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320B1 -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320B1
KR101153320B1 KR1020090095565A KR20090095565A KR101153320B1 KR 101153320 B1 KR101153320 B1 KR 101153320B1 KR 1020090095565 A KR1020090095565 A KR 1020090095565A KR 20090095565 A KR20090095565 A KR 20090095565A KR 101153320 B1 KR101153320 B1 KR 101153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fermentation
ski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323A (ko
Inventor
박장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90095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3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8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열대지방에서 자생하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항노화, 미백, 항염 등의 성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열대지방에서 자생하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도와 관련된다.
최근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웰빙 트랜드의 확산으로, 건강과 아름다움을 오랫동안 유지하려는 요구가 증가하면서 식품, 화장품, 주거 환경 등의 모든 분야에서 무공해 천연 식물성 소재 및 전통적인 민간 요법으로 전래되는 생리활성이 우수한 식물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천연 식물소재는 합성소재에 비해 안전하고 자연 친화적이기 때문에 화장품 산업 분야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생리활성이 강한 한약재 (Herbal medicine)를 이용한 한방 화장품이 화장품 제품의 주류를 이루어 가고 있다. 한방화장품은 전통적으로 수백년간 사용되어 오면서 안전성이나 효과측면에서 입증이 된 소재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쉽게 인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효과도 합성소재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피부에서 생리활성이 뛰어나 항노화 및 미백의 효과를 보이는 물질은 여러가지가 있다. 레티놀이나 알부틴, 비타민 C등은 대표적인 기능성 소재로서 주름개선 이나 미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제형내에서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효과가 없어지거나, 부작용을 유발하거나 하여 이를 대체하는 소재를 찾고자 하는 시도는 화장품 소재연구의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합성이 아닌 천연 식물성 소재에서 생리활성이 우수한 물질을 찾으려는 시도가 주류를 이루고 연구되고 있으며, 항노화, 항염, 미백 등, 피부에 유용한 효과를 보이는 식물이나 한약재가 속속 발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대지방에서 자생하는 식물의 유기용매 및 수용성 추출물, 또는 여기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시킨 배양물의 피부효능 평가를 통해 화장품 및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하는 도포용 제품에 효과가 있는 소재를 선별하였다.
특히 피커스속에 속하는 식물 중 대부분은 중국에서 자생하는 종들로서 그 중 일부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었다. 구체적으로, 피커스 마이크로카파(Ficus microcarpa), 피커스 카울로카파(Ficus caulocarpa) 등이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었지만 미백기능, 항염증 기능 등이 미비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사용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부손상방지 및 염증개선을 위해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및/또는 발효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노화방지, 피부미백 등을 위해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및/또는 발효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수용성 추출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추출물을 0.05 ~ 95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피커스 델토이데 추출물에 발효 미생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발효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 미생물은 유산균과 효모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킬레이트제, 방부제, 연화제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에센스, 로션, 크림, 비누, 에멀전, 폼클렌징, 샴푸 및 마스크 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이를 포함하는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보습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과민면역반응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화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커스 델토이데 추출물 및/또는 발효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 미백기능, 자외선 차단효과, 항염증 효과 등 피부와 관련된 물성이 우수하여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보습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과민면역반응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피커스 델토이데 발효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전반적인 피부관련 물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는 Moraceae(Mulberry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보루네오지역 지역(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에서 자생하는 식품로서 전통적으로 산후조리에 도움을 주고 원기를 북돋아 주는 식물로 알려져 왔다. 구체적으로 피커스 델토이데에는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탄닌, 트리터페노이드, 프로안토시아닌, 폴리페놀류가 많이 발견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수용성 추출물 및 유기용매 추출물, 혹은 이의 발효물을 피부관련 용도로 연구하여 출원한 예는 없다. 특히 식물체의 경우는 자생지의 기후 및 토양 상황에 따라 성분차이가 확연히 달라지는데 기존의 피커스속 식물에 대한 연구는대부분 중국지역에서 자생하는 종들을 대상으로 한 것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의 경우는 보루네오 지역에서 자생하는 종이기 때문에 추출성분의 차이가 명확하며 이로 인한 효과상의 차이가 현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피커스 델토이데의 수용성 추출물 및 유기용매 추출물과 피커스 델토이데 추출물에 유산균 및 효모를 배양시킨 발효물의 피부효능을 평가하여 화장품 소재로의 사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로부터 추출된 수용성 및 유기용매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이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의 염증반응을 억제 및 완화시키며, 피부각질세포를 활성산소종으로부터 보호함을 확인하였고,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며,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현상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커스 델토이데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된 것은 본 발명이 최초이며 다른 피커스 속에 속하는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본 발명의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추출물 및/또는 발효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평가예 1 ~ 5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수용성 추출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일 수 있으며, 유기용매 추출물인 경우 용매로서 핵산, 에탄올, 아세톤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커스 델토이데 추출물을 발효시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물은 피커스 델토이데 추출물에 발효 미생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발효액으로서, 피커스 델토이데 추출물을 발효 미생물로 발효시켜 제조된 것이 아닌 발효물은 포함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효 미생물은 유산균과 효모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런데, 하기 평가예 1 ~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화장료 조성물이 피커스 델토이데 발효물을 함유하는 경우 단순히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에 비하여 자외선 차단효과, 항염증 효과 등 피부와 관련된 물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추출물 및/또는 발효물을 0.05 ~ 95중량%를 함유할 수 있으며, 만일 함량이 0.05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95중량%를 초과하면 피부자극의 발생이나 제형 안정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습제, 킬레이트제, 방부제, 연화제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추출물 및/또는 발효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의 제형을 불문하고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킨, 에센스, 로션, 크림, 비누, 에멀전, 폼클렌징, 샴푸 및 마스크 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평가예 1 ~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항노화, 미백기능, 자외선 차단효과, 항염증 효과 등 피부와 관련된 물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보습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과민면역반응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실시예 1> 피커스 델토이데 수용성 추출물의 제조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100g을 30℃ 이하의 냉수로 약 30분 정도 세척하고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분쇄물이 고형분 기준으로 10 중량%가 되도록 물을 첨가한 후, 50℃의 범위에서 4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고 건조하여 수용성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피커스 델토이데 유기용매 추출물(유용성 추출물)의 제조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30g을 30℃ 이하의 냉수로 약 30분 정도 세척하고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분쇄물과 용매의 비율을 1 : 4 로 하여, 상온에서 1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고 건조하여 유기용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유기용매 추출물에 사용한 용매로는 아세톤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3> 피커스 델토이데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수용성 추출물을 고형분 기준으로 3%가 되도록 물에 용해한 후 0.2 mm 필터로 여과하여 제균하였다. 제균한 수용성 추출물에 유산균과 효모를 각각 접종 초기 균수가 105 내지 108 cfu/g가 되도록 접종한 후 30℃에서 3 일간 정치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발효상등액을 얻었다.
<평가예 1> 자외선에 의한 피부세포독성 감소효과
먼저, 사람 섬유아세포 (normal human fibroblast)를 페니실린 (100 I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g/mL),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넣고 37℃를 유지하며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수득된 섬유아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3× 105 개로 분주한 다음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에 25mJ/Cm2량의 자외선을 조사한 후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수용성 추출물, 유기용매 추출물, 발효물을 첨가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수를 측정하여 세포사멸 정도를 측정하였다.
도 1은 세포사멸정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실시예 1, 2의 물질의 경우는 자외선에 의한 세포사멸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보이지 않으나 실시예 3의 물질은 자외선에 의한 세포사멸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평가예 2>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반응 억제실험
먼저, 사람 피부각질세포 (human keratinocyte)를 페니실린 (100 I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g/mL),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넣고 37℃를 유지하며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수득된 피부각질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3× 105 개로 분주한 다음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에 25mJ/Cm2량의 자외선을 조사한 후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수용성 추출물, 유기용매 추출물, 발효물을 첨가한 후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 상등액을 회수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3의 물질을 처리한 경우 자외선에 의해 분비가 증가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Tumor necrosis factor a)의 분비가 획기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발효물의 경우는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서도 낮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 1~3의 물질이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평가예 3> 멜라닌 종양 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추출물의 멜라닌 종양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마우스 유래 악성 멜라닌 종양 세포주 B16F1 (KCLB 8007)를 페니실린 (100 I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g/mL),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넣고 37℃를 유지하며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수득된 멜라닌 종양 세포를 24웰 플레이트 (well plate)에 1 × 104 세포/웰 (cells/well)에 접종 (seeding)하여 1일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멜라닌 합성을 유도시키기 위하여, alpha-MSH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을 비처리군을 제외하고 5 nM을 첨가하여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였고, 동시에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수용성 추출물, 유기용매 추출물, 발효물 및 코직산 (양성대조군) 800 μM를 가한 DMEM 배지를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각 처리군에 의한 멜라닌 종양세포가 분비한 합성된 멜라닌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그 변화를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였고, 각 처리군의 세포를 수거하여 10% DMSO (Dimethyl sulfoxide)와 1N NaOH 100 ㎕를 각각 첨가하여 멜라닌을 용해하였고, 40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량을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3의 물질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멜라닌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줄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멜라닌 종양세포가 멜라닌을 형성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피커스 추출방법(수용성, 유기용매) 및 발효처리 후 피커스추출물에 대하여 조사한 것으로서, 피커스 수용성 및 유기용매 추출물의 경우 처리농도 0.005%와 0.01%에서 멜라닌 형성이 상당히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것은 도 1에서 보았듯이 세포독성에 의한 세포사멸로 인한 결과이므로 실제 미백효능으로 볼 수 없다. 그러나 발효물의 경우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 범위에서 약 30% 정도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커스 델토이데의 발효물이 통상의 추출물에 비하여 미백효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는 멜라닌 종양세포 내의 타이로시나아제를 이용하여 L-DOPA (L-3,4-dihydroxyphenylalanine) 와 반응시켜 발색된 tyrosinase zymography 결과이다. 마우스 유래 악성 멜라닌 종양 세포주 B16F1 (KCLB 8007)를 페니실린 (100 I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g/mL),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넣고 37℃를 유지하며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수득된 멜라닌 종양 세포를 6웰 플레이트 (well plate)에 1.5 × 105 세포/웰 (cells/well)에 접종 (seeding)하여 1일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멜라닌 합성을 유도시키기 위하여, alpha-MSH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을 비처리군을 제외하고 5 nM을 첨가하여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였고, 동시에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수용성 추출물 및 코직산 (양성대조군) 800 Μm, 알부틴 (양성대조군) 2m M 를 가한 DMEM 배지를 첨가하여 2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단백질 추출 용액 (RIPA buffer, ELPIS Biotech, Korea) 을 이용하여 용해한 후에 상등액을 이용해 Bradford assay를 이용한 단백질 정량을 하여 같은 양의 단백질을 8% SDS-PAGE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을 이용한 전기영동으로 분리 시킨 다음 0.1M SPB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로 30분 동안 2회 반응 시키고 0.1M SPB 에 5mM L-DOPA 를 녹여 만든 용액과 37? 에서 약 1시간 동안 발색이 나타날 때까지 반응시켰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alpha-MSH가 처리된 경우 (+) 티로시나제 생성이 증가하여 진한 밴드를 형성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멜라닌 생합성이 증가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그러나 피커스 추출물을 같이 처리하게 되면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밴드의 색이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티로시나제 생성이 줄어든 것이며 따라서 멜라닌 생합성도 줄어든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5는 멜라닌 종양세포 내의 단백질을 이용하여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western blot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마우스 유래 악성 멜라닌 종양 세포주 B16F1 (KCLB 8007)를 페니실린 (100 I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g/mL),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넣고 37℃를 유지하며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수득된 멜라닌 종양 세포를 6웰 플레이트 (well plate)에 1.5 × 105 세포/웰 (cells/well)에 접종 (seeding)하여 1일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멜라닌 합성을 유도시키기 위하여, alpha-MSH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을 비처리군을 제외하고 5 nM을 첨가하여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였고, 동시에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수용성 추출물 및 코직산 (양성대조군) 800 Μm, 알부틴 (양성대조군) 2m M 를 가한 DMEM 배지를 첨가하여 2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단백질 추출 용액 (RIPA buffer, ELPIS Biotech, Korea) 을 이용하여 용해한 후에 상등액을 이용해 Bradford assay를 이용한 단백질 정량을 하여 같은 양의 단백질을 8% SDS-PAGE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을 이용한 전기영동으로 분리 시켰다. PVDF membrane에 transfer하여 5% skimmed milk에 1시간 blocking 한 후 1차 MITF (Santa cruze) 1:100, 2차 (Anti-goat IgG-HRP, Santa cruze) 1:5000의 비율로 각 한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actin(Santa cruze)의 경우 1차 1:1000, 2차(Anti-mouse IgG-HRP, Santa cruze) 1:2000의 비율로 각 한 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발색 시약 (Perkin Elmer)과 X-RAY 필름을 이용하여 인화하였다.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일련의 유전자들의 발현은 MITF 전사인자에 의해서 동일하게 조절되고 있다. 따라서 MITF 자체의 발현 조절은 멜라닌 형성을 조절하는 핵심요소가 된다. 도 5에서 보듯이 MITF의 발현은 역시 alpha-MSH의 처리로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피커스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게 되면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ITF의 발현양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피커스 추출물이 멜라닌 생합성 제어의 중심에 있는 MITF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미백효능을 나타내는 것임을 알 수 있다.
< 평가예 4>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항노화 효과)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 섬유아세포에서의 콜라젠 합성 촉진 효과를 알아보았다.
먼저, 사람 섬유아세포 (normal human fibroblast)를 페니실린 (100 I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g/mL),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넣고 37℃를 유지하며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수득된 섬유아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3× 105 개로 분주한 다음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에 25mJ/Cm2량의 자외선을 조사한 후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수용성 추출물, 유기용매 추출물, 발효물을 첨가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회수하고 파쇄한 후 서콜 콜라젠 어세이 키트(Sircol assay kit)를 이용한 후 콜라젠 량을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통해 실시예 1~3의 물질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콜라젠 감소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의 물질이 자외선에 의해 발생되는 광노화를 억제함으로서 주름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평가예 5> 항산화 효과
디페닐피크릴히드라질(Diphenylpicrylhydrazyl, DPPH)을 250mM의 농도가 되도록 에탄올에 녹인다. DPPH 용액을 희석하여 517nm의 파장에서 흡광도가 0.8~0.9의 범위가 되도록 제조한 후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수용성 추출물, 유기용매 추출물, 발효물과 1 : 1로 섞은 후 암실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후 517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추출물 시료의 항산화력(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시료 250mM의 DPPH를 50% scavenging 할 수 있는 농도(mg/ml)
비타민 C 2.62±0.10
Trolox 4.14±0.24
실시예 1 11.59±0.46
실시예 2 5.2±0.37
실시예 3 22.41±0.54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이 다른 실시예에 비하여 항산화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조성에 따라서, 각각 비누형, 로션형, 크림형, 팩형, 미용액형의 제제들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1> 비누형
실시예 1의 추출물 5.00
유지 75
수산화나트륨 5
향료 1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 제조예 2> 로션형
실시예 1의 추출물 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감초 엑기스 0.20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 제조예 3> 크림형
실시예 1의 추출물 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 제조예 4> 팩형
실시예 1의 추출물 5.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잔량
(단위: 중량%)
< 제조예 5> 미용액형
실시예 1의 추출물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2% 수용액) 12.00
크산탄검 (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5.00
정제수 잔량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추출물 및 발효물은 우수한 항노화, 항암, 항염, 면역 개선 등의 효능을 가지므로 제약산업, 미용산업 및 식품산업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자외선에 의하여 사람의 섬유아세포가 사멸되는 효과를 피커스 발효추출물이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사람피부각질세포를 피커스 추출물로 처리한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추출물의 멜라닌 종양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멜라닌 종양세포 내의 타이로시나아제를 이용하여 L-DOPA 와 반응시켜 발색된 tyrosinase zymography 결과이다.
도 5는 멜라닌 종양세포 내의 단백질을 이용하여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웨스턴 블롯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은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 섬유아세포에서의 콜라젠 합성 촉진을 실험한 그래프이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피부세포 보호, 자외선 차단, 항노화 및 항염증의 기능성을 갖는 피커스 델토이데(Ficus deltoidea)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피커스 델토이데 추출물에 발효 미생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발효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미생물은 유산균과 효모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킬레이트제, 방부제, 연화제 및 점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4항 내지 제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에센스, 로션, 크림, 비누, 에멀전, 폼클렌징, 샴푸 및 마스크 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습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90095565A 2009-10-08 2009-10-08 화장료 조성물 KR101153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565A KR101153320B1 (ko) 2009-10-08 2009-10-08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565A KR101153320B1 (ko) 2009-10-08 2009-10-08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323A KR20110038323A (ko) 2011-04-14
KR101153320B1 true KR101153320B1 (ko) 2012-06-07

Family

ID=4404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565A KR101153320B1 (ko) 2009-10-08 2009-10-08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8803B2 (ja) * 2010-09-10 2016-06-22 アイエスピー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Isp Investments Inc. イチジク漿液画分を含む生理活性組成物および皮膚の色素沈着過剰の外観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09B1 (ko) * 2006-12-29 2008-04-30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산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09B1 (ko) * 2006-12-29 2008-04-30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산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323A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0156B2 (en) Method for prepar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ginseng berry Pleurotus ferulae product and use thereof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7252B1 (ko) 라비지아 푸밀라의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조성물
KR101661545B1 (ko) 미백 활성을 갖는 홍경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3320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8954B1 (ko) 앗싸이 베리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약학조성물 및 앗싸이 베리의 발효방법
KR20110122448A (ko) 지리터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9723B1 (ko) 황금연꽃바나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5682B1 (ko) 에퀴세툼 기간테움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6678A (ko) 참지네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화장방법
KR101515443B1 (ko) 베르가못, 금은화, 율무 및 밀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미백 및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기능성 화장용 조성물
KR102122475B1 (ko) 강황 잎,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783B1 (ko) 자란초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미백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3025B1 (ko) 한방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2B1 (ko) 복주머니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5010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