탄성파가 발생되서 그 탄성파 주파수와 동조되는 특정 주파수만 통과되고 나머지 주파수는 감쇄되는 필터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U)는 상기 신호 변환부(5)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하여 후술하는 복수개의 관절부(15)의 관절을 상하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5)의 구동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U)에는 관절별로 각 음계에 해당하는 위치에 대한 좌표값이 설정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신호 변환부(5)로부터 "도"에 해당하는 신호가 입력단을 통하여 입력되면, 제어부(U)는 구동모터(25)의 구동량을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15)는 이러한 제어부(U)의 신호에 의하여 관절을 구동함으로써 손가락을 리듬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관절부(15)는 복수개의 관절부(15), 바람직하게는 5개의 관절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5개의 관절부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하나의 관절부(15)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관절부(15)의 제 1관절(17)은 상기 베이스(3)에 제 1힌지핀(28)에 의하여 힌지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 1관절(17)은 일정 거리 떨어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17a,17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3)에 장착된 승하강 모터(25)의 구동축(27)이 제 1관절(17)에 제 1연결핀(29)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관절(17)에는 제 1관절(17)과 동일한 회전궤적을 갖는 장공(h)이 형성되고, 이 장공(h)에 제 1연결핀(29)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 모터(25)가 구동하는 경우, 구동축(27)이 전후진함에 따라 제 1관절(17)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궤적을 따라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 1관절(17)의 선단에는 제 2관절(21)이 연결된다. 그리고, 제 2관절(21)은 제 2연결핀(29)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자유단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밴드(4)에 삽입한 상태에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제 2관절(21)도 같이 연동하여 선회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4)는 제 1 및 제 2관절(17,21)에 구비되어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4)는 적절한 신축성을 갖는 고무 혹은 합성수지 재질을 갖는다. 따라서, 손가락이 제 1 및 제 2관절(17,21)의 내측에 밀착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절부(15)의 작동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에 해당하는 신호가 제어부(U)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U)는 구동모터에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축(27)을 전후진시킨다.
상기 구동축(27)의 전후진에 의하여 제 1관절(17)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궤적을 따라 선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손가락이 밴드(4)에 의하여 제 1관절(17)에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 1관절(17)이 "도"에 해당하는 위치로 선회하게 되므로, 손가락도 같이 선회하게 된다.
결국, 손가락이 "도"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는 "도"에 해당하는 리듬감을 체험할 수 있다.
이때, 제 2관절(21)은 제 1관절(17)에 자유단 상태로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의 끝관절을 펴거나 오무릴 때 제 2관절(21)도 같이 연동하여 펴지거나 오무려질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승하강 모터(25)에 의하여 관절부(15)를 작동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와이어 방식으로 관절부(15)를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0)에 승하강 모터를 대신에 회전모터(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회전모터(41)의 회전축(42)에는 한 쌍의 돌기핀(45,46)이 각각 돌출된다. 또한, 이 한 쌍의 돌기핀(45,46)에는 제 1와이어(W1)와 제 2와이어(W2)가 각각 연결된다.
제 1와이어(W1)는 일단은 한 쌍의 돌기핀(45,46)중 하나의 돌기핀(45)에 연결되고, 제 2힌지핀(P2)의 상부를 통하여 제 2관절(44)의 선단에 연결된다.
또한, 제 2와이어(W2)는 일단은 한 쌍의 돌기핀(45,46) 중 다른 돌기핀(46)에 연결되고, 제 2힌지핀(P2)의 하부를 통하여 제 2관절(44)의 선단에 연결된다.
이때, 제 1 및 제 2와이어(W1,W2)의 처짐이나 궤적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관절(17) 혹은 제 2관절(21)에는 적절한 가이드부재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관절부(47)에 있어서, 제 1 및 제 2관절(43,44)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회전모터(41)의 회전축(42)을 정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다.
회전축(42)이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한 쌍의 돌기핀(45,46)도 같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연결된 제 1와이어(W1)가 제 2관절(21)을 당김으로써 제 1 및 제 2관절(43,44)이 상부방향으로 들려져서 시계 방향의 궤적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회전모터(41)의 회전축(42)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와이어(W1)에 작용하는 장력이 해소되고 제 2와이어(W2)가 당겨짐으로써 제 1 및 제 2관절(43,44)이 하부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모터(41)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제 1 및 제 2와이어(W1,W2)를 순차적으로 당김으로써 관절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 1 및 제 2와이어에 의하여 관절이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와이어만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듬 체험장치(60,62)가 이송부(50)에 의하여 피아노 건반(P)상에 배치되어 실제 피아노 건반을 타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송부(50)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52)과; 한 쌍의 지지프레임(52)을 연결하며 고정자의 역할을 하는 LM 가이드(54)와; 리니어 모터(L)가 구비되어 상기 LM 가이드(54)상에 각각 이송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리듬 체험장치(60,62)가 구비되는 트랜스퍼(56,58)를 포함한다.
상기 트랜스퍼(56,58)는 LM 가이드(54)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저면에는 상기 리듬 체험장치(60,62)가 결합된다. 즉, 트랜스퍼(56,58)의 저면에는 하부로 연결바(66)가 돌출되며, 이 연결바(66)는 리듬 체험장치(60)의 상부에 구비된 브래킷(70)에 볼트(72)에 의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스퍼(56,58)가 제어부(U)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LM가이드(54)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리듬 체험장치(60,62)도 같이 이동함으로써 피아노의 해당 건반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U)에는 피아노의 복수개 건반에 대한 X축 상의 위치 정보가 저장부에 미리 설정된다. 그리고, 트랜스퍼(56,5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현재 트랜스퍼(56,58)의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신호 변환부(5;도2)의 센서부(38;도2)로부터 소정 음계에 해당하는 신호가 제어부(U)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U)는 해당 건반의 위치정보와 현재 트랜스퍼(56,58)의 위치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트랜스퍼(56,58)의 이동거리를 연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퍼(56,58)의 리니어 모터(L)에 제어신호를 전달함으로써 트랜스퍼(56,58)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트랜스퍼(56,58)가 해당 건반 위치에 도달하면, 제어부(U)는 해당 관절부(75)를 작동시킴으로써 건반을 타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절부(75)는 전술한 실시예의 관절부와 구조적인 차이점이 있다.
즉, 제 1관절(77)과 제 2관절(78)은 힌지구조가 아닌 일체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같이 구동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관절부(15;도1)는 해당 음계의 신호가 전달되면 관절이 시계 방향의 궤적을 따라 상부로 회전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관절부(75)는 음계의 신호가 전달되면, 모터의 구동축(76)이 전진함으로써 관절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타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관절부(75)는 해당 위치에 도달하면, 제어부(U)의 신호에 의하여 승하강 모터(74)의 구동축(76)이 관절방향으로 전진한다. 그리고, 구동축(76)의 전진에 따라 제 1 및 제 2관절(77,78)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해당 건반을 타건한다.
타건 후에는, 상기 승하강 모터(74)의 구동축(76)이 후진함으로써 제 1 및 제 2관절(77,78)이 시계방향의 회전궤적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악기로부터 전달되는 소리의 음계에 따라 신호 변환부(5;도1)로부터 소정 신호가 출력되고, 제어부(U)는 이러한 신호에 의하여 트랜스퍼(56,58) 및 리듬 체험장치(60,62)를 구동시킴으로써 피아노의 건반을 악기와 연동하여 연주할 수 있다.
이러한 리듬 체험장치는 피아노 연습자가 연습을 할 때, 지도자는 다른 방에서 이 리듬 체험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악기 연습자의 연습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1: 리듬 체험장치
3: 베이스
5: 신호변환부
15: 관절부
17: 제 1관절
21: 제 2관절

Claims (9)

  1. 베이스(Base)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음파를 수신/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베이스에 제 1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운동을 하는 제 1관절과; 상기 제 1관절의 선단에 제 2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 2관절과;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며 구동축이 상기 제 1관절에 힌지 연결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승하강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에 힌지가능하게 구비되는 관절구조를 갖음으로써 시계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궤적을 따라 선회운동을 하는 복수개의 관절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에 각각 구비되어 손가락이 삽입됨으로써 손에 착용될 수 있는 밴드를 포함하는 리듬 체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부는 기판이 내재되고 음파가 확산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악기로부터 입력된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로부터 음파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파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만을 통과시켜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함으로써, 음파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리듬 체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발생된 음파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증폭된 신호중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여파부와; 걸러진 특정 주파수를 검파하는 검파부와; 상기 검파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정형화시키는 정형부를 포함하는 리듬 체험장치.
  4. 삭제
  5. 베이스(Base)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며, 기판이 내재되고 음파가 확산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악기로부터 입력된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로부터 음파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파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만을 통과시켜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함으로써, 음파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베이스에 제 1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운동을 하는 제 1관절과; 상기 제 1관절의 선단에 제 2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 2관절과;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며 회전축이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돌출된 한 쌍의 돌기핀과; 일측은 상기 한 쌍의 돌기핀중 하나의 돌기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2힌지핀의 상부를 통하여 상기 제 2관절에 연결되는 제 1와이어와; 일측은 상기 한 쌍의 돌기핀중 다른 돌기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2힌지핀의 하부를 통하여 상기 제 2관절에 연결되는 제 2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에 힌지가능하게 구비되는 관절구조를 갖음으로써 시계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궤적을 따라 선회운동을 하는 복수개의 관절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에 각각 구비되어 손가락이 삽입됨으로써 손에 착용될 수 있는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발생된 음파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증폭된 신호중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여파부와; 걸러진 특정 주파수를 검파하는 검파부와; 상기 검파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정형화시키는 정형부를 포함하는 리듬 체험장치.
  6. 베이스(Base)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음파를 수신/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베이스에 제 1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운동을 하는 제 1관절과; 상기 제 1관절의 선단에 제 2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 2관절과;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며 구동축이 상기 제 1관절에 힌지 연결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승하강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에 힌지가능하게 구비되는 관절구조를 갖음으로써 시계 및 반시계 방향의 회전궤적을 따라 선회운동을 하는 복수개의 관절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관절부에 각각 구비되어 손가락이 삽입됨으로써 손에 착용될 수 있는 밴드를 포함하는 리듬 체험장치를 갖는 음악 연습장치로서,
    상기 리듬 체험장치를 피아노 건반상에서 해당 건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며 고정자의 역할을 하는 LM 가이드와;
    리니어 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LM 가이드상에 각각 이송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리듬 체험장치가 구비되는 트랜스퍼와;
    상기 트랜스퍼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리듬 체험장치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음악 연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부는 기판이 내재되고 음파가 확산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악기로부터 입력된 음파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로부터 음파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음파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만을 통과시켜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함으로써, 음파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음악 연습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출력부로부터 발생된 음파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증폭된 신호중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여파부와; 걸러진 특정 주파수를 검파하는 검파부와; 상기 검파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정형화시키는 정형부를 포함하는 음악 연습장치.
  9. 삭제
KR1020110123456A 2011-11-24 2011-11-24 악기 소리에 연동하여 리듬감을 연습할 수 있는 리듬 체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악연습장치 KR101161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456A KR101161351B1 (ko) 2011-11-24 2011-11-24 악기 소리에 연동하여 리듬감을 연습할 수 있는 리듬 체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악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456A KR101161351B1 (ko) 2011-11-24 2011-11-24 악기 소리에 연동하여 리듬감을 연습할 수 있는 리듬 체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악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351B1 true KR101161351B1 (ko) 2012-06-29

Family

ID=4668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456A KR101161351B1 (ko) 2011-11-24 2011-11-24 악기 소리에 연동하여 리듬감을 연습할 수 있는 리듬 체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악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3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479B1 (ko) 2018-11-22 2019-09-1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집중력 강화를 위한 이미지트레이닝용 장갑 모듈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754A (ja) * 1998-07-16 2000-03-31 Yamaha Corp 演奏支援装置
JP2000322056A (ja) * 1999-05-10 2000-11-24 Yamaha Corp 演奏検出装置
WO2005004087A2 (en) * 2003-06-06 2005-01-13 Rob Mcgregor Musical teaching device and method
JP2007264026A (ja) * 2006-03-27 2007-10-11 Yamaha Corp 演奏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754A (ja) * 1998-07-16 2000-03-31 Yamaha Corp 演奏支援装置
JP2000322056A (ja) * 1999-05-10 2000-11-24 Yamaha Corp 演奏検出装置
WO2005004087A2 (en) * 2003-06-06 2005-01-13 Rob Mcgregor Musical teaching device and method
JP2007264026A (ja) * 2006-03-27 2007-10-11 Yamaha Corp 演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479B1 (ko) 2018-11-22 2019-09-1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집중력 강화를 위한 이미지트레이닝용 장갑 모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892B1 (ko) 음향 신호를 촉각 신호로 변환하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햅틱 장치
JP4912131B2 (ja) 電子打楽器用ペダル装置
JP4788533B2 (ja) 鍵駆動制御システム
JP5760393B2 (ja) 操作検出装置
JP4702188B2 (ja) 電気弦楽器
CN100543839C (zh) 调音设备
US20110280415A1 (en) Sound reproduction and detection
JP4251110B2 (ja) 撥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装置と撥弦楽器
TW201306609A (zh) 具有電活性聚合物致動器之音訊裝置
KR101161351B1 (ko) 악기 소리에 연동하여 리듬감을 연습할 수 있는 리듬 체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악연습장치
CN102282866B (zh) 声压换能器
CN204087780U (zh) 一种数字弦乐器
CN103077700B (zh) 具有声音交互功能的钢琴
Michailidis et al. Tactile feedback tool: approaching the foot pedal problem in live electronic music
KR101144344B1 (ko) 현악기의 음파에 연동함으로써 음악을 체감할 수 있는 음악감상장치
CN214752914U (zh) 一种电子乐器
KR101145251B1 (ko) 현악기의 음파에 연동함으로써 음악을 체감할 수 있는 의자형 음악감상장치
KR101119902B1 (ko) 건반악기의 음파에 연동함으로써 음악을 체감할 수 있는 의자형 음악감상장치
KR101167286B1 (ko) 음악감상장치
KR101125001B1 (ko) 악기 소리에 반응하는 장치
KR101167287B1 (ko) 악기 소리에 반응하는 장치
CN113192476A (zh) 一种电子乐器
KR101144343B1 (ko) 악기 소리에 반응하는 장치
JP5056338B2 (ja) 鍵盤装置
KR101168979B1 (ko) 노래 음성을 피아노 계명 음으로 변환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