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114B1 -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114B1
KR101156114B1 KR1020050064553A KR20050064553A KR101156114B1 KR 101156114 B1 KR101156114 B1 KR 101156114B1 KR 1020050064553 A KR1020050064553 A KR 1020050064553A KR 20050064553 A KR20050064553 A KR 20050064553A KR 101156114 B1 KR101156114 B1 KR 101156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histogram
correction amount
scanning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922A (ko
Inventor
황태윤
준 하세가와
정현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1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0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04N1/4072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 H04N1/4074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using histograms

Abstract

본 발명은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은 원고의 여백 부분을 스캐닝하는 단계; 스캐닝된 영역에 대해 명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단계; 작성된 히스토그램 상에서 명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보정량을 이용하여 차후에 스캐닝되는 화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책을 스캐닝하는 경우 불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는 책의 중앙부분에 대한 화상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개선된 화질의 화상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image data in a scanning devic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캐닝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a는 도 2에 있어서 히스토그램 작성부에 의해 작성되는 명도 히스토그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b는 도 2에 있어서 보정량 계산부에 의해 구해지는 도 4a에 대한 역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도, 및 도 4c는 도 4a에서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보정량의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도 4a의 히스토그램에서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을 새튜레이팅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스캐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책을 스캐닝하는 경우 불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는 책의 중앙부분에 대한 화상데이터를 보정하여 개선된 화질의 화상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캐닝장치는, 문자 또는 화상정보가 기록된 원고로부터 그 정보를 읽어들이는 장치를 말하며, 팩시밀리와 복합기의 송신부, 스캐너, 복사기의 스캔장치 등에 적용된다. 스캐닝장치는 빛을 원고에 투사하여 반사시키고, 반사된 빛을 전계방출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나 접촉 이미지센서(CIS: Contact Image Sensor)와 같은 센서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후, 이를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랫베드(flat bed)방식 스캐닝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각종 부품들이 내장된 스캐닝장치(100)의 상부면에는 스테이지 글래스(140)가 설치되고, 스캐닝장치(100) 내에는 스캐닝센서를 포함하는 스캐닝헤드(110)가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Y방향(부주사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면서 스테이지 글래스(140)상에 놓여진 책이나 문서를 스캐닝하며, 스캐닝장치(100)의 상부에는 스캐닝 동작시에 책 또는 문서를 덮는 커버(1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캐닝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20)가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캐너를 사용하여 제본부(151)를 갖는 책(150)을 스캐닝하는 경우, 책(150)을 펼친 후 스테이지 글래스(140)에 밀착시킬 때 제본부(151)가 있는 책의 중앙부분이 제대로 펼쳐지지 못하기 때문에 책의 중앙부분의 글자나 그림이 정확하게 스캐닝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책의 중앙부분을 제대로 스캐닝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책을 세게 누르게 되면, 큰 압력으로 인해 스캐너에 무리가 가게 되어 오동작 또는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책을 스캐닝하는 경우 책의 중앙부분에 대한 화상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개선된 화질의 화상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은, 원고의 여백 부분을 스캐닝하는 단계; 스캐닝된 영역에 대해 명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단계; 작성된 히스토그램 상에서 명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보 정량을 이용하여 차후에 스캐닝되는 화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히스토그램의 역 히스토그램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역 히스토그램에서 상기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히스토그램의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해 명도값을 소정의 임계값으로 새튜레이팅하여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장치는, 스캐닝장치에서 화상데이터를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tm캐닝된 영역에 대해 명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히스토그램 작성부; 작성된 히스토그램 상에서 명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보정량을 계산하는 보정량 계산부; 및 계산된 보정량을 이용하여 차후에 스캐닝되는 화상데이터를 보정하는 화상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은, 사용자가 원고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원고의 여백 부분을 스캐닝하는 단계; 스캐닝된 영역에 대해 명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단계; 히스토그램상의 최소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의 압력 및 현재 사용자가 누르고 있는 압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적절한 압력으로 책을 누르는 상태에서 스캐닝되는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화상데이터 보정장치는 스캐닝센서를 통해 화상을 읽어들이는 스캐닝부(210), 스캐닝된 영역에 대해 명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히스토그램 작성부(220), 작성된 히스토그램에 기초하여 명도의 보정량을 계산하는 보정량 계산부(230), 계산된 보정량에 기초하여 스캐닝되는 화상데이터를 보정하는 화상데이터 보정부(240) 및 보정된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데이터 출력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의 일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구성요소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S300 단계에서 스캐닝부(210)는 책의 여백 부분을 스캐닝한다. 책의 여백 부분은 책에 문자나 이미지 정보가 없는 흰색 영역을 말하며, 예를 들어 책의 상단 부분이 이에 해당된다.
S310 단계에서는 히스토그램 작성부(220)는 스캐닝된 영역에 대해 명도 히스토그램을 작성한다. 도 4a에는 히스토그램 작성부(220)에서 작성된 히스토그램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화소 위치에 대한 명도값은 예를 들어 0 내지 255의 값을 가진다. 책의 중앙부분(도 4a에서, a에서 b까지의 영역)에는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명도값들이 분포되어 있다. 이 부분은 원본과는 다르게 검게 표현되는 부분으로서, 스캐닝되는 화상데이터에서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해당된다.
S320 단계에서는 보정량 계산부(230)는 작성된 히스토그램의 역 히스토그램 을 구하여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보정량을 계산한다. 도 4b에는 도 4a의 히스토그램에 대한 역 히스토그램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c에는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보정량을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S330 단계에서는 화상데이터 보정부(240)는 보정량 계산부(230)에서 계산된 보정량을 이용하여, 차후에 스캐닝부(210)로부터 스캐닝되는 화상데이터를 보정하고, 화상데이터 출력부(250)는 보정된 화상데이터를 출력한다. 화상데이터 출력부(250)는 화상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장치일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화상데이터 출력부(250)는 호스트(미도시)로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구성요소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S500 단계에서 스캐닝부(210)는 책의 여백 부분을 스캐닝한다. S510 단계에서는 히스토그램 작성부(220)는 스캐닝된 영역에 대해 히스토그램을 작성한다. S500 단계 및 S510 단계는 도 3의 S300 단계 및 S310 단계와 동일하다.
S520 단계에서는 보정량 계산부(230)는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해 소정의 임계값으로 새튜레이팅하여 보정량을 계산한다. 도 6에는 도 4a의 히스토그램 상의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해 소정의 임계값으로 새튜레이팅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S530 단계에서는 화상데이터 보정부(240)는 새튜레이팅된 보정량을 이용하여 차후에 스캐닝되는 화상데이터를 보정하고, 화상데이터 출력부(250)는 보정된 화상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화상데이터 보정장치는 스캐닝센서를 통해 화상을 읽어들이는 스캐닝부(710), 스캐닝부(710)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720), 스캐닝된 영역에 대해 명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히스토그램 작성부(731)를 구비하는 제어부(730), 압력 센서(720)를 통해 측정한 압력을 저장하는 메모리(740), 측정한 압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750) 및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데이터 출력부(7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 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의 구성요소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S800 단계에서는 스캐닝부(210)는 책의 여백 부분을 스캐닝한다. 이 때, 압력 센서(720)는 사용자가 책을 누르고 있는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 센서(720)는 스캐닝부(21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S810 단계에서는 히스토그램 작성부(731)는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에 따라 스캐닝된 영역에 대해 히스토그램을 작성한다. 히스토그램 작성부(731)의 동작은 도 2의 히스토그램 작성부(220)의 동작과 동일하다.
S820 단계에서는 제어부(730)는 히스토그램의 최소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의 압력을 메모리(740)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에 따라 도 4a의 명도 히스토그램에서 명도값 곡선이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책을 세게 누르면 명도값 곡선은 위로 이동하게 되고, 사용자가 책을 약하게 누르면 명도값 곡선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책을 누른 상태에서 스캐닝하였을 때, 스캐닝된 영역의 히스토그램의 최소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730)는 이 때의 압력(이하, 기준 압력이라 함)을 메모리(740)에 저장한다.
S830 단계에서는 제어부(730)는 기준 압력을 디스플레이부(750)에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사용자가 책을 누르고 있는 압력이 압력 센서(720)에 의해 측정되면, 현재의 압력을 디스플레이부(750)에 디스플레이한다.
S840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750)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기준 압력과 현재의 압력을 확인하면서 적절한 압력으로 책을 누르면, 제어부(730)는 이 상태에서 스캐닝되는 화상데이터를 화상데이터 출력부(76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책을 스캐닝하는 경우 불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는 책의 중앙부분에 대한 화상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개선된 화질의 화상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적절한 압력으로 책을 누르면서 스캐닝할 수 있으므로, 스캐닝장치에 무리를 주지 않을 수 있다.

Claims (5)

  1. 원고를 스캐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된 영역에 대해 명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히스토그램 상에서 명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보정량을 이용하여 차후에 스캐닝되는 화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히스토그램의 역 히스토그램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역 히스토그램에서 상기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히스토그램의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해 명도값을 소정의 임계값으로 새튜레이팅하여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4. 스캐닝장치에서 화상데이터를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스캐닝된 영역에 대해 명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히스토그램 작성부;
    상기 작성된 히스토그램 상에서 명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보정량을 계산하는 보정량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보정량을 이용하여 차후에 스캐닝되는 화상데이터를 보정하는 화상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장치.
  5. 압력이 가해진 원고를 스캐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된 영역에 대해 명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히스토그램상의 명도의 최소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의 압력 및 현재 가해지는 압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히스토그램 상에서 명도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보정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보정량을 이용하여 차후에 스캐닝되는 화상데이터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KR1020050064553A 2005-07-16 2005-07-16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및 장치 KR101156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553A KR101156114B1 (ko) 2005-07-16 2005-07-16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553A KR101156114B1 (ko) 2005-07-16 2005-07-16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922A KR20070009922A (ko) 2007-01-19
KR101156114B1 true KR101156114B1 (ko) 2012-06-20

Family

ID=3801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553A KR101156114B1 (ko) 2005-07-16 2005-07-16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002B1 (ko) 2006-07-14 201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3470A (ja) * 1997-04-01 1998-10-23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3470A (ja) * 1997-04-01 1998-10-23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922A (ko)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8676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4777178B2 (ja) 画像処理方法
US8390896B2 (en) Image reading method, image reading apparatus,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EP2040455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9200455A (ja) 読取り画像の濃度補正方法及び画像読取り装置
JPH08307688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US6704462B1 (en) Scaling control for image scanners
US8373892B2 (en) Managing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values for image data
US894774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rea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080039159A (ko) 스캐닝장치와 스캐닝장치의 쉐이딩 보정방법
KR101156114B1 (ko) 스캐닝장치의 화상데이터 보정방법 및 장치
US2013027261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pixel interpolation method
US74207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image
KR20080034757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US20100284048A1 (en) Techniques for obtaining scanning images and scanning device for the same
JP2009303164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
JP2007158965A (ja) 画像読取装置、原稿サイズ検知方法、及び原稿サイズ検知プログラム
US10432809B2 (en) Reading apparatus and image generation method
JPH10285379A (ja) 原稿角度補正方法及び原稿角度補正装置
JP3384208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7213331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089173A (ja) 画像処理装置
JP4847384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読取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813041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019974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空間周波数変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