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617B1 -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617B1
KR101151617B1 KR1020110095614A KR20110095614A KR101151617B1 KR 101151617 B1 KR101151617 B1 KR 101151617B1 KR 1020110095614 A KR1020110095614 A KR 1020110095614A KR 20110095614 A KR20110095614 A KR 20110095614A KR 101151617 B1 KR101151617 B1 KR 101151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blocking
target
advertisement blocking
medi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요석
Original Assignee
최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요석 filed Critical 최요석
Priority to KR102011009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은, 미디어 장치에서 방송되는 광고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하고,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광고 차단 방법을 설정하는 광고 차단 설정부; 및 미디어 장치에서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가 방송되는 경우, 광고 차단 방법대로 광고 차단을 실행하는 광고 차단 실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REMOTE CONTROL FOR BLOCKING ADVERTISEMENT AND METHOD FOR BLOCKING ADVERTISE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중 광고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아날로그 방송 이외에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방송,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등 다양한 방송이 개발되어 방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송에는 방송 프로그램과 방송 프로그램 사이 또는 방송 프로그램 중간에 상업적 성격의 광고가 함께 방영된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광고 보다는 방송 프로그램에 관심을 두고 TV를 시청하기 때문에, 광고 없이 방송 프로그램만 시청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에 TV에서 광고가 방송되는 경우, 광고를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한국공개특허 특2000-0040890(2000.07.05) 특허문헌은 TV 영상 신호에서 방송 문자를 검출하여 해당 방송이 광고 방송인지를 판단하며, 해당 방송이 광고 방송인 경우 자동 채널 전환의 설정 여부에 따라 채널을 자동 전환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동 채널 전환을 설정한 경우, TV에서 광고가 방송되면 무조건적으로 채널을 자동 전환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광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호하는 인물이 모델로 등장하는 광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업의 광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담고 있는 광고 등도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광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싫어하는 인물이 모델로 등장하는 광고, 사용자가 싫어하는 기업의 광고, 대부 광고, 보험 광고, 대리 운전 광고, 선정성이 높아 아이들에게 나쁜 영향을 주는 광고 등 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특허문헌은 광고를 차단하기 위해 텔레비전의 구성을 변경하여야 하므로, 기존의 텔레비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광고 차단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을 별도로 구입하여야 한다. 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큰 비용 부담으로 다가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시청 또는 청취를 원하지 않는 광고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디어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광고를 차단할 수 있는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은, 미디어 장치에서 방송되는 광고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하고,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광고 차단 방법을 설정하는 광고 차단 설정부; 및 상기 미디어 장치에서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가 방송되는 경우, 상기 광고 차단 방법대로 광고 차단을 실행하는 광고 차단 실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은, 광고 차단 설정부가 미디어 장치에서 방송되는 광고 중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광고 차단 설정부가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광고 차단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 및 광고 차단 실행부가 상기 미디어 장치에서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가 방송되는 경우, 상기 광고 차단 방법대로 광고 차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광고를 일률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광고만을 선택하여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광고 차단 기능을 리모콘에 구현함으로써, 미디어 장치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미디어 장치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적은 비용으로 광고 차단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모콘의 조작을 통해 간단하게 광고 차단을 설정할 수 있으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가 방송되는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 차단 방법대로 해당 광고를 자동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과 미디어 장치 간의 통신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가 광고 차단 방법의 메뉴를 화면에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과 미디어 장치 간의 통신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시청 또는 청취하기를 원하지 않는 광고가 미디어 장치(101)에서 방송되면, 사용자가 리모콘(100)에 구비된 특정 기능을 이용해 해당 광고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에 대해 리모콘(100)을 이용해 예를 들어, 1) 채널 전환, 2) 음소거, 3) 대체 콘텐츠 재생, 4) 전원 꺼짐 등의 방식으로 광고 차단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이후에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가 미디어 장치(101)에서 방송되면, 미리 설정된 광고 차단 방법에 의해 해당 광고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디어 장치(101)는 방송을 수신하고, 리모콘을 통해 동작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미디어 장치(101)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EL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미디어 장치(101)는 라디오 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미디어 장치(101)와 리모콘(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적외선, 지그비, UWB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리모콘(100)을 이용한 광고 차단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100)은 광고 차단 설정부(102), 저장부(104), 및 광고 차단 실행부(106)를 포함한다.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미디어 장치(101)에서 방송되는 소정 광고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한다. 또한,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에 대해 광고 차단 방법을 설정한다. 여기서,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입력부(111), 표시부(114) 및 음향 녹음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1)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명령에 따른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입력부(111)는 리모콘(100)에서 다양한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1)는 미디어 장치(101)의 일반적인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버튼(112) 예를 들어, 전원 버튼(151), 채널 선택을 위한 번호 버튼(152), 채널 및 음량 조절 버튼(1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1)는 광고 차단 설정을 위한 특수 버튼(15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미디어 장치(101)에서 자신이 원하지 않는 광고가 방송되면, 입력부(111)를 통해 해당 광고에 대해 광고 차단 설정을 수행할 수 있고, 광고 차단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미디어 장치(101)에서 자신이 원하지 않는 광고가 방송되면, 입력부(111)의 광고 차단 설정을 위한 특수 버튼(154)을 눌러 광고 차단 시작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자신이 원하지 않는 광고의 방송이 종료되는 경우, 광고 차단 설정을 위한 특수 버튼(154)을 다시 눌러 광고 차단 종료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광고 차단 시작 신호가 발생한 시간, 광고 차단 종료 신호가 발생한 시간, 및 광고 차단 시작 신호가 발생한 때의 현재 방송 채널을 저장부(104)에 저장하여 해당 광고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광고 차단 시작 신호가 발생한 시간 및 광고 차단 종료 신호가 발생한 시간을 통해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영 시간대(예를 들어, 요일, 시, 분, 초)를 저장부(104)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광고 차단 시작 신호가 발생한 때의 현재 방송 채널을 통해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송 채널을 저장부(104)에 저장하게 된다.
표시부(114)는 사용자에게 광고 차단 설정 및 광고 차단 방법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메뉴들을 화면(155)에 표시해준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111) 및 표시부(114)를 통해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에 대해 광고 차단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정 광고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하면, 표시부(1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광고에 대해 광고 차단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화면(155)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입력부(111)를 통해 1) 채널 전환, 2) 음소거, 3) 대체 콘텐츠 재생, 4) 전원 꺼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광고 차단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 차단 방법을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와 매칭하여 저장부(104)에 저장한다.
여기서, 1) 채널 전환은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가 미디어 장치(101)를 통해 방송되는 경우, 미디어 장치(101)의 채널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채널로 전환하는 기능을 말한다. 2) 음소거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가 미디어 장치(101)를 통해 방송되는 경우, 미디어 장치(101)의 음향 출력을 소거하는 기능을 말한다. 3) 대체 콘텐츠 재생은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가 미디어 장치(101)를 통해 방송되는 경우, 미디어 장치(101)의 음향 출력을 소거하고 대신 저장부(104)에 저장된 대체 콘텐츠(예를 들어, 음악 또는 영어 회화 등)를 재생시켜 리모콘(100)에 구비된 스피커(156)로 출력하는 기능을 말한다. 4) 전원 꺼짐은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가 미디어 장치(101)를 통해 방송되는 경우, 미디어 장치(101)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기능을 말한다.
대체 콘텐츠 재생의 경우, 사용자는 광고 대신 재생할 대체 콘텐츠들을 저장부(104)에 미리 저장해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PC, 노트북, 스마트 폰, 모바일 폰, PDA, 휴대용 메모리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대체 콘텐츠들을 저장부(104)에 미리 저장해둔다. 이때, 리모콘(100)은 USB 커넥트(157)를 통해 디지털 기기들과 연결된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부(111)를 통해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에 대해 광고를 차단하는 시간(예를 들어, 5초, 10초, 15초 등)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 차단 시간을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와 매칭하여 저장부(104)에 저장한다.
한편, 위에서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광고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할 때, 해당 광고의 방영 시간대 및 방송 채널을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광고의 음향을 녹음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음향 녹음부(114)를 통해 해당 광고의 음향을 녹음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음향 녹음부(114)는 광고 차단 시작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미디어 장치(101)에서 방송되는 광고의 음향을 녹음하고, 광고 차단 종료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광고의 음향 녹음을 종료한다. 이때,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음향 녹음부(114)가 녹음한 해당 광고의 음향을 저장부(104)에 저장함으로써, 해당 광고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한다.
저장부(104)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들에 대해 각각 광고 차단 시작 신호가 발생한 시간, 광고 차단 종료 신호가 발생한 시간, 및 광고 차단 시작 신호가 발생한 때의 현재 방송 채널을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104)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들에 대해 해당 광고의 방영 시간대 및 방송 채널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04)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들에 대해 광고 차단 방법 및 광고 차단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104)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광고 차단 방법이 대체 콘텐츠 재생인 경우, 해당 광고 대신 재생할 대체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4)는 음향 녹음부(114)가 녹음한 광고의 음향을 저장할 수 있다.
광고 차단 실행부(106)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 차단 방법대로 광고 차단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광고 차단 실행부(106)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영 시간이 되면, 미디어 장치(101)의 현재 채널을 확인한다. 확인 결과, 미디어 장치(101)의 현재 채널이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송 채널과 동일한 경우, 광고 차단 실행부(106)는 해당 광고의 광고 차단 방법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 차단 방법 대로 광고 차단을 실행한다. 광고 차단 실행부(106)는 채널 전환부(121), 음소거부(124), 및 음향 출력부(127)를 포함한다.
채널 전환부(121)는 사용자가 광고 차단 방법으로 채널 전환을 설정한 경우, 미디어 장치(101)의 현재 채널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채널로 자동 전환시킨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광고 방송을 보지 않을 수 있고, 그 대신 자신이 선호하는 다른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채널 전환부(121)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송이 종료되면, 미디어 장치(101)의 채널을 원래의 채널로 복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전환부(121)는 저장부(104)에 저장된 해당 광고의 방영 시간대를 통해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영이 종료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음소거부(124)는 사용자가 광고 차단 방법으로 음소거를 설정한 경우, 미디어 장치(101)의 음향 출력을 소거시킨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광고의 음향을 소거시킴으로써, 해당 광고에 신경이 불필요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음소거부(124)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영이 종료되면, 미디어 장치(101)의 음소거를 해제한다.
또한, 광고 차단 실행부(106)는 사용자가 광고 차단 방법으로 전원 꺼짐을 설정한 경우, 미디어 장치(101)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때, 광고 차단 실행부(106)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영이 종료되면, 미디어 장치(101)의 전원을 다시 온 시킨다.
음향 출력부(127)는 사용자가 광고 차단 방법으로 대체 콘텐츠 재생을 설정한 경우, 미디어 장치(101)의 음향 출력을 소거시킨 후, 저장부(104)에 저장된 대체 콘텐츠를 재생시켜 스피커(156)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대체 콘텐츠는 스피커(156)를 통해 출력되므로 음악이나 영어 회화 등과 같은 음향 콘텐츠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광고의 음향을 소거시켜 해당 광고에 신경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광고가 방송되는 시간을 자투리 시간으로 활용하여 음악 또는 영어 회화 등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음향 출력부(127)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영이 종료되면, 대체 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하고 미디어 장치(101)의 음소거를 해제한다.
여기서는, 대체 콘텐츠를 리모콘(100)의 저장부(104)에 저장시킨 후 음향 출력부(127)를 통해 재생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체 콘텐츠는 미디어 장치(101)에 저장된 후 미디어 장치(101)를 통해 재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미디어 장치(101)를 통해 영상 콘텐츠도 재생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광고 차단 실행부(106)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음향과 미디어 장치(101)에서 방송되는 광고의 음향을 비교하여, 두 음향이 동일한 것으로 판명된 경우(또는 허용 오차 범위 이내인 것으로 판명된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 차단 방법 대로 해당 광고의 광고 차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광고를 일률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광고(예를 들어, 사용자가 싫어하는 인물이 모델로 등장하는 광고, 사용자가 싫어하는 기업의 광고, 대부 광고, 보험 광고, 대리 운전 광고, 선정성이 높아 아이들에게 나쁜 영향을 주는 광고)만을 선택하여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광고 차단 기능을 리모콘(100)에 구현함으로써, 미디어 장치(100)의 구성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미디어 장치(100)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적은 비용으로 광고 차단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모콘(100)의 조작을 통해 간단하게 광고 차단을 설정할 수 있으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가 방송되는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광고 차단 방법대로 해당 광고를 자동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을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사용자로부터 광고 차단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S 101), 현재 미디어 장치(101)에서 방송되는 광고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한다(S 103). 이때,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현재 미디어 장치(101)에서 방송되는 광고의 방영 시간대 및 방송 채널을 저장부(104)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에 대해 광고 차단 방법을 설정한다(S 105). 이때, 광고 차단 설정부(102)는 예를 들어, 1) 채널 전환, 2) 음소거, 3) 대체 콘텐츠 재생, 4) 전원 꺼짐 중 어느 하나를 광고 차단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고 차단 실행부(106)는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광고 방영 시간이 되는 경우(S 107), 현재 미디어 장치(101)의 채널이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송 채널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9).
단계 S 109의 확인 결과, 현재 미디어 장치(101)의 채널이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송 채널과 동일한 경우, 광고 차단 실행부(106)는 해당 광고의 광고 차단 방법을 확인하여, 확인한 광고 차단 방법대로 광고 차단을 실행한다(S 111).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2 : 광고 차단 설정부 104 : 저장부
106 : 광고 차단 실행부 111 : 입력부
114 : 표시부 117 : 음향 녹음부
121 : 채널 전환부 124 : 음소거부
127 : 음향 출력부

Claims (11)

  1. 미디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장치에서 광고가 방송되는 경우, 방송되는 광고 중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하고,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채널 전환, 음소거, 음소거 후 리모콘에 구비된 스피커로 대체 콘텐츠를 출력하는 대체 콘텐츠 재생, 및 전원 꺼짐 중 어느 하나를 광고 차단 방법으로 설정하는 광고 차단 설정부; 및
    상기 미디어 장치에서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가 방송되는 경우, 상기 광고 차단 방법대로 광고 차단을 실행하는 광고 차단 실행부를 포함하는,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차단 설정부는,
    상기 미디어 장치에서 방송되는 광고 중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의 방영 시간대 및 방송 채널을 저장하여 해당 광고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하는,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차단 실행부는,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영 시간대에 상기 미디어 장치의 채널이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송 채널과 동일한 경우, 상기 광고 차단 방법대로 광고 차단을 실행하는,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차단 설정부는,
    상기 미디어 장치에서 방송되는 광고 중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의 음향을 녹음하여 해당 광고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하는,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차단 설정부는,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광고 차단 시간을 설정하는,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은,
    상기 대체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고 차단 실행부는,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광고 차단 방법이 상기 대체 콘텐츠 재생인 경우, 상기 미디어 장치의 음향 출력을 소거하고 상기 대체 콘텐츠를 상기 리모콘에 구비된 스피커로 출력하는,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8. 광고 차단 설정부가 미디어 장치에서 방송되는 광고 중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광고 차단 설정부가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채널 전환, 음소거, 음소거 후 리모콘에 구비된 스피커로 대체 콘텐츠를 출력하는 대체 콘텐츠 재생, 및 전원 꺼짐 중 어느 하나를 광고 차단 방법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광고 차단 실행부가 상기 미디어 장치에서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가 방송되는 경우, 상기 광고 차단 방법대로 광고 차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차단 설정부가 상기 미디어 장치에서 방송되는 광고 중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의 방영 시간대 및 방송 채널을 저장하여 해당 광고를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차단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차단 실행부가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영 시간대에 상기 미디어 장치의 채널이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송 채널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장치의 채널이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방송 채널과 동일한 경우, 상기 광고 차단 실행부가 상기 광고 차단 대상으로 설정된 광고의 광고 차단 방법을 확인하여 상기 광고 차단 방법대로 광고 차단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콘을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
  11. 삭제
KR1020110095614A 2011-09-22 2011-09-22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 KR101151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614A KR101151617B1 (ko) 2011-09-22 2011-09-22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614A KR101151617B1 (ko) 2011-09-22 2011-09-22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617B1 true KR101151617B1 (ko) 2012-06-08

Family

ID=46688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614A KR101151617B1 (ko) 2011-09-22 2011-09-22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61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4830B2 (en) Video/sound output device and external speaker control device
US8601461B2 (en) Multiple user control of a down loadable application
US9015462B2 (en) Display device and booting method thereof
KR20120090409A (ko)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
CN102868472A (zh) 适于控制外部设备中广播的无线终端
CN102172038B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系统
JP2009118185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006129262A (ja) 電子機器および同機器の消費電力制御方法
JP2020042058A (ja) 使い勝手が良いカラオケ機器切替装置
KR102228124B1 (ko) 셋탑 박스,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5125134B2 (ja) Av装置
KR201600180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151617B1 (ko) 광고 차단 기능을 가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차단 방법
KR2015007298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276834B1 (ko) 방송 단말기 및 방송 단말기의 방송 대체 방법
JP200602519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12138853A (ja) 遠隔操作装置、電子機器および遠隔操作システム
KR101129992B1 (ko) 디지털 앰프 시스템
JP2008071060A (ja) Avアンプリファイア、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1378469A (zh) 学习用户操作的方法和应用该方法的电视机
JP2015002542A (ja) 表示装置
JP2007028226A (ja) 放送番組再生装置
JP2015177458A (ja) 映像出力装置及び映像出力装置に接続された外部機器の電源制御方法
JP5418650B2 (ja) Av装置
KR101409759B1 (ko)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정보 저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