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653B1 - 순방향-링크 및 역방향-링크 서빙 액세스 포인트들의 변경 - Google Patents

순방향-링크 및 역방향-링크 서빙 액세스 포인트들의 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653B1
KR101160653B1 KR1020097024494A KR20097024494A KR101160653B1 KR 101160653 B1 KR101160653 B1 KR 101160653B1 KR 1020097024494 A KR1020097024494 A KR 1020097024494A KR 20097024494 A KR20097024494 A KR 20097024494A KR 101160653 B1 KR101160653 B1 KR 10116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entity
entity
rout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362A (ko
Inventor
페라폴 틴나코른스리수팝
페티 울업피날
파라그 아룬 아가쉬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03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이동국이 복수의 기지국들을 통해 주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들 중 임의의 기지국을 순방향 링크(FL) 서빙 스테이션으로서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이동국은 다른 또는 동일한 기지국을 역방향 링크(RL) 서빙 스테이션으로서 자유로이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국은 복수의 기지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라우트들을 그 메모리에 저장하며, 각 라우트는 특정 기지국에 전적으로 할당된다. FL 또는 RL 서빙 스테이션으로서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 동안, 교환되는 데이터 패킷들은 관련된 기지국들의 각 라우트들에서 처리된다.

Description

순방향-링크 및 역방향-링크 서빙 액세스 포인트들의 변경{CHANGES OF FORWARD-LINK AND REVERSE-LINK SERVING ACCESS POINT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더 특정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서빙 액세스 포인트들의 전환에 관한 것이다.
통신, 특히 무선 통신에서, 통신 환경들은 정적이 아니라 동적이다. 이동 통신 세팅에서, 일부 이동 통신 엔티티들(흔히 이동국들로 호칭됨)은 상이한 시간들에 상이한 통신 상태들 하의 상이한 위치들로 이동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국은 흔히 기지국들로 호칭되는, 어떠한 인프라스트럭처 통신 엔티티들을 통해 주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데이터가 흐르는 통신 접속은 순방향 링크(FL)로 호칭된다. 유사하게,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데이터가 흐르는 통신 접속은 역방향 링크(RL)로 호칭된다. 통신 접속들이 항상 FL과 RL 모두에 대해 동일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동국은 매우 혼잡한 RL 트래픽을 갖지만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FL 플로우를 갖는 서빙 기지국과 통신 중일 수 있다. 이동국에 대해 더 나은 RL이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이용가능한 동안 FL과 RL 모두에 대해 상기 기지국에 머무르는 것은 통신 자원들의 최적의 이용이 아닐 수 있다.
추가로, 이동국이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것으로 변경하기 위해, FL 변경이든 또는 RL 변경이든, 상기 변경 동안 및 상기 변경 후에 교환되는 데이터 패킷들이 손상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는 보이스 오버 IP(VoIP) 호에서 교환되는 데이터 패킷들과 같은, 시간-민감성 데이터 패킷들에 대해 사실이다. 융통성 있는(elastic) 또는 베스트-에포트(best-effort) 데이터 패킷들과 달리, 전송 동안의 오류성 또는 상실된 시간-민감성 패킷들이 항상 재송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지국들의 변경 동안 시간-민감성 데이터 패킷들의 손상들은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국이 FL 및 RL의 할당에 대한 임의의 서빙 통신 엔티티들을 자유로이 선택하여, 가용 통신 자원들을 적응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핸드오프 프로세스 동안의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동국이 복수의 기지국들을 통해 주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은 임의의 기지국을 순방향 링크(FL) 서빙 스테이션으로서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국은 다른 또는 동일한 기지국을 역방향 링크(RL) 서빙 스테이션으로서 자유로이 선택할 수도 있다. 이동국은 그 메모리에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라우트(route)들을 저장하였으며, 각 라우트는 특정 기지국에 전적으로 할당된다. FL 또는 RL 서빙 스테이션으로서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것으로의 핸드오프 동안, 교환되는 데이터 패킷들은 수반되는 기지국들의 개별 라우트들에서 처리된다. 또한, 상기 라우트들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들을 부분적으로 처리하여, 핸드오프 프로세스들 동안의 데이터의 투명하고 매끄러운(seamless)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동일한 부분들을 지칭하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참조할 때, 다음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배치되는 다양한 통신 엔티티들의 관계들을 나타내는 간소화된 개념도이다;
도 2는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순방향 링크 서빙 스테이션 핸드오프 동안의 상이한 통신 엔티티들 간의 메시지 및 데이터 흐름들을 도시하는 호 흐름도이다;
도 3은 상이한 통신 엔티티들이 상이한 IP 데이터 패킷들의 터널링을 담당하는 IP 데이터 패킷 흐름들의 다이어그램을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는 역방향 링크 서빙 스테이션 핸드오프 동안의 상이한 통신 엔티티들 간의 메시지 및 데이터 흐름들을 도시하는 호 흐름도이다;
도 5는 순방향 링크 서빙 스테이션이 잘못 할당되지만 조정으로써 정정되는 핸드오프 동안의 상이한 통신 엔티티들 간의 메시지 및 데이터 흐름들을 도시하는 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프 프로세스들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하드웨어 구현의 일부의 개념도이다.
이하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생산 및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세부사항들이 제시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의 이용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라는 점에 유념하여야 한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된 구조들 및 프로세스들은 불필요한 세부사항들로써 본 발명의 기재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 개시되는 원리들 및 특징들에 따라 최광범위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간명화 및 명확화를 위해, 미국 통신 산업 협회(Telecommunication Industry Association, TIA)에 의해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 하에서 공표된 Ultra Mobile Broadband (UMB) 기술에 관련된 용어가 이용된다. 본 발명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 분할 다중 접속(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등에 관련된 기술들 및 관련 표준들과 같은, 다른 기술들에도 적용됨에 유념하여야 한다. 상이한 기술들에 관련된 용어들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려되는 기술에 따라, 몇몇만 열거하자면, 이동국은 종종 이동 단말, 사용자 장치, 가입자 유닛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지국들은 종종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여기서 적용가능시 상이한 용어들이 상이한 기술들에 적용됨에 유념하여 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다양한 통신 엔티티들의 관계들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 1을 참조한다.
도 1에서, 전체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30으로써 표시된다. 통신 시스템(30)에서, 복수의 진화된 기지국(evolved Base Station, eBS)들에 링크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GW)가 존재하며, 기지국들 중 세개는 eBS(34), eBS(36) 및 eBS(38)로 도시된다. 상기 eBS(34), eBS(36) 및 eBS(38)은 동일한 액세스 네트워크(AN)에서 또는 상이한 AN들에서 인스톨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상기 eBS들(34, 36 및 38)은, 각각, AN들(40, 42 및 44)의 일부이다. 상기 AN들(40, 42 및 44) 각각은 하나 이상의 eBS들 및 다른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확화 및 간소화를 위해, 각 AN은 도 1에서 단 하나의 eBS로써 도시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eBS(34)는 커버리지 영역(46)의 사용자들에게 무선 액세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eBS(36 및 38)는, 각각, 커버리지 영역들(48 및 50) 내에서의 무선 액세스를 제공한다.
AGW(32)는 백본 네트워크(52)로의 연계를 가지며, 이는, 예를 들어, 인터넷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백본 네트워크(52)는, 다른 예시로서, 폐쇄 네트워크의 인트라넷일 수 있다.
시스템(30) 내에서 구축되는 액세스 단말(AT)(54)이 있다고 전제한다. 사용자(미도시)에 의해 동작되는 AT(54)는 AN(40), AN(42) 및 AN(44)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들 간에 이동할 수 있다. AT(54)는 시스템(30)의 다양한 통신 엔티티들을 통해 백본 네트워크(38)를 액세스할 수 있다.
AT(54)가 초기에 eBS(34)와 통신한다고 가정한다. AT(54)는 먼저 도 1의 참조 번호(56)로써 표시되는 논리 데이터 경로로써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백본 네트워크(52)로부터의 데이터가 AGW(32) 및 eBS(34)를 통해 AT(54)로 흐를 수 있도록 eBS(34)와 순방향 링크(FL)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AT(54)가 eBS(34)로부터 FL 데이터 패킷들을 직접 수신하기 때문에, eBS(34)도 AT(54)에 대한 순방향-링크 서빙 eBS(Forward-Link Serving eBS, FLSE)로 호칭된다.
어떠한 유사한 방식으로, AT(54)는 도 1의 논리 데이터 경로(58)로써 도시되는 바와 같이, eBS(34) 및 AGW(32)를 통해 AT(54)로부터의 데이터가 백본 네트워크(52)로 흐를 수 있도록 eBS(34)와 역방향 링크(RL)를 수립할 필요도 있다. AT(54)가 RL 데이터 패킷들을 eBS(34)로 직접 전송하기 때문에, eBS(34)도 AT(54)에 대한 역방향-링크 서빙 eBS(Reverse-Link Serving eBS, RLSE)로 호칭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54)는, 각각, FL 및 RL로서 논리 데이터 경로들(56 및 58)을 통해 eBS(34)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본 예시에서, eBS(34)는 AT(54)에 대한 FLSE 및 RLSE 모두로서 두가지 역할을 담당한다.
추가로, 본 예시에서, eBS(34)는 AT(54)에 대한 데이터 부착점(Data Attachment Point, DAP)로서도 기능한다. eBS(34)가 AT(54)에 대한 FLSE가 될 때, 이는 DAP 할당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eBS(34)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AGW(32)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AGW(32)는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에 의해 발간된 프록시 모바일 IP(Proxy Mobile IP, PMIP) 프로토콜 하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은 절차들에 따라 eBS(34)와의 바인딩 갱신을 수행한다. 본질적으로, DAP(34)는 AT(54)에 대한 데이터 앵커링(anchoring) 기능을 수행한다. 결과로서, AT(54)에 대한 FLSE 및 RLSE로서의 역할들을 담당하는 것에 추가로, eBS(34)는 AT(54)에 대한 DAP로서의 임무도 수행한다. 본 예시에서, 달리 말하자면, eBS(34)는 AT(54)에 대한 FLSE, RLSE 및 DAP로서의 삼중 역할들을 기능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eBS(34)와 같은, 시스템(30)의 통신 엔티티는, AT(54)와 같은, 임의의 AT에 대해, 이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모든 세가지 역할들을 담당할 필요가 없다.
이제 도 1을 참조한다. AT(54)가 eBS(36)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영역(48)으로 이동한다. eBS(36)으로부터의 더 강한 신호들 및 더 가까운 근접성으로, AT(54)는 FLSE 및 RLSE 모두를 eBS(34)로부터 eBS(36)로 핸드오프하기로 결정한다. 본 핸드오프 프로세스들은 이후에 더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핸드오프가 성공적이라고 가정한다. 핸드오프 후, FL에 대해, 백본 네트워크(52)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은 도 1에 도시된 논리 데이터 경로(60)로써 지시되는 바와 같이 열거된 순서로, AGW(32), eBS(34) 및 eBS(36)을 통해 AT(54)로 흐른다. 유사하게, RL에 대해, AT(54)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은, 도 1에 도시된 논리 데이터 경로(62)로 지시되는 바와 같이 열거된 경로로, eBS(36), eBS(34) 및 AGW(32)를 통해 백본 네트워크(52)로 흐른다. 이 경우, eBS(36)는 AT(54)에 대한 FLSE 및 RLSE로서의 이중 역할들을 담당한다. 그럼에도, eBS(34)는 여전히 AT(54) 에 대한 DAP로서 동작한다.
AT(54)가 eB(34)에 의해 서빙되는 커버리지 영역(46)으로부터 로밍하였을지라도, eBS(34)는 AT(54)에 대한 DAP로서 남는다. 그 이유는 무선 세팅에서, AT(54)의 이동성에 따라, eBS(34)가 다시 AT(54)에 대한 FLSE 또는 RLSE가 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T(54)는, 각각, eBS(34) 및 eBS(36)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영역들(46 및 48)의 경계에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AT(54)는 임시로만 eBS(36)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AT(54)와 eBS(36) 간의 통신이 일시적이 아니라면, 굽이치는(meandering) 논리 데이터 경로들(60 및 62)을 통한 데이터 패킷들의 라우팅은, 적어도 백홀 활용의 관점에서는, 통신 자원들의 효율적 이용이 아닐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패킷 지연(latency)도 영향 받는다. 대신, DAP가 바람직하게는 eBS(34)로부터 eBS(36)로 전환된다. DAP 전환에 대한 기준은, 무엇보다, AT(54)가 eBS(36)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영역(48)에 충분히 오래 머물렀는지일 수 있다. DAP의 전환의 기본 절차들은 미국 통신 산업 협회(TIA) 하에서 조직된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에 의해 발간된, 간행물 3GPP2 A.S0020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경우를 가정하면, DAP 변경에 대한 하나 이상의 기준들이 충족되지 않았으며 eBS(34)는 AT(54)에 대한 DAP로서 잔류한다.
이제 계속하여 도 1을 참조한다. AT(54)가 다른 커버리지 영역들로 로밍을 계속한다고 가정한다. 어떠한 시점에서, AT(54)는 eBS(38)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영역(50)에 도달한다. 일부 이유들에 대해 추가로 가정하면, AT(54)는 eBS(38)로부터 강한 FL 그러나 비교적 약한 RL을 센싱한다. "링크 불균형(link imbalance)"로 호칭되는, 그러한 시나리오는 RL에 관련된 주파수 대역의 과도한 주파수 간섭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상기 간섭은, 예를 들어, 기지국들과 활성 통신 중인 너무 많은 AT들(미도시)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FL 트래픽은 크게 영향받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eBS들이 다른 주파수 대역들을 이용하고 지리적으로 더 멀리 분리되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서, eBS(54)가 다른 AT들(미도시)로부터의 RL 접속들로써 오버로딩(overload)되며 FL 트래픽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적다고 가정한다. 그러한 시나리오 하에서, AT(54)는 FLSE를 eBS(36)로부터 eBS(38)로 전환하기로 결정할 수 있지만, eBS(36)를 AT(54)에 대한 RLSE로 유지한다.
RL에 대해, AT(54)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은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논리 데이터 경로(62)를 통해 백본 네트워크(52)로 흐른다. 그러나, FL에 대해, 백본 네트워크(52)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은, AGW(32), eBS(34), 및 eBS(38)을 통해, 열거되는 순서대로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경로(64)로써 지시되는 바와 같이 AT(54)로 흐른다. 이 경우, 3개의 상이한 통신 엔티티들이 3개의 상이한 역할들을 담당한다. 특히, AT(54)에 대해, eBS(34)가 DAP로서 동작한다; eBS(36)는 RLSE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eBS(38)는 FLSE로서의 역할을 맡는다.
무선 통신에서의 신뢰성 그리고 추가로 통신 자원들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AT(54)가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특정 통신 엔티티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추가로 기재되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전술한 필요성들을 개진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AT(54)는 그 메모리에 라우트 세트(Route Set, RS)(41)를 포함한다. RS(41)는 AT(54)와의 무선-인터페이스 라우트들을 갖는, eBS(36) 및 eBS(38)와 같은, 통신 엔티티들의 세트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RS(41)의 각 엔티티는 링크-계층 패킷들과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들 모두를 AT(54)와 터널링할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한다. 추가로, AT(54)는 eBS가 RS에 합류하거나 이탈할 때마다 RS(41)를 갱신한다.
특정 통신 엔티티가 AT(54)의 RS(41)에 특정 라우트를 보유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54)는 eBS(34)에 대해 예약된 RS(41)의 라우트 34R를 갖는다. 유사하게, AT(54)는 eBS(36)에 대해 예약된 RS(41)의 라우트 36R를 갖는다. AT(54)는 eBS(38)에 대해 예약된 RS(41)의 라우트 38R를 갖는다.
라우트는 본질적으로 AT가 통신 세션에서 통신하는 통신 엔티티 및 상기 AT에 특정한 파라미터들 및 프로토콜들의 세트이다. 그러한 프로토콜들 및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어, 헤더 압축 프로토콜들과 구성(configuration)들, 무선 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RLP) 구성들과 시퀀스 번호들, 암호화 알고리듬 및 협의되는 보안 키들 등을 포함한다.
AT(54)의 RS(41)에서, 라우트들(34R, 36R 및 38R) 각각은 동일한 프로토콜들과 구성들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대신, 라우트들(34R, 36R 및 38R)은 논리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즉, 라우트들(34R, 36R 및 38R) 별개로 이용되어 각각의 통신 엔티티들(34, 36 및 38)로 그리고 각각의 통신 엔티티들(34, 36 및 38)로부터 터널링되는 데이터 패킷들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AT(54)가 eBS(38)를 FLSE로서 이용할 때, 라우트(38R)는, 무엇보다, 프로토콜들과 파라미터들, eBS(38) 이 데이터를 AT(54)로 전송하는 FL의 무선 링크 부분인, 논리 데이터 경로(64)의 무선 링크 부분에 관련된 데이터 패킷 시퀀스 번호들을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우트들(34R, 36R 및 38R)과 같은, 라우트들은 AT(54)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추가로, 특정 통신 엔티티에 관련되는 각 개별 라우트는 상기 통신 엔티티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우트(38R)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BS(38)에 저장된다. 상기 라우트들을 수반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본 예시에서 AT(54)에 대한 그리고 다른 통신 엔티티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은 이후에 더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의 변경을 위해, AT(54)는 관련된 엔티티들과 상이한 메시지들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설명을 위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리 데이터 경로(64)를 통해 eBS(38)를 FLSE로서 설정시 다른 통신 엔티티들과의 AT(54)에 대한 호 흐름(call flow)을 도시한다.
이제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한다.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eBS(38)가 타겟 FLSE로 호칭된다. 유사하게, eBS(36)는 소스 FLSE로 호칭된다. eBS(34)는 이 경우 DAP로서 동작한다.
AT(54)는 처음에 FLSE로서 eBS(36)에 의존한다. 결과적으로, AT(54)는 상기 DAP(이는 이 경우 eBS(34)임)로부터 인터넷 프로토콜(IP) 데이터 패킷들을 소스 FLSE(이 경우 eBS(36))를 통해, 도 2에서, 각각 논리 데이터 경로들(66 및 68)로써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T(54)가 커버리지 영역(50) 근처로 더 가까이 이동하고 eBS(38)로부터의 강한 FL 신호들을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AT(54)는 eBS(38)를 타겟 FLSE로서 선택하기로 결정한다. 즉, AT(54)는 FLSE를 eBS(36)로부터 eBS(38)로 핸드오프하기로 결정한다. 그러한 핸드오프에 대한 기준들은 eBS(38)와의 더 나은 링크 조건들, eBS(36) 및 eBS(38)의 로딩(loading)들의 비교, eBS(36)과 eBS(38)에 대한 이용 듀레이션(duration)들 등과 같은, 통신 상태들의 세트에 기초할 수 있다.
AT(54)는 도 2에 도시된 메시지 경로(70)로써 지시되는 바와 같이, eBS(38)에 메시지, 또는 채널 품질 지시자(Chanel Quality Indicator, CQI)와 같은 물리 계층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eBS(38)를 타겟 FLSE로서 선택한다.
상기 메시지의 수신시, 타겟 FLSE(38)는 AT(54)의 RS의 모든 다른 eBS들에게 eBS(38)가 상기 AT(54)에 대한 FLSE로서의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통지한다. 타겟 FLSE(38)에 의한 통지들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다른 엔티티들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FLSE(36)로의 통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경로(72)를 통해 IPT(IP 터널)-통지 메시지의 형태이다. 소스 FLSE(36)는 타겟 FLSE(38)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경로(74)를 통해 IPT-통지 Ack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IPT-통지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응답(acknowledge)한다.
다른 예로서, 타겟 FLSE(38)도 DAP(34)에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경로(76)를 통해 IPT-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유사하게, DAP(34)는 소스 FLSE(38)에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경로(78)를 통해 IPT-통지 Ack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IPT-통지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응답한다.
소스 FLSE(36)에 대해, IPT-통지 메시지, 즉, 메시지 경로(72)를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의 수신시, 소스 FLSE(36)는 DAP(34)로부터 수신되는 IP 패킷들을, AT(54)로 대신, 타겟 FLSE(38)로 전송 또는 터널링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FLSE(36)는 IP 패킷 프레임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개별 IP 패킷들을 타겟 FLSE(38)로 터널링할 필요가 없다. 대신, 소스 FLSE(36)는 부분적인 IP 패킷들을 타겟 FLSE(38)로 터널링할 수 있다. 더 특정하게는, 이제 도 3을 참조하며, 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소스 FLSE(36)로의 IP 데이터 패킷들의 흐름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서는, 5개의 IP 패킷 프레임들로써 묘사되는, 5개의 IP 패킷들, 즉 IP 패킷들 #1-#5가 도시된다. 시간 ta에서, 소스 FLSE(36)가 IPT-통지 메시지를 메시지 경로(72)(도 2)를 통해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시간 ta 전에 수신되는 온전한 IP 패킷들 #1 및 #2에 대해, 소스 FLSE(36)는 이러한 IP 패킷들을 AT(54)로 지향되는 링크 계층 헤더들로써 캡슐화(encapsulate)하고 상기 IP 패킷들을 AT(54)로 전송한다. 달리 표현하면, 소스 FLSE(36)는 IP 패킷들 #1-2를 AT(54)로 링크 계층 터널을 거쳐 논리 데이터 경로(60)(도 1)의 무선 링크 부분을 통해 전송한다.
AT(54)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라우트, 특히 eBS(36)로부터 수신되는 링크 계층 터널 패킷들의 처리를 위해 유보되는, 라우트(36R)(도 1)를 갖는다.
시간 ta 전에 소스 FLSE(36)에 의해 수신되는, 도 3의 참조 번호 51로써 식별되는, IP 패킷 #3의 일부분에 대해, 소스 FLSE(36)는 부분 IP 패킷 #3(51)을 온전한 IP 패킷 #1 및 #2에 대해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AT(54)로 전송한다. 즉, 소스 FLSE(3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논리 데이터 경로(60)(도 2에서, 이는 논리 데이터 경로(68)로써 표현됨)의 무선 링크 부분을 통한 AT(54)로의 전송을 위해 부분 IP 패킷 #3(51)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부분들을 링크 계층 프레임들에 맞춘다. 다시, AT(54)는 온전한 IP 패킷들 #1 및 #2에 대해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부분 IP 패킷 #3을 수신 및 처리한다.
시간 ta 후에 소스 FLSE(36)에 의해 수신되는, 참조 번호 55로 식별되는, IP 패킷 #3의 일부분에 대해, 소스 FLSE(36)는 소스 FLSE(36)의 라우트 36R을 이용하여 부분 패킷(55)를 처리(예컨대, RLP 헤더들을 암호화 및/또는 추가)하고 본 부분 IP 패킷 #3(55)을 타겟 FLSE(38)로 도 1의 논리 데이터 경로(80)(도 2에서, 이는 논리 데이터 경로(82)로써 표현됨)의 백홀 부분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부분 IP 패킷 #3(55)의 수신시, 타겟 FLSE(38)는 타겟 FLSE(38)의 라우트(38R)를 이용하여 부분 패킷(55)(예컨대, 라우트(36R)에 의해 추가되는 RLP 헤더들을 포함하는)을 추가로 처리하고, 도 1의 논리 데이터 경로(80)(도 2에서, 이는 논리 데이터 경로(84)로 표현됨)의 무선 링크 부분을 통해 부분 IP 패킷 #3(55)을 AT(54)로 전송한다.
부분 IP 패킷 #3(55)에 대해, AT(54)는 먼저 AT(54)의 라우트(38R)를 이용하여 부분 패킷(55)을 처리한다. 그리고 나서, AT(54)는 AT(54)의 라우트(36R)를 이용하여 부분 패킷(55)을 처리한다. 달리 표현하면, 마치 AT(54)가 논리적으로 소 스 FLSE(36)로부터 상기 부분 패킷(55)을 수신하는 것처럼 AT(54)는 터널링된 부분 IP 패킷 #3(55)을 소스 FLSE(36)로부터 타겟 FLSE(38)를 통해 수신한다. 따라서, 라우트(36R)에서 처리되는 ta 전과 후에 수신되는 부분 IP 패킷들 #3(51 및 55)로써, 완전한 IP 패킷 #3의 복구가 실현가능하다. 부분 데이터 패킷들이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인 이점들은 각 데이터 패킷 세그먼트가 단 한번 전송됨에 따라 무선 자원들이 더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순서대로의(in-order) 데이터 패킷 전달을 이용한 끊김없는(seamless) 핸드오프가 달성될 수 있다.
부분 데이터 패킷들이 본 실시예에서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결합 및 처리되는 한편, 필요하다면 완전한(full) 데이터 패킷들이 유사하게 결합 및 처리될 수 있음에 유념하여야 한다.
대안으로, 추가적인 신뢰성을 위해, 소스 FLSE(36)는 논리 경로들(60 및 80) 모두(도 1)를 통해 IP 패킷 #3을 전송할 수 있다. AT(54)의 라우트(36R)는 IP 패킷 #3의 어떠한 부분들의 복제 사본(copy)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AT(54)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RLP에서의 복제 검출 매커니즘을 통해 복제부들을 폐기할 수 있다.
소스 FLSE(36)에 임의의 잔여 IP 데이터 패킷들이 있다면, 소스 FLSE(36)는 잔여 패킷들을 타겟 FLSE(38)로 전송하며, 이는 이번에는 FLSE(38)의 라우트(38R)을 이용하여 상기 패킷들을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패킷들을 도 1에 도시된 논리 데 이터 경로(80)(도 2에서, 상기 도시되는 논리 데이터 경로들은, 각각, 참조 번호들 86 및 88로써 식별됨)를 통해 AT(54)로 전송한다. 데이터 패킷들의 수신시, AT(54)는 AT(54)에 저장된 라우트(38R)를 이용하여 상기 패킷들을 처리한다.
DAP(34)에 대해, 시간 tb에서(도 3), DAP(34)는 IPT-통지 메시지를 메시지 경로(76)(도 2)를 통해 수신한다. 시간 tb 전에 수신되는 완전한 IP 패킷들 #1-#3에 대해, DAP(34)는 IP 패킷들 #1-#3을 소스 FLSE(36)로 터널링하며, 이는 이번에는 수신된 IP 패킷들을 상기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한다. 그러나, IP 패킷 #4에 대해, DAP(34)가 소스 FLSE(36)이 임의의 부분적으로 수신된 IP 패킷들을 적절히 처리할 것임을 알기 때문에, DAP(34)는 온전한 패킷을 소스 FLSE(36)로 터널링한다. 즉, IP 패킷들 #1-#4에 대해, DAP(34)는 도 1에 도시된 논리 데이터 경로(60)(도 2에서, 상기 표시된 논리 데이터 경로들은, 각각, 참조 번호들 68 및 66으로써 식별된다)를 통해 소스 FLSE(36)를 거쳐 AT(54)로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다.
도 3에 도시된 IP 패킷 #5와 같은, 시간 tb 후에 수신되는 임의의 IP 패킷들에 대해, DAP(34)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논리 데이터 경로(64)(도 2에서, 상기 논리 데이터 경로들은, 각각, 참조 번호들 90 및 92로써 식별된다)를 통해 상기 패킷들을 처리하는 타겟 FLSE(38)로 상기 패킷들을 터널링한다. 상기 패킷들의 수신시, AT(54)는, 역시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라우트 38R(도 1)의 패킷들을 처리한다.
이제 도 3과 함께 도 2를 참조한다. 더 간단히 말하면, 소스 FLSE(36)에 대해, 시간 ta 전에 DAP(34)로부터 수신되는 완전한 또는 부분 IP 패킷들이, 도 1에 도시된 논리 데이터 경로(60)로써 지시되는 바와 같이, AT(54)로 터널링된다. 그러나, 소스 FLSE(36)에 대해, 시간 ta 후에 DAP(34)로부터 수신되는 완전한 또는 부분 IP 패킷들은, 도 1에 도시된 논리 데이터 경로(80)의 백홀 부분으로써 지시되는 바와 같이, 타겟 FLSE(38)로 터널링된다. 이후에 타겟 FLSE(3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논리 데이터 경로들 80 및 64의 무선 링크 부분들로써 지시되는 바와 같이, 수신된 부분 및 완전한 IP 패킷들을 AT(54)로 터널링한다.
마찬가지로, DAP(34)에 대해, 시간 tb 전 또는 tb 동안 수신되는 완전한 IP 패킷들은, 도 1에 도시된 논리 데이터 경로(60)의 백홀 부분으로써 지시되는 바와 같이, 소스 FLSE(36)로 전송된다. 그러나, 시간 tb 후에 수신되는 완전한 IP 패킷들은 도 1에 도시된 논리 데이터 경로(64)의 백홀 부분으로써 지시되는 바와 같이 타겟 FLSE(38)로 터널링된다. 이후, 타겟 FLSE(38)는, 도 1에 도시된 논리 데이터 경로(64)의 무선 링크 부분으로써 지시되는 바와 같이, 수신된 완전한 IP 패킷들을 AT(54)로 터널링시킨다.
다음은 소스 FLSE(36)에게 그것이 더 이상 서빙 FLSE가 아니라는 통지가 따른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AP(34)는 FLSE(36)에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경로(94)를 통해, AT(54)에 대한 서빙 FLSE로서의 임무의 면제를 통지하는 IPT-통지 메시지를 소스 FLSE(36)로 전송한다.
소스 FLSE(36)는 도 2에 도시된 메시지 경로(96)를 통해 IPT-통지 Ack 메시지로써 응답한다.
경로들(94 및 96)을 통해 메시지들을 교환함으로써의 전술한 통지는, 이하에서 "부정적 통지(negative notification)"로 호칭된다. 상기 부정적 통지는 FLSE 또는 RLSE가 정확하게 할당되는 추가적인 보호책으로서 기능한다. 불일치가 있는 경우, 정정 매커니즘이 교정을 위해 인스톨될 수 있으며 이후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AT(54)가 eBS(38)를 서빙 FLSE로서 선택하는 것이 앞서 기재되었다. AT(54)가 RL 상태들이 현재의 서빙 RLSE(이 경우 eBS(36))보다 더 나으며, 서빙 FLSE를 eBS(36)에서 eBS(38)로 전환하는 것이 그다지 이점이 없어 보인다고 가정한다. 그러한 시나리오 하에서, AT(54)는 eBS(36)에서 eBS(38)로의 RLSE의 핸드오프를 개시할 수 있다.
RLSE의 핸드오프가 FLSE에 대한 대응하는 핸드오프와 상이하다는 어떠한 양상들이 존재한다. FLSE 핸드오프 동안, 또는 일반적으로 FL 데이터 흐름에 대해, AT가 마음대로 임의의 통신 엔티티들과 통신할 수 있기 때문에, AT(54)가 종죽적으로 통신하기로 결정하는 통신 엔티티로의 적절한 FL 데이터 흐름을 지시하기 위해 DAP가 데이터 앵커링(anchoring) 엔티티로서 요구된다. 그러나, 대응하는 RLSE 핸드오프 동안, 또는 일반적으로 RL 데이터 흐름에 대해, 데이터 앵커링 엔티티로서 DAP가 전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 이유는 RL 데이터 흐름을 AT로부터 수신하는 임의의 통신 엔티티가 수신된 데이터를 AGW로 곧장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접근은 백홀 활용을 더 능률적으로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제 도 1을 다시 참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스 eBS(36)에서 타겟 eBS(38)로의, 각각 논리 데이터 경로들(60 및 64)로부터의 FLSE 핸드오프 동안, 앵커링 엔티티로서 동작하는 DAP(이 경우eBS(34))가 요구된다. 그 이유는 핸드오프의 완료에 앞서, AT(54)가 결과적으로 어느 eBS를 타겟 FLSE로서 선택할 것인지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을 수 있다는 점이다. DAP(34)의 기능은 핸드오프 동안 및 핸드오프 후 AT(54)에 의한 선택된 타겟 FLSE로 FL 데이터 트래픽을 적절히 지향(direct)시키는 것이다. 또한 FLSE 핸드오프를 촉진하기 위해, AT(54), AGW(32), eBS들(34, 36 및 38)을 포함하는, 모든 통신 엔티티들이 이들 중 어느 엔티티가 AT(54)에 대한 현재의 FLSE인지를 추적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언급할 필요가 있다.
RLSE 핸드오프에 대해, AT(54)가 RL 데이터 흐름을 소스 eBS(36)로부터 타겟 eBS(38)로 핸드오프하기로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AT(5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논리 데이터 경로(62)에서 논리 데이터 경로(83)로 RL을 전환하기로 선택했을 수 있다. 특히, RL 데이터 흐름을 논리 데이터 경로(83)를 통해 전송하는 것은 DAP로서의 eBS(34)에 따른다. 그러나, 본 예시에서, 더 효율적으로 통신 자원들을 활용하기 위해, AT(5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대안으로서 직접 RL 데이터 패킷들을 타겟 eBS(38)를 통해 AGW(32)로 논리 데이터 경로(85)를 경유하여 전송한다. 이 경우, eBS들(34, 36 및 38)과 같은, 일부 통신 엔티티들은 어느 엔티티가 AT(54)에 대한 현재의 RLSE인지를 추적할 필요가 없다. 그 이유는, 통신 시스템(30) 내에서, RL 데이터 패킷들의 목적지가 확정되는 AGW(32)이기 때문이다. 즉, RL 데이터 패킷의 목적지가 불확실한 타겟이 아니다.
타겟 RLSE(38)로의 소스 RLSE(36)의 핸드오프를 위한 프로세스는 이전에 설명되었지만 앞서 제시된 바와 같이 차이점들을 갖는 FLSE 대응에 대해 기재된 바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또한, AT(54)는 타겟 RLSE(38)에 메시지, 또는 도 4에 도시된 메시지 경로(97)로써 식별되는 바와 같이 파일럿 품질 지시자(Pilot Quality Indicator, PQI)와 같은 물리 계층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RLSE 변경을 요청한다. 간소화 및 명확화를 위해, RLSE 핸드오프 프로세스가 더 이상 부연되지 않는다. 대신, 소스 RLSE(36)로부터 타겟 RLSE(38)로의 논리 데이터 경로 62로부터 85(도 1)로의 RLSE 핸드오프가 도 4에 도시된다.
앞서 기재된 FLSE 및 RLSE 핸드오프 프로세스들에서, 늘상 변화하는 통신 상태들 때문에, 메시징 신호들이 항상 정시에 도달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의도된 FLSE 또는 RLSE가 잘못 할당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잘못된 FLSE 할당의 예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교정 절차들이 상기 잘못된 할당을 정정하기 위해 제정된다.
이제 도 5를 참조한다. AT(54)가 초기에 eBS(34)를 DAP로서 그리고 eBS(36)를 FLSE로서 할당한다. 그리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34)는 이후 IP 패킷들을 AT(54)로, 각각, 데이터 경로들(100 및 102)를 통해, 터널링하는 eBS(36)로 상기 IP 패킷들을 포워딩한다.
AT(54)가 eBS(38)과의 더 나은 FL이 존재한다고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다양 한 미리 정의된 통신 조건들을 고찰하여, AT(54)는 FLSE를 eBS(36)에서 eBS(38)로 변경하기로 결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54)는 eBS(38)에 요청 메시지를 메시지 경로(104)를 통해 전송한다.
메시지 경로(104)를 통한 상기 메시지의 수신 시, eBS(38)은 AT(54)의 RS의 모든 eBS들에게, 도 5에 도시된 메시지 경로(106)를 통해 eBS(36)로 전송되는 IPT-통지 메시지에 의해 예시되는 바와 같이, eBS(38)가 AT(54)에 대한 FLSE로서의 역할을 맡을 것임을 통지한다. eBS(36)는 메시지 경로(108)를 통해 IPT-통지 Ack 메시지로써 응답한다.
이상적으로, eBS(38)는 지연 없이 유사한 통지 메시지들, 즉 도 5에 도시되는 메시지 경로(120)를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들을, DAP(34)에 전송하였어야 한다. 그러나, 본 예시에서, 그러한 메시지들의 가용성이 지연되어, eBS(38)에 의해 적시에 전송되지 않거나 또는 DAP(34)에 의해 지연 수신된다고 가정한다. 상기 지연에 대한 이유들은 eBS(38) 또는 DAP(34)의 회로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연은 eBS(38)와 DAP(34) 간의 불량한 통신 상태들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다.
임의의 이벤트시, 메시지 경로(120)를 통해 적시에 전송되었어야 할 IPT-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본 예시의 eBS(3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경로(110)를 통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eBS(36)를 FLSE로서 재선택한다.
다시, eBS(36)는 AT(54)의 RS의 모든 eBS들에게, 도 5에 도시된 메시지 경로(112)를 통해 eBS(38)로 전송되는 IPT-통지 메시지로써 예시되는 바와 같이, eBS(36)가 AT(54)에 대한 FLSE로서의 역할을 맡는다고 통지한다. eBS(38)는 상기 메시지 경로(114)를 통해 IPT-통지 Ack 메시지로써 응답한다.
본 예시에서, eBS(36)가 적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메시지 경로들(116 및 118)을 통해 IPT-통지 메시지 및 IPT-통지 Ack 메시지를 DAP(34)로 그리고 DAP로부터 전송 및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DAP(34)도 FLSE가 아니라는 다른 eBS들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책으로서의 부정(negative) 통지로써 뒤쫓는다(follow up).
그러나, 이 시점에서, 이전에 언젠가 도달하였어야할 메시지 경로(120)를 통한 IPT-통지 메시지가 도달하고 DAP(34)에 의해 수신된다고 가정한다. DAP(34)는 도 5에 도시되는 메시지 경로(122)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IPT-통지 Ack 메시지로써 응답한다. 그럼에도, 메시지 경로(116)를 통해 의도된 FLSE(36)에 의해 이전에 전송된 IPT-통지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결과적인 상기 부정 통지가 DAP(34)에 의해 다른 eBS들로 전송된다. 그러한 부정 통지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경로(124)를 통해 eBS(38)로 전송된다. 여기서, eBS(38)는 이전에, eB(38)가 FLSE로서의 역할을 맡을 것이라는 통지를 AT(54)의 RS의 다른 엔티티들에 전송하였기 때문에 상기 불일치를 검출하여야 한다. 그러나, 메시지 경로(124)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는 eBS(38)에게 eBS(38)가 AT(54)에 대한 FLSE가 아니라는 불일치 위치를 통지한다. 상기 이벤트는 추가적인 질의 및 결과적인 교정에 대한 동작들을 촉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이, eBS(36)(애초에 의도된 FLSE)에 의한 교정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5를 계속하여 참조한다. 메시지 경로(120)를 통한 IPT-통지 메시지의 수신에 대해 결과적으로, DAP(34)도 eBS(38)가 아닌 AT(54)의 RS의 다른 eBS들에게 이들이 AT(54)에 대한 FLSE가 아니라는 부정 통지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그러한 메시지들 중 하나는 도 6에 도시되는 eBS(36)로 메시지 경로(128)를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이다. eBS(36)는 도 5에 도시된 메시지 경로(130)를 통해 IPT-통지 Ack 메시지로써 응답한다.
여기서, eBS(36)도 이전에, AT(54)의 RS의 다른 엔티티들에 eBS(36)가 FLSE로서의 역할을 맡는다는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였기 때문에 상기 불일치를 검출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메시지 경로(128)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는 eBS(36)에게 eBS(36)가 AT(54)에 대한 FLSE가 아니라는 불일치 위치를 통지한다. 본 이벤트는 교정 대책들로서 eBS(36)를 작용하도록 세팅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eBS(36)는 그 스스로 이전에 도 2에 도시 및 기재된 바와 같이 FLSE 전환 프로세스(132)를 재시작시킬 수 있다.
도 6은 앞서 기재된 핸드오프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장치의 하드웨어 구현의 일부를 도시한다. 본 회로 장치는 참조 번호 290으로써 예시되며 AT 또는 eBS나 AGW와 같은, 임의의 통신 엔티티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290)는 몇가지 회로들을 함께 링크시키는 중앙 데이터 버스(292)를 포함한다. 본 회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제어기(294), 수신 회로(296), 송신 회로(298), 및 메모리 유닛(300)을 포함한다.
장치(290)가 무선 장치의 일부라면, 수신 및 송신 회로들(296 및 298)은 RF(Radio Frequency) 회로에 접속될 수 있지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수신 회로(296)는 데이터 버스(292)로 전송하기 전에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 및 버퍼링한다. 반면, 송신 회로(298)는 장치(290) 외로 전송하기 전에 데이터 버스(292)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 및 버퍼링한다. CPU/제어기(294)는 데이터 버스(292)의 데이터 관리 기능 및, 메모리 유닛(300)의 명령 컨텐트들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일반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배치하는 대신, 대안으로, 송신 회로(298) 및 수신 회로(296)는 CPU/제어기(294)의 일부분들일 수 있다.
메모리 유닛(300)은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302)로써 제시되는 모듈들 및/또는 명령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들/명령들은, 무엇보다, FLSE 핸드오프 함수(function)(308) 및 RLSE 핸드오프 함수(31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드오프 함수들(308 및 310)은 도 1-5에 도시 및 기재된 바와 같은 프로세스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들 또는 코드를 포함한다. 엔티티에 특정한 특정 명령들이 핸드오프 함수들(308 및 310)에서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90)가 AT의 일부라면, 무엇보다, 도 2, 4 및 5에 도시 및 기재된 바와 같은 AT에 관련한 메시지들의 준비 및 처리와 함께 도 1-5에 도시 및 기재된 프로세스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은 핸드오프 함수들(308 및 310)에서 코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장치(290)가 통신 엔티티의 일부라면(예를 들어 eBS), 상기 통신 엔티티에 특정한 프로세스 단계들 및 메시지 준비들이 핸드오프 함수들(308 및 310)에서 코딩될 수 있다.
추가로, 도 1에 도시 및 기재된 라우트들(34R, 36R 및 38R)과 같은, 복수의 라우트들도 메모리 유닛(30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라우트들은 도 6의 참조 번호(398)로써 집합적으로 지정된다. 대안으로, 라우트들(398)은 유닛(300)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될 수 있다. 앞서 배치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선택적 라우트들이 구현시 특정 엔티티에 대해 인스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T가, 예컨대 eBS(36)에 대해서, AT(54)에 대해 도 1에 도시 및 기재된 바와 같이 34R, 36R 및 38R과 같은, 그 RS 내의 모든 라우트들을 포함할 필요가 있는 반면, 라우트 36R만이 메모리 유닛(300)에 인스톨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 유닛(300)은 RAM(Random Access Memory) 회로이다. 핸드오프 함수들(308 및 310)과 같은, 예시적인 함수들은, 소프트웨어 루틴들, 모듈들 및/또는 데이터 세트들이다. 메모리 유닛(300)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타입일 수 있는 다른 메모리 회로(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메모리 유닛(300)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t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Elelctrical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ROM(Read Only Memor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및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것들과 같은, 다른 회로 타입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된 진보성 있는 프로세스들이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로서 코딩될 수도 있음에 추가로 유념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용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실행을 위해, 도 6의 도면에 도시 및 기재되는 CPU/제어기(294)와 같은, 임의의 처리기에 명령들을 제공하는데 참여하는 임의의 매체를 지칭한다. 그러한 매체는 스토리지 타입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6의 메모리 유닛(300)의 기재에서, 이전에도 기재된 바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매체는 전송 타입일 수 있으며 동축 케이블, 동선, 광 케이블, 및 기계들 또는 컴퓨터들에 의해 판독가능한 신호들을 반송할 수 있는 음파, 전자기파 또는 광파를 반송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장치(290)와 별도의 컴퓨터 제품의 일부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달리, 실시예와 함께 기재된 임의의 다른 논리 블록들, 회로들, 및 알고리듬 단계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형태 및 세부사항에서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변경들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Claims (40)

  1. 통신 상태(condition)들의 세트의 평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순방향 통신 링크를 제 1 통신 엔티티(entity)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역방향 통신 링크를 제 2 통신 엔티티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하나로부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의 개시 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와의 라우트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우트는, 상기 라우트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해 터널링(tunnel)되는 라우트인,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나머지 엔티티와의 통신을 위한 다른 라우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나머지 엔티티와의 통신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로부터의 완전한(full) IP 데이터 패킷 중 제 1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나머지 엔티티로부터의 상기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2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3.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액세스 단말에 의한 방법으로서:
    상기 액세스 단말에 복수의 라우트들을 제공하는 단계;
    제 1 통신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라우트들 중 제 1 라우트를 할당하는 단계;
    제 2 통신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라우트들 중 제 2 라우트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어느 것이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할당되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과 각각 관련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라우트들을 유지하는 단계; 및
    제 3 통신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라우트들 중 제 3 라우트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라우트는,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의 개시 시에, 상기 제 3 라우트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들이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해 터널링되는 라우트인, 액세스 단말에 의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 엔티티와의 통신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를 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의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1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한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의 상기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2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에 의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를 순방향 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2 통신 엔티티를 역방향 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 전에,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 대신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상기 순방향 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에 의한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가 순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 또는 역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인지에 관계없이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과 관련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라우트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에 의한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과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 간의 제 1 통신 세션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제 1 라우트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단말과 제 2 통신 엔티티 간의 제 2 통신 세션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제 2 라우트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에 의한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를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초기에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이후에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는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잘못 할당됨 ? ; 및
    상기 제 1 및 제 3 통신 엔티티들 중 하나에 의해 초기에 야기되는 교정 동작(remedial action)들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재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에 의한 방법.
  9.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통신 엔티티에 의한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단말에 대한 순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 및 역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 모두로서 서빙하는 단계;
    상기 순방향-링크 및 역방향-링크 통신 엔티티들 중 하나의 다른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에 대해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로부터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순방향-링크 및 역방향-링크 통신 엔티티들 중 나머지 엔티티로서 상기 액세스 단말을 계속하여 서빙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단말과 인터넷 프로토콜(IP) 데이터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라우트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를 통해 IP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액세스 단말로 터널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엔티티에 의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상기 순방향-링크 통신 엔티티의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에 대한 요청이고, 상기 방법은:
    완전한 IP 데이터 패키들을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널링하는 단계는, 상기 라우트를 이용하여 부분 IP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단말로 터널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엔티티에 의한 방법.
  11. 통신 상태들의 세트의 평가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제 1 통신 엔티티에 순방향 링크를 할당하기 위한 수단;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제 2 통신 엔티티에 역방향 통신 링크를 할당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하나로부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의 개시 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와의 라우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라우트는, 상기 라우트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해 터널링되는 라우트인, 통신용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나머지 엔티티와의 통신을 위한 다른 라우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나머지 엔티티와의 통신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를 개시하기 위한 수단;
    상기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로부터의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1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다른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나머지 엔티티로부터의 상기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2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용 장치.
  13.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액세스 단말로서:
    상기 액세스 단말에 복수의 라우트들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
    제 1 통신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라우트들 중 제 1 라우트를 할당하기 위한 수단;
    제 2 통신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라우트들 중 제 2 라우트를 할당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어느 것이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할당되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과 각각 관련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라우트들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 및
    제 3 통신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라우트들 중 제 3 라우트를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라우트는,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의 개시 시에, 상기 제 3 라우트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들이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해 터널링되는 라우트인, 액세스 단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 엔티티와의 통신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를 개시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의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1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3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한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의 상기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2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를 순방향 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통신 엔티티를 역방향 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 전에,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 대신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상기 순방향 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가 순방향-링크 통신 엔티티 또는 역방향-링크 통신 엔티티인지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과 각각 관련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라우트들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과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 간의 제 1 통신 세션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제 1 라우트에 포함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액세스 단말과 제 2 통신 엔티티 간의 제 2 통신 세션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제 2 라우트에 포함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를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초기에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이후에 선택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는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잘못 할당됨 - ; 및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재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19.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통신 엔티티로서:
    상기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단말에 대한 순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 및 역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 모두로서 서빙하기 위한 수단;
    상기 순방향-링크 및 역방향-링크 통신 엔티티들 중 하나의 다른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에 대해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로부터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순방향-링크 및 역방향-링크 통신 엔티티들 중 나머지로서 상기 액세스 단말을 계속하여 서빙하기 위한 수단;
    상기 액세스 단말과 인터넷 프로토콜(IP) 데이터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라우트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를 통해 IP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액세스 단말로 터널링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엔티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상기 순방향-링크 통신 엔티티의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에 대한 요청이며, 상기 통신 엔티티는: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널링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라우트를 이용하여 부분 IP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단말로 터널링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엔티티.
  21. 처리기; 및
    통신 상태들의 세트의 평가를 제공하고,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순방향 통신 링크를 제 1 통신 엔티티에 할당하고;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역방향 통신 링크를 제 2 통신 엔티티에 할당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하나로부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의 개시 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와의 라우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처리기에 접속되는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라우트는, 상기 라우트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해 터널링되는 라우트인, 통신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에 접속되는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나머지 엔티티와의 통신을 위해 다른 라우트들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나머지 엔티티와의 통신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를 개시하고, 상기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로부터의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1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고, 상기 다른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나머지 엔티티로부터의 상기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2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 장치.
  23.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액세스 단말로서:
    처리기; 및
    상기 액세스 단말에 복수의 라우트들을 제공하고, 제 1 통신 엔티티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라우트들 중 하나를 제 1 라우트로서 할당하고, 제 2 통신 엔티티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라우트들 중 다른 라우트를 제 2 라우트로서 할당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어느 것이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할당되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과 각각 관련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라우트들을 유지하고, 제 3 통신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라우트들 중 제 3 라우트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처리기에 접속되는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라우트는,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의 개시 시에, 상기 제 3 라우트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들이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해 터널링되는 라우트인, 액세스 단말.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에 접속되는 상기 회로는,
    상기 제 2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 엔티티와의 통신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를 개시하고;
    상기 제 1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의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1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고;
    상기 제 3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한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의 상기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2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에 접속되는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를 순방향 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 2 통신 엔티티를 역방향 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 전에,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 대신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상기 순방향 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에 접속되는 상기 회로는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가 순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 또는 역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인지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과 각각 관련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라우트들을 유지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에 접속되는 상기 회로는 상기 액세스 단말과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 간의 제 1 통신 세션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제 1 라우트에 포함시키고, 그리고 상기 액세스 단말과 제 2 통신 엔티티 간의 제 2 통신 세션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제 2 라우트에 포함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에 접속되는 상기 회로는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를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초기에 선택하고,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이후에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가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잘못 할당된다면,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재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
  29.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통신 엔티티로서:
    처리기; 및
    상기 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단말에 대한 순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 및 역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 모두로서 서빙하고, 상기 순방향-링크 및 역방향-링크 통신 엔티티들 중 하나의 다른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에 대해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로부터 통지를 수신하고, 상기 순방향 링크 및 역방향 링크 통신 엔티티들 중 나머지로서 상기 액세스 단말을 계속하여 서빙하고, 상기 액세스 단말과 인터넷 프로토콜(IP) 데이터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라우트를 유지하고, 상기 다른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를 통해 IP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액세스 단말에 터널링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처리기에 접속되는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엔티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상기 순방향-링크 통신 엔티티의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에 대한 요청이며, 상기 회로에 접속되는 상기 처리기는: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터널링은, 상기 라우트를 이용하여, 부분 IP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단말로 터널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엔티티.
  31. 물리적으로 수록되는 컴퓨터-판독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통신 상태들의 세트의 평가를 제공하기 위한 코드;
    상기 평가에 기초하여 순방향 통신 링크를 제 1 통신 엔티티에 할당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하나로부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의 개시 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와의 라우트를 유지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라우트는, 상기 라우트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해 터널링되는 라우트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나머지 엔티티와의 통신을 위한 다른 라우트를 제공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나머지 엔티티와의 통신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를 개시하기 위한 코드;
    상기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하나로부터의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1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다른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상기 나머지 엔티티로부터의 상기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2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3. 물리적으로 수록되는 컴퓨터-판독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액세스 단말에 복수의 라우트들을 제공하기 위한 코드;
    제 1 통신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라우트들 중 제 1 라우트를 할당하기 위한 코드;
    제 2 통신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라우트들 중 제 2 라우트를 할당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 중 어느 것이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할당되는지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과 각각 관련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라우트들을 유지하기 위한 코드; 및
    제 3 통신 엔티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라우트들 중 제 3 라우트를 할당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라우트는,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의 개시 시에, 상기 제 3 라우트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들이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해 터널링되는 라우트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제 2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 엔티티와의 통신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를 개시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1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의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1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 3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통한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의 상기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 중 제 2 부분 IP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를 순방향 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선택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2 통신 엔티티를 역방향 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선택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 전에,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 대신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상기 순방향 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선택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가 순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 또는 역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인지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엔티티들과 관련되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라우트들을 유지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액세스 단말과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 간의 제 1 통신 세션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제 1 라우트에 포함시키고, 그리고 상기 액세스 단말과 제 2 통신 엔티티 간의 제 2 통신 세션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제 2 라우트에 포함시키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를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초기에 선택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이후에 선택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제 1 통신 엔티티는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잘못 할당됨 ?; 및
    상기 제 1 및 제 3 통신 엔티티들 중 하나에 의해 초기에 야기되는 교정 동작(remedial action)들로부터 상기 제 3 통신 엔티티를 상기 서빙 통신 엔티티로서 재선택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39. 물리적으로 수록되는 컴퓨터-판독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단말에 대한 순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 및 역방향-링크 서빙 통신 엔티티 모두로서 서빙하기 위한 코드;
    상기 순방향-링크 및 역방향-링크 통신 엔티티들 중 하나의 다른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에 대해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로부터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상기 순방향-링크 및 역방향-링크 통신 엔티티들 중 나머지로서 상기 액세스 단말을 계속하여 서빙하기 위한 코드;
    상기 액세스 단말과 인터넷 프로토콜(IP) 데이터 패킷들을 처리하기 위한 라우트를 유지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라우트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를 통해 IP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액세스 단말로 터널링시키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상기 순방향-링크 통신 엔티티의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로의 핸드오프에 대한 요청이며,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완전한 IP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로 전송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널링은, 상기 라우트를 이용하여, 부분 IP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다른 통신 엔티티를 통해 상기 액세스 단말로 터널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097024494A 2007-04-25 2008-04-25 순방향-링크 및 역방향-링크 서빙 액세스 포인트들의 변경 KR101160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1391107P 2007-04-25 2007-04-25
US60/913,911 2007-04-25
US94343407P 2007-06-12 2007-06-12
US60/943,434 2007-06-12
US12/109,043 US8768357B2 (en) 2007-04-25 2008-04-24 Changes of forward-link and reverse-link serving access points
US12/109,043 2008-04-24
PCT/US2008/061624 WO2008134546A2 (en) 2007-04-25 2008-04-25 Changes of forward-link and reverse-link serving access poi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362A KR20100003362A (ko) 2010-01-08
KR101160653B1 true KR101160653B1 (ko) 2012-06-28

Family

ID=3988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494A KR101160653B1 (ko) 2007-04-25 2008-04-25 순방향-링크 및 역방향-링크 서빙 액세스 포인트들의 변경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8768357B2 (ko)
EP (1) EP2149277A2 (ko)
JP (3) JP2010525762A (ko)
KR (1) KR101160653B1 (ko)
CN (2) CN101682928A (ko)
AU (1) AU2008245586B2 (ko)
BR (1) BRPI0810546A2 (ko)
CA (1) CA2683138A1 (ko)
IL (1) IL201412A0 (ko)
MX (1) MX2009011377A (ko)
MY (3) MY167343A (ko)
RU (1) RU2466513C2 (ko)
TW (1) TW200910992A (ko)
WO (1) WO200813454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4159A1 (ja) * 2008-12-25 2010-07-01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中継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9807620B2 (en) 2010-07-19 2017-10-31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heterogenous networks
WO2012149661A1 (en) * 2011-04-30 2012-11-08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CN112970289A (zh) * 2018-11-01 2021-06-15 苹果公司 沿已知路线的条件切换和小区重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4454A1 (en) 2004-05-13 2005-11-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Independent mode selection for forward and reverse link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260B2 (ja) 1987-12-29 1996-10-09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法
FI101763B1 (fi) 1995-12-01 1998-08-14 Nokia Mobile Phones Ltd Siirrettävän tiedon koostumuksen säilyttäminen tukiaseman vaihdon yhteydessä
US6055427A (en) 1996-07-18 2000-04-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Hard handoff and a radio system
JP3019061B2 (ja) 1997-06-27 2000-03-13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無線回線制御方法
US6353602B1 (en) * 1998-08-07 2002-03-05 Lucent Technologies Inc. CDMA base station assisted soft handoff
JP3046295B1 (ja) 1999-03-17 2000-05-29 株式会社ワイ・アール・ピー移動通信基盤技術研究所 Cdma移動通信システム
JP4231593B2 (ja) * 1999-07-21 2009-03-04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US20040125795A1 (en) * 2000-02-18 2004-07-01 Corson Mathew S Telecommunications routing
JP2001339752A (ja) 2000-05-30 2001-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外部エージェントおよびスムーズハンドオフ方法
JP4053227B2 (ja) 2000-10-18 2008-02-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ハンドオフ方法およびエージェント装置
US7079511B2 (en) 2000-12-06 2006-07-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of a wireless packet data services connection
SE0100475D0 (sv) 2001-02-09 2001-02-09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system of retransmission
FI113140B (fi) 2001-05-25 2004-02-27 Nokia Corp Kanavanvaihto solukkojärjestelmässä
US20030081582A1 (en) * 2001-10-25 2003-05-01 Nikhil Jain Aggregati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for high data rate transfers
US7340253B2 (en) * 2002-06-10 2008-03-04 Lucent Technologies Inc. IP-based distributed wireless access network architecture for CDMA networks
CN100562189C (zh) 2002-09-24 2009-11-18 富士通株式会社 数据包传输/发送方法及移动通信系统
JP2005012718A (ja) 2003-06-23 2005-01-13 Hitachi Ltd 移動体ip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7542476B2 (en) * 2003-08-29 2009-06-02 Flash Networks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ipulating IP packets in virtual private networks
JP2005217626A (ja) 2004-01-28 2005-08-11 Kddi Corp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を介するパケットデータ交換ノード、端末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WO2005081428A1 (ja) 2004-02-25 2008-02-2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方法
RU2337487C2 (ru) 2004-05-07 2008-10-27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быстрой эстафетной передачи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широкополосным беспроводным доступом
CN1947377A (zh) 2004-05-13 2007-04-11 美商内数位科技公司 前向及逆向链接的独立模式选择
US7643451B2 (en) * 2004-10-15 2010-01-0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a mobile unit data path between access points
KR100582731B1 (ko) 2005-03-03 2006-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IPv6 망에서 이동 호스트를 이용한 트래픽 교환방법
US7983674B2 (en) 2005-06-16 2011-07-19 Qualcomm Incorporated Serving base station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10015A1 (en) * 2005-10-19 2007-05-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 diversity for radio communications
MX2008011392A (es) * 2006-03-09 2008-11-18 Interdigital Tech Corp Metodo y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a para realizar transferencia entre dos tecnologias de acceso de radio.
JP2007329606A (ja) * 2006-06-07 2007-12-20 Hitachi Ltd 中継装置
CN101697617B (zh) 2006-09-06 2014-11-05 夏普株式会社 通信系统、移动终端、通信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4454A1 (en) 2004-05-13 2005-11-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Independent mode selection for forward and reverse li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9143538A (ru) 2011-05-27
TW200910992A (en) 2009-03-01
MY167342A (en) 2018-08-16
MY167343A (en) 2018-08-16
EP2149277A2 (en) 2010-02-03
JP6092179B2 (ja) 2017-03-08
US20140307712A1 (en) 2014-10-16
IL201412A0 (en) 2010-05-31
BRPI0810546A2 (pt) 2014-10-21
JP2012199958A (ja) 2012-10-18
AU2008245586A1 (en) 2008-11-06
CA2683138A1 (en) 2008-11-06
JP2015092678A (ja) 2015-05-14
RU2466513C2 (ru) 2012-11-10
MY151886A (en) 2014-07-14
JP5710549B2 (ja) 2015-04-30
MX2009011377A (es) 2009-11-09
US20080268851A1 (en) 2008-10-30
AU2008245586B2 (en) 2011-11-17
CN101682928A (zh) 2010-03-24
WO2008134546A3 (en) 2009-02-19
KR20100003362A (ko) 2010-01-08
US8768357B2 (en) 2014-07-01
CN101951647B (zh) 2016-03-23
JP2010525762A (ja) 2010-07-22
WO2008134546A2 (en) 2008-11-06
CN101951647A (zh) 201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5811B1 (en) Pseudo wires for mobility management
Amir et al. Fast handoff for seamless wireless mesh networks
JP5096490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用い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794261B2 (ja) RadioLinkProtocol用のアクティブ・セッション・モビリティ・ソリューション
US8200223B2 (en) Base station and data transfer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when a mobile station performs a handover
US20020141360A1 (en) Soft handoff in IP-based CDMA networks by IP encapsulation
JPWO2005081428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方法
JP5362699B2 (ja) データアタッチメントポイントのハンドオフ
JP6092179B2 (ja) 順方向リンク及び逆方向リンクのサービングアクセスポイントの変更
JP2008078935A (ja)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通信方法
Choi et al. A network-based seamless handover scheme for VANETs
JP6383659B2 (ja) PMIPv6MAGの復旧
KR100639419B1 (ko) 이동 아이피 망에서 신뢰성 있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지원하는 빠른 핸드오버 방법
Rasem O-PMIPv6: Optimized Proxy Mobile IPv6
Dimopoulou et al. Analysis and evaluation of layer 2 assisted fast mobile IPv6 handovers in a WLAN environment
Alnas et al. A survey of handoff performance in mobile IP
Idserda Simultaneous binding proxy mobile IPv6
Honda et al. SmSCTP: A fast transport layer handover method using single wireless interface
RU2446628C2 (ru) Передача обслуживания точки присоединения данных
NISHIMURA et al. Optimal-routed soft handover in IP-based mobile networks
WO2014194747A1 (zh) 一种路由优化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