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627B1 - 변조 장치 및 그의 변조 방법, 복조 장치 및 그의 복조 방법 - Google Patents

변조 장치 및 그의 변조 방법, 복조 장치 및 그의 복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627B1
KR101155627B1 KR1020080121419A KR20080121419A KR101155627B1 KR 101155627 B1 KR101155627 B1 KR 101155627B1 KR 1020080121419 A KR1020080121419 A KR 1020080121419A KR 20080121419 A KR20080121419 A KR 20080121419A KR 101155627 B1 KR101155627 B1 KR 101155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waveform
signal
base signal
axi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688A (ko
Inventor
김동규
김재환
이형수
김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627B1/ko
Priority to US12/581,253 priority patent/US8284868B2/en
Publication of KR2010006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6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변조 장치는 코사인 함수로 이루어진 두 개의 기저 신호축과 사인 함수로 이루어진 두 개의 기저 신호축을 이용하여 비트 정보를 변조시켜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이렇게 하면, 높은 전력 효율 특성을 유지하면서 주파수 효율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조, 무성(Silence), PSK(Phase Shift Keying), 복조

Description

변조 장치 및 그의 변조 방법, 복조 장치 및 그의 복조 방법{APPARATUS FOR MODULATING AND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DEMODULAT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변조 장치 및 그의 변조 방법과 복조 장치 및 그의 복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S-042-01, 과제명: WBAN In-body 시스템 및 On-body 시스템 개발 (표준화연계)].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OOK(On-Off Keying)와 같은 비선형 변조 방식은 전력 효율이 높은 비선형 전력 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주파수 효율이 높은 PSK(Phase Shift Keying)나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과 같은 선형 변조 방식은 전력 효율이 높은 비선형 전력 증폭기를 사용하는 경우 성능이 열화된다. 따라서 주파수 효율이 높은 PSK나 QAM 변조 방식은 선형 전력 증폭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송신 장치의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송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선형 및 비선형 변조 방식에서 전력 효율이 높은 비선형 전력 증폭기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크게 두 가지 접근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비선형 전력 증폭기의 입력 신호 또는 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비선형 특성에 의해 발생한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비선형 전력 증폭기의 전단 또는 후단에 복잡한 보상 회로를 구성해야 하므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구현 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둘째, 선형 전력 증폭기를 사용하고 선형 전력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선형 전력 증폭기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첫째 방식에 비해 구현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선형 전력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기술의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연구에 의해 선형 전력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선형 전력 증폭기의 입력 신호의 순시적 포락선의 형태와 소비 전력간의 관계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PPM(Pulse Position Modulation) 또는 BPPM(Biorthogonal PPM)과 같이 무성 신호를 포함하는 변조 방식이 선형 전력 증폭기의 소비 전력 감소에 유리한 방식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PPM 또는 BPPM 변조 방식은 매우 긴 무성 신호 구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매우 낮은 주파수 효율을 초래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높은 전력 효율 특성을 유지하면서 주파수 효율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조 장치 및 그의 변조 방법과 복조 장치 및 그의 복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비트 정보를 변조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변조 장치는 변조 심볼 생성부, 그리고 송신부를 포함한다. 변조 심볼 생성부는 상기 비트 정보를 코사인 함수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기저 신호축과 사인 함수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기저 신호축을 이용하여 변조를 수행하여 변조 심볼을 생성하고, 송신부는 생성한 상기 변조 심볼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복조 장치는 제1 내지 제4 정합 필터, 그리고 신호 결정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정합 필터는 코사인 함수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기저 신호축에 각각 정합되는 제1 및 제2 필터 계수값을 각각 가지며,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필터 계수값을 갖는 대역으로 각각 필터링 처리하여 출력하고, 제3 및 제4 정합 필터는 사인 함수에 이루어진 제3 및 제4 기저 신호축에 각각 정합되는 제3 및 제4 필터 계수값을 각각 가지며,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3 및 제4 필터 계수값을 갖는 대역으로 각각 필터링 처리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 결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정합 필터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에서 송신한 비트 정보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되는 비트 정보를 변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변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비트 정보를 심볼로 매핑하여 복수의 기저 대역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저 대역 심볼 중 제1 기저 대역 심볼에 상기 코사인 함수를 곱한 제1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저 대역 심볼 중 제2 기저 대역 심볼에 상기 사인 함수를 곱한 제2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펄스 신호와 상기 제2 펄스 신호를 덧셈하여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덧셈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복수의 기저 대역 심볼 중 제3 기저 대역 심볼을 곱셈하여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복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 신호를 코사인 함수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기저 신호축에 각각 정합되는 제1 및 제2 필터 계수값과 사인 함수로 이루어진 제3 및 제4 기저 신호축에 각각 정합되는 제3 및 제4 필터 계수값을 갖는 대역으로 각각 필터링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필터링 처리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장치에서 송신한 비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높은 전력 효율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주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조 장치 및 그의 변조 방법과 복조 장치 및 그의 복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조 장치(100)는 변조 심볼 생성부(110), 송신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변조 심볼 생성부(110)는 전송하고자 하는 비트 정보[m(n)]를 위상 무성 편이(Phase Silence Shift Keying, 이하 "PSSK"라 함) 변조를 수행하여 변조 심볼[s(t)]을 생성한다. 이때, PSSK 변조는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gm(n)(t)는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83219791-pat00001
Figure 112008083219791-pat00002
여기서, M은 심볼의 수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M이 4이면 2비트 정보를 갖는 심볼이 4개임을 의미하고, M이 8이면 3비트 정보를 갖는 심볼이 8개임을 의미한다. 즉, M은 log2(M)비트 정보를 갖는 심볼의 수를 나타낸다. T는 한 심볼 구간의 시간을 나타내고, t는 시간을 나타낸다. fc는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나타내고, Es는 심볼의 에너지를 나타내며, u(t)는 단위 계단 함수(unit step function)로,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u(t)=1, if t ≥0
u(t)=0, if t < 0
이러한 u(t)를 적용하면, gm(n)(t)는 펄스 파형이 되며, m(n)이 0, 1, ..., (M/2)-1인 경우의 gm(n)(t)는 T 구간 중 전반의 T/2 구간 동안에는 신호가 존재하고 후반의 T/2 구간 동안에는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형태의 펄스 파형이 되며, m(n)이 M/2, ..., M-1인 경우의 gm(n)(t)는 T 구간 중 전반의 T/2 구간 동안에는 신호가 존재하지 않고 후반의 T/2 구간 동안에는 신호가 존재하는 형태의 펄스 파형이 된다. 즉, m(n)이 0, 1, ..., (M/2)-1인 경우의 gm(n)(t)는 m(n)이 M/2, ..., M-1인 경우의 gm(n)(t)의 반전된 형태의 파형을 가지며, gm(n)(t)는 유성 신호 구간과 무성 신호 구간을 가진다.
송신부(120)는 생성한 변조 심볼[s(t)]을 송신한다.
제어부(130)는 전송하고자 하는 비트 정보[m(n)]가 PSSK 변조가 이루어지도록 변조 심볼 생성부(110)를 제어하고, 변조 심볼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변조 심볼[s(t)]을 송신하도록 송신부(12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조 심볼 생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변조 심볼 생성부(110)는 심볼 매퍼(111), 곱셈기(112, 113, 114) 및 덧셈기(115)를 포함한다.
심볼 매퍼(111)는 전송하고자 하는 비트 정보[m(n)]를 매핑하여 기저대역 심볼(b1, b2, b3)을 생성한다. 이때, 심볼 매퍼(111)는 수학식 1의
Figure 112008083219791-pat00003
Figure 112008083219791-pat00004
의 정의에 따라 기저대역 심볼(b1, b2, b3)을 생성하며, 기저대역 심볼(b1, b2)은 수학식 1의
Figure 112008083219791-pat00005
와 같고, 기저대역 심볼(b3)은
Figure 112008083219791-pat00006
와 같다.
곱셈기(112)는 기저대역 심볼(b1)에 코사인 함수(coswct)를 곱하여 덧셈기(115)로 출력하고, 곱셈기(113)는 기저대역 심볼(b2)에 사인 함수(sinwct)를 곱하여 덧셈기(115)로 출력한다. 이때, wc는 2
Figure 112008083219791-pat00007
fc이다.
덧셈기(115)는 곱셈기(112)의 출력과 곱셈기(113)의 출력을 덧셈 연산하여 곱셈기(114)로 출력한다.
곱셈기(114)는 덧셈기(115)의 출력에 기저대역 심볼(b3)을 곱하여 출력하며, 곱셈기(114)의 출력이 변조 심볼[s(t)]이 된다.
이때,
Figure 112008083219791-pat00008
는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되므로, 결과적으로 변조 심볼[s(t)]은 수학식 4 내지 7에 도시된 4 개의 직교 기저 신호축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것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8083219791-pat00009
Figure 112008083219791-pat00010
Figure 112008083219791-pat00011
Figure 112008083219791-pat00012
이러한 PSSK 변조 방식에 따르면, 심볼의 에너지(Es)가 T/2 구간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주파수 효율은 PSK 변조 방식의 1/2이 된다. 즉, PSK 변조 방식의 주파수 효율은
Figure 112008083219791-pat00013
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SSK 변조 방식의 주파수 효율은
Figure 112008083219791-pat00014
이 된다. 반면, 전력 효율이 높은 BPPM 변조 방식의 주파수 효율은
Figure 112008083219791-pat00015
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SSK 변조 방식의 주파수 효율은 BPPM 변조 방식에 비해 높은 주파수 효율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SSK 변조 방식은 (1/2)T 구간 동안에는 신호가 없기 때문에 신호가 없는 (1/2)T 구간 동안 선형 전력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 기술을 적용하면 전력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PSK 변조 방식에 의한 변조 심볼간 최소 거리(dpsk)는 수학식 8과 같이 계산될 수 있으며, PSSK 변조 방식에 의한 변조 심볼간 최소 거리(dpssk)는 수학식 9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8083219791-pat00016
Figure 112008083219791-pat00017
즉, M이 4일 때는 PSK 및 PSSK 변조 방식에 의한 변조 심볼간 최소 거리(dpsk, dpssk)가 2로 같지만, M이 8일 때는 PSK 및 PSSK 변조 방식에 의한 변조 심볼간 최소 거리(dpsk, dpssk)가 각각 1.326, 2이고, M이 16일 때는 PSK 및 PSSK 변조 방식에 의한 변조 심볼간 최소 거리(dpsk, dpssk)가 각각 0.78, 1.326으로, M이 커질수록 PSSK 변조 방식에 의한 변조 심볼간 최소 거리(dpsk)가 PSK 변조 방식에 의한 변조 심볼간 최소 거리(dpssk)보다 크므로, PSSK 변조 방식이 PSK 변조 방식에 비해 수신 오류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SSK 변조 방식에 따른 수신 오류 확률(PM)은 수학식 10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Figure 112008083219791-pat00018
여기서,
Figure 112008083219791-pat00019
이고,
Figure 112008083219791-pat00020
이며,
Figure 112008083219791-pat00021
이고,
Figure 112008083219791-pat00022
는 부가적인 백색 가우시안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의 스펙트럼 밀도(Spectral Density)이다. 이때, 수학식 3은 더 이상 간단한 형태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수신 오류 확률(PM)의 상한값(PU)을 구하면 수학식 11과 같다.
Figure 112008083219791-pat00023
여기서, Am은 가장 인접한 변조 심볼들의 세트(set)이고,
Figure 112008083219791-pat00024
는 m번째 변조 심볼과 j번째 변조 심볼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SSK 변조 방식에 따른 수신 오류 확률과 수신 오류 확률의 상한값을 비교한 그래프도이다. 도 3에서, QPSSK, 8PSSK, 16PSSK 및 32PSSK는 M에 따른 PSSK로서, QPSSK는 M이 4인 PSSK를 나타낸 것이고, 8PSSK, 16PSSK 및 32PSSK는 M이 각각 8, 16 및 32인 PSSK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UB)"는 수신 오류 확률(PM)의 상한값(PU)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 3의 그래프도는 수신 오류 확률(PM)의 상한값(PU)이 얼마나 정확한지를 시뮬레이션한 것으로, 도 3을 참고하면, 신호대 잡음비(Eb/No)가 증가하여도 수신 오류 확률(PM)과 수신 오류 확률(PM)의 상한값(PU)은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SSK 변조 방식에 따른 수신 오류 확률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SSK 변조 방식은 M에 따라 PSSK 변조 방식의 수신 오류 확률(PM)의 상한값(PU)이 PSK 변조 방식에 따른 수신 오류 확률(PM)의 상한값(PU)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또한, M이 8인 8PSSK 변조 방식과 8PSSK 변조 방식의 전력 효율을 비교해 보면, 수신 오류 확률(PM)의 상한값(PU)이 10-5인 경우, 8PSSK 변조 방식의 신호대 잡음비(Eb/No)가 8.5이고, 8PSK 변조 방식의 신호대 잡음비(Eb/No)가 13.5로 약 5dB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M이 16인 16PSSK 변조 방식과 16PSSK 변조 방식의 전력 효율을 비교해 보면, 수신 오류 확률(PM)의 상한값(PU)이 10-2인 경우, 16PSSK 변조 방식의 신호대 잡음비(Eb/No)가 7.5이고, 16PSK 변조 방식의 신호대 잡음비(Eb/No)가 13.5로 약 6dB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PSSK 변조 방식에 따른 전력 효율이 PSK 변조 방식에 따른 전력 효율에 비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M이 8 이상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SSK 변조 방식의 전력 효율이 PSK 변조 방식에 비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조 장치(200)는 정합 필터(210a-210d) 및 신호 결정부(220)를 포함한다.
정합 필터(210a-210d)는 각각 수학식 4 내지 7에 도시된 직교 기저 신호축의 특성에 정합되는 필터 계수값을 가지고 있으며, 수신 신호를 정해된 필터 계수값을 갖는 대역으로 필터링 처리하여 출력하므로, 정합 필터(210a-210d)는 각각 해당 수신 신호가 입력되면 최대 값을 출력한다.
신호 결정부(220)는 한 심볼 구간의 시간(T) 동안 정합 필터(210a-210d)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신호로부터 최대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최대값을 이용하여 비트 정보[m(n)]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 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조 심볼 생성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SSK 변조 방식에 따른 수신 오류 확률과 수신 오류 확률의 상한값을 비교한 그래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SSK 변조 방식에 따른 수신 오류 확률을 나타낸 그래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5)

  1. 입력되는 비트 정보를 변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트 정보를 코사인 함수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기저 신호축과 사인 함수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기저 신호축 중 각각 하나의 제1 신호 기저축과 하나의 제2 신호 기저축을 이용하여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변조 심볼 생성부, 그리고
    생성한 상기 변조 심볼을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기저 신호축은 상기 코사인 함수와 제1 펄스 파형의 곱으로 이루어진 신호축과 상기 코사인 함수와 제2 펄스 파형의 곱으로 이루어지진 신호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기저 신호축은 상기 사인 함수와 상기 제1 펄스 파형의 곱으로 이루어진 신호축과 상기 사인 함수와 상기 제2 펄스 파형의 곱으로 이루어진 신호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펄스 파형과 제2 펄스 파형은 유성 신호 구간과 무성 신호 구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심볼 생성부는 상기 입력되는 비트 정보에 따라서 상기 하나의 제1 기저 신호축과 상기 하나의 제2 기저 신호축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파형과 제2 펄스 파형은 반전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심볼 생성부는,
    상기 비트 정보를 심볼로 매핑하여 복수의 기저 대역 심볼을 생성하는 심볼 매퍼,
    상기 복수의 기저 대역 심볼 중 제1 기저 대역 심볼에 코사인 함수를 곱한 제3 펄스 파형을 출력하는 제1 곱셈기,
    상기 복수의 기저 대역 심볼 중 제2 기저 대역 심볼에 사인 함수를 곱한 제4 펄스 파형을 출력하는 제2 곱셈기,
    상기 제3 펄스 파형과 상기 제4 펄스 파형을 덧셈하여 출력하는 덧셈기, 그리고
    상기 덧셈기의 출력 신호와 상기 복수의 기저 대역 심볼 중 제3 기저 대역 심볼을 곱셈하여 상기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제3 곱셈기를 포함하는 변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비트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펄스 파형 또는 상기 제2 펄스 파형이 상기 제3 기저 대역 심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펄스 파형은 상기 제2 펄스 파형의 반전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7.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코사인 함수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기저 신호축에 각각 정합되는 제1 및 제2 필터 계수값을 각각 가지며,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필터 계수값을 갖는 대역으로 각각 필터링 처리하여 출력하는 제1 및 제2 정합 필터,
    사인 함수에 이루어진 제3 및 제4 기저 신호축에 각각 정합되는 제3 및 제4 필터 계수값을 각각 가지며,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3 및 제4 필터 계수값을 갖는 대역으로 각각 필터링 처리하여 출력하는 제3 및 제4 정합 필터,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정합 필터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에서 송신한 비트 정보를 결정하는 신호 결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저 신호축은 상기 코사인 함수와 제1 펄스 파형의 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기저 신호축은 상기 코사인 함수와 제2 펄스 파형의 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기저 신호축은 상기 사인 함수와 상기 제1 펄스 파형의 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기저 신호축은 상기 사인 함수와 상기 제2 펄스 파형의 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펄스 파형과 상기 제2 펄스 파형은 유성 신호 구간과 무성 신호 구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파형과 상기 제2 펄스 파형은 반전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는 상기 송신한 비트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기저 신호축 중 하나의 기저 신호축과 상기 제3 및 제4 기저 신호축 중 하나의 기저 신호축을 이용하여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11. 입력되는 비트 정보를 변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트 정보를 심볼로 매핑하여 복수의 기저 대역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저 대역 심볼 중 제1 기저 대역 심볼에 코사인 함수를 곱한 제1 펄스 파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저 대역 심볼 중 제2 기저 대역 심볼에 사인 함수를 곱한 제2 펄스 파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펄스 파형과 상기 제2 펄스 파형을 덧셈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펄스 파형과 상기 제2 펄스 파형을 덧셈한 신호와 상기 복수의 기저 대역 심볼 중 제3 기저 대역 심볼을 곱셈하여 변조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변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비트 정보에 따라 제3 펄스 파형 또는 제4 펄스 파형이 상기 제3 기저 대역 심볼로 결정되며,
    상기 제3 펄스 파형은 상기 제4 펄스 파형의 반전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펄스 파형과 상기 제4 펄스 파형은 유성 신호 구간과 무성 신호 구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13.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를 코사인 함수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기저 신호축에 각각 정합되는 제1 및 제2 필터 계수값과 사인 함수로 이루어진 제3 및 제4 기저 신호축에 각각 정합되는 제3 및 제4 필터 계수값을 갖는 대역으로 각각 필터링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필터링 처리한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에서 송신한 비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저 신호축은 상기 코사인 함수와 제1 펄스 파형의 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기저 신호축은 상기 코사인 함수와 제2 펄스 파형의 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기저 신호축은 상기 사인 함수와 상기 제1 펄스 파형의 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기저 신호축은 상기 사인 함수와 상기 제2 펄스 파형의 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펄스 파형과 상기 제2 펄스 파형은 유성 신호 구간과 무성 신호 구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는 상기 송신한 비트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기저 신호 축 중 하나의 기저 신호축과 상기 제3 및 제4 기저 신호축 중 하나의 기저 신호축을 이용하여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 파형은 상기 제2 펄스 파형의 반전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방법.
KR1020080121419A 2008-12-02 2008-12-02 변조 장치 및 그의 변조 방법, 복조 장치 및 그의 복조 방법 KR101155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419A KR101155627B1 (ko) 2008-12-02 2008-12-02 변조 장치 및 그의 변조 방법, 복조 장치 및 그의 복조 방법
US12/581,253 US8284868B2 (en) 2008-12-02 2009-10-19 Modulating device and method, demodulating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419A KR101155627B1 (ko) 2008-12-02 2008-12-02 변조 장치 및 그의 변조 방법, 복조 장치 및 그의 복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688A KR20100062688A (ko) 2010-06-10
KR101155627B1 true KR101155627B1 (ko) 2012-07-03

Family

ID=4222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419A KR101155627B1 (ko) 2008-12-02 2008-12-02 변조 장치 및 그의 변조 방법, 복조 장치 및 그의 복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84868B2 (ko)
KR (1) KR101155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889B1 (ko) 2009-11-23 2013-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 수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KR101276795B1 (ko) 2009-12-17 2013-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변조 장치 및 그의 변조 방법, 복조 장치 및 그의 복조 방법
KR20120062231A (ko) * 2010-12-06 2012-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송 장치, 수신 장치, 전송 방법 및 수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6746C2 (de) * 1996-11-01 2003-09-18 Nanotron Technologies Gmbh Übertragungsverfahren zur drahtlosen Kommunikation mit einem implantierten medizinischen Gerät
KR100367230B1 (ko) 1999-03-24 2003-01-06 주식회사 오픈솔루션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복조 장치
KR20010111668A (ko) 2000-06-12 2001-12-20 이승환 디지털 변복조 방법 및 시스템
US6535073B1 (en) * 2000-08-08 2003-03-18 Advanced Micro Devices, Inc. Device and method for I/Q modulation, frequency translation and upsampling
KR100429454B1 (ko) 2001-02-13 2004-05-10 주식회사 오픈솔루션 근거리 무선신호 송수신 장치용 변복조기 및 이를채용하는 무선 헤드셋
US7145934B2 (en) * 2001-03-03 2006-12-05 Oxford Semiconductor Inc Multichannel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bluetooth systems
US6968016B1 (en) * 2001-03-22 2005-11-22 Advanced Micro Devices, Inc. Device and method for I/Q modulation, frequency translation and upsampling
KR100539929B1 (ko) * 2001-12-15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주파수 변조기
US20030142742A1 (en) 2002-01-30 2003-07-31 Rf Saw Components, Incorporated Modulation by combined multi-pulse per group with simultaneous phase and time shift key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397300B2 (en) * 2003-09-09 2008-07-08 Analog Devices, Inc. FSK demodulator system and method
EP1671428A1 (en) * 2003-09-30 2006-06-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fferential phase modulated multi-b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35431A1 (en) 2010-06-03
US8284868B2 (en) 2012-10-09
KR20100062688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68437B (zh) 数字预失真发射机及其控制方法
CN102246437A (zh) 具有信号星座的通信系统和方法
JP5784820B2 (ja) 通信方法及び装置
JP2008022230A (ja) ピーク抑圧制御装置
KR102608544B1 (ko) 비선형 증폭기를 이용한 양자화된 선형 증폭 장치
CN111711589B (zh) 一种基于椭圆球面波信号的连续相位调制解调方法
Chen et al. Peak-to-average power ratio reduction in OFDM with blind selected pilot tone modulation
WO2000013388A1 (en) A constrained-envelope digital-communications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11786927B (zh) 正交频分复用随钻数据传输方法、系统、存储介质及应用
Gao et al. Constellation design for a multicarrie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Nuwanpriya et al. Position modulating OFDM fo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155627B1 (ko) 변조 장치 및 그의 변조 방법, 복조 장치 및 그의 복조 방법
Kang An OFDM with 3-D signal mapper and 2-D IDFT modulator
Zayani et al. Closed-form BER expression for (QAM or OQAM)-based OFDM system with HPA nonlinearity over Rayleigh fading channel
CN105991508A (zh) 一种8qam调制方法及其系统
CN102710580A (zh) 调相和对称升余弦调频的联合调制方法
Tsonev et al. OFDM-bas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KR101276795B1 (ko) 변조 장치 및 그의 변조 방법, 복조 장치 및 그의 복조 방법
CN103516651B (zh) 用于数字调制的rf信号的预均衡器和方法
CN107070827B (zh) 一种多进制的线性调频键控调制的通信方法
JP6753394B2 (ja) 送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Raza et al. Long Short-Term Memory Neural Network assisted Peak to Average Power Ratio Reduction for Underwater Acoustic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Zhou et al. Novel spread spectrum based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low signal-to-noise ratio environments
JP2003023468A (ja) ディジタル変調器
Boudreau et al. Exploiting Doppler-diversity in flat, fast fading chan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