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675B1 - Bridge deck for girder using acs-beam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ridge deck for girder using acs-beam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675B1
KR101159675B1 KR1020090095492A KR20090095492A KR101159675B1 KR 101159675 B1 KR101159675 B1 KR 101159675B1 KR 1020090095492 A KR1020090095492 A KR 1020090095492A KR 20090095492 A KR20090095492 A KR 20090095492A KR 101159675 B1 KR101159675 B1 KR 101159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ridge
reinforcement
gir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8270A (en
Inventor
안형준
Original Assignee
안형준
주식회사 일승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형준, 주식회사 일승에스티 filed Critical 안형준
Priority to KR102009009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675B1/en
Publication of KR2011003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2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6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을 구성하는 교량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거더의 상부에는 콘크리트 충진구간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충진하고, 거더의 하부에는 인장구간을 형성하여 인장하므로서, 교량상판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여 교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거더의 상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는 구조검토에 따라 거더의 반단면 중 휨모멘트가 최대로 발생하는 구역을 정하여 그 구간에만 콘크리트를 충진함에 따라 충진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교량상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rder for bridge deck using an A-S beam, and to fill the concrete by forming a concrete filling sec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for supporting the bridge deck constituting the bridge, by forming a tension section in the lower part of the girder By tensioning,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upport the load applied from the bridge deck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bridge.In the concrete filled on the top of the girder, the area where the bending moment occurs in the half section of the girder is determined by As the concrete is filled only in the section, it aims to stably support the bridge deck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concrete filled.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하부에 다수개의 안착부가 장착되어 교각의 상부에 장착되는 교좌장치에 결합되는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주연과 외주연에 다수개의 인발 이음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측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충진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무수축콘크리트가 채움되며, 저면이 막힌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과,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내주연의 둘레를 따라서는 내부에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긴장용 와이어가 구비된 와이어 장착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내부 인장보강부와,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을 구성하는 안착부와 안착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외부 인장보강부와,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며,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지지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중앙 보강부와, 상기 결합된 상,하부 보강부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측면마감판으로 이루어지며,Bridge beam girder using the AC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reinforcement of the beam is coupled to the seating devic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with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semi-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emi-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and a plurality of drawn joint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ces, and a plurality of fillings are communicated with the inner space on the upper side. Hol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so that the inner space is filled with non-contraction concrete, and the bottom is joi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ement AC beam and the lower reinforcement AC beam formed in a clogged shape, Therefore, the internal tension reinforcement portion having a wire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a tension wire for supporting the girder therein at equal intervals, and the lower An external tension reinforcing part coupled between the seating part and the seating part constituting the auxiliary reinforcing AC beam, supporting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and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It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to support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the central reinforcement portion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t equal intervals, and is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combined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portion Consists of side finish plate to seal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of the AC beam,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은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과 대응되는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은 단면이 아치형상 형상으로 형성되고,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has a cross section having a “U” shape, and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corresponding to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has a cross section having an arcuate shape,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은 상부 일측에 다수개의 결합홀이 구비되는 하부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은 하부 일측에 다수개의 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연결부와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보강부의 하부 양측에는 다수개의 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연결부와 결합되는 중앙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has a lower connection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on one side of the upper reinforcement, and the upper reinforcement AC beam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on the lower one side and coupled to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central reinforcemen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교량, 거더, 모멘트, 콘크리트 충진 Bridge, girder, moment, concrete filling

Description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BRIDGE DECK FOR GIRDER USING ACS-BEAM AND METHOD THEREOF}Bridge deck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AC beam {BRIDGE DECK FOR GIRDER USING ACS-BEA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에이씨에스시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을 구성하는 교량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거더의 상부에는 콘크리트 충진구간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충진하고, 거더의 하부에는 인장구간을 형성하여 인장하므로서, 교량상판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여 교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거더의 상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는 구조검토에 따라 거더의 반단면 중 휨모멘트가 최대로 발생하는 구역을 정하여 그 구간에만 콘크리트를 충진함에 따라 충진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교량상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deck girder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ing an AC beam, in particular, to form a concrete filling section on the top of the girder for supporting the bridge deck constituting the bridge to fill the concrete, By forming a tension section at the bottom and tensioning, it can efficiently support the load applied from the bridge deck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bridge.In the case of concrete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the bending moment of the half section of the girder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deck gir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C beam that can stably support the bridge deck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concrete to be filled by determining the maximum occurrence area and filling concrete only in the section.

일반적으로 교량은 보행자나 차량이 하천 또는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고가구조물로서,지지할 시설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공법에 의하여 건설된다.In general, bridges are expensive structures that allow pedestrians or vehicles to cross over rivers or other traffic routes or structures, and are constructed by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depending on the type and purpose of the facilities to be supported.

그리고, 교량에 있어서 거더의 역할은 상부에서 작용하는 고정하중 및 차량하중 등의 작용하중을 거더를 통하여 교량의 교각 또는 교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교량 요소이다.In addition, the role of the girder in the bridge is an important bridge element that serves to transfer the working load such as the fixed load and the vehicle load acting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through the girder or alternately.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의 교량용 원형거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거더를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에 장착된 교좌장치에 설치한 다음 원형거더의 상부에 거푸집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고, 거푸집을 탈형하여 교량을 건설한다.1 shows a conventional circular girder for bridges, in which a circular girder having the same outer diameter as a whole is installed in a bridge device mounted on a bridge constituting a bridge, and then a concrete is formed by forming a formwork on the top of the circular girder. Curing, demolding formwork to build bridges.

그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원형거더는 아래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재의 항복강도를 325N/㎟로 하고, 상부 강재단면적을 17010㎟로 하며, 도심까지의 거리를 287mm으로 하여 항복모멘트의 값을 산출하였을 때 3173KN ㆍm의 매우 약한 항복모멘트 값이 산출된다.However, the circular girder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shows that the yield moment of the steel is 325 N / mm2, the upper steel cross section is 17010 mm2, and the distance to the city center is 287 mm. When the value is calculated, a very weak yield moment value of 3173 KN · m is calculated.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항복모멘트 값을 갖는 종래의 원형거더는 교량상판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교각으로 분산하여 전달할 수 없어 교량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없으며, 정, 부 휨모멘트가 크게 작용하는 부분에서 처짐이 심하여 밑으로 주저앉거나 위로 튀어 오르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circular girder having the yield moment value as described above cannot distribute and transfer the load applied from the bridge deck to the bridge,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bridge cannot be secured, and the deflection in the part where the positive and negative bending moments are largely affected. This is a serious problem of sitting down or bouncing up.

Figure 112009061604639-pat00001
Figure 112009061604639-pat0000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을 구성하는 교량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거더의 상부에는 콘크리트 충진구간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충진하고, 거더의 하부에는 인장구간을 형성하여 인장하므로서, 교량상판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여 교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거더의 상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는 구조검토에 따라 거더의 반단면 중 휨모멘트가 최대로 발생하는 구역을 정하여 그 구간에만 콘크리트를 충진함에 따라 충진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교량상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upper portion of the girder for supporting the bridge deck constituting the bridge to form a concrete filling section to fill the concrete, the lower section of the girder to form a tension sec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bridge by efficiently supporting the load applied from the bridge deck, and the concrete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i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bending moment occurs in the half section of the girder at the maximu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deck gir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C beam that can stably support the bridge deck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concrete to be filled by filling concrete only in the section.

상기한 목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하부에 다수개의 안착부가 장착되어 교각의 상부에 장착되는 교좌장치에 결합되는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과,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주연과 외주연에 다수개의 인발 이음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측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충진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무수축콘크리트가 채움되며, 저면이 막힌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과,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내주연의 둘레를 따라서는 내부에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긴장용 와이어가 구비된 와이어 장착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내부 인장보강부와,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을 구성하는 안착부와 안착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외부 인장보강부와,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며,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지지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중앙 보강부와, 상기 결합된 상,하부 보강부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측면마감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은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과 대응되는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은 단면이 아치형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은 상부 일측에 다수개의 결합홀이 구비되는 하부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은 하부 일측에 다수개의 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연결부와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보강부의 하부 양측에는 다수개의 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연결부와 결합되는 중앙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is a lower cylindrical reinforcing AC beam coupled to the seating devic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with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 is mounted on the bottom in a semi-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emi-cylindrical shape having a length of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a plurality of drawn joint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and outer periphery, a plurality of filling holes communicated with the inner space on the upper side It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filled with non-concrete concrete in the inner space, and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einforcement AC beam and the lower reinforcement AC beam, the bottom surface of which is formed in a closed shape, a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ce An internal tension reinforcing part having a wire mounting part having a tension wire for supporting a girder therein at equal intervals, and the lower reinforcement part An external tension reinforcing part coupled between a seating part and a seating part constituting an BC beam to support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and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I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C beam to support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the central reinforcement portion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with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t equal intervals, and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combined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the upper and lower Consists of a side finish plate sealing the inner space of the reinforcement AC beam,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has a cross section having a “U” shape, and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corresponding to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has a cross section having an arcuate shape,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has a lower connection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on one side of the upper reinforcement, and the upper reinforcement AC beam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on the lower one side and coupled to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central reinforcemen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수단은, 지반을 개착하여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공간에 다수개의 교각을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교각의 상단에 교좌장치를 결합하는 제 1단계와, 상기 교좌장치의 상단에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을 설치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외측면에 외부 인장보강부를 결합하는 하는 제 3단계와,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내측면에 내부 인장보강부를 결합하고, 상기 내부 인장보강부의 와이어 장착부에 긴장용 와이어를 설치하는 제 4단계와,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상단에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을 결합하는 제 5단계와,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상부 연결부에 중앙 보강부를 결합하는 제 6단계와,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에 무수축콘크리트를 채움하는 제 7단계와,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교량상판을 형성하고, 상기 교량상판의 상부에 아스콘을 포설하여 바닥판을 포장하는 제 8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4단계에서는 상기 긴장용 와이어에 조임부재를 체결하여 긴장용 와이어를 긴장하고,
상기 결합된 상,하부 보강부의 양측면에는 측면마감판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ground to form the installation space, the plurality of piers are installed in the formed space at equal intervals and the coupling device to the top of the piers A first step, and a second step of installing a lower reinforcing AC beam on the upper end of the teaching device, and a third step of coupling an external tensile reinforcing part to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and the lower reinforcement. A fourth step of coupling the internal tension reinforcem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C beam, and installing the tension wire in the wire mounting portion of the internal tension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upper reinforcement AC beam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reinforcement AC beam A fifth step of coupling a, a sixth step of coupling a central reinforcement to an upper connection part of the upper reinforcement AC beam, and the upper reinforcement AC The seventh step of filling the non-concrete concrete in the beam, and to form a bridge top plate by placing / curing concrete on top of the upper reinforcement AC beam, paving the bottom plate by laying ascon on the top of the bridge top plate There are eight stages,
In the fourth step, by tightening the fastening member to the tension wire to tension the tension wire,
Both side surfaces of the combined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portion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finish plate is further coupled.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은 거더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에는 콘크리트 충진구간을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충진하고, 거더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에는 인장구간을 형성하여 인장하므로서, 교량상판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교각에 전달함에 따라 교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거더 의 상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는 구조검토에 따라 거더의 반단면 중 휨모멘트가 최대로 발생하는 구역을 정하여 그 구간에만 콘크리트를 충진함에 따라 충진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교량상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ridge deck girder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ing the AC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concrete filling section in the upper beam reinforcement of the upper beam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to fill the concrete, the lower reinforcement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girder As the tension is formed by tensioning sections of the AC beam, the load applied from the bridge deck can be efficiently distributed and transferred to the bridge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bridge.Concrete fi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is subject to structural review. Since the section of the girder has the largest bending moment in the section and the concrete is filled only in the sec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bridge deck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concrete fill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에 적용된 중앙 보강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실시예이며,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시공순서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정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irder for the bridge deck using the AC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girder for the bridge deck using the AC be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idge deck girders using the beam,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ntral reinforcement applied to the bridge deck girders using the AC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ridge deck using the Ac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girder, Figure 7 is an embodiment of a bridge deck girders using the AC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to 12 is a girder construction sequence diagram for the bridge deck using the Ac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girder for bridge deck using the AC be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 내지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1)는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ACS-BEAM)(10)과, 상 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ACS-BEAM)(20)과, 내부 인장보강부(30)와, 외부 인장보강부(40)와, 중앙 보강부(50)와, 측면마감판(6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o FIG. 13, the bridge deck girders 1 using the AC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 ACS-BEAM 10 for lower reinforcement and an AC for upper reinforcement. An S-beam (ACS-BEAM) 20, an internal tension reinforcement part 30, an external tension reinforcement part 40, a central reinforcement part 50, and a side finish plate 60 ar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를 설명하기에 앞서 , 상기 에이씨에스 빔(ACS-BEAM : Axial Concrete Steel-Beam)은 반원통형상과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스틸재질의 상,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10)을 결합한 다음,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형성되는 굴대로서, 즉 본 발명에 따른 거더(1)를 의미한다.Prior to explaining the bridge deck girders using the AC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 beam (ACS-BEAM: Axial Concrete Steel-Beam) is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of the steel material consisting of a semi-cylindrical shape and an arch shape After combining the AC beams (20, 10), as a mandrel formed by pouring concrete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upper reinforcement of the AC beam 20, that is, means a gir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내측에는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과의 결합을 위한 하부 연결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12)에는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과 볼팅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결합홀(13)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lower connection part 12 for coupling with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is formed inside the upper part.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3 are formed in the lower connection part 12 at equal intervals so as to be bolted to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또한,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은 저면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착부(11)가 형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교각(3)의 상부에 설치된 교좌장치(5)에 용접 또는 볼팅결합된다. 상기 안착부(11)는 저면이 상기 교좌장치(5)의 상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수평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is welded or bolted to the seating device (5)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ier (3) spaced at regular intervals by forming a seating portion (11)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 the bottom do. The seating portion 11 is preferably formed with a horizontal surface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device (5).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하부 연결 부(12)에 안착되는 상부 연결부(25)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에 경첩(6)을 통해 결합된다.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upper connection part 25 seated at a lower connection part 12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on one lower side thereof. )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via a hinge (6).

그리고 상기 상부 연결부(25)에는 상기 하부 연결부(12)의 결합홀(13)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26)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 빔의 하부 연결부(12)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hole 26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13 of the lower connection part 12 in the upper connection part 25,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12 of the beam to the upper reinforcement AC through bolts and nuts. It can be easily coupled to.

또한,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은 내주연과 외주연에 다수개의 다수개의 인발 이음부(2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측에는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충진홀(22)이 형성되며, 상기 충진홀(22)을 통해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내부공간에는 무수축 콘크리트(23)가 채움된다. 또한,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에 충진된 무수축 콘크리트(23)가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저면은 막힌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has a plurality of drawing joints 21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plurality of filling holes 22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n the upper side. Is formed, and the non-condensed concrete 23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through the filling hole (22).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non-concrete concrete 23 filled in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from flowing to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lockage.

상기에서 무수축 콘크리트(23)는 교량상판(4)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거더(1)가 휘어지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교량(2)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인발 이음부(21)는 중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외면에 형성된 인발 이음부(21)는 교량상판(4)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다방향을 분산하고,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내면에 형성된 인발 이음부(21)는 무수축 콘크리트(23)와 함께 양생됨에 따라 무수축 콘크리트(23)를 매개로 연결되어 거더(1)가 교량상판(4)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강성을 갖는데 일조한다.In the above-mentioned non-contraction concrete 23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bridge (2) by preventing the gir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nding or sagging by the load applied from the bridge top plate (4), The drawing joint 2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the drawing joint 21 distributes the load applied from the bridge top plate 4 in a multi-direction, the upper beam reinforcing AC beam As the drawn joint 2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20 is cured together with the non-condensed concrete 23, it is connected through the non-condensed concrete 23 so that the girder 1 is applied from the bridge deck 4. It helps to have rigidity for.

상기에서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충진홀(22)에는 내부공간에 채움된 무수축 콘트리트(23)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마개(미도시)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plug (not shown) is coupled to the filling hole 22 of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to prevent the non-contraction concrete 23 filled in the internal space from leaking out.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내부공간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한쌍의 구획벽(24)이 더 용접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구획벽(24)의 사이에는 무수축 콘크리트(23)가 더 채움된다.In addition, Figure 6 i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a pair of partition walls 24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is welded further Combined to partition the interior space, the non-contraction concrete 23 is further fill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24).

상기 구획벽(24)은 교량(2)의 특성과, 조건 등에 따라서 당업자의 구조검토에 따라 거더(1)의 반단면 중 휨모멘트가 최대한 발생하는 구역을 정하여 그 구간에만 무수축 콘크리트(23)를 충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에 채움되는 무수축 콘크리트(23)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교량상판(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idge 2, conditions, and the like, the partition wall 24 defines an area in which the bending moment occurs as much as possible in the half section of the girder 1 according to structural review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order to fill the,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bridge deck 4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non-concrete concrete 23 filled in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상기에서 구획벽(24)은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을 지지하는 역할을 겸하게 되어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이 휨/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e above, the partition wall 24 serves not only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but also serves to support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thereby supporting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Prevent the 20 from bending / deforming.

상기 내부 인장보강부(30)는 양측 및 상면이 개방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내주면에 용접결합되고, 내주연의 둘 레를 따라서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개방되는 와이어 장착부(3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장착부(31)에는 긴장용 와이어(32)가 더 설치되고 상기 긴장용 와이어(32)는 너트 등의 조임부(미도시)로 조여져 긴장된다.The internal tension reinforcing portion 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 shape, both sides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 is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is the lower reinforcing AC Weld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m 10, the inner space is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wire and the wire mounting portion 31 which is open so that both sides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wire mounting portion ( 31, the tension wire 32 is further installed, and the tension wire 32 is tightened and tightened by a tightening part (not shown) such as a nut.

예컨대, 상기 긴장용 와이어(32)의 양측,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 장착부(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나선을 형성하고 상기 나선에는 너트 등의 조임부로 조임에 따라 상기 긴장용 와이어(32)를 긴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너트 등의 조임부를 통해 긴장력을 부여받은 긴장용 와이어(3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1)가 휨, 변형,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2)이 지속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both sides of the tension wire 32,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 form a helix on the par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wire mounting portion 31 and the tension wire by tightening with a tightening part such as a nut in the helix The tension wire 32 may be tensioned, and the tension wire 32 applied with the tightening part such as a nut as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gir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nding, deformation, and flow. 2) to achieve a consistently stable state.

상기 외부 인장보강부(4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양측 및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외주면에 용접결합되어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The external tensile reinforcing portion 40 has an inner space is formed, both sides and the top is open, and is weld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to stably secure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I support it.

상기 중앙 보강부(50)는 양측 및 하면이 개방된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양측에는 중앙 연결부(52)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 연결부(52)에는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을 구성하는 상부 연결부(25)의 결합홀(26)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53)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상부 연결부(25)에 결합되어 교량상판(4)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 및 분산하여 교각(3) 및 본 발명의 거더(1)로 전달되는 하중을 최소화시킨다.The central reinforcement part 50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in which both sides and a lower surface thereof are opened, and a central connection part 52 is formed at both lower sides thereof, and the central connection part 52 constitutes an upper reinforcement AC beam 20. A coupling hole 53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26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25 to be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25 of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through a bolt and nut. Absorbs and distributes the load applied on the upper plate 4 to minimize the load transmitted to the pier 3 and the gird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중앙 보강부(50)의 내부공간에는 복수개의 지지부(5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교량상판(4)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51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inner space of the central reinforcement part 50 so as to distribute and support the load applied from the bridge top plate 4.

상기 측면마감판(60)은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한쌍을 이루어 상기 결합된 상,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20)의 양측면에 용접결합되어, 상,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2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고, 무수축 콘크리트(23)가 채움되지 않은 부분을 지지한다.The side finish plate 6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ombined upper and lower reinforcing AC beams 10 and 20 in pairs, and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AC beams 10 and The inner space of 20) is sealed, and the portion where the non-contraction concrete 23 is not filled is supported.

또한, 아래의 표 2 및 도 1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1)와 종래 거더의 차이점을 나타내었다.In addition, Table 2 below and Figure 13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irder 1 and the conventional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2009061604639-pat00002
Figure 112009061604639-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1)는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항복강도를 325N/㎟로 하고,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에 채움되는 무수축 콘크리트(23)의 강도를 28N/㎟로 하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단면적을 17010㎟로 하고,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에 채움되는 무수축 콘크리트(23)의 단면적을 311337㎟로 하며, 도심까지의 거리를 e1=189mm, e1+e2=476mm으로 하고,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압축력을 5528250N으로 하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에 채움되는 무수축 콘크리트(23)의 압축력을 6298348N으로 하고,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과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합성단면 압축력을 11826598N으로 하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인장력을 11826598N로 하고,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외부 인장보강부(40)의 단면적을 19380㎟로 하며, 상기 외부 인장보강부(40)의 두께를 13mm로 하여 항복모멘트의 값을 산출하였을 때 일반거더의 항복모멘트인 3173KN ㆍm 보다 약 2배높은 6171KN ㆍm이 산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거더(1)는 종래의 거더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면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교량상판(4)을 지지할 수 있어 교량(2)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하기 적합한 교량(2)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the bridge deck girders 1 using the AC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yield strength of the lower beam reinforcement beams (10) to 325 N / ㎜, the upper beam reinforcement The strength of the non-condensed concrete 23 filled in (20) is 28 N / mm 2,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reinforcement AC beam 20 is 17010 mm 2, and is filled in the upper reinforcement AC beam 20.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n-condensed concrete 23 to be 311337 mm2, the distance to the city center e1 = 189mm, e1 + e2 = 476mm,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upper beam of the AC beam 20 is 5528250N, the upper reinforcement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non-condensed concrete 23 filled in the AC beam 20 is 6298348N, and the composite cross-sectional compressive force of the lower beam AC beam 10 and the upper beam AC beam 20 is 11826598N. , Tensile strength of the lower beam reinforcement (CS) 10 to 11826598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ternal tensile reinforcing portion 40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is set to 19380 mm2, and the yield moment value is set to 13 mm. It can be seen that 6171KN ㆍ m, which is about 2 times higher than 3173KN ㆍ m, which is the yield moment of the general girder, is calculated. As a result, the gir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s that of the conventional girder, and can more stably support the bridge top plate 4, thereby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bridge 2, and thus a bridge suitable for use. (2) may be provid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실시예로서, 거더(1')를 이루는 상,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20')의 단면을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내부공간에는 무수축 콘크리트(23')를 타설하고,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내측에는 긴장용 와이어(32)가 장착된 와이어 장착부(31)를 구비하는 내부 인장보강부(30)를 결합하고,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의 외측에는 외부 인장보강부(40')를 용접결합 하여도 안정적으로 교량상판(4)을 지지할 수 있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beams 10 'and 20' forming the girder 1 'as an embodiment of the bridge deck girders using the Ac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med in a shape of a non-condensed concrete (23 ')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upper reinforcement AC beam (20'), the tension wire 32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reinforcement (AC beam) 10 ' The internal tension reinforcement portion 30 having the wire mounting portion 31 mounted therein is coupled, and the outer top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is welded to the outer tension reinforcement portion 40 'stably even when the bridge top plate 4 Can suppor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시공방법을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bridge deck girders using an AC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먼저, 지반을 개착하여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설치공간에 다수개의 교각(3)을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교각(3) 상단에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교좌장치(5)를 설치한다.First, the ground is formed to form an installation space, the plurality of piers (3) ar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in the formed installation space, and the bridge device (5) using an anchor bolt on the top of each of the piers (3) Install.

그리고,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외측면에 외부 인장보강부(40)를 결합하여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이 교좌장치(5)에 설치되었을 때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And, by combining the external tension reinforcing portion 4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can be stably supported when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is installed in the teaching device (5). Make sure

이후, 교좌장치(5)의 상단에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안착부(11)를 안착시켜 용접 또는 볼팅결합 한 다음 교좌장치(5)의 외주면에 거푸집을 형성하고 몰탈로 그라우팅하여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과 교좌장치(5)를 일체화시켜 고정한다.Subsequently, the seating portion 11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ting device 5, welded or bolted to form a mol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device 5, and grouted with mortar.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and the chair device 5 are integrally fixed.

이후에,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내측면에 내부 인장보강부(30)를 결합하고, 상기 내부 인장보강부(30)의 와이어 장착부(31)에 긴장용 와이어(32)를 설치하고, 상기 긴장용 와이어(32)를 긴장한다.Subsequently, the inner tension reinforcing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and the tension wire 32 is attached to the wire mounting portion 31 of the inner tensile reinforcing portion 30. It installs and tensions the said tension wire 32.

상기 긴장용 와이어(32)에 긴장력을 가하기 위한 하나의 일예로서, 상기 긴장용 와이어(32)의 양측,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 장착부(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나선을 형성하고 상기 나선에는 너트 등의 조임부재로 조임에 따라 상기 긴장용 와이어(32)를 긴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너트 등의 조임부재를 통해 긴장력을 부여받은 긴장용 와이어(3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1)가 휨, 변형,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2)이 지속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As one example for applying a tension force to the tension wire 32, both sides of the tension wire 32, in more detail to form a spiral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wire mounting portion 31 and In the spiral, the tension wire 32 may be tensioned by tightening with a tightening member such as a nut, and the tension wire 32 applied with a tension force through the tightening member such as a nut may be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1) from bending, deformation, and flow so that bridge (2) can maintain steady state.

이후,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상단에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을 안착한 다음 경첩(6)을 통해 상,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20)의 일측을 결합한다.Subsequently,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and then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AC beams 10 and 20 through the hinge 6. do.

계속해서, 상기 결합된 상,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20)의 양측면에 측면마감판(60)을 용접결합하여, 상,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2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고, 무수축 콘크리트(23)가 채움되지 않은 부분을 지지토록 한다.Subsequently, the side finish plates 60 are welded to both sides of the combined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AC beams 10 and 20, thereby forming an inner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AC beams 10 and 20. It seals and makes the non-condensed concrete 23 support the part which is not filled.

그리고,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상부 연결부(25)에 중앙 보강부(50)를 안착한 다음, 상기 상,하부 연결부(12)의 결합홀(13,26) 및 중앙 보강부(50)의 결합홀(53)에 볼트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너트를 통해 고정하여 교량상판(4)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흡수 및 분산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enter reinforcement part 50 is seated on the upper connection part 25 of the upper reinforcement AC beam 20, and then the coupling holes 13 and 26 and the central reinforcement part 50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parts 12. The bolts ar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coupling holes 53 of the c) to be fixed through the nuts so as to absorb and distribute the load applied from the bridge top plate 4.

이후에,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내부공간에 무수축콘크리트를 채움한다. 이때 당업자의 구조검토에 따라 교량(2)의 특성과, 조건 등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거더(1)의 반단면 중 휨모멘트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부분에만 무수축 콘크리트(23)를 채움하기 위하여 구획벽(24)의 간격을 조절하여 용접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after, the non-concrete concrete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structural review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conditions, etc. of the bridge (2) partitions to fill the non-contraction concrete 23 only in the portion where the bending moment is most generated among the half-section of the gir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weld by adjusting the distance of the wall 24.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거더(1) 및 중앙 보강부(50)의 상부에 교량상판(4)의 형태에 맞춰 거푸집(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거푸집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리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생되면 거푸집을 탈형하여 교량상판(4)을 형성한 다음, 교량상판(4)의 상부에 아스콘을 포설하여 교량상판(4)을 포장하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1)의 시공을 완료한다.Finally, formwork (not shown)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bridge top plate 4 on the girder 1 and the central reinforcemen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When the poured concrete is cured over a certain time, the formwork is demolded to form a bridge top plate 4, and then ascon is laid on the bridge top plate 4 to wrap the bridge top plate 4, thereby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deck girders (1) using the AC beam according to th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상판용 원형거더의 정단면도.1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circular girder for bridge de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결합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irder for the bridge deck using the AC be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girder for bridge deck using the AC be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irder for bridge deck using the AC be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에 적용된 중앙 보강부의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ntral reinforcement portion applied to the bridge deck girders using the AC be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측단면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girder for bridge deck using the Ac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실시예.7 is an embodiment of a bridge deck girders using the AC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시공순서도.8 to 12 is a girder construction sequence diagram for the bridge deck using the AC be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정단면도.Figure 1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girder for bridge deck using the AC be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 SIGN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 11 : 안착부10: lower beam reinforcing AC beam 11: seating portion

12 : 하부 연결부 13,26,53 : 결합홀12: lower connection portion 13, 26, 53: coupling hole

20 :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 21 : 인발 이음부20: Ace beam for upper reinforcement 21: drawing joint

22 : 충진홀 23 : 무수축 콘크리트22: filling hole 23: non-contraction concrete

24 : 구획벽 25 : 상부 연결부24: partition wall 25: upper connection

30 : 내부 인장보강부 31 : 와이어 장착부 30: internal tension reinforcement portion 31: wire mounting portion

32 : 긴장용 와이어 40 : 외부 인장보강부 32: tension wire 40: external tension reinforcement

50 : 중앙 보강부 51 : 지지부50: center reinforcement 51: support

52 : 중앙 연결부 60 : 측면마감판 52: center connection portion 60: side finish plate

Claims (7)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교각(3)에 설치되어 교량(2)의 상판을 지지하는 교량용 거더에 있어서,In the bridge girders installed on the bridge (3) spaced at regular intervals to support the top plate of the bridge (2),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하부에 다수개의 안착부(11)가 장착되어 교각(3)의 상부에 장착되는 교좌장치(5)에 결합되는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과;A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coupled to the seating device (5)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3) by mounting a plurality of seating portions (11) at the bottom in a semi-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주연과 외주연에 다수개의 인발 이음부(2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측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충진홀(2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에 무수축콘크리트가 채움되며, 저면이 막힌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과;A semi-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a plurality of drawn joints 21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and outer periphery, the inner space on the upper side A plurality of filling holes 22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so that non-concrete concrete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formed in a clogged bottom surface;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내주연의 둘레를 따라서는 내부에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긴장용 와이어(32)가 구비된 와이어 장착부(31)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내부 인장보강부(30)와;The wire mounting portion 31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and provided with tension wires 32 for supporting the girder therei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ce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Tensile reinforcing portion 30;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을 구성하는 안착부(11)와 안착부(11)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외부 인장보강부(40)와;It is coupl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11 and the seating portion 11 constituting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to support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 An outer tension reinforcing portion 40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0);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교량(2)의 상판을 지지하며, 내부공간에 복수개의 지지부(5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중앙 보강부(50)와;A central reinforcing part 50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to support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2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51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inner space; 상기 결합된 상,하부 보강부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2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측면마감판(60);으로 이루어지며,I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ombined upper, lower reinforcement portion side closing plate 60 for sealing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of the beams (10, 20);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은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과 대응되는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은 단면이 아치형상 형상으로 형성되고,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has a cross-section having a “U” shape, and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corresponding to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has an arcuate cross section. Formed into,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은 상부 일측에 다수개의 결합홀(13)이 구비되는 하부 연결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은 하부 일측에 다수개의 결합홀(26)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연결부(12)와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보강부(50)의 하부 양측에는 다수개의 결합홀(53)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연결부(25)와 결합되는 중앙 연결부(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has a lower connection portion 12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3 formed at one upper side thereof, and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has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at one lower side thereof. A hole 26 is provided and an upper connection portion 25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12.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53 are provided at both lower sides of the central reinforcement portion 50, and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 Girder for bridge deck using an AC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connection portion 52 is coupled to the 25 is form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내부공간에는 이 내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벽(2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Girder for the bridge deck using the BC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wall of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for partitioning the internal space. 삭제delete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시공방법으로서,A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deck girders using an AC bea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지반을 개착하여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공간에 다수개의 교각(3)을 등간격으로 설치하며 상기 교각(3)의 상단에 교좌장치(5)를 결합하는 제 1단계;A first step of adhering the ground to form an installation space, installing a plurality of bridges (3) at equal intervals in the formed space, and coupling the bridge device (5) to the top of the bridge (3);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외측면에 외부 인장보강부(40)를 결합하는 하는 제 2단계;A second step of coupling an external tensile reinforcing part 40 to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상기 교좌장치(5)의 상단에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을 설치하는 제 3단계;A third step of installing a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on an upper end of the teaching device 5;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내측면에 내부 인장보강부(30)를 결합하고, 상기 내부 인장보강부(30)의 와이어 장착부(31)에 긴장용 와이어(32)를 설치하는 제 4단계와;The inner tension reinforcing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reinforcement AC beam 10, and the tension wire 32 is installed on the wire mounting portion 31 of the inner tensile reinforcement portion 30 Step 4; 상기 하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10)의 상단에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을 결합하는 제 5단계와;A fifth step of coupling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reinforcing AC beam 10;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상부 연결부(25)에 중앙 보강부(50)를 결합하는 제 6단계와;A sixth step of coupling the central reinforcement part 50 to the upper connection part 25 of the upper reinforcement AC beam 20;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에 무수축콘크리트를 채움하는 제 7단계와;A seventh step of filling the non-concrete concrete in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상기 상부 보강용 에이씨에스 빔(2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교량상판(4)을 형성하고, 상기 교량상판(4)의 상부에 아스콘을 포설하여 바닥판을 포장하는 제 8단계;로 이루어지며,An eighth step of forming a bridge top plate 4 by placing / curing concret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reinforcing AC beam 20 and paving a bottom plate by installing ascon on the bridge top plate 4; It consists of 상기 제 4단계에서는 상기 긴장용 와이어(32)에 조임부재를 체결하여 긴장용 와이어(32)를 긴장하고,In the fourth step, by tightening the fastening member to the tension wire 32 to tension the tension wire 32, 상기 결합된 상,하부 보강부의 양측면에는 측면마감판(6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씨에스 빔을 이용한 교량상판용 거더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the bridge top plate girder using the AC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finish plate 60 is further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ombined upper, lower reinforc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95492A 2009-10-08 2009-10-08 Bridge deck for girder using acs-beam and method thereof KR1011596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492A KR101159675B1 (en) 2009-10-08 2009-10-08 Bridge deck for girder using acs-bea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492A KR101159675B1 (en) 2009-10-08 2009-10-08 Bridge deck for girder using acs-beam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270A KR20110038270A (en) 2011-04-14
KR101159675B1 true KR101159675B1 (en) 2012-06-26

Family

ID=44045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492A KR101159675B1 (en) 2009-10-08 2009-10-08 Bridge deck for girder using acs-beam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67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58B1 (en) * 2013-06-27 2014-08-13 오석환 Round type changing section steel girder, steel girder bridge with round type changing section and manufacuring method for the steel girder having round type changing section
KR20160099905A (en) 2015-02-13 2016-08-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slab and girder integrated bridge using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160101258A (en) 2015-02-16 2016-08-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slab integrated arch bridge using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and construc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973B1 (en) * 2020-10-23 2021-05-11 주식회사 알피에스스트럭처 Circular Steel Gir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029B1 (en) * 2006-12-07 2007-11-06 비비엠코리아(주) Steel tube beam with concrete filled
KR100864220B1 (en) * 2008-05-13 2008-10-17 한우물중공업(주) Steel pipe girder used b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029B1 (en) * 2006-12-07 2007-11-06 비비엠코리아(주) Steel tube beam with concrete filled
KR100864220B1 (en) * 2008-05-13 2008-10-17 한우물중공업(주) Steel pipe girder used brid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758B1 (en) * 2013-06-27 2014-08-13 오석환 Round type changing section steel girder, steel girder bridge with round type changing section and manufacuring method for the steel girder having round type changing section
KR20160099905A (en) 2015-02-13 2016-08-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slab and girder integrated bridge using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160101258A (en) 2015-02-16 2016-08-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slab integrated arch bridge using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and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270A (en)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811B1 (en) Non-synthetic complex steel pipe columm having tie ends for filling a steel soncre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3824751A (en) Precast concrete wall structure for waste treatment tanks
KR101007708B1 (en) Semi-hinge rahman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CN211446991U (en) Center cylinder of tower cylinder foundation, tower cylinder foundation and tower cylinder
KR20110103000A (en) Precast bridge joint structure with composite hollow concrete filled tube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CN105714673A (en) Self-restoration FRP-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 pier stud and construction method
US9551163B2 (en) Modular systems for constructing liquid storage tanks
KR102227674B1 (en) Reinforcement unit for support point of steel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3844743B2 (en)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4359697B2 (en) Ramen bridge structure
KR101198812B1 (en) composite rahmen bridge using a preflex girder
KR101159675B1 (en) Bridge deck for girder using acs-beam and method thereof
KR101127923B1 (en) Pylon of cable-stayed bridge having composite combin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82958B1 (en) Pedestrian bridge
KR20140144035A (en) The hybrid girder structures prestressed by using the external prestressing mechanism, and the construction method by rigid connection
KR101881580B1 (en) Bridge comprising monolithic structure of girder and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20120029625A (en)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applying precast deck
KR101096170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tinuous filled steel tube girder bridge
JP4461914B2 (en) Temporary deadline structure and temporary deadline method
KR20110041145A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tinuous filled steel tube girder bridge
KR102067254B1 (en) Negative moment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girder and cross bea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20140125754A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continuous point part of pier using copping for connecting girder
JP2016118013A (en) Concrete structure
KR101486876B1 (en) Pier structure of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1735010U (en) Assembled earthing corrugated steel plate-prestressed concrete combination arched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