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081B1 -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081B1
KR101156081B1 KR1020100021143A KR20100021143A KR101156081B1 KR 101156081 B1 KR101156081 B1 KR 101156081B1 KR 1020100021143 A KR1020100021143 A KR 1020100021143A KR 20100021143 A KR20100021143 A KR 20100021143A KR 101156081 B1 KR101156081 B1 KR 101156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re
rotating member
sliding
electro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841A (ko
Inventor
박세익
이호승
이정민
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00021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081B1/ko
Priority to EP10847533.6A priority patent/EP2545959B1/en
Priority to US13/583,413 priority patent/US8898890B2/en
Priority to PCT/KR2010/002701 priority patent/WO2011111899A1/ko
Priority to CN201080066104.2A priority patent/CN102892462B/zh
Priority to JP2012556954A priority patent/JP2013521853A/ja
Publication of KR2011010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61N1/0529Electrodes for brain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5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ing a mental or cerebral cond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4Electr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17Means to simultaneously assemble multiple, independent conductors to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39Means to fasten by elastic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65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with work-holder for assemb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는 복수개의 전선 와이어를 지지하고, 복수개의 백금링이 삽입되는 전극지지대(100)와; 받침대(210)와, 한 쌍의 수직프레임(220) 및 수평프레임(240)으로 구성되어 전극지지대(100)를 고정하는 프레임부재(200)와; 중앙에 전극지지대(100)가 삽입되고, 전선 와이어의 각각이 권취된 보빈(7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전선와이어가 전극지지대(100)에서 한 쌍씩 꼬여서 격자가 형성되도록 회전하는 회전부재(600)와, 이 회전부재(600)를 회전가능하고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승하강판(500)과, 회전부재(600)를 회전시켜 형성된 격자의 길이만큼 슬라이딩되도록 조절하는 좌우 한쌍의 조절부(800)(9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4개의 전선 와이어를 수직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 상하의 각각 한쌍의 전선 와이어가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교차 회전함으로서 격자형으로 꼬여지도록 된 다채널 전극이 제작됨에 따라, 예상치 못한 힘이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making a multi-channel electrode in an Intracranial Stimulat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장애 및 통증치료를 위한 차세대 심부뇌자극기를 개발함에 있어서, 두강내에 이식되어 뇌의 특정 구조물을 자극하는데 쓰이는 자극전극을 시술 시 또는 전극을 조작할 때, 전극에 가해질 수 있는 예상치 못한 힘이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격자형 연결부를 구비하는 다채널 전극을 만드는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파킨슨씨병은 노인성 치매 다음으로 가장 흔한 비혈관계 퇴행성 뇌질환으로서, 주로 노인층이 많이 걸리며 노령인구가 늘면서 발병률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파킨슨씨병의 발병 기전은 현재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뇌신경 전달물질의 일종인 도파민의 고갈을 직접적인 원인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손 떨림이나 운동 서행증 같은 각종 운동장애를 유발하게 되며, 현재까지 근본적인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파킨슨씨병의 치료 방법으로는 주로 부족한 도파민을 보충해주는 약물 치료법과, 도파민 부족으로 인해 비정상적 활동을 하는 뇌 구조물을 완전히 제거해 주는 수술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시상핵, 담창구(Globus Pallius), 하시상핵 등과 뇌심부 구조물에 미세하게 가느다란 전극을 삽입한 후 일정한 전기 자극을 가하여 운동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시술되고 있는데, 이때 사용하는 장치를 심부뇌자극기 또는 뇌심부자극기라고 한다.
이러한 심부뇌자극 시술법(DBS: Deep Brain Stimulation)의 장점은 약물치료나 수술에 비해 치료효과가 크고, 뇌손상의 위험이 적고, 뇌조직을 제거해 내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치료법의 적용이 용이하다는 것으로, 이러한 심뇌자극기를 통한 파킨슨씨병의 증세 호전은 90% 정도로 상당히 높고 만족스러운 편이며, 심뇌자극기의 사용을 FDA (미국 식약청)에서도 허가하고 있고, NIH (미국 국립보건원) 보고에 따르면 2,000 여명 이상의 다수의 환자들이 심뇌자극기를 이식받았다고 한다.
현재 시술되고 있는 심뇌자극기는 제한된 배터리 수명에 의한 잦은 자극기 교체와 큰 크기로 인한 수술의 복잡성 등이 극복해야 하는 단점으로,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는 차세대 심뇌자극기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개발되는 심뇌자극기의 효용성에 대한 검증 및 장치의 응용 범위(통증, 간질 등)를 넓히기 위해서 동물모델(한쪽 뇌에만 파킨슨씨 병변을 만든 동물) 실험을 진행 중에 있다.
심뇌자극술을 동물모델에게 실행함에 있어서, 동물모델이 생물학적으로 안전해야 하므로, 생체에 영향이 없어야 하고, 자극전극과 전기자극에 의한 뇌세포의 파괴가 없어야 하며, 사용 재료 및 전기 자극은 생체에 적용하기에 안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심부 구조물 내의 병원 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여야 하며, 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한 영상과 미세 전극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위치 설정 및 수술의 정밀도를 월등히 높일 수 있다.
뇌심부 구조물로부터 신경 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 미세 전극은 그 끝부분을 날카롭게 가공하고, 신경신호 측정부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되어 있는 금속 전극이 사용된다. 이러한 금속 미세 전극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첨단부가 날카롭게 가공된 금속선에 절연막을 형성한 후, 첨단부의 절연막을 제거하여 신경신호 측정부의 금속을 노출시켜야 하는데, 단일 신경 세포로부터의 신경신호의 측정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신경신호 측정부의 금속을 수 ㎛ 정도만 노출되어야 하며, 용도에 따라 즉 혈관용이나 척추용인지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백금링이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의 미세전극은 전극의 소재가 백금이고, 굵기가 매우 가늘기 때문에 소재 자체가 기본적으로 길이방향의 인장강도가 약한 성질을 가지므로, 여러개의 전극들이 길이방향으로 일자형으로 늘어서 있는 경우, 길이방향의 힘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바로 끊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전극들을 나선형(helical)형으로 꼬아서 제작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전극들이 서로 엉킬 가능성이 존재하고, 이와 같이 엉킨 부분에 길이방향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이 역시 끊어질 소지가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에 가해질 수 있는 예상치 못한 힘이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전극에 격자형 연결부를 구비하는 다채널 전극을 제작할 수 있는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는 복수개의 전선 와이어를 지지하고, 복수개의 백금링이 삽입되는 전극지지대와, 상기 전극지지대를 고정하는 프레임부재와, 회전축의 상하에 부착되는 상하부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극지지대에 지지된 상기 전선 와이어가 각각 권치된 보빈이 상기 상부판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전선 와이어가 상기 전극지지대에서 한 쌍씩 꼬이도록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가능하고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승하강판과,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격자의 길이만큼 상기 회전부재가 슬라이딩되도록 조절하는 한 쌍의 조절부를 포함한다.
전극지지대는 상기 전선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와이어 위치홈과, 상기 삽입된 복수개의 백금링이 소정 간격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된 링고정홀과, 상기 링고정홀에 끼워지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재는 상기 전극지지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상에 연결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하부에 각각 삽입되는 상하부 축플랜지부와, 내판과 외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판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판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내판에는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내판의 기어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판에 기어가 형성되며, 상부 내외판에는 상기 보빈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승하강판이 결합되는 슬라이딩홈을 길이방향으로 가지는 슬라이딩판과, 회전부재의 회전축과 동심으로, 상부 내판과 상기 하부판의 내부에 축플랜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승하강판의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도록 회전부재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승하강이 가이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판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 결합부의 선단에는 상하에 돌기가 형성된 회전표시부재가 부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에 삽입되는 반원형 선반부가 제공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상하부 축플랜지부에는 상기 회전표시부재의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표시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의 각각은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회전축과, 상기 프레임부재를 따라 승하강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들은 좌우 2개는 상기 상부 내판에 위치하고, 상하 2개는 상기 상부 외판에 위치하여, 상기 조절부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상부 내판의 회전방향과 상기 외판 및 상기 하부판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로 회전하도록 하여 표시홈과 회전표시부재가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상부 내판에 위치된 보빈을 상기 상부 외판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상부 외판에 위치된 보빈을 상기 상부 내판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상부 내판에 위치되도록 한다.
조절부의 회전축에는 손잡이의 회전력을 수직프레임에 전달하여 슬라이딩부재를 슬라이딩하는 회전축에 부착된 기어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에 따르면, 전극지지대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극지지대에 전선 와이어를 위치하고, 백금링들을 상기 전극지지대에 끼워 넣는 단계와, 제 1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부 내판에 위치된 내부의 보빈을 외부로 이동시키고, 외부의 보빈을 내부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부재를 하부의 백금링까지 슬라이딩하는 단계와, 제 2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부 외판에 위치된 보빈을 상부 내판으로 이동시키고, 상부 내판의 보빈을 상부 외판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를 다음 하부의 백금링까지 슬라이딩하는 단계와, 전극지지대의 하단까지 상기 전선 와이어가 격자상으로 꼬일때까지 상기 제 1 및 제 2 조절부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된 전극지지대에서 전극 와이어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4개의 전선 와이어를 수직 지지한 상태에서 좌우 상하의 각각의 전선 와이어를 한 쌍씩 회전하여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교차하여 격자형으로 꼬아서 만드는 다채널 전극이 제작됨에 따라, 예상치 못한 힘이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수평프레임에 전극 지지대가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A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 수직프레임 후면 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1 회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 회전부재의 상부내판을 생략한 상태의 도 4 회전부재가 슬라이딩판의 수평 지지부의 반원형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회전부재의 상부내판과 외판에 결합된 보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 회전부재의 회전 작동을 나타내는 일부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 조절부의 하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을 제작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는 다채널 전극을 제조하기 위해, 복수개의 전선 와이어를 지지하고, 복수개의 백금링이 삽입되는 전극지지대(100)와, 받침대(210)와, 한 쌍의 수직프레임(220) 및 수평프레임(240)으로 구성되어 전극지지대(100)를 고정하는 프레임부재(200)와, 중앙에 전극지지대(100)가 삽입되고, 전선 와이어의 각각이 권취된 보빈(70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전선와이어가 전극지지대(100)에서 한 쌍씩 꼬여서 격자가 형성되도록 회전하는 회전부재(600)와, 이 회전부재(600)를 회전가능하고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승하강판(500)과, 회전부재(600)를 회전시켜 형성된 격자의 길이만큼 슬라이딩되도록 조절하는 좌우 한쌍의 조절부(800)(90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 수평프레임에 전극지지대가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A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1 수직프레임 후면 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극지지대(100)에는 전선 와이어가 삽입되어 둘레에 소정 간격으로 백금링을 복수개 부착하기 위해서, 전선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와이어 위치홈(110)과, 부착되는 백금링의 간격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링고정홀(120)과, 이 링고정홀(120)에 끼워지는 고정핀(130)을 포함하여, 그 일단은 받침대(210)의 삽입홀(212)에 삽입되고, 회전부재(600)의 관통홀(654)을 통해, 타단은 수평프레임(240)의 지지대 결합홈(242)에 삽입된다. 링고정홀(120)은 그 상하에 하나씩 관통되어 있고, 중간에는 부착되는 백금링사이에 간격이 유지를 위해 2개씩 관통되어 있다. 링고정홀(120)사이의 간격과 개수는 전극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받침대(210)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한쌍이 설치된 프레임부재(200)의 수직프레임(220)에는 높이조절봉(222)이 승강할 수 있도록 삽입되며, 연결부재(260)에는 높이조절봉(222)이 결합되는 높이조절봉 결합공(262)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수평프레임(240)이 결합되는 수평프레임 결합공(264)이 형성되어, 결합공(262)에 삽입된 높이조절봉(222)을 조절나사(266)로 나사결합함으로써 연결부재(260)에 의해 수직프레임(220)의 상부에 부착된 수평프레임(2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220)의 후면에는 가이드돌기(224)가 형성되며, 도 3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평프레임(240) 역시 조절나사로 나사결합되어 좌우로 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1 회전부재를 나타내고 있고, 도 5는 도 4 회전부재의 상부내판을 생략한 상태의 도 4 회전부재가 슬라이딩판의 수평 지지부의 반원형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은 도 4의 회전부재의 상부내판과 외판에 결합된 보빈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600)는 회전축(650)과, 회전축(650)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내판(660)과 하부판(630) 및 상부 내판(660)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외판(680)을 포함한다. 회전축(650)의 상부에는 전극 지지대(100)가 삽입되는 관통홀(654)이 중심에 형성되며, 이 관통홀(654)을 중심으로 나사결합공(656)이 형성된 축결합돌기(652)가 제공되며, 이에 대응되도록 상부 내판(660)에는 축결합돌기(652)가 삽입되는 결합공(662)과, 나사결합공(664)이 형성된다. 하부판(630)에는 기어(632)가 형성되며, 이 기어(632)에 대응하도록 상부 외판(680)에도 기어(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회전축(650)과 동심으로, 상부 내판(660)과 하부판(630)의 내부에 상부 축플랜지부(640)(도7)와 하부 축플랜지부(636)가 형성되며, 상부 내판(660)과 상부 외판(680)의 각각에는 보빈(700)을 지지하는 보빈지지부재(710)가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670)(690)가 형성되며, 각 가이드부(670)(690)에는 가이드홈(672)(692)이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가이드홈(672)(692)과 보빈지지부재(710)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이드홈(672)(692)의 각각의 바닥에는 보빈지지부재(71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볼홈(674)(694)이 제공된다.
보빈(700)들 중 좌우 2개는 상부 내판(660)의 가이드부(670)에 위치하고, 상하 2개는 상부 외판(680)의 가이드부(690)에 위치하고 있으나, 서로 반대로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승하강판(500)은 그 일단이 회전부재(600)의 회전축(650)에 결합되도록 회전부재 결합부(540)가 형성되고, 타단은 슬라이딩판(30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홈(320)에 삽입되어 승하강이 가이드되는 결합돌기(522)가 형성된 슬라이딩판 결합부(520)를 포함하며, 회전부재 결합부(540)의 선단에는 상하에 돌기(566)가 형성된 회전표시부재(564)가 부착되어 회전부재(600)의 회전축(650)에 삽입되는 반원형 선반부(560)가 제공된다. 회전부재(600)의 상하부 축플랜지(640)(636)에는 회전표시부재(564)의 돌기(566)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표시홈(648)(638)이 등간격, 90도 간격으로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회전부재(600)는 그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조절부(800)(900)에 의해 회전되면서 슬라이딩된다. 제 2 조절부(900)는 제 1 조절부(80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 1 조절부(800)만을 설명한다.
제 1 조절부(800)는 회전부재(600)의 상부 외판(680)과 하부판(630)에 형성된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부(850)와, 기어부(850)의 회전축(820)과, 프레임부재(200)의 수직프레임(220)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회전축(820)에 결합되는 대략 "ㄱ"자 형상의 슬라이딩부재(840)와, 회전축(850)에 연결된 손잡이(810)를 포함하며, 슬라이딩부재(840)는 회전축(850)이 관통하는 축통공(846)이 형성된 축결합부(842)와, 수직프레임(220)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844)로 이루어지며, 프레임결합부(844)에 형성된 가이드홈(848)에 수직프레임(220)의 가이드돌기(224)가 삽입되고, 가이드돌기(224)가 형성된 수직프레임(220)의 대응면에 대면하여 기어(830)가 회전축(850)에 부착됨에 따라, 손잡이(810)를 소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손잡이(810)의 회전력이 수직프레임(220)에 전달됨에 따라 슬라이딩부재(840)는 손잡이(810)가 회전된 정도만큼 수직프레임(220)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와 동시에, 기어부(850)는 원뿔형상으로 이러한 기어부(850)에 회전부재(600)의 상부 외판(680)에 형성된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하부판(630)에 형성된 기어(632)가 베벨기어와 같이 기어결합됨에 따라, 상부 내판(660)의 회전방향과 상부 외판(680) 및 하부판(630)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로 회전하여 표시홈(638)(648)과 회전표시부재(564)가 완전히 결합한 후에, 상부 내판(660)에 위치된 좌우 2개의 보빈(700)을 상부 외판(680)으로 슬라이딩하여 위치시키고, 상부 외판(680)에 위치된 상하 2개의 보빈(700)을 상부 내판(680)으로 슬라이딩하여 위치시킨다.
즉, 제 1 조절부(800)의 손잡이(810)를 밖에서 안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부재(600)의 상부 외판(68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하부판(630)과 상부 내판(66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후에, 상부 내판(660)과 하부판(630)이 90도 회전하여, 상하부 축플랜지부(640)(636)에 각각 형성된 표시홈(648)(638)에 회전표시부재(564)의 표시돌기(566)가 삽입되면, 상부 내판(660)에 위치된 보빈(700)을 상부 내판(660)의 가이드부(670)에 위치된 좌우 2개의 보빈(700)의 보빈지지부재(710)가 가이드홈(672)을 따라 이동하게 하여 상부 외판(680)에 위치하게 하며, 상부 외판(680)에 위치된 보빈(700)을 상부 내판(660)에 위치하게 하여 보빈(700)에 권취된 전선 와이어가 전극 지지대(100)에 격자형으로 꼬이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회전부재(600)는 수직프레임(200)을 따라 소정의 피치만큼 슬라이딩하여 하강한다.
이어서, 제 2 조절부(900)의 손잡이(810)를 밖에서 안쪽으로 회전하면, 상기와 반대로 상부 외판(68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부판(630)과 상부 내판(66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보빈(700)에 권취된 전선 와이어는 전극 지지대(100)에 격자형으로 꼬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의 제작 순서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극지지대(100)가 고정되는 위치에 맞추어 수직프레임(220)의 높이조절봉(222)과 수평프레임(240)을 조정하고, 수평프레임(240)의 지지대 결합홈(242)과, 회전부재(600)의 관통홀(654)에 전극 지지대(100)를 삽입하여 받침대(210)의 삽입홀(212)에 전극지지대(100)를 고정한다.(S100)
이어서, 고정된 전극지지대(100)의 와이어 위치홈(110)에 전선 와이어를 위치시키고, 가장 아래에 있는 고정핀(130)을 링고정홀(120)에 끼운 후, 전극지지대(100)에 백금링을 끼워넣고 백금전선과 저항용접으로 연결한다. 계속해서 한 단계 위쪽의 링고정홀(120)에 고정핀(130)을 끼운 후, 두 번째 백금링을 끼워넣고, 이상과 마찬가지로 가장 위의 백금링까지 전극지지대(100)에 끼워 넣는다.(S200)
다음으로, 제 1 조절부(800)sd의 손잡이(810)를 회전부재(600)의 상하부 축플랜지부(640)(636)에 있는 표시홈(648)(638)에 회전표시부재(564)의 표시돌기(566)가 끼워질 때까지 밖에서 안쪽으로 돌린 후, 상부 내판(660)의 가이드부(670)에 있던 보빈(700)을 상부 외판(680)의 가이드부(690)로 이동시키고, 상부 외판(680)의 가이드부(690)에 있던 보빈(700)을 상부 내판(660)의 가이드부(670)로 이동시킨다.(S300)
또한, 제 2 조절부(900)의 손잡이(810)를 회전부재(600)의 상하부 축플랜지부(640)(636)에 있는 표시홈(648)(638)에 회전표시부재(564)의 표시돌기(566)가 끼워질 때까지 밖에서 안쪽으로 돌린 후, 상부 내판(660)의 가이드부(670)에 있던 보빈(700)을 상부 외판(680)의 가이드부(690)로 이동시키고, 상부 외판(680)의 가이드부(690)에 있던 보빈(700)을 상부 내판(660)의 가이드부(670)로 이동시킨다.(S400)
이에 따라 전극지지대(100)의 하단까지 모두 전극 와이어가 격자상으로 엮였는지를 판단하고(S500), 격자상으로 엮이지 않았다면 상기 단계(S300)와 단계(S400)를 실행하고, 격자상으로 엮였으면, 수평프레임(240)에 삽입된 전극지지대(100)에서 전극 와이어를 탈착시킴으로써 다채널 전극의 제조를 완성한다.(S600)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및 방법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므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장치의 자동화 등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전극지지대 110 : 와이어 위치홈
120 : 링고정홀 130 : 고정핀
200 : 받침대 220 : 수직프레임
222 : 높이조절봉 224 : 가이드돌기
240 : 수평프레임 242 : 지지대 결합홈
260 : 연결부재 262 : 높이조절봉 결합공
262 : 수평프레임 결합공 266 : 조절나사
300 : 슬라이딩판 320 : 슬라이딩홈
500 : 승하강판 520 : 슬라이딩판 결합부
522 : 결합돌기 540 : 회전부재 결합부
560 : 반원형 선단부 562 : 축결합공
564 : 회전표시부재 566 : 표시돌기
600 : 회전부재 630 : 하부판
632 : 기어 636 : 축하부플랜지부
638 : 표시홈 640 : 축상부플랜지부
648 : 표시홈 650 : 회전축
652 : 축결합돌기 654 : 관통홀
656 : 나사결합공 660 : 상부 내판
662 : 결합공 664 : 나사결합공
670 : 가이드부 672 : 가이드홈
674 : 볼홈 680 : 상부 외판
690 : 가이드부 692 : 가이드홈
694 : 볼홈 700 : 보빈
710 : 보빈지지부재 800 : 제 1 조절부
810 : 손잡이 820 : 회전축
830 : 회전 기어 840 : 슬라이딩부재
842 : 축결합부 844 : 프레임결합부
846 : 축통공 848 : 가이드홈
850 : 기어부 900 : 제 2 조절부

Claims (10)

  1.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로서,
    복수개의 전선 와이어를 지지하고, 복수개의 백금링이 삽입되는 전극지지대와,
    상기 전극지지대를 고정하는 프레임부재와,
    회전축의 상하에 부착되는 상하부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극지지대에 지지된 상기 전선 와이어가 각각 권치된 보빈이 상기 상부판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전선 와이어가 상기 전극지지대에서 한 쌍씩 격자의 모양으로 꼬이도록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가능하고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승하강판과,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격자의 길이만큼 상기 회전부재가 슬라이딩되도록 조절하는 한 쌍의 조절부를 포함하는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지지대는
    상기 전선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와이어 위치홈과,
    상기 삽입된 복수개의 백금링이 소정 간격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된 링고정홀과,
    상기 링고정홀에 끼워지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전극지지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상에 연결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수평프레임를 포함하는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하부에 각각 삽입되는 상하부 축플랜지부와,
    내판과 외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판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판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내판에는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내판의 기어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판에 기어가 형성되며,
    상부 내외판에는 상기 보빈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판이 결합되는 슬라이딩홈을 길이방향으로 가지는 슬라이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과 동심으로, 상부 내판과 상기 하부판의 내부에 축플랜지부가 더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판의 일단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도록 회전부재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승하강이 가이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딩판 결합부를 포함하는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 결합부의 선단에는 상하에 돌기가 형성된 회전표시부재가 부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에 삽입되는 반원형 선반부가 제공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상하부 축플랜지부에는 상기 회전표시부재의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표시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각각은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회전축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들은 좌우 2개는 상기 상부 내판에 위치하고, 상하 2개는 상기 상부 외판에 위치하여, 상기 조절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상부 내판의 회전방향과 상기 외판 및 상기 하부판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로 회전시키고, 상기 상부 내판에 위치된 보빈을 상기 상부 외판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상부 외판에 위치된 보빈을 상기 상부 내판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상부 내판에 위치되는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회전축에는 손잡이의 회전력을 상기 수직프레임에 전달하여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과 대면하는 기어가 제공되는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전극지지대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극지지대에 전선 와이어를 위치하고, 백금링들은 상기 전극지지대에 끼워 넣는 단계와,
    제 1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부 내판에 위치된 내부의 보빈을 외부로 이동시키고, 외부의 보빈을 내부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회전부재를 하부의 백금링까지 슬라이딩하는 단계와,
    제 2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부 외판에 위치된 보빈을 상부 내판으로 이동시키고, 상부 내판의 보빈을 상부 외판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를 다음 하부의 백금링까지 슬라이딩하는 단계와,
    상기 전극지지대의 하단까지 상기 전선 와이어가 격자상으로 꼬일때까지 상기 제 1 및 제 2 조절부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된 전극지지대에서 전극 와이어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방법.
KR1020100021143A 2010-03-10 2010-03-10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및 방법 KR101156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143A KR101156081B1 (ko) 2010-03-10 2010-03-10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및 방법
EP10847533.6A EP2545959B1 (en) 2010-03-10 2010-04-28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channel electrode array for cranial nerve stimulation
US13/583,413 US8898890B2 (en) 2010-03-10 2010-04-28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ultichannel electrode array for cranial nerve stimulation
PCT/KR2010/002701 WO2011111899A1 (ko) 2010-03-10 2010-04-28 뇌신경 자극용 다채널 전극 어레이 제작장치 및 방법
CN201080066104.2A CN102892462B (zh) 2010-03-10 2010-04-28 制造用于颅神经刺激的多通道电极阵列的装置和方法
JP2012556954A JP2013521853A (ja) 2010-03-10 2010-04-28 脳神経刺激用多チャネル電極アレイの製作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143A KR101156081B1 (ko) 2010-03-10 2010-03-10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841A KR20110101841A (ko) 2011-09-16
KR101156081B1 true KR101156081B1 (ko) 2012-06-20

Family

ID=4456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143A KR101156081B1 (ko) 2010-03-10 2010-03-10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98890B2 (ko)
EP (1) EP2545959B1 (ko)
JP (1) JP2013521853A (ko)
KR (1) KR101156081B1 (ko)
CN (1) CN102892462B (ko)
WO (1) WO2011111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9038B (zh) 2013-01-07 2017-06-13 通用电气公司 浸渍涂层装置及应用该装置制备电极的方法
KR102245925B1 (ko) * 2019-01-23 2021-04-2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테트로더 전극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6306A (en) 1985-02-15 1990-06-26 Doty James R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evoked potentials and electroencephalograms
US6747236B1 (en) 2000-03-06 2004-06-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JP2004358078A (ja) 2003-06-06 2004-12-24 National Cardiovascular Center 神経細胞及び血管新生刺激装置
JP2007325652A (ja) 2006-06-06 2007-12-20 Univ Nihon 脳深部刺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4633A (en) * 1981-03-05 1982-09-07 Inoue Japax Res Inc Wire electrode feeder
CN2214861Y (zh) * 1993-11-18 1995-12-13 杨新胜 自旋式电火花线切割机床
US5843148A (en) * 1996-09-27 1998-12-01 Medtronic, Inc. High resolution brain stimulation lead and method of use
US6729026B2 (en) * 2001-02-13 2004-05-04 Medallion Technology, Llc Rotational grip twist machine and method for fabricating bulges of twisted wire electrical connectors
JP2005032545A (ja) * 2003-07-11 2005-02-03 Yonezawa Densen Kk ツイスト線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06029007A2 (en) * 2004-09-02 2006-03-16 E-Soc Device for brain stimulation using rf energy harvesting
CN201113180Y (zh) * 2007-05-15 2008-09-10 孔星 电容软导线自动焊接机的拧线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6306A (en) 1985-02-15 1990-06-26 Doty James R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evoked potentials and electroencephalograms
US6747236B1 (en) 2000-03-06 2004-06-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JP2004358078A (ja) 2003-06-06 2004-12-24 National Cardiovascular Center 神経細胞及び血管新生刺激装置
JP2007325652A (ja) 2006-06-06 2007-12-20 Univ Nihon 脳深部刺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92462B (zh) 2015-04-01
CN102892462A (zh) 2013-01-23
KR20110101841A (ko) 2011-09-16
EP2545959A4 (en) 2013-10-30
US20130000112A1 (en) 2013-01-03
WO2011111899A1 (ko) 2011-09-15
US8898890B2 (en) 2014-12-02
EP2545959A1 (en) 2013-01-16
JP2013521853A (ja) 2013-06-13
EP2545959B1 (en)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auss et al. Technology of deep brain stimulation: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P6189472B2 (ja) 埋込み可能な電気刺激リード
JP6158440B2 (ja) 成形セグメント電極リードを製造する方法
US9480843B2 (en) Method and means for connecting and telecontrolling a large number of electrodes for electrical cell stimulation in living organisms
JP5793190B2 (ja) 脳刺激装置を製造する方法
JP6072986B2 (ja) セグメント電極を備えたリード並びにリードの製造及び使用方法
JP5889917B2 (ja) 電気刺激システムのためのセグメント電極を有するリードを製造する方法
US20160166326A1 (en) Medical lead bending sensor
US780944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brain stimulation
US201700616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orientation of an implanted lead
JP2013521985A (ja) 脳刺激のための装置
JP2016519984A (ja) 凹部又は孔を有するプレ電極から形成されたセグメント電極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527054A (ja) 電気刺激システムのリードのためのセグメント先端電極を製造及び使用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2532674A (ja) 径方向分割電極アレイを有するシステム及びリード並びに製造方法
CA2959281A1 (en) Leadless neurostimulator
JP6834005B2 (ja) Mri適合刺激パラメータを選択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60144166A1 (en) Medical lead with thin film
KR101156081B1 (ko) 두강내 뇌신경 자극 다채널 전극 제작장치 및 방법
AU20183013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clinical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EP4049719A1 (en) Directional stimulation programming
KR102344771B1 (ko) 신체 기관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전극선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시스템
US11529517B2 (en) Electrode movement detection
US201900156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nning and programming electrical stimulation
Miocinovic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predictions of neural elements activated by deep brain stimulation
Slavin Sam Eljam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