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243B1 - Load safety indicator using light emitting diode - Google Patents

Load safety indicator using light emitting di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243B1
KR101158243B1 KR1020110056616A KR20110056616A KR101158243B1 KR 101158243 B1 KR101158243 B1 KR 101158243B1 KR 1020110056616 A KR1020110056616 A KR 1020110056616A KR 20110056616 A KR20110056616 A KR 20110056616A KR 101158243 B1 KR101158243 B1 KR 101158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led
crosswalk
ligh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6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필터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필터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필터링
Priority to KR102011005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2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2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PURPOSE: A road stud using an LED is provided to enable a driver and a pedestrian to easily recognize a crosswalk and a control signal of a traffic light even in the night. CONSTITUTION: A road stud using an LED comprises a main body, an LED module(20), a control unit(30), a signal collector(40), an illumination sensor(50), a visibility range analysis unit(60). The main body is installed on a crosswalk and has a first hole. The LED module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emits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hol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D module. The signal collector collects a control signal from a traffic light installed on the crosswalk and transfers the collect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illumination sensor measures the illumination of a road adjacent to the crosswalk and transfers the measured results to the control unit. The visibility range analysis unit measures the visibility range of the road and transfers the measured results to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LOAD SAFETY INDICATOR USING LIGHT EMITTING DIODE} Road sign bottle using LED {LOAD SAFETY INDICATOR USING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 등에 횡단보도와 횡단보도 신호등의 제어신호를 보행자 및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LED로서 정보를 전달하는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sign bottle using the L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ad sign bottle using the LE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s an LED so that pedestrians and drivers can recognize the control signals such as pedestrian crossing and crosswalk traffic lights at night. .

도로 표지병(road sign)이란 도로법 제3조 및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정 제30조에 따른 도로부속물로서 야간이나 우천 시 심각한 시인성 저하를 보완하고, 운전자의 시선을 명확하게 유도하여 교통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기 위한 시선 유도 시설을 지칭한다. 따라서 도로 표지병은 도로의 중앙선, 차선 경계선, 전용 차로, 노상 장애물, 안전지대 등 노면 표지의 기능을 보완하고 선형 유도나 도로 환경 변화에 대한 운전자의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는 구간에 적절히 설치되는데, 길 가장자리 구역선, 급 곡선부, 터널, 차로의 감소/분리/합류 구간, 통행로의 변경 구간, 교통섬, 인터체인지, 좌회전 차선을 포함한 2차로 도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다 차로, 도로 폭이 좁은 교량 등은 도로 표지병의 대표적인 설치구간에 해당된다.A road sign is a road attachment in accordance with Article 3 of the Road Act and Article 30 of the Regulations on Structural / Facility Standards, which compensates for the severe deterioration of visibility at night or in the rain, and clearly induces the driver's attention. Refers to an eye-guided facility for promoting smooth communication. Therefore, road markers are appropriately installed in areas that need to supplement the functions of road markings such as road center lines, lane boundaries, dedicated lanes, roadblocks, and safety zones and to increase the driver's awareness of linear guidance or changes in road conditions. Edge zone lines, sharp curves, tunnels, lane reduction / separation / join sections, traffic lane changes, traffic islands, interchanges, two-way roads including left turn lanes, physically undivided lanes, narrow bridges, etc. Is a typical installation section of road marking bottles.

일반적인 도로 표지병은 구동 방식에 따라 반사형, 발광형으로 구분되고, 발광형은 다시 점멸식, 점등식, 전환식 등으로 세분화된다. 반사형 도로 표지병은 자체 발광 기능이 없으므로 자동차의 전조등을 반사시켜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한 대신 소정 각도의 반사면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노면으로부터 일정 정도 돌출되게 설치되어야 하므로 안정성과 주행성을 떨어뜨리고 반사면의 마모로 인한 수명 단축의 문제점이 있다. 그 결과, 현재 임시차선표시 등 한정적인 분야에서만 사용되고 있다.A general road sign bottle is divided into a reflective type and a light emitting type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and the light emitting type is further divided into a flashing type, a lighting type, a switching type, and the like. Reflective road signs do not have a self-illuminating function, which reflects the headlights of a car to perform the function. Because of the relatively inexpensive and easy installation, in order to implement a reflective surface at a predetermined angle, it must be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road surface to a certain extent, thereby degrading stability and running performance and shortening the life due to wear of the reflective surface. As a result, it is currently used only in limited fields such as temporary lane marking.

반면, 발광형 도로 표지병은 LED(Light-Emitting Diode) 등의 광원이 내장되어 자체 발광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tting road sign bottle is a light source such as a light-emitting diode (LED) is built in, it is possible to self-light.

따라서, 노면으로 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지중에 매립 설치될 수 있어 안정성과 주행성이 높고 상대적으로 수명이 길어 개보수기간 연장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와 더불어 유지 보수에 드는 수고와 노력을 줄일 수 있어, 현재 사용되는 도로 표지병은 대부분 발광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it can be buried in the ground so as not to be exposed from the road surface, so it has high stability and running ability and has a relatively long lif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longer maintenance periods and reducing the effort and effort required for maintenance. Most road signs are light-emitting.

근래에는 발광형 도로 표지병의 전력 효율을 높이고자, 광원으로 효율이 높은 LED를 사용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발광형 도로 표지병의 문제점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의 설치와 잦은 도로 보수로 인한 유지 보수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력 공급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건전지를 내장하는 건전지 내장형 LED 도로 표지병이 제시되고 있으나, 잦은 건전지 교체로 이에 대한 불편함이 많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Recently,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use high-efficiency LEDs as light sources to increase the power efficiency of light-emitting road signs. However, the problem of the light emitting road sign bottle has a lot of difficulties in the maintenance due to the installation of power lines to supply power and frequent road maintenanc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of power supply, a battery-integrated LED road sign bottle with a built-in battery has been proposed, but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due to frequent replacement of batteries, which requires improvement.

또한, LED는 빛의 직진성이 강하여 LED 도로 표지병을 인식할 수 있는 각도가 좁아 효율적으로 빛을 확산할 수 있는 확산 구조가 필요하며, 파손된 도로 표지병을 교체하거나, 고장이 발생한 도로 표지병을 수리를 위하여 교체하고자 할 때, 매립형은 주변을 도로를 파야만 가능하므로, 매립 후 도로를 재포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보다 신속하게 도로 표지병의 제거와 설치가 가능한 구조가 필요하다.
In addition, the LED has a strong light straightness, so the angle of recognition of the LED road sign bottle is narrow, so it needs a diffusion structure that can diffuse light efficiently, and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broken road sign bottle or repair the broken road sign bottle. In order to replace the landfill, it is possible only to dig the road around the landfill,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package the road after landfill requires a structure that can be quickly removed and installed road marker bottles.

이에 따라, 최근에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LED 도로 표지병에 대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technologies for LED road sign bottles using solar energy have been developed.

이러한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18호(2011년01월20일 공고)에는 도로 표면에 고정되어 주행자들에게 현재 주행하는 도로가 자동차 전용 도로 또는 자전거 전용 도로임을 안내해주고, 시야가 좁아지는 야간에는 태양광 에너지에 의해 축적된 전기 에너지로 LED를 발광시켜, 현재 주행하는 도로가 자동차 전용 도로 또는 자전거 전용 도로임을 부각시켜줄 수 있는 태양 전지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9918 (January 20, 2011 announcement) is fixed to the surface of the road to inform the driver that the currently running road is a road for exclusive use of cars or bicycles, the night narrows the view In the related art, there is disclosed a technology for a road marker bottle using a solar cell that emits LEDs by electric energy accumulated by solar energy to highlight that a road currently driving is an automobile road or a bicycle road.

그러나, 이러한 도로 표지병은 우천 시 등 장기간 동안 태양광을 에너지를 축적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전기 에너지를 축적할 수 없게 되어 사용이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도로 표지병이 횡단보도 등에 사용되면, 운전자를 위한 도로 표지병과 보행자를 위한 도로 표지병을 각각 설치해야 되기 때문에 높은 설치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road marker bottle is limited in its use since it is impossible to accumulate electrical energy when a situation in which sunlight does not accumulate energy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rainy weather occurs. In addition, when the road sign bottle is used in a crosswalk, etc., there is a problem that a high installation cost is required because the road sign bottle for the driver and the road sign bottle for the pedestrian must be installed respective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눈으로 직접 횡단보도를 파악할 수 없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횡단보도의 위치를 표시해 주어 운전자가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신호등을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의 보행자에게 이동시점을 알려주어 보행자의 이동을 도와주며, 전력공급의 어려움이 해소되는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crosswalk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that can not directly determine the crosswalk to help the driver to drive safely, and to move to a pedestrian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traffic light directly. To help the pedestrians move by telling them, it is to provide a road sign using LED that eliminates the difficulty of power supply.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로에 설치되고, 광원이 내장되어 자체 발광을 통해 운전자에게 인식신호를 전달하는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횡단보도나 상기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차량의 진입 방향과 마주보는 부분에 제 1 개방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개방홀을 통해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LED 모듈, 및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동되어 상기 LED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road, a light source is built in the road sign bottle for transmitting a recognition signal to the driver through the self-illumination, pedestrian crossing or the crosswalk It is installed on the adjacent road, the space is formed therein,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portion faci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opening is formed, and is installed in the space, the light through the first opening It provides a road sign bottle using the LED including a light emitting LED modu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D module in conjunction with the traffic light installed in the crosswalk.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로에 설치되고, 광원이 내장되어 자체 발광을 통해 운전자에게 인식신호를 전달하는 발광형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에 설치되고, 내부에 원통형 공간부가 형성되며, 차량의 진입 방향과 마주보는 부분에 제 1 개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진입 방향의 수직선상 오른쪽 부분에 제 2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제 1 개방홀을 연결하는 제 1 발광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와 제 2 개방홀을 연결하는 제 2 발광경로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LED 모듈과, 상기 공간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확산필름, 및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동되어 상기 LED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을 제공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ght emitting road marker bottle is installed on the road, the light source is built-in and transmits a recognition signal to the driver through the self-illumination, the road adjacent to the crosswalk A cylindrical space portion is formed therein, a first opening hole is formed in a portion faci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second opening hole is formed in a right portion on a vertical line in the entry direction. A main body having a first light emitting path connecting the first opening and a second light emitting path connecting the space and the second opening, a LED module installed in the space and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Road signs using the LED including a diffusion film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D module in conjunction with the traffic light installed in the crosswalk It provides.

본 발명에 의한 도로 표지병을 사용하면, 가시거리가 좁은 주간이나 야간에도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원활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When the road marker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possible to smoothly receiv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a traffic light installed at a pedestrian crossing at day or night with a narrow viewing distanc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도로 표지병을 사용하면, 운전자의 직접 가시거리가 좁아진 환경에서도 운전자가 비교적 먼 거리에서 신호등 일단정지선을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 운전자가 신호등 일단정지선을 넘어서 정차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oad marker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stop light line of the traffic light at a relatively long distance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the driver's direct line of sight is narrowed,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 from stopping beyond the stop light line of the traffic light.

또한, 본 발명은 횡단보도나 신호등 일단정지선에 설치된 단일의 구조체를 통해 운전자 및 보행자 모두에 횡단보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rosswalk to both the driver and the pedestrian through a single structur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rosswalk or traffic ligh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교차로에서 우회전을 준비하는 운전자에게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한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제어신호를 미리 제공해 줄 수 있어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in advance the control signal of the traffic lights installed on the crosswalk located on the driving route to the driver preparing to turn right at the intersection can prevent traffic accidents in advance.

나아가, 본 발명은 횡단보도가 설치된 위치의 시간, 조도 등의 환경조건에 따라 LED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기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L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ime, illuminance, etc. of the position where the crosswalk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electricity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설치장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생성기가 구비된 도로 표지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road sign bottle equipped with a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이하, '도로 표지병'이라 한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road marker bott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oad marker bottle') using LEDs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a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횡단보도 또는 상기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LED 모듈(20), 및 상기 LED 모듈(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LED 모듈(20)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 수집기(40)와 조도센서(50) 및 가시거리 분석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road marker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on the pedestrian crossing or the road adjacent to the crosswalk, and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the outside An LED module 20 emitting light, and a controller 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D module 20 to control the LED module 20, and optional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 The signal collector 40 and the illumination sensor 50 and the visible distance analysis means 60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조도센서(50)는 횡단보도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횡단보도에 인접한 도로의 조도에 대한 정보를 계측하며, 상기 조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0)로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시거리 분석수단(60)은 횡단보도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횡단보도에 인접한 도로의 가시거리에 대한 정보를 계측하며, 상기 가시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0)로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인접한 위치란 목적대상물로부터 약 20미터 이내의 위치를 나타낸다.
Here, the illuminance sensor 50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rosswalk, measures the information on the roughness of the road adjacent to the crosswalk,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about the illuminance to the controller 30. In addition, the visible distance analyzing means 60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rosswalk, measures information on the visible distance of the road adjacent to the crosswalk,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visible distance to the controller 30. . Here, the adjacent position represents a position within about 20 meters from the target objec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표지병은 본체(1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상기 본체(10)는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된 상태로 횡단보도나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타이어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라운드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때,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우회전 방향에 횡단보도(200')가 존재하는 교차로의 진입로(500)이거나 횡단보도(200")의 신호등 일단 정지선(400)이다.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on a road adjacent to a pedestrian crossing or a crosswalk with a part of it exposed to the ground, and forms a round shape in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o prevent the tire from being damaged, and a space part is formed therein. . At this time, the road adjacent to the pedestrian crossing is the entrance road 500 of the intersection where the pedestrian crossing 200 'exists in the right turn direction of the front as shown in FIG. 3 or the stop line 400 at one end of the traffic light of the pedestrian crossing 200 ". .

이와 같이, 본체(10')가 교차로의 진입로(500)에 형성되는 것은 우회전을 준비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예상 주행 경로 상에 존재하는 횡단보도(200')의 신호를 미리 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체(10")가 횡단보도(200")의 신호등 일단정지선(400)에 형성되는 것은 운전자가 비교적 먼 거리에서도 신호등 일단정지선(400)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신호등 일단정지선(400)을 넘어서 정차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As such,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the entry road 500 of the intersection to notify the driver of the vehicle preparing for the right turn of the crosswalk 200' present on the expected driving route in advance.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s formed at the traffic light end stop line 400 of the crosswalk 200"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traffic light end stop line 400 even at a relatively long distance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traffic light end stop line 400 at a relatively long distance. This is to prevent stops o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는 하부를 지표면 아래로 삽입시킨 후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본체(10)를 도로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도로에 밀착시킨 상태로 상기 본체(10)를 도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하부에 도로 삽입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도로 삽입부(19)는 외주면에 나선형 돌기가 원통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main body 10 to the road through a separate fixing means after inserting the lower portion below the ground surface.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inserting portion 19 in the lower portion so as to secure the main body 10 to the roa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ad as shown in ) May be provided. The road insertion portion 19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piral proj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아울러,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는 LED 모듈(20)로부터 발광된 빛이 소실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reflector (not shown) for reflecting light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20.

이와 같이, 본체(10)는 전방의 우회전 방향에 횡단보도(200')가 존재하는 교차로의 진입로(500)에 설치되어 현재시간, 조도, 가시거리 등의 환경조건에 따라 운전자에게 최적의 LED 휘도를 출력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횡단보도(200") 또는 횡단보도(200")의 신호등 일단정지선(400)에 설치되어 상기 환경조건에 따라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최적의 LED 휘도를 출력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500 of the intersection where the crosswalk 200 'is present in the right turn direction of the front, the LED brightness optimal for the driver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he current time, illumination, visible distance, etc.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outputting.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in the end stop line 400 of the traffic light of the crosswalk 200 "or the crosswalk 200" is formed in the form of outputting the optimal LED brightness to the driver and pedestrian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b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다음의 3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following three forms.

제 1 실시 양태로서, 교차로의 진입로에 설치되는 본체(10)는 도 1과 같이 차량의 진입 방향과 마주보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제 1 개방홀(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개방홀(13)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제 1 개방홀(13)을 통과하는 빛을 확인하여 차량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주행 차량과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된다.
As the first embodiment, the main body 10 installed in the access road of the intersection is formed with one or more first opening holes 13 in the portion facing the entrance direction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Here, the first opening hole 13 is to allow the driver of the vehicle traveling on the road to check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hole 13 so as to adjust the speed of the vehicle. Is formed.

제 2 실시 양태로서, 횡단보도 또는 횡단보도의 신호등 일단 정지선에 설치되는 본체(10)는 도 4와 같이 차량의 진입 방향과 마주보는 부분에 제 1 개방홀(13)이 형성되며, 차량의 진입 방향과 수직선상의 오른쪽 부분에 제 2 개방홀(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개방홀(13)은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것인 반면, 제 2 개방홀(14)은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보행자를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보행자는 제 2 개방홀(14)을 통과하는 빛을 확인하여 횡단보도로의 진입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개방홀(14)은 횡단보도의 진입로에 위치한 보행자와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된다. As a second embodiment, the main body 10, which is once installed at the stop line of a pedestrian crossing or a traffic light of a pedestrian crossing, has a first opening hole 13 formed in a portion faci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A second opening hole 14 is formed in the right part on the li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Here, the first opening hole 13 is for the driver of the vehicle, while the second opening hole 14 is for the pedestrian moving the crosswalk. In other words, the pedestrian may determin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opening hole 14 to determine the entrance to the crosswalk. Therefore, the second opening hole 14 is formed in a direction facing the pedestrian located in the access road of the crosswalk.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개방홀(13), 제 2 개방홀(14), 또는 이들 모두에는 빗물 등의 이물질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이물질을 차단하며, LED 모듈(20)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패널이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투광패널은 접착제 등의 통상적인 부착방법을 사용하여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first opening hole 13, the second opening hole 14, or both of them block the foreign matter such that rain or other foreign matter does not flow into the body 10, and the LED module 20. A light transmitting panel that transmit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may be provided. Here, the light transmitting panel may be fixed to the body 10 using a conventional attachment method such as an adhesive.

또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LED 모듈(20)이 백색 LED을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 상기 투광패널로는 상기 제 1 개방홀(13)을 커버하도록 본체(10)에 부착되며 적색이 부가된 제 1 투광패널(15)과, 제 2 개방홀(14)을 커버하도록 본체(10)에 부착되며 녹색이 부가된 제 2 투광패널(16)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운전자용 신호등 또는 보행자용 신호등)이 차량 정지신호 또는 보행자 이동신호(운전자용 신호등은 적색, 보행자용 신호등은 녹색)를 표시하는 경우, 이에 연동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적색의 빛을 제공하고 보행자에게는 녹색의 빛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when the LED module 2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includes a white LED, the floodlight panel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10 so as to cover the first opening hole 13, and red is added. The first transparent panel 15 and the second transparent panel 16 attached to the main body 10 and added with green may be used to cover the second opening hole 14. This means that when a traffic light (driver's traffic light or pedestrian traffic light) installed on a crosswalk displays a vehicle stop signal or a pedestrian movement signal (red for driver traffic light and green for pedestrian traffic light), the driver's red To provide the light of the pedestrian and the green light of the pedestrians.

제 3 실시 양태로서, 횡단보도 또는 횡단보도의 신호등 일단 정지선에 설치되는 본체(10)는 도 5와 같이 내부에 원통형 공간부(11)가 형성되며, 차량의 진입 방향과 마주보는 부분에 제 1 개방홀(13)이 형성되고 상기 진입 방향의 수직선상 오른쪽 부분에 제 2 개방홀(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공간부(11)와 제 1 개방홀(13)을 연결하는 제 1 발광경로(17)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와 제 2 개방홀(14)을 연결하는 제 2 발광경로(18)가 형성된다. As a third embodiment, the main body 10, which is once installed at the stop line of a pedestrian crossing or a traffic light of a pedestrian crossing, has a cylindrical space 11 formed therein as shown in FIG. 5, and has a first side facing the entrance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opening hole 13 is formed, and the second opening hole 14 is formed in the right portion on the vertical line in the entry direction.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first light emitting path 17 connecting the space portion 11 and the first opening hole 13, and connects the space portion 11 and the second opening hole 14. A second light emitting path 18 is formed.

이때, LED 모듈(20)이 단일의 LED로 구성되어도 상기 제 1 발광경로(17)와 제 2 발광경로(18)를 통해 외부로 빛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원통형 공간부(11)의 내측면에는 확산필름(12)이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확산필름(12)을 통과한 빛은 상기 제 1 개방홀(13)과 제 2 개방홀(14)로 분할되어 조사된다. 여기서, 상기 확산필름(12)은 LED 모듈로부터 발광된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확산필름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PET를 포함하는 확산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정적으로는 듀퐁사의 HB3(상품명)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At this time, even if the LED module 20 is configured as a single LED,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space 11 to provide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light emitting path 17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path 18. The diffusion film 12 may be attached to the side. That is,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film 12 is divided into the first opening hole 13 and the second opening hole 14 and irradiated. Here, the diffusion film 12 may be any diffusion film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use a diffusion film containing PET, specifically It is recommended to use DuPont HB3 (trade name).

아울러, 상기 본체(10)의 표면에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충격흡수층은 금속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구성된 표면재, 및 상기 표면재 내부에 부착되어 본체(10)의 표면에 접촉되는 완충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완충재로는 고무를 사용하며, 상기 고무로는 고무 스펀지, 메모리폼, 라텍스, 또는 생고무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둘 이상이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완충재는 5 내지 16㎜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layer (not shown) for absorbing the shock provided from the outside. Here, the shock absorbing layer may be composed of a surface material consisting of a metal or reinforced plastic, and a cushion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urface material an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ody 10. In this case, a rubber is used as the cushioning material, and the rubber sponge, memory foam, latex, or raw rubber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may be used simultaneously. In addition, the buffer member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5 to 16 mm.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표지병은 LED 모듈(20)을 포함한다. 2, the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LED module 20.

상기 LED 모듈(20)은 상기 본체(10)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본체(10)의 개방홀을 통해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LED 칩 및 상기 LED 칩의 출력정보를 조절하는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ED module 20 is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o emit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hole of the main body 10, the substrate for controll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one or more LED chips and the LED chip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기판은 호 형상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간부의 표면 또는 내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ts Board : PCB), 바람직하게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ts Board)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기판은 열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본체(10)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전도성 접착제는 PCB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어서 부품의 특성 변화를 최소화한다. The substrate is formed in an arc shape or a curved shape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r the inside of the space part. A printed circuit board (PCB), preferabl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used. At this time, the substrate may be attached to the body 10 by a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Here, the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can efficiently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PCB, thereby minimizing the characteristic change of the component.

그리고 상기 PCB는 베이스전극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전극으로는 구리, 금, 또는 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PCB는 베이스전극에 접속된 LED 칩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각 LED 칩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아울러, 베이스전극은 복수개의 LED 칩이 각각 서로 다른 개방홀로 빛을 발광하도록 하는 배열로 PCB에 구비된다. The PCB includes a base electrode, and copper, gold, silver,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base electrode. In addition, the PCB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individually control each LED chip by applying power to each LED chip connected to the base electrode independently. In addition, the base electrode is provided on the PCB in an arrangement such that a plurality of LED chips emit light through different open holes.

상기 하나 이상의 LED 칩은 PCB의 상부에 제 1 개방홀(13) 및 제 2 개방홀(14)을 마주보는 배열로 구비되고, 솔더(solder)에 의해 열 융착방법으로 기판에 고정되며, 베이스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필요에 따라 PCB에 열을 가하여 솔더를 녹임으로써 LED 칩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one or more LED chips are provided in an arrangement facing the first opening hole 13 and the second opening hole 14 on the upper part of the PCB, and are fixed to the substrate by a thermal fusion method by soldering, and the base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LED chip by applying heat to the PCB as needed to melt the solder.

이때, 상기 LED 칩은 적색(Red : R) 광을 발산하는 R LED, 녹색(Green : G) 광을 발산하는 G LED, 백색(White) 광을 발산하는 W LED, 또는 R LED 및 G LED를 가지는 LED 단위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칩은 적색, 녹색, 청색(Blue :B) 광을 각각 발산하는 하나 이상의 R, G, B LED를 가지는 LED 단위유닛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LED 단위유닛은 서로 이웃하며, 각 개방홀을 마주보도록 소정간격으로 기판의 상부에 탑재된다. 각 LED 단위유닛의 칼라별 LED는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동시에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D chip may be a R LED that emits red (R) light, a G LED that emits green (G) light, a W LED that emits white light, or an R LED and a G LED. Branch may be formed as an LED unit unit. In addition, the LED chip may be formed as an LED unit unit having one or more R, G, B LEDs that emit red, green, and blue (B: B) light, respectively. The LED unit unit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re mounted on the substrate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face each opening hole. Color-specific LEDs of each LED unit unit may be provided to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at the same ti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LED 모듈(20)은 본체(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 1 개방홀(13)을 통해 적색 광을 발광할 수 있도록 각 제 1 개방홀(13)에 마주보는 배열로 기판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R LED를 포함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the LED module 20 is arranged to face each first opening hole 13 to emit red light through a plurality of first opening holes 13 formed in the main body 10. It includes a plurality of R LEDs provided in the furnace substrate.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LED 모듈(20)은 본체(10)에 형성된 제 1 개방홀(13)을 통해 적색 광을 발광하고 제 2 개방홀(14)을 통해 녹색 광을 발광할 수 있도록, 제 1 개방홀(13)에 마주보는 배열로 기판에 구비된 R LED와 제 2 개방홀(14)에 마주보는 배열로 기판에 구비된 G RED를 포함한다. 이때, 보행자가 본 발명의 도로 표지병으로부터 제공되는 보행자 이동신호를 원활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G RED는 제 2 개방홀(14)을 통해 횡단보도의 진입로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위치로 기판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2, the LED module 20 emits red light through the first opening 13 formed in the main body 10 and emits green light through the second opening 14. , R LED provided in the substrate in an arrangement facing the first opening 13 and G RED provided in the substrate in an arrangement facing the second opening 12. At this time, the G RED is provided on the substrate at a position to irradiate light into the access road of the crosswalk through the second opening hole 14 so that the pedestrian can smoothly recognize the pedestrian movement signal provided from the road sign bo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good to be.

아울러, 교차로 주위에 설치된 본체(10)에 사용되는 LED 모듈(20)은 G RED로부터 발광된 빛이 보행자가 아닌 운전자에게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R LED로부터 발광된 빛과 상기 G LED로 발광된 빛 사이의 내각이 90 내지 160°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D module 20 used in the main body 10 installed around the intersection is a light emitted from the R LED and the G LED to prev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G RED is recognized by the driver, not the pedestrian. Preferably, the interior angle between the lights is configured to be 90 to 160 degrees.

여기서, 상기 내각이 90° 미만이 되도록 구성되면, 교차로에서 우회전하는 운전자는 우회전하는 도중에 R LED로부터 발광된 빛과 상기 G LED로 발광된 빛을 모두 감지할 수 있게 되어 명확한 교통신호의 전달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각이 160°가 초과되도록 구성되면,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운전자나 횡단보도에 대기 중인 보행자 중 어느 일방이 LED 모듈로부터 발광된 빛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Here, when the cabinet is configured to be less than 90 °, the driver who turns right at the intersection is able to detect both the light emitted from the R LED and the light emitted by the G LED during the right turn is difficult to transmit a clear traffic signal Can lose. In addition, when the cabinet is configured to exceed 160 °, either one of the driver entering the crosswalk or the pedestrian waiting in the crosswalk may not recogniz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표지병은 신호 수집기(40)를 포함한다. 2, the road mar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collector 40.

상기 신호 수집기(40)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제어부(30)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운전자용 신호등 또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제어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signal collector 40 collects a control signal from a traffic light installed at a crosswalk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 For this purpose, a signal light (driver's traffic light or pedestrian traffic light) and a control unit ( 30) electrically connected.

이러한 신호 수집기(40)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동작이 반복되는 횡단보도의 신호등이 불규칙적인 동작이 발생할 경우에도 상기 불규칙적인 동작에 따라 제어부(30)가 LED 모듈(20)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The signal collector 40 helps the control unit 30 to control the LED module 20 according to the irregular operation even when irregular operation of the traffic light of the crosswalk is repeated at regular intervals.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표지병은 제어부(30)를 포함한다. 2, the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30.

상기 제어부(30)는 LED 모듈(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동하여 LED 모듈(20)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32)를 통해 LED 모듈(20)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D module 20 to control the LED module 20 in conjunction with a traffic light installed in the crosswalk, for example, a switching elemen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electricity provided from the outside ( 32) to control the LED module 20.

그리고 신호 수집기(40)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어부(30)는 신호 수집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신호 수집기(40)로부터 공급된 신호등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LED 모듈(20)을 제어한다.When the signal collector 40 is provided, the controller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collector 40 and controls the LED module 20 based on a control signal such as a signal lamp supplied from the signal collector 40. .

예를 들면, 제어부(30)는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기와 동일한 간격 및 동일한 타이밍으로 LED 모듈(20)이 점멸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신호기와 동일한 간격 및 다른 타이밍, 예를 들어 2 내지 5초 전에 LED 모듈(20)이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기 설정된 LED 모듈(20)의 점멸 제어정보와 신호 수집기(4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점멸 제어정보와 제어신호가 서로 다른 경우에 점멸 제어정보를 제어신호와 일치하도록 수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LED module 20 to blink at the same interval and the same timing as the signal installed in the crosswalk, or at the same interval and other timing as the signal, for example, 2 to 5 seconds before the LED. The module 20 may be controlled to blink.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 compares the flash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preset LED module 20 with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collector 40 to control the flashing control information when the flashing control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ign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You can modify it to match.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10)가 전방의 우회전 방향에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0)는 상기 횡단보도의 신호등으로부터 차량 정지신호 또는 보행자 이동신호를 입력받아 LED 모듈(하나 이상의 R LED 포함)을 점등시킨다. 이에 따라, LED 모듈(20)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적색 광원을 제 1 개방홀(13)을 통해 차량의 역주행 방향으로 발광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of the intersection where the crosswalk exists in the forward right turn direction,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vehicle stop signal or the pedestrian movement signal from the traffic light of the crosswalk LED Turn on the module (with one or more R LEDs). Accordingly, the LED module 20 emits a red light source in the revers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opening hole 13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recognize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

또한, 본체(10)가 횡단보도 또는 횡단보도의 신호등 일단정지선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0)는 상기 횡단보도의 신호등으로부터 차량 정지신호 또는 보행자 이동신호를 입력받아 LED 모듈(R LED 및 G LED 포함)을 점등시킨다. 이에 따라, LED 모듈(20)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적색 광을 제 1 개방홀(13)을 통해 차량의 역주행 방향으로 발광하며, 횡단보도의 진입로에 대기 중인 보행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녹색 광을 제 2 개방홀(14)을 통해 횡단보도의 진입로 방향으로 발광한다.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rosswalk or traffic light of the crosswalk,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vehicle stop signal or the pedestrian movement signal from the traffic light of the crosswalk and the LED module (R LED and G). LED) lights up. Accordingly, the LED module 20 emits red light in the revers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first opening hole 13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recognize the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 and the entrance of the crosswalk. Green light is emitted in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 of the crosswalk through the second opening hole 14 so that pedestrians waiting for the vehicle can recognize the pedestrian.

한편, 제어부(30)는 조도센서(50) 및 가시거리 분석수단(60)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LED 모듈(20)의 점멸을 결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0 analyzes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llumination sensor 50 and the visible distance analysis means 60, and compares the analyzed information with the preset data to determine the blinking of the LED module 20.

다시 말해, 제어부(30)는 일정수준 이상의 시야거리가 확보된 주간에 스위칭 소자(32)를 오프(OFF)시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가 LED 모듈(20)로 제공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일정수준 미만의 시야거리가 확보된 주간 및 야간에는 LED 모듈(20)이 발광될 수 있도록 제어부(30)는 상기 스위칭 소자(32)를 온(ON)시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LED 모듈(20)로 제공한다.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30 turns off the switching element 32 in the daytime when the viewing distance of the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s secured to block the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LED module 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 turns on the switching element 32 to turn on the switching element 32 so that the LED module 20 emits light during the day and night when a viewing distance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is secured. Provided by 2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 표지병은 전력생성기(미도시)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road sign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generator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전력생성기는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전기를 생산하여 제어부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회전수단(71), 회전벨트(72), 발전기(73), 축전기(74), 발전기(73) 및 축전기(74) 사이와 축전기(74) 및 제어부(30) 사이에 구비되는 케이블(75)로 구성된다.The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electricity directly to the control unit without us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the rotating means 71, the rotating belt 72, the generator 73, the capacitor 74, the generator 73 And a cable 75 provided between the capacitor 74 and the capacitor 74 and the controller 30.

상기 회전수단(71)은 도로의 표면에 매설되고 상부만 외부로 노출되어 자동차(100)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서, 중공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도로에 매설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회전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회전수단은 롤러의 좌측 또는 우측면에 기어가 설치될 수 있다.The rotating means 71 is embedded on the surface of the road and is exposed only to the outside to rotate by the movement of the vehicle 100, the hollow is formed, the upper is opened and embedded in the road, the hous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 rotating shaft fixed to the, and supported by the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roller. If necessary, the rotating means may be gear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roller.

상기 회전벨트(72)는 롤러 또는 기어에 연결되어 회전수단(7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발전기(73)는 회전벨트(72)에 연결되어 회전벨트(7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The rotating belt 72 is connected to the roller or gea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means 71, the generator 73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elt 72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belt 72 to receive electricity To generate.

상기 축전기(74)는 발전기(73)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며, 저장된 전기를 상기 제어부로 공급하는 것이다.
The capacitor 74 stores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73 and supplies the stored electricity to the controller.

이와 같이, 도 1을 통해 예시된 도로 표지병은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직접 확인할 수 없는 교차로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가 상기 횡단보도를 이동하는 보행자에 대한 방어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게 미리 정보를 제공한다. As such, the road marker illustrated in FIG. 1 is install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intersection where the driver cannot directly check the crosswalk, so that the driver can perform the defensive driving on the pedestrian moving the crosswalk. To provide.

또한, 도 4 및 도 5를 통해 예시된 도로 표지병은 횡단보도 또는 횡단보도의 신호등 일단정지선에 설치되고, 야간이나 가시거리가 좁은 주간에 운전자 횡단보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횡단보도의 진입로에 대기 중인 보행자에게도 횡단보도의 횡단 시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ad markers illustrated through FIGS. 4 and 5 may be installed at a stop line of a traffic light of a crosswalk or a crosswalk, and may help to recognize a driver's crosswalk at night or in a narrow visibility range as well. Pedestrians waiting on the sidewalk can also help them recognize when a crosswalk is crossing.

아울러, 도 6을 통해 예시된 도로 표지병은 태양광이나 풍력을 이용하는 전력생성기와 달리 차량의 이동을 이용하는 전력생성기를 사용하므로, 자연환경에 상관없이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횡단보도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ad marker illustrated in FIG. 6 uses a power generator using movement of a vehicle, unlike a power generator using solar or wind power, the road sign bottle continuously provides information on a crosswalk to drivers and pedestrians regardless of the natural environment. can do.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 10', 10" : 본체 11 : 원통형 공간부
12 : 확산필름 13 : 제 1 개방홀
14 : 제 2 개방홀 15 : 제 1 투광패널
16 : 제 2 투광패널 17 : 제 1 발광경로
18 : 제 2 발광경로 19 : 도로 삽입부
20 : LED 모듈 30 : 제어부
32 : 스위칭 소자 40 : 신호 수집기
50 : 조도센서 60 : 가시거리 분석수단
71 : 회전수단 72 : 회전벨트
73 : 발전기 74 : 축전기
75 : 케이블 100 : 자동차
200', 200" : 횡단보도 300 : 신호등
400 : 신호등 일단정지선 500 : 교차로 진입로
10, 10 ', 10 ": main body 11: cylindrical space part
12: diffusion film 13: the first opening hole
14 second opening hole 15 first floodlight panel
16: second floodlight panel 17: first light emitting path
18: second light emitting path 19: road insertion unit
20: LED module 30: control unit
32: switching element 40: signal collector
50: illuminance sensor 60: visible distance analysis means
71: rotating means 72: rotating belt
73: generator 74: capacitor
75: cable 100: car
200 ', 200 ": Pedestrian crossing 300: Traffic lights
400: traffic light once stop line 500: intersection ramp

Claims (12)

도로에 설치되고, 내장된 광원을 통해 운전자에게 인식신호를 전달하는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횡단보도 또는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고 차량의 진입 방향과 마주보는 부분에 제 1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과 수직선상의 오른쪽 부분에 제 2 개방홀이 형성되는 본체;
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개방홀 및 제 2 개방홀을 통해 외부로 빛을 발광하기 위해 기판과 상기 기판에 구비되는 LED 칩으로 구성되며, 상기 LED 칩은 상기 제 1 개방홀을 통해 차량의 역주행 방향으로 적색광을 발광하는 적색 LED와 상기 제 2 개방홀을 통해 횡단보도의 진입로에 대기 중인 보행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향으로 녹색광을 발광하는 녹색 LED로 이루어지는 LED 모듈; 및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동하여 상기 LED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In the road sign bottle installed on the road, and transmits a recognition signal to the driver through the built-in light source,
It is installed on the crosswalk or a road adjacent to the crosswalk, and has a space therein, and a first opening hole is formed in a portion faci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second opening hole is formed in the right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A body formed;
It is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and consists of a LED chip provided on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to emit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hole and the second opening hole, the LED chip through the first opening hole An LED module comprising a red LED emitting red light in a revers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 green LED emitting green light in a direction that can be recognized by a pedestrian waiting in an access road of a crosswalk through the second opening; And
Road marker bottle using the LE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D module in conjunction with the traffic light installed in the crosswal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신호 수집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신호 수집기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LED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ignal collector for collect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traffic lights installed in the crosswalk to pas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s a road sign bottle using the LED,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LED modul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signal coll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로의 조도 정보를 제어부로 입력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로의 가시거리 정보를 제어부로 입력하는 가시거리 분석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 및 가시거리 분석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LED 모듈로부터 발광된 빛의 휘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illuminance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or inputting illuminance information of the road to the control unit, and a visual distance analysis mea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or inputting visual field information of the road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s a road sign bottle using the LED,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module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visible distance analysis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는
전방의 우회전 방향에 횡단보도가 존재하는 교차로의 진입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walk and the road adjacent to
Road marker bottle using the 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of the intersection crosswalk exists in the direction of the right turn ahe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는
횡단보도의 신호등 일단정지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walk and the road adjacent to
Road sign bottle using 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ffic light of the crosswalk one stop li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LED로부터 발광된 빛과 상기 녹색 LED로 발광된 빛 사이의 내각이 90 내지 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The method of claim 1,
The road sign bottle using the 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inet betwe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red LED and the light emitted by the green LED is 90 to 160 °.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로에 설치되고, 광원이 내장되어 자체 발광을 통해 운전자에게 인식신호를 전달하는 발광형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횡단보도와 인접한 도로에 설치되고, 내부에 원통형 공간부가 형성되며, 차량의 진입 방향과 마주보는 부분에 제 1 개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진입 방향의 수직선상 오른쪽 부분에 제 2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제 1 개방홀을 연결하는 제 1 발광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와 제 2 개방홀을 연결하는 제 2 발광경로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개방홀 및 제 2 개방홀을 통해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백색 LED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LED 모듈;
상기 공간부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확산필름;
상기 제 1 개방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에 부착되며 적색이 부가된 제 1 투광패널, 및 상기 제 2 개방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에 부착되며 녹색이 부가된 제 2 투광패널; 및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동하여 상기 LED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In the light emitting road sign bottle is installed on the road, the light source is built-in to transmit a recognition signal to the driver through self-illumination,
It is installed on the road adjacent to the pedestrian crossing, the cylindrical space portion is formed therein, the first opening is formed in the portion faci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in the right portion on the vertical line in the entry direction, A main body in which a first light emitting path connecting the space part and the first opening is formed and a second light emitting path connecting the space part and the second opening hole is formed;
An LED module installed in the space part and configured to include a white LED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hole and the second opening hole;
A diffusion film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pace part;
A first floodlight panel attached to the main body to cover the first opening and added with red, and a second floodlight panel attached to the main body to cover the second opening and added to green; And
Road marker bottle using the LE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D module in conjunction with the traffic light installed in the crosswalk.
KR1020110056616A 2011-06-13 2011-06-13 Load safety indicator using light emitting diode KR1011582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616A KR101158243B1 (en) 2011-06-13 2011-06-13 Load safety indicator using light emitting di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616A KR101158243B1 (en) 2011-06-13 2011-06-13 Load safety indicator using light emitting di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8243B1 true KR101158243B1 (en) 2012-06-19

Family

ID=4668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616A KR101158243B1 (en) 2011-06-13 2011-06-13 Load safety indicator using light emitting di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24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678A (en) * 2017-03-21 2018-10-01 박형우 Driving guidance device for guiding signals and lanes to embedded in a road, and driving guidance system using same
KR101986162B1 (en) * 2018-07-03 2019-06-05 (주)미라클산업 Led road stud for crosswalk
KR102116948B1 (en) * 2019-11-22 2020-05-29 주식회사 태성이엔지 Speed Bump for Prevention of Reverse
KR20200104186A (en) * 2019-02-26 2020-09-03 주정주 Solar LED module and crosswalk LED smart indicator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692Y1 (en) * 1999-12-27 2000-05-15 김익배 Road mark
KR20030073096A (en) * 2002-03-08 2003-09-19 김석배 Pilot apparatus of road
KR200434715Y1 (en) * 2006-09-29 2006-12-28 엄재연 Load stud that possess emitting light facility
JP2008311207A (en) * 2007-05-14 2008-12-2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Embedded marker lam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692Y1 (en) * 1999-12-27 2000-05-15 김익배 Road mark
KR20030073096A (en) * 2002-03-08 2003-09-19 김석배 Pilot apparatus of road
KR200434715Y1 (en) * 2006-09-29 2006-12-28 엄재연 Load stud that possess emitting light facility
JP2008311207A (en) * 2007-05-14 2008-12-2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Embedded marker lamp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678A (en) * 2017-03-21 2018-10-01 박형우 Driving guidance device for guiding signals and lanes to embedded in a road, and driving guidance system using same
KR102005383B1 (en) * 2017-03-21 2019-07-30 박형우 Driving guidance device for guiding signals and lanes to embedded in a road, and driving guidance system using same
KR101986162B1 (en) * 2018-07-03 2019-06-05 (주)미라클산업 Led road stud for crosswalk
KR20200104186A (en) * 2019-02-26 2020-09-03 주정주 Solar LED module and crosswalk LED smart indicator using the same
KR102267361B1 (en) * 2019-02-26 2021-06-21 주정주 Solar LED module and crosswalk LED smart indicator using the same
KR102116948B1 (en) * 2019-11-22 2020-05-29 주식회사 태성이엔지 Speed Bump for Prevention of Rever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724B1 (en) Control system for solar road stud
US10253468B1 (en) Pavement marker modules
US9959754B1 (en) Pavement marker modules
EP0422694B1 (en) Luminous horizontal roadway marking strips, and method and devices for forming such luminous horizontal roadway markings
US9702098B1 (en) Pavement marker modules
US4993868A (en) Continuous prefabricated road-marking tape with composite structure and passive and active optical effect completely independent from outside investment and external energy source
US20080216367A1 (en) Road-Marking System
FI122000B (en) Lighting fixtures and systems for improving safety at a crossroads in a traffic lane
US20100098488A1 (en) Solar Powered Road Marker Light
JP6750065B2 (en) Fiber Optic Luminescent Marker
KR100694289B1 (en) Device for emitting light using pedestrian crossing footpath of road
KR101255678B1 (en) Led lighting equipment for road name and road sign board
KR101158243B1 (en) Load safety indicator using light emitting diode
KR20080109432A (en) Guardrail lighting apparatus for road
KR20200073477A (en) System for safely Lighting a Crosswalk
KR101017867B1 (en) A projected led road sign with solar cell
WO2012074201A2 (en) Road marking stud
KR20120117440A (en) Roadbarrier guidance device having solar cells
RU2541591C1 (en) Self-contained pedestrian crossing system with gsm/gprs unit based telemetry
KR100806209B1 (en) Luminous apparatus for over-speed prevention
KR200423179Y1 (en) Induction Device for Vehicle
KR101885882B1 (en) Visibility Device for Median Road
KR101432755B1 (en) Using the median combined solar LED pedestrian safety fence
KR102189175B1 (en) Night lane vehicle guidance facility
KR200413570Y1 (en) Traffic guide lamp with solar light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