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342B1 - 조립성이 향상된 연결형 전주 - Google Patents

조립성이 향상된 연결형 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342B1
KR101150342B1 KR1020100078465A KR20100078465A KR101150342B1 KR 101150342 B1 KR101150342 B1 KR 101150342B1 KR 1020100078465 A KR1020100078465 A KR 1020100078465A KR 20100078465 A KR20100078465 A KR 20100078465A KR 101150342 B1 KR101150342 B1 KR 10115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ortion
coupling
female
mal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584A (ko
Inventor
김문환
김윤식
정희용
이규남
조유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파기지국주식회사
성호티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파기지국주식회사, 성호티에스(주) filed Critical 한국전파기지국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3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전주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연결형 전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분체의 중첩 결합부위에 해당하고 연결수단을 이루는 암연결부 및 수연결부를 보다 완벽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 암나사 역할을 하는 부위를 각 암연결부 및 수연결부의 결합통공이 일치되도록 도입되는 정위치 결합수단을 이루는 덧살판의 결합통공 부위에 형성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전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형 전주는 하부분체; 상기 하부분체와 연결되는 상부분체; 상기 상부분체 또는 상기 하부분체에 구비된 수연결부와, 상기 하부분체 또는 상기 상부분체에 구비된 암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수단; 상기 수연결부 또는 상기 암연결부에 결합되고, 안내부를 형성하는 덧살판과, 상기 암연결부 또는 상기 수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내부와 결합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정위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성이 향상된 연결형 전주{EASY-ASSEMBLING ELECTRIC POLE}
본 발명은 분체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전주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연결형 전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분체의 중첩 결합부위에 해당하고 연결수단을 이루는 암연결부 및 수연결부를 보다 완벽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 암나사 역할을 하는 부위를
각 암연결부 및 수연결부의 결합통공이 일치되도록 도입되는 정위치 결합수단을 이루는 덧살판의 결합통공 부위에 형성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 전주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기술의 발달과 수요 증대에 따라 휴대전화와 같은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신호를 중계하는 안테나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안테나를 통신 방해물이 없는 높이에 설치하거나 기타 송전용 용도로 사용되는 전주는 생산성, 운반용이성, 설치용이성이 모두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구 충족을 위하여 특허 제0745184호(2007년07월26일) [조립이 용이한 전주]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전주의 상부기둥 하부에 하부기둥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연결부재의 통공과 하부기둥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삽입공 위치가 자동으로 일치되어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고, 전주의 상부기둥과 하부기둥의 일측에 설치되는 사다리에 급전선 지지대를 구비하여 전주의 상부에 설치된 안테나에서 지상으로 연결되는 급전선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전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상하 기둥을 볼트로 체결하기 위하여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를 상부 기둥의 내부에 용접 결합하는 형태여서 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 상하 기둥 중첩부위에 유동방지돌기를 도입하는 것과는 별도로 상하 기둥의 통공이 일치하도록 하여 볼트 투입이 가능하도록 위치고정용 돌기와 홈을 별도로 도입한 것이어서 역시 생산성 저하 요인이 된다.
특히 상하 기둥의 중첩정도를 제한하는 지지턱에 위치고정용 돌기를 형성하는 것은 지지턱을 위한 링 제조를 어렵게 한다(이는 단순히 두께가 일정한 링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위치고정용 돌기를 함께 형성해야 하는 것이어서 그렇다).
또 상기 특허에서는 전주 내부를 통과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급전선(또는 케이블)이 상호 엉키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중첩 결합 부위에 연결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상하 분체로 이루어진 전주를 제공함에 있어, 연결수단을 이루는 암수 연결부 및 정위치 결합수단을 이루는 덧살판에 각각 형성된 결합통공이 상하 분체의 결합시 상호 일치하도록 하는
정위치 결합수단을 이루는 덧살판이 상하 분체의 요동방지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덧살판에 안내부를 형성하여 고정핀과 결합됨으로써 각 결합통공이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어 하나의 부재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연결형 전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하 분체의 중첩 결합 부위에 해당하고 또 연결수단을 이루는 암수 연결부를 보다 확고하게 체결하기 위하여 수나사를 도입하는 경우 수나사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상기 암연결부, 상기 수연결부 및 상기 덧살판 각각에 형성된 결합통공의 일부 또는 모두에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의 너트롤 용접 결합하지 않아도 되어 생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도록 한 연결형 전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정위치 결합수단을 이루는 덧살판과 고정핀이 각각 용접통공을 통하여 포인트용접이 가능하여 상호 결합되는 접면 부위에 용접살이 없으므로 치수 설계 용이성이 보장되고 균일한 품질 및 칫수 제공이 가능하여 역시 생산성 향상된 연결형 전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주 내부를 통과하여 급전선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급전선이 팽팽히 설치되어 상호 엉키지 않도록 상부, 특히 안테나 설치 부위와 하부, 특히 기저부와 연결된 최하부 분체 인출공 부위에 급전선 정리용 랙을 도입하고,
또 인출공이 형성된 최하부 분체가 취약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보강리브를 형성한 연결형 전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형 전주는
하부분체;
상기 하부분체와 연결되는 상부분체;
상기 상부분체 또는 상기 하부분체에 구비된 수연결부와, 상기 하부분체 또는 상기 상부분체에 구비된 암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수단;
상기 수연결부 또는 상기 암연결부에 결합되고, 안내부를 형성하는 덧살판과,
상기 암연결부 또는 상기 수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내부와 결합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정위치 결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연결형 전주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암연결부, 상기 수연결부 및 상기 덧살판 각각에 형성된 결합통공, 상기 결합통공의 일부 또는 모두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상호 결합된 상기 암연결부 및 수연결부의 결합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하는 수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연결부 또는 상기 암연결부와 덧살판의 일부 또는 모두와, 상기 암연결부 또는 상기 수연결부와 고정핀의 일부 또는 모두에는 용접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덧살판과 상기 고정핀의 결합이 포인트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지상에 고정된 하부분체에는 케이블 인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출공에는 다단을 이루는 케이블 엉킴방지 랙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형 전주는 중첩 결합 부위에 연결수단을 구비한 복수의 상하 분체로 이루어진 전주를 제공함에 있어, 연결수단을 이루는 암수 연결부 및 정위치 결합수단을 이루는 덧살판에 각각 형성된 결합통공이 상하 분체의 결합시 상호 일치하도록 하는 정위치 결합수단을 이루는 덧살판이 상하 분체의 요동방지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덧살판에 안내부를 형성하여 고정핀과 결합됨으로써 각 결합통공이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어 하나의 부재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또 상하 분체의 중첩 결합 부위에 해당하고 또 연결수단을 이루는 암수 연결부를 보다 확고하게 체결하기 위하여 수나사를 도입하는 경우 수나사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상기 암연결부, 상기 수연결부 및 상기 덧살판 각각에 형성된 결합통공의 일부 또는 모두에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의 너트롤 용접 결합하지 않아도 되며,
나아가 정위치 결합수단을 이루는 덧살판과 고정핀이 각각 용접통공을 통하여 포인트용접이 가능하여 상호 결합되는 접면 부위에 용접살이 없으므로 치수 설계 용이성이 보장되고 균일한 품질 및 칫수 제공이 가능하고,
아울러 전주 내부를 통과하여 급전선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급전선이 팽팽히 설치되어 상호 엉키지 않도록 상부, 특히 안테나 설치 부위와 하부, 특히 기저부와 연결된 최하부 분체 인출공 부위에 급전선 정리용 랙을 도입하고, 또 인출공이 형성된 최하부 분체가 취약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보강리브를 형성하여 생산성의 극대화와, 이동 편리성, 조립 편리성, 내구성 요건 충족이 모두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형 전주에 대한 전체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형 전주에서 안테나 부분에 대한 확도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형 전주에서 최하부 분체의 급전선 일출공 관련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형 전주에서 연결수단과 정위치 결합수단에 대한 관련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형 전주(P)를 설명함에 있어
'전주'라는 용어는 상징적인 선택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이 송전용도에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또 무선통신용 안태나를 위한 기둥용도 등으로 한정되어서는 안되고, 분체를 상호 조립하여 하나의 기둥을 형성한 물품을 사용할 수 있는 곳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전적 어의를 벗어난 해석의 확장은 '급전선'(C) 역시 마찬가지여서 다양한 케이블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관찰방향을 달리한 전주(P) 전체에 대한 도면들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형 전주(P)는 세 분체(P1)(P2)(P3)로 이루어지는데, '상부' 및 '하부'라는 용어는 상하로 상호 연결되는 분체를 구분하기 위한 상대적인 개념에 불과하며, 분체의 수는 2개 이상의 복수 개일 수 있다.
최하부 분체(P1)는 지상에 고정되는데 전주(P)의 하중과 압력 지탱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콘크리트와 철골로 이루어진 기저부(Pb)에 체결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최상부 분체(P3) 상부에는 다양한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는데, 무선 통신용 전주의 경우에는 안테나(Pa)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Pa)에는 산불 및 안전사고 관리용 카메라나 항공등이 설치되고, 피뢰침 기능을 가져야 한다.
또 상호 연결된 분체(P1)(P2)(P3)에는 사다리(Pl)가 형성되어 있어, 안테나(Pa)에의 접근성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사다리(Pl)는 각 분체 자체에 용접되거나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저부(Pb)에는 배수로(Pb1)가 형성되어 있어 전주 내부에 빗물 등이 고여 있어 부식되는 상황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2([A]는 사시도, [B]는 평면도임) 및 도 3([A]는 사시도, [B]는 정면도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체들이 상호 연결되고, 안테나(Pa)까지 조립되어 완성된 전주(P) 내부를 통과하여 급전선(C)을 포설하는 경우
(도 1 [A] 상부에는 안테나(Pa)에 가림막(Pa1)들이 장착되어 있어 친환경성이 증진된 변형모델이 도시되어 있다),
급전선(C)이 팽팽히 설치되어 상호 엉키지 않도록 상부, 특히 안테나(Pa) 설치 부위와 하부, 특히 기저부(Pb)와 연결된 최하부 분체(P1) 인출공(P1a) 부위에 급전선 정리용 랙(Pr1)(Pr2)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B]의 확대도(각각 평면도와 정면도임)에서와 같이, 최상부 분체(P3)와 안테나(Pa) 사이에 형성된 인입공(P3a) 양측에는 복수의 고정공(Prh)이 형성된 랙(Pr1)이 도입되어 있는데,
특히 상기 랙(Pr1)은 경사진 형태로 급전선(C)이 투입될 수 있도록 기울어져 있으며, 별도로 도시된 고정브라켓(Prf)과 같은 다양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급전선(C)을 고정하면 된다.
또 도 3 [B]의 확대도(각각 정면도 및 개략적인 측단면도임)에서와 같이, 전주(P) 내부를 통과한 급전선(C)은 차례로 최하부 분체(P1)의 인출공(P1a)에 장착된 랙, 특히 다단을 이루는 케이블 엉킴방지 랙(Pr2)에 차례로 고정되는데, 역시 복수의 고정공(Prh)이 형성된 랙(Pr2)에는 고정브라켓(미도시됨)과 같은 다양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급전선을 확고하고 팽팽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랙(Pr2) 역시 경사진 형태로 급전선(C)이 인출될 수 있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인출공(P1a)이 형성된 최하부 분체(P1)가 취약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1 [A] 및 도 3 [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낮은 보강리브(P1r')와 인출공(P1a) 상단 보다 더 높이 형성된 보강리브(P1r)가 교호로 형성된 형태이다(낮은 리브 2개 당 높은 리브 1개).
이어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상하 분체(P1)(P2)(P3) 상호 결합을 위한 연결수단(10)과 정위치 결합수단(20)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연결수단(10)은 각 분체의 중첩 결합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에 형성된 암수 연결부를 포함하는데,
도면에서는 상부분체(P2)에 수연결부(13)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분체(P1)에 암연결부(11)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전주(P)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차츰 직경이 감소되는 경우에 제조용이성을 고려하여 채택한 형태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상부분체에 암연결부를 구성하고, 하부 분체에 수연결부를 구성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4 [A]에서는 상기 수연결부(13) 상부에 암수 연결부(11)(13)의 중첩 정도를 제한할 수 있는 걸림턱(13A)이 형성되어 있는데, 단순하게 높이가 일정한 링형상의 부재를 용접하여 도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위치 결합수단(20)은 상기 수연결부(13) 외면에 결합된 덧살판(21)과, 상기 덧살판에 형성된 안내부(21A)에 결합되며 상기 암연결부(11) 내면에 도입된 고정핀(23)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덧살판은 암연결부 내면에 도입되고, 고정핀은 수연결부 외면에 도입되는 형태로 변형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덧살판(21)은 상하 분체의 요동방지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각 암수 연결부(11)(13) 및 덧살판(21)에 형성된 결합통공(11a)(13a)(21a)이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하는 정위치 결합수단의 기능 모두를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 상기 고정핀(23)이 결합되는 안내부(21A)는 덧살판(21)의 불연속 부위에 해당하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도입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부(21A)는 초광말협(初廣末狹)(또는 하광상협(下廣上狹) 형상이고, 상기 고정핀(23)은 첨두부(23a)를 가져 상하 분체의 결합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10)은 상하 분체의 암연결부 및 수연결부(11)(13)가 보다 확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수나사(N)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통공(11a)(13a)(21a)이 암수 연결부(11)(13)와 덧살판(21) 각각에 형성되어 있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암수 연결부 결합시 각 결합통공의 일치는 정위치 결합수단(20)의 도움으로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 수나사(N)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는 별도의 너트를 용접하여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결합통공(11a)(13a)(21a)의 일부 또는 모두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도입함으로써 제조 용이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면에서는 상기 덧살판(21)의 결합통공(21a)에 암나사부(N)를 탭 가공하여 도입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정위치 결합수단(20)을 이루는 덧살판(21)과 고정핀(23)을 각 수암 연결부(13)(11)에 용접 결합함에 있어, 덧살판(21)과 고정핀(23) 외곽을 용접하는 방식을 취한다면 용접살로 인하여 그만큼 외곽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용접살은 불균일할 수밖에 없으므로 가능한 유격이 없도록 하는 것이 최상의 품질을 제공하는 것임을 고려하면 부적절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암연결부 또는 상기 수연결부와 고정핀의 일부 또는 모두에는 용접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덧살판과 상기 고정핀의 결합이 포인트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에서는 제조용이성을 고려하여 상기 덧살판(21)에 용접통공(21b)을 형성하고, 상기 암연결부(11)에 용접통공(11b)을 형성하고, 여기에 용접살을 채워 넣어 용접부(W)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포인트용접 방법을 사용하여 상호 결합되는 접면 부위에 용접살이 없으므로 치수 설계 용이성이 보장되고 균일한 품질 및 칫수 제공이 가능하여 역시 생산성 향상된 연결형 전주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의 설명에서 금속 파이프를 이용한 전주, 특히 무선통신용 전주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전주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전주 P1,P2,P3: 분체
Pa: 안테나 Pb: 기저부
Pl: 사다리 P1a: 인출공
Pr1,Pr2: 랙 C: 급전선
10: 연결수단 11: 암연결부
13: 수연결부 11a,13a,21a: 결합통공
11b,21b: 용접통공 W: 용접부
20: 정위치 결합수단 21: 덧살판
21A: 안내부 23: 고정핀

Claims (2)

  1. 하부분체;
    상기 하부분체와 연결되는 상부분체;
    상기 상부분체 또는 상기 하부분체에 구비된 수연결부(13)와, 상기 하부분체 또는 상기 상부분체에 구비된 암연결부(11)를 포함하는 연결수단(10);
    상기 수연결부(13) 또는 상기 암연결부(11)에 결합되고, 안내부(21A)를 형성하는 덧살판(21)과,
    상기 암연결부(11) 또는 상기 수연결부(13)에 결합되고, 상기 안내부(21A)와 결합하는 고정핀(23)을 포함하는 정위치 결합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수단(10)은
    상기 암연결부(11), 상기 수연결부(13) 및 상기 덧살판(21) 각각에 형성된 결합통공(11a)(13a)(21a),
    상기 덧살판(21)의 결합통공(21a)에 형성된 암나사부(N)와,
    상호 결합된 상기 암연결부 및 수연결부의 결합통공(11a)(13a)을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부(N)와 결합하는 수나사(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연결부(13) 또는 상기 암연결부(11)와 덧살판(21)의 일부 또는 모두와,
    상기 암연결부(11) 또는 상기 수연결부(13)와 고정핀(23)의 일부 또는 모두에는
    용접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덧살판(21)과 상기 고정핀(23)의 결합이 포인트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부(21A)는 초광말협(初廣末狹) 형상이고, 상기 고정핀(23)은 첨부두(23a)를 가져 상하 분체의 결합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고,

    전주(P) 내부를 통과하여 급전선(C)을 포설하는 경우
    상기 하부분체 중 최하부 분체(P1)에는 케이블 인출공(P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분체 중 최상부 분체(P3)와 안테나(Pa) 사이에 형성된 인입공(P3a)이 형성되어 있으며,
    급전선(C)이 팽팽히 설치되어 상호 엉키지 않도록 안테나(Pa)가 설치된 최상부 분체(P3)와 최하부 분체(P1)의 인출공(P1a) 부위에 급전선 정리용 랙(Pr1)(Pr2)이 각각 설치되어 있되,
    상기 랙(Pr1)은 경사진 형태로 급전선(C)이 투입될 수 있도록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랙(Pr2)은 다단을 이루는 케이블 엉킴방지 랙이며, 경사진 형태로 급전선(C)이 인출될 수 있도록 각각 기울어진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연결형 전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공(P1a)이 형성된 최하부 분체(P1)가 취약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낮은 보강리브(P1r')와, 상기 인출공(P1a) 보다 더 높이 형성된 보강리브(P1r)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분체 중 최하부 분체(P1)는 전주(P)의 하중과 압력 지탱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콘크리트와 철골로 이루어진 기저부(Pb)에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연결형 전주.
KR1020100078465A 2010-08-13 2010-08-13 조립성이 향상된 연결형 전주 KR10115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465A KR101150342B1 (ko) 2010-08-13 2010-08-13 조립성이 향상된 연결형 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465A KR101150342B1 (ko) 2010-08-13 2010-08-13 조립성이 향상된 연결형 전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025A Division KR100998481B1 (ko) 2010-02-23 2010-02-23 연결형 전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584A KR20110097584A (ko) 2011-08-31
KR101150342B1 true KR101150342B1 (ko) 2012-06-08

Family

ID=4493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465A KR101150342B1 (ko) 2010-08-13 2010-08-13 조립성이 향상된 연결형 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89B1 (ko) 2019-09-30 2020-02-10 (주)나노통신기술 높이 가변형 조립식 카메라 폴 전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358B1 (ko) 2019-10-23 2020-09-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홀로그래픽 기반 지향성 음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89B1 (ko) 2019-09-30 2020-02-10 (주)나노통신기술 높이 가변형 조립식 카메라 폴 전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584A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342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연결형 전주
KR100998481B1 (ko) 연결형 전주
KR20160005310A (ko) 강관 버팀보를 이용한 가설 흙막이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51367B1 (ko) 회동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자유로운 회동각 구현이 가능한 브라켓 어셈블리 및 상기 브라켓 어셈블리가 구비된 지주
JP2007300826A (ja) パイプハウスの補強方法
KR100847124B1 (ko) 다단 조립식 송전 및 배전선로 전주
KR200464661Y1 (ko) 조립식 가로등주
JP2017043905A (ja) 耐火柱及びこれを備えた耐力壁
KR20140130000A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 방법
JP5391941B2 (ja) 鋼管コンクリート複合杭及び該鋼管コンクリート複合杭の継手構造
KR101259987B1 (ko) 연결 이음 콘크리트 전주
CN213806886U (zh) 一种可快速安装的分段式钢质组合柱
KR20130061890A (ko) 서비스 타워의 프레임 결합구조
KR102139278B1 (ko) 관형지지물용 하이브리드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CN208749364U (zh) 一种新型盾构管片接头
KR200424654Y1 (ko) 강관주
KR101885145B1 (ko) Src와 pc를 이용한 기둥과 보의 설치 구조
KR100948504B1 (ko) 조립식 가로등 등주
CN205804999U (zh) 预制装配式建筑塔吊的连接结构
KR20050037270A (ko)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CN211313565U (zh) 一种角钢塔
KR102337680B1 (ko) 버팀보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버팀보 조립체
KR200469173Y1 (ko) 시스템비계의 수직재와 수평재의 체결구
CN212271566U (zh) 一种顶层连杆
CN219622141U (zh) 一种组合式铝制阳台栏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