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892B1 - 이동식 증착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증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892B1
KR101160892B1 KR1020110136129A KR20110136129A KR101160892B1 KR 101160892 B1 KR101160892 B1 KR 101160892B1 KR 1020110136129 A KR1020110136129 A KR 1020110136129A KR 20110136129 A KR20110136129 A KR 20110136129A KR 101160892 B1 KR101160892 B1 KR 101160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ion
unit
vacuum
coupl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수
이왕섭
Original Assignee
제이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04D17/168Pump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a vacu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 H01L21/67207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comprising a chamber adapted to a particular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증착기는, 증착 대상물을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증착 대상물을 증착시키는 증착부를 상기 증착 대상물을 따라 전,후진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를 포함함으로써, 회전하는 증착 대상물을 따라 증착부가 이동하면서 증착 대상물의 표면에 금속 소재를 증착시킬 수 있으므로, 증착대상물에 금속 소재가 고르게 증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착 대상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증착부가 컴팩트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착부의 개구된 전,후방부를 외부 공기와 차단되도록 진공층을 형성하는 진공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증착부가 이동하더라도 상기 증착부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증착기{A movable deposi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식 증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증착 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면서, 증착 대상물의 표면에 금속 소재를 증착시키는 이동식 증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착기는 알루미늄, 크롬 혹은 니켈과 같은 금속을 고진공 상태에서 증기화하여 대상물 등에 부착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증착기는 진공 챔버를 포함하고, 알루미늄, 크롬 혹은 니켈을 진공 챔버에 넣고 감압하에서 끓이면, 진공상태에서 알루미늄, 크롬 혹은 니켈이 입자상태로 되면서 증기화되고, 상기 대상물을 상기 진공 챔버 내부로 통과시키면, 알루미늄, 크롬 혹은 니켈 입자가 상기 대상물에 묻어 미세한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선 출원된 등록번호 10-0307081에서는 증착 대상물이 감긴 롤러를 통과시켜 증착소스를 증착시키는 진공 증착 챔버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증착대상물의 크기가 커질 경우, 챔버의 크기도 함께 커져야 하므로, 증착기의 부피가 커져 설치가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하는 증착 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면서, 증착 대상물의 표면에 금속 소재를 증착시키는 이동식 증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증착기는, 증착 대상물의 외둘레면을 둘러싸며, 상기 증착 대상물의 외둘레면에 금속 소재를 증착시키는 증착부와, 상기 증착 대상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증착부를 상기 증착 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와, 상기 증착부 내부를 진공시키기 위한 진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공부는, 상기 증착부의 개구된 전,후방부에 설치되고 내부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흡입하고 배출하여, 상기 전,후방부에 외부 공기와 차단되는 진공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공부는, 상기 증착부의 외둘레면에 구비된 진공 펌프와, 상기 증착부의 전,후방부 내둘레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진공 펌프에 연결되어 공기 배출을 안내하는 공기 배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공부는, 상기 증착부의 개구된 전,후방부에서 상기 증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진공부들은 상기 증착부의 내측에 가까울수록 고진공상태가 되도록 공기 흡입력이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증착부는 복수의 블록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진공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결합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면의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여 외부 공기와 차단되는 결합부 진공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공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결합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공기 배출을 안내하는 결합부 공기 배출홈과, 상기 결합부 공기 배출홈과 연결되어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여 외부 공기와 차단되는 결합부 진공층을 형성하는 결합부 진공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진공부는 상기 결합면에서 상기 증착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부 진공부들은 상기 증착부의 내측에 가까울수록 고진공상태가 되도록 공기 흡입력이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증착 대상물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증착부는 상기 롤러가 길이방향을 따라 통과하도록 중공을 갖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증착기는, 증착 대상물을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증착 대상물을 증착시키는 증착부를 상기 증착 대상물을 따라 전,후진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를 포함함으로써, 회전하는 증착 대상물을 따라 증착부가 이동하면서 증착 대상물의 표면에 금속 소재를 증착시킬 수 있으므로, 증착대상물에 금속 소재가 고르게 증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착 대상물의 길이에 관계없이 상기 증착부가 컴팩트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착부의 개구된 전,후방부를 외부 공기와 차단되도록 진공층을 형성하는 진공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증착부가 이동하더라도 상기 증착부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진공부가 복수의 진공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진공 펌프는 증착부의 내측에 가까울 수록 높은 공기 흡입력을 갖도록 설정됨으로써, 서로 다른 진공압의 진공층이 형성되어 상기 증착부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데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증착부가 복수의 블록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결합부 사이를 진공시키는 진공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증착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블록을 조합시켜 증착부를 만들 수 있으므로 증착대상물의 크기에 제약이 따르지 않는 이점이 있으며, 결합면에 결합부 진공층이 형성되어 결합면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증착부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증착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증착부와 진공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증착부와 진공부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증착기의 증착부와 진공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증착부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증착부를 A방향에서 본 B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이동식 증착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증착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증착부와 진공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증착부와 진공부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식 증착기는, 증착 대상물의 표면에 금속 소재를 증착시키기 위한 증착부(40)와, 상기 증착 대상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20)와, 상기 증착부(40)를 상기 증착 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와, 상기 증착부(40) 내부를 진공시키기 위한 진공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증착 대상물은 표면이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12)로 이루어지고 CFRP(12)에 금속 소재를 증착시켜 PDP, LCD 및 OLED 등의 반사필름 제작시 사용되는 롤러(1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증착 대상물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재이고 표면에 금속소재를 증착시키고자 하는 부재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롤러(10)의 양단에는 상기 롤러(10)를 잡고 돌릴 수 있도록 플랜지(16)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롤러(10)의 플랜지(16)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10)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0)는 상기 롤러(10)의 양단에 모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일측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직선 이동부는 상기 증착부(40)의 하부에 구비된 복수의 휠들(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선 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휠들(45)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휠들(45)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레일(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직선 이동부는 상기 증착부의 직선 전후진 운동을 수행하기만 하면 되며, 피스톤과 직선 가이드 구조의 결합 구조나, 모터 메커니즘과 직선 가이드 구조의 결합 구조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직선 가이드 구조는 LM 가이드와 레일의 결합 구조 등의 다양한 공지 기술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증착부(40)는 전,후방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10)가 전후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증착부(40)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후방이 개구된 다양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증착부(40)에는 금속 소재를 가열시켜 증착시키거나 이온화시켜 증착시키는 증착기기(30)가 구비된다. 여기서는, 상기 증착기기(30)가 알루미늄 소재를 상기 롤러(10)의 표면에 증착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진공부(70)는 상기 증착부(40)의 개구된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내부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배출하여, 상기 전,후방부에 외부 공기와 차단되는 진공층을 형성한다.
상기 진공부(70)는, 상기 증착부(40)의 외둘레면에 구비된 진공 펌프(50)와, 상기 증착부(40)의 전,후방부 내둘레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진공 펌프(50)에 연결되어 공기 배출을 안내하는 공기 배출홈(41)(42)(43)과, 상기 진공 펌프(50)와 상기 공기 배출홈(41)(42)(43)을 연결하는 공기 배출유로(60)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 펌프(50)는 상기 증착부(40)의 개구된 전,후방부에서 상기 증착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증착부(40)의 전방부에 3개의 제 1,2,3진공 펌프(51)(52)(53)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증착부(40)의 후방부에도 3개의 제 1,2,3진공 펌프(51)(52)(53)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2,3진공 펌프(51)(52)(53)는 상기 증착부(40)의 내측에 가까울수록 고진공상태가 되도록 공기 흡입력이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진공 펌프(51)의 흡입력보다 상기 제 2진공 펌프(52)의 흡입력이 더 세고, 상기 제 2진공 펌프(52)의 흡입력보다 상기 제 3진공 펌프(53)의 흡입력이 더 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홈(41)(42)(43)은 상기 제 1,2,3진공 펌프(51)(52)(53)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증착부(40)의 전방부에 3개의 제 1,2,3공기 배출홈(41)(42)(43)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증착부(40)의 후방부에도 3개의 제 1,2,3공기 배출홈(41)(42)(43)이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유로(60)는 상기 제 1,2,3진공 펌프(51)(52)(53)와 상기 공기 배출홈(41)(42)(43)를 연결하도록 상기 증착부(40)의 전,후방부에 각각 3개의 제 1,2,3공기 배출유로(61)(62)(6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롤러(10)를 상기 회전부(20)에 거치시키고, 상기 회전부(20)를 구동하여 상기 롤러(10)를 회전시킨다.
상기 롤러(10)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증착부(40)를 상기 증착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킨다.
상기 증착부(40)안에서는 AL이나 SUS 등의 금속소재가 가열되어 증기상태가 되고, 상기 롤러(10)의 표면에 증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10)의 CFRP(12)층이 상기 증착부(40)를 통과하면서 금속층(14)이 증착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증착부(40)의 내부는 진공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제 1,2,3진공 펌프(51)(52)(53)가 상기 제 1,2,3공기 배출홈(41)(42)(43)을 통해 상기 증착부(4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증착부(40)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3공기 배출홈(41)(42)(43)의 각 위치에서는 진공층이 형성되어 상기 증착부(40)의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2,3진공 펌프(51)(52)(53)의 공기 흡입압력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므로, 상기 제 1,2,3공기 배출홈(41)(42)(43)의 각 위치에서는 서로 다른 압력의 진공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공기 배출홈(41)의 위치에는 약 10-4 Torr의 저진공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공기 배출홈(42)의 위치에는 약 10-5Torr의 중진공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3공기 배출홈(43)의 위치에는 약 10-6Torr의 고진공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진공층들이 형성되어 압력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증착부(40)내의 압력도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동식 증착기는, 증착 대상물인 상기 롤러(10)의 길이에 제약을 받지 않고 상기 증착부(40)가 상기 롤러(10)를 따라 이동하며 증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해지고 상기 증착부(40)의 크기가 컴팩트화 되어 설치 공간에 제약이 따르지 않는다. 또한, 상기 증착부(40)가 상기 롤러(10)를 따라 직선 이동하더라도 상기 증착부(40)내의 압력이 변화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증착기의 증착부와 진공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증착부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증착부를 A방향에서 본 B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증착기의 증착부(100)는 복수의 블록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진공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결합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면에도 진공층을 형성하는 것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일 실시예에와 유사하므로, 유사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증착부(100)는 2개의 제 1,2블록(101)(102)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증착부(100)는 2개 이상의 블록들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블록(101)과 상기 제 2블록(102)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130)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130)와 결합되는 결합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부는, 상기 증착부(100)의 개구된 전,후방부 외둘레면에 구비된 복수의 전,후방부 진공 펌프(110)와, 상기 증착부(100)의 개구된 전,후방부 내둘레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공기 배출홈(41)(42)(43)과, 상기 진공 펌프(110)와 상기 공기 배출홈(41)(42)(43)을 연결하는 전,후방부 공기 배출유로(120)와, 상기 증착부(100)의 결합면에 구비된 복수의 결합부 진공 펌프(150)와, 상기 증착부(100)의 결합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공기 배출을 안내하는 상기 결합홈(140)과, 상기 결합부 진공 펌프(150)와 상기 결합홈(140)을 연결하는 결합부 공기 배출유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후방부 진공 펌프(110)는 상기 증착부(100)의 개구된 전방부와 후방부에 각각 3개의 제 1,2,3진공 펌프(111)(112)(113)이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전,후방부 공기 배출유로(120)는, 상기 제 1,2,3진공 펌프(111)(112)(113)와 상기 제 1,2,3공기 배출홈(41)(42)(43)을 연결하는 제 1,2,3공기 배출유로(121)(122)(123)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 진공 펌프(150)는, 결합부 진공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증착부(100)의 결합면에서 상기 증착부(100)의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 진공 펌프(150)는 3개의 제 4,5,6진공 펌프(151)(152)(153)가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4,5,6진공 펌프(151)(152)(153)는 상기 증착부(100)의 내측에 가까울 수록 고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공기 흡입력이 높게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홈(140)이 공기 배출을 안내하는 결합부 공기 배출홈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결합돌기(130)가 상기 결합홈(140)에 결합되면, 상기 결합돌기(130)와 상기 결합홈(140)사이에 미세한 틈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130)와 상기 결합홈(140)사이의 틈을 통해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결합면의 압력을 유지하여 상기 증착부(100)내부의 압력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40)은 3개의 제 1,2,3결합홈(141)(142)(1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 공기 배출유로(160)는 상기 제 1,2,3결함홈(141)(142)(143)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 4,5,6공기 배출유로(161)(162)(16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식 증착기는, 상기 증착부(100)가 두개의 제 1,2블록(101)(102)이 결합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증착 대상물인 롤러의 반경이 매우 클 경우에도 상기 증착부(100)가 상기 롤러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 1블록(101)과 상기 제 2블록(102)의 결합면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로 유지하도록 진공부가 구비됨으로써, 결합면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증착부(100)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블록(101)과 상기 제 2블록(102)의 결합면에 서로 다른 압력의 복수의 진공층들이 형성되어 압력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증착부(100)내의 압력도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롤러 20: 회전부
30: 증착기기 40: 증착부
41,42,43: 공기 배출홈 45: 휠
50: 진공 펌프 60: 공기 배출유로
101: 제 1블록 102: 제 2블록
130: 결합돌기 140: 결합홈
150: 결합부 진공펌프 160: 결합부 공기 배출유로

Claims (8)

  1. 증착 대상물의 외둘레면을 둘러싸며, 상기 증착 대상물의 외둘레면에 금속 소재를 증착시키고, 상기 증착 대상물이 전후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통과하기 위하여 전방부 및 후방부가 개구되어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증착부와;
    상기 증착 대상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증착부를 상기 증착 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부와;
    상기 증착부 내부를 진공시키기 위한 진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부는,
    상기 증착부의 개구된 전방부 및 후방부에 설치되고 내부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흡입하고 배출하여, 상기 전방부 및 후방부에 외부 공기와 차단되는 진공층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부는,
    상기 증착부의 외부에 구비된 진공 펌프와,
    상기 증착부의 전방부 및 후방부의 내둘레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진공 펌프에 연결되어 공기 배출을 안내하는 공기 배출홈을 포함하는 이동식 증착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증착부의 개구된 전방부 및 후방부에서 상기 증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진공펌프들은 상기 증착부의 내측에 가까울수록 고진공상태가 되도록 공기 흡입력이 높게 설정되는 이동식 증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착부는 복수의 블록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진공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결합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면의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여 외부 공기와 차단되는 결합부 진공층을 더 형성하는 이동식 증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공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들의 결합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공기 배출을 안내하는 결합부 공기 배출홈과,
    상기 결합부 공기 배출홈과 연결되어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여 외부 공기와 차단되는 상기 결합부 진공층을 형성하는 결합부 진공 펌프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증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진공 펌프는 상기 증착부의 외부에서 상기 증착부의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부 진공펌프들은 상기 증착부의 내측에 가까울수록 고진공상태가 되도록 공기 흡입력이 높게 설정되는 이동식 증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착 대상물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증착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증착 대상물이 관통하도록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를 가지는 이동식 증착기.
KR1020110136129A 2011-12-16 2011-12-16 이동식 증착기 KR101160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129A KR101160892B1 (ko) 2011-12-16 2011-12-16 이동식 증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129A KR101160892B1 (ko) 2011-12-16 2011-12-16 이동식 증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892B1 true KR101160892B1 (ko) 2012-06-28

Family

ID=4668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129A KR101160892B1 (ko) 2011-12-16 2011-12-16 이동식 증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739A (ko) * 2013-08-01 2015-02-1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분할형 챔버를 구비하는 기판 열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8573A (ja) * 1986-08-01 1988-02-19 Kobe Steel Ltd 真空薄膜装置
JP2009013438A (ja) 2007-06-29 2009-01-22 Kyocera Corp 堆積膜形成方法および電子写真感光体
JP2010248584A (ja) 2009-04-16 2010-11-04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真空蒸着装置
KR20100131097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다원시스 플라스마 표면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8573A (ja) * 1986-08-01 1988-02-19 Kobe Steel Ltd 真空薄膜装置
JP2009013438A (ja) 2007-06-29 2009-01-22 Kyocera Corp 堆積膜形成方法および電子写真感光体
JP2010248584A (ja) 2009-04-16 2010-11-04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真空蒸着装置
KR20100131097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다원시스 플라스마 표면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739A (ko) * 2013-08-01 2015-02-1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분할형 챔버를 구비하는 기판 열처리 장치
KR102116714B1 (ko) * 2013-08-01 2020-05-2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분할형 챔버를 구비하는 기판 열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7332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をコ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堆積装置、及びフレキシブル基板をコーティングする方法
TWI658157B (zh) 沈積一已蒸發源材料於一基板上之方法及沈積設備及操作其之方法
CN104968831B (zh) 通过可调整的分离墙进行的气体分离
TWI491762B (zh) 具有可移遮罩之塗佈腔室
TWI638899B (zh) 用於沈積一已蒸發源材料之蒸發源與用於其之遮蔽裝置、及用以沈積一已蒸發源材料之方法
KR102364799B1 (ko)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장치용 회전식 캐소드 유닛
CN104968833B (zh) 公共沉积平台、处理站及其操作方法
KR20140119654A (ko) 단일 포인트 선형 증발원 시스템
KR101160892B1 (ko) 이동식 증착기
EP3317433A1 (en) Nozzle for a distribution assembly of a material deposition source arrangement, material deposition source arrangement, vacuum deposition system and method for depositing material
CN104508177A (zh) 气体分离器
JP6454906B2 (ja) 真空蒸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デバイス製造方法
CN107002233A (zh) 具有用于涂布工艺的分离掩模的掩蔽布置以及卷材涂布设施
JP2016176144A (ja) マグネトロン配列を備えたバンド状基層コーティング設備
US9005414B2 (en) Magnet arrangement for a target backing tube, target backing tube including the same, cylindrical target assembly and sputtering system
US9303317B2 (en) Deposition apparatus
KR20140138908A (ko) 스퍼터 증착을 위한 소형의 회전식 스퍼터 기구들
US9425029B2 (e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first shield and a second shield arranged to sandwich a substrate
US8926756B2 (en) Strip passing apparatus, apparatus for treating surface of strip with the same, and method for treating surface of strip
US9109284B2 (en) Vacuum processing apparatus
JP2020502359A (ja) 堆積装置、フレキシブル基板を被覆する方法、及び被覆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基板
TW202037739A (zh) 用以沈積一已蒸發材料之蒸汽源、用於一蒸汽源之噴嘴、真空沈積系統、及用以沈積一已蒸發材料之方法
US7878783B2 (en) Gear pump with components constructed as a homogenous workpiece
TW201902591A (zh) 用以清洗一真空腔室之方法、用以真空處理一基板之設備、及用以製造具有數個有機材料之數個裝置的系統
JP6353602B2 (ja) 真空コーティングプラントにおいて搬送速度を増加させつつエネルギをセーブする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