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579B1 -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 - Google Patents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579B1
KR101159579B1 KR1020090099870A KR20090099870A KR101159579B1 KR 101159579 B1 KR101159579 B1 KR 101159579B1 KR 1020090099870 A KR1020090099870 A KR 1020090099870A KR 20090099870 A KR20090099870 A KR 20090099870A KR 101159579 B1 KR101159579 B1 KR 101159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plate
traffic cone
cone
insert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979A (ko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102009009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5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 E01F9/692Portable base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지지판을 각각 다른 사출재료에 의해 인서트사출방식으로 제작되는 트래픽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폴리머를 사출하여 성형하는 트래픽 콘에 있어서, 중공 원추형의 콘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이형 재질로,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중첩되어 사출 성형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하단부에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하단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단 연장부에는, 일 단이 상기 하단 연장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태로, 상기 하단연장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수평지지대와; 둘 이상의 상기 수평지지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 타단부들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래픽콘이 실제 받는 하중과 이로 인해 발생되는 트래픽콘 내의 응력을 고려하고, 재료특성을 고려한 본체와 지지판의 결합구조가 제공되어, 상기 발생응력을 효과적으로 부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트래픽콘, 사출, 결합, 이종

Description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 { A traffic cone using insert injection molding }
본 발명은 트래픽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지지판을 각각 다른 사출재료에 의해 인서트사출방식으로 제작되는 트래픽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래픽콘은 하나의 사출재료 즉, 신생수지를 이용하여 지지판과 콘이 한번에 성형되는 트래픽콘이 생산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상기 신생수지의 재료 단가가 높아지고, 재생수지의 활용을 넓히기 위하여, 내구성이 필요한 본체 부분은 신생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하고, 지지판은 재생수지를 이용하여 인서트사출방식으로 생산되는 트래픽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서트사출방식의 트래픽콘에서는, 상기 본체와 지지판 사이의 결합력이 중요한 요소가 되었고, 사용중 상기 본체와 지지판이 분리되지 않도록 양자간의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들 간의 다양한 결합구조 출원되어 등록되 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 콘의 일 예(종래기술1, US 등록 7,338,229)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 콘의 다른 예(종래기술2, US 등록 7,056,055)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에서는 본체의 하단부에 도브테일 형태의 결합부를 두고, 측방(수평)으로 돌출고리 형태를 형성하여 결합력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트래픽콘이 받는 하중의 대부분은 받침대에 대하여 본체가 상방으로 인발되는 하중이고, 도브 테일 형태는 상기 상방 인발력에 대하여는 효과적인 저항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차량이 트래픽콘을 밟고 지나가는 경우, 차량의 바퀴가 상기 지지판을 일부를 밟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깔아 누르면서 지나가므로, 이 과정에서 상기 지지판과 상기 본체의 결합부 중 차량 바퀴과 대변하는 부분에는 강한 인발력이 작용하는데, 이러한 인발력에는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에서는, 본체(1) 하단부에 테두리를 따라 연장환(12)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환(12)에 수직바(120)와 관통공(121)을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이들 사이에 스며든 베이스(2)에 의해 양자간의 결합력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는, 본체 하단의 구성 요소가 많아, 상기 베이스(2)의 사출시에 베이스를 형성하는 수지가 상기 본체의 복잡한 구성물 사이로 치밀하게 스며들어 양자가 효과적으로 부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더욱 중요하게는, 종래기술 2와 같이, 연장환(12)이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2) 내로 삽입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상기 트래픽콘을 밟고 지나가는 경우 상기 연장환 내에는 전단응력이 크게 발생한다.
즉, 상기 연장환을 따라 발생되는 인장력은 바퀴의 전면으로부터 양 측면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나아가 뒤편에는 오히려 압축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동일 부재 내에 각각 다른 크기의 축력이 작용하면, 이 부재 내에 이들이 차이로 인한 전단응력이 발생한다.
상기 트래픽콘을 형성하는 합성폴리머는 인장에는 매우 강한 특성을 갖으나, 비교적 얇은 부재 단면을 갖는 경우 전단력에는 쉽게 균열이 발생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기술 2와 같은 트래픽콘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인발력의 발생에 의해 연장환(12)에서 균열이 발생된다.
더욱이 트래픽콘의 경우, 동일 부재내의 균열은 이형재료 간의 접합면에서의 탈거보다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이는 상기 트래픽콘이 대부분 작은 크기의 반복하중을 받는 부재이고, 합성수지의 특성상 균열이 발생되면 작은 하중에 의해서도 상기 균열이 점차 확대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종래기술 2에는 동일부재(본체 내의 연장환 부분) 내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한 사용 내구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상기 본체와 지지판의 결합력은 형태에 의존한 기구적인 결합력만을 고려하여 해결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래픽콘이 실제 받는 하중과 이로 인해 발생되는 트래픽콘 내의 응력을 고려하고, 상기 발생응력을 효과적으로 부담할 수 있도록 재료특성을 고려한 인서트사출 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의 본체와 지지판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폴리머를 사출하여 성형하는 트래픽 콘에 있어서, 중공 원추형의 콘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이형 재질로,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중첩되어 사출 성형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하단부에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하단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단 연장부에는, 일 단이 상기 하단 연장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태로, 상기 하단연장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수평지지대와; 둘 이상의 상기 수평지지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 타단부들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은, 내부에 상기 본체의 하단에 대응하는 하단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받침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은, 재생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플레이트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중첩되는 트래픽콘의 본체 사이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면 경사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경사각은, 수직방향으로부터
Figure 112012035056691-pat00001
보다 큰 값이고; 여기서, t는 상기 본체의 두께이고, h는 상기 지지판의 높이일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반복하중에 의한 내구성이 뛰어나다. 상기 트래픽콘이 큰 하중을 받는 경우는 차량의 바퀴가 상기 트래픽콘을 밝고 지나가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상기 차량의 바퀴는 상기 트패픽콘의 지지판을 밝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을 일방으로 눕히면서 지나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판과 상기 하단연장부 사이에는 큰 인장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인장력은, 상기 수평지지대가 부담하고 상기 수평지지대는 탄성이 좋 은 신생수지에 의해 형성되므로 발생된 인장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장점이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지지대가 상기 하단연장분의 외부면을 따라 각각 구분되어 별개로 형성되므로, 종래기술 1에서와 같은 부재 내의 전단응력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상기 트래픽콘을 밟고 지나가는 경우, 상기 본체와 지지판 사이에 발생되는 인장력은 상기 하단연장부 둘레를 따라 각각 다르다.
상기 차량바퀴와 전면으로 접하는 부분에서 가장 큰 인장력이 발생하고, 이를 중심으로 측면으로 갈 수로 작아지며, 뒤쪽부분에는 오히려 압축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내부 응력의 변화가 동일 부재 내에서 큰 경우에 부재내의 전단응력은 커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수평지지대가 각각 별개로 구분되어 형성되므로, 각각의 수평지지대는 각각 다른 축력(축 인장력)을 부담하고, 상기 수평지지대 내의 전단응력은 크게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전단응력은 이형 재료의 접합면에서 부담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경우 전단력에 의해 상기 본체와 지지판의 부착이 떨어질 수는 있으나 동일 부재 내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판 내부에 두께가 변하는 수직플레이트가 삽입됨으로 상기 본체의 수평지지대 또는 수직플레이트가 파괴되지 않는 한 상기 본체가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뽑혀 분리될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하단연장부에 형성된 상기 지지판 내에 삽입되는 결 합 구조물의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상기 지지판을 구성하는 수지가 세밀하게 유입되여 치밀한 일체의 구성물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생수지와 재생수지를 함께 사용하므로, 제품성능에 대비 하여 비교적 낮은 생산단가에 생산이 가능하고, 수지를 이용하므로 외부 충격이 주어지는 경우, 파괴되어 파편에 의한 2차 피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판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판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이 중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은 본체(100)와 지지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중공의 콘 형태(내부가 빈 원추형)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는 상부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공(110)은 상기 트래픽콘 상단에 발광 유닛 등을 삽입하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상기 지지판(2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단과 결합하여 상기 본체(100)가 안정적으로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안정적이다.
상기 본체(100)와 상기 지지판(200)은 인서트사출방식, 즉, 먼저 상기 본체(100)를 사출하여 형성하고,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맞물려 상기 지지판(200)을 사출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본체(100)와 상기 지지판(200)의 사출재료는 서로 상이한 이종 재료가 사용된다. 즉, 상기 본체(100)는 신생수지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반면에, 상기 지지판(200)은 재생수지가 사용된다.
상기 신생수지란 원재료로부터 처음 생성되는 수지를 말하고, 재생수지란 제품(예를 들면 타이어 등)으로 제조되어 사용되었던 폐 수지를 재생하여 생산된 수지를 말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수지라 함은 폴리머 계열을 일반적인 합성수지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트래픽콘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0)와 지지판(200)은 인서트사출에 의해 형성되므로, 이들 간의 결합력을 발생시키고, 일정 조건의 내구성을 만족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0)에는 후술할 바와 같은 특징적인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100)의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지지판(200)의 구조를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하단부에 상기 지지판(200)과 결합되는 하단연장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연장부(120)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환 형상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구분판(130)이 형성된다.
상기 구분판(130)은 상기 지지판(200)의 상면과 동일면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와 상기 지지판(200)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하단연장부(120)에는, 일 단이 상기 하단연장부(12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대(1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대(140)는 도 4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봉 형태로 상기 하단연장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대(140)의 단부에는 둘 이상의 상기 수평지지대(140)의 단부에 결합된 수직플레이트(150)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플레이트(150)는 3개의 수평지지대(140)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단연장부(120)를 따라 8개가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대(140)의 개수 및 이격 거리 또한 상기 수직플레이트(150)의 배치에 맞춰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플레이트(150)는 도 4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대(14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곡면을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 직플레이트(150)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수평플레이트가 상기 지지판(200)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본체(100)가 상기 지지판(200)으로부터 상방으로 뽑히는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저항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지판(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대응하는 형태로 하단공(2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단공(230)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20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00) 저면에는 상기 지지판(200)을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받침돌기(210)가 복수 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돌기(210)는 상기 지지판(20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크기 및 개수는 상기 지지판(2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형성된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지지판(200) 저면에는 상기 수직플레이트(150)의 저면이 관통하는 관통공(22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20) 역시 상기 수직플레이트(150)의 형태에 대응하여 폭이 변화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체(100)와 지지판(200)은 인서트사출에 의해 생성된다. 즉, 신생수지를 이용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체(100)를 사출성형하고, 상기 지지판(200)의 금형 내로 상기 하단연장부(12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200) 금형 내로 재생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지지판(20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재생수지는, 상기 하단연장부(120)에 형성된 수평지지대(140) 및 수직플레이트(150)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판(20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판(200)을 재생수지로 형성하는 것은, 재생수지의 재료 단가가 신생수지의 재료 단가에 비하여 현저히 저렴하므로, 상기 트래픽콘의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함이다.
즉, 강한 탄성 및 인장력을 필요로 하는 본체(100)는 신생수지를 이용하되, 중량체의 역할을 담당하는 지지판(200)은 재생수지를 이용하여 제품의 기능은 유지하되 생산단가를 합리적으로 낮추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인서트사출방식에 의해 상기 본체(100)와 지지판(200)이 결합된 모습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00)은 상기 구분판(130)으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지지대(140) 및 수직플레이트(150)와 상기 하단연장부(120) 사이에 골르게 스며들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수직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원추형의 빗면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각은 상기 트래픽콘이 중첩되는 경우, 상기 본체(100) 사이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각을 갖도록 결정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된 형태의 두 개의 트래픽콘(TC1, TC2) 에 있어서, 제1트래픽콘(PC1)과 제2트래픽콘(TC2)의 단차는 상기 지지판(200)의 높이(h)와 같고,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수평 이격거리(l)는 h*tanθ 이다.
상기 수평 이격거리(l)가 본체(100)의 수평거리(t/cosθ)보다 클 때, 상기 중첩된 트래픽콘의 본체(100) 사이에 유동거리가 형성되므로, 즉 θ는
Figure 112009064229163-pat00002
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t는 본체(100)의 두께를 말한다.
이는 상기 트래픽콘이 보관시에는 다수개가 중첨되어 보관되는데, 상기 유동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면, 분리시에 과도한 힘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힘에 의해 상기 트래픽콘이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트래픽 콘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 외측면 중 상기 구분판의 상단부 또는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은 조도(粗度)가 큰 거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의 내측면, 상기 구분판의 상단부 및 상기 지지판의 상면은, 상기 트래픽콘이 중첩되는 경우, 중첩된 트래픽 콘이 접하는 부분으로, 이 부분이 서로 접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조도가 큰 거친면은, 매우 미세한 홈, 골 또는 돌기 들을 무작위적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인 거칠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체와 지지판을 각각 다른 사출재료에 의해 인서트사출방식으로 제작되는 트래픽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래픽콘이 실제 받는 하중과 이로 인해 발생되는 트래픽콘 내의 응력을 고려하고, 재료특성을 고려한 본체와 지지판의 결합구조가 제공되어, 상기 발생응력을 효과적으로 부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신생수지와 재생수지를 함께 사용하므로, 제품성능에 대비 하여 비교적 낮은 생산단가에 생산이 가능하고, 수지를 이용하므로 외부 충격이 주어지는 경우, 파괴되어 파편에 의한 2차 피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 콘의 일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 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판을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이 중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상부공
120 : 하단연장부 130 : 구분판
140 : 수평지지대 150 : 수직플레이트
200 : 지지판 210 : 받침돌기
220 : 관통공 230 : 하단공

Claims (7)

  1. 폴리머를 사출하여 성형하는 트래픽 콘에 있어서,
    중공 원추형의 콘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이형 재질로,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중첩되어 사출 성형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하단부에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하단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단 연장부에는,
    일 단이 상기 하단 연장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봉 형태로, 상기 하단연장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수평지지대와;
    둘 이상의 상기 수평지지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대 타단부들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중첩되는 트래픽콘의 본체 사이에 유동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면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경사각은,
    수직방향으로부터
    Figure 112012035056691-pat00012
    보다 큰 값이고;
    여기서, t는 상기 본체의 두께이고, h는 상기 지지판의 높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내부에 상기 본체의 하단에 대응하는 하단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받침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재생수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레이트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
  5. 삭제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은 조도(粗度)가 큰 거친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
KR1020090099870A 2009-10-20 2009-10-20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 KR101159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870A KR101159579B1 (ko) 2009-10-20 2009-10-20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870A KR101159579B1 (ko) 2009-10-20 2009-10-20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979A KR20110042979A (ko) 2011-04-27
KR101159579B1 true KR101159579B1 (ko) 2012-06-28

Family

ID=4404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870A KR101159579B1 (ko) 2009-10-20 2009-10-20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5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0953A (zh) * 2014-10-08 2014-12-31 王波 一种折叠路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140B1 (ko) * 2021-08-13 2023-06-02 박명규 반사판 보호수단을 가지는 볼라드
KR102540137B1 (ko) * 2021-08-13 2023-06-02 박명규 반사판 보호수단을 가지는 볼라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5507A (en) * 1979-08-08 1981-03-11 Aiyou Sangyo Kk Illuminating apparatus for signal cylinder
JP2005163312A (ja) * 2003-12-01 2005-06-23 Yagikuma:Kk 組立式標識コーン
EP1626125A2 (en) * 2004-08-13 2006-02-15 KUO, Wen-Nan Traffic cone
US7338229B1 (en) * 2007-03-06 2008-03-04 Jing Nan Traffic Engineering Co., Ltd. Traffic cone counterweight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5507A (en) * 1979-08-08 1981-03-11 Aiyou Sangyo Kk Illuminating apparatus for signal cylinder
JP2005163312A (ja) * 2003-12-01 2005-06-23 Yagikuma:Kk 組立式標識コーン
EP1626125A2 (en) * 2004-08-13 2006-02-15 KUO, Wen-Nan Traffic cone
US7338229B1 (en) * 2007-03-06 2008-03-04 Jing Nan Traffic Engineering Co., Ltd. Traffic cone counterweight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0953A (zh) * 2014-10-08 2014-12-31 王波 一种折叠路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979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579B1 (ko) 인서트사출구조를 갖는 트래픽콘
CA2789018C (en) Concrete anchor
KR101713632B1 (ko) 튜브형 고무몰드를 활용한 중공 피씨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90301622A1 (en) Undercut stone bumper structure for vehicle tire groove
CN102858197A (zh) 母按扣
US8622374B2 (en) Buffer for absorbing impacts
KR20170132232A (ko) 파형 형상 벽을 갖춘 몰드-인 터치식 체결기 시스템
US9004809B2 (en) Manhole cover
US201202678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pneumatic tire mold
KR101783034B1 (ko) 거푸집 덱 지지용 소켓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벽체 거푸집, 보 거푸집, 기둥 거푸집
US10344788B2 (en) Device for anchoring at least one fastening element in a laminate structure having at least two layers
CN201970800U (zh) 一种充气轮胎胎面防夹石结构
KR101210375B1 (ko) 작업용 바닥매트
US7959375B2 (en) Horizontal scissor-tip compaction wheel cleat
CN202703142U (zh) 充气轮胎胎面花纹沟防夹石结构
KR100979140B1 (ko) 압륜 어셈블리용 가압링
KR100971252B1 (ko) 차량의 매트 고정용 클립
CN106217603A (zh) 一种拆卸方便的路沿石模具
KR100940866B1 (ko) 보도블록
KR100949359B1 (ko) 차량의 매트 고정용 클립
KR100888057B1 (ko) 몰딩을 이용한 건식부착물 제조방법
CN220225458U (zh) 一种静音型井盖
KR20100004789U (ko) 잔디매트용 고정수단
CN219055884U (zh) 一种多边形嵌套结构及其轮胎
CN109235164B (zh) 一种轨枕弹性垫板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