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673B1 -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673B1
KR101160673B1 KR1020100065925A KR20100065925A KR101160673B1 KR 101160673 B1 KR101160673 B1 KR 101160673B1 KR 1020100065925 A KR1020100065925 A KR 1020100065925A KR 20100065925 A KR20100065925 A KR 20100065925A KR 101160673 B1 KR101160673 B1 KR 101160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schedule
user
unit
bod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271A (ko
Inventor
차기철
신종흔
송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0006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6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해 다이어트 관리를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은 음식별 칼로리가 저장된 음식 데이터베이스와 운동종목별로 단위 운동량별 소모열량이 저장된 운동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자별로 조,중,석식의 섭식일정과 일자별로 운동종목과 운동량을 포함하는 운동일정과 사용자의 기준일에서의 체중 및 체성분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섭식일정, 운동일정, 사용자의 기준일에서의 체중 및 체성분을 저장하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체중 및 체성분의 변동을 산출하는 체성분변동추정부와 추정된 체중 및 체성분의 변동을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식사 스케쥴과 운동 스케쥴에 따른 자신의 체중 및 체성분의 변동을 예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DIE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해 다이어트 관리를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식사계획과 운동계획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체중 및 체성분의 변동을 예측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오늘날 서구화된 식습관과 운동부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비만을 앓고 있다. 비만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근육량이 많은 사람도 체중이 많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병원에서는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비만으로 진단하고 있다. 따라서, 몸속에 존재하는 체지방 등의 체성분에 따라 비만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비만은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 성기능 장애와 같이 많은 질병을 유발한다. 따라서, 비만을 해소하기 위해 체중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체중을 줄이는 방법 중에는 식이요법과 규칙적인 운동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손꼽힌다. 식이요법으로는 탄수화물이 적은 음식과 기름기가 적은 음식 등 음식 종류뿐만 아니라 식사량, 식사시간 등도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을 통해 칼로리를 소모시켜야 한다. 단순히 식사를 줄이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으로 비만을 해소할 수 없다. 체내의 지방조직을 운동을 통해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식이요법과 함께 그에 알맞은 운동을 함으로써 빠른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체중을 줄이고, 체질을 개선할 수 있다. 최근에는 비만클리닉 등에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으로 비만을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비만클리닉이나 한의원 같은 곳에서 관리 받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비용을 부담하게 하며, 남이 설계해준 계획에 의지하다 보면 그런 관리를 받지 않는 경우 다시 과체중 상태로 돌아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식단과 운동 스케줄을 관리하여 체중 및 체성분량 등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다.
식사계획과 운동계획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 및 체성분 변동 예상치를 확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식사를 구성하여 그에 따른 칼로리 섭취량을 계산하고, 자신의 운동 스케줄을 구성하여 그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은 음식별 칼로리가 저장된 음식 데이터베이스와 운동종목별로 단위 운동량별 소모열량이 저장된 운동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자별로 조,중,석식의 섭식일정과 일자별로 운동종목과 운동량을 포함하는 운동일정과 사용자의 기준일에서의 체중 및 체성분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된 섭식일정, 운동일정, 사용자의 기준일에서의 체중 및 체성분을 저장하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체중 및 체성분의 변동을 산출하는 체성분변동추정부와 추정된 체중 및 체성분의 변동을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의 체성분변동추정부는 일자별로 조,중,석식의 음식을 입력받아 섭식일정을 저장하는 식사계획부와 일자별로 운동종목과 운동량을 입력받아 운동일정을 저장하는 운동계획부와 사용자의 기준일에서의 체중 및 체성분을 입력받아, 저장된 섭식일정 및 운동일정을 기초로 사용자의 체중 및 체성분의 변동을 산출하는 체성분추정부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작성한 식사일정과 운동일정에 따른 자신의 체중 및 체성분의 변동을 예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설계한 식사와 운동에 따른 칼로리 섭취량 및 소모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섭식일정 입력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일정 입력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섭식/운동일정계획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변동추정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섭식/운동일정에 따른 실시간 체중변동추정 그래프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의 관리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100)은 데이터 베이스인 음식 DB(11), 운동 DB(13)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20)와 시스템(100)을 제어하는 체성분변동추정부(30)와 추정된 체중 및 체성분 변동을 표시하는 출력부(40)로 구성된다.
음식 DB(11)와 운동 DB(13)는 일반적인 서버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베이스일 수 있다. 음식 DB(11)에는 음식을 종류별로 구분하고, 사진과 해당음식의 칼로리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음식 DB(11)에 저장된 내용은 입력부(20)에 의해 작업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음식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음식 DB(11)에는 예를 들어 음식이름이 가나다순서 또는 칼로리가 높은 순서대로 음식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음식 DB(11)에는 한식, 중식, 일식 등과 같이 나라별로 음식이 분류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0)를 통해 표시되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보다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식이름, 칼로리, 나라별 음식 등으로 분류된 음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을 검색하고, 선택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운동 DB(13)에는 운동의 종목과 각 종목별 소비되는 칼로리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운동의 종목은 단순히 스포츠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걷기, 맨손체조, 계단 오르기와 같은 활동도 포함된다. 운동의 종목별 칼로리 소비는 운동시간에 따라 달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같은 운동이라도 운동시간에 따라 칼로리 소비가 달리 설정되어 저장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운동량을 정할 수 있다.
또한, 운동 DB(13)에는 사용자의 체질과 나이를 고려한 소비 칼로리가 저장될 수 있다. 같은 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사람의 체질에 따라, 나이에 따라 소비되는 칼로리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소비 칼로리를 정할 수 없다. 따라서, 나이를 고려하고, 열량 소비를 많이 하는 체질인지 여부를 고려하여 소비 칼로리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운동 소비 칼로리가 계산될 수 있다.
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섭식일정, 운동일정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입력부(20)는 사용자에게 작업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작업화면에 섭식일정, 운동일정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를 체성분변동추정부(30)로 출력한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제공화면은 섭식일정과 운동일정을 입력하는 경우가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체성분변동추정부(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체성분변동추정부(30)는 입력부(2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섭식일정 데이터, 운동일정 데이터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준일에서의 체중 및 체성분에 대해 입력받을 수 있다. 체성분으로는 체지방량, 근육량, 기초대사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체성분변동추정부(30)는 사용자의 기준일에서의 체중 및 체성분을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100)과 접속된 체성분 분석계 등을 통해 체중, 체성분 등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체성분변동추정부(30)는 식사계획부(31), 체성분추정부(33), 운동계획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식사계획부(3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입력부(2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식사계획을 입력받고, 이를 음식 DB(11)에 기초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식사 계획은 적어도 3일 이상의 조?중?석식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식사계획부(31)는 저장된 섭식일정을 체성분추정부(33)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적은 일수의 식사 계획만을 세워 장기간 다이어트시의 체성분 변동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식사계획부(31)는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섭식일정 데이터 중 일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존일정복사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섭식일정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섭식일정 데이터를 불러내어 그 중 일부를 복사하고, 이를 새로운 섭식일정 데이터에 붙여넣기를 하여 데이터를 완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섭식일정을 보다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
운동계획부(3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결될 입력부(2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계획을 입력받고, 이를 운동 DB(13)에 기초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운동일정을 저장한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운동일정은 적어도 3일 이상의 운동일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째 날은 줄넘기 운동을 10분 동안 하고, 둘째 날은 배드민턴을 1시간 동안 치고, 셋째 날은 운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운동계획부(35)는 저장된 운동일정을 체성분추정부(33)로 출력한다.
체성분추정부(33)는 식사계획부(31)와 운동계획부(35)로부터 사용자의 섭식일정 데이터와 운동일정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입력된 섭식일정 데이터와 운동일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1일당 칼로리 섭취/소비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섭식일정에 따라 하루 3끼를 먹으면 2100 kcal를 섭취하게 되며, 운동일정에 따라 운동을 하고, 기초대사량과 일상생활에서 소비되는 칼로리를 계산한 소비 에너지는 2350 kcal가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하루 250 kcal를 더 소비하게 되는 것이다.
체성분추정부(33)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의 누적된 칼로리 밸런스를 계산하여, 이를 기준일에서의 사용자의 체중 및 체성분으로부터 감소여부를 추정하게 된다. 이를 1개월 단위로 반복하여 계산하여 6개월, 1년 후의 체중, 체성분 변동치를 산출할 수 있다. 체성분추정부(33)는 산출된 예상 체중, 체성분 변동치를 출력부(40)를 통해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섭식일정과 운동일정에 따른 체중, 체성분 변동치를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 스스로 다이어트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출력부(40)는 체성분변동추정부(30)로부터 체성분변동추정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작업화면에 출력한다. 출력부(40)는 사용자가 쉽게 확인하도록 그래프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축은 시간이 세로축은 체중, 체지방량, 골밀도, 근육량 등의 체성분이 설정될 수 있다. 시간의 변동에 따라 체중, 체성분 등의 변화를 그래프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다이어트 계획에 따른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체성분추정부(33) 및 출력부(40)는 사용자별 체성분추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체성분추정 DB(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체성분추정 DB에는 사용자별 사용자가 계획한 섭식일정과 운동일정을 기초로 한 체성분변동을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예전 다이어트 관리계획을 필요에 따라 체성분추정 DB로부터 불러내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100)은 표준식단 구성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준식단 구성부(50)는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100)에 저장된 회원의 성별, 나이, 신장, 몸무게, 직업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조건이 유사한 사람들의 평균적인 데이터를 표준식단으로 생성한다. 이는 다수의 회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특성별로 수많은 표준식단이 정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에 사는 40대 남성이 연간 6000~7000만원의 소득을 올리고, 4인 가족의 가장이며, 키가 175cm에 몸무게가 75kg인 경우, 비슷한 조건의 회원들은 체중을 관리하기 위한 식단으로 아침에는 닭가슴살과 샐러드를 먹으며, 점심은 비빔밥을 먹고, 저녁은 국수를 먹는 섭식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이 채용하는 식사일정을 파악할 수 있다.
표준식단 구성부(50)는 입력부(20)를 통해 작업화면에 표준식단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섭식일정을 계획할 때, 개별적으로 음식의 종류 등을 지정할 수 있고, 표준식단 구성부(50)가 제공하는 표준식단을 제공받아 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예전에 계획한 식단 등을 기초로 생성된 표준식단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100)은 표준운동일정계획 구성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준운동일정계획 구성부(60)는 다이어트 관리시스템(100)의 회원들이 입력한 운동계획일정을 성별, 나이, 신장, 체중, 직업 등을 나누어 분석하여, 사용자의 조건과 비슷한 사람들이 채용하는 운동계획을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인 특성별로 데이터가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전에 사는 40대 공무원인 여성은 평일 저녁마다 60분씩 걷기운동을 하는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비슷한 연령대의 유사직군의 직업을 가진 여성 사용자의 표준운동계획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계획일정을 입력하는 경우, 자신과 비슷한 조건의 회원이 채용하는 운동계획일정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100)은 목표일정계획 제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목표일정계획 제시부(70)는 사용자가 입력부(20)를 통해 자신이 목표하는 체중 및 체성분 변동 목표치를 입력하면, 이를 기초로 표준식단 데이터와 표준운동 데이터를 기초로한 섭식일정 및 운동일정 계획을 구성한다. 사용자는 감량 목표치와 감량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목표일정계획 제시부(70)는 사용자가 한 달안에 체중을 20 Kg 감량하기로 하는 경우와 같이 무리한 목표치가 설정되면, 이에 대해 작업화면에 경고의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목표일정계획 제시부(7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 달에 자신의 체중의 10% 이상의 체중감량을 목표치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건강이 위험할 수 있으므로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2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20)는 한끼 입력부(21), 섭식일정 입력부(23), 운동일정 입력부(25), 표준식단채용 입력부(27), 표준운동계획채용 입력부(29)를 포함한다.
한끼 입력부(21)는 작업화면상에 음식 DB(11)에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음식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제공되는 음식 데이터 중 자신이 원하는 음식을 선택하여 한끼 식사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음식을 선택하면 그 음식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섭취되는 칼로리 정보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한끼 식사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방식으로 해당 음식을 한끼 식단 메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섭식일정 입력부(23)는 작업화면상에 음식 DB(11)에 저장된 음식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최소 3일 이상의 식단을 입력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항상 같은 식단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변동 가능한 식단을 입력하도록 요구된다. 섭식일정은 아침, 점심, 저녁을 기본으로 하며, 간식도 포함될 수 있다. 섭식일정이 입력되면 해당 일정에 따른 일별, 월별 총 섭취 칼로리 정보가 표시된다.
운동일정 입력부(25)는 작업화면상에 운동 DB(13)에 저장된 운동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최소 3일 이상의 운동일정을 입력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운동을 선택하여 일정에 입력하게 된다. 운동을 선택하게 되면, 각 운동을 함에 따라 소비되는 칼로리 정보가 표시된다. 운동일정이 입력되면 해당 일정에 따른 일별, 월별 총 소비 칼로리 정보가 표시된다.
표준식단채용 입력부(27)는 표준식단 구성부(50)로부터 한끼 식사내용을 입력받아 작업화면상에 이를 제시한다. 표준식단채용 입력부(27)는 사용자가 작업화면상에서 한끼 입력부(21) 대신 표준식단을 채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시될 수 있다. 표준식단채용 입력부(27)는 사용자로부터 표준식단채용 입력이 있으면, 이를 식사계획부(31)로 출력한다.
표준운동계획채용 입력부(29)는 표준운동일정계획 구성부(60)로부터 표준운동계획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작업화면상에 제시한다. 표준운동계획 입력부(20)는 사용자가 운동일정을 입력하지 않는 경우에 이를 대신하여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시된 표준운동계획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채용정보를 운동계획부(35)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섭식일정 입력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섭식일정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한끼 식단이 입력될 수 있다. 한끼 식단을 입력하기 위해서, 작업화면상에 음식 데이터가 나열되는 "음식목록" 탭을 클릭하여 음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음식을 선택하면, 해당 음식에 관한 칼로리 정보, 음식량 정보가 사진과 함께 오른쪽 상단에 정보창에 제시된다.
선택된 음식은 드래그 앤 드랍 방식으로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여 이를 하단에 생성된 밥상 구역에 드랍하여 한끼 식단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밥상 구역에 여러 음식이 드랍되어 담겨지는 경우, 담겨진 음식의 총 칼로리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로 해당 음식의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이를 밥상 구역 밖으로 이동시켜 해당 음식을 한끼 식단 목록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음식을 선택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음식명을 검색창에 입력하여 원하는 음식을 검색할 수도 있다. 음식이 검색되면 이를 밥상에 추가하는 아이콘을 클릭하여 밥상에 해당 음식을 담을 수 있다. 사용자는 담겨진 음식의 이미지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놓고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삭제명령을 클릭함으로써 해당 음식을 삭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일정 입력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운동일정을 입력하기 위해 "운동목록" 탭에 제시되는 운동종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해당 운동을 선택하면, 오른쪽 정보창에는 해당 운동의 이미지와 운동강도, 운동시간 등에 관한 간략정보가 제시될 수 있다. "내 운동" 탭을 클릭하면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운동목록을 확인할 수도 있다.
운동종류를 선택하면, 마우스를 이용하여 해당 운동의 정보창에 생성되는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운동영역에 드랍함으로써 운동일정을 선택할 수 있다. 여러 운동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총 소모 칼로리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운동일정은 일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방식과 같이 일별로 운동을 선택하면 각 일별로 운동일정이 저장되게 된다.
운동종류를 선택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운동명을 검색창에 입력하여 원하는 운동종류를 검색할 수도 있다. 원하는 운동이 검색되면 해당 운동을 운동영역에 추가하는 기능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해당 운동을 운동일정에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운동영역에 담겨진 운동의 이미지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놓고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삭제명령을 클릭함으로써 해당 운동을 삭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섭식/운동일정계획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된 섭식일정과 운동일정에 따라 요일별 식단과 운동계획도가 생성될 수 있다. 섭식일정에는 아침, 점심, 저녁, 간식별로 해당 음식의 종류와 그 섭취되는 칼로리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하루 동안 섭취되는 총 칼로리를 확인할 수 있다.
운동일정에는 각 요일별로 실행해야하는 운동의 종류와 그러한 운동을 함으로써 소비되는 칼로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소비되는 칼로리 정보에는 운동에 의한 칼로리 소비뿐만 아니라 기초대사와 활동대사에 따른 칼로리 소모도 포함될 수 있다. 총 섭취되는 칼로리에서 총 소비되는 칼로리를 상쇄시킴으로써 각 일정에 따른 칼로리 밸런스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섭식일정과 운동일정을 따랐을 경우에 얼마나 많은 칼로리를 소모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중변동추정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체중변동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결과가 그래프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표시되는 그래프는 예를 들어, 시간에 따른 체중, 체지방량, 골격근량, 기초대사량 등의 체성분 변동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 눈에 자신의 체중 등이 변화되는 예상치를 확인할 수 있다.
표시되는 그래프는 막대그래프, 원그래프, 띠그래프, 꺾은선그래프의 형태일 수 있다. 꺾은선그래프의 경우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체중, 체지방량, 골격근량, 기초대사량 등의 체성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프는 작업화면상에 입력부(20)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섭식일정, 운동일정 등을 입력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체중 등에 대한 변동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섭식/운동일정에 따른 실시간 체중변동추정 그래프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작업화면의 좌측에는 섭식일정과 운동일정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표시되며, 우측에는 입력을 실시간으로 반영한 체중변동추정 그래프와 체성분변동추정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섭식일정을 아침, 점심, 저녁으로 나누어 입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체중 및 체성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구성하는 섭식일정에 따라 체중 및 체성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체중을 만들기 위해 어떠한 음식이 효율적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그러한 음식 중에서 자신이 기호에 맞는 음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운동일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운동일정으로 입력함에 따라 좌측에 생성되는 그래프에는 체중 및 체성분의 변화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운동량을 조절함에 따라 체중 및 체성분 변화 그래프의 기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체중을 만들기 위해 어떤 운동이 효율적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러한 운동 중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운동량이 과도한 경우에는 경고창이 팝업되어 운동량을 조절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루에 5시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을 선택한다면, 이는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만큼 심한 운동이므로 경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운동량을 설정할 수 있다.
작업화면의 우측에 표시되는 그래프는 꺾은선 그래프, 막대 그래프 등일 수 있다. 섭식일정, 운동일정이 설정됨에 따라 그래프가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과거의 자신이 설계한 섭식일정, 운동일정에 따른 체중 및 체성분변동추정 그래프와 현재 자신이 입력에 따른 그래프를 비교할 수 있다. 그래프별로 색깔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과거에 설계한 섭식/운동 일정을 비교하면서, 실시간으로 현재의 섭식/운동일정을 계획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입력부(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섭식일정 및 운동일정을 입력받는다(710). 이 경우, 사용자의 체중, 체성분 등에 대한 기초적인 데이터도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된 섭식일정 및 운동일정을 기초로 설정된 기간동안 체중 및 체성분의 변동에 대한 추정치를 산출한다(730).
다음으로, 산출된 체중 및 체성분 등의 변동치를 출력한다(750). 이 경우, 작업화면상에 그래프 형태로 변동상황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변동상황을 나타내는 그래프는 섭십일정과 운동일정을 입력하는 부분과 동일한 화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쉽게 자신이 세운 다이어트 계획에 따른 자신의 체중 및 체성분 등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1 : 음식 DB
13 : 운동 DB
20 : 입력부
21 : 한끼 입력부
23 : 섭식일정 입력부
25 : 운동일정 입력부
27 : 표준식단채용 입력부
29 : 표준운동계획채용 입력부
30 : 체성분변동추정부
31 : 식사계획부
33 : 체성분추정부
35 : 운동계획부
40 : 출력부
50 : 표준식단 구성부
60 : 표준운동일정계획 구성부
70 : 목표일정계획 제시부
100 :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Claims (11)

  1. 음식별 칼로리가 저장된 음식 데이터베이스;
    운동종목별로 단위 운동량별 소모열량이 저장된 운동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자별로 조,중,석식의 섭식일정과 일자별로 운동종목과 운동량을 포함하는 운동일정과 사용자의 기준일에서의 체중 및 체성분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섭식일정, 운동일정, 사용자의 기준일에서의 체중 및 체성분을 저장하며,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체중 및 체성분의 변동을 산출하는 체성분변동추정부;
    상기 추정된 체중 및 체성분의 변동을 가시적인 형태로 출력하는 출력부;
    회원들의 개인 특성을 분석하여 사용자와 조건이 유사한 회원들이 입력한 섭식일정을 기초로 사용자의 표준 식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준식단 구성부; 및
    회원들의 개인 특성을 분석하여 사용자와 조건이 유사한 회원들이 입력한 운동일정을 기초로 사용자의 표준 운동 계획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준운동일정계획 구성부;를 포함하는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 변동 추정부는,
    일자별로 조,중,석식의 음식을 입력받아 섭식일정을 저장하는 식사계획부와;
    일자별로 운동종목과 운동량을 입력받아 운동일정을 저장하는 운동계획부와;
    사용자의 기준일에서의 체중 및 체성분을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섭식일정 및 운동일정을 기초로 사용자의 체중 및 체성분의 변동을 산출하는 체성분추정부;를 포함하는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식사계획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식 데이터를 종류별로 그래픽으로 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시된 음식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식으로 구성된 한끼 식사내용을 입력받는 한끼 입력부;를 포함하는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사계획부는,
    상기 식사계획부에 의해 저장된 섭식일정 데이터 중 일부를 복사-붙여넣기(copy&paste) 방식에 의해 새로운 섭식일정의 데이터로 복사하는 기존일정복사부;를 포함하는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일자별로 조,중,석식의 음식을 입력받는 섭식일정입력부와;
    일자별로 운동종목과 운동량을 입력받는 운동일정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섭식일정입력부와 상기 운동일정입력부가 일측에 표시되고, 타측에는 상기 출력부가 표시되고, 상기 섭식일정입력부 및 운동일정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추정된 체중 및 체성분의 변동이 상기 타측의 출력부에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표시되는 작업화면을 제공하는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가로축을 시간축으로, 세로축을 체중 및 체성분 축으로 하여 시간에 따른 변동의 형태로 추정된 결과를 표시하는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 추정부 및 출력부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섭식일정입력부는,
    상기 표준식단 구성부로부터 생성된 표준 식단 데이터를 입력받아 작업화면상에 제시하는 표준식단 채용 입력부;를 포함하는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일정입력부는,
    상기 표준운동일정계획 구성부로부터 생성된 표준 운동계획 데이터를 입력받아 작업화면상에 제시하는 표준운동계획 채용 입력부;를 포함하는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이,
    기간 및 그 기간까지의 다이어트 목표치를 입력받아 표준 식단 데이터 또는 표준 운동계획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는 표준적인 식사 일정 또는 운동 일정을 제시하는 목표일정계획제시부;를 더 포함하는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특성은,
    지역, 연령, 소득, 성별, 직업, 체중 및 신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KR1020100065925A 2010-07-08 2010-07-08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KR101160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925A KR101160673B1 (ko) 2010-07-08 2010-07-08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925A KR101160673B1 (ko) 2010-07-08 2010-07-08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71A KR20120005271A (ko) 2012-01-16
KR101160673B1 true KR101160673B1 (ko) 2012-06-28

Family

ID=4561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925A KR101160673B1 (ko) 2010-07-08 2010-07-08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6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267A (ko) 2015-04-23 2016-11-02 농업회사법인 산소발자국 (주) 개인 맞춤형 다이어트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102197102B1 (ko) 2020-03-21 2020-12-30 (주)유도리 다이어트 멘탈관리 시스템
KR20240003857A (ko) 2022-07-04 2024-01-11 (주)와이에스바이오 비만의학 기반의 대화형 비만원인진단 모듈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3858A (ko) 2022-07-04 2024-01-11 (주)와이에스바이오 대화형 비만원인진단 모듈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o2o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545B1 (ko) * 2012-08-30 2019-03-20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게임 제공방법
KR101508062B1 (ko) * 2013-09-12 2015-04-0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걷기 게임 제공방법
CN110168656A (zh) * 2017-10-23 2019-08-23 我利生命工学株式会社 中药减肥管理系统及其方法
KR102237704B1 (ko) * 2017-12-29 2021-04-13 주식회사 아리 생명공학 한방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93165A (ko) 2019-01-28 2020-08-05 박성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정보 기반 건강 관리 시스템
KR102632138B1 (ko) * 2023-03-06 2024-02-01 주식회사 코리얼에셋 맞춤형 영양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557A (ko) * 2001-10-18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만보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와 다이어트 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050009600A (ko) * 2003-07-18 2005-01-25 최지훈 모바일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59686A (ko) * 2004-11-29 2006-06-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이어트 관리 기능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557A (ko) * 2001-10-18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만보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와 다이어트 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050009600A (ko) * 2003-07-18 2005-01-25 최지훈 모바일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59686A (ko) * 2004-11-29 2006-06-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이어트 관리 기능이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267A (ko) 2015-04-23 2016-11-02 농업회사법인 산소발자국 (주) 개인 맞춤형 다이어트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102197102B1 (ko) 2020-03-21 2020-12-30 (주)유도리 다이어트 멘탈관리 시스템
KR20240003857A (ko) 2022-07-04 2024-01-11 (주)와이에스바이오 비만의학 기반의 대화형 비만원인진단 모듈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3858A (ko) 2022-07-04 2024-01-11 (주)와이에스바이오 대화형 비만원인진단 모듈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o2o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71A (ko) 201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673B1 (ko)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CN109313936B (zh) 用于向用户提供减肥指导的系统
CN106716426B (zh) 用于计算、显示、修改和使用个性化营养健康评分的系统和方法
Rifas-Shiman et al. PrimeScreen, a brief dietary screening tool: reproducibility and comparability with both a longer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biomarkers
US20160166195A1 (en) Energy and Food Consumption Tracking for Weight and Blood Glucose Control
US2020022715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calculating, displaying, modifying, and using single dietary intake score reflective of optimal quantity and quality of consumables
US20050027174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within-day energy balance deviation
JP5314827B2 (ja)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CN107924550A (zh) 生活习惯管理辅助装置及生活习惯管理辅助方法
CN109461491A (zh) 一种针对家庭健康管理的智能营养配餐系统及方法
US20200043595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generate advice information concerning daily habit improvement
CN109215761A (zh) 一种降血压的智能营养配餐系统及饮食管理方法
JP2007133525A (ja) 食事指導支援システム
US10438507B2 (en) Health tracking system including subjective nutrition perception tool
US20170300628A1 (en) Health tracking system including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tool
US20150140523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Managing and Optimizing Calorie Intake of a User
JP2016224879A (ja) 身長予測方法および体重予測方法
Bandyopadhyay et al. Assessment of energy balance against the nutritional status of women carriers in the brickfields of West Bengal
WO2017037946A1 (ja) 生活支援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052123A (ko)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US20230343459A1 (en) Lifestyle scoring system and method
JP2004013717A (ja) 食事評価システム
JP7125036B2 (ja) 栄養管理装置及び栄養管理用プログラム
CN105718707A (zh) 撼动脂肪方法
KR102608201B1 (ko) 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형 식단제공을 통한 혈당관리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