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294B1 -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294B1
KR101157294B1 KR1020050116616A KR20050116616A KR101157294B1 KR 101157294 B1 KR101157294 B1 KR 101157294B1 KR 1020050116616 A KR1020050116616 A KR 1020050116616A KR 20050116616 A KR20050116616 A KR 20050116616A KR 101157294 B1 KR101157294 B1 KR 101157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unit
emergency
driving
govern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237A (ko
Inventor
고영도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294B1/ko
Publication of KR2007005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3/00Control of linear speed; Control of angular speed; Control of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g. of a prime mover
    • G05D13/34Control of linear speed; Control of angular speed; Control of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g. of a prime mover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 G05D13/60Control of linear speed; Control of angular speed; Control of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g. of a prime mover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using regulating devices with proportional band, derivative and integral action, i.e. PID regul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8Warning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ump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운전 또는 고장진단이 가능한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버너 제어장치가 비상운전수단을 구비하여 긴급한 발전이 필요한 상황에 일정 출력전압이 발전되도록 엔진 구동을 제어할 수가 있어서, 긴급한 발전이 필요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엔진을 구동할 수가 없어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나 불편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장치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경우들을 진단하고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이를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장치에 발생될 수 있는 동작 이상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가버너, 제어장치, 비상운전, 고장진단

Description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Electric governor controller}
도 1에서 종래의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장치 102 : 액츄에이터
112 : PID 제어기 114 : 운전부
200 : 제 1 진단부 202 : 비상운전 선택부
204 : 비상운전부 206 : 제 2 진단부
본 발명은 비상운전 또는 고장진단이 가능한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의 구동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젤엔진에 있어서 정속운전은 발전전압의 안정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정속운전 제어를 위하여 연료분사량을 조절하는 가버너(Governor)가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는 기계식 가버너를 사용해 연료량을 조절해 왔으나, 기계식 가버너는 구성 부품의 수가 많고 이 때문에 제작단가가 높아지며, 조립에 따른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심하다. 특히 기계식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엔진의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기식 가버너가 도입되었으며, 전기식 가버너는 크게 제어장치(100)와 액츄에이터(Actuator)(102)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살펴보면, 제어장치(100) 내의 FV(Frequency-Voltage) 변환부(110)는 속도센서(104)로부터 엔진(106)의 회전 속도에 따른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전압 크기를 가지는 신호를 출력한다.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기(112)는 FV 변환부(110)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엔진(106)의 회전 속도와 기 설정해 놓은 정격속도의 차이값에 대한 PID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운전부(114)는 PID 제어기(112)의 제어에 따라 펄스폭변조(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로 액츄에이터(102)를 제어한다. 이때, 액츄에이터(102)는 솔레노이드로 구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전류 구동방식을 취한다.
한편, 전원 공급부(116)는 배터리(Battery)(108)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가버너 제어장치(100)의 구동에 사용되는 소정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가버너 제어장치(100) 내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도 1에서는 전원 공급부(116)에서 각 부에 공급되는 전원라인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기식 가버너는 기계식 가버너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구동이 정밀하여 엔진의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하도록 해 준다.
하지만, 종래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100)에는 긴급한 발전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엔진을 구동시킬 수 있는 비상 운전수단이 구비되지 않아서 사고나 불편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버너 제어장치(100)의 구동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경우들을 진단하고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에 이를 알리는 수단이 미흡하여 가버너의 동작 이상을 관리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비상 운전수단을 구비한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경우들을 진단하고 구동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 이를 알리는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는 엔진의 회전속도와 정격속도의 차이값에 대한 PID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PID 제어기; 상기 PID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운전부; 사용자로부터 비상운전을 선택받는 비상운전 선택부; 및 상기 비상운전 선택부를 통해 비상운전이 선택된 경우에, 미리 설정해 놓은 일정 연료량이 분사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비상운전부(2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는 엔진의 회전속도와 정격속도의 차이값에 대한 PID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PID 제어기; 상기 PID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운전부(114); 및 상기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속도센서가 엔진의 회전속도를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속도센서가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없는 거리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가버너에 구비된 경보부를 제어하여 이를 알리는 제 1 진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진단부는 상기 속도센서의 신호 전압 크기로 상기 속도센서가 상기 엔진의 회전속도를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없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100)는 FV 변환부(110)와, PID 변환부(112)와, 운전부(114)와, 전원 공급부(116)와, 비상운전 선택부(202)와, 비상운전부(204)와, 제 1 진단부(200)와, 제 2 진단부(206)로 구성된다.
FV 변환부(110)와, PID 변환부(112)와, 운전부(114)와, 전원 공급부(116)는 도 1을 통해 언급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여기서는 언급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100)는 긴급한 발전이 필요한 상황에 엔진을 구동시킬 수 있는 비상운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비상운전수단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운전 선택부(202)와 비상운전부(204)를 구비하고 있으며, 비상운전 선택부(202)는 사용자로부터 비상운전을 선택받는다.
비상운전부(204)는 사용자가 비상운전 선택부(202)를 통해 비상운전을 선택한 경우에, 미리 설정해 놓은 일정 연료량이 분사되도록 액츄에이터(102)의 구동을 제어하고, 그리하여 비상시 엔진(106)이 구동되며 일정 출력전압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운전 선택부(202)는 엔진(106)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식 가버너는 엔진(106)의 종류에 따라 액츄에이터(102)의 연료분사량을 조절하며 엔진(106)의 정속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그래서 비상운전 선택부(202)에 엔진(106)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 엔진(106)의 종류를 선택받아, 비상운전부(204)가 비상운전 선택부(202)에서 선택된 엔진(106)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일정 연료량이 분사되도록 액츄에이터(102)를 구동시킴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엔진(106)의 운전을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100)는 구동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경우들을 진단하고,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 이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가버너의 제어장치(100)에 제 1 진단부(200)와 제 2 진단부(206)를 구비하도록 한다.
제 1 진단부(200)는 속도센서(104)가 엔진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신호의 전압 크기를 측정하여 신호의 전압 레벨이 미리 설정해 놓은 전압 크기 값보다 작은 경우에 가버너에 구비되어 있는 경보부(208)를 제어하여 엔진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데 이상이 있음을 알린다.
이와 같이, 제 1 진단부(200)는 속도센서(104)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 크기가 설정값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기계적인 문제로 인해 엔진(106)과 속도센서(104)와의 간격이 속도센서(104)가 엔진(106)의 회전 속도를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거리보다 벌어졌는지의 여부를 진단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가버너 제어장치(100) 내에 입력되는 속도센서(104)의 출력신호 이상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엔진(106)과 속도센서(104)가 나사의 풀림 등으로 인해 이동하며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경우에 발생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 1 진단부(200)는 속도센서(104)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 크기를 확인함으로써 속도센서(104)가 엔진(106)의 회전 속도를 정상 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진단하고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없는 거리에 속도센서(104)가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가버너에 구비된 경보부(208)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엔진(106)의 회전 속도 감지에 이상이 있음을 알린다.
여기서 가버너에 구비된 경보부(208)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보등이거나 스피커, 표시패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진단부(206)는 전원 공급부(116)의 출력전압을 확인한다. 제 2 진단부(206)는 전원 공급부(116)에서 제어장치(100)의 구동을 위해서 정상적인 전원을 공급해 주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전원 공급부(116)에서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해 주지 못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가버너에 구비된 경보부(208)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어장치의 전원 공급부(116)에 이상이 있음을 알린다.
제 2 진단부(206)는 전원 공급부(116)의 출력전압 크기가 미리 설정해 놓은 전압 레벨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비교하여 또는 전원 공급부(116)에서 제어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전원 공급부(116)에서 정상적인 전원을 제어장치(100) 내에 공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진단부(206) 및 제 2 진단부(206)의 제어를 받는 가버너의 경보부(208)는 배터리(108)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도 2에서는 전원 공급부(116)에서 각 부에 공급되는 전원라인 및 베터리(108)에서 제 2 진단부(206) 및 경보부(208)에 공급되는 전원라인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어장치(100)에서는 기계적인 문제로 인해 엔진(106)과 속도센서(104)와의 간격이 속도센서(104)가 엔진(106)의 회전 속도를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거리보다 벌어져 구동에 이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경우를 진단 및 제어장치(100) 내에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못할 경우를 진단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손쉽게 발생된 이상을 확인하고 사용자 스스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상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버너 제어장치가 비상운전수단을 구비하여 긴급한 발전이 필요한 상황에 일정 출력전압이 발전되도록 엔진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긴급한 발전이 필요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엔진을 구동할 수가 없어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나 불편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가버너 제어장치는 속도센서가 엔진의 회전속도를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속도센서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엔진의 정상적인 회전속도 감지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경우를 진단한다. 또한, 가버너 제어장치는 구동에 필요한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전원 공급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경우를 진단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에 가버너에 구비된 경보부를 통해 이를 알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치에 발생될 수 있는 동작 이상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 준다.

Claims (3)

  1. 엔진의 회전속도와 정격속도의 차이값에 대한 PID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PID 제어기(112);
    상기 PID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운전부(114);
    사용자로부터 비상운전을 선택받는 비상운전 선택부(202); 및
    상기 비상운전 선택부를 통해 비상운전이 선택된 경우에, 미리 설정해 놓은 일정 연료량이 분사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비상운전부(2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
  2. 엔진의 회전속도와 정격속도의 차이값에 대한 PID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PID 제어기(112);
    상기 PID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운전부(114); 및
    상기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속도센서가 엔진의 회전속도를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속도센서가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없는 거리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가버너에 구비된 경보부(208)를 제어하여 이를 알리는 제 1 진단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단부(200)는
    상기 속도센서의 신호 전압 크기로 상기 속도센서가 상기 엔진의 회전속도를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없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
KR1020050116616A 2005-12-01 2005-12-01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 KR101157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616A KR101157294B1 (ko) 2005-12-01 2005-12-01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616A KR101157294B1 (ko) 2005-12-01 2005-12-01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237A KR20070058237A (ko) 2007-06-08
KR101157294B1 true KR101157294B1 (ko) 2012-06-15

Family

ID=3835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616A KR101157294B1 (ko) 2005-12-01 2005-12-01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830B1 (ko) 2014-11-24 2016-01-20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비상운전수단이 구비되는 터빈발전시스템과 그 비상운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681B1 (ko) 2016-03-07 2023-11-02 립하이 주식회사 전기변색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9443A (ja) * 1987-12-17 1989-06-22 Komatsu Ltd 内燃機関用電子ガバナの制御方式
JPH03151535A (ja) * 1989-11-08 1991-06-27 Kubota Corp 燃料供給制御装置
KR20010061832A (ko) * 1999-12-29 2001-07-07 양재신 디젤엔진용 가버너 액츄에이터의 단선 및 단락 검출회로
JP2002327644A (ja) 2001-04-27 2002-11-15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電子ガバナ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緊急運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9443A (ja) * 1987-12-17 1989-06-22 Komatsu Ltd 内燃機関用電子ガバナの制御方式
JPH03151535A (ja) * 1989-11-08 1991-06-27 Kubota Corp 燃料供給制御装置
KR20010061832A (ko) * 1999-12-29 2001-07-07 양재신 디젤엔진용 가버너 액츄에이터의 단선 및 단락 검출회로
JP2002327644A (ja) 2001-04-27 2002-11-15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電子ガバナ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緊急運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830B1 (ko) 2014-11-24 2016-01-20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비상운전수단이 구비되는 터빈발전시스템과 그 비상운전방법
US10215058B2 (en) 2014-11-24 2019-02-26 Posco Energy Co., Ltd. Turbine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emergency operation means, and emergency operation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237A (ko) 200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5908A1 (en) Redundant power supply circuit and motor driving circuit
JP2008507447A (ja) 自動車の内燃機関の燃料ポンプに電流を供給する装置
KR20130056936A (ko) 모터 구동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WO2015053206A1 (ja) 電子制御装置
JP374131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電圧監視方法
KR101157294B1 (ko) 전기식 가버너 제어장치
KR100717303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및 드라이버 진단장치 및 그것의제어방법
KR20160110700A (ko) 배터리 시스템 고장진단 장치
CN106786387B (zh) 一种电机的控制方法及装置
JP6457589B2 (ja) 異常診断装置および異常診断方法
KR101015463B1 (ko) 가스 차량용 연료펌프모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9063412A (ja) ロータリエンコーダの寿命予知方法、ロータリエンコーダおよび電子制御システム
JP2019152171A (ja) 制御装置
KR20140047648A (ko) 서보 드라이버 검사 장치
JP2006300284A (ja) 車両の故障診断方法及び装置
KR20200124786A (ko) 배터리 센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8941955B2 (en) Overvoltage prevention in an aircraf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643340B1 (ko) 건설기계의 엔진 시동 시스템
KR20110122302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인버터 고장 검출 회로 및 방법
KR101271407B1 (ko) 모터 구동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36313B1 (ko) Dc- dc 컨버터의 고장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US6675642B1 (en) Device for detecting the slip of a driving belt of a generator driven by a driving motor
KR101582826B1 (ko) 자동차의 전원 장치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061775B1 (ko) 디젤 연료 차량의 브러시형 직류 모터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7379894B2 (ja) モ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