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824B1 - 기록 방법,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방법,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824B1
KR101155824B1 KR1020050074759A KR20050074759A KR101155824B1 KR 101155824 B1 KR101155824 B1 KR 101155824B1 KR 1020050074759 A KR1020050074759 A KR 1020050074759A KR 20050074759 A KR20050074759 A KR 20050074759A KR 101155824 B1 KR101155824 B1 KR 10115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replacement
data
recording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480A (ko
Inventor
도모따까 구라오까
쇼에이 고바야시
미쯔또시 데라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50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98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 G11B2020/10907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using pseudo-overwriting, i.e. virtually or logically overwriting data on WORM media by remapping recorded blocks to alternat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20/1873Temporary defect structures for write-once discs, e.g. TDDS, TDMA or TDF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라이트원스 미디어를 재기입 가능하게 함과 함께, 주데이터 영역의 유효 이용, 기록 재생 퍼포먼스의 향상을 도모한다. 라이트원스 미디어에서,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추기 포인트 등, 선택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서 이용함으로써, 또한 기입 요구 등의 대상의 어드레스에 대하여 연속 기록 범위 정보에 따라 기록 완료/미기록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또한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을 위한 교체 관리 정보를 통합하여 혼재시키도록 함으로써, 고정의 교체 영역을 형성하지 않아도,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교체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추기 포인트 등, 선택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서 이용한다.
Figure R1020050074759
교체 영역,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교체 처리, TDMA, 데이터 재기입, NWA

Description

기록 방법,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RECORDING APPARATUS, REPRODUCTION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REPRODUC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디스크의 에리어 구조의 설명도.
도 2는 실시 형태의 디스크의 관리/제어 정보 영역의 설명도.
도 3은 실시 형태의 디스크의 DMA의 설명도.
도 4는 실시 형태의 디스크의 DDS의 설명도.
도 5는 TDMA 구조의 설명도.
도 6은 실시 형태의 TDMS 업데이트 유닛의 설명도.
도 7은 실시 형태의 TDMS 업데이트 유닛의 추기 상태의 설명도.
도 8은 실시 형태의 디스크의 TDDS의 설명도.
도 9는 실시 형태의 디스크의 TDFL의 설명도.
도 10은 실시 형태의 디스크의 DOW 엔트리의 설명도.
도 11은 실시 형태의 디스크의 SRR의 설명도.
도 12는 실시 형태의 디스크의 SRRI의 설명도.
도 13은 실시 형태의 디스크의 SRRI 헤더의 설명도.
도 14는 실시 형태의 디스크의 SRR 엔트리의 설명도.
도 15는 ISA, OSA를 설치한 포맷의 설명도.
도 16은 실시 형태의 교체 영역이 없는 포맷의 설명도.
도 17은 실시 형태의 디스크의 TDMA 인포메이션의 설명도.
도 18은 실시 형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블록도.
도 19는 실시 형태의 교체 영역이 없는 포맷에서의 데이터 기입 처리(예1)의 플로우차트.
도 20은 어플리케이션측과의 NWA의 어긋남의 설명도.
도 21은 실시 형태의 NWA의 어긋남을 발생하지 않는 기입 동작의 설명도.
도 22는 실시 형태의 교체 영역이 없는 포맷에서의 데이터 기입 처리(예2)의 플로우차트.
도 23은 실시 형태의 데이터 판독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24는 실시 형태의 디스크 체크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25는 실시 형태의 교체 영역이 있는 포맷에서의 데이터 기입 처리(예1)의 플로우차트.
도 26은 실시 형태의 교체 영역이 있는 포맷에서의 데이터 기입 처리(예2)의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51 : 픽업
52 : 스핀들 모터
53 : 쓰레드 기구
54 : 매트릭스 회로
55 : 리더/ 라이터 회로
56 : 변복조 회로
57 : ECC 인코더/디코더
58 : 워블 회로
59 : 어드레스 디코더
60 : 시스템 컨트롤러
60a : 캐쉬 메모리
61 : 서보 회로
62 : 스핀들 서보 회로
63 : 레이저 드라이버
120 : AV 시스템
[특허 문헌1] 미국 특허 제6,782,488호
본 발명은, 특히 라이트원스형 미디어로서의 광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 및 그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장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CD(Compact Disc), MD(Mini-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광 디스크(광 자기 디스크를 포함함)를 기록 미디어에 이용한 데이터 기록 기술이 있다. 광 디스크란, 금속 박판을 플라스틱으로 보호한 원반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의 변화로 신호를 판독하는 기록 미디어의 총칭이다.
광 디스크에는, 예를 들면 CD, CD-ROM, DVD-ROM 등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재생 전용 타입의 것과, MD, CD-R, CD-RW, DVD-R, DVD-RW, DVD+RW, DVD-RAM 등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유저 데이터가 기록 가능한 타입이 있다. 기록 가능타입의 것은, 광 자기 기록 방식, 상 변화 기록 방식, 색소막 변화 기록 방식 등이 이용되는 것으로, 데이터가 기록가능하게 된다. 색소막 변화 기록 방식은 라이트원스 기록 방식이라고 불리며, 1회만 데이터 기록이 가능하고 재기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 보존 용도 등에 적합하다. 한편, 광 자기 기록 방식이나 상 변화 기록 방식은, 데이터의 재기입이 가능하고 음악, 영상, 게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을 비롯하여 각종 용도에 이용된다.
또한 최근,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라고 불리는 고밀도 광 디스크가 개발되어, 현저한 대용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이 고밀도 디스크에서는, 파장 405nm의 레이저(이른바 청색 레이저)와 NA가 0.85인 대물 렌즈의 조합이라는 조건 하에서 데이터 기록 재생을 행하도록 하고, 트랙 피치 0.32μm, 선 밀도 0.12μm/bit로, 64KB(킬로 바이트)의 데이터 블록을 1개의 기록 재생 단위로 하여, 포맷 효율 약 82%로 했을 때, 직경 12cm 의 디스크에 23.3GB(기가 바이트) 정도의 용량을 기록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고밀도 디스크에서도, 라이트원스형이나 재기입 가능형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이들 데이터 기록 가능(재생 전용이 아님)한 기록 미디어에서는, 교체 영역을 준비하여 디스크 상에서 데이터 기록 위치를 교체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즉, 디스크 상의 손상 등의 결함에 의해, 데이터 기록에 적합하지 않은 개소가 존재하는 경우, 그 결함 개소를 대신하는 교체 기록 영역을 준비함으로써, 적정한 기록 재생이 행하여지도록 하는 결함 관리 방법이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1에 상술한 결함 관리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CD-R, DVD-R, 나아가 고밀도 디스크로서의 라이트원스 디스크 등, 1회의 기록이 가능한 광 기록 매체에서는, 당연한 일이지만 기록 완료한 영역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광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되는 파일 시스템은, 그 대부분이 기록 불가인 재생 전용 매체(ROM 타입 디스크), 또는 재기입 가능한 매체(RAM 타입 디스크) 상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사양이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1회 기록의 라이트원스 기록 매체용의 파일 시스템은 기능을 제한하고 특수한 기능을 추가한 사양으로 되어 있다.
이것이 라이트원스 광 기록 매체용의 파일 시스템이 널리 보급하지 않은 원인으로 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의 각종 OS에 대응할 수 있는 FAT 파일 시스템 등을, 그대로 라이트원스 미디어에 적용할 수 없다.
라이트원스 미디어는 데이터 보존 용도 등에 유용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더욱, 상기 FAT 파일 시스템 등에도, 일반적인 사양대로 적용할 수 있으면, 라이트원스 미디어의 유용성은 한층 높아지게 된다.
그런데, FAT와 같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파일 시스템, RAM 타입용 또는 하드디스크용의 파일 시스템을 그대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동일 어드레스에 대한 기입 기능, 즉 데이터 재기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라이트원스 미디어는 데이터 재기입을 할 수 없는 것이 그 특징의 하나이며, 따라서, 애당초 상기한 바와 같이 재기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이용되고 있는 파일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할 수 없다.
이 결점을 보충하기 위해서, 상기 특허 문헌1과 같이, 디스크 상에 교체 영역이 있는 라이트원스 미디어에서, 교체 정보 및 교체 영역을 이용한 데이터의 오버라이트 기능을 실현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기술이 도입됨으로써, RAM 타입용이나 ROM 타입에 이용되고 있는 파일 시스템을 기능 제한이나 기능 추가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어플리케이션측으로부터는 미디어에 의한 기록 방식의 차이를 의식할 필요가 없어진다.
단, 라이트원스 미디어에 대하여 재기입을 가능하게 하는 이들 기술은 모두 디스크 상에 교체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다. 그리고, 교체 영역의 적절한 크기라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이나 장치와 미디어와의 상성 등이 요인으로 되어 일괄적으로 정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미리 (포맷시 등에) 가능한 한 많이 교체 영역을 확보해야만 하 는 결과로 되어, 유저 데이터 영역의 효율적인 사용 방법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라이트원스 타입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 교체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영역을 갖지만, 고정된 교체 영역을 설정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그 경우에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을 실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라이트원스 타입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 교체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영역을 갖고, 또한 고정된 교체 영역을 설정한 경우에도,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을 실현하면서, 교체 영역 설정에 의한 비효율성을 회피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록 방법은,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 있어서,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해 감으로써 갱신 가능하게 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이 설치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내에 고정된 교체 영역을 설정하지 않음과 함께,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에서의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기록 완료인 경우에는, 해당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하고, 또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하는 교체 처리를 행하고, 상기 교체처 영역에 상기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 기입을 실행하여, 해당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의 결함 영역에 대해서도, 상기 주데이 터 영역 내에서 선택한 교체처 영역으로 교체 처리시키고, 해당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상기 교체 관리 정보에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는 주데이터의 연속 기록 범위에 관한 연속 기록 범위 정보가 포함됨과 함께, 상기 교체 처리에서의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은,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특히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에서의 추기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예를 들면, 교체처 영역은, 상기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추기 포인트 정보, 혹은,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각 추기 포인트 정보 중, 최대 어드레스로 되는 추기 포인트 정보, 혹은,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이외의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한다.
또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추가적인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 있어서,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해 감으로써 갱신 가능하게 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이 설치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장치로서,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기입 수단과, 상기 주데이터 영역으로의 데이터의 기입 요구 시에, 해당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기록 완료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수단과, 상기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미기록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기입 수단에 의해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 기입을 실행시키고, 한편,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기록완료로 확인되고, 또한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이 가능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기입 요구의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하고, 또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하는 교체 처리를 행하고, 상기 교체처 영역에, 상기 기입 수단에 의한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 기입을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 처리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의 결함 영역에 대해서도,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한 교체처 영역으로 교체 처리시키고, 해당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상기 교체 관리 정보에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는 주데이터의 연속 기록 범위에 관한 연속 기록 범위 정보가 포함됨과 함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교체 처리에서의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특히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에서의 추기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예를 들면, 교체처 영역을, 상기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추기 포인트 정보, 혹은,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각 추기 포인트 정보 중, 최대 어 드레스로 되는 추기 포인트 정보, 혹은,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이외의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추가적인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설정한다.
이상의 기록 방법, 기록 장치는, 라이트원스 타입의 기록 매체에 있어서, 교체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영역을 갖지만, 고정된 교체 영역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이고, 본 발명은 또한 고정된 교체 영역을 설정하는 경우로서, 다음의 기록 방법,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록 방법은,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 있어서,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해 감으로써 갱신 가능하게 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이 설치되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내에 교체 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에서의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기록 완료이고,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하고, 또한 상기 교체 영역 내에서 선택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하는 교체 처리를 행하고, 상기 교체처 영역에 상기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 기입을 실행하여, 해당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한편,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에서의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기록 완료이고,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하고, 또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하는 교체 처리를 행하여, 상기 교체처 영역에 상기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 기입을 실행하고, 해당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의 결함 영역에 대해서도,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교체 영역 내에서 선택한 교체처 영역으로 교체 처리시키고, 해당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지않는 경우에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한 교체처 영역으로 교체 처리시키고, 해당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상기 교체 관리 정보에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는 주데이터의 연속 기록 범위에 관한 연속 기록 범위 정보가 포함됨과 함께, 상기 교체처리에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교체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교체처 영역을,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상기 교체 처리에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교체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교체처 영역을,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에서의 추기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예를 들면, 교체처 영역을,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추기 포인트 정보, 혹은,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각 추기 포인트 정보 중 최대 어드레스로 되는 추기 포인트 정보, 혹은,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이외의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한다.
또한, 상기 교체 영역 내에,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추가적인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 있어서,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해 감으로써 갱신 가능하게 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과, 교체 영역이 설치되는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장치로서,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기입 수단과, 상기 주데이터 영역으로의 데이터의 기입 요구 시에, 해당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기록 완료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수단과, 상기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또한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해당 제어 수단은,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미기록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기입 수단에 의해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 기입을 실행시킨다. 한편,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기록 완료로 확인되고, 또한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이 가능하고,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한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기입 요구의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하고, 또한 상기 교체 영역 내에서 선택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하는 교체 처리를 행하고, 상기 교체처 영역에, 상기 기입 수단에 의한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 기입을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기록 완료로 확인되고, 또한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이 가능하고,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기입 요구의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하고, 또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하는 교체 처리를 행하고, 상기 교체처 영역에, 상기 기입 수단에 의한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 기입을 실행킴과 함께, 상기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의 결함 영역에 대해서도,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교체 영역 내에서 선택한 교체처 영역으로 교체 처리시키고, 해당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한 교체처 영역으로 교체 처리시키고, 해당 교체 처리를 나타 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상기 교체 관리 정보에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는 주데이터의 연속 기록 범위에 관한 연속 기록 범위 정보가 포함됨과 함께,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교체 처리에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교체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교체처 영역을,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특히,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교체 처리에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교체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교체처 영역을,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에서의 추기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예를 들면, 교체처 영역을,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추기 포인트 정보, 혹은,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각 추기 포인트 정보 중, 최대 어드레스로 되는 추기 포인트 정보, 혹은,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이외의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교체 영역 내에,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추가적인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설정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상과 같은, 교체 영역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의 기록 방법, 기록 장치, 및 교체 영역을 설치하는 경우의 기록 방법, 기록 장치에 대응하는 재생 방법,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생 방법은,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 있어서,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 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해 감으로써 갱신 가능하게 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교체 관리 정보에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는 주데이터의 연속 기록 범위에 관한 연속 기록 범위 정보가 포함되는 기록 매체에 대한 재생 방법으로서, 상기 주데이터 영역으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요구 시에,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기록 완료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데이터 기록 완료이면,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상기 교체 관리 정보로 교체원 영역으로서 관리되어 있는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상기 교체원 영역으로서 관리되어 있는 어드레스가 아니면,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터 판독을 행하고,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상기 교체원 영역으로서 관리되어 있는 어드레스이면, 상기 교체 관리 정보로 관리되어 있는 교체처 영역으로부터 데이터 판독을 행한다.
본 발명의 재생 장치는,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 있어서,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해 감으로써 갱신 가능하게 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교체 관리 정보에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는 주데이터의 연속 기록 범위에 관한 연속 기록 범위 정보가 포함되는 기록 매체에 대한 재생 장치로서, 데이터 판독을 행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주데이터 영역으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요구 시에,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기록완료인지 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 확인 수단과,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상기 교체 관리 정보로 교체원 영역으로서 관리되어 있는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2 확인 수단과, 상기 제1, 제2 확인 수단에 의해,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기록 완료이고, 또한 상기 교체원 영역으로서 관리되어 있는 어드레스가 아니라고 확인되면,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터 판독을 행하고, 한편, 적어도 상기 제2 확인 수단에 의해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상기 교체원 영역으로서 관리되어 있는 어드레스라고 확인되면,상기 교체 관리 정보로 관리되어 있는 교체처 영역으로부터 데이터 판독을 행하도록 상기 판독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 있어서,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해 감으로써 갱신 가능하게 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이 설치되고, 교체 처리에 이용하는 특정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 기록 매체이다.
또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추가적인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 있어서,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해 감으로써 갱신 가능하게 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과, 교체 영역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교체 영역과, 상기 주데이터 영역이, 상기 교체 처리를 위한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상기 교체 영역 내에,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추가적인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이 설치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서, 라이트원스형의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서, 교체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영역을 갖지만, 고정된 교체 영역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을 실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취한다.
·데이터 재기입 시의 교체 정보는, 이미 존재하는 디펙트 교체의 관리 정보의 포맷과 유사하게 하고, 또한 양방의 교체 관리 정보는 교체 관리 정보 내에 혼재시킨다.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용의 교체처로는, 기록 매체 상의 주데이터 영역(유저 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한 개소, 예를 들면 어떤 연속 기록 범위(트랙)의 추기 포인트 등으로 한다.
·기록/재생 장치가 기록 매체 상의 어드레스에 대하여 기록 완료/미기록을 판단하기 위해, 추기 방식으로 사용되는 트랙 정보(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이용한다. 즉, 기록 방식으로서 CD나 DVD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추기 방식(패킷 라이트, 인크리멘탈 레코딩)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추기 방식일 때에 기록/재생 장치가 기록 매체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트랙 정보(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기록 완료/미기록의 판단에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트랙 정보(연속 기록 범위 정보)는 그 트랙(연속 기록 범위:시퀀셜 레코딩 범위)의 개시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및 추기 포인트의 정보밖에 갖지 않지만, 이러한 기록 방식인 경우, 개시 어 드레스로부터 추기 포인트의 전까지는 기록 완료, 추기 포인트로부터 종료 어드레스까지는 미기록 상태이기 때문에, 트랙 정보로부터 기록 매체 상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맵핑이 가능해지고, 기록/재생 장치는 대상 어드레스의 기록 완료/미기록의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라이트원스형의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서, 교체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영역을 갖고, 또한 고정된 교체 영역을 설정하는 경우에,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을 실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취한다.
·데이터 재기입 시의 교체 정보는, 이미 존재하는 디펙트 교체의 관리 정보의 포맷과 유사하게 하고, 또한 양방의 교체 관리 정보는 교체 관리 정보 내에 혼재시킨다(상기의 교체 영역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와 마찬가지임).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용의 교체처로는, 교체 영역을 이용하지만, 그 교체 영역에서 교체 처리를 위한 영역이 존재하지 않게 된(교체 영역이 모두 사용된) 경우, 기록 매체 상의 주데이터 영역(유저 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한 개소, 예를 들면 임의의 연속 기록 범위(트랙)의 추기 포인트 등을 교체처로서 이용한다.
·기록/재생 장치가 기록 매체 상의 어드레스에 대하여 기록 완료/미기록을 판단하기 위해, 추기 방식에서 사용되는 트랙 정보(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이용한다(상기한 교체 영역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임).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의 광 디스크, 및 그 광 디스크에 대한 기록 장치, 재생 장치로 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대하여 설명해 간다. 설명은 다 음 순서로 행한다.
1. 디스크 구조.
2. DMA.
3. TDMA.
3-1 TDMA 구조 및 TDMS 업데이트 유닛.
3-2 TDDS.
3-3 TDFL.
3-4 SRR 및 SRRI.
3-5 교체 영역을 형성한 포맷의 교체 처리.
3-6 교체 영역을 형성하지 않은 포맷에서의 TDMA 및 ATDMA.
4.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
5. 교체 영역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의 기록 재생 처리.
5-1 데이터 기입 처리(예1).
5-2 데이터 기입 처리(예2).
5-3 데이터 판독 처리.
5-4 ATDMA 체크 처리.
6. 교체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의 기록 재생 처리.
6-1 데이터 기입 처리(예1).
6-2 데이터 기입 처리(예2).
6-3 데이터 판독 처리.
7. 실시 형태의 효과.
1. 디스크 구조.
우선 실시 형태의 광 디스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광 디스크는, 소위 블루레이 디스크라고 불리는 고밀도 광 디스크 방식의 범주에서의 라이트원스형 디스크로서 실시 가능하다.
본 실시의 형태의 고밀도 광 디스크의 물리 파라미터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광 디스크는, 디스크 사이즈로서는, 직경은 120㎜, 디스크 두께는 1.2㎜로 된다. 즉 이러한 점에서는 외형적으로 보면 CD(Compact Disc) 방식의 디스크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방식의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된다.
그리고 기록/재생을 위한 레이저로서, 소위 청색 레이저가 이용되고, 또한 광학계가 고 NA(예를 들면 NA=0.85)으로 되고, 또한 협트랙 피치(예를 들면 트랙 피치=0.32㎛), 고선밀도(예를 들면 기록 선밀도 0.12㎛)를 실현하는 것 등에 의해, 직경 12㎝의 디스크에서, 유저 데이터 용량으로서 23G~25G 바이트 정도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기록층이 2층으로 된 소위 2층 디스크도 개발되어 있고, 2층 디스크인 경우, 유저 데이터 용량은 50G 바이트 정도로 된다.
도 1은, 디스크 전체의 레이아웃(영역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본 예의 시스템에서는, 포맷 처리에 의해 도 1의 (a)의 레이아웃과 도 1의 (b)의 레이아웃을 선택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어느 경우에도, 디스크 상의 영역으로서는, 내주측으로부터 리드 인 존, 데이터 존, 리드 아웃 존이 배치된다.
또한, 기록·재생에 관한 영역 구성으로서 보면. 리드 인 존 중 최내주측의 프리 레코딩-데드 정보 영역 PIC가 재생 전용 영역으로 되고, 리드 인 존의 관리 영역으로부터 리드 아웃 존까지가, 1회 기록 가능한 라이트원스 영역으로 된다.
재생 전용 영역 및 라이트원스 영역에는, 워블링 그루브(사행된 홈)에 의한 기록 트랙이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는 레이저 스폿에 의한 트레이스 시의 트랙킹의 가이드로 되고, 또한 이 그루브가 기록 트랙으로 되어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행하여진다.
또한 본 예에서는, 그루브에 데이터 기록이 행하여지는 광 디스크를 상정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그루브 기록의 광 디스크에 한하지 않고, 그루브와 그루브 사이의 랜드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랜드 기록 방식의 광 디스크에 적용해도 되고, 또한 그루브 및 랜드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랜드 그루브 기록 방식의 광 디스크에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록 트랙으로 되는 그루브는, 워블 신호에 따른 에스자 형상으로 되어있다. 그 때문에, 광 디스크에 대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그루브에 조사한 레이저 스폿의 반사광으로부터 그 그루브의 양 엣지 위치를 검출하고, 레이저 스폿을 기록 트랙을 따라 이동시켜 갔을 때의 그 양 엣지 위치의 디스크 반경 방향에 대한 변동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워블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이 워블 신호에는, 그 기록 위치에서의 기록 트랙의 어드레스 정보(물리 어 드레스나 그 밖의 부가 정보 등)가 변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이 워블 신호로부터 어드레스 정보 등을 복조함으로써, 데이터의 기록이나 재생 시의 어드레스 제어 등을 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리드 인 존은, 예를 들면 반경 24㎜보다 내측의 영역으로 된다.
그리고 리드 인 존 내에서의 반경 22.2~23.1㎜이 프리 레코딩-데드 정보 영역 PIC로 된다.
프리 레코딩-데드 정보 영역 PIC에는, 미리 기록 재생 파워 조건 등의 디스크 정보나, 디스크 상의 영역 정보, 카피 프로텍션에 사용하는 정보 등을, 그루브의 워블링에 의해 재생 전용 정보로서 기록하고 있다. 또한, 엠보싱 피트 등에 의해 이들 정보를 기록하여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리 레코딩-데드 정보 영역 PIC보다 더 내주측에 BCA(Burst Cutting Area)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BCA는 디스크 기록 매체 고유의 유니크 ID를, 기록층을 번아웃하는 기록 방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즉 기록 마크를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하도록 형성해 감으로써, 바코드 형상의 기록 데이터를 형성한다.
리드 인 존에서, 예를 들면 반경 23.1~24㎜의 범위가 관리/제어 정보 영역으로 된다.
관리/제어 정보 영역에는 컨트롤 데이터 에리어, DMA(Disc Management Area ), TDMA(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테스트 라이트 에리어(OPC), 버퍼 에리 어 등을 갖는 소정의 영역 포맷이 설정된다.
관리/제어 정보 영역에서의 상기 컨트롤 데이터 에리어에는, 다음과 같은 관리/제어 정보가 기록된다.
즉, 디스크 타입, 디스크 사이즈, 디스크 버전, 층 구조, 채널 비트 길이, BCA 정보, 전송 레이트, 데이터 존 위치 정보, 기록 선속도, 기록/재생 레이저 파워 정보 등이 기록된다.
또한 동일하게, 관리/제어 정보 영역 내에 형성되는 테스트 라이트 에리어(OPC)는, 기록/재생 시의 레이저 파워 등, 데이터 기록 재생 조건을 설정할 때의 가기입 등에 사용된다. 즉 기록 재생 조건 조정을 위한 영역이다.
관리/제어 정보 영역 내에는, DMA가 형성되는데, 통상적으로, 디스크 시스템의 분야에서는 DMA는 「Defect Management Area 」로 불리며, 결함 관리를 위한 교체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그러나 본 예의 디스크에서는, DMA는 결함 개소의 교체 관리뿐만 아니라, 이 라이트원스형 디스크에서 데이터 재기입을 실현하기 위한 관리/제어 정보가 기록된다. 이 때문에 DMA는 「Disc Management Area 」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교체 처리를 이용하여 데이터 재기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재기입에 따라 DMA의 내용도 갱신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TDMA가 형성된다.
교체 관리 정보는 TDMA에 추가 기록되어 갱신되어 간다. DMA에는, 최종적으로 TDMA에 기록된 최후(최신)의 교체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DMA 및 TDMA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리드 인 존보다 외주측의, 예를 들면 반경 24.0~58.0㎜이 데이터 존으로 된다. 데이터 존은, 실제로 유저 데이터가 기록 재생되는 영역이다. 데이터 존의 개시 어드레스 ADdts, 종료 어드레스 ADdte는, 전술한 컨트롤 데이터 에리어의 데이터 존 위치 정보에서 기록된다.
도 1의 (a)는, 데이터 존에 교체 영역(스페어 에리어)이 형성되는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존에서는, 그 최내주측에 ISA(Inner Spare Area)가 형성되고, 또한 최외주측에 OSA(Outer Spare Area)가 형성된다. 이 ISA, OSA가, 결함에 의한 교체 처리나 데이터 재기입(덮어쓰기)를 위한 교체 처리에 이용하는 교체 영역으로 된다.
ISA는 데이터 존의 개시 위치로부터 소정 수의 클러스터 사이즈(1 클러스터=65536 바이트)로 형성된다.
OSA는 데이터 존의 종료 위치로부터 내주측으로 소정수의 클러스터 사이즈로 형성된다. ISA, OSA의 사이즈는 상기 DMA에 기술된다.
그리고 데이터 존에서 ISA와 OSA에 끼워진 구간이 유저 데이터 영역으로 된다. 이 유저 데이터 영역이 통상적으로 유저 데이터의 기록 재생에 이용되는 통상 기록 재생 영역이다.
유저 데이터 영역의 위치, 즉 개시 어드레스 ADus, 종료 어드레스 ADue는, 상기 DMA에 기술된다.
한편, 도 1의 (b)는, 데이터 존에 교체 영역(스페어 에리어)이 형성되지 않은 포맷이다. 이 경우, 데이터 존은, 그 대부분의 전역이 유저 데이터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단, 데이터 존의 종단측에, ATDMA(Additional TDM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a)의 경우에는 OSA 내에 ATDMA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음).
ATDMA는, 관리/제어 정보 영역 내의 TDMA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TDMA가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을 위해 모두 사용된 경우에, 계속되는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 도 1의 (b)의 포맷인 경우, ISA, OSA는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ISA, OSA의 사이즈는 상기 DMA에서 제로로 기술된다.
유저 데이터 영역의 위치, 즉 개시 어드레스 ADus는, 데이터 존의 개시 어드레스 ADdts로 된다. 유저 데이터 영역의 종료 어드레스 ADue는, ATDMA가 형성되지 않으면 데이터 존의 종료 어드레스 ADdte로 되고, ATDMA가 형성되면, ATDMA의 직전의 어드레스로 된다.
도 1의 (a), 도 1의 (b)의 어느 경우에도, 데이터 존보다 외주측, 예를 들면 반경 58.0~58.5㎜은 리드 아웃 존으로 된다. 리드 아웃 존은, 관리/제어 정보 영역으로 되고, 컨트롤 데이터 에리어, DMA, 버퍼 에리어 등이, 소정의 포맷으로 형성된다. 컨트롤 데이터 에리어에는, 예를 들면 리드 인 존에서의 컨트롤 데이터 에리어와 마찬가지로 각종 관리/제어 정보가 기록된다. DMA는, 리드 인 존에서의 DMA와 마찬가지로 ISA, OSA의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으로서 준비된다.
도 2에는, 관리/제어 정보 영역의 구조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인 존에는, 미정의 구간(리저브)를 제외하고, DMA2, OPC(테스트 라이트 에리어), TDMA, DMA1의 각 에리어가 형성된다. 또한 리드 아웃 존에는, 미정의 구간(리저브)를 제외하고, DMA3, DMA4의 각 에리어가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컨트롤 데이터 에리어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실제로는 컨트롤 데이터 에리어의 일부가 DMA로 되고, 및 DMA에 관한 구조가 본 발명의 요점으로 되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리드 인 존, 리드 아웃 존에서 4개의 DMA가 형성된다. 각 DMA1~DMA4는, 동일한 교체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단, TDMA가 형성되어 있고, 원래는 TDMA를 이용하여 교체 관리 정보가 기록되고, 또한 데이터 재기입이나 결함에 의한 교체 처리가 발생하는 것에 따라, 교체 관리 정보가 TDMA(또한 ATDMA)에 추가 기록되어 가는 형태로 갱신되어 간다.
따라서, 예를 들면 디스크를 파이널라이즈할 때까지는, DMA는 사용되지 않고, TDMA(ATDMA)에서 교체 관리가 행하여진다. 디스크를 파이널라이즈하면, 그 시점에서 TDMA(또는 ATDMA)에 기록되어 있는 최신 교체 관리 정보가, DMA에 기록되고, DMA에 의한 교체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2.DMA.
리드 인 존, 리드 아웃 존에 기록되는 DMA의 구조를 도 3에 도시한다.
여기서는 DMA의 사이즈는 32 클러스터로 하는 예를 나타낸다. 단 DMA 사이즈는 32 클러스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1 클러스터는 65536 바이트로서, 이것은 데이터 기록의 최소 단위이다. 또한, 2048 바이트가 섹터(또는 데이터 프레임)라고 불리는 단위로 되며, 따라서 1 클러스터는 32 섹터(또는 32 데이터 프레임)로 된다. 유저 데이터의 사이 즈로 생각하면, 섹터와 데이터 프레임은 동일하지만, 섹터는 물리적인 데이터 단위, 데이터 프레임은 논리적인 데이터 단위이다.
어드레스는 섹터 단위로 할당된다. 물리 섹터 어드레스를 PSN(Physical Sector Number), 논리 섹터 어드레스를 LSN(Logical Sector Number)이라고 한다.
도 3에서는, 32 클러스터의 각 클러스터를, 클러스터 번호 1~32로서 DMA에서의 각 내용의 데이터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내용의 사이즈를 클러스터 수로서 나타내고 있다.
DMA에서, 클러스터 번호 1~4의 4 클러스터의 구간에는 DDS(Disc Definition Structure)으로서 디스크의 상세 정보가 기록된다.
이 DDS의 내용은 도 4에서 설명하지만, DDS는 1 클러스터의 사이즈로 되어, 해당 4 클러스터의 구간에서 4회 반복하여 기록된다.
클러스터 번호 5~8의 4 클러스터의 구간은, 디펙트 리스트 DFL의 1번째의 기록 영역(DFL#1)으로 된다. 디펙트 리스트 DFL은 4 클러스터 사이즈의 데이터로 되고, 그 중에, 개개의 교체 어드레스 정보(후술하는 DOW 엔트리, DFL 엔트리)를 리스트 업한 구성으로 된다.
클러스터 번호 9~12의 4 클러스터의 구간은, 디펙트 리스트 DFL의 2번째의 기록 영역(DFL#2)으로 된다.
또한, 4 클러스터씩 3번째 이후의 디펙트 리스트 DFL#3~DFL#6의 기록 영역이 마련되고, 클러스터 번호 29~32의 4 클러스터의 구간은, 디펙트 리스트 DFL의 7번째의 기록 영역(DFL#7)으로 된다.
즉, 32 클러스터의 DMA에는, 디펙트 리스트 DFL#1~DFL#7의 7개의 기록 영역이 마련된다.
본 예와 같이 1회 기입 가능한 라이트원스형 광 디스크의 경우, 이 DMA의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파이널라이즈라는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 DMA에 기입하는 7개의 디펙트 리스트 DFL#1~DFL#7은 호환성을 고려하여 모두 동일한 내용으로 된다.
디펙트 리스트 DFL의 구조는, 후술하는 TDMA에서의 TDFL(템포러리 DFL)와 거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도 3의 DMA의 선두에 기록되는 DDS의 내용을 도 4에 도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DDS는 1 클러스터(=65536 바이트)의 사이즈로 된다.
도 4에서 바이트 위치는, 65536 바이트인 DDS의 선두 바이트를 바이트 0로서 나타내고 있다. 바이트 수는 각 데이터 내용의 바이트 수를 나타낸다.
바이트 위치 0~1의 2 바이트에는, DDS의 클러스터인 것을 인식하기 위한, DDS 식별자(DDS Identifier)=「DS」가 기록된다.
바이트 위치 2의 1 바이트에, DDS 형식 번호(포맷의 버전)가 표시된다.
바이트 위치 4~7의 4 바이트에는, DDS의 갱신 횟수(DDS Update Count)가 기록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DMA 자체는 파이널라이즈 시에 교체 관리 정보가 기입되는 것으로써 갱신되는 것은 아니고, 교체 관리 정보는 TDMA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파이널라이즈될 때에, TDMA에서 행해진 DDS(TDDS : 템포러리 DDS)의 갱신 횟수가, 해당 바이트 위치에 기록되는 것으로 된다.
바이트 위치 16~19의 4 바이트에는, DMA 내의 드라이브 에리어의 선두 물리 섹터 어드레스가 기록된다.
바이트 위치 24~27의 4 바이트에는, DMA 내의 디펙트 리스트 DFL의 선두 물리 섹터 어드레스가 기록된다.
바이트 위치 32~35의 4 바이트는, 데이터 존에서의 유저 데이터 영역의 선두 위치(도 1의 ADus), 즉 LSN(Logical Sector Number: 논리 섹터 어드레스) "0"의 위치를, PSN(Phisical Sector Number : 물리 섹터 어드레스)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바이트 위치 36~39의 4 바이트는, 데이터 존에서의 유저 데이터 에리어의 종료 위치(도 1의 ADue)를 LSN(논리 섹터 어드레스)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바이트 위치 40~43의 4 바이트에는, 데이터 존에서의 ISA의 사이즈가 기록된다. 도 1의 (b)의 포맷인 경우, ISA 사이즈는 「0」으로 된다.
바이트 위치 44~47의 4 바이트에는, 데이터 존에서의 OSA의 사이즈가 표시된다. 도 1의 (b)의 포맷인 경우, OSA 사이즈는 「0」으로 된다.
바이트 위치 48~51의 4 바이트에는, 데이터 존에서의 ISA(2층 디스크에서의 제2 층의 ISA)의 사이즈가 표시된다.
바이트 위치 52의 1 바이트에는, ISA, OSA를 사용하여 데이터 재기입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교체 영역 사용 가능 플래그(Spare Area Full Flag)가 표시된다. 교체 영역 사용 가능 플래그는, ISA 또는 OSA가 모두 사용된 때에, 그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바이트 위치 54의 1 바이트에는, 디스크 서티피케이션 플래그(Disc Certification Flag)가 표시되고, 디스크의 인증의 스테이터스를 나타낸다.
바이트 위치 56~59의 4 바이트에는, 라스트 베리파이드 어드레스 포인터(Last Verified Address Pointer)로서, 베리파이 완료한 최종 어드레스가 표시된다.
이들 이외의 바이트 위치는 리저브(미정의)로 되어, 모두 00h로 된다.
DMA에서는, 이상과 같은 데이터 구조로, 교체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DMA에 이들의 정보가 기록되는 것은 디스크를 파이널라이즈했을 때이고, 그 때는 TDMA에서의 최신의 교체 관리 정보가 반영되는 것으로 된다.
결함 관리나 데이터 재기입을 위한 교체 처리 및 그것에 따른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은, 다음으로 설명하는 TDMA에서 행해지게 된다.
3. TDMA.
3-1 TDMA 구조 및 TDMS 업데이트 유닛
계속해서,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제어 정보 영역에 설치되는 TDMA에 대하여 설명한다. TDMA(템포러리 DMA)는, DMA와 동일하게 교체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으로 되지만, 데이터 재기입이나 결함의 검출에 따른 교체 처리가 발생하는 것에 따라서 교체 관리 정보가 추가 기록됨으로써 갱신되어 간다.
도 5에 TDMA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제어 정보 영역 내에 설치되는 TDMA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2048 클러스터로 된다.
도 5의 (c)에 2048 클러스터를 이용한 TDMA 구조를 나타낸다. 단, 이 도 5의 (c)의 구조는, 도 1의 (a)과 같이 교체 영역(ISA, OSA)가 설치되는 포맷인 경우이다. 도 1의 (b)의 포맷인 경우의 TDMA 구조는 도 16에 후술한다.
TDMA의 선두에서 2개의 클러스터 CL0, CL1은, TDMA 인디케이터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클러스터 CL1은 ATDMA 인디케이터로 되고, 여기에는 ATDMA(Additional TDMA)에 처음으로 정보가 기록되었을 때에 최신의 TDDS(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후술)를 포함하는 스트럭처를 기록한다.
클러스터 CL0은 DMA 인디케이터로 되고, 여기에는 DMA가 기록되었을 때에 도 3을 따른 형태로 필요한 정보를, 최신의 TDMS(Temporary Disc Management Structure:후술)로부터 취득하여 기록한다.
클러스터 CL1이 기록 완료된 경우, 최신의 TDMS는 ATDMA로부터 취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또 클러스터 CL0이 기록 완료된 경우, 그 디스크는 파이널라이즈되어 기입 금지상태로 되고 있고, 최신의 디스크 정보는 DMA로부터 취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TDMA의 클러스터 CL2~CL2047까지는, 디스크 정보나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에 이용된다.
클러스터 CL2 이후에 기록되는 디스크 정보 및 교체 관리 정보를 구성하는 스트럭처를 TDMS(Temporary Disc Management Structure)라고 한다.
TDMS는, 1~N 클러스터의 가변 사이즈로 되는 TDMS 업데이트 유닛 단위로 추 가 기록되어 간다. 시퀀셜 레코딩 모드에서는 상기 N은 「4」로 된다. 또한 2층 디스크인 경우는 상기 N은 「8」로 된다.
예를 들면 도 5의 (d)는, 최초로 클러스터 CL2에 1 클러스터의 TDMS 업데이트 유닛이 기록되고, 다음으로 클러스터 CL3에 1 클러스터의 TDMS 업데이트 유닛이 기록되고, 또한 클러스터 CL4에 2 클러스터의 TDMS 업데이트 유닛이 기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TDMS는, 디스크 정보나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이 필요해지는 것에 따라서, 이와 같이 TDMS 업데이트 유닛 단위로, 연속하는 클러스터에 축차 기록되어 간다. TDMS 업데이트 유닛의 기록 시에는, 그 시점에서 최후의 기록 완료 클러스터의 뒤에서부터 공간을 두지 않고 최신의 TDMS 업데이트 유닛을 기록해간다.
본 예의 일회 기록형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 모드가 시퀀셜 기록 모드(Sequential Recording Mode)로 되는 경우, TDMS를 구성하는 요소는, TDDS(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TDFL(Temporary Defect List), SRRI(Sequential Recording Range Information)의 3개로, 이들 요소는 반드시 동일한 TDMA 내에 기록되어 있다.
각각 자세히 후술하지만, TDDS는, 주로 TDMS의 관리를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TDFL은, 실제의 교체 정보(DOW 엔트리, DFL 엔트리)가 포함된다. SRRI는, 유저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는 SRR(Sequential Recording Range: 연속 기록 범위)의 관리 정보이다. 여기서 말하는 연속 기록 범위란, 예를 들면 CD, DVD 등이라고 하는 「트랙」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6의 (a), (b), (c)에 TDMS 업데이트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다.
모든 TDMS 업데이트 유닛은 1 섹터의 사이즈의 TDDS를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TDDS는 TDMS 업데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클러스터의 최후의 섹터(데이터 프레임)에 배치된다.
또한 TDMS 업데이트 유닛에 TDFL을 포함하는 경우, TDFL은 TDMS 업데이트 유닛의 선두로부터의 필요 수의 섹터(데이터 프레임)에 배치된다.
또한 TDMS 업데이트 유닛에 SRRI를 포함하는 경우, SRRI는 TDMS 업데이트 유닛의 종단측, 즉 TDDS의 직전의 필요 수의 섹터(데이터 프레임)에 배치된다.
도 6의 (a)는, SRRI와 TDDS를 포함하는 TDMS 업데이트 유닛의 예이다. TDMS 업데이트 유닛은 예를 들면 1 클러스터로 되고, 최종 섹터(데이터 프레임 31)에 TDDS가 배치된다. 그리고 SRRI의 사이즈가 M 섹터라고 하면, TDDS의 직전으로 되는 M 섹터(데이터 프레임 (31-M)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 30까지)에 SRRI가 배치된다.
이 경우 TDFL은 기록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프레임 0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 (30-M)까지는 제로 데이터 (00h)로 된다.
도 6의 (b)는, TDFL과 TDDS를 포함하는 TDMS 업데이트 유닛의 예이다. TDMS 업데이트 유닛은 예를 들면 K 클러스터로 되고, 최종 섹터(클러스터 K의 데이터 프레임 31)에 TDDS가 배치된다. 그리고 TDFL의 사이즈가 N 섹터라고 하면, 선두에서 N 섹터(클러스터0의 데이터 프레임 0으로부터 클러스터 K의 데이터 프레임 (x-1)까지 TDFL이 배치된다. 또한, x=mod(N/32)-1이다.
이 경우 SRRI는 기록되지 않기 때문에, 클러스터 K의 데이터 프레임 x에서 데이터 프레임 30까지는 제로 데이터 (00h)로 된다.
도 6의 (c)는, TDFL, SRRI, TDDS를 포함하는 TDMS 업데이트 유닛의 예이다. TDMS 업데이트 유닛은 예를 들면 K 클러스터로 되고, 최종 섹터(클러스터 K의 데이터 프레임 31)에 TDDS가 배치된다. 그리고 TDFL의 사이즈가 N 섹터라고 하면, 선두에서 N 섹터(클러스터0의 데이터 프레임 0으로부터 클러스터(K-1)의 데이터 프레임 (x-1)까지 TDFL이 배치된다.
또한 TDDS의 직전으로 되는 M 섹터(클러스터 K의 데이터 프레임 (31-M)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 30까지)에 SRRI가 배치된다.
TDFL과 SRRI 사이에 도면과 같이 잔여 영역이 있으면, 그 영역은 제로 데이터 (00h)로 매립된다.
또한, TDMS 업데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클러스터 수는, TDFL이나 SRRI의 사이즈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7은, TDMS 업데이트 유닛이 추가 기록되어 간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최초로 2 클러스터 사이즈의 TDMS 업데이트 유닛 #1이 기록되고, 그 후 #2, #3…#x…#y와 같이 추가 기록된 경우이다.
예를 들면 TDFL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혹은 SRRI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그위에 TDFL과 SRRI의 양방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도 6의 (a), (b), (c) 중에서 어느 하나 필요한 형태의 TDMS 업데이트 유닛의 추가 기록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SRRI의 갱신이 필요하지만 TDFL의 갱신은 불필요할 때는 도 6의 (a)의 형태로 된다.
도 7에서는, TDMS 업데이트 유닛 #y가 최신의 TDMS 업데이트 유닛이다. TDMS 업데이트 유닛에는 반드시 TDDS가 포함되기 때문에, 이 TDMS 업데이트 유닛 #y의 TDDS가 유효한 최신의 TDDS로 된다.
그리고 이 최신의 TDDS에 의해서, 유효한 SRRI나 TDFL이 표시된다.
이 예의 TDMS 업데이트 유닛 #y는, SRRI의 갱신을 위해 기록된 것으로, 따라서 최신의 TDDS에 의해, TDMS 업데이트 유닛 #y에서의 SRRIn을 유효한 SRRI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시점에서 TDMS 업데이트 유닛 #x에서의 TDFLm이 유효한 TDFL이면, 최신의 TDDS에 의해, TDMS 업데이트 유닛 #x에서의 TDFLm이 유효한 TDFL로서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즉, 도 5의 TDMA에서 클러스터 CL2 이후에 수시 추가 기록되는 TDMS는, 그 최신의 TDMS 업데이트 유닛에서의 TDDS가 유효한 TDDS로 되어, 그 TDDS에 의해서, 최신의 SRRI, TDFL이 표시되는 것이다.
3-2 TDDS.
상기한 바와 같이 TDMS 업데이트 유닛의 최후의 섹터로서 기록되는 TDDS(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의 구조를 도 8에 도시한다.
TDDS는 1 섹터(2048 바이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4에서 설명한 DMA에서의 DDS와 마찬가지의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DDS는 1 클러스터(65536 바이트)이지만,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DS에서의 실질적 내용 정의가 행해지고 있는 것 은 데이터 프레임 0의 바이트 위치 59까지이다. 즉 1 클러스터의 선두 섹터(데이터 프레임) 내에 실질적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TDDS가 1 섹터이더라도, DDS의 주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TDDS는 전술된 바와 같이 TDMS 업데이트 유닛의 최종 클러스터의 최종 섹터에 기록되기 때문에, TDDS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프레임 31로서의 바이트 위치 0~2047에 기록된다.
그리고 TDDS는, 바이트 위치 0~53까지는 DDS와 마찬가지의 내용으로 된다. 즉, 파이널라이즈에 의해서 DDS가 기록된 때에는, 최신의 TDDS에서의 이들의 내용이 DDS에 반영되어 기록된다.
또한, DDS와 TDDS의 바이트 위치 53까지는, 바이트 위치 4~7은 도 4를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DDS 갱신 횟수로 되는데, 이 정보는, TDDS에서는 TDDS를 작성한 횟수로서의 값으로 된다. 또한 TDDS에서는, 바이트 위치 24~27의 디펙트 리스트의 개시 PSN은, 디스크의 클로즈 처리(그 이상의 추기를 금지하기 위한 처리)로 될 때까지는 0의 값을 취한다.
클로즈 처리 시에 DMA에 기입되는 DDS에는, 파이널라이즈 시점에서의 최신의 TDDS의 바이트 위치 4~7의 값이 DDS의 바이트 위치 4~7에 기입되어, 또한 바이트 위치 24~27의 디펙트 리스트의 개시 PSN이 기입된다.
TDDS의 바이트 위치 1024 이후에는, DDS에는 없는 정보가 기록된다. 또 도 8에서는, 바이트 위치 1024 이후의 내용에 대하여, 일부 생략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동작에 관련하는 내용만을 나타내고 있다.
바이트 위치 1024의 1 바이트는, 레코딩 모드(Recording Mode)로 되어 디스크의 기록 모드가 표시된다.
바이트 위치 1032로부터 1035의 4 바이트에는, 유저 데이터 영역에서의 데이터 기록 완료의 최종의 물리 섹터 어드레스 PSN이 기록된다.
바이트 위치 1040으로부터 1043의 4 바이트에는, ATDMA의 사이즈가 표시된다.
바이트 위치 1120으로부터 1123의 4 바이트에는, TDFL의 제1 클러스터의 선두 PSN(First PSN of 1st Cluster of TDFL)이 표시된다.
이후 4 바이트씩, TDFL의 제2~제8 클러스터의 선두 PSN이 표시된다.
이 TDFL의 제1 클러스터의 선두 PSN~TDFL의 제8 클러스터의 선두 PSN이, 각각 TDFL의 포인터라고 되어, 이들을 이용하여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효한 TDFL을 나타내는 것이 행해진다.
바이트 위치 1184로부터 1187의 4 바이트에는, SRRI의 선두 PSN(First PSN of SRRI)가 표시된다. 이 SRRI의 선두 PSN은 SRRI의 포인터로 되고, 이것을 이용하여 도 7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효한 SRRI를 나타내는 것이 행해진다.
바이트 위치 1216으로부터 1219의 4 바이트에는, ISA에서 다음으로 기록하는 어드레스(Next available PSN of ISA)가 표시된다.
또한 바이트 위치 1220으로부터 1223의 4 바이트에는, OSA에서 다음으로 기록하는 어드레스(Next available PSN of OSA)가 표시된다.
교체 처리에 의해 ISA 또는 OSA가 사용되었을 때는, 그 다음으로 기입을 행 하는 어드레스로서, 이들의 값이 갱신된다.
바이트 위치 1920으로부터 2048은 드라이브 ID로 된다.
3-3 TDFL.
다음으로 TDFL(템포러리 DFL)의 구성을 설명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TDFL은, TDMS 업데이트 유닛에 포함됨으로써 갱신되어 간다.
도 9에서 클러스터 번호/데이터 프레임 번호는 TDFL 내의 클러스터 번호와, 2048 바이트의 섹터 단위를 나타낸다. 데이터 프레임 내의 바이트 위치(Byte position in Data frame)는 각 데이터 프레임에서의 내부의 바이트 위치를 나타낸다.
TDFL의 내용으로서, 바이트 위치 0으로부터의 64 바이트는, TDFL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TDFL 헤더(Temporary Defect List Header)로 된다.
이 TDFL 헤더는, TDFL 클러스터인 것을 인식하는 정보, 버전, TDFL 업데이트(TDFL 기록 갱신) 횟수, TDFL의 정보 블록(DOW 엔트리/DFL 엔트리)의 엔트리 수 등의 정보로 구성된다.
바이트 위치 64 이후는, 복수의 정보 블록으로 구성되는 템포러리 리스트 오브 디펙트(Temporary list of Defects)이고, 하나 하나의 정보 블록의 크기는 8 바이트이다. N개의 정보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그 크기는 N× 8 바이트로 된다.
8 바이트에 의한 1개의 정보 블록이, 1개의 교체 정보이고, DOW 엔트리 또는 DFL 엔트리로 된다.
DFL 엔트리와 DOW 엔트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교체 정보이지만, 설명의 편 의상, DFL 엔트리는 결함 영역의 교체 정보, DOW(Data Overwrite) 엔트리는, 데이터 재기입에 이용하는 교체 정보로 한다.
DFL 엔트리와 DOW 엔트리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템포러리 리스트 오브 디펙트 내의 정보 블록으로서 혼재하여도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템포러리 리스트 오브 디펙트는, DFL 엔트리와 DOW 엔트리가 복수 모여서 구성되고, 그 DFL 엔트리와 DOW 엔트리를 합한 총수는, 1층 디스크인 경우, 최대 32759개로 된다.
템포러리 리스트 오브 디펙트의 직후는, 8 바이트로 템포러리 디펙트 리스트 종단(Temporary Defect List Terminator)이 기록되고, 템포러리 리스트 오브 디펙트가 종료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후, 그 클러스터의 최후까지는 0으로 매립된다.
개개의 정보 블록인 8 바이트의 DOW 엔트리의 구성을 도 10의 (a)에 도시한다. 또한, DFL 엔트리라고 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포맷이다.
8 바이트(=64 비트) 중, 비트 b63~b60의 4 비트는 스테이터스 1로 된다.
비트 b59~b32의 28 비트는 교체원 어드레스(교체원 클러스터의 선두 PSN)로 된다.
비트 b31~b28의 4 비트는 스테이터스 2로 된다.
비트 b27~b0의 28 비트는 교체처 어드레스(교체처 클러스터의 선두 PSN)로 된다.
스테이터스 1, 2에 의한 의미를 도 10의 (b)에 도시한다.
스테이터스1, 2가 「0000」「0000」으로 되는 경우에는, 그 DOW 엔트리(또는 DFL 엔트리)는 통상적인 교체 정보로 된다.
즉 그 엔트리에 기록된 교체원 어드레스와 교체처 어드레스에서, 1개의 클러스터의 교체 처리가 표시된다. 즉, 데이터 재기입을 위한 교체 처리, 또는 결함 검출에 기초하는 교체 처리가 엔트리된다.
교체처 어드레스는, 도 1의 (a)와 같이 교체 영역이 설정된 포맷인 경우는, 기본적으로는 ISA 또는 OSA 내의 어드레스로 된다. 한편, 도 1의 (b)와 같이 교체 영역이 설정되지 않는 포맷인 경우에는, 교체처 어드레스는, 유저 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어드레스로 된다.
또한, 후술하지만 도 1의 (a)와 같이 교체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유저 데이터 영역 내의 임의의 영역을 이용하여 교체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도 있어, 그 경우에는, 교체처 어드레스는, 유저 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어드레스로 된다.
스테이터스 1, 2가 「0000」「0001」로 되는 경우에는, 그 엔트리는, 버스트 블록 교체의 스타트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또한 스테이터스 1, 2가 「0000」「0010」으로 되는 경우에는, 그 엔트리는, 버스트 블록 교체의 엔드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버스트 블록 교체는,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복수 클러스터를 통합하여 교체시키는 교체 처리이다.
즉 스테이터스 1, 2가 「0000」「0001」인 엔트리에는, 교체 처리시키는 복수 클러스터 범위에 대한 선두 클러스터의 선두 PSN과, 그 교체처의 복수 클러스터 범위의 선두 클러스터의 선두 PSN이 기록된다.
또한 스테이터스 1, 2가 「0000」「0010」인 엔트리에는, 교체 처리시키는 복수 클러스터 범위에 대한 최종 클러스터의 선두 PSN과, 그 교체처의 복수 클러스터 범위의 최종 클러스터의 선두 PSN이 기록된다.
이 2개의 엔트리에 의해서, 연속한 복수 클러스터 범위를 일괄한 교체 처리로서 관리할 수 있다. 즉,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클러스터를 통합하여 교체 관리하는 경우에는, 그 복수개의 모든 클러스터를 1개씩 엔트리할 필요는 없고, 선두 클러스터와 종단 클러스터에 대한 2개의 교체 정보를 엔트리하면 되는 것으로 된다.
이 DOW 엔트리와 DFL 엔트리는 동일한 포맷으로 TDFL 내에 혼재되지만, 데이터 교체의 능력을 갖지 않는 장치에, 본 예의 디스크가 장전된 때는, DFL 엔트리와 DOW 엔트리를, 어느쪽도 DFL 엔트리로서 해석하고, 재생 시에 판독하는 클러스터를 통상적으로 교체시키기 때문에, 재생 호환성은 유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버스트 블록 교체의 기능을 갖지 않는 장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파이널라이즈 시에 DMA를 기입하는 경우(파이널라이즈 시에 최신의 TDFL 내용을 DMA 내의 DFL에 기입하는 경우), 버스트 블록 교체된 복수의 클러스터를, 개개의 통상적인 교체 정보의 엔트리로 변환하여 DFL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모든 교체 정보의 엔트리는, 1 클러스터씩의 통상적인 교체 정보로 되어, 버스트 블록 교체 기능을 갖지 않는 재생 장치에 대해서도 재생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3-4 SRR 및 SRRI
다음으로 SRR(Sequential Recording Range) 및 SRRI(Sequential Recording Range Information)에 대하여 설명한다.
SRR의 구조를 도 11에 도시한다. SRR은, 본 예의 일회 기록 디스크에 대하여 시퀀셜 기록 모드(Sequential Recording Mode) 시에 사용하는 기입 영역(연속 기록 범위)의 것으로, CD에서의 트랙과 비슷한, 이하의 <1>~<5>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SRR 내부에서는 기록은 어드레스 증가 방향으로 행해지고, 또한 기록 가능한 어드레스(추기 포인트)를 하나만 갖는 것이 가능하다. 그 추기 포인트로서의 어드레스를 NWA(Next Writable Address, PSN)라고 한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SRR 내부의 최종 기록 어드레스를 LRA(Last Recorded Address, PSN)라고 하면 NWA는 이하의 식으로 표시된다.
NWA=(ip(LRA/32)+1)*32(LRA≠0인 경우)
NWA=Start PSN of the SRR(LRA=0인 경우)
여기서 ip(N)은 N 보다도 작은 정수로, 최대의 정수를 나타내고 있다.
즉, SRR에 기록이 행해지고 있으면, NWA는 LRA를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다음의 클러스터의 선두 어드레스(PSN)로 되고, 또한 SRR이, 아직 기록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NWA는 SRR의 선두 어드레스(PSN)로 된다.
<2> SRR은 오픈(Open) 및 클로즈드(Closed)의 2개 중 어느 한쪽의 스테이터스를 취한다.
여기서, 도 11의 (a)의 Open SRR은 기록 가능한(즉 NWA를 갖는) SRR을 나타내고, 도 11의 (b)의 Closed SRR은 기록 불가능한 (즉 NWA를 갖지 않는) SRR을 나타낸다.
<3> Open SRR을 디스크 상에 확보하는 처리를 SRR의 리저브, Open SRR의 스테이터스를 Closed로 바꾸는 처리를 SRR의 클로즈라고 부른다.
<4> SRR는 디스크 상에 복수(최대 7927개)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중에서도 Open SRR은 동시에 16개까지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5> 기입 대상으로 되는 SRR는 임의의 순서로 선택할 수 있다.
실제의 사용 방법으로서 Open SRR의 리저브는 파일 시스템의 관리 영역을 file data의 전방에 확보하면서, 디스크에 file data를 기록한 후에 파일 시스템의 관리 정보를 관리 영역에 기록하는 경우에 사용되어 있다.
도 11의 (c)는, 시퀀셜 기록 모드로 기록을 행하고 있을 때의 디스크의 샘플 레이아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디스크 상에는 4개의 SRR(SRR#1~SRR#4)가 존재하고, SRR#1, SRR#3, SRR#4가 Open SRR이고 SRR#2가 Closed SRR이다.
이 디스크에 추기하는 경우, NWA1, NWA3, NWA4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기록이 가능하다.
이러한 SRR을 관리하는 정보로서, 상기 TDMS 업데이트 유닛에 의해 SRRI가 기록된다.
도 12에 SRRI의 구성을 나타낸다.
SRRI는 데이터 프레임1~31의 크기로 구성된다.
도 12의 상대 데이터 프레임번호(Relative Data Frame)는 클러스터 내의 각 데이터 프레임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SRRI는, TDMS 업데이트 유닛의 최종 데이터 프레임 31에 기록되는 TDDS의 직전에 배치되기 때문에, SRRI가 M 섹터의 사이즈라고 하면, SRRI는 데이터 프레임 (31-M)~데이터 프레임 30에 배치된다. 또한 데이터 프레임 내의 바이트 위치(Byte position in Data frame)는 각 데이터 프레임의 내부의 바이트 위치를 나타낸다.
SRRI의 선두에서 64 바이트는, SRRI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SRRI 헤더(SRRI Header)로 된다.
SRRI 헤더는 SRRI 클러스터인 것을 인식하는 정보, 버전, SRRI 업데이트(SRRI 기록 갱신) 횟수, SRR 엔트리(SRR의 정보를 도시하는 블록)의 총수 등의 정보로 구성된다.
계속되는 바이트 위치 64 이후에는, 복수의 SRR 엔트리에 의한 리스트(List of SRR Entries)로 된다.
리스트(List of SRR Entries)에 포함되는 하나 하나의 SRR 엔트리의 크기는 8 바이트이다. N개의 SRR 엔트리가 존재하는 경우, 리스트의 크기는 N× 8 바이트로 된다.
최후의 SRR 엔트리의 직후에는, 8 바이트의 SRRI 종단(SRRI Terminator)이 배치되고, 이 후 그 클러스터의 최후까지가 0으로 매립된다.
SRRI 헤더의 구성을 도 13의 (a)에 도시한다.
바이트 위치 0~1의 2 바이트는, SRRI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SRRI-ID(SRRI Identifier)로 된다.
바이트 위치 2의 1 바이트는, SRRI 포맷의 버전을 나타내는 SRRI 포맷(SRRI Format)로 된다.
바이트 위치 4~7의 4 바이트는, SRRI의 갱신 횟수를 나타내는 SRRI 업데이트 카운트(SRRI Update Count)로 된다.
바이트 위치 12~15의 4 바이트는, SRR 엔트리의 합계 수를 나타내는 SRR 엔트리 수(Number of SRR Entries)로 된다.
바이트 위치 16의 1 바이트는, 스테이터스가 오픈으로 되어 있는 SRR의 총수를 나타내는 오픈 SRR 수(Number of Open SRRs)로 된다.
바이트 위치 20로부터는, 모든 Open SRR 번호를 통합한 리스트(List of Open SRR Numbers)가 기록된다.
이 리스트(List of Open SRR Numbers)의 구조를 도 13의 (b)에 도시한다. 각 Open SRR 번호가 2 바이트씩, 합계 16 갯수분의 크기를 갖고, 32 바이트이다. Open SRR의 총수가 16개에 가득 차지 않는 경우, 리스트(List of Open SRR Numbers )의 남은 부분은 0으로 매립된다. 또한, 리스트(List of Open SRR Numbers)는 Open SRR의 총수가 증감할 때마다 그 내용을 수정하여 내림차순으로 소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SRRI 헤더에 계속해서, 도 12의 엔트리 리스트(List of SRRI Entries)에 등록되는 것으로 되는 SRR 엔트리의 구성을 도 14에 도시한다. 엔트리 번호를 i로 한다.
각각이 임의의 SRR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는 개개의 SRR 엔트리는 8 바이트(64 비트)로 구성된다.
비트 b63~b60의 4 비트는 리저브(미정의)이다.
비트 b59~b32의 28 비트는, 유저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SRR#i의 스타트 어드레스로 된다. 즉 SRR#i의 개시 클러스터의 선두의 PSN이 표시된다.
비트 b31은 세션 스타트로 되고, 이 SRR가 세션최초의 SRR 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로 된다. 이 비트가 1일 때, 이 SRR가 세션의 최초의 SRR, 즉 이 SRR로부터 세션이 시작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비트 b30~b28의 3 비트는 리저브(미정의)로 된다.
비트 b27~b0의 28 비트에서는 SRR#i 내의 LRA(Last Recorded Address:도 11 참조)가 PSN에 의해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SRRI 헤더 및 SRR 엔트리를 포함하는 SRRI에 의해, 유저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각 SRR의 수나 어드레스, 그 위에 각 SRR의 LRA가 관리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픈 SRR의 NWA(Next Writable Address)는, 그 SRR에 대응하는 SRR 엔트리에서의 LRA(Last Recorded Address)의 값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SRRI는, SRR가 리저브된 경우, SRR 내의 NWA에서 추기가 행해진 경우, SRR가 클로즈된 경우 등, SRR의 관리 상태의 갱신이 필요할 때에, 상기 TDMS 업데이트 유닛에 SRRI가 포함되는 형태로 갱신된다.
3-5 교체 영역을 설치한 포맷의 교체 처리.
여기서, 도 1의 (a)와 같이 ISA, OSA로서 고정의 교체 영역이 설치되는 포맷에서의 기본적인 교체 처리를 설명해 둔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ISA(내측 스페어 에리어: 내주측 교체 영역) 및 OSA(외측 스페어 에리어: 외주측 교체 영역)는 결함 클러스터의 교체 처리를 위한 교체 영역으로서 데이터 존 내의 내주측과 외주측에 확보된다.
또한 ISA와 OSA는, 기록 완료 어드레스에 대한 기입하여, 즉 데이터 재기입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대상 어드레스에 기입하는 데이터를 실제로 기록하기 위한 교체 영역으로서도 사용한다.
ISA, OSA의 사이즈는 전술한 DDS, TDDS 내에서 정의된다.
ISA의 크기(사이즈)는 초기화 시에 결정되고, 그 후의 크기도 고정이다.
이들 ISA, OSA를 이용한 교체 처리는,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데이터 재기입의 경우를 예로 든다. 예를 들면 유저 데이터 영역에서의 이미 데이터 기록이 행해진 클러스터에 대하여 데이터 기입, 즉 재기입의 요구가 발생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라이트원스 디스크이므로 그 클러스터에는 기입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재기입 데이터는 ISA 또는 OSA 내의 임의의 클러스터에 기입되도록 한다. 이것이 교체 처리이다.
이 교체 처리가 상기의 DOW 엔트리로서 관리된다. 즉 원래 데이터 기록이 행해질 수 있고 있었던 클러스터 어드레스가 교체원, ISA 또는 OSA 내에 재기입 데이터를 기입한 클러스터 어드레스가 교체처로서, 1개의 DOW 엔트리가 등록된다.
즉, 데이터 재기입의 경우에는, 재기입 데이터를 ISA 또는 OSA에 기록하고, 또한 해당 재기입에 의한 데이터 위치의 교체를 TDMA 내의 TDFL에서의 DOW 엔트리로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일회 기록형의 디스크이면서, 실질적으로(예를 들면 호스트 시스템의 OS, 파일 시스템 등으로부터 보아) 데이터 재기입을 실현하는 것이다.
결함 관리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임의의 클러스터가 결함 영역으로 된 경우, 거기에 기입할 데이터는, 교체 처리에 의해 ISA 또는 OSA 내의 임의의 클러스터에 기입된다. 그리고 이 교체 처리의 관리를 위해 1개의 DFL 엔트리가 등록된다.
이들의 교체 처리에서의 교체처로서의 기록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ISA, OSA의 순서로 젊은 어드레스의 클러스터로부터 이용되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포맷에서는, OSA의 일부 혹은 전부를 ATDMA(Additional TDMA)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이와 같이 교체 영역이 설치되는 포맷에 있어서, 교체 영역이 다 사용된 후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 데이터 영역을 이용하여 교체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3-6 교체 영역을 설치하지 않는 포맷에서의 TDMA 및 ATDMA.
도 16은 ISA, OSA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의 디스크 레이아웃을 나타내고 있다.
교체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디스크를 작성할 때에는 특수한 포맷 커맨드를 사용한다. 이 커맨드의 포맷 파라미터는 통상 교체 영역을 갖지 않기 때문에, 어드레스를 할당할 수 있는 최대의 용량을 파라미터에 지정하여 포맷하는데, 이 용량 에 최대 용량보다도 적은 값을 명시적으로 지정함으로써, 유저 데이터의 최후부에 어드레스를 할당하지 않은 영역을 만드는 것 가능해지도록 드라이브(기록 재생 장치)의 기능을 확장한다. 본 예에서는 이 부분을 예비의 관리 영역, 즉 ATDMA로서 사용한다.
또한, 동시에 TDMA의 선두 부분에 있는 TDMA 인디케이터는, 교체 영역을 설치하는 포맷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스터 CL0, CL1의 2 클러스터이지만, 교체 영역을 설치하지 않는 포맷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클러스터 확장하여 3 클러스터(CL0, CL1, CL2)로 하고 있다. 클러스터 CL2는 TDMA 인포메이션 클러스터와 위치 결정한다.
TDMA에 최초로 기록할 때에는, 우선 클러스터 CL2에 TDMA 인포메이션 클러스터로서의 블록을 기입하고, 이것에 계속해서 클러스터 CL3에 하나째의 TDMS를 기록한다.
TDMA가 모두 기록되어 ATDMA에 관리 정보의 기록 에리어가 이행하는 경우, ATDMA 인디케이터로서의 클러스터 CL1에는, 동일하게 TDMA 인포메이션 클러스터의 내용을 기록한다.
TDMA 인포메이션의 포맷을 도 17에 도시한다.
TDMA 인포메이션은 2048 바이트로 구성되어 있고, ATDMA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스트럭처이다.
TDMA에서의 TDMA 인포메이션 클러스터(클러스터 CL2)에는, 이 2048 바이트(=1 데이터 프레임)의 TDMA 인포메이션이 32회 반복하여 기록되는 것으로 된다.
TDMA 인포메이션의 기본적인 구성은 TDDS(도 8 및 도 4의 DDS 참조)와 동일하지만, 일부의 파라미터를 실제의 TDDS와 다른 값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TDMA 인포메이션인 경우, 파라미터를 이하와 같이 설정한다.
바이트 위치 40으로부터의 4 바이트는 ISA 사이즈(Inner Spare Area Size)인데, 이것을 0으로 설정한다.
바이트 위치 44로부터의 4 바이트는 OSA 사이즈(Outer Spare Area Size)인데, 여기에는 실제로 설정하는 ATDMA의 크기(단위는 클러스터)를 256으로 나눈 값을 설정한다.
바이트 위치 1040으로부터의 4 바이트는 OSA 내의 TDMA 사이즈(Size of TDMA in Outer Spare Area)인데, 이것에 ATDMA의 크기(단위는 클러스터)를 설정한다.
이러한 TDMA 인포메이션이 기록된 TDMA 인포메이션 클러스터(클러스터 CL2)를 설치함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는, 장전된 디스크를 체크할 때에 TDMA 인포메이션 클러스터를 리드함으로써, 그 디스크에 ATDMA가 존재하는지 여부, 또한 그 크기는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4.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일회 기록형의 디스크에 대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기록 재생 장치)를 설명해간다.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일회 기록형의 디스크, 예를 들면 도 1의 프리 레코디드 정보 영역 PIC만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고, 일회 기록 영역은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디스크에 대하여 포맷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 1의 (a), (b)에서 설명한 상태의 디스크 레이아웃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또한 그와 같은 포맷 완료의 디스크에 대하여 유저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한다. 또한 필요 시에 있어서, TDMA(또는 ATDMA)의 갱신도 행하는 것이다.
도 18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디스크(1)는 전술한 일회 기록형의 디스크이다. 디스크(1)는, 도시하지 않은 턴테이블에 적재되고, 기록/재생 동작 시에서 스핀들 모터(52)에 의해서 일정 선속도(CLV)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광학 픽업(광학 헤드)(51)에 의해서 디스크(1) 상의 그루브 트랙의 워블링으로서 매립된 ADIP 어드레스나 프리 레코디드 정보로서의 관리/제어 정보의 판독이 행해진다.
또한 초기화 포맷 시나, 유저 데이터 기록 시에는 광학 픽업(51)에 의해서 일회 기록 영역에서의 트랙에, 관리/제어 정보나 유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재생시에는 광학 픽업에 의해서 기록된 데이터의 판독이 행해진다.
픽업(51) 내에는, 레이저 광원으로 되는 레이저 다이오드나,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 검출기, 레이저광의 출력단으로 되는 대물 렌즈, 레이저광을 대물 렌즈를 통하여 디스크 기록면에 조사하고, 또한 그 반사광을 광 검출기에 유도하는 광학계(도시 생략)가 형성된다.
픽업(51) 내에서 대물 렌즈는 2축 기구에 의해서 트랙킹 방향 및 포커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픽업(51) 전체는 쓰레드 기구(53)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픽업(51)에서의 레이저 다이오드는 레이저 드라이버(63)로부터의 드라이브 신호(드라이브 전류)에 의해서 레이저 발광 구동된다.
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 정보는 픽업(51) 내의 광 검출기에 의해서 검출되어, 수광 광량에 따른 전기 신호로 되어 매트릭스 회로(54)에 공급된다.
매트릭스 회로(54)에는, 광 검출기로서의 복수의 수광 소자로부터의 출력 전류에 대응하여 전류 전압 변환 회로, 매트릭스 연산/증폭 회로 등을 구비하고, 매트릭스 연산 처리에 의해 필요한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재생 데이터에 상당하는 고주파 신호(재생 데이터 신호), 서보 제어를 위한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 등을 생성한다.
또한, 그루브의 워블링에 따른 신호, 즉 워블링을 검출하는 신호로서 푸시풀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매트릭스 회로(54)는, 픽업(51) 내에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매트릭스 회로(54)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데이터 신호는 리더/라이터 회로(55)에,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는 서보 회로(61)에, 푸시풀 신호는 워블 회로(58)에, 각각 공급된다.
리더/라이터 회로(55)는, 재생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2치화 처리, PLL에 의한 재생 클럭 생성 처리 등을 행하여, 픽업(51)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변복조 회로(56)에 공급한다.
변복조 회로(56)는, 재생 시의 디코더로서의 기능 부위와, 기록 시의 인코더 로서의 기능 부위를 구비한다.
재생 시에는 디코드 처리로서, 재생 클럭에 기초하여 런랭스 리미티드 코드의 복조 처리를 행한다.
또한 ECC 인코더/디코더(57)는, 기록 시에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하는 ECC 인코드 처리와, 재생 시에 에러 정정을 행하는 ECC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재생 시에는, 변복조 회로(56)에서 복조된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에러 검출/정정 처리 및 디인터리브 등의 처리를 행하여, 재생 데이터를 얻는다.
ECC 인코더/디코더(57)에서 재생 데이터에까지 디코드된 데이터는, 시스템 컨트롤러(60)의 지시에 기초하여, 판독되어, 접속된 기기, 예를 들면 AV(Audio-Visual) 시스템(120)에 전송된다.
그루브의 워블링에 따른 신호로서 매트릭스 회로(54)로부터 출력되는 푸시풀 신호는, 워블 회로(58)에서 처리된다. ADIP 정보로서의 푸시풀 신호는, 워블 회로(58)에서 ADIP 어드레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복조되어 어드레스 디코더(59)에 공급된다.
어드레스 디코더(59)는,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한 디코드를 행하여, 어드레스값을 얻고, 시스템 컨트롤러(60)에 공급한다.
또한 어드레스 디코더(59)는 워블 회로(58)로부터 공급되는 워블 신호를 이용한 PLL 처리로 클럭을 생성하여, 예를 들면 기록 시의 인코드 클럭으로서 각 부에 공급한다.
또한, 그루브의 워블링에 따른 신호로서 매트릭스 회로(54)로부터 출력되는 푸시풀 신호로서, 프리 레코디드 정보 PIC로서의 푸시풀 신호는, 워블 회로(58)에서 대역 통과 필터 처리가 행해져서 리더/라이터 회로(55)에 공급된다. 그리고 2치화되어, 데이터 비트 스트림으로 된 후, ECC 인코더/디코더(57)로 ECC 디코드, 디인터리브되어, 프리 레코디드 정보로서의 데이터가 추출된다. 추출된 프리 레코디드 정보는 시스템 컨트롤러(60)에 공급된다.
시스템 컨트롤러(60)는, 판독된 프리 레코디드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동작 설정 처리나 카피 프로텍트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기록 시에는, AV 시스템(120)으로부터 기록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지만, 그 기록 데이터는 ECC 인코더/디코더(57)에서의 메모리에 보내져서 버퍼링된다.
이 경우 ECC 인코더/디코더(57)는, 버퍼링된 기록 데이터의 인코드 처리로서, 에러 정정 코드 부가나 인터리브, 서브 코드 등의 부가를 행한다.
또한 ECC 인코드된 데이터는, 변복조 회로(56)에서 예를 들면 RLL(1-7) PP 방식의 변조가 실시되어, 리더/라이터 회로(55)에 공급된다.
기록 시에 이들의 인코드 처리를 위한 기준 클럭으로 되는 인코드 클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워블 신호로부터 생성한 클럭을 이용한다.
인코드 처리에 의해 생성된 기록 데이터는, 리더/라이터 회로(55)에 의해 기록 보상 처리로서, 기록층의 특성, 레이저광의 스폿 형상, 기록 선속도 등에 대한 최적 기록 파워의 미세 조정이나 레이저 드라이브 펄스 파형의 조정 등이 행해진 후, 레이저 드라이브 펄스로서 레이저 드라이버(63)에 보내진다.
레이저 드라이버(63)에서는 공급된 레이저 드라이브 펄스를 픽업(51) 내의 레이저 다이오드에 부여하여, 레이저 발광 구동을 행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1)에 기록 데이터에 따른 피트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레이저 드라이버(63)는, 소위 APC 회로(Auto Power Control)를 구비하고, 픽업(51) 내에 설치된 레이저 파워의 모니터용 검출기의 출력에 의해 레이저 출력 파워를 모니터하면서 레이저의 출력이 온도 등에 의하지 않고 일정해지도록 제어한다. 기록 시 및 재생 시의 레이저 출력의 목표값은 시스템 컨트롤러(60)로부터 공급되어, 기록 시 및 재생시에는 각각 레이저 출력 레벨이, 그 목표값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서보 회로(61)는, 매트릭스 회로(54)로부터의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로부터, 포커스, 트랙킹, 쓰레드의 각종 서보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하여 서보 동작을 실행시킨다.
즉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랙킹 에러 신호에 따라서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 트랙킹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하여, 픽업(51) 내의 2축 기구의 포커스 코일, 트랙킹 코일을 구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픽업(51), 매트릭스 회로(54), 서보 회로(61), 2축 기구에 의한 트랙킹 서보 루프 및 포커스 서보 루프가 형성된다.
또한 서보 회로(61)는, 시스템 컨트롤러(60)로부터의 트랙 점프 명령에 따라서, 트랙킹 서보 루프를 오프로 하여, 점프 드라이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트랙 점프 동작을 실행시킨다.
또한 서보 회로(61)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저역 성분으로서 얻어지는 쓰레 드 에러 신호나, 시스템 컨트롤러(60)로부터의 액세스 실행 제어 등에 기초하여 쓰레드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하여, 쓰레드 기구(53)를 구동한다. 쓰레드 기구(5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픽업(51)을 유지하는 메인 샤프트, 쓰레드 모터, 전달 기어 등에 의한 기구를 갖고, 쓰레드 드라이브 신호에 따라서 쓰레드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픽업(51)의 소요의 슬라이드 이동이 행해진다.
스핀들 서보 회로(62)는 스핀들 모터(52)를 CLV 회전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스핀들 서보 회로(62)는, 워블 신호에 대한 PLL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클럭을, 현재의 스핀들 모터(52)의 회전 속도 정보로서 얻고, 이것을 소정의 CLV 기준 속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스핀들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재생 시에서는, 리더/라이터 회로(55) 내의 PLL에 의해서 생성되는 재생 클럭(디코드 처리가 기준으로 되는 클럭)이, 현재의 스핀들 모터(52)의 회전 속도 정보로 되기 때문에, 이것을 소정의 CLV 기준 속도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스핀들 에러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핀들 서보 회로(62)는, 스핀들 에러 신호에 따라서 생성한 스핀들 드라이브 신호를 출력하여, 스핀들 모터(52)의 CLV 회전을 실행시킨다.
또한 스핀들 서보 회로(62)는, 시스템 컨트롤러(60)로부터의 스핀들 킥/브레이크 제어 신호에 따라서 스핀들 드라이브 신호를 발생시켜, 스핀들 모터(52)의 기동, 정지, 가속, 감속 등의 동작도 실행시킨다.
이상과 같은 서보계 및 기록 재생계의 각종 동작은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서 형성된 시스템 컨트롤러(60)에 의해 제어된다.
시스템 컨트롤러(60)는, AV 시스템(120)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AV 시스템(120)으로부터 기입 명령(라이트 커맨드)이 나오면, 시스템 컨트롤러(60)는, 우선 기입할 어드레스에 픽업(51)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ECC 인코더/디코더(57), 변복조 회로(56)에 의해, AV 시스템(120)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데이터(예를 들면, MPEG2 등의 각종 방식의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등)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인코드 처리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리더/라이터 회로(55)로부터의 레이저 드라이브 펄스가 레이저 드라이버(63)에 공급됨으로써, 기록이 실행된다.
또한, 예를 들면 AV 시스템(120)으로부터, 디스크(1)에 기록되어 있는 임의의 데이터(MPEG2 비디오 데이터 등)의 전송을 구하는 리드 커맨드가 공급된 경우에는, 우선 지시된 어드레스를 목적으로서 씨크 동작 제어를 행한다. 즉 서보 회로(61)에 명령을 하여, 씨크 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를 타깃으로 하는 픽업(51)의 액세스 동작을 실행시킨다.
그 후, 그 지시된 데이터 구간의 데이터를 AV 시스템(120)에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 제어를 행한다. 즉 디스크(1)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을 행하여, 리더/라이터 회로(55), 변복조 회로(56), ECC 인코더/디코더(57)에서의 디코드/버퍼링 등을 실행시켜서, 요구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이들의 데이터의 기록 재생 시에는, 시스템 컨트롤러(60)는, 워블 회로(58) 및 어드레스 디코더(59)에 의해서 검출되는 AD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액세 스나 기록 재생 동작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1)가 장전된 때 등 소정의 시점에서, 시스템 컨트롤러(60)는, 디스크(1)의 BCA에서 기록된 유니크 ID나(BCA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재생 전용 영역에 워블링 그루브로서 기록되어 있는 프리 레코디드 정보(PIC)의 판독을 실행시킨다.
그 경우, 우선 BCA, 프리 레코디드 데이터 존 PR을 목적으로서 씨크 동작 제어를 행한다. 즉, 서보 회로(61)에 명령을 하여, 디스크 최내주측에의 픽업(51)의 액세스 동작을 실행시킨다.
그 후, 픽업(51)에 의한 재생 트레이스를 실행시켜, 반사광 정보로서의 푸시풀 신호를 얻어, 워블 회로(58), 리더/라이터 회로(55), ECC 인코더/디코더(57)에 의한 디코드 처리를 실행시켜, BCA 정보나 프리 레코디드 정보로서의 재생 데이터를 얻는다.
시스템 컨트롤러(60)는 이와 같이 하여 판독된 BCA 정보나 프리 레코디드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파워 설정이나 카피 프로텍트 처리 등을 행한다.
도 18에서는 시스템 컨트롤러(60) 내에 캐쉬 메모리(60a)를 나타내고 있다. 이 캐쉬 메모리(60a)는, 예를 들면 디스크(1)의 TDMA로부터 판독한 TDDS/TDFL/SRRI 등의 유지나, 그 갱신에 이용된다.
시스템 컨트롤러(60)는, 예를 들면 파이널라이즈되어 있지 않은 디스크(1)가 장전된 때에는, 각 부를 제어하여 TDMA에 기록된 TDDS/TDFL/SRRI의 판독을 실행시켜, 판독된 정보를 캐쉬 메모리(60a)에 유지한다.
그 후, 데이터 기입/재기입이나 결함에 의한 교체 처리가 행해진 때에는, 캐쉬 메모리(60a) 내에서 SRRI나 TDFL 등을 갱신해간다.
예를 들면 데이터의 기입이나, 데이터 재기입 등으로 교체 처리가 행해져서, SRRI 또는 TDFL의 갱신을 행할 때에, 그 때마다 디스크(1)의 TDMA(또는 ATDMA)에서, TDMS 업데이트 유닛을 추가 기록하여도 되는 것이지만, 그와 같게 하면, 디스크(1)의 TDMA의 소비가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데이터 추기가 행해져서 SRRI로서의 LRA(Last Recorded Address)가 갱신되는 경우 등은, 임의의 정도의 횟수는 캐쉬 메모리(60a) 내에서 SRRI를 갱신해두고, 임의의 시점에서 캐쉬 메모리 내에서 갱신되어 온 SRRI를 TDMS 업데이트 유닛에 의해 디스크(1)에 기록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또한, 예를 들면, 디스크(1)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로부터 이젝트(배출)될 때까지의 사이에는, 캐쉬 메모리(60a) 내에서 TDFL/SRRI의 갱신을 행해두고, 이젝트 시 등에서, 캐쉬 메모리(60a) 내의 최종적인(최신의) TDFL/SRRI를, 디스크(1)의 TDMA에 기입하도록 하는 등의 방법도 생각된다.
그런데, 이 도 18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예는, AV 시스템(120)에 접속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예로 했지만,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등과 접속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 다른 기기에 접속되지 않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조작부나 표시부가 설치되거나, 데이터 입출력의 인터페이스 부위의 구성이, 도 18과는 상이한 것으로 된다. 즉,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기록이나 재생이 행해짐과 함께,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단자부가 형성되면 된다.
물론 구성예로서는 그 외에도 다양하게 생각되고, 예를 들면 기록 전용 장치, 재생 전용 장치로서의 예도 생각된다.
5. 교체 영역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의 기록 재생 처리.
5-1 데이터 기입 처리(예 1).
계속해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한, 교체 영역을 설치하지 않는 포맷(도 1의 (b)의 포맷)이 이루어진 디스크(1)에 대한 데이터 기록 시의 시스템 컨트롤러(60)의 처리를 도 19에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하는 데이터 기입 처리가 행해지는 시점에서는, 디스크(1)가 장전되고, 또한 그 장전 시의 디스크(1)의 TDMA에 기록되어 있던 TDDS/TDFL/SRRI가 캐쉬 메모리(60a)에 읽어들인 상태로 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AV 시스템(120) 등의 호스트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나 판독 요구 시에는, 그 대상으로 하는 어드레스를 논리 섹터 어드레스(LSN)로 지정하여 온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이것을 물리 섹터 어드레스(PSN)로 변환하여 처리를 행한다.
또한, 호스트측으로부터 지정된 논리 섹터 어드레스를, 물리 섹터 어드레스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논리 섹터 어드레스에 TDDS 내에 기록된 「유저 데이터 영역의 개시 물리 섹터 어드레스」를 가하면 된다.
데이터의 기록은 클러스터를 단위로서 행해진다.
시스템 컨트롤러(60)에 대하여, AV 시스템(120) 등의 호스트 기기로부터 임 의의 어드레스 N(=논리 섹터 어드레스 N(N 은 32의 배수))에 대한 기입 요구가 온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시스템 컨트롤러(60)에서 도 19의 처리가 개시된다. 우선 단계 F101, F102에서는, 캐쉬 메모리(60a)에 저장하고 있는(혹은 캐쉬 메모리(60a)에서 갱신된 최신의) SRRI를 참조하여, 지정된 어드레스(클러스터)가 기록 완료인지 미기록인지를 확인한다.
즉, 단계 F101에서 SRRI에서의 SRR 엔트리를 확인하여, 지정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SRR을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호스트측으로부터 지정된 논리 섹터 어드레스 N을, 물리 섹터 어드레스 N'으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물리 섹터 어드레스 N'으로부터 대응하는 각 SRR의 어드레스 정보와 비교하여, 물리 섹터 어드레스 N'에 대응하는 SRR 번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 F102에서, 기입 요구로 지정된 어드레스와, 해당 SRR에서의 SRR 엔트리의 LRA를 비교하여,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기록 완료인지 미기록인지를 판단한다. 즉, 물리 섹터 어드레스 N'이 그 SRR에서의 NWA(NWA는 전술된 바와 같이 SRR 엔트리의 LRA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보다 작으면 기록 완료라고 판단할 수 있다.
기입 요구에 관한 물리 섹터 어드레스 N'이, 추기 포인트인 NWA와 동일하면, 물리 섹터 어드레스 N'은 미기록이고, 그 경우에는 단계 F103에서부터 F104로 진행하여, 물리 섹터 어드레스 N'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시작한다.
즉, 이 경우의 유저 데이터 기입 처리는, 아직 기록이 행해지지 않은 어드레스에 대한 기입 명령으로 된 경우이기 때문에, 통상적인 기입 처리로 된다. 단 기입 시에 디스크 상의 흠집 등에 의한 에러가 발생한 경우, 교체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60)는, 우선 단계 F104에서, 지정된 어드레스에 대하여,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즉 픽업(51)을 지정된 어드레스에 액세스시켜, 기입이 요구된 데이터의 기록을 실행시킨다.
데이터 기입이 정상적으로 종료한 경우에는, 단계 F105에서, 그 SRR 에의 추가 기록이 반영되도록 캐쉬 메모리(60a) 내에서 SRRI의 갱신을 행한다. 그리고 필요하면(디스크 상에서의 갱신 기회이면), 디스크 상에서 SRRI를 갱신한다. 즉 TDMS 업데이트 유닛의 기입을 행한다.
이상으로 기입 요구에 대한 처리를 끝낸다.
또한, 도 19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기입 요구에 관한 물리 섹터 어드레스 N'이 NWA보다 큰 어드레스이던 경우, 일리걸 파라미터 에러를 반환하고 종료한다.
한편, 단계 F103에서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기록 완료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그 지정된 어드레스에 금회의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것은 할 수 없기 때문에, 단계 F106으로 진행한다.
우선 단계 F106에서는, TDMA(ATDMA를 포함한다)가 모두 기록 완료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TDMA(및 ATDMA)에 유효한 빈 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그 이상의 교 체 관리를 행할 수 없기 때문에, 단계 F107에서 에러를 반환하고 종료한다.
한편, TDMA 또는 ATDMA에 유효한 빈 영역이 남아 있으면, 단계 F108 이후의 데이터 재기입 처리를 행한다.
우선 단계 F108에서는, 동일 SRR(단계 F101에서 구한 SRR: 즉 교체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SRR)에 NWA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NWA가 존재하지 않는 SRR은, 이미 클로즈되어 있는 SRR이다. 즉, 대상으로 하고 있는 SRR이 오픈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것은 SRRI 헤더의 정보를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대상으로 하고 있는 동일 SRR이, 오픈 SRR이면, 단계 F109로 진행하고, 그 NWA에서 금회의 데이터 기록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단계 F111로 진행하여, 필요한 갱신 처리를 행한다.
즉, 이 데이터 기입은 데이터 재기입으로 되기 때문에, 그를 위한 교체 처리가 행해지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새로운 DOW 엔트리가 TDFL에 등록되지 않으면 안된다. 즉, 기입 요구에 관한 물리 섹터 어드레스 N'(기록 완료이던 어드레스)가 교체원 어드레스, 단계 F109에서 기록을 행한 NWA가 교체처 어드레스로서 DOW 엔트리가 생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SRR 내에 기입이 행해짐으로써, 기입을 행한 SRR의 SRR 엔트리도 갱신되어야만 한다.
또한, 이들의 TDFL, SRRI의 갱신에 따라서, TDDS도 갱신이 필요하다. 따라서 단계 F111에서, 우선 캐쉬 메모리 내에서 TDFL/SRRI/TDDS가 갱신되고, 이에 따 라서 TDMS 업데이트 유닛이 형성되어 디스크(1)의 TDMA(또는 ATDMA)에 추가 기록된다.
한편, 단계 F108에서 동일 SRR이 클로즈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F11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오픈되어 있는 각 SRR의 NWA 중에, 가장 값이 큰 NWA로부터 금회의 데이터 기록을 실행시킨다.
즉 유저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오픈 SRR 중에, 가장 후방(어드레스값이 크다) SRR의 NWA에서 기록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기록이 완료하면, 단계 F111에서 상기 마찬가지로 갱신이 행해진다. 즉, 우선 캐쉬 메모리 내에서 TDFL/SRRI/TDDS가 갱신되고, 이에 따라서 TDMS 업데이트 유닛이 형성되어 디스크(1)의 TDMA(또는 ATDMA)에 추가 기록된다.
또한, 도 19에서는 데이터 기입 요구가 있었던 경우의 처리로서 설명하고,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기록 완료되었을 때에, 교체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재기입을 실현하는 것으로 했지만, 결함에 의한 교체 처리도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예를 들면 기입 요구에 관한 클러스터가 미기록이었다고 하여도, 적정히 기입이 할 수 없는 결함 클러스터이던 경우에는, 단계 F106 이후로 진행하여, 마찬가지의 교체 처리를 행하면 된다.
그 경우의 교체 정보, 즉 DFL 엔트리는 DOW 엔트리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TDMS 업데이트 유닛의 갱신으로 추가 등록된다.
5-2 데이터 기입 처리(예 2)
그런데 상기 도 19의 동작에서는, 단계 F109에서, 금회의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SRR에서, 그 SRR 내의 영역을 이용하여 교체 처리를 행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것은 통상은 문제없고, 또한 이것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서 교체가 행해진다고 하는 이점(교체 섹터 판독 시의 씨크 거리의 단축)이 얻어지기에 적합하다. 그런데 AV 시스템(120) 등의 호스트 기기측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는, 동일 SRR 내에서 교체한다는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우선,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오픈 상태의 SRR#1, #2를 나타내고, 결함 혹은 데이터 재기입이 발생했을 때에, 교체처로서 동일한 SRR의 NWA를 선택한 경우에 발생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20의 (a)에서는, SRR#1에서 사선부에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한다. 임의의 시점에서 NWA=어드레스 AD0으로 되고, 호스트 기기로부터 이 어드레스 AD0의 클러스터에의 데이터 DTa의 기입 요구가 있었다고 한다. 그렇게 하면, 어드레스 AD0으부터의 클러스터가 결함 클러스터이기 때문에 교체 처리가 행해진다. 즉, 이 결함 클러스터에 기록되도록 한 데이터 DTa가, 도시한 바와 같이, 그 SRR#1의 어드레스 AD1로부터 클러스터 범위가 교체처로 되어 데이터 DTa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DTa가 기록된 후에는, NWA는 어드레스 AD2로 된다. 즉, SRR#1에 대한 SRR 엔트리에서, SRR#1의 LRA(Last Recorded Address)가 갱신된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측에서는, 이와 같이 SRRI의 갱신을 행하지만, 호스트 기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으로서는, 이러한 경우에 최신의 NWA를 취득하지 않는 것이 존재한다. 그렇게 하면, 그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은, NWA가 어드레스 AD2에 갱 신되어 있는 것을 알지 못하고 다음의 라이트 커맨드를 발행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라이트 커맨드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큐잉되어 있는 경우에도 캔슬할 수 없어, 어드레스 AD1로부터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0의 (b)와 같이, 계속해서 데이터 DTb의 기입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측은 현재의 NWA를, 전회의 NWA 이던 AD0으로부터 데이터 DTa분만큼 진행한 AD1이라고 인식하여, 어드레스 AD1로부터의 데이터 DTb의 기입을 요구한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전술한 도 19의 처리를 행하지만, 어드레스 AD1로부터의 클러스터에는 데이터 기록이 이미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재기입이라고 하여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되고, NWA인 어드레스 AD2로부터 데이터 DTb의 기록을 행한다. 이 시점에서 최신의 NWA=AD3으로 된다. 또한 재기입인 것으로, 새로운 DOW 엔트리도 생성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측이 최신의 NWA의 취득을 행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측에서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가 어드레스 AD1로부터 데이터 DTb를 기록하였다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NWA는 어드레스 AD2라고 인식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다음의 데이터 기입 요구는 어드레스 AD2를 지정하게 된다.
그 경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이것도 데이터 재기입이라고 하여, 재기입을 위한 교체 처리(NWA인 어드레스 AD3으로부터의 기록 및 DOW 엔트리의 생성)를 행한다.
즉,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는, 임의의 SRR 내에서의 기입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특히 최신의 NWA의 취득을 행하지 않는 것이 있고, 그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으 로부터의 커맨드에 의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이 행해지면, 데이터 재기입이 아닌 것으로 데이터 재기입 처리가 행해져서 DOW 엔트리가 쓸데없이 소비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정을 고려한 데이터 기입 처리를, 도 21, 도 22에 의해 설명한다.
도 22에 시스템 컨트롤러(60)에 의한 데이터 기입 처리를 나타내지만, 단계 F101~F107은 상기 도 19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도 22인 경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기록 완료이고, 또한 TDMA(ATDMA)에 빈 부분이 있어 교체 처리를 행하기 위해 단계 F108A로 진행했을 때는,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SRR과는 다른 SRR에 NWA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통상은 적어도 2개의 SRR이 오픈 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단계 F108A에서 부정 결과가 나오는 것은 거의 없지만, 가령 현재의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SRR의 1개만이 오픈 상태였던 경우에는 단계 F107에서 에러를 반환하여 종료로 된다.
다른 오픈 SRR(즉, NWA가 있는 SRR)이 확인되면, 단계 F109A로 진행하고, 그 SRR의 NWA로부터 금회의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한다. 즉, 데이터 재기입 처리로서, 다른 SRR 내의 영역을 이용하여 교체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단계 F111에서는, 이 교체 처리에 대응하기 위해 TDFL, TDDS를 갱신하고, 또한 기입을 행한 SRR의 내용에 대하여 SRRI의 갱신을 행한다.
또한, 도 22에서는 데이터 기입 요구가 있었던 경우의 처리로서,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기록 완료되었을 때에, 교체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재기입을 실현하는 것으로 했지만, 결함에 의한 교체 처리도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예를 들면 기입 요구에 관한 클러스터가 미기록이었다고 하여도, 적정하게 기입을 할 수 없는 결함 클러스터이던 경우에는, 단계 F106 이후로 진행하여, 마찬가지로, 다른 SRR 내의 영역을 이용한 교체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데이터 기입 처리에 의해서 행해지는 기입 동작의 모습을 도 21에 도시한다.
상기 도 20과 같이 오픈 상태의 SRR#1, SRR#2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의 (a)에서, SRR#1 내의 사선부에 결함이 발생하고 있고, 그 결함 클러스터에 기록되는 데이터 DTa가, 교체 처리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교체 처리 시에, 상기 도 22와 같이 다른 SRR의 NWA를 선택되는 것으로 하면,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DTa는 예를 들면 SRR#2의 NWA(=어드레스 AD11)에 기록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교체 처리에 의해, 어드레스 AD11로부터의 클러스터 범위에 데이터 DTa가 기록되고, SRR#2의 NWA는 어드레스 AD12로 된다. 즉, 해당 SRR#2에 대한 SRR 엔트리에서, SRR#2의 LRA(Last Recorded Address)가 갱신된다.
한편, 이 경우, SRR#1 내에서는 NWA의 변경은 없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측이 최신의 NWA의 취득을 행하지 않고, 계속해서 데이터 DTb의 기입 요구를 행하는 경우에는, 어드레스 AD1을 지정하지만, 그 어드레스 AD1은 그 시점의 SRR#1의 NWA에 일치한다. 이 때문에 도 21의 (b)와 같이, 데이터 DTb가 어드레 스 AD1로부터 통상적으로 기록되고, 그 후에는 어드레스 AD2가 SRR#1의 최신의 NWA로 된다.
즉, 도 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측에서의 NWA와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은 없게 되고, 불필요한 DOW 엔트리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SRR#2의 NWA는, 어플리케이션측이 모르는 사이에 갱신되고 있는 것으로 되지만, 기본적으로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이더라도, 현재 타깃으로 하고 있는 SRR과는 다른 SRR에 기입을 행할 때에는, 그 SRR의 정보를 반드시 사전에 취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측에 이 경우의 SRR#2측에서의 NWA의 갱신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
5-3 데이터 판독 처리
계속해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한 디스크(1)에 대한 데이터 재생 시의 시스템 컨트롤러(60)의 처리를 도 23에서 설명한다.
시스템 컨트롤러(60)에 대하여, AV 시스템(120) 등의 호스트 기기로부터 임의의 어드레스(논리 섹터 어드레스 N)에 대한 판독 요구가 온 것으로 한다.
시스템 컨트롤러(60)는 이에 따라서 도 23의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F201에서는, 지정 어드레스, 즉 논리 섹터 어드레스 N이 대응하는 SRR의 SRRI를 참조하여, 지정 어드레스가 기록 완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우선 지정된 논리 섹터 어드레스 N을 물리 섹터 어드레스 N'로 변환한다. 물리 섹터 어드레스 N'는, 논리 섹터 어드레스 N에, TDDS 내에 기록된 「유저 데이터 영역의 개시 물리 섹터 어드레스」를 추가함으로써 구한다. 그리고, 물리 섹터 어드레스 N'로부터 대응하는 SRR 번호 및 SRR 엔트리를 취득한다. 이에 따라, 판독 요구에 따른 어드레스(물리 섹터 어드레스 N')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요구된 어드레스가 데이터 미기록이었다고 하면, 단계 F202로부터 F203으로 진행하여, 지정된 어드레스가 틀리다고 하고, 호스트 기기에 에러를 반환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지정된 어드레스가 기록 완료인 경우, 단계 F202로부터 F204로 진행하여, TDFL 내에 기록되어 있는 DOW 엔트리(DFL 엔트리를 포함함)를 검색하여, 교체원 어드레스로서, 금회 지정된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즉, 재기입 등에 의해 교체 처리된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판독 요구에 따른 물리 섹터 어드레스 N'가, TDFL에서 DOW 엔트리(또는 DFL 엔트리)에 등록된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F205로부터 F206으로 진행하여, 지정된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터 재생을 행하고 처리를 끝낸다.
이것은, 유저 데이터 영역에 대한 통상의 재생 처리로 된다.
한편, 단계 F205에서, 판독 요구에 따른 물리 섹터 어드레스 N'이, 임의의 DOW 엔트리에 교체원 어드레스로서 등록된 어드레스(재기입 완료의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단계 F207로 진행하고, 그 DOW 엔트리(또는 DFL 엔트리)에 나타나 있는 교체처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터 판독을 실행시키고, 재생 데이터를 AV 시스템(120) 등의 호스트 기기에 전송하여 처리를 끝낸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이미 데이터 재기입이 실행된 후에, 그 데이터의 재생이 요구된 경우에도, 적절하게 최신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호스트 기기에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5-4 ATDMA 체크 처리.
다음으로, 도 16의 포맷의 디스크(1)가 장전되었을 때에, 시스템 컨트롤러(60)가 ATDMA의 유무를 체크하는 처리를 도 24에서 설명한다.
도 16의 포맷, 즉 교체 영역을 갖지 않고 ATDMA를 갖는 광 디스크(1)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마운트되었다고 한다.
시스템 컨트롤러(60)는, 먼저 단계 F301에서, 마운트된 디스크(1)의 TDMA에서의 TDMA 인디케이터(도 16 참조)를 재생시키고, ATDMA 인디케이터 클러스터 CL1이 기록 완료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ATDMA 인디케이터 클러스터 CL1이 기록 완료가 아닌 경우, 단계 F302로부터 F303으로 진행하고, 다음으로 TDMA 인포메이션 클러스터 CL2를 판독하여, 이 디스크(1)의 ATDMA 정보(개시 위치 및 크기)를 파악한다. 그리고, 단계 F304에서는, TDMA로부터 최신의 TDMS를 취득한다.
즉, ATDMA 인디케이터 클러스터 CL1이 아직 기록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아직 ATDMA에 기록이 행해져 있지 않으며, 최신의 TDMS가 TDMA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TDMA로부터 최신의 TDMS를 판독하는 것이다. 최신의 TDMS로부터 얻어지는 TDDS/SRRI/TDFL은 캐쉬 메모리(60a)에 저장하고, 이후의 기록 재생 동작 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TDMA 인포메이션 클러스터 CL2를 읽어들이지 않는 기록 재생 장치가 있었던 경우에는 ATDMA의 존재는 인식할 수 없지만, ATDMA의 개시 위치는 TDDS의 유저 데이터 영역의 종료 논리 어드레스(Last LSN of User Data Area)의 값보다도 큰 값이며, 물리 어드레스로부터 논리 어드레스로의 대응이 변화되지 않으며, 이 부분에 대한 리드 및 라이트가 행해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기록 재생 호환성이 유지된다.
단, ATDMA를 인식할 수 없는 기록 재생 장치에 이 디스크가 마운트되어 있는 경우에, TDMA를 최후까지 갱신한 경우에는, 그 이상의 TDMA의 갱신이 불가능하다고 해석하여, 디스크의 클로즈 처리(그 이상의 기입을 금지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단계 F302에서 ATDMA 인디케이터 클러스터 CL1이 기록 완료인 경우, 시스템 컨트롤러(60)는 단계 F305에서, ATDMA 인디케이터 클러스터 CL1의 내용을 확인한다.
ATDMA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F306으로부터 F309로 진행하여, 도 17에서 설명한 OSA의 TDMA 사이즈(Size of TDMA in Outer Spare Area) 또는 OSA 사이즈(Outer Spare Area Size)의 값을 취득하고, LAA(Last ADIP Address of Data Zone)로부터 ATDMA의 개시 어드레스를 계산한다. 그리고, ATDMA로부터 최신의 TDMS를 취득한다.
즉, ATDMA 인디케이터 클러스터 CL1이 기록되어 있음으로써, 최신의 TDMS가 ATDMA 내에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어서, ATDMA로부터 최신의 TDMS를 판독하는 것 이다. 최신의 TDMS로부터 얻어지는 TDDS/SRRI/TDFL은 캐쉬 메모리(60a)에 저장하여, 이후의 기록 재생 동작 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해서는 ATDMA 인디케이터 클러스터 CL1의 값과 최신의 TDMS 사이에서 파라미터의 부정합을 찾아내기 시작하여, 기입을 금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그와 같은 경우라도 최저의 재생 호환성은 확보된다.
ATDMA 인디케이터 클러스터 CL1이 기록 완료이지만 ATDMA의 크기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한 DMA도 기록 완료인 경우에는 단계 F306으로부터 F307로 진행하여, 디스크 상의 전체 TDMA 영역은 기록 완료라고 판단한다. 즉, 파이널라이즈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그 때문에, 단계 F308에서 DMA로부터 최신의 DMS(DDS, SRRI, DFL)를 취득하게 된다. DMA로부터 얻어지는 DDS/SRRI/DFL은 캐쉬 메모리(60a)에 저장하여, 이후의 재생 동작 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6. 교체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의 기록 재생 처리.
6-1 데이터 기입 처리(예 1).
계속해서, 도 1의 (a)와 같이 교체 영역을 형성하는 포맷으로 하는 경우의, 본 실시예의 데이터 기입 처리를 도 25에서 설명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이하 설명하는 데이터 기입 처리가 행해지는 시점에서는, 디스크(1)가 장전되고, 또한, 그 장전 시의 디스크(1)의 TDMA에 기록되어 있었던 TDDS/TDFL/SRRI가 캐쉬 메모리(60a)에 읽어들여져 있는 상태라고 한다.
또한, AV 시스템(120) 등의 호스트 기기로부터의 기입 요구나 판독 요구 시에, 그 대상으로 하는 어드레스를 논리 섹터 어드레스(LSN)로 지정하고, 디스크 드 라이브 장치가 이것을 물리 섹터 어드레스(PSN)로 변환하여 처리를 행하는 것이나, 데이터의 기록이 클러스터를 단위로서 행해지는 것은, 전술한 교체 영역을 형성하지 않은 포맷으로 설명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시스템 컨트롤러(60)에 대하여, AV 시스템(120) 등의 호스트 기기로부터 임의의 어드레스 N(=논리 섹터 어드레스 N(N은 32의 배수))에 대한 기입 요구가 왔다고 한다.
이 경우 시스템 컨트롤러(60)에서 도 25의 처리가 개시된다. 먼저 단계 F401, F402에서는, 캐쉬 메모리(60a)에 저장되어 있는(혹은 캐쉬 메모리(60a)에 갱신된 최신의) SRRI를 참조하여, 지정된 어드레스(클러스터)가 기록 완료인지 미기록인지를 확인한다.
즉, 단계 F401에서 SRRI에서의 SRR 엔트리를 확인하여, 지정된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SRR을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호스트측으로부터 지정된 논리 섹터 어드레스 N을, 물리 섹터 어드레스 N'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물리 섹터 어드레스 N'로부터 대응하는 각 SRR의 어드레스 정보와 비교하여, 물리 섹터 어드레스 N'에 대응하는 SRR 번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 F402에서, 기입 요구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와, 해당 SRR에서의 SRR 엔트리의 LRA를 비교하여, 기입 요구에 따른 어드레스가 기록 완료인지 미기록인지를 판단한다. 즉, 물리 섹터 어드레스 N'가 그 SRR에서의 NWA(NWA는 SRR 엔트리의 LRA로부터 산출)보다 작으면 기록 완료라고 판단할 수 있다.
기입 요구에 따른 물리 섹터 어드레스 N'가, 추기 포인트인 NWA와 동일하면, 물리 섹터 어드레스 N'는 미기록이고, 그 경우에는 단계 F403으로부터 F404로 진행하여, 물리 섹터 어드레스 N'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시작한다.
즉, 이 경우의 유저 데이터 기입 처리는, 아직 기록이 행해져 있지 않은 어드레스에 대한 기입 명령으로 된 경우이기 때문에, 통상의 기입 처리로 된다. 단지 기입 시에 디스크 상의 흠집 등에 의한 에러가 발생한 경우, 교체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60)는, 먼저 단계 F404에서, 지정된 어드레스에 대하여, 데이터 기입을 행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즉, 픽업(51)을 지정된 어드레스에 액세스시키고, 기입이 요구된 데이터의 기록을 실행시킨다.
데이터 기입이 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에는, 단계 F405에서, 그 SRR에의 추가 기록이 반영되도록 캐쉬 메모리(60a) 내에서 SRRI의 갱신을 행한다. 그리고, 필요하면(디스크 상에서의 갱신 기회이면), 디스크 상에서 SRRI를 갱신한다. 즉, TDMS 업데이트 유닛의 기입을 행한다.
이상으로 기입 요구에 대한 처리를 끝낸다.
또한, 도 25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기입 요구에 따른 물리 섹터 어드레스 N'가 NWA보다 큰 어드레스인 경우, 일리걸(irregal) 파라미터 에러를 반환하고 종료한다.
한편, 단계 F403에서 기입 요구에 따른 어드레스가 기록 완료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그 지정된 어드레스에 금회의 데이터 기입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단계 F406으로 진행한다.
먼저 단계 F406에서는, TDMA(ATDMA를 포함함)가 모두 기록 완료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TDMA(및 ATDMA)에 유효한 빈 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그 이상의 교체 관리를 행할 수 없기 때문에, 단계 F407에서 에러를 반환하고 종료한다.
한편, TDMA 또는 ATDMA에 유효한 빈 영역이 남아 있으면, 단계 F408로 진행하여, 교체 영역, 즉 ISA, OSA에서 교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충분한 빈 영역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그 시점에서의 유효한 TDDS를 참조함으로써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DDS의 바이트 위치(1216, 1220)에는 ISA, OSA의 다음 기록 어드레스가 기록되는데, 이 어드레스에 의해, ISA, OSA의 빈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혹은, 동일하게 TDDS의 바이트 위치(52)(도 4의 DDS 참조)에서의, 교체 영역 사용 가능 플래그를 확인하여도 된다. 이 교체 영역 사용 가능 플래그는, 교체 영역의 빈 부분이 없어진 시점에서 갱신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단계 F408에서 ISA 또는 OSA에 교체 처리에 이용하는 빈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F409로 진행한다.
그 경우, ISA 또는 OSA에서의 다음 기록 어드레스로부터의 영역을 교체처로 하여, 금회의 데이터 기록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단계 F410으로 진행하여, 필요한 갱신 처리를 행한다.
즉, 이 데이터 기입은 데이터 재기입으로 되기 때문에, 이를 위한 교체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새로운 DOW 엔트리가 TDFL에 등록되어야만 한다. 즉, 기입 요구에 따른 물리 섹터 어드레스 N'(기록 완료인 어드레스)가 교체원 어드레스, 단계 F409에서 기록을 행한 ISA 또는 OSA 내의 영역을 교체처 어드레스로 하여 DOW 엔트리가 생성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DOW 엔트리가 추가되도록 TDFL이 갱신되고, 또한 TDFL의 갱신에 따라, TDDS도 갱신도 행해진다.
즉, 단계 F410에서, 먼저 캐쉬 메모리 내에서 TDFL/TDDS가 갱신되고, 이에 따라 TDMS 업데이트 유닛이 형성되어 디스크(1)의 TDMA(또는 ATDMA)에 추가 기록된다.
한편, 단계 F408에서, ISA 또는 OSA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빈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유저 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교체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단계 F411로 진행하여, 동일한 SRR (단계 F401에서 요구한 SRR :즉 교체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SRR)에 NWA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즉, SRRI 헤더의 정보를 참조하여, 대상으로 하고 있는 SRR이 오픈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대상으로 하고 있는 동일한 SRR이, 오픈 SRR이면, 단계 F412로 진행하고, 그 NWA로부터 금회의 데이터 기록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단계 F414로 진행하여, 필요한 갱신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의 교체 처리는, SRR 내의 영역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단계 F414의 갱신 처리는, TDFL(DOW 엔트리 추가)와, SRRI(SRR 엔트리의 갱신)와, 이들에 따 른 TDDS의 갱신으로서 행해진다. 즉, 단계 F414에서는, 먼저 캐쉬 메모리 내에서 TDFL/SRRI/TDDS가 갱신되고, 이에 따라 TDMS 업데이트 유닛이 형성되어 디스크(1)의 TDMA(또는 ATDMA)에 추가 기록된다.
한편, 단계 F411에서 동일한 SRR이 클로즈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F413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오픈되어 있는 각 SRR의 NWA 중에, 가장 값이 큰 NWA로부터 금회의 데이터 기록을 실행시킨다.
즉, 유저 데이터 영역에 존재하는 오픈 SRR 중에, 가장 후방(어드레스값이 큼) SRR의 NWA로부터 기록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기록이 완료되면, 단계 F414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갱신이 행해진다. 즉, 먼저 캐쉬 메모리 내에서 TDFL/SRRI/TDDS가 갱신되고, 이에 따라 TDMS 업데이트 유닛이 형성되며 디스크(1)의 TDMA(또는 ATDMA)에 추가 기록된다.
또한, 도 25에서는 데이터 기입 요구가 있었던 경우의 처리로서 설명하며, 기입 요구에 따른 어드레스가 기록 완료이었을 때에, 교체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재기입을 실현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결함에 의한 교체 처리도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예를 들면, 기입 요구에 따른 클러스터가 미기록이었다고 하여도, 적정하게 기입이 가능하지 않은 결함 클러스터인 경우에는, 단계 F406 이후로 진행하여, 마찬가지의 교체 처리를 행하면 된다. 그 경우의 교체 정보, 즉 DFL 엔트리는 DOW 엔트리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TDMS 업데이트 유닛의 갱신에 의해 추가 등록된다.
6-2 데이터 기입 처리(예 2).
계속해서, 도 26의 데이터 기입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이것은, 전술한 도 22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어플리케이션이 NWA의 취득을 행하지 않음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처리이다.
도 26에 시스템 컨트롤러(60)에 의한 데이터 기입 처리를 나타내는데, 단계 F401~F410은 상기 도 25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도 26의 경우, 기입 요구에 따른 어드레스가 기록 완료이고, 또한 TDMA(ATDMA)에 빈 부분이 있으며, 또한 ISA 또는 OSA에 빈 부분이 없고, 유저 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교체 처리를 행하기 위해 단계 F411A로 진행하였을 때에는, 기입 요구에 따른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SRR과는 다른 SRR에 NWA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통상은 적어도 2개의 SRR이 오픈 상태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단계 F411A에서 부정적 결과가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만약에 현재의 기입 요구에 따른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SRR 중 1개만이 오픈 상태인 경우에는 단계 F407에서 에러를 반환하고 종료로 된다.
다른 오픈 SRR(즉, NWA가 있는 SRR)이 확인되면, 단계 F412A로 진행하여, 그 SRR의 NWA로부터 금회의 기입 요구에 따른 데이터를 기록한다. 즉, 데이터 재기입 처리로서, 다른 SRR 내의 영역을 이용하여 교체 처리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F414에서는, 이 교체 처리에 대응하기 위해 TDFL, TDDS를 갱신하고, 또한 기입을 행한 SRR의 내용에 대하여 SRRI의 갱신을 행한다.
또한, 도 26에서는 데이터 기입 요구가 있었던 경우의 처리로서, 기입 요구 에 따른 어드레스가 기록 완료이었을 때에, 교체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재기입을 실현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결함에 의한 교체 처리도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예를 들면, 기입 요구에 따른 클러스터가 미기록이었다고 하여도, 적정하게 기입이 가능하지 않은 결함 클러스터인 경우에는, 단계 F406 이후로 진행하여, 마찬가지로, ISA 또는 OSA를 이용한 교체 처리나, 혹은 이들 교체 영역에 빈 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SRR 내의 영역을 이용한 교체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데이터 기입 처리에 의해서는, ISA, OSA가 완료된 후, SRR 내의 영역에서 교체 처리를 행하도록 하였을 때에, 도 21에서 설명한 동작이 행해진다. 따라서, 상기 도 20에서 설명한, 어플리케이션측에서의 NWA와의 어긋남이 발생함으로써, 불필요한 DOW 엔트리가 발생한다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6-3 데이터 판독 처리.
교체 영역(ISA, OSA)을 설치하는 포맷인 경우에서도, 데이터 판독 처리는, 상기 도 23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된다.
7. 실시예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교체 영역을 이용하지 않는 포맷에서 데이터의 교체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교체 영역을 형성한 포맷에서 효율적인 데이터의 교체 기능을 실현한다.
즉, 라이트원스 광 디스크 및 기록 재생 장치에서,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 기능을 확장하는 데 있어서, 이하와 같이 기능 확장을 행하고 있다.
데이터 재기입 시의 교체 정보인 DOW 엔트리는, 디펙트(결함) 교체의 관리 정보(DFL 엔트리)의 포맷과 거의 마찬가지로 한다.
또한, 양쪽의 교체 정보(DFL 엔트리와 DOW 엔트리)는 디펙트 교체의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관리 영역인 TDFL 내에 혼재시키도록 기록한다.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용 교체처로서는, 디스크 상의 결함 교체 영역뿐만 아니라, 유저 데이터 영역 내의 어떤 트랙(SRR)의 추기 포인트 NWA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체 기능을 확장함으로써, 교체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결함 교체나 데이터 재기입을 위한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교체 영역이 존재하는 포맷에서, 교체 영역에 충분한 용량이 없게 된 경우에도 결함 교체나 데이터 재기입을 위한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재기입 기능의 확장이 되어 있지 않은 장치에 본 예의 디스크(1)를 마운트한 경우에, 그 장치는 데이터 재기입의 교체 정보(DOW 엔트리)를 디펙트 교체 정보(DFL 엔트리)라고 판단하고, 교체 정보 내에 나타난 교체처의 데이터를 판독해 간다. 즉, 본래의 요구 동작을 행하기 위해, 데이터 재기입에 의한 교체 기능을 실행 완료한 디스크(1)를 기능 확장되어 있지 않은 장치에 마운트하였을 때에도, 재생 호환이 확보된다.
또한,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용 교체처로서 SRR 내의 추기 포인트(NWA)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였다.
데이터의 교체처를 교체 영역(ISA, OSA)이 아니라, SRR 내의 추기 포인트로 함으로써 이하의 장점이 발생한다.
먼저,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록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파일을 기록하여 파일의 관리 정보를 재기입하는 것을 생각하였을 때, 교체 영역으로 교체하는 것보다도 픽업의 씨크 거리가 짧아진다. 혹은, 파일의 관리 정보를 데이터에 연속하여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시의 퍼포먼스가 향상된다.
이 경우, 교체처가 가장 후방의 추기 포인트인 경우에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즉, 도 19의 단계 F110에서의 처리, 또는 도 25의 단계 F413의 처리에서 교체처가 선택되는 경우이다.
또한, 기록 시에 디펙트가 발생하여 교체한 블록을 판독하는 경우, 픽업의 씨크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재생 시의 퍼포먼스가 향상된다. 이 경우, 교체처가 교체원과, 동일한 SRR 내의 추기 포인트인 경우에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즉, 도 19의 단계 F109, 또는 도 25의 단계 F412의 처리에서 교체처가 선택되는 경우이다.
또한, 교체처를, 그 교체 처리에 관한 교체원을 포함하는 SRR 이외의 SRR의 추기 포인트(NWA)에 기초하여 선택하도록 하면, 어플리케이션의 형편에 따라 연속적으로 불필요한 재기입이 발생하고, DOW 엔트리가 함부로 추가되는 등의 문제점도 발생하지 않는다. 즉, 도 22, 또는 도 26의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이다.
또한, 이 도 22, 도 26의 처리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실제로 기록을 행할 때에는 이하와 같은 조건에서 기록을 행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크에 동시에 2개 이상의 오픈 SRR을 확보하고, 결함 및 데이터의 재기입의 교체처로서, 결함 및 데이터의 재기입이 발생한 SRR 이외의 SRR의 추기 포인트를 선택한다.』
또한, 교체 영역을 확보하지 않은 포맷인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등에 따라 적절한 교체 영역의 크기를 미리 시산(試算)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리고, 교체 영역도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유저 데이터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도 의미한다.
또한, 교체 영역을 형성하는 포맷의 경우라도, 교체 영역이 없어졌을 때에는 유저 데이터 영역으로 교체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등에 따라 적절한 교체 영역의 크기를 사전에 시산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것은, 무턱대고 교체 영역을 넓게 확보하지 않아도 되게 되어, 데이터 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기록 재생 장치)가 디스크 상의 어드레스에 대하여 기록 완료/미기록 영역을 판단하기 위해, 기록 완료 어드레스/미기록 어드레스의 관리에 추기 방식으로 사용되는 연속 기록 범위 정보(SRRI)를 이용한다. SRRI 등의 트랙 정보는 일반적으로 SRR의 개시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및 추기 포인트의 3가지 정보를 갖는다.
SRR(즉, 트랙)을 이용하는 기록 방식에서는, 반드시 추기 포인트(NWA)로부터 기록할 필요가 있으며, SRR의 개시 어드레스로부터 추기 포인트의 하나 전의 어드레스까지가 기록 완료, 추기 포인트로부터 종료 어드레스까지가 미기록 영역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추기 방식으로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에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디스크 상의 모든 SRR의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라이트 커맨드나 리드 커맨드에 의한 지정 어드레스에 대한 기록 완료/미기록의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교체 관리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 빈도를 늘릴 필요가 있다. 여기서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영역으로서의 TDMA가 2048 클러스터밖에 없는 것으로 하면, 보다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영역의 확보가 요구된다.
또한, 도 1의 (a)와 같은 포맷에서는, 초기화 시에 교체 영역의 일부를 교체 관리 영역(ATDMA)으로서 설정할 수 있는 구조가 도입되어 있지만, 이 방법은 교체 영역 OSA의 확보가 전제 조건으로 되어 있어, 도 1의 (b)와 같이 교체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디스크를 생각한 경우,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도 1의 (b)와 같은 교체 영역을 형성하지 않는 포맷의 경우에는, 디스크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영역을 디스크 상에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교체 영역과는 독립된 관리 영역인 ATDMA를, 유저 데이터 영역의 최후부의 위치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블루레이 디스크에서의 라이트원스 디스크에서는, 교체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디스크를 작성할 때에는 특수한 포맷 커맨드를 사용한다.
이 커맨드의 포맷 파라미터는 통상 교체 영역을 갖지 않기 때문에, 어드레스를 할당되는 최대의 용량을 지정하여 포맷하지만, 이 용량에 최대 용량보다 적은 값을 명시적으로 지정함으로써, 유저 데이터의 최후부에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드라이브의 기능을 확장한다.
즉, 실시 형태에서는 이 부분을 예비의 교체 관리 영역 ATDMA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동시에 TDMA의 선두에 있는 TDMA 인디케이터로 불리는 부분을 확장하여, 이들 ATDMA의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을 드라이브에 실장하였다.
TDMA 인디케이터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가 최신의 TDMS가 기록되어 있는 개소를 효율적으로 찾아내기 위한 기능이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도 24에 도시한 체크 디스크 시의 처리에서 반드시 이 부분을 참조하기 때문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체크 디스크 시에 ATDMA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교체 영역이 없는 경우의 ATDMA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교체 영역을 형성하지 않은 포맷을 실시하는 경우도, 또한 교체 영역을 형성한 포맷을 실시하는 경우도, 라이트원스 디스크의 물리 포맷이나 레이아웃을 대폭 변경하지 않고, 또한 기능의 제한도 행하지 않고 기록 및 재생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교체 영역이 없는 라이트원스 디스크에서, 종전의 라이트원스 디스크나 RAM 타입 디스크, ROM 타입 디스크와의 기록 및 재생에 관한 호환성을 확보한 상태 그대로, 데이터의 재기입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하드웨어나 물리 포맷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ROM 타입이나 RAM 타입용의 파일 시스템을 라이트원스형의 광 디스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트원스 타입의 기록 매체에서, 교체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영역을 갖지만, 고정된 교체 영역을 설정하지 않은 것인 경우에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을 가능하게 한다. 즉,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추기 포인트 등, 선택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서 이용하는 것, 또한 기입 요구 등의 대상의 어드레스에 대하여 연속 기록 범위 정보에 의해 기록 완료/미기록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을 위한 교체 관리 정보를 통합하여 혼재시키도록 함으로써, 고정된 교체 영역을 설정하지 않아도,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우선, 어플리케이션 등에 따라 적절한 교체 영역의 크기를 미리 시산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고정된 교체 영역도 미리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주데이터 영역(유저 데이터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록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파일을 기록하여 파일의 관리 정보를 재기입하는 것을 생각한 경우, 교체 영역으로 교체하는 것보다도 픽업의 씨크 거리가 짧아지거나, 혹은 파일의 관리 정보를 데이터에 연속하여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 시의 퍼포먼스가 향상된다. 특히 교체처가 최후방의 추기 포인트(복수의 추기 포인트 중 어드레스값이 최대로 되는 추기 포인트)인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기록 시에 디펙트가 발생하여 교체한 영역을 판독하는 경우, 픽업의 씨크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재생 시의 퍼포먼스가 향상된다. 이 경우, 교체처가 동일한 연속 기록 범위(트랙) 내의 추기 포인트인 경우에 유효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교체처를, 그 교체 처리에 관한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연속 기록 범위 이외의 연속 기록 범위의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도록 하면, 어플리케이션의 형편에 따라 연속적으로 재기입이 발생하여, 교체 관리 정보가 함부로 추가 갱신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교체 영역이 없는 라이트원스 기록 매체에서, 통상의 라이트원스 기록 매체나 RAM 타입, ROM 타입의 기록 매체와의 기록 및 재생에 관한 호환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데이터의 재기입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하드웨어나 물리 포맷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ROM 타입이나 RAM 타입용의 파일 시스템을 1회 기입형의 기록 매체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트원스 타입의 기록 매체에서, 교체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영역을 갖고, 고정된 교체 영역을 설정한 경우에, 교체 영역의 남은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도 결함 교체 및 데이터 재기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교체 영역이 모두 사용되지 않게 된 경우에도, 주데이터 영역을 이용한 교체 처리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등에 따라 적절한 교체 영역의 크기를 미리 시산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교체 영역을, 재기입을 예측하여 필요 이상으로 크게 확보할 필요도 없어짐으로써, 주데이터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데이터 영역을 이용하여 교체 처리를 행한 경우나, 그 경우에 추기 포인트에 기초하여 교체처 영역을 선택하는 것 등에 의해, 상기한 교체 영역을 형 성하지 않은 경우에 진술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퍼포먼스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통상의 라이트원스 기록 매체나 RAM 타입, ROM 타입의 기록 매체와의 기록 및 재생에 관한 호환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데이터의 재기입 기능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나 물리 포맷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ROM 타입이나 RAM 타입용의 파일 시스템을 1회 기입형의 기록 매체로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8)

  1. 삭제
  2.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을 갖고, 그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은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그 교체 관리 정보가 추가 기록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내에 고정된 교체 영역을 미리 설정하지 않고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에서의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인 경우에는, 그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설정함과 함께,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설정하는 교체 처리를 행하고,
    상기 교체처 영역에 상기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교체 처리의 단계에서는, 또한,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의 결함 영역을,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교체처 영역으로 교체 처리시키고,
    상기 갱신 단계에서는, 상기 결함 영역에 대한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기록 방법.
  3.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을 갖고, 그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은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그 교체 관리 정보가 추가 기록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내에 고정된 교체 영역을 미리 설정하지 않고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에서의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인 경우에는, 그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설정함과 함께,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설정하는 교체 처리를 행하고,
    상기 교체처 영역에 상기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교체 관리 정보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는 주데이터의 연속 기록 범위에 관한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교체 처리의 단계에서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기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처리의 단계에서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에서의 추기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기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처리의 단계에서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기록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처리의 단계에서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각 추기 포인트 정보 중, 최대 어드레스로 되는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기록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처리의 단계에서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이외의 상기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기록 방법.
  8.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을 갖고, 그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은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그 교체 관리 정보가 추가 기록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내에 고정된 교체 영역을 미리 설정하지 않고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에서의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인 경우에는, 그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설정함과 함께,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설정하는 교체 처리를 행하고,
    상기 교체처 영역에 상기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하기 위한 추가적인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설정하는 기록 방법.
  9.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을 갖고, 그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은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그 교체 관리 정보가 추가 기록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로서,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부와,
    상기 주데이터 영역에의 데이터의 기입 요구 시에, 해당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와,
    상기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확인부에 의해서,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미기록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기입부에 의해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 기입을 실행시키고, 상기 확인부에 의해서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로 확인되고, 또한 상기 판별부에 의해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이 가능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기입 요구의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설정하는 교체 처리를 행하고, 상기 교체처 영역에, 상기 기입부에 의한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 기입을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기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의 결함 영역을,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교체처 영역으로 교체 처리시키고, 해당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기록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관리 정보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는 주데이터의 연속 기록 범위에 관한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처리에서의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기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처리에서의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에서의 추기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기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처리에서의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기록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처리에서의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각 추기 포인트 정보 중, 최대 어드레스로 되는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기록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처리에서의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이외의 상기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기록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하기 위한 추가적인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설정하는 기록 장치.
  17.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을 갖고, 그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은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그 교체 관리 정보가 추가 기록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내에 교체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에서의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이고,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설정함과 함께, 상기 교체 영역 내에서 선택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1 교체 처리를 행하고,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에서의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이고,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 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설정함과 함께,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2 교체 처리를 행하고,
    상기 교체처 영역에 상기 데이터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기록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체 처리의 단계에서는, 또한,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의 결함 영역을, 상기 교체 영역 내에서 선택된 교체처 영역으로 교체 처리시키고,
    상기 제2 교체 처리의 단계에서는, 또한, 상기 결함 영역을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교체처 영역으로 교체 처리시키는 기록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관리 정보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는 주데이터의 연속 기록 범위에 관한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교체 처리의 단계에서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기록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교체 처리의 단계에서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에서의 추기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기록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교체 처리의 단계에서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기록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교체 처리의 단계에서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각 추기 포인트 정보 중, 최대 어드레스로 되는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기록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교체 처리의 단계에서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의 교체처 영역을,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이외의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기록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영역 내에,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하기 위한 추가적인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갖는 기록 방법.
  25.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을 갖고, 그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은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교체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그 교체 관리 정보가 추가 기록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로서,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기입부와,
    상기 주데이터 영역에의 데이터의 기입 요구 시에, 해당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와,
    상기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함과 함께,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확인부에 의해서,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미기록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기입부에 의해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 기입을 실행시키고, 상기 확인부에 의해서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로 확인되고, 또한 상기 판별부에 의해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이 가능하고,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한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기입 요구의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설정하 고, 상기 교체 영역 내에서 선택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설정하는 교체 처리를 행하고, 상기 교체처 영역에, 상기 기입부에 의한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 기입을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 처리를 행하고, 또한,
    상기 확인부에 의해서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로 확인되고, 또한 상기 판별부에 의해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이 가능하고,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기입 요구의 어드레스에 관한 영역을 교체원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영역을 교체처 영역으로 설정하는 교체 처리를 행하고, 상기 교체처 영역에, 상기 기입부에 의한 상기 기입 요구에 관한 데이터 기입을 실행시킴과 함께, 상기 교체 관리 정보의 갱신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기록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 상의 결함 영역을 상기 교체 영역 내에서 선택된 교체처 영역으로 교체 처리시키고, 해당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교체 영역에 교체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결함 영역을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선택된 교체처 영역으로 교체 처리시키고, 해당 교체 처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기록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관리 정보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는 주데이터의 연속 기록 범위에 관한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처리에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교체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교체처 영역을,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기록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처리에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교체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교체처 영역을,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에서의 추기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기록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처리에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교체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교체처 영역을,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처리에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교체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교체처 영역을,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연속 기록 범위의 각 추기 포인트 정보 중, 최대 어드레스로 되는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기록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처리에서,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서 교체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 교체처 영역을, 해당 교체 처리에 관한 상기 교체원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이외의 추기 포인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기록 장치.
  32.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체 영역 내에, 상기 교체 관리 정보를 추가 기록해 가는 것이 가능한 추가적인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설정하는 기록 장치.
  33.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을 갖고, 그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은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그 교체 관리 정보가 추가 기록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교체 관리 정보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는 주데이터의 연속 기록 범위에 관한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주데이터 영역으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요구 시에,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참조하고, 해당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가 기록 완료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상기 교체 관리 정보에 의해서 교체원 영역으로서 관리되는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상기 교체원 영역으로서 관리되는 어드레스가 아니면,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상기 교체원 영역으로서 관리되는 어드레스이면, 상기 교체 관리 정보에 의해서 관리되는 교체처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재생 방법.
  34. 1회의 데이터 기입이 가능한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을 갖고, 그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은 주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주데이터 영역과, 상기 라이트원스 기록 영역에서의 교체 처리를 관리하는 교체 관리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그 교체 관리 정보가 추가 기록되는 교체 관리 정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교체 관리 정보는, 상기 주데이터 영역 내에 기록되는 주데이터의 연속 기록 범위에 관한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부와,
    상기 주데이터 영역으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요구 시에, 상기 연속 기록 범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데이터 기록 완료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 확인부와,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상기 교체 관리 정보로 교체원 영역으로서 관리되는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2 확인부와,
    상기 제1 및 제2 확인부에 의해서,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록 완료이고, 또한 상기 교체원 영역으로서 관리되는 어드레스가 아니라고 확인되면,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로부터 데이터 판독을 행하고, 한편,적어도 상기 제2 확인부에 의해서 상기 판독 요구에 관한 어드레스가, 상기 교체원 영역으로서 관리되는 어드레스라고 확인되면, 상기 교체 관리 정보에 의해서 관리되는 교체처 영역으로부터 데이터 판독을 행하도록 상기 판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재생 장치.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050074759A 2004-08-16 2005-08-16 기록 방법,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 KR101155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6337 2004-08-16
JPJP-P-2004-00236337 2004-08-16
JPJP-P-2004-00271328 2004-09-17
JP2004271328A JP4379276B2 (ja) 2004-08-16 2004-09-17 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480A KR20060050480A (ko) 2006-05-19
KR101155824B1 true KR101155824B1 (ko) 2012-06-12

Family

ID=3546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759A KR101155824B1 (ko) 2004-08-16 2005-08-16 기록 방법,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13111B2 (ko)
EP (1) EP1628302A3 (ko)
JP (1) JP4379276B2 (ko)
KR (1) KR101155824B1 (ko)
MY (1) MY146762A (ko)
RU (1) RU2379771C2 (ko)
SG (1) SG120279A1 (ko)
TW (1) TW2006142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3550B2 (en) * 2002-09-30 2007-06-19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KR20040028469A (ko) * 2002-09-30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AU2003282447B2 (en) 2002-12-11 2010-03-1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anaging overwrite and method of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an optical disc write once
TWI314315B (en) 2003-01-27 2009-09-01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of write once typ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formation on the optical disc
JP4026519B2 (ja) * 2003-03-12 2007-12-2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
US8184513B2 (en) * 2003-04-15 2012-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the recording/reproducing method
US8223607B2 (en) 2003-07-04 2012-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overwrite recording on optical disc write once
US7313065B2 (en) * 2003-08-05 2007-12-25 Lg Electronics Inc.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management information on/from optical disc
US7567981B2 (en) * 2004-01-08 2009-07-28 Uvarta, Inc. Storage medium
EP1745478A2 (en) * 2004-05-10 2007-01-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recording/reproduction for write-once discs
KR101014727B1 (ko) 2004-06-23 201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중첩 기록 방법 및 장치
US20070061893A1 (en) * 2005-09-09 2007-03-15 Black Jeffery D Methods and devices for copy protection of software
JP2007272957A (ja) * 2006-03-30 2007-10-18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及び記録制御方法
JP4944122B2 (ja) * 2006-09-29 2012-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088597B1 (en) * 2006-11-07 2015-08-19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disc device
KR101301649B1 (ko) * 2006-11-10 201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생 장치 및 정보 저장 매체
CN101542447B (zh) 2006-12-15 2013-06-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一次写入记录装置
JP4888215B2 (ja) * 2007-05-08 2012-02-29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記録媒体認識方法
JP5021362B2 (ja) * 2007-05-08 2012-09-0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判定方法
JP4882861B2 (ja) * 2007-05-11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管理情報取得方法
JP4835514B2 (ja) * 2007-05-23 2011-12-1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管理情報取得方法
JP4882865B2 (ja) * 2007-05-23 2012-0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4872815B2 (ja) 2007-06-11 2012-02-0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
KR101453296B1 (ko) * 2008-01-10 2014-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
JP4895308B2 (ja) * 2008-01-30 2012-03-14 東芝ストレージデバイス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装置の記録方法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KR20100121806A (ko) * 2009-05-11 201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
JP5124604B2 (ja) * 2010-02-12 2013-01-23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再生方法
JP5222898B2 (ja) * 2010-05-17 2013-06-26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記録方法、再生方法、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5906957B2 (ja) * 2012-06-22 2016-04-2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交替先選択方法
JP6429124B2 (ja) * 2015-03-27 2018-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306611B1 (en) 2015-05-25 2020-01-15 Sony Corporatio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recording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5879A1 (fr) * 2000-04-05 2001-10-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procede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et programme
WO2004053872A1 (en) * 2002-12-11 2004-06-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verwrite on an optical disc write onc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4270A (ja) 1986-11-13 1988-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イスク制御方法
US5448728A (en) * 1991-08-08 1995-09-05 Sharp Kabushiki Kaisha Storage medium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write-once read-many storage medium
JP3132701B2 (ja) 1993-11-05 2001-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録方法
JPH09102173A (ja) 1995-10-03 1997-04-15 Ricoh Co Ltd Cdーrドライブ装置
KR100459161B1 (ko) * 1998-11-20 200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기록매체및광기록매체의스페어영역할당과결함영역관리방법
US6581167B1 (en) * 1999-02-01 2003-06-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JP2000357374A (ja) 1999-06-11 2000-12-26 Hitachi Maxell Ltd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
US6925580B2 (en) * 1999-12-03 2005-08-02 Seagate Technology Llc Full volume slip defect management in a disc drive
JP3461340B2 (ja) 2001-04-17 2003-10-27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方法
EP1552508A4 (en) 2002-07-31 201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RECORDING INFORMATION THEREON
KR100888591B1 (ko) * 2002-09-10 2009-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패어 영역 할당 방법, 그 장치 및 그 디스크
BRPI0306564B1 (pt) * 2002-09-26 2016-04-26 Lg Electronics Inc método de gerenciamento de mídia ótica de gravação que possua pelo menos uma área defeituosa na área de dados do usuário, mídia de gravação e aparato para gerenciamento de mídia ótica de gravação que possua pelo menos uma área temporária de gerenciamento de defeitos e uma área sobressalente na área de dados
JP2006500721A (ja) * 2002-09-27 2006-01-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ライトワンスメディアに関する欠陥及び割当て管理方法及び装置
TWI248609B (en) * 2002-10-18 2006-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sc defects using updateable dam, and disc thereof
JP4606693B2 (ja) 2002-11-22 2011-01-05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
AU2003282447B2 (en) * 2002-12-11 2010-03-1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anaging overwrite and method of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an optical disc write once
TWI334595B (en) * 2003-01-27 2010-12-11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defective area on an optical disc
US7522501B2 (en) 2003-05-09 2009-04-21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reproducing and product for management of data having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containing at least one pointer
US8223607B2 (en) 2003-07-04 2012-07-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overwrite recording on optical disc write once
DE602004020992D1 (de) 2003-07-14 2009-06-18 Lg Electronics Inc Einmalbeschreibbarer optischer datenträg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zeichnen von verwaltungsinformationen auf einem einmalbeschreibbaren optischen datenträger
KR20050009031A (ko) * 2003-07-15 2005-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JP4425918B2 (ja) * 2003-08-05 2010-03-0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追記型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に管理情報を記録し再生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5129116A (ja) 2003-10-22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追記型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および情報再生方法、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2005190539A (ja) 2003-12-25 2005-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方法および情報記録装置
CN101853687A (zh) * 2004-06-15 2010-10-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驱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5879A1 (fr) * 2000-04-05 2001-10-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procede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et programme
WO2004053872A1 (en) * 2002-12-11 2004-06-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verwrite on an optical disc write o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44979A1 (en) 2006-03-02
US7913111B2 (en) 2011-03-22
SG120279A1 (en) 2006-03-28
JP2006085859A (ja) 2006-03-30
RU2005126038A (ru) 2007-02-27
MY146762A (en) 2012-09-14
TWI320176B (ko) 2010-02-01
EP1628302A3 (en) 2012-01-25
KR20060050480A (ko) 2006-05-19
TW200614200A (en) 2006-05-01
EP1628302A2 (en) 2006-02-22
JP4379276B2 (ja) 2009-12-09
RU2379771C2 (ru) 201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824B1 (ko) 기록 방법, 기록 장치, 재생 방법 및 재생 장치
KR100971813B1 (ko) 기록 매체,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KR101201424B1 (ko) 기록 장치의 교체 처리 방법,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KR101034339B1 (ko) 기록매체,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방법, 재생방법
KR101101017B1 (ko) 재생 제어 장치 및 재생 제어 방법
JP5252039B2 (ja) 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記録媒体
US7830769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US7969842B2 (en) Playback device and management information acquiring method
JP4835514B2 (ja) 再生装置、管理情報取得方法
JP4888215B2 (ja) 再生装置、記録媒体認識方法
JP5021362B2 (ja) 再生装置、判定方法
JP4544260B2 (ja) 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
JP2010192110A (ja) 交替処理方法、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