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749B1 -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Google Patents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7749B1 KR101157749B1 KR1020107013819A KR20107013819A KR101157749B1 KR 101157749 B1 KR101157749 B1 KR 101157749B1 KR 1020107013819 A KR1020107013819 A KR 1020107013819A KR 20107013819 A KR20107013819 A KR 20107013819A KR 101157749 B1 KR101157749 B1 KR 1011577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acitor
- capacitors
- signal
- circuit
- conver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1946 reduct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6—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 H03M1/0602—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of deviations from the desired transfer characteristic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6—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 H03M1/0617—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 H03M1/0675—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using redundancy
- H03M1/069—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using redundancy by range overlap between successive stages or steps
- H03M1/0695—Continuously compensating for, or preventing, undesired influence of physical parame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thods or mean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detrimental influence using redundancy by range overlap between successive stages or steps using less than the maximum number of output states per stage or step, e.g. 1.5 per stage or less than 1.5 bit per stage type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34—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 H03M1/38—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sequentially only, e.g. successive approximation type
- H03M1/40—Analogue value compared with reference values sequentially only, e.g. successive approximation type recircula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순회형 A/D 변환기의 타이밍 차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순회형 A/D 변환기의 주요한 동작 스텝에 있어서의 회로 접속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CMOS 이미지 센서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순회형 A/D 변환기의 변형예의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순회형 A/D 변환기의 하나의 동작 타이밍 차트(timing chart)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난 순회형 A/D 변환기의 주요한 동작 스텝에 있어서의 회로 접속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난 순회형 A/D 변환기의 다른 동작 타이밍 차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난 순회형 A/D 변환기의 주요한 동작 스텝에 있어서의 회로 접속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순회형 A/D 변환기의 전체 차동 구조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의 형태의 순회형 A/D 변환기의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VR … 제1의 신호 레벨
VS … 제2의 신호 레벨
Ri, Si, TXi … 제어 신호
11 … 수직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12 … 이미지 어레이(image array)
13 … 화소(pixel)
14 … 순회형 A/D 변환기의 어레이
15 … 데이터 레지스터(data register)
16 … 수평 시프트 레지스터
17 … 용장 표현-비용장 표현 변환 회로
21 … 순회형 A/D 변환기
23 … 이득 스테이지(gain stage)
25 … 서브 A/D 변환 회로
27 … 논리 회로
29 … D/A 변환 회로
31, 31a, 31b … 타이밍 회로
33, 35, 37 … 커패시터
39 … 연산 증폭 회로
41 … 전압원
Claims (13)
- 잡음 성분을 포함하는 제1의 신호 레벨과 이 잡음 성분에 중첩된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2의 신호 레벨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서,
제1,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 및 연산 증폭 회로를 가지고, 잡음 감쇄 처리 및 증폭을 행하여 제1 및 제2의 증폭 신호 레벨의 차분 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차분 신호의 순회형 A/D 변환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이득 스테이지와,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출력으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서브 A/D 변환 회로와,
상기 서브 A/D 변환 회로에 접속된 논리 회로와,
상기 논리 회로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D/A 변환 회로와,
상기 이득 스테이지의 상기 잡음 감쇄 처리 및 증폭 및 상기 순회형 A/D 변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잡음 감쇄 처리에서는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상기 제1 및 제2의 증폭 신호 레벨의 어느 일방을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의 각각에 표본화함과 아울러, 상기 제3의 커패시터를 궤환 커패시터로 한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입력에 접속된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를 개재하여, 상기 제1 및 제2의 증폭 신호 레벨의 어느 타방을 받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출력에 상기 차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차분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의 각각에 격납하고,
상기 순회형 A/D 변환을 위한 처리에서는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의 각각을 궤환 커패시터로 한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입력에 접속된 상기 제1의 커패시터를 개재하여, 상기 D/A 변환 회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출력에 연산값을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커패시터에 상기 연산값을 표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신호의 증폭율은, 상기 제3의 커패시터의 용량값과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의 용량값의 합과의 비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감쇄 처리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는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3의 커패시터는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입력과 상기 출력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입력과 상기 출력을 리셋하여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에 상기 제1 및 제2의 증폭 신호 레벨의 어느 일방을 받아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의 각각에 표본화 전하를 격납하고,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상기 제1 및 제2의 증폭 신호 레벨의 어느 타방을,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입력에 접속된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를 개재하여 받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제3의 커패시터에 상기 표본화 전하를 재배치하여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출력에 상기 차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상기 차분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에 표본화하여, 상기 차분 신호에 따른 전하를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의 각각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회형 A/D 변환 처리에서는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가 상기 연산 증폭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상기 D/A 변환 회로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입력에 접속된 상기 제1의 커패시터를 개재하여 받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의 커패시터 상의 전하를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에 전송하여 전하를 재배치함으로써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출력에 상기 연산값을 생성하고,
상기 제1의 커패시터는, 상기 연산값을 받아 상기 연산값에 대응한 전하를 격납하고,
상기 순회형 A/D 변환 처리를 소망의 횟수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서브 A/D 변환 회로가 비트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모두 차동 구성이고,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제4, 제5 및 제6의 커패시터를 더 가지고,
상기 잡음 감쇄 처리에서는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상기 제1 및 제2의 증폭 신호 레벨의 어느 일방을 상기 제4 및 제5의 커패시터의 각각에 표본화함과 아울러, 상기 제6의 커패시터를 궤환 커패시터로 한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입력에 접속된 상기 제4 및 제5의 커패시터를 개재하여, 상기 제1 및 제2의 증폭 신호 레벨의 어느 타방을 받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출력에 상기 차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차분 신호를 상기 제4 및 제5의 커패시터의 각각에 표본화하고,
상기 순회형 A/D 변환을 위한 처리에서는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상기 제5 및 제6의 커패시터의 각각을 궤환 커패시터로 한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입력에 접속된 상기 제4의 커패시터를 개재하여, 상기 D/A 변환 회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출력에 연산값을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4의 커패시터에 상기 연산값을 표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잡음 성분을 포함하는 제1의 신호 레벨과 이 잡음 성분에 중첩된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2의 신호 레벨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서,
제1,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 및 연산 증폭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신호 레벨의 차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잡음 감쇄 처리를 실행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차분 신호의 순회형 A/D 변환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이득 스테이지와,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출력으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서브 A/D 변환 회로와,
상기 서브 A/D 변환 회로에 접속된 논리 회로와,
상기 논리 회로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D/A 변환 회로와,
상기 이득 스테이지의 상기 잡음 감쇄 처리 및 상기 순회형 A/D 변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잡음 감쇄 처리에서는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상기 제1 및 제2의 신호 레벨의 어느 일방을 제1의 표본화 커패시터에 표본화함과 아울러, 제1의 궤환 커패시터가 접속된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입력에 접속된 상기 제1의 표본화 커패시터를 개재하여, 상기 제1 및 제2의 신호 레벨의 어느 타방을 받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출력에 상기 차분 신호의 생성을 행하고, 상기 차분 신호를 상기 제1의 표본화 커패시터 및 상기 제1의 궤환 커패시터에 격납하고,
상기 순회형 A/D 변환을 위한 처리에서는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제2의 궤환 커패시터가 접속된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입력에 접속된 제2의 표본화 커패시터를 개재하여, 상기 D/A 변환 회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출력에 연산값을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표본화 커패시터에 상기 연산값을 격납하고,
상기 잡음 감쇄 처리는 배타적으로 실행 가능한 제1 및 제2의 처리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회로는 상기 이득 스테이지의 상기 제1 및 제2의 처리 모드의 동작을 선택함과 아울러 이 선택된 처리 모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의 처리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이득 스테이지의 제1의 이득은 상기 제3의 커패시터의 용량값과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의 용량값의 합과의 비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2의 처리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이득 스테이지의 제2의 이득은 상기 제3의 커패시터의 용량값과 상기 제1의 커패시터의 용량값의 비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상기 제2의 표본화 커패시터가 상기 제1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1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궤환 커패시터가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제1의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제1의 표본화 커패시터가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궤환 커패시터가 상기 제3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3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제2의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제1의 표본화 커패시터가 상기 제1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1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궤환 커패시터가 상기 제3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3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하고, 상기 차분 신호를 표본화하기 위해서, 상기 제1의 표본화 커패시터에의 상기 제2의 커패시터의 병렬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제3의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감쇄 처리는, 제1 및 제2의 처리 모드에 대해서 배타적으로 실행 가능한 제3의 처리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의 처리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이득 스테이지의 제3의 이득은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의 용량값의 합과 상기 제1의 커패시터의 용량값의 비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타이밍 회로는 상기 이득 스테이지의 상기 제1 및 제2의 처리 모드에 더하여 상기 제3의 처리 모드의 동작을 선택하고,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상기 제1의 표본화 커패시터가 상기 제1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1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궤환 커패시터가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제4의 스위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잡음 성분을 포함하는 제1의 신호 레벨과 이 잡음 성분에 중첩된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제2의 신호 레벨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서,
제1,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 및 연산 증폭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신호 레벨의 차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잡음 감쇄 처리를 실행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차분 신호의 순회형 A/D 변환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이득 스테이지와,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출력으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서브 A/D 변환 회로와,
상기 서브 A/D 변환 회로에 접속된 논리 회로와,
상기 논리 회로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D/A 변환 회로와,
상기 이득 스테이지의 상기 잡음 감쇄 처리 및 상기 순회형 A/D 변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잡음 감쇄 처리에서는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상기 제1 및 제2의 신호 레벨의 어느 일방을 제1의 표본화 커패시터에 표본화함과 아울러, 제1의 궤환 커패시터가 접속된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입력에 접속된 상기 제1의 표본화 커패시터를 개재하여, 상기 제1 및 제2의 신호 레벨의 어느 타방을 받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출력에 상기 차분 신호의 생성을 행하고, 상기 차분 신호를 상기 제1의 표본화 커패시터 및 상기 제1의 궤환 커패시터에 격납하고,
상기 순회형 A/D 변환을 위한 처리에서는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제2의 궤환 커패시터가 접속된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입력에 접속된 제2의 표본화 커패시터를 개재하여, 상기 D/A 변환 회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상기 연산 증폭 회로의 상기 출력에 연산값을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2의 표본화 커패시터에 상기 연산값을 격납하고,
상기 잡음 감쇄 처리는 배타적으로 실행 가능한 제1 및 제3의 처리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회로는 상기 이득 스테이지의 상기 제1 및 제3의 처리 모드의 동작을 선택함과 아울러 이 선택된 잡음 감쇄 처리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의 처리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이득 스테이지의 제1의 이득은 상기 제3의 커패시터의 용량값과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의 용량값의 합과의 비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3의 처리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이득 스테이지의 제3의 이득은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의 용량값의 합과 상기 제1의 커패시터의 용량값의 비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이득 스테이지는,
상기 제2의 표본화 커패시터가 상기 제1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1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궤환 커패시터가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제1의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제1의 표본화 커패시터가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궤환 커패시터가 상기 제3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3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제2의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제1의 표본화 커패시터가 상기 제1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1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의 궤환 커패시터가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에 의해 구성되도록 상기 제2 및 제3의 커패시터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제4의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제1항, 제6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A/D 변환 회로는, 상기 이득 스테이지로부터의 신호를 소정의 2개의 기준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3치의 용장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제1항, 제6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커패시터와 상기 제3의 커패시터의 비 (C2/C3)는 m-1이고,
상기 제1의 커패시터와 상기 제3의 커패시터의 비 (C1/C3)는 m이고,
m은 2 이상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제1항, 제6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회형 A/D 변환에 있어서의 상기 이득 스테이지의 이득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제1항, 제6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회형 A/D 변환에 있어서의 상기 이득 스테이지의 이득은 2 미만이고,
당해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이득에 관련지어진 보정 계수를 이용하여, N회의 순회형 A/D 변환 동작에 의한 상기 서브 A/D 변환 회로로부터의 디지털 값을 보정하여, M+1(N>M+1) 비트의 디지털 값을 생성하는 보정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제1항, 제6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A/D 변환 회로는, 상기 이득 스테이지로부터의 신호를 소정의 기준 신호와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8002598 | 2008-01-09 | ||
JPJP-P-2008-002598 | 2008-01-09 | ||
PCT/JP2009/050148 WO2009088041A1 (ja) | 2008-01-09 | 2009-01-08 | 巡回型アナログ・ディジタル変換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6195A KR20100096195A (ko) | 2010-09-01 |
KR101157749B1 true KR101157749B1 (ko) | 2012-06-25 |
Family
ID=4085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13819A Active KR101157749B1 (ko) | 2008-01-09 | 2009-01-08 |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149150B2 (ko) |
JP (1) | JP5339454B2 (ko) |
KR (1) | KR101157749B1 (ko) |
WO (1) | WO200908804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81171B2 (en) * | 2008-10-17 | 2013-11-12 |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Shizuoka University | Cyclic A/D converter, image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signal from analog signal |
CN102025378B (zh) * | 2009-09-14 | 2014-06-18 |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 共用运算放大器的多通道∑-△转换电路及其辅助方法 |
EP2571169B1 (en) * | 2010-05-14 | 2019-07-03 |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Shizuoka University | A/d converter |
KR101749958B1 (ko) * | 2010-07-08 | 2017-06-22 |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 초퍼 기준 전압을 이용한 스위치형 커패시터 시그마-델타 변조기의 2단계 이득 교정과 스케일링 방식 |
KR101186916B1 (ko) | 2010-08-31 | 2012-10-02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커패시터 간의 미스매치를 보정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
US10498228B1 (en) * | 2010-12-20 | 2019-12-03 | Anadyne, Inc. | Sub-circuit with cyclically swapped standby circuits |
JP6295667B2 (ja) * | 2014-01-09 | 2018-03-20 | 株式会社リコー | A/d変換器、撮像素子、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6545213B2 (ja) * | 2017-03-17 | 2019-07-17 | アンリツ株式会社 | 3値信号発生装置及び3値信号発生方法 |
JP7512246B2 (ja) | 2019-02-20 | 2024-07-08 |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逐次比較型ADコンバータ、Iotセンサ、及び生体センサ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52937A (ko) * | 2003-07-30 | 2006-05-19 |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 공간 효율적 저전력 주기적 a/d 변환기 |
KR20070073854A (ko) * | 2004-10-01 | 2007-07-10 | 스미스 에어로스페이스 엘엘씨 | 통합된 아날로그 입력 전단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6356A (ja) * | 1991-08-27 | 1993-03-05 | Olympus Optical Co Ltd | 信号処理回路 |
JP3962788B2 (ja) * | 2003-10-29 | 2007-08-22 | 国立大学法人静岡大学 | A/d変換アレイ及びイメージセンサ |
JP4469988B2 (ja) * | 2005-09-07 | 2010-06-02 | 国立大学法人静岡大学 | ノイズキャンセル機能付きa/d変換器 |
JP4478798B2 (ja) * | 2005-10-07 | 2010-06-09 | 国立大学法人静岡大学 | オフセット低減機能をもつ巡回型a/d変換器、およびオフセット電圧を低減する方法 |
US7443333B2 (en) * | 2007-02-13 | 2008-10-28 | Freescale Semiconductor, Inc. | Single stage cyclic analog to digital converter with variable resolution |
-
2009
- 2009-01-08 JP JP2009548949A patent/JP5339454B2/ja active Active
- 2009-01-08 WO PCT/JP2009/050148 patent/WO200908804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1-08 KR KR1020107013819A patent/KR101157749B1/ko active Active
- 2009-01-08 US US12/812,204 patent/US814915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52937A (ko) * | 2003-07-30 | 2006-05-19 |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 공간 효율적 저전력 주기적 a/d 변환기 |
KR20070073854A (ko) * | 2004-10-01 | 2007-07-10 | 스미스 에어로스페이스 엘엘씨 | 통합된 아날로그 입력 전단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09088041A1 (ja) | 2011-05-26 |
KR20100096195A (ko) | 2010-09-01 |
US8149150B2 (en) | 2012-04-03 |
JP5339454B2 (ja) | 2013-11-13 |
US20110006935A1 (en) | 2011-01-13 |
WO2009088041A1 (ja) | 2009-07-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7749B1 (ko) | 순회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 |
KR101148169B1 (ko) | 에이/디 변환 어레이 및 이미지 센서 | |
JP5378945B2 (ja) | X線画素検出器の読出し回路及び集積回路 | |
EP2571169B1 (en) | A/d converter | |
JP4366501B2 (ja) | ディジタルノイズキャンセル機能をもつイメージセンサ | |
US7825975B2 (en) | Imaging array with improved dynamic range | |
US8797455B2 (en) | Analog-to-digital converter,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and apparatus including image sensor | |
KR101743800B1 (ko) | A/d 변환기, 이미지 센서 디바이스 및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 |
US8189079B2 (en) |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 |
JPWO2009131018A1 (ja) | イメージセンサー用a/d変換器 | |
JP2007251680A (ja) | イメージセンサ | |
JP5187782B2 (ja) | 巡回型a/d変換器、イメージセンサデバイス、及びアナログ信号からディジタル信号を生成する方法 | |
JP4469989B2 (ja) | Nビットa/d変換器 | |
JP2017112605A (ja) | 撮像装置 | |
JP4328863B2 (ja) | 巡回型a/d変換器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 | |
JP4423427B2 (ja) | アナログディジタル変換器およびイメージセンシング半導体デバイス | |
JP4469988B2 (ja) | ノイズキャンセル機能付きa/d変換器 | |
JP4478798B2 (ja) | オフセット低減機能をもつ巡回型a/d変換器、およびオフセット電圧を低減する方法 | |
JP7198835B2 (ja) | Ad変換装置、撮像装置、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ad変換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6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