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221B1 - 땅콩에서 유래한 에스에스알 프라이머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땅콩에서 유래한 에스에스알 프라이머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221B1
KR101161221B1 KR1020090006938A KR20090006938A KR101161221B1 KR 101161221 B1 KR101161221 B1 KR 101161221B1 KR 1020090006938 A KR1020090006938 A KR 1020090006938A KR 20090006938 A KR20090006938 A KR 20090006938A KR 101161221 B1 KR101161221 B1 KR 101161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nos
primer pairs
pairs represented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891A (ko
Inventor
한상익
배석복
이명희
하태정
박장환
심강보
황정동
정찬식
박금룡
안진곤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9000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2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27Hybridisation assays for detection of mutation or polymorph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땅콩에서 분리한 SSR 프라이머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개의 염기서열을 갖는 SSR 프라이머쌍 및 이를 이용하여 땅콩의 DNA 다형성 검출 방법 및 땅콩 품종 동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땅콩에서 유래한 에스에스알 프라이머 및 그 용도{SSR primer derived from peanut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땅콩에서 분리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땅콩의 DNA 다형성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분자 생물학의 발전으로 핵산(DNA) 수준에서 유전자원의 다양성(bio-diversity) 연구를 가능케 하는 핵산 지문 분석방법 및 다양한 DNA 마커들이 개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유용 형질 탐색, 생물의 종 동정, 품종 분류 동정 및 집단 개체군의 유연관계 분석을 DNA 수준에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까지 개발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한 지문분석법에는 RAPD(randomly amplifed polymorphic DNAs)방법, AFLP(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c DNA) 방법, SSR(Simple sequence repeat) 방법 등이 있다. 상기방법 중 RAPD와 AFLP 방법은 재현성이 떨어지거나, 분석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SSR 방법은 DNA 반복 배열인 초위성체(microsatellite) 영역의 염기배열 정보를 근거로 PCR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분석이 용이하고, 높은 재현성을 가지는 장점으로 생물종의 동정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작물인 벼에서는 벼 게놈에 반복되는 SSR을 PCR 기술로 증폭하여 벼 품종의 유전자형을 동정하는 초위성체 마커들이 개발되었다(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1-34003호). 이외에도, 보리, 콩, 밀, 땅콩 등에서도 많은 SSR 마커들이 개발되었다. 미국에서 땅콩으로부터 SSR마커를 제작하여(Fegurson, 2003) 수집종간 판정을 위해 사용하였고, 기존에 보고된 SSR 마커와 microsatellite 마커를(Krishna, 2004) 이용하여 외국 수집종에 대한 구별에 사용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땅콩에서 품종 동정을 위한 SSR 마커가 전혀 개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땅콩의 품종간 차이를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SSR 마커를 찾기 위하여 보고된 모든 자료로부터 땅콩 SSR마커의 염기서열을 찾아서 합성하여 시험재료로 사용하였고, 분석결과 다형성을 보이는 SSR 프라이머쌍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땅콩에서 분리된 SSR 프라이머를 이용한 땅콩 품종을 효율적으로 동정함으로서 기존유전자원과의 중복성 분석 및 신규성 확보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품종 보호에 기여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땅콩에서 게놈 DNA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과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과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와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과 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3과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5와 1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7과 1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9와 2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1과 2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23과 2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두 쌍의 SSR(simple sequence repeat)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PCR 산물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남광, 대원, 왕, 대풍, 신대광, 신광, 조광, 대청, 팔광, 진미, 조안, 세광, 대양, 보원, 풍광, 아광, 대명, 고광, 자광, 백중, 다누리, 백선, 상평, 백진, 조평, 참원 및 선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풍종의 땅콩의 DNA 다형성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땅콩 및 대조군 땅콩 품종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과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과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와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과 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3과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5와 1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7과 1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9와 2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1과 2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23과 2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두 쌍의 SSR(simple sequence repeat)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남광, 대원, 왕, 대풍, 신대광, 신광, 조광, 대청, 팔광, 진미, 조안, 세광, 대양, 보원, 풍광, 아광, 대명, 고광, 자광, 백중, 다누리, 백선, 상평, 백진, 조평, 참원 및 선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풍종의 땅콩 품종 동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번호 1과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과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와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과 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3과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5와 1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7과 1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9와 2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1과 2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23과 2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남광, 대원, 왕, 대풍, 신대광, 신광, 조광, 대청, 팔광, 진미, 조안, 세광, 대양, 보원, 풍광, 아광, 대명, 고광, 자광, 백중, 다누리, 백선, 상평, 백진, 조평, 참원 및 선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풍종의 땅콩의 DNA 다형성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번호 1과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과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와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과 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3과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5와 1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7과 1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9와 2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1과 2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23과 2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남광, 대원, 왕, 대풍, 신대광, 신광, 조광, 대청, 팔광, 진미, 조안, 세광, 대양, 보원, 풍광, 아광, 대명, 고광, 자광, 백중, 다누리, 백선, 상평, 백진, 조평, 참원 및 선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풍종의 땅콩의 품종 동정용 키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땅콩의 유전적 다형성을 특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SSR 마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땅콩의 SSR 마커를 Ferguson et al.(Theor. Appl. Genet. (2003) 108:1064-1070)이 보고한 220개의 SSR 마커의 염기서열 정보와 Krishna et al.(Cellular & Molecular Biology Letter (2004) 9(4A) 685-697)이 보고한 18개의 SSR 마커의 염기서열 정보로부터 획득하고, SSR 마커를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프라이머쌍을 사용하여 36개의 땅콩 품종들의 PCR을 통한 DNA 프로파일링을 수행함으로써 다형성 변이를 많이 나타내는 12쌍의 SSR 프라이머쌍을 선발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SSR 마커는 PCR 프라이머쌍을 말하며, 정방향 프라이머와 역방향 프라이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SSR 프라이머쌍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개의 염기서열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AH4-4(서열번호 1과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AH4-20(서열번호 3과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M-3(서열번호 5와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M-15(서열번호 7과 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3A01(서열번호 9와 1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7G02(서열번호 11과 1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8E12(서열번호 13과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10D4(서열번호 15와 1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13A7(서열번호 17과 1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14H6(서열번호 19와 2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15C10(서열번호 21과 2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16G8(서열번호 23과 2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프라이머쌍 및 이들에 의해 증폭되는 초위성체의 크기의 범위, Tm(℃) 및 초위성체가 존재하는 염색체 대립인자에 대한 정보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본 발명의 SSR 프라이머쌍 및 이로부터 증폭되는 초위성체의 특성
프라이머명 서열 서열번호 증폭되는 초위성체의 크기의 범위(bp) Tm(℃) 대립인자의 수
AH4-4 F : CGATTTCTTTACTGAGTGAG 1 90-110 45 3
R : ATTTTTTTGCTCCACACA 2
AH4-20 F : ACCAAATAGGAGAGAGGGTTCT 3 200-220 55 2
R : CTCTCTTGCTGGTTCTTTATTAACTC 4
PM-3 F : GAAAGAAATTATACACTCCAATTATGC 5 190-220 55 3
R : CGGCATGACAGCTCTATGTT 6
PM-15 F : CCTTTTCTAACACATTCACACATGA 7 170-180 55 2
R : GGCTCCCTTCGATGATGAC 8
PGPseq3A01 F : ATCATTGTGCTGAGGGAAGG 9 240-260 55 3
R : CACCATTTTTCTTTTTCACCG 10
PGPseq7G02 Fa : ACTCCCGATGCACTTGAAAT 11 220-230 55 3
Rb : AACCTCTGTGCACTGTCCCT 12
PGPseq8E12 F : TCTGTTGAGAACCACCAGCA 13 200-210 55 2
R : GTGCTAGTTGCTTGACGCAC 14
PGPseq10D4 F : ATCCCTGATTAGTGCAACGC 15 200-210 55 2
R : CGTAGGTGGTTTTAGGAGGG 16
PGPseq13A7 F : AATCCGACGCAATGATAAAAA 17 270-290 55 2
R : TCCCCTTATTGTTCCAGCAG 18
PGPseq14H6 F : GCAACTAGGGTGTATGCCGT 19 270-290 55 3
R : CAACCCTATACACCGAGGGA 20
PGPseq15C10 F : ATTCCCATGTCGTCAAGACC 21 210-230 55 1
R : GCGACGGTATTGGCTTTTAG 22
PGPseq16G8 F : CTCAAAAAGCGCTTAGCCAC 23 200 55 1
R : CTGCCTACTGCCTACTGCCT 24
Fa : 정방향 프라이머 Rb : 역방향 프라이머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SSR 프라이머쌍은 땅콩에서 DNA 다형성을 검출하고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S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땅콩의 유전자원과 품종을 효율적으로 평가 또는 보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SSR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땅콩의 DNA 다형성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땅콩의 DNA 다형성 검출방법은
(a) 땅콩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추출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SSR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PCR 산물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a) 단계에서 게놈 DNA의 추출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페놀/클로로포름 추출법, SDS 추출법(Tai et al., Plant Mol. Biol. Reporter, 8: 297-303), CTAB 분리법(Ce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Murray et al., Nuc. Res., 4321-4325, 1980) 또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DNA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PCR을 PCR 반응에 필요한 당업계에 공지된 여러 성분을 포함하는 PCR 반응 혼합액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PCR 반응 혼합액에는 분석하고자 하는 땅콩에서 추출된 게놈 DNA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SSR 프라이머쌍 이외에 적당량의 DNA 중합효소, dNTP, PCR 완충용액 및 물(dH2O)을 포함한다. 상기 PCR 완충용액은 트리스-HCl(Tris-HCl), MgCl2, KCl 등을 포함한다. 이 때 MgCl2 농도는 증폭의 특이성과 수량에 크게 영향을 주며, 바람직하게는 1.5-2.5mM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g2 +가 과량인 경우는 비특이적인 PCR 증폭산물이 증가하고, Mg2 + 부족한 경우 PCR산물의 산출율을 감소시킨다. 상기 PCR 완충용 액에는 적당량의 트리톤 X-100(Triton X-100)이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PCR은 94-95℃에서 주형 DNA를 전변성시킨후, 변성(denaturation); 결합(annealing); 및 증폭(extension)의 사이클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72℃에서 연장(elongation)시키는 일반적인 PCR 반응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변성 및 증폭은 94-95℃ 및 72℃에서 각각 수행될 수 있다. 결합시의 온도는 프라이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5와 60℃이다. 각 단계의 시간과 싸이클 수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조건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SR 프라이머쌍을 이용한 PCR 수행시의 최적의 2가지 반응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반응 조건은 프라이머 AH4-4, AH4-20, PM-3, 및 PM-15 등 4종 프라이머의 반응조건으로 95℃에서 12분간 주형 DNA를 전변성시킨 후, 94℃에서 15초; 55℃에서 30초; 및 72℃에서 60초를 45 싸이클 반복 수행한 후, 최종적으로 72℃에서 7분간 반응시킨다. 두 번째 반응조건은 프라이머 PGPseq3A01, PGPseq7G02, PGPseq8E12, PGPseq10D4, PGPseq13A7, PGPseq14H6, PGPseq15C10, 및 PGPseq16G8 등 8종 프라이머의 반응조건으로 94℃에서 2분간 주형 DNA를 전변성시킨 후, 94℃에서 45초; 60℃에서 60초; 및 72℃에서 90초를 35 사이클 반복 수행한 후, 최종적으로 72℃에서 10분간 반응시킨다.
상기 (c) 단계에서는 당업계에서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PCR 산물의 DNA를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가로스 겔(agarose gel) 또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 또는 형광분석장치(ABI prism 3100 genetic analyzer-electropherogram)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PCR 증폭 결과는 바 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 더 바람직하게는 변성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전기영동 후 실버 염색(silver staining)과 형광염색으로 전기영동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 일반적인 PCR 수행 및 그 결과 분석 방법에 대해서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SSR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땅콩의 품종 동정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땅콩의 품종 동정 방법은
(a) 땅콩 및 대조군 땅콩 품종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는 단계;
(b) 추출된 각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SSR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c) 각 PCR 산물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각각의 크기별 분리 결과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내지 (c) 단계의 게놈 DNA 추출, PCR 수행 및 PCR 산물의 크기별 분리는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으며, 상기 (d) 단계에서 땅콩 및 대조군 땅콩 품종에 대한 비교는 동일한 조합의 SSR 프라이머쌍에 대한 시료가 되는 땅콩과 대조군 땅콩 품종의 각각의 PCR 산물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각 SSR 프라이머쌍에 대한 크기 비교 결과를 종합하여 시료가 되는 땅콩과 대조군 땅콩 품종의 결과와 모두 일치하면 시료가 되는 땅콩은 대조군 땅콩 품종과 동일한 품종으로 동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품종의 동정 방법은 신규 유전자원 도입시 중복 여부 판단 및 원산지 확인을 통한 원산지 표시 위반 여부의 판정 등 품종의 동정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대조군 땅콩 품종에 대한 게놈 DNA 추출, PCR 수행 및 PCR 산물의 크기별 분리는 시료가 되는 땅콩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나, 시료가 되는 땅콩보다 이전에 수행되어 동정의 기준표(reference)로 작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준표를 이용하면 시료가 되는 땅콩에 대한 게놈 DNA 추출, PCR 수행 및 PCR 산물의 크기별 분리만을 수행하여 기준표와 비교할 수 있어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땅콩은 Arachis hypogaea L. 및 이들의 변종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Arachis hypogaea L.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SSR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땅콩의 DNA 다형성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SSR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땅콩의 품종 동정용 키트를 제공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땅콩에서 처음으로 SSR 마커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SSR 프라이머쌍은 땅콩의 DNA 다형성을 효과적으로 검출하여 땅콩의 DNA 프로파일을 작성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땅콩의 유전자원을 효율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신규 유전자원 도입시 기존 보유자원과의 중복성 분석 및 신규성 확립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땅콩의 품종을 동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게놈 DNA 추출
품종으로 등록되어 있는 땅콩(표 2)으로부터 SDS를 이용한 방법(Tai et al., Plant Mol. Biol. Reporter, 8: 297-303, 1990)에 따라 게놈 DNA를 추출하였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생육 1개월째의 어린 땅콩 식물체로부터 0.5g의 잎 조직을 채취하여 1.5㎖ 튜브에 넣고 액체 질소로 급랭시켰다. 이후, 즉시 플라스틱 막대로 잎을 곱게 마쇄하였다. 마쇄된 잎이 녹기 전에 추출 완충용액(200mM Tris-HCl(pH 8.0), 200mM NaCl, 25mM EDTA, 0.5% SDS) 750㎕를 첨가하고, 혼합액을 65℃에서 30분간 보관하였다. 여기에 동량의 페놀(phenol):클로로포름(chloroform):이소아밀알코올(isoamylalchol) (25:24:1) 용액을 추가로 첨가한 후, 약 15분간 교반하였다. 이를 1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취하여 새 튜브에 옮겼다. 상기 튜브에 동량의 이소프로판올(-20℃)을 첨가하고, -20℃에서 1시간 보관하였다. 이후, 1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 액을 버린 후 침전된 DNA를 70%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DNA를 건조시킨 후, 약 300㎕의 RNase (50㎍/㎖)를 함유하는 TE 완충용액(10mM Tris-Cl, 1mM EDTA, pH 7.4)을 첨가하여 충분히 녹인 후, 37℃에서 1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표 2] 품종으로 등록되어 있는 땅콩으로서 본 발명에 사용된 땅콩 품종명
품종명 육성연도 수집국(원산지) 형 (Type)
새들땅콩 1983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대광땅콩 1985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남광땅콩 1990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대원땅콩 1990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신남광땅콩 1991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왕땅콩 1992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대풍땅콩 1993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신대광땅콩 1994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신광땅콩 1995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조광땅콩 1996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기풍땅콩 1997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대청땅콩 1997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팔광땅콩 1997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진미땅콩 1998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조안땅콩 1999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세광땅콩 1999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호광땅콩 1999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대양땅콩 2000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대신땅콩 2000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보원땅콩 2001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다광땅콩 2001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풍광땅콩 2002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아광땅콩 2002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대명땅콩 2003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고광땅콩 2003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자광땅콩 2003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백중땅콩 2003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다누리땅콩 2004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백선땅콩 2004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상평땅콩 2005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백진땅콩 2005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조평땅콩 2006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참원땅콩 2006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참평땅콩 2007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풍산땅콩 2007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선안땅콩 2007 대한민국 Arachis hypogaea L.
[실시예 2] SSR 마커의 선발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된 게놈 DNA를 PCR을 통한 증폭을 하기 위해 SSR 프라이머를 (주)바이오니어에 의뢰하여 제작해서 사용하였다. 제작된 프라이머쌍 중에서 다양한 땅콩 품종에서 다형성 변이를 많이 나타내는 SSR 프라이머 조합을 선발하기 위하여, 상기 표 2에 기재된 36점의 땅콩 품종에 대하여 PCR을 통한 DNA 프로파일링(profiling)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PCR 반응 혼합물 (20㎕)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분리한 땅콩 주형 DNA 100ng, 정방향 프라이머 0.2μM, 역방향 프라이머 0.2μM, 1X PCR 반응액 (10mM Tris-HCl (pH 8.8), 1.5mM MgCl2, 50mM KCl, 0.1% Triton X-100), 1unit DNA 중합효소. PCR 반응은 두가지 반응 조건을 이용하여 증폭시켰는데, 첫 번째 반응 조건은 프라이머 AH4-4, AH4-20, PM-3, 및 PM-15 등 4종 프라이머의 반응조건으로 95℃에서 12분간 주형 DNA를 전변성시킨 후, 94℃에서 15초; 55℃에서 30초; 및 72℃에서 60초를 45 사이클 반복 수행한 후, 최종적으로 72℃에서 7분간 반응시킨다. 두 번째 반응조건은 프라이머 PGPseq3A01, PGPseq7G02, PGPseq8E12, PGPseq10D4, PGPseq13A7, PGPseq14H6, PGPseq15C10, 및 PGPseq16G8 등 8종 프라이머의 반응조건으로 94℃에서 2분간 주형 DNA를 전변성시킨 후, 94℃에서 45초; 60℃에서 60초; 및 72℃에서 90초를 35 사이클 반복 수행한 후, 최종적으로 72℃에서 10분간 반응시킨다.
각기 다르게 증폭된 PCR 산물 단편의 크기를 분석하기 위해 폴리아크릴아마 이드 겔(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폴리아크릴아미이드 농도는 0.6%를 사용하여 분리하였으며 결과는 genet bio사의 형광 염색을 이용하여 염색시킨 후 사진촬영 후 증폭된 초성위체의 크기와 증폭된 단편을 비교하여 해당 단편이 증폭되면 1로 표시하고 증폭되지 않으면 0으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육성된 땅콩 품종들에서 다형성을 나타내는 SSR 프라이머쌍 12쌍을 확인하여 AH4-4(서열번호 1과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AH4-20(서열번호 3과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M-3(서열번호 5와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M-15(서열번호 7과 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3A01(서열번호 9와 1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7G02(서열번호 11과 1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8E12(서열번호 13과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10D4(서열번호 15와 1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13A7(서열번호 17과 1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14H6(서열번호 19와 2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15C10(서열번호 21과 2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PGPseq16G8(서열번호 23과 2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을 선별하였다(표 1 참조). 상기 12쌍의 프라이머에 의해 증폭된 PCR 단편의 각각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표 3] 다형성을 보이는 프라이머의 종류 및 대립인자의 품종별 증폭 여부
프라이머 대립
인자
1
새들
2
대광
3
남광
4
대원
5
신남광
6
7
대풍
8
신대광
9
신광
10
조광
11
기풍
12
대청
PGPseq
7G02
1 0 0 0 0 0 0 0 0 0 0 0 0
2 1 1 1 1 1 1 0 1 1 1 1 1
3 0 0 0 0 0 0 1 0 0 0 0 0
PGPseq
8E12
4 1 1 1 0 1 0 0 0 0 1 1 0
5 0 0 0 1 0 1 1 1 1 0 0 1
PGPseq
16G8
6 0 0 0 1 0 0 1 1 1 1 0 1
AH4-4 7 0 0 1 0 0 0 0 0 0 0 0 0
8 1 1 0 1 1 1 1 0 1 1 1 1
9 0 0 0 0 0 0 0 1 0 0 0 0
AH4-20 10 0 0 0 0 0 0 0 0 0 1 0 0
11 1 1 1 1 1 1 1 1 1 0 1 1
PM-3 12 0 0 0 0 0 0 0 0 0 0 0 0
13 1 1 1 1 1 1 1 1 0 1 1 1
14 0 0 0 0 0 0 0 0 1 0 0 0
PM-15 15 0 0 0 0 0 0 0 0 1 0 0 0
16 1 1 1 1 1 1 1 1 0 1 1 1
14H6 17 1 1 1 0 1 0 0 1 0 0 1 0
18 0 0 0 1 0 1 1 0 1 1 0 0
19 0 0 0 0 0 0 0 0 0 0 0 1
PGPseq
3A1
20 0 0 0 0 0 0 1 0 1 0 0 0
21 1 1 1 1 1 1 0 1 0 1 1 1
22 0 0 0 0 0 0 0 0 0 0 0 0
PGPseq
10D4
23 0 0 0 0 0 0 0 0 0 0 0 1
24 1 1 1 1 1 1 1 1 1 1 1 0
PGPseq
13A7
25 1 1 0 1 0 1 0 0 0 0 0 0
26 0 0 1 0 1 0 1 1 1 1 1 1
PGPseq
15C10
27 0 0 1 0 1 0 1 1 0 0 0 0
프라이머 대립
인자
13
팔광
14
진미
15
조안
16
세광
17
호광
18
대양
19
대신
20
보원
21
다광
22
풍광
23
아광
24
대명
PGPseq
7G02
1 0 1 0 0 0 0 0 0 0 0 0 0
2 1 0 1 1 1 1 1 1 1 0 0 1
3 0 0 0 0 0 0 0 0 0 1 1 0
PGPseq
8E12
4 0 1 1 0 1 1 1 1 1 1 1 0
5 1 0 0 1 0 0 0 0 0 0 0 1
PGPseq
16G8
6 1 0 1 0 0 1 0 1 0 0 1 0
AH4-4 7 0 0 0 0 0 0 0 0 0 0 0 0
8 1 1 1 0 1 1 1 1 1 1 0 0
9 0 0 0 1 0 0 0 0 0 0 1 1
AH4-20 10 1 0 0 0 0 0 0 0 0 0 0 0
11 0 1 1 1 1 1 1 1 1 1 1 1
PM-3 12 0 0 0 0 0 0 0 0 0 0 0 0
13 1 1 1 1 1 1 1 0 1 1 1 1
14 0 0 0 0 0 0 0 1 0 0 0 0
PM-15 15 0 0 0 0 0 0 0 0 0 0 0 0
16 1 1 1 1 1 1 1 1 1 1 1 1
14H6 17 0 1 1 1 1 1 1 1 1 1 1 1
18 1 0 0 0 0 0 0 0 0 0 0 0
19 0 0 0 0 0 0 0 0 0 0 0 0
PGPseq3A1 20 0 0 0 0 0 1 0 0 0 0 0 0
21 1 1 1 0 1 0 1 1 1 1 1 1
22 0 0 0 1 0 0 0 0 0 0 0 0
PGPseq
10D4
23 0 1 0 0 0 0 0 0 0 0 0 1
24 1 0 1 1 1 1 1 1 1 1 1 0
PGPseq
13A7
25 0 0 0 0 0 1 0 0 0 0 0 0
26 1 1 1 1 1 0 1 1 1 1 1 1
PGPseq
15C10
27 1 0 0 0 1 1 0 0 1 0 0 0
프라이머 대립
인자
25
고광
26
자광
27
백중
28
다누리
29
백선
30
상평
31
백진
32
조평
33
참원
34
참평
35
풍산
36
선안
PGPseq
7G02
1 0 0 0 0 0 0 0 0 0 0 0 0
2 1 0 1 1 0 1 1 1 0 0 0 0
3 0 1 0 0 1 0 0 0 1 0 0 0
PGPseq
8E12
4 1 0 0 1 1 1 1 1 1 0 0 1
5 0 1 1 0 0 0 0 0 0 1 1 0
PGPseq
16G8
6 0 0 1 0 1 1 1 1 0 1 1 0
AH4-4 7 0 0 0 0 0 0 0 0 0 0 0 0
8 1 1 1 1 0 1 1 1 0 1 1 1
9 0 0 0 0 1 0 0 0 1 0 0 0
AH4-20 10 0 1 1 0 1 1 1 0 1 1 1 0
11 1 0 0 1 0 0 0 1 0 0 0 1
PM-3 12 0 0 0 0 0 0 0 1 0 0 0 1
13 0 0 1 1 1 1 1 0 0 1 1 0
14 1 1 0 0 0 0 0 0 1 0 0 0
PM-15 15 1 1 0 0 0 0 0 1 1 0 0 1
16 0 0 1 1 1 1 1 0 0 1 1 0
14H6 17 1 0 1 1 0 0 0 1 0 0 0 1
18 0 0 0 0 1 1 1 0 0 1 1 0
19 0 1 0 0 0 0 0 0 1 0 0 0
PGPseq3A1 20 1 1 1 0 1 0 1 0 1 0 0 0
21 0 0 0 1 0 1 0 1 0 1 1 1
22 0 0 0 0 0 0 0 0 0 0 0 0
PGPseq
10D4
23 0 0 0 1 0 0 0 0 0 0 0 0
24 1 1 1 0 1 1 1 1 1 1 1 1
PGPseq
13A7
25 0 0 0 0 0 0 0 0 0 0 0 0
26 1 1 1 1 1 1 1 1 1 1 1 1
PGPseq
15C10
27 0 0 0 0 0 1 1 1 0 0 0 0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본발명의 프라이머쌍에 의해 증폭된 SSR을 포함하는 부위의 크기가 36품종의 땅콩샘플에서 다형성을 보였으며 이에 본 발명의 프라이머쌍에 의해 증폭된 부위에 위치하는 SSR은 다형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때 각각의 SSR의 다형성을 보이는 대립인자 수 역시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110> Republic of Korea <120> SSR primer derived from peanut and use thereof <160> 24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1 cgatttcttt actgagtgag 20 <210> 2 <211> 18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2 atttttttgc tccacaca 18 <210> 3 <211> 22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3 accaaatagg agagagggtt ct 22 <210> 4 <211> 26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4 ctctcttgct ggttctttat taactc 26 <210> 5 <211> 27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5 gaaagaaatt atacactcca attatgc 27 <210> 6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6 cggcatgaca gctctatgtt 20 <210> 7 <211> 25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7 ccttttctaa cacattcaca catga 25 <210> 8 <211> 19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8 ggctcccttc gatgatgac 19 <210> 9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9 atcattgtgc tgagggaagg 20 <210> 10 <211> 21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10 caccattttt ctttttcacc g 21 <210> 11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11 actcccgatg cacttgaaat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12 aacctctgtg cactgtccct 20 <210> 13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13 tctgttgaga accaccagca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14 gtgctagttg cttgacgcac 20 <210> 15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15 atccctgatt agtgcaacgc 20 <210> 16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16 cgtaggtggt tttaggaggg 20 <210> 17 <211> 21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17 aatccgacgc aatgataaaa a 21 <210> 18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18 tccccttatt gttccagcag 20 <210> 19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19 gcaactaggg tgtatgccgt 20 <210> 20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20 caaccctata caccgaggga 20 <210> 21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21 attcccatgt cgtcaagacc 20 <210> 22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22 gcgacggtat tggcttttag 20 <210> 23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23 ctcaaaaagc gcttagccac 20 <210> 24 <211> 20 <212> DNA <213> Arachis hypogaea L. <400> 24 ctgcctactg cctactgcct 20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땅콩에서 게놈 DNA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과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과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와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과 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3과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5와 1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7과 1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9와 2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1과 2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23과 2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두 쌍의 SSR(simple sequence repeat)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PCR 산물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남광, 대원, 왕, 대풍, 신대광, 신광, 조광, 대청, 팔광, 진미, 조안, 세광, 대양, 보원, 풍광, 아광, 대명, 고광, 자광, 백중, 다누리, 백선, 상평, 백진, 조평, 참원 및 선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풍종의 땅콩의 DNA 다형성을 검출하는 방법.
  4. 삭제
  5. 땅콩 및 대조군 땅콩 품종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과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과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와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과 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3과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5와 1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7과 1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9와 2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1과 2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23과 2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두 쌍의 SSR(simple sequence repeat)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남광, 대원, 왕, 대풍, 신대광, 신광, 조광, 대청, 팔광, 진미, 조안, 세광, 대양, 보원, 풍광, 아광, 대명, 고광, 자광, 백중, 다누리, 백선, 상평, 백진, 조평, 참원 및 선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풍종의 땅콩 품종 동정 방법.
  6. 삭제
  7. 서열번호 1과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과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와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과 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3과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5와 1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7과 1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9와 2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1과 2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23과 2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남광, 대원, 왕, 대풍, 신대광, 신광, 조광, 대청, 팔광, 진미, 조안, 세광, 대양, 보원, 풍광, 아광, 대명, 고광, 자광, 백중, 다누리, 백선, 상평, 백진, 조평, 참원 및 선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풍종의 땅콩의 DNA 다형성 검출용 키트.
  8. 서열번호 1과 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과 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와 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과 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3과 1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5와 16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7과 18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19와 20으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21과 22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23과 24로 표시되는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남광, 대원, 왕, 대풍, 신대광, 신광, 조광, 대청, 팔광, 진미, 조안, 세광, 대양, 보원, 풍광, 아광, 대명, 고광, 자광, 백중, 다누리, 백선, 상평, 백진, 조평, 참원 및 선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풍종의 땅콩의 품종 동정용 키트.
KR1020090006938A 2009-01-29 2009-01-29 땅콩에서 유래한 에스에스알 프라이머 및 그 용도 KR101161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938A KR101161221B1 (ko) 2009-01-29 2009-01-29 땅콩에서 유래한 에스에스알 프라이머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938A KR101161221B1 (ko) 2009-01-29 2009-01-29 땅콩에서 유래한 에스에스알 프라이머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891A KR20100087891A (ko) 2010-08-06
KR101161221B1 true KR101161221B1 (ko) 2012-07-20

Family

ID=4275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938A KR101161221B1 (ko) 2009-01-29 2009-01-29 땅콩에서 유래한 에스에스알 프라이머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6075B (zh) * 2018-05-18 2019-02-05 中国农业科学院油料作物研究所 与花生含油量相关的分子标记pPGPseq2A5的应用
CN111020015B (zh) * 2019-11-20 2024-05-14 广东省农业科学院作物研究所 一种快速检测花生真假杂种的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THEOR APPL GE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891A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987B1 (ko) 다래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0769366B1 (ko) 녹두에서 유래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0842432B1 (ko) 귤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0996968B1 (ko) 버섯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2461815B1 (ko) 밀 고분자 글루테닌 조성 분석용 TaqMan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KR100781205B1 (ko) 들깨 속 식물에서 분리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0842434B1 (ko) 인삼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0781206B1 (ko) 참깨 속 식물에서 분리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1161221B1 (ko) 땅콩에서 유래한 에스에스알 프라이머 및 그 용도
KR20120049738A (ko) 심비디움 속 식물에서 유래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20100079527A (ko) 팥에서 분리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1006079B1 (ko) 마늘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2458440B1 (ko) 고추 역병 저항성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고추 역병 저항성 판별 방법
KR101183996B1 (ko) 메밀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0769367B1 (ko) 기장에서 유래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0842429B1 (ko) 잔디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20130091434A (ko) 벼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Stv-bi를 가진 벼 품종 선별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벼 품종 선별 방법
US10450618B2 (en) Method for identifying variety of hop
KR100842446B1 (ko) 생강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0842430B1 (ko) 매실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2212518B1 (ko) 삽주 또는 동속 식물의 품종 및 자원 구분용 ssr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054696B1 (ko) 포도의 위단위결과 무핵 또는 유핵 특성 판별방법
KR101236316B1 (ko) 가시오갈피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키트, 및 이들의 용도
KR100769368B1 (ko) 조에서 유래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0803392B1 (ko) 율무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