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746B1 -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746B1
KR101154746B1 KR1020107023698A KR20107023698A KR101154746B1 KR 101154746 B1 KR101154746 B1 KR 101154746B1 KR 1020107023698 A KR1020107023698 A KR 1020107023698A KR 20107023698 A KR20107023698 A KR 20107023698A KR 101154746 B1 KR101154746 B1 KR 101154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unit
time
wireless communication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829A (ko
Inventor
치즈코 나가사와
구고 모리타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2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9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adapted for mobile IP [M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Abstract

BBM 방식을 이용하는 핸드오버로 인해 VoIP와 같은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에 무음 구간이 발생하면, 유저가 불안감을 갖고 통신이 완전히 단절되었다고 오해하는 문제가 있다. 핸드오버시에 패킷 손실로 인한 VoIP와 같은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에 무음 구간이 발생하면; 단말기가 무음 구간 동안에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알람(예컨대, 비프음)을 작동시킨다. 그에 의해, 무음 구간이 핸드오버에 의해 유발되었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고 통신이 완전히 단절되었다는 유저의 오해를 방지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장치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08-115882호(2008년 4월 25일 출원)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08-115903호(2008년 4월 25일 출원)의 우선권 및 이익을 청구하며, 그 전체 내용들이 참조로 이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이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간의 핸드오버(handover)를 실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 무선 통신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달성하기 위해, 휴대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 등과 같은, 복수의 상이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간에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심리스(seamless) 이동을 위한 IP 모빌러티 스킴(mobility scheme)이 고려되어 왔다. IP 모빌러티 스킴의 구체적인 프로토콜로서는, 통신 단말 개개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모바일 IPv4 및 모바일 IPv6(이하, 모바일 IP로서 집합적으로 칭해짐. 비특허 문헌 1 참조)와, 네트워크의 단위로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NEMO(Network Mobility)가 있다.
모바일 IP나 NEMO에서는, 이동 노드(Mobile Node)(이하, MN으로 약칭됨)가, 핸드오버 소스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이하, “제1 무선 NW”로 칭해짐)로부터 다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할 때, MN은, MN이 속하는 홈 에이전트(Home Agent)(이하, “HA”라고 칭해짐)에, 핸드오버 목적지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이하, “제2 무선 NW”라고 칭해짐)의 IP 어드레스를 캐어 오브 어드레스(Care of Address)(이하, “CoA”라고 칭해짐)로서 등록한다. 이것에 의해, MN은, 제2 무선 NW를 통해서, 통신 상대로서의 대향 노드(Correspondent Node)(이하, “CN”이라고 칭해짐)와 통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 방식으로서는, 제1 무선 NW를 단절하기 전에 제2 무선 NW를 접속하는 MBB(Make-Before-Break) 방식, 및 제1 무선 NW를 단절한 후에서 제2 무선 NW에 접속하는 BBM(Break-Before-Make) 방식이 알려져 있다. BBM 방식은,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동시 접속을 관리할 필요를 갖지 않으므로, 핸드오버를 비교적 간결한 처리로 실시할 수가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비특허 문헌 1: 씨. 퍼킨스(C. Perkins), "IP Mobility Support (RFC2002)", [온라인], 1996년 10월, IETF, [2006년 3월 15일 검색], 인터넷<URL: http://www.ietf.org /rfc/rfc2002.txt
그렇지만, BBM 방식에 의해서는, MN이 우선 제1 무선 NW로의 무선 접속을 단절하기 때문에, MN과 CN 사이의 통신은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이 후, 통상의 모바일 IP에서는, MN은, 제2 무선 NW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그리고 제2 무선 NW의 CoA를 HA에 등록하는 것에 의해, CN과의 통신을 재개할 수가 있다. 그러나, MN이 제1 무선 NW로의 무선 접속을 단절한 후 그리고 MN이 제2 무선 NW의 CoA를 HA에 등록하기 전의 기간 동안에는, MN과 CN은 서로 통신할 수 없고, 그것은 패킷 로스(packet loss)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VoIP와 같은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것에 의한 통신 동안에, MN이 BBM 방식을 이용하는 핸드오버를 실행하면, 패킷 로스로 인해 음성이 끊어지고 그에 의해 무음 구간이 발생하며, 그것은 통신 품질 및 리얼타임성의 저하를 가져온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BBM 방식을 이용하는 핸드오버로 인해서 VoIP와 같은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에 무음 구간이 발생하더라도,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될 때, MN 및 CN은,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을 재개할 수가 있다. 그러나, MN 및 CN의 유저들 모두에게는,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에서의 무음이, 핸드오버에 기인하여 유발되었는지 또는 불량한 무선 조건으로 인한 통신의 완전한 단절에 기인하여 유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환언하면,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에 무음이 발생했을 때, 유저는, 소정 기간후에 통신이 재개될 것인지, 유저가 통신을 자발적으로 재개시킬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특히, 제1 무선 NW의 단절 후 제2 무선 NW로의 접속까지, 수초 내지 수십초 이상 걸릴 수 있기 때문에, 무음이 핸드오버에 의해 유발된 것이라도, 유저는 불안감 및 통신이 완전하게 단절되었다는 오해를 갖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핸드오버로 인한 무음 구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핸드오버로 인해 패킷이 수신될 수 없을 때, 이미 수신된 패킷의 재생 속도를 변경시키는 처리가 행해진다. 그러나, 무음 구간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제공되어 있지 않고, 무음 구간에 대한 유저의 불안감 및 오해를 해소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
그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BBM 방식을 이용하는 핸드오버로 인해, VoIP와 같은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에 무음 구간이 발생했을 때, 무음 구간이 통신의 단절로 인해 유발되었다는 오해 없이, 유저로 하여금, 무음 구간이 핸드오버에 의해 유발되었다는 것을 판단하게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리얼타임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링크(link)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는 통신 품질 취득부;
상기 통신 품질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의 준비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에 상기 결정부가 핸드오버의 준비를 개시하도록 결정했을 때, 상기 통신 품질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핸드오버 개시 시간을 추정하는 추정부; 및
상기 핸드오버의 처리 동안에,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핸드오버 개시 시간의 소정 시간 전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도록 상기 실행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유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자(speaker) 또는 청자(hearer)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시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상기 제3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유저가 화자인 경우에, 핸드오버 개시 후 곧바로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며,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 핸드오버 개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데이터가 없을 때,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양태 중 하나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가 핸드오버 완료 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상기 핸드오버 완료 시간에 기반하여,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 간격(notification interval)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양태는, 상기 제5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상기 통지 간격을, 상기 핸드오버 완료 시간에 더 가까움에 따라, 더 짧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른 통신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리얼타임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상대인 무선 통신 장치가 통신 중인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핸드오버의 처리 동안에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8 양태는, 제7 양태에 따른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핸드오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패킷이 수신될 수 없는 시간의 소정 시간 전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도록 상기 실행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 양태는, 유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자 또는 청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상기 제7 또는 제8 양태에 따른 통신 장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시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10 양태는, 상기 제9 양태에 따른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유저가 화자인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이 송신될 수 없을 때,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고,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 정보의 수신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데이터가 없을 때,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오버시의 패킷 로스로 인해, VoIP와 같은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에 무음 구간이 발생되는 경우에, 무음 구간 동안에, 단말이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알람(alarm)(이하, 예컨대, 비프음(beep sound)인, “HO 알람”이라고 칭해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저에게 무음 구간이 핸드오버로 인해 발생되었다는 것을 통지하여 통신이 완전하게 단절단되었다는 유저의 오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의 대략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기존의 핸드오버에 의해 유발되는 패킷 로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통신 장치의 전화 유닛의 대략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통신 장치의 전화 유닛의 대략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핸드오버 개시 및 완료 시간과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핸드오버 제어부에 의한 핸드오버 개시 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핸드오버 제어부에 의한 절대 지연 시간을 취득하는 모범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재생 속도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HO 알람 예정 기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재생 속도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HO 알람 예정 기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재생 속도 계산부에 의해 계산된 HO 알람 예정 기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지터 버퍼 제어부에 의해 음성 패킷의 재생 속도를 제어하는 모범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HO 알람 발생부에 의한 HO 알람의 활성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유저가 화자일 때 도 5에 도시된 주요 블록의 동작 시퀀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유저가 청자의 경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주요 블록의 동작 시퀀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유저가 화자일 때 도 6에 도시된 주요 블록의 동작 시퀀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유저가 청자일 때 도 6에 도시된 주요 블록의 동작 시퀀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패킷의 변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기존의 방법에 따른 수신 패킷의 변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이동 노드인 무선 통신 장치(11)(이하, “MN 11”이라고 함)가, 대향 노드인 상대 통신 단말(12)(이하, “CN 12”라고 함)과, 리얼타임 통신용 어플리케이션인 VoIP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통화를 하는 사례를 도시한다. MN 11은,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15)(이하, “제1 무선 NW(15)”라고 함)와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16)(이하, “제2 무선 NW(16)”라고 함) 사이에서 핸드오버를 실행할 수 있다. 제1 무선 NW(15) 및 제2 무선 NW(16)는 인터넷(18)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예컨대, 제1 무선 NW(15)는 CDMA 2000 1xEV-DO(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1x Evolution Data Only)의 휴대전화 네트워크이고, 제2 무선 NW(16)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15a는 제1 무선 NW(15)의 기지국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16a는 제2 무선 NW(16)의 액세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CN 12는, 예를 들면, 그에 접속된 송수화기(12a) 및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 폰(softphone)을 가진 퍼스널 컴퓨터일 수 있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인터넷(18)에 접속된다.
제1 무선 NW(15) 및 제2 무선 NW(16)는, 각각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서버(21 및 2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MN 11에 어드레스된(addressed) 수신 패킷을 MN 11이 접속되어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전송하기 위한 홈 에이전트(Home Agent)(23)(이하, "HA 23"라고 함) 및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SIP 서버(24)가 인터넷(18)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MN 11은, HA 23에, 제1 무선 NW의 홈 어드레스를 등록하고, 핸드오버시에, 제2 무선 NW(16)의 캐어 오브 어드레스(care-of address)(CoA)를 등록한다. 이것에 의해, MN 11은, 상이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간에 핸드오버를 실행할 수 있다. 그러한 IP 모빌러티 기술은 상술한 모바일 IP 및 NEMO에서 주지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MN 11이 본래 속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제1 무선 NW(15)이다. MN 11은, 제1 무선 NW(15)로부터 제2 무선 NW(16)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제1 무선 NW(15)에서의 MN 11과 CN 12(또는 HA 23) 사이에 송수신되는 패킷의 절대 지연 시간은 제2 무선 NW(16)에서의 그것과는 상이하다.
(MN 11의 구성)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MN 11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MN 11은, 제1 무선 NW(15)에 대응하는 제1 무선 I/F(인터페이스)(31), 제2 무선 NW(16)에 대응하는 제2 무선 I/F(32), VoIP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화기능부(33), 제1 무선 NW(15) 및 제2 무선 NW(16)로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처리부(34), 제1 무선 NW(15) 및 제2 무선 NW(16)의 무선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무선 정보 취득부(35), 및 제1 무선 NW(15)와 제2 무선 NW(16) 사이의 핸드오버를 제어하기 위한 핸드오버 제어부(36)를 갖는다.
통신 처리부(34)는 무선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구성한다. 통신 처리부(34)는, 전화기능부(33)와 CN 12 사이에서 제1 무선 NW(15) 또는 제2 무선 NW(16)를 통해서 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통신 처리부(34)는, 핸드오버 제어부(36)의 제어 하에서, HA 23과 통신하도록, 제1 무선 I/F(31) 또는 제2 무선 I/F(32)의 접속을 제어한다.
무선 정보 취득부(35)는 무선 링크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기 위한 통신 품질 취득부를 구성한다. 무선 정보 취득부(35)는, 무선 정보로서 제1 무선 I/F(31) 및 제2 무선 I/F(32)로부터, 대응하게 제1 무선 NW(15) 및 제2 무선 NW(16)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여, 통신 품질을 핸드오버 제어부(36)에 공급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가 통신 품질로서 취득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정보 취득부(35)가, 무선 링크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기 위한 통신 품질 취득부를 구성한다.
핸드오버 제어부(36)는, 핸드오버의 준비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부와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부를 구성한다. 핸드오버 제어부(36)는, 무선 정보 취득부(35)로부터의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핸드오버를 예정할지의 여부, 즉 핸드오버의 준비를 개시할지의 여부의 결정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정보를 생성하여, 그 핸드오버 정보에 기반하여 핸드오버를 제어한다. 또한 핸드오버 제어부(36)는, 핸드오버 개시 및 완료 시간(이하, “HO 개시 및 완료 시간”이라고 함)을 취득하고, 또한, 통신 처리부(34)를 통해서 다양한 네트워크 지연 시간(이하, “NW 지연 시간”이라고 함)을 취득한다.
(CN 12의 구성)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CN 12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CN 12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I/F(81), VoIP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화기능부(83), 및 인터넷으로의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처리부(82)를 갖는다.
통신 처리부(82)는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성한다. 통신 처리부(82)는, 전화기능부(83)와 MN 11 사이에서의 통신이 인터넷을 통해 실시되도록 네트워크 I/F(81)를 제어한다.
(BBM 방식을 이용하는 핸드오버로 인한 패킷 로스의 설명)
도 4는, 핸드오버시에 MN 11과 HA 23 사이의 통신 시퀀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 제어부(36)는,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한 후에, 제1 무선 통신 NW(15)으로부터 제1 무선 I/F(31)를 단절하고, 그 다음에 제2 무선 NW(16)에 제2 무선 I/F(32)를 접속한다. 다음에, 핸드오버 제어부(36)는, 통신 처리부(34)를 제어하여, 제2 무선 NW(16)를 통해 HA 23에 바인딩 업데이트(Binding Update)를 송신해서, HA 23에 제2 무선 NW(16)의 CoA를 등록한다.
MN 11로부터의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신하고 제2 무선 NW(16)의 CoA의 등록하면, HA 23은 MN 11에 바인딩 에크(Binding Ack)를 송신한다. MN 11이 HA 23으로부터 송신된 바인딩 에크를 수신하면, MN 11의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제2 무선 NW(16)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통신 처리부(34)를 제어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핸드오버의 시퀀스에서는, 제1 무선 NW(15)로부터 제1 무선 I/F(31)를 단절한 후, MN 11로부터 송신된 바인딩 업데이트가 HA 23에 도달하기 전에, HA 23으로부터 제1 무선 NW(15)를 통해 송신된 패킷을 MN 11이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MN 11에서 패킷 로스가 발생한다. 또한, MN 11이 제1 무선 NW(15)로부터 제1 무선 I/F(31)를 단절한 후, HA 23으로부터 바인딩 에크를 수신하기 전에, MN 11은 HA 23에 패킷을 송신할 수 없다. 그 결과로, CN 12에서 패킷 로스와 유사하게 무음 구간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VoIP와 같은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것에 의한 통신 동안에, 핸드오버가 행해지면, 패킷 로스로 인한 무음 구간이 발생되고, 그것은 유저의 불안감 및 오해를 야기시킨다.
(MN 11의 전화기능부(33)의 구성)
도 5는, 도 2에 도시된 MN 11의 전화기능부(33)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전화기능부(33)는, 리얼타임 통신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부를 구성한다. 전화기능부(33)는, 예를 들면, 소프트 폰일 수 있고, 주지의 소프트 폰의 구성과 유사하게, 버튼 입력부(41), 화면 표시부(42), 마이크로폰(43), 인코더(encoder)(44), 패킷 송신부(45), 패킷 수신부(46), 지터 버퍼(47), 디코더(decoder)(48), 스피커(49), 지터 버퍼 감시부(50), 지터 버퍼 제어부(51), SIP 제어부(52), 및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 제어부(53)를 포함한다.
전체 제어부(53)는, 버튼 입력부(41)와 화면 표시부(42)를 통해 유저에 의한 조작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SIP 제어부(52)는 통화의 개시나 종료의 SIP의 수속을 제어한다. 통화 동안에, 인코더(44)는 마이크로폰(43)에 의해 취득된 음성 데이터를 인코드(encode)한다. 인코드된 데이터는 패킷 송신부(45)에 의해 패킷내로 삽입되어, 통신 처리부(34)를 통해 CN 12에 송신된다.
통신 처리부(34)를 통해 패킷 수신부(46)에 의해 수신된 CN 12로부터의 패킷은, 지터 버퍼(jitter buffer)(47)에 일단 저장되고 그 다음에 독출된다. 독출된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는, 디코더(48)에 의해 디코드(decode)되어 스피커(49)로부터 재생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또한, 지터 버퍼(47)의 패킷 수신 상태 및 지터 버퍼(47)내의 패킷수(데이터량)는 지터 버퍼 감시부(50)에 의해 감시된다. 감시 결과에 기반하여, 지터 버퍼 제어부(51)는 지터 버퍼(47)로부터의 패킷의 독출 속도 및 수신한 패킷을 파기하도록 하는 등의 처리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MN 11의 전화기능부(33)는,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 재생 속도 계산부(56), 청자/화자 판정부(57) 및 핸드오버 알람 발생부(58)(이하, “HO 알람 발생부(58)”라고 함)를 더 포함한다.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는, 핸드오버 제어부(36)로부터의 핸드오버 정보를 일정 간격으로 감시하고, 그래서 핸드오버 예정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핸드오버 예정이 있으면,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는, 핸드오버 제어부(36)로부터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을 또한 취득하여,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의 일부를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제공한다. 또한,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는, 핸드오버 정보와,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의 일부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통지 메시지(이하, “HO 통지 메시지”라고 함)를, 통신 처리부(34)를 통해서 CN 12에 송신한다. 그 후,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는 핸드오버 제어부(36)로부터의 핸드오버 정보를 일정 간격으로 감시하여, MN 11로부터 HA 23에 바인딩 업데이트가 송신되는지의 여부, 및 MN 11이 HA 23으로부터 바인딩 에크를 수신하는지의 여부(핸드오버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의 정보를 취득한다. MN 11로부터 HA 23에 바인딩 업데이트가 송신되었으면,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는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상응하게 정보를 전한다. MN 11이 HA 23으로부터 바인딩 에크를 수신하고 그래서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는 바인딩 에크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통지한다. 또한, CN 12에도 상응하게 정보를 전하기 위해서, MN 11은 통신 처리부(34)를 통해 바인딩 에크 통지 메시지(이하, “BA 통지 메시지”라고 함)를 CN 12에 송신한다.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기 위한 제어부를 구성한다.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로부터 제공되는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에 기반하여, 핸드오버에 관한 시간의 필요한 계산을 실시한다.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지터 버퍼에 축적된 VoIP 패킷을 저속으로 재생하기 위해, 지터 버퍼 제어부(51)에 저속 재생을 실시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게다가,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소정의 시간까지,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지시를 내린다.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의한 판정의 결과 및 상기의 필요 계산의 결과에 기반하여, HO 알람을 발생시킬 예정 기간(이하, “HO 알람 예정 기간”이라고 함)을 계산한다.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로부터 핸드오버가 완료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할 때(바인딩 에크의 통지를 수신할 때),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HO 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지시를 내리고, 또한 지터 버퍼 제어부(51)에 저속 재생을 해제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청자/화자 판정부(57)는 유저가 화자 또는 청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부를 구성한다. 청자/화자 판정부(57)는, 재생 속도 계산부(56)로부터 지시를 수신했을 때,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그 상세한 세부는 후술될 것이다). 청자 화자 판정부(57)는 판정의 결과를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송신한다.
HO 알람 발생부(58)는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알리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성한다. 재생 속도 계산부(56)로부터의 지시가 수신될 때, HO 알람 발생부(58)는 무음 구간 동안에 유저의 불안감 및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스피커(49)를 동작시켜 핸드오버 동안에 HO 알람을 발생한다.
(CN 12의 전화 기능부(83)의 구성)
도 6은 도 3에 도시된 CN 12의 전화기능부(83)의 개략 구성을 예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전화기능부(83)는 리얼타임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부를 구성하며, 예컨대, 소프트 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 및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MN 11의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 55) 및 재생 속도 계산부(56)와는 상이한 기능을 가진다. 하지만, MN 11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가진 기능 블록은 MN 11의 기능 블록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는 통신 처리부(82)가 MN 11로부터의 HO 통지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일정 간격으로 감시한다. HO 통지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는 HO 통지 메시지로부터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을 추출하여, 그러한 추출된 시간을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제공한다. 그 후,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는, 통신 처리부(82)가 MN 11로부터 BA 통지 메시지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일정 간격으로 감시한다. MN 11로부터 BA 통지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는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상응하게 정보를 전한다.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핸드오버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알려서,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기 위한 제어부를 구성한다.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로부터 제공되는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에 기반하여, 핸드오버에 관한 시간의 필요한 계산을 실시한다.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지터 버퍼에 축적된 VoIP 패킷을 저속으로 재생하기 위해서, 지터 버퍼 제어부(51)에 저속 재생을 실시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게다가,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소정의 시간까지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지시를 내린다.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의한 판정 결과 및 상기의 필요한 계산의 결과에 기반하여, HO 알람 예정 기간을 계산하고, 소정의 시간에 HO 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발생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HO 알람 예정 기간 및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로부터의 BA 통지 메시지에 기반하여, HO 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지시를 하고, 지터 버퍼 제어부(51)에 저속 재생을 해제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하기는 본 실시예에 따른 MN 11의 주요 기능 블록의 상세한 설명이다.
(핸드오버 제어부(36)에 의한 핸드오버 예정에 대한 결정)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제1 무선 I/F(31) 및 제2 무선 I/F(32)로부터 취득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1 무선 NW(15)와 무선 링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통신 동안에, 제1 무선 I/F(31)로부터 취득된 통신 품질이 핸드오버 예정 결정 임계치보다 나빠지고, 동시에 제2 무선 I/F(32)로부터 취득된 통신 품질이 핸드오버 예정 결정 임계치보다 좋아지면,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제2 무선 NW(16)에의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한다. 즉, 핸드오버 제어부(36)는 핸드오버에 대한 준비를 개시하도록 결정한다. 통화를 위해 사용하고 있지 않은 제2 무선 NW(16)의 통신 품질은, 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16a)로부터 송신되는 알림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취득될 수 있다(측정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진다.
(핸드오버 제어부(36)에 의한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의 취득)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했을 때, 핸드오버 제어부(36)는,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한 시점(도 7에 있어서의 HO Msg 송신 시점)으로부터 제1 무선 NW(15)와의 무선 접속을 단절하는 핸드오버 개시까지의 시간 Thosrm(sec), 및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한 시점으로부터 제2 무선 NW(16)에 접속해서 HA 23로부터 바인딩 에크를 수신하는 것에 의한 핸드오버의 완료까지의 시간 Thoesm(sec)을 포함하는, HO 개시 및 완료 시간을 취득한다. 또한, 핸드오버 제어부(36)는, MN 11과 HA 23 사이의 업링크(uplink) 절대 지연 시간 Tdup1(sec) 및 다운링크(downlink) 절대 지연 시간 Tddn1(sec), MN 11과 CN 12 사이의 업링크 절대 지연 시간 Taup1(sec) 및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adn1(sec), MN 11과 HA 23 사이의 업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up2(sec) 및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2(sec), MN 11과 CN 12 사이의 업링크 절대 지연 시간 Taup2(sec) 및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adn2(sec)를 포함하는, NW 지연 시간을 취득한다. 핸드오버 제어부(36)는,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의 일부를 전화기능부(33)에 제공한다.
(핸드오버 개시 전 시간 Thosrm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
핸드오버 개시 전 시간 Thosrm은, 예를 들면, 도 8(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품질을 결정하는 무선 상태(Rs)의 단위 시간의 변화율 ΔRs(기울기)에 기반하여 산출된다. 여기서, 변화율 ΔRs가, 무선 상태가 핸드오버 예정 결정 임계치보다 낮아짐에 따라 핸드오버 예정이 결정된 시점에서 측정되는 것에 의해 취득될 수 있을지라도, 본 실시예에서는, 통화 동안에, 핸드오버 예정이 결정되기 전 소정 시간으로부터 핸드오버 예정이 결정된 시간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변화율 평균치 ΔRsrms가 취득된다.
따라서, 핸드오버 제어부(36)는, 하기에 도시된 식 1에 의해, 사용 중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상태의 단위시간(Δt)의 변화율 ΔRs(t)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산출한다.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소정 시간 전(예를 들면, 2초 전)까지의 복수의 변화율 ΔRs(t)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 다음, 핸드오버 예정이 결정될 때, 핸드오버 제어부(36)는 그 타이밍에 저장되어 있는 변화율로부터 소정 시간전까지의 변화율 평균치 ΔRsrms를 산출한다. 여기에서는, 무선 상태가 점진적으로 악화되고 있다고 가정된다.
[식 1]
Figure 112010068494703-pct00001
그 후,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산출된 변화율 평균치 ΔRsrms가, 미리 설정한 변화율 임계치 Rsref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ΔRsrms≤Rsref가 충족되면, 즉, 무선 상태 완만하게 변화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오버의 개시 전의 시간 Thosrm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Tref(예를 들면, 5초)로 설정된다.
대조적으로, ΔRsrms>Rsref이 충족되면, 즉, 무선 상태가 급격하게 변화되면,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예를 들면, Thosrm=Tref(Rsref/ΔRsrms)를 연산한다. 이러한 경우에, 핸드오버 제어부(36)는, 변화율 ΔRsrms가 더 크므로, 핸드오버 개시 전의 시간 Thosrm를 기준 시간 Tref보다 짧게 설정한다. 도 8(b)는, ΔRsrms>Rsref가 충족될 때, 그리고 핸드오버 제어부(36)가 핸드오버의 개시 전 시간 Thosrm를 기준 시간 Tref의 거의 반(2.5 초)로 설정한 경우를 도시한다.
(핸드오버 완료 전의 시간 Thoesm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
핸드오버의 완료 전의 시간 Thoesm은, MN 11이 HA 23로부터 바인딩 에크를 수신하기 전의 시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hoesm은, MN 11과 HA 23 사이의 제2 무선 NW(16)의 업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up2 및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2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MN 11이 HA 23에 바인딩 에크를 송신하는 송신 시간은, MN 11이 제2 무선 NW(16)에 접속 후의 임의의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MN 11이 제2 무선 NW(16)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과거의 접속 시간의 이력을 저장하고 그 평균을 구하는 것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드오버 완료 전의 시간 Thoesm는, 과거의 접속 시간의 이력에 기반하여 MN 11에 의해 설정된 바인딩 업데이트의 송신 시간에, MN 11과 HA 23 사이의 제2 무선 NW(16)의 업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up2 및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2를 더하는 것에 의해 취득될 수 있다. 또한, HA 23 측에 CoA를 등록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이미 알려져 있는 경우에, 시간 Thoesm은 그러한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가 있다.
(NW 지연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
MN 11과 HA 23 사이의 제1 무선 NW(15)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up1 및 Tddn1, MN 11과 CN 12와의 사이의 제1 무선 NW(15)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aup1 및 Tadn1, MN 11과 HA 23 사이의 제2 무선 NW(16)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up2 및 Tddn2, 및 MN 11과 CN 12 사이의 제2 무선 NW(16)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aup2 및 Tadn2는, 예를 들면, 후술되는 절대 지연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취득된다.
핸드오버 예정을 결정한 후에, 핸드오버 제어부(36)는, IEEE 802.21에 대해 고려되는 핸드오버 스킴을 이용하여 각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절대 지연 시간을 취득한다. IEEE 802.21(Media Independent Handover(MIH))에 있어서는,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들(WiFi, WiMAX, 휴대전화 등) 간의 핸드오버 스킴으로서,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수단(도 2에서는, 핸드오버 제어부(36))을 MIH 유저로서 정의하는 것이 고려되고, MIHF(MIH Function)가 MIH 유저에 의한 요구에 기반하여 통신 디바이스의 무선 정보를 취득하여 MIH 유저에게 무선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MIH 유저가, 그 자신의 단말의 MIHF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내의 인포메이션 서버로부터 정보를 취득하는 것도 고려된다.
도 9는 절대 지연 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절대 지연 시간을 계측하도록 동작하는 계측 서버(61)는 기간 네트워크인 인터넷(1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인포메이션 서버(62) 및 제2 인포메이션 서버(63)가 제1 무선 NW(15) 및 제2 무선 NW(16)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1 인포메이션 서버(62)는 인터넷(18)에 직접 연결된 계측 서버(61)로부터 기지국(15a)으로 네트워크 지연 기준 시간 Tn1, 및 기지국(15a)으로부터 MN 11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지연 기준 시간 Trup1, Trdn1을 지연 시간 계측을 위한 기준으서 유지한다. 유사하게, 제2 인포메이션 서버(63)는, 계측 서버(61)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6a)로의 네트워크 지연 기준 시간 Tn2, 및 액세스 포인트(16a)로부터 MN 11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무선 지연 기준 시간 Trup2, Trdn2를 유지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지연 기준 시간 Tn1 및 Tn2는, 기지국(15a)과 계측 서버(61) 사이, 및 액세스 포인트(16a)와 계측 서버(61) 사이에서, 각각 패킷(PING, RTCP 등)을 송수신하는 것에 의해 왕복 시간을 계측하고, 그 왕복 시간을 2로 나누는 것에 의해 취득된다.
또한, 제1 무선 NW(15)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무선 지연 기준 시간 Trup1, Trdn1을 계산하기 위해, 기지국(15a)은 MN 11에 패킷을 송신하고, 패킷을 수신한 MN 11이 수신 시간을 기록한 다음 패킷을 회신한다. 따라서, 기지국(15a)과 MN 11 사이의 송수신 시간에 기반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각각의 지연 시간이 계산된다.
유사하게, 제2 무선 NW(16)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무선 지연 기준 시간 Trup2, Trdn2를 계산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16a)는 MN 11에 패킷을 송신하고, 패킷을 수신한 MN 11이 수신 시간을 기록한 다음, 패킷을 회신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16a)와 MN 11 사이의 송수신 시간에 기반하여, 업링크 및 다운 링크의 각각의 지연 시간이 계산된다. Trup1, Trdn2가 업링크 무선 지연 기준 시간을 나타내고, Trdn1, Trdn2는 다운링크 무선 지연 기준 시간을 나타낸다.
MN 11의 핸드오버 제어부(36)는, 핸드오버원의 제1 무선 NW(15)에 접속시에, MIHF를 통해서 제 1 무선 NW(15)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인포메이션 서버(62)로부터 네트워크 지연 기준 시간 Tn1 및 무선 지연 기준 시간 Trdn1 및 Trup1을 취득한다. 또한 핸드오버 제어부(36)는, 핸드오버 제어부(36)가 지연 시간을 측정하기를 원하는 상대편(여기에서는, HA 23 및 CN 12)과 패킷의 송수신하여, HA 23과 그 자신의 MN 11의 사이 그리고 MN 11과 CN 12의 사이의 왕복 시간(Tn3+Trdn3+Tn3+Trup3 및 Tn5+Trdn3+Tn5+Trup3)을 각각 계측한다. 그 결과에 기반하여, HA 23과 인터넷(18)의 사이 그리고 CN 12와 인터넷(18)의 사이의 편도의 지연 시간(Tn3-Tn1 및 Tn5-Tn1)을 구하여, MN 11과 HA 23 사이의 그리고 MN 11과 CN 12 사이의 핸드오버원의 업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up1 및 Taup1에 상당하는 Tn3+Trup3 및 Tn5+Trup3을 각가 계산하고,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1 및 Tadn1에 상당하는 Tn3+Trdn3 및 Tn5+Trdn3를 각각 계산한다.
[식 2]
Tn3-Tn1={(Tn3+Trdn3+Tn3+Trup3)-(Tn1+Trdn1+Tn1+Trup1)}/2
Tdup1=Tn3+Trup3=Tn1+Trup1+(Tn3-Tn1)
Tddn1=Tn3+Trdn3=Tn1+Trdn1+(Tn3-Tn1)
Tn5-Tn1={(Tn5+Trdn3+Tn5+Trup3)-(Tn1+Trdn1+Tn1+Trup1)}/2
Taup1=Tn5+Trup3=Tn1+Trup1+(Tn5-Tn1)
Tadn1=Tn5+Trdn3=Tn1+Trdn1+(Tn5-Tn1)
또한, 제2 무선 NW 지연 기준 시간 Tn2 및 무선 지연 기준 시간 Trup2, Trdn2를 취득하기 위해, 핸드오버 제어부(36)는 현재 접속되어 있는 제1 무선 NW(15)의 제1 인포메이션 서버(62)를 통해 핸드오버 목적지의 제2 무선 NW(16)의 제2 인포메이션 서버(63)에, MN 11의 위치 정보를 송신한다. 그에 의해,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제2 인포메이션 서버(63)에게 네트워크 지연 기준 시간 Tn2 및 무선 지연 기준 시간 Trup2, Trdn2를 송신하도록 요구한다. 위치 정보와 각 액세스 포인트의 접속 유저수를 고려하여, 제2 인포메이션 서버(63)는, MN 11이 접속될 것으로 기대되는 액세스 포인트(16a)의 네트워크 지연 기준 시간 Tn2 및 무선 지연 기준 시간 Trup2, Trdn2를, 제1 인포메이션 서버(62)를 통해 MN 11에 송신한다.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제2 인포메이션 서버(63)로부터 송신되는 제2 무선 NW 지연 기준 시간 Tn2 및 무선 지연 기준 시간 Trup2, Trdn2를 수신한다.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취득 및 산출된 그러한 정보(Tn4-Tn2 및 Tn6-Tn2)를 이용하여, MN 11와 HA 23 사이의 그리고 MN11 과 CN 사이의 핸드오버 목적지의 업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up2 및 Taup2에 각각 상당하는 Tn4+Trup4 및 Tn6+Trup4, 및 다운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dn2 및 Tadn2에 각각 상당하는 Tn4+Trdn4 및 Tn6+Trdn4를 계산한다.
[식 3]
Tdup2=Tn4+Trup4=(Tn2+Trup2)+(Tn4-Tn2)
Tddn2=Tn4+Trdn4=(Tn2+Trdn2)+(Tn4-Tn2)
Taup2=Tn6+Trup4=(Tn2+Trup2)+(Tn6-Tn2)
Tadn2=Tn6+Trdn4=(Tn2+Trdn2)+(Tn6-Tn2)
상기한 절대 지연 시간을 취득하는 방법에 의해 취득된 절대 지연 시간 Tdup1, Tddn1, Tdup2, Tddn2, Taup1, Tadn1, Taup2, Tadn2는, 각각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 제어부(36)내의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다.
그에 의해,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제1 무선 NW(15)와의 무선 접속을 단절하는 핸드오버의 개시 전의 시간 Thosrm(sec), 및 제2 무선 NW에 접속하고 HA 23로부터 바인딩 에크를 수신하는 것에 의한 핸드오버 완료 전의 시간 Thoesm(sec)를 포함하는, HO 개시 및 완료 시간을 취득한다. 핸드오버 제어부(36)는, MN 11과 HA 23 사이의 제1 무선 NW(15)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절대 지연 시간 Tdup1(sec) 및 Tddn1(sec), MN 11과 CN 12 사이의 제1 무선 NW(15)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절대 지연 시간 Taup1(sec) 및 Tadn1(sec), MN 11과 HA 23 사이의 제2 무선 NW(16)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절대 지연 시간 Tdup2(sec) 및 Tddn2(sec), MN 11과 CN 12 사이의 제2 무선 NW(16)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절대 지연 시간 Taup2(sec) 및 Tadn2(sec)를 포함하는 NW 지연 시간을 또한 취득한다. 핸드오버 제어부(36)는, 취득된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을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에 제공한다.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의 동작)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는, 핸드오버 제어부(36)로부터 취득된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 중에서, 핸드오버 개시 전의 시간 Thosrm, 핸드오버 완료 전의 시간 Thoesm, MN 11과 HA 23 사이의 제1 무선 NW(15)의 업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up1, MN 11과 HA 23 사이의 제2 무선 NW(16)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절대 지연 시간 Tdup2 및 Tddn2, MN 11과 CN 12 사이의 제2 무선 NW(16)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절대 지연 시간 Taup2 및 Tadn2를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제공한다.
또한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는, 핸드오버 제어부(36)로부터 취득된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 중에서, 핸드오버 예정 결정의 시점으로부터 핸드오버 개시 전의 시간 Thosrm, 핸드오버 완료 전의 시간 Thoesm, MN 11과 HA 23 사이의 제1 무선 NW(15)의 업링크 절대 지연 시간 Tdup1, MN 11과 HA 23 사이의 제2 무선 NW(16)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절대 지연 시간 Tdup2 및 Tddn2, MN 11과 CN 12 사이의 제1 무선 NW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절대 지연 시간 Taup1 및 Tadn1, 및 MN 11과 CN 12 사이의 제2 무선 NW의 업링크 절대 지연 시간 Taup2를, HO 통지 메시지로서 통신 처리부(34)를 통해 CN 12의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제공한다.
(재생 속도 계산부(56)의 동작)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을 취득한 경우, HO 알람 예정 기간을 계산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이용될, 핸드오버에 관한 시간의 계산한다. 도 7은,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에 의해 취득된 시간과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의해 계산된 시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드오버 개시 전의 시간 Thosrm과 핸드오버 완료 전의 시간 Thoesm은 핸드오버 제어부(36)에 의해 이미 취득되어 있다. 이 Thosrm 및 Thoesm과 NW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선 NW(15)를 통해 MN 11이 HA 23에 최후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 Thossm, 및 제2 무선 NW(16)를 통해 MN 11이 CN 12로부터의 최초의 패킷을 수신할 수 있기 전의 시간 Thoerm을,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Thosrm, Thoesm, Thossm, 및 Thoerm을 이용하는 것에 의한, HO 알람 예정 기간의 계산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
[식 4]
Thossm(sec)=Thosrm-Tdup1
Thoerm(sec)=Thoesm-Tddn2+(Taup2-Tdup2)+Tadn2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의한 청자/화자 판정부(57)에 대한 통지)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제1 무선 NW(15)를 통해 MN 11이 HA 23에 최후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 Thossm 전에,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개시하도록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지시를 내린다.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의한 저속 재생의 개시까지의 시간의 계산)
패킷 로스로 인한 무음 구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지터 버퍼 제어부(51)에게 지터 버퍼(47)에 축적되어 있는 VoIP 데이터를 저속으로 재생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그러한 저속 재생은, 핸드오버를 개시하기까지의 시간(Thosrm이 경과됨)에 앞서 행해진다. Tsttslowplay(sec)가, Thosrm 경과 전에, VoIP 어플리케이션의 저속 재생을 개시하기까지의 시간을 나타낼 때, Tsttslowplay는,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되는 제1 및 제2 계산 방법 중 하나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a) 제1 계산 방법
저속 재생 개시까지의 시간 Tsttslowplay는, 표준 재생 속도를 나타내는 Vn(sec), 저속 재생시의 재생 속도를 나타내는 Vs(sec/sec), 무음 구간을 단축하고기를 원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Tslowsup(sec)를 이용하여,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식 5]
Tsttslowplay=(Tslowsup×Vs)/(Vn-Vs)
(b) 제2 계산 방법
저속 재생 개시까지의 시간 Tsttslowplay는, 예를 들면, 핸드오버의 예정이 결정과 핸드오버 개시 사이의 임의의 시간으로 설정 될 수 있다. MN 11에 있어서, Tsttslowplay가, 핸드오버 개시 전의 시간 Thosrm의 백분율로서 설정될 수 있다. 즉, Tsttslowplay를 Thosrm의 절반 또는 30%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Tsttslowplay를 Thosrm와 동등하게 설정하고, 핸드오버 예정의 결정 직후에 VoIP 어플리케이션의 저속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재생 속도 계산부(56)가 HO 알람 발생부(58)에 개시하도록 지시했을 때,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지터 버퍼내의 패킷이 없을 될 때까지 저속 재생을 하지 않고, 버퍼 제어부(51)에게 지터 버퍼(47)내의 모든 패킷을 파기하여, 재생을 종료시키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의한 HO 알람 예정 기간의 계산)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상기 계산에 의해 취득된 핸드오버에 관한 계산 결과 및 저속 재생의 개시까지의 시간을 이용하여,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을 계산한다. 핸드오버 개시시에, 유저가 화자인 경우에, 발화(utterance) 패킷의 로스를 방지하도록, 즉시 HO 알람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는, 이미 수신된 음성 패킷의 재생의 종료 후에 HO 알람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을 때, 유저가 화자인 경우에는, 발화의 신속한 재개를 위해 HO 알람을 즉시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는, 지터 버퍼(47)에 일정량의 패킷이 축적될 것을 기다린 후에(VoIP 어플리케이션이 재생 가능하게 될 때까지 기다린 후에), HO 알람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는, 유저가 화자 또는 청자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설정된다.
(a) MN 11의 유저가 화자인 경우의 HO 알람 예정 기간
도 10은, MN 11이 화자이고 CN 12거 청자의 경우의 핸드오버의 시퀀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유저가 화자인 경우에는, 발화 패킷의 로스를 방지하기 위해, MN 11이 핸드오버 시에 곧바로 HO 알람을 발생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MN 11의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MN)는, 제1 무선 NW(15)를 통해 MN 11이 HA 23에 최후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을 때의 시간(Thossm이 경과된 시점)부터 핸드오버 완료된 시간(Thoesm이 경과된 시점)까지 기간이다. 따라서,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MN)를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식 6]
Thobep(MN)=Thoesm-Thossm ...(6)
(b) MN 11의 유저가 청자인 경우의 HO 알람 예정 기간
도 11은, MN 11이 청자이고 CN 12가 화자인 경우의 핸드오버의 시퀀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MN 11의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 핸드오버를 개시하기까지의 시간(Thosrm이 경과되기 전) 전에, 상기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의해 계산된 저속 재생의 개시까지의 시간 Tsttslowplay만큼의 시간 전으로부터, 지터 버퍼의 저속 재생이 핸드오버시에 실행된다. 그 후,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지터 버퍼 감시부(50)로부터, 음성 패킷의 개수를 일정 간격으로 계속하여 취득한다. 패킷이 음성 패킷 또는 무음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음성/무음을 판정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Speex와 같은 코덱을 이용하여, 패킷이 무음 패킷일 때, 패킷이 음성 패킷일 때 송신되는 것과는 상이한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음성 패킷이 없을 때,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HO 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한편, HO 알람을 종료하는 시간은, 유저가 화자일 때와는 달리, 단순히 핸드오버를 완료하기까지의 시간 Thoesm은 아닌데, 그 이유는, MN 11이 CN 12로부터 재생될 패킷의 도착을 기다릴 필요가 있기 때문이고(즉, Thoerm의 후), 그리고 또한 VoIP와 같은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은, 패킷 도착 간격에서의 요동을 처리하기 위해, 지터 버퍼에 일정량의 패킷이 축적된 후에 음성의 재생을 개시하기 때문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sttslowplay가 저속 재생의 개시까지의 시간을 나타내고, Tslowplay가 저속 재생 시간을 나타내며, Tbffacm이 일정량의 패킷이 축적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나타낼 때,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MN)를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식 7]
Thobep(MN)=(Thoerm+Tbffacm)-(Thosrm-Tsttslowplay+Tslowplay)
도 12는 MN 11 및 CN 12가 모두 화자인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에, MN 11 및 CN 12의 모두는 청자이어도 된다. 화자로서의 패킷 로스를 방지하는 것을 우선시하기 위해, 핸드오버시에 MN 11가 곧바로 HO 알람을 개시한다. 즉, MN 11의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MN)는 상기 식 6과 같게 된다.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의한 HO 알람 종료 통지)
HA 23으로부터 바인딩 에크가 수신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할 때,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지터 버퍼 감시부(50)로부터 지터 버퍼(47)내에 축적된 패킷량을 일정 간격으로 취득하기 시작한다. MN 11의 유저가 화자일 경우에,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통지를 수신한 직후에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하기 위해, HO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지시한다. 그 후,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지터 버퍼 제어부(51)에 통상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지시한다. MN 11의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HO 알람 발생부(58)에 지시하기 전에, 지터 버퍼(47)내에 축적된 패킷량이 표준량을 초과할 때까지 기다려서, 그 후 지터 버퍼 제어부(51)에 통상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지시한다.
(지터 버퍼 제어부(51)에 의한 VoIP 데이터의 저속 재생 방법)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의해 지시를 받은 때, 지터 버퍼 제어부(51)는, 예를 들면, 후술되는 제1 및 제2 재생 속도 제어 방법 중 하나에 의한 수신 패킷의 재생을 제어한다.
(a) 제1 재생 속도 제어 방법
TR1이 표준 재생 속도 Vn에 대응하는 지터 버퍼(47)로부터의 패킷의 독출 간격을 나타내고, TR이 저속 재생 속도 Vs에 대응하는 지터 버퍼(47)로부터의 패킷의 독출 간격을 나타내는 경우에, TR=TR1/(Vs/Vn)으로 계산된다. 예를 들면, 표준 재생 속도 Vn에서는, 지터 버퍼(47)내의 패킷을 20 msec의 간격으로 독출하여 재생하는 VoIP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재생 속도 Vs를 표준 재생 속도 Vn의 80%(k=0.8)으로 하기 위해서, 지터 버퍼(47)로부터의 패킷의 독출 간격 TR이 TR=20/0.8(msec)로 계산된다.
(b) 제2 재생 속도 제어 방법
핸드오버를 위한 재생 속도의 제어가 개시될 때, 지터 버퍼 제어부(51)는 그 직후에 재생되는 패킷(최초의 패킷)의 타임 스탬프와 그 재생 시간의 조합을 기록한다. 지터 버퍼 제어부(51)는 후술되는 식 8에서의 시간 Tv에서 지터 버퍼(47)로부터 그 후의 패킷에 독출하여 재생한다. 식 8에 있어서, TD는 지연 시간을 나타내며, 그 초기값은 0이다.
[식 8]
Tv=(패킷의 타임 스탬프-최초 패킷의 타임 스탬프)+(최초 패킷의 재생 시간+TD) ...(8)
여기서, 지터 버퍼(47)로부터 패킷이 독출될 때, [{Vn/(Vn-Vs)}-1]번째에서 독출된 패킷은, 복사되어 디코더(48)내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원래의 패킷의 재생 후에, 다음의 재생 타이밍에서 복사된 패킷이 독출되어 재생된다. 예를 들면, 재생 속도 Vs가 표준 재생 속도 Vn의 80%로 설정될 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터 버퍼(47)내의 4개의 순차적 패킷 P1~P4는 순차적으로 독출되어 재생된다. 4번째의 패킷 P4는 복사되고, 복사된 패킷 P4'는 원래 패킷 P4의 재생 후에, 다음의 재생 타이밍에서 재생된다. 그 후, 지터 버퍼(47)로부터 패킷 P5가 독출될 때, 상기 식 8에서의 TD는 복사에 의한 재생 간격의 시간만큼 증가된다. [{Vn/(Vn-Vs)}-1]번째에 독출된 패킷이, 아직 수신되지 않았거나 파기됨으로 인해, 지터 버퍼(47)에 없는 경우에는, 다음의 재생 타이밍의 패킷에 대해 동일한 처리가 행해진다.
(청자 또는 화자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방법)
재생 속도 계산부(56)로부터 지시를 수신한 때, 청자 화자 판정부(57)는 소정의 시간까지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송신한다.
재생 속도 계산부(56)로부터 지시를 수신한 때, 청자/화자 판정 부(57)는 일정 기간동안 마이크로폰(43)에 입력되는 음성을 감시한다. 마이크로폰(43)에 음성이 연속적으로 입력되고 있는 경우에, 청자/화자 판정부(57)는 유저가 “화자”라고 판단하고, 마이크로폰(43)에 음성이 연속적으로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청자/화자 판정부(57)는 유저가 “청자”라고 판단한다.
청자/화자 판정부(57)는, 웨이팅(weighting) 계수 W(x) 및 음성 입력의 존재를 나타내는 바이너리(binary) 함수 F(x)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화자 판정 계수 Rtalk에 기반하여 판정될 수 있다. 바이너리 함수 F(x)는, 음성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바이너리로 나타낸다. I(x)가 마이크로폰(43)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고 Ith가 음성 입력이 있다고 판정하기 위한 임계치를 나타내는 경우에, I(x)>Ith이면, F(x)=1이 충족되며, 반면, 다른 경우에는 F(x)=0이 충족된다. 화자 판정 임계치 Rtalk는 웨이팅 계수 W(x) 및 바이너리 함수 F(x)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Thostt는 판정 종료 시간을 나타내고, T는 시간을 나타내는 계수이다. T는 판정의 개시 후에 서서히 증가되고 판정은 Thostt에서 종료된다.
[식 9]
Rtalk=Σ{W(Thostt-T)×F(I(T))}/Σ{W(Thostt-T)}
Rth가 유저가 화자라고 판정하기 위한 임계치를 나타내고, 청자/화자 판정부(57)는 Rtalk>Rth가 충족될 때 유저가 화자라고 판단할 수 있고 Rtalk>Rth가 충족되지 않을 때 유저가 청자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의 값이 더 작음에 따라서 웨이팅 계수 W(x)가 더 크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Thostt와 T 간의 차이가 작을 때, 즉 판정의 종료에 더 가까울 때, 더 큰 W(x)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HO 알람 발생부(58)의 동작)
HO 알람 발생부(58)는, 재생 속도 계산부(56)로부터 HO 알람을 개시하도록 하는 지시 및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를 수신하고 HO 알람을 발생하도록 스피커(49)를 제어한다. HO 알람을 발생시키는 기간이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에 기반하더라도, 핸드오버가 항상 HO 알람 예정 기간내에 완료되지는 않을 수 있으므로, HO 알람 발생부(58)는 재생 속도 계산부(56)로부터 통지를 수신한 때 HO 알람을 종료시킬 수 있다.
HO 알람을 후술되는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의해 지시를 수신하는 HO 알람 발생부(58)에 의한 HO 알람을 발생하는 방식은, 후술되는 제1 내지 제3 HO 알람 발생 방식 중 하나 일 수 있다.
(a) 제1 HO 알람 발생 방식
HO 알람 발생부(58)는, HO 알람으로서 주기적인 비프 음(beep sound)을 발생하고,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O 알람 예정 기간을, 경과되는 시간에 따라 알림 주기를 가속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드오버의 진행에 따라 발생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핸드오버의 완료 전 시간을 유저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을 때(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의해 HO 알람을 종료시키도록 지시받았을 때)에, HO 알람 발생부(58)는 유저에게 상응하게 통지하도록 특정 음을 발생할 수도 있다. 게다가, HO 알람 예정 기간이 실제의 핸드오버의 완료 시간과 매치하지 않고, HO 알람 예정 기간이 지난 후 그리고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의해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지시받기 전에 시간 지연이 있으면, HO 알람 발생부(58)는 HO 알람 예정 기간이 지난 후에 마지막 주기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HO 알람을 계속 발생할 수도 있다.
(b) 제2 HO 알람 발생 방식
HO 알람 발생부(58)는, 예를 들면, HO 알람으로서 음성 가이던스(audio guidance)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가이던스는 “핸드오버 완료 전 5초” 또는 “5초 ... 3, 2, 1”과 같을 수 있다.
(c) 제3 HO 알람 발생 방식
또한, 휴대전화의 링톤(ringtone) 및 링-백 톤(ring-back tone)과 같이, HO 알람으로서 음악이나 음성을 유저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하기는, 본 실시예에 따른 CN 12의 주요 기능 블록, 특히,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 및 재생 속도 계산부(86)의 상세한 설명이다. MN 11과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기능 블록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MN 11의 지터 버퍼 제어부(51), 청자/화자 판정부(57) 및 HO 알람 발생부(58)의 상기한 설명은, 필요하다면, 설명 중에 “재생 속도 계산부(56)”를 “재생 속도 계산부(86)”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CN 12의 기능 블록의 설명으로서 채용될 수 있다.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의 동작)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는, 통신 처리부(82)가 MN 11로부터의 HO 통지 메시지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일정 간격으로 감시한다. HO 통지 메시지가 수신되면,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는 HO 통지 메시지로부터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을 추출하여, 추출된 시간을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제공한다. 그 후,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는, 통신 처리부(82)가 MN 11로부터 BA 통지 메시지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일정 간격으로 감시한다. MN 11로부터 BA 통지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는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상응하게 정보를 전한다.
(재생 속도 계산부(86)의 동작)
HO 통지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을 취득한 때,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HO 알람 예정 기간을 계산하기 위한 표준으로서 이용될 HO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나서의 시간 - 제1 무선 NW(15)를 통해 CN 12가 MN 11에 최후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 Thossc, 제1 무선 NW(15)를 통해 CN 12가 MN 11로부터의 최후의 패킷을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MN 11에 의해 시간 Thossm에 CN 12로 송신된 패킷의 도착 시간) Thosrc, 제2 무선 NW(16)를 통해 CN 12가 MN 11로부터의 최초의 패킷을 수신할 수 있기 전의 시간(MN 11로부터 CN 12로의 BA 통지 메시지의 도착 시간) Thoerc, 및 제2 무선 NW(16)를 통해 CN 12가 MN 11에 최초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 Thoesc - 을,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Thosrc, Thossc, Thoerc 및 Thoesc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HO 알람 발생 기간의 계산의 상세한 설명이 후술될 것이라는 것이 주목된다)
[식 10]
Thosrc(sec)=Thosrm-Tdup1
Thossc(sec)=Thosrm-Taup1-Tadn1
Thoerc(sec)=Thoesm-Taup1+Taup2
Thoesc(sec)=Thoesm-Taup1-Tddn2+(Taup2-Tdup2)
여기서, 제2 무선 NW(16)를 통해 CN 12가 MN 11에 최초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기 전의 시간 Thoesc는, 도 7 및 식 1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HA 23이 MN 11로부터 바인딩 업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직후에 CN 12에 패킷을 송신한 경우 CN 12가 신호를 수신한 때의 시간으로서 규정된다. 이것은, HA 23이 MN 11로부터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신한 후에, HA 23이 CN 12로부터 MN 11에 송신된 패킷을, MN 11에 송신할 수가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식 10에 있어서, HA 23에서의 CoA 등록 처리 시간 등을 고려하여, HA 23이 바인딩 업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제2 무선 NW(16)에서의 패킷의 왕복 시간(Taup2+Tadn2)-(Tdup2+Tddn2)이 경과된 때, CN 12로부터 MN 11로의 최초의 패킷이 HA 23에 도달하도록, 시간 Thoesc가 규정된다. 하지만, HA 23이 바인딩 업데이터를 수신한 직후에, CN 12로부터 MN 11로의 최초의 패킷이 HA 23에 도달하도록, Thoesc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간 Thoesc를, 제2 무선 NW(16)를 통해 CN 12가 MN 11로부터 최초의 패킷을 수신할 수 있기 전의 시간(MN 11로부터 CN 12로의 BA 통지 메시지의 도착 시간) Thoerc와 동일한 시간으로서 규정함으로써, HA 23에 CoA가 등록되었다는 것을 보다 확인한 후에 CN 12가 MN 11의 최초의 패킷을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의한 청자/화자 판정부로의 통지)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제1 무선 NW(15)를 통해 CN 12가 MN 11에 최후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는 시간 Thossc까지,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지시를 내린다.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의한 저속 재생의 개시까지의 시간의 계산)
패킷 로스에 의해 유발되는 무음 구간을 단축하기 위해,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지터 버퍼 제어부(51)에게 지터 버퍼(47)에 축적되어 있는 VoIP 데이터를 저속으로 재생하도록 지시한다. 이러한 저속 재생은, 제1 무선 NW(15)를 통해 CN 12가 MN 11로부터의 최후의 패킷을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 Thosrc에 앞서 행해진다. Tsttslowplay(sec)가 Thosrc 전에 VoIP 어플리케이션의 저속 재생의 개시까지의 시간을 나타내고, Tsttslowplay는 후술되는 제1 또는 제2 계산 방법 중 하나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a) 제1 계산 방법
저속 재생의 개시까지의 시간 Tsttslowplay는, Vn(sec/sec)이 표준 재생 속도이고, Vs(sec/sec)가 저속 재생시의 재생 속도이며, Tslowsup(sec)가 무음 구간을 단축하기를 원하는 시간인 경우에, 하기의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식 11]
Tsttslowplay=(Tslowsup×Vs)/(Vn-Vs)
(b) 제2 계산 방법
저속 재생의 개시까지의 시간 Tsttslowplay는, HO 통지 메시지의 수신으로부터, MN 11로부터의 패킷이 도착하지 않은 시간까지(Thosrc의 경과까지)의 기간의 백분율로서 설정될 수 있다. 즉, Tsttslowplay를 Thosrc의 절반 또는 30%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Tsttslowplay를 Thosrc와 동등하게 설정하여, HO 통지 메시지의 수신 직후에 저속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86)가 HO 알람 발생부(58)에 개시하도록 지시했을 때,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지터 버퍼내의 패킷이 없을 때까지 저속 재생을 하지 않고, 지터 버퍼 제어부(51)에게 지터 버퍼(47)내의 모든 패킷을 파기하고 재생을 종료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의한 HO 알람 예정 기간의 계산)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상기 계산에 의해 구해진 핸드오버에 관한 계산 결과 및 저속 재생의 개시까지의 시간을 이용하여,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를 계산한다. 핸드오버의 개시시에, 유저가 화자인 경우에는, 발화 패킷의 로스를 방지하기 위해, 곧바로 HO 알람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는, 이미 수신된 발화 패킷의 재생의 종료 후에 HO 알람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을 때, 유저가 화자인 경우에는, 발화의 신속한 재개를 위해 곧바로 HO 알람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는, 지터 버퍼(47)에 일정량의 패킷이 축적되기를 기다리고 나서(VoIP 어플리케이션이 재생 가능하게 되는 시간을 기다리고 나서), HO 알람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는, 유저가 화자 또는 청자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설정된다.
(a) CN 12의 유저가 화자인 경우의 HO 알람 예정 기간
도 11은, CN 12의 유저가 화자이고 MN 11의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 핸드오버의 시퀀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CN 12의 유저가 화자인 경우에, 핸드오버시에 발화 패킷의 로스를 방지하기 위해, CN 12는 곧바로 HO 알람을 발생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N 12의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CN)는 제1 무선 NW(15)를 통해 CN 12가 MN 11에 최후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을 때까지의 Thossc가 경과된 때로부터, 제2 무선 NW(16)를 통해 CN 12가 MN 11에 최초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는 시간 Thoesc까지의 기간이다. 따라서,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CN)를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식 12]
Thobep(CN)=Thoesc-Thossc ...(12)
(b) CN 12의 유저가 청자인 경우의 HO 알람 예정 기간
도 10은 CN 12의 유저가 청자이고 MN 11의 유저가 화자인 경우의 핸드오버의 시퀀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CN 12의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 핸드오버시에 CN 12에서는, 제1 무선 NW(15)를 통해 CN 12가 MN 11로부터의 최후의 패킷을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 Thosrc 전에, 상기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의해 계산된 저속 재생의 개시까지의 시간 Tsttslowplay만큼의 시간 전으로부터, 지터 버퍼의 저속 재생이 실행된다. 그 후,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지터 버퍼 감시부(50)로부터 음성 패킷의 개수를 일정 간격으로 계속 취득한다. 패킷이 음성 패킷 또는 무음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음성/무음을 판정하는 기능을 갖는 코덱을 이용하여, 패킷이 무음 패킷일 때에는, 패킷이 음성 패킷일 때 송신되는 것과는 상이한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성 패킷이 없을 때,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HO 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개시하도록 지시한다. HO 알람을 종료하는 시간은, 유저가 화자일 때와는 달리, 단순하게, 제2 무선 NW(16)를 통해 CN 12가 MN 11에 최초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는 시간 Thoesc는 아닌데, 그 이유는, CN 12가 MN 11로부터 재생될 패킷의 도착을 기다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즉, Thoerc 후), 그리고 또한, VoIP와 같은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은 패킷 도착 간격의 요동을 처리하기 위해 지터 버퍼내에 일정량의 패킷이 축적된 후에 음성의 재생을 개시하기 때문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Tsttslowplay가 저속 재생의 개시까지의 시간을 나타내고, Tslowplay가 저속 재생 시간을 나타내며, Tbffacc가 일정량의 패킷이 축적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나타내면,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CN)을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식 13]
Thobep(CN)=(Thoerc+Tbffacc)-(Thosrc-Tsttslowplay+Tslowplay)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의한 HO 알람 종료 통지)
CN 12의 유저가 화자인 경우에,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식 12에 의해 구해진 HO 알람 예정 기간이 경과된 후에,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HO 알람 발생부(58)에 지시한다. CN 12의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 HA 23으로부터의 BA 통지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한 때,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지터 버퍼 감시부(50)로부터 지터 버퍼(47)내에 축적된 패킷량을 일정 간격으로 취득하기 시작한다. 그 후,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지터 버퍼(47)내의 축적 패킷량이 표준량을 초과하는 것을 기다린 후에,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HO 알람 발생부(58)에 지시하고, 그 후, 지터 버퍼 제어부(51)에 통상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지시한다.
도 12는, MN 11 및 CN 12의 모두가 화자인 경우의 도면이다. 이 경우에, MN 11 및 CN 12의 모두는 청자이기도 하다. 그러나, 화자로서의 패킷 로스를 방지하는 것을 우선시하기 위해, CN 12는 핸드오버시에, 곧바로 HO 알람을 개시한다. 즉, CN 12의 HO 알람 예정 기간 Thobep(CN)는 식 12에서와 동일하다.
도 15는, MN 11의 유저가 화자인 경우의 MN 11의 전화기능부(33)의 주요부의 동작을 예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터 버퍼 감시부(50)는 지터 버퍼(47)의 패킷의 수신 상태 및 지터 버퍼(47)내의 패킷수(데이터량)를 감시한다. 감시 결과에 기반하여, 지터 버퍼 제어부(51)는 지터 버퍼(47)로부터의 패킷의 독출 속도 및 수신된 패킷을 파기하도록 하는 처리를 제어한다.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는 핸드오버 제어부(36)로부터의 핸드오버 정보를 일정 간격으로 감시한다. 핸드오버가 예정되었다는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핸드오버 제어부(55)는 요구되는 핸드오버 정보(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을 포함)를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제공한다.
지터 버퍼 제어부(51)로부터 축적된 패킷량의 통지를 수신한 때,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지터 버퍼(47)의 저속 재생을 실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지터 버퍼(47)가 저속으로 재생되어야 할 데이터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며,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지터 버퍼 제어부(51)에게 저속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지터 버퍼(47)가 저속으로 재생되어야 할 데이터를 갖지 않은 경우에, 지터 버퍼(47)상의 저속 재생을 위한 시퀀스가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로부터 취득된 요구되는 핸드오버 정보에 기반하여, 도 7에 도시된 핸드오버에 관한 시간을 계산한다.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제1 무선 NW(15)를 통해 MN 11이 HA 23에 최후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 Thossm까지, MN 11의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지시를 내린다.
재생 속도 계산부(56)로부터 그러한 지시가 수신된 때, 청자/화자 판정부(57)는 MN 11의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러한 판정은, 예를 들면, 일정 기간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음성을 감시하는 것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청자/화자 판정부(57)는, 판정 결과를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제공한다.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청자/화자 판정부(57)로부터 결과가 도착힉; 전에, 무음 구간을 단축하기 위해, 지터 버퍼상에서의 저속 재생을 행하는 시간을 계산한다. 핸드오버 개시까지의 시간 전에 계산에 의해 구해진 시간만큼의 전 시점에서,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지터 버퍼 제어부(51)에 저속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의한 판정 결과가 수신된 때,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HO 알람의 개시 시간 및 HO 알람 종료 시간을 계산하여, HO 알람 예정 기간을 HO 알람 발생부(58)에 통지한다.
재생 속도 계산부(56)로부터 통지가 수신된 때, HO 알람 발생부(58)는 스피커(49)를 제어하여 HO 알람을 발생시킨다.
핸드오버의 완료를 나타내는 바인딩 에크를 HA 23으로부터 수신한 때,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는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상응하게 통지한다.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HO 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종료시키도록 통지한다.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지터 버퍼(47)상의 통상 재생을 행하도록 지터 버퍼 제어부(51)에 지시를 하도록, 지터 버퍼(51)에 통지한다.
도 16은, MN 11의 유저가 청자인 경우의 MN 11의 전화기능부(33)의 주요부의 동작을 예시하는 시퀀스도이다. 청자 화자 판정부(57)에 의한 판정의 결과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화자인 경우의 시퀀스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상술한 대로, HO 알람 예정 기간도 상이하다. 즉, MN 11의 유저가 청자인 때, HO 알람은 핸드오버 개시시에 지터 버퍼(47)의 저속 재생 후에 개시하고, 핸드오버 완료시에 지터 버퍼(47)에 일정량의 패킷이 축적된 시점에 종료한다. 따라서, 핸드오버의 완료를 나타내는 바인딩 에크를 HA 23으로부터 수신한 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수신된 패킷수가 지터 버퍼(47)에 축적되어야 할 패킷수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려서, 그 후 HO 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지시한다.
도 17은 MN 11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각 스텝의 세부는 이미 설명되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간략한 설명만이 주어질 것이다.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는 핸드오버 제어부(36)로부터 핸드오버 정보를 일정 간격으로 감시한다. 핸드오버가 예정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한 때,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는 요구되는 핸드오버 정보(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을 포함)를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제공한다(S001).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로부터 취득된 요구되는 핸드오버 정보에 기반하여, 도 7에 도시된 핸드오버에 관한 시간을 계산한다(S002).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VoIP 어플리케이션의 저속 재생에 의한 무음 구간을 단축하기 위한 저속 재생 시간을 계산한다(S003).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지시를 내린다. 재생 속도 계산부(56)로부터 그러한 정보를 수신한 때, 청자/화자 판정부(57)는 MN 11의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004).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핸드오버를 개시까지의 시간 전에 상기 계산에 의해 구해진 시간만큼의 전 시점까지 기다리고(S005), 그 후 지터 버퍼 제어부(51)에 저속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를 하며, 그에 의해 지터 버퍼(47)의 저속 재생이 개시된다(S006).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시간까지 기다려서(S007), 청자/화자 판정부(57)로부터 판정의 결과를 취득한다(S008). 판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HO 알람 예정 기간을 계산한다(S009).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판정의 결과에 따라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010), 유저가 청자이면, 지터 버퍼(47)내의 음성 패킷이 없을 때까지, 음성 패킷의 저속 재생을 실시한다. 음성 패킷이 없으면,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HO 알람 발생부(58)에게 HO 알람을 발생하도록 지시한다(S011).
MN 11의 유저가 화자의 경우에,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곧바로 HO 알람 발생부(58)에게 HO 알람을 발생하도록 지시한다(S012).
HO 알람을 발생 동안에, 핸드오버 제어부(36)는 통신 처리부(34)가 바인딩 에크를 수신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S103). 바인딩 에크의 수신을 확인한 때, 핸드오버 제어부(36)는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에 상응하게 통지한다.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는 바인딩 에크의 그러한 수신을 재생 속도 계산부(56)에 통지한다.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의한 판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MN 11의 유저가 청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014).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VoIP 어플리케이션의 재생을 위해 필요한 표준 패킷량이 지터 버퍼(47)내에 축적될 때까지 패킷을 감시하고(S015), 지터 버퍼(47)내의 패킷수가 표준수에 도달할 때, HO 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지시한다(S016). MN 11의 유저가 화자인 경우에,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곧바로 HO 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지시한다(S016).
재생 속도 계산부(56)는 지터 버퍼 제어부(51)에게 지터 버퍼(47)의 저속 재생을 해제하도록 지시한다(S017).
도 18은 CN 12의 유저가 화자인 경우의 CN 12의 전화기능부(83)의 주요부의 동작을 예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터 버퍼 감시부(50)는 지터 버퍼(47)에 의한 패킷의 수신 상태 및 지터 버퍼(47)내의 패킷수(데이터량)을 감시한다. 감시의 결과에 기반하여, 지터 버퍼 제어부(51)는 지터 버퍼(47)로부터의 패킷의 독출 속도 및 수신된 패킷을 파기하도록 하는 처리를 제어한다.
MN 11로부터의 HO 통지 메시지를 취득한 경우에,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는 요구되는 핸드오버 정보(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을 포함)를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제공한다.
지터 버퍼 제어부(51)로부터 축적된 패킷량의 통지를 수신한 때,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지터 버퍼(47)의 저속 재생을 행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지터 버퍼(47)가 저속으로 재생되어야 할 데이터를 갖는다고 가정하며,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지터 버퍼 제어부(51)에게 저속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지터 버퍼(47)가 저속으로 재생될 데이터를 갖지 않은 경우에, 지터 버퍼(47)상의 저속 재생을 행하도록 하는 처리의 시퀀스가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55)로부터 취득된 요구되는 핸드오버 정보에 기반하여, 도 7에 도시된 핸드오버에 관한 시간을 계산한다.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제1 무선 NW(15)를 통해 CN 12가 MN 11에 최후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 Thossc까지, CN 12의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정 하도록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지시를 내린다.
재생 속도 계산부(86)로부터 그러한 지시를 수신한 때, 청자/화자 판정부(57)는 CN 12의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러한 판정은, 예를 들면, 일정 기간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음성을 감시하는 것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청자/화자 판정부(57)는 판정의 결과를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제공한다.
또한, 청자/화자 판정부(57)로부터 결과가 도착하기 전에, 무음 구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지터 버퍼상의 저속 재생을 실시하는 시간을 계산한다. 제1 무선 NW(15)를 통해 CN 12가 MN 11로부터의 최후의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시간(MN 11가 CN 12에 대해서, 시각 Thossm에 송신한 패킷이 도착하는 시간) Thosrc전에 계산에 의해 구해진 시간만큼의 전 시점에서,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지터 버퍼 제어부(51)에 저속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의한 판정의 결과를 수신한 때,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HO 알람 개시 시간 및 HO 알람 종료시간을 계산하여, HO 알람 예정 기간을 HO 알람 발생부(58)에 통지한다.
재생 속도 계산부(86)로부터 통지를 수신한 때, HO 알람 발생부(58)는 스피커(49)를 제어하여 HO 알람을 발생시킨다.
도 18에서는 CN 12의 유저가 화자이기 때문에,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식 12로부터 구해진 HO 알람 예정 기간이 경과된 후에,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HO 알람 발생부(58)에 지시한다.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지터 버퍼 제어부(51)에 통지하여 지터 버퍼(47)의 통상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도 19는 CN 12의 유저가 청자인 경우의 CN 12의 전화기능부(83)의 주요부의 동작을 예시하는 시퀀스도이다.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의한 판정의 결과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화자인 경우의 시퀀스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상술한 대로 HO 알람 예정 기간도 상이하다. 즉, MN 11의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 HO 알람의 발생은, 핸드오버의 개시시에 지터 버퍼(47)의 저속 재생 후에 개시되고, 핸드오버의 완료시에 지터 버퍼(47)에 일정량의 패킷이 축적되었을 때 종료된다. 따라서, MN 11로부터의 BA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때,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패킷량이 지터 버퍼(47)에 축적되어야 할 패킷수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리고, 그 후 HO 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지시한다.
도 20은 CN 12의 동작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각 스텝의 세부는 이미 설명되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간략한 설명만이 주어질 것이다. MN 11로부터 HO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때,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는 요구되는 핸드오버 정보(HO 개시 및 완료 시간과 NW 지연 시간을 포함)를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제공한다(S001).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로부터 취득된 요구되는 핸드오버 정보에 기반하여, 도 7에 도시된 핸드오버에 관한 시간을 계산한다(S002). 또한,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VoIP 어플리케이션의 저속 재생에 의한 무음 구간을 단축하기 위한 저속 재생 시간을 계산한다(S003).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지시를 한다. 재생 속도 계산부(86)로부터 그러한 지시를 수신한 때, 청자/화자 판정부(57)는 CN 12의 유저가 청자 또는 화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004).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제1 무선 NW(15)를 통해 CN 12가 MN 11에 최후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는 시간 전에 상기 계산에 의해 구해진 시간만큼의 전 시점까지 기다리고(S005), 그 후, 지터 버퍼 제어부(51)에게 지터 버퍼(47)의 저속 재생을 행하도록 지시한다(S006).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제1 무선 NW(15)를 통해 CN 12가 MN 11에 최후의 패킷을 송신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려서(S007), 청자/화자 판정부(57)로부터 판정의 결과를 취득한다(S008). 판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HO 알람 예정 기간을 계산한다(S009).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판정의 결과에 따라 유저가 청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010),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 지터 버퍼(47)내에 음성 패킷이 없을 때까지 음성 패킷의 저속 재생을 실시한다. 음성 패킷이 없을 때,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HO 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발생하도록 지시를 내린다(S011).
CN 12의 유저가 화자의 경우에,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곧바로 HO 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발생하도록 지시를 내린다(S012).
청자/화자 판정부(57)에 의한 결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CN 12의 유저가 청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013). CN 12의 유저가 화자인 경우에,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HO 알람 예정 기간이 경과된 후, HO 알람 발생부(58)에게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지시를 내린다(S016).
CN 12의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 HO 알람의 발생 동안에 MN 11로부터의 BA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때,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85)는 재생 속도 계산부(86)에 상응하게 통지한다(S104).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VoIP 어플리케이션의 재생에 필요한 패킷수가 표준 패킷수에 도달할 때까지 지터 버퍼(47)내의 패킷을 감시한다(S015). 지터 버퍼(47)내의 패킷수가 표준수에 도달한 때,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HO 알람 발생부(58)에 HO 알람을 종료하도록 지시한다(S016).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지터 버퍼 제어부(51)에게 지터 버퍼(47)의 저속 재생을 해제하도록 지시를 한다(S017).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MN 11) 및 통신 장치(CN 12)에서의 수신 패킷의 변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2는, 도 21과의 비교를 위해, 지터 버퍼의 저속 재생 또는 HO 알람의 발생을 실시하지 않는 종래의 방식에 의한 수신 패킷의 변동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에 있어서는, (a)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 패킷의 시퀀스 번호를 도시하고, (b) 단위시간에서의 수신된 패킷수를 도시하고, (c)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sec/sec)를 도시하며, (d) 버퍼내에 축적된 패킷수를 도시한다.
도 2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종래 재생 방법에 따르면, 패킷 로스가 유발되어 단위시간에서의 수신 패킷수가 0이 되었더라도 재생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지터 버퍼내에 축적된 패킷에서의 일방적 감소가 일어나고 따라서 무음 구간을 발생시킨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은, 패킷 로스가 발생하고 단위시간에서의 수신되는 패킷수가 0이 되기 전에, 핸드오버 제어부(36)로부터 핸드오버 예정의 통지를 수신하며 재생 속도 계산부(56)가 지터 버퍼(47)의 재생 속도를 저속으로 전환한다. 그에 의해, 패킷 로스가 일어나기 전에 저속 재생이 행해지며, 그 결과, 지터 버퍼(47)내에 축적된 패킷이 패킷 로스 전에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그러한 증가된 패킷이 저속으로 재생되기 때문에, 무음 구간의 발생을 지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무음 구간이 발생된 때, HO 알람 발생부(58)는 핸드오버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HO 알람을 발생시키고, 따라서 무선 통신 단말은 유저의 불안감을 해소한다. 핸드오버의 완료에 더 가까움에 따라 HO 알람의 간격의 주기가 가속되기 때문에, 유저로 하여금 핸드오버의 완료를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여 계속적인 무음에 의해 유발되는 유저의 불안감을 감소시킬 가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은, 패킷 로스가 일어나서 단위시간에서의 수신 패킷수가 0이 되기 전에 MN 11로부터 HO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며 재생 속도 계산부(86)는 지터 버퍼(47)의 재생 속도를 저속으로 전환한다. 그에 의해, 패킷 로스가 일어나기 전에 저속 재생이 행해지며, 그 결과, 지터 버퍼(47)내에 축적된 패킷이 패킷 로스 전에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그러한 증가된 패킷이 저속으로 재생되기 때문에, 무음 구간의 발생을 지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무음 구간이 발생되었을 때, HO 알람 발생부(58)는 핸드오버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HO 알람을 발생시키며, 따라서 통신 단말은 유저의 불안감을 해소한다. 핸드오버의 완료에 더 가까움에 따라 HO 알람의 간격의 주기가 가속되기 때문에, 유저로 하여금 핸드오버의 완료를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여 계속적인 무음에 의해 유발되는 유저의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단말은, 핸드오버시의 패킷 로스로 인하여 VoIP와 같은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에서 무음 구간이 발생되었을 때, 무음 구간 동안에, 단말이 핸드오버를 행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HO 알람(예를 들면, 비프 음)을 작동시킨다. 그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단말은, 유저에게 무음 구간이 핸드오버에 의해 일어났음을 통지하고, 따라서, 통신이 완전하게 단절되었다는 유저의 오해를 방지한다. 또한, 핸드오버가 개시되기 전에 리얼타임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속도를 늦추기 때문에, 그것은 핸드오버에 의해 일어나는 무음 구간의 단축시킨다. 게다가,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단말은, 유저가 화자 또는 청자인지의 여부에 따라 HO 알람을 발생하는 기간을 제어하며, 그에 의해, 특히 화자측에서의 불필요한 패킷 로스를 방지하여 대화의 순조로운 재개를 가능케 한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 및 통신 단말은, 핸드오버 완료 전의 시간에 따라, HO 알람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유저가 핸드오버 완료 전의 시간을 판단할 수가 있고, 그것은 유저의 불안감 및 오해를 방지한다.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방식으로 변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VoIP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만 적용되지 않으며, 영상이나 음악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 및 재생하는 경우와 같은 리얼타임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부가, 전화기능부 대신에, 지터 버퍼를 제어하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기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CDMA2000 1xEV-DO 및 무선 LAN이라고 가정되었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그러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W-CDMA(Wideband CDMA), WiMAX(IEEE 802.16), iBurst(등록상표), LTE(Long Term Evolution), UMB(Ultra Mobile Broadband) 등과 같이, 현재 사용되거나 미래에 실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임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11: 무선 통신 장치 12: 통신 장치
12a: 송수화기 15: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
15a: 기지국 16: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
16a: 액세스 포인트 18: 인터넷
21,22,24: SIP 서버 23: 홈 에이전트(HA)
31: 제1 무선 I/F 32: 제2 무선 I/F
33: 전화기능부 34: 통신 처리부
35: 무선 정보 취득부 36: 핸드오버 제어부
44: 인코더 47: 지터 버퍼
50: 지터 버퍼 감시부 51: 지터 버퍼 제어부
55: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 56: 재생 속도 계산부
57: 청자/화자 판정부 58: HO 알람 발생부
61: 계측 서버 62: 제1 인포메이션 서버
63: 제2 인포메이션 서버 81: 네트워크 I/F
82: 통신 처리부 83: 전화기능부
85: 핸드오버 정보 취득부 86: 재생 속도 계산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리얼타임(real-time)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부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링크(link)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는 통신 품질 취득부와,
    상기 통신 품질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handover)의 준비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에 상기 결정부가 핸드오버의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면, 상기 통신 품질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핸드오버 개시 시간을 추정하는 추정부와,
    상기 핸드오버의 처리 동안에, 당해 핸드오버가 처리 중이라는 취지의 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유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자(speaker) 또는 청자(hearer)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핸드오버가 처리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유저가 화자인 경우에, 핸드오버의 개시 직후에 핸드오버가 처리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며,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 핸드오버의 개시 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데이터가 없을 때, 핸드오버가 처리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리얼타임(real-time)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부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링크(link)의 통신 품질을 취득하는 통신 품질 취득부와,
    상기 통신 품질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handover)의 준비를 개시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에 상기 결정부가 핸드오버의 준비의 개시를 결정하면, 상기 통신 품질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핸드오버 개시 시간을 추정하는 추정부와,
    상기 핸드오버의 처리 동안에, 당해 핸드오버가 처리 중이라는 취지의 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정부는 핸드오버 완료 시간을 추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상기 핸드오버 완료 시간에 기반하여, 핸드오버가 처리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 간격(notification interval)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핸드오버가 처리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상기 통지 간격을, 상기 핸드오버 완료 시간에 더 가까움에 따라, 더 짧아지도록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삭제
  8. 삭제
  9.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리얼타임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실행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상대인 무선 통신 장치가, 통신 중인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는 상이한 제2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예정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핸드오버의 처리 동안에, 당해 핸드오버가 처리 중이라는 취지의 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유저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자 또는 청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핸드오버가 처리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한 판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유저가 화자인 경우에, 상기 제1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이 송신될 수 없을 때, 핸드오버가 처리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고,
    유저가 청자인 경우에, 상기 핸드오버 정보의 수신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데이터가 없을 때, 핸드오버가 처리 중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통신 장치.
KR1020107023698A 2008-04-25 2009-04-24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장치 KR101154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15882 2008-04-25
JPJP-P-2008-115882 2008-04-25
JP2008115903 2008-04-25
JPJP-P-2008-115903 2008-04-25
PCT/JP2009/058198 WO2009131222A1 (ja) 2008-04-25 2009-04-24 無線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829A KR20100126829A (ko) 2010-12-02
KR101154746B1 true KR101154746B1 (ko) 2012-06-11

Family

ID=4121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698A KR101154746B1 (ko) 2008-04-25 2009-04-24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14991B2 (ko)
EP (1) EP2271171A4 (ko)
JP (1) JP5015319B2 (ko)
KR (1) KR101154746B1 (ko)
WO (1) WO2009131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6820B1 (fr) * 2009-06-16 2012-05-11 Canon Kk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et dispositif associe.
US8874710B2 (en) * 2010-04-27 2014-10-28 Nokia Corporation Access network discovery
CN104380797B (zh) * 2012-05-30 2018-11-30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提供网络接入技术切换事件的通知的方法和设备
KR101482515B1 (ko) * 2013-02-06 2015-01-16 주식회사에어플러그 원격지 컨텐트에 대한 플레이에 있어서 데이터 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무선 통신망의 종류를 알리는 방법 및 장치
US9351203B2 (en) 2013-09-13 2016-05-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oice call continuity in hybrid networks
US9510251B2 (en) 2013-12-31 2016-1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ll handoff initiation in hybrid networks
US9560185B2 (en) 2014-03-19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ybrid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nnection indicator
US9363711B2 (en) * 2014-04-07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experiences during call handovers on a hybrid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9456333B2 (en) 2014-07-09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entralized routing in hybrid network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5827A1 (en) * 1984-12-20 1986-07-02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Aerated mud centrifuge
KR100803862B1 (ko) * 2006-09-29 2008-02-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수직적 핸드오프시의 비디오 전송중단을 방지하기 위한 비디오 전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8128A (ja) 1999-04-16 2000-11-02 Uniden Corp インターネット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及びこのためのコードレス電話親機、コードレス電話子機並びに接続制御装置
JP2002359875A (ja) * 2001-06-01 2002-12-13 Nec Corp 携帯型端末装置
US6975881B2 (en) 2003-08-25 2005-12-13 Motorola, Inc.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during a cell reselection
WO2005086377A1 (en) * 2004-03-05 2005-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handover to minimize service delay due to ping pong effect in bwa communication system
US7440430B1 (en) * 2004-03-30 2008-10-21 Cisco Technology, Inc. Jitter buffer management for mobile communication handoffs
US8085678B2 (en) * 2004-10-13 2011-12-27 Qualcomm Incorporated Media (voice) playback (de-jitter) buffer adjustments based on air interface
US8312142B2 (en) * 2005-02-28 2012-11-13 Motorola Mobility Llc Discontinuous transmission/recep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CN101138261A (zh) * 2005-03-07 2008-03-05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通信终端以及切换动作的通知方法
JP2008005392A (ja) * 2006-06-26 2008-01-10 Kddi Corp 通信端末装置およびバッファ制御方法
JP2008022308A (ja) 2006-07-13 2008-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パケット通信における再生メディアの途切れ低減方法、移動体通信端末のハンドオーバ方法ならびに移動体通信端末
JP4811237B2 (ja) 2006-10-31 2011-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直線運動変換機構の動作特性測定装置
JP2008115903A (ja) 2006-11-01 2008-05-22 Nsk Ltd 転がり軸受用保持器及び転がり軸受
EP1981493A4 (en) 2006-11-13 2009-11-11 Sosei Co Ltd ACAT HEMMER AND ITS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FIBROSI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5827A1 (en) * 1984-12-20 1986-07-02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Aerated mud centrifuge
KR100803862B1 (ko) * 2006-09-29 2008-02-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수직적 핸드오프시의 비디오 전송중단을 방지하기 위한 비디오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14991B2 (en) 2013-12-24
US20110044293A1 (en) 2011-02-24
KR20100126829A (ko) 2010-12-02
EP2271171A4 (en) 2014-10-15
WO2009131222A1 (ja) 2009-10-29
JP5015319B2 (ja) 2012-08-29
JPWO2009131222A1 (ja) 2011-08-25
EP2271171A1 (en)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746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장치
JP5002707B2 (ja) 無線通信装置、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通信方法
KR101162872B1 (ko) 무선 통신 장치
KR101162868B1 (ko) 무선 통신 장치
JP5250255B2 (ja) 無線通信装置
WO2009084689A1 (ja) 無線通信装置
JP5074575B2 (ja) 無線通信装置
JP5048539B2 (ja) 無線通信装置
JP5224996B2 (ja) 無線通信装置
JP5128974B2 (ja) 無線通信装置
JP2012049913A (ja) 通信装置
JP2010130226A (ja) 無線通信装置
JP2009182653A (ja) 無線通信装置
JP2012049914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