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188B1 - 연선기의 선재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 - Google Patents
연선기의 선재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0188B1 KR101150188B1 KR1020100079079A KR20100079079A KR101150188B1 KR 101150188 B1 KR101150188 B1 KR 101150188B1 KR 1020100079079 A KR1020100079079 A KR 1020100079079A KR 20100079079 A KR20100079079 A KR 20100079079A KR 101150188 B1 KR101150188 B1 KR 1011501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ool
- take
- chuck unit
- mover
- actu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3/0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D07B3/08—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 D07B3/1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take-up reel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rope or cable on the take-up reel in fixed position and the supply reels are fixed in position with provision for imparting more than one complete twist to the ropes or cables for each revolution of the take-up reel or of the guide member
-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02—Machine details; Auxiliary devices
- D07B7/10—Devices for taking-up or winding the finished rope or cable
-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7/00—Rope or cable making machines
- D07B2207/40—Machine components
- D07B2207/4031—Winding device
-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7/00—Rope or cable making machines
- D07B2207/40—Machine components
- D07B2207/4031—Winding device
- D07B2207/4036—Winding device comprising traversing means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또는 전력공급의 선로로 사용되는 케이블 등 전선의 선재를 제조하는 연선기의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장전장치는 몇가닥의 선이 집합다이스를 통해 유입되며 1차 꼬임공정으로 이룬 합사가 아치형의 아암을 따라 이송안내되어 가이드롤을 통과하면서 2차 꼬임, 그리고 이렇게 1.2차 연사과정을 거치어 이룬 선재가 일정 피치로 캡스턴롤에 의해 견인되어 고정자와 가동자로 이루는 척유닛에 교체식으로 설치되는 테이크업 스풀에 감겨지도록한 연선기로서, 척유닛의 하부에 한 쌍의 리드스크루 칼럼을 타고 승강하는 캐리어와, 캐리어상에서 그 캐리어를 타고 자유로이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테이크업 스풀이 탑재되는 캐리지로 이룬 리프트 및 척유닛 가동자의 구동을 액추에이터로 이루게 하고,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유체의 공급이 가동자 측에 설치되는 고정측과 아암의 공전 경로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는 가동측으로 양분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이루게한 어댑터를 갖추어서, 테이크업 스풀의 교체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관리성이 우수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 또는 전력공급의 선로로 사용되는 케이블 등 전선의 선재를 제조하는 연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된 선재를 거두어내는 테이크업 스풀의 공급 또는 인출시키는 연선기의 선재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선기는 몇가닥의 선을 꼬아 집합선재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그러한 연선기는 대략 몇가닥의 선이 집합다이스를 통해 유입되며 1차 꼬임공정으로 이룬 연사가 아치형의 아암을 따라 이송안내되어 가이드롤을 통과하면서 2차 꼬임, 그리고 이렇게 연사과정을 거치어 이룬 선재는 일정 피치로 캡스턴롤에 의해 견인되어 테이크업 스풀에 감겨지게 된다.
이러한 연선기에서 테이크업 스풀은 별도의 장전장치를 이용해 교체식으로 설치되게 하고 있는데,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전장치는 연선기의 내에 테이크업 스풀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척유닛과 선재의 와인딩이 완료된 테이크업 스풀 또는 공 테이크업 스풀을 척유닛으로부터 수거해 내거나 공급시키게 하는 리프트로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장전장치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그 일례로 선재의 와인딩이 완료된 테이크업 스풀은 대체적으로 중량물로서 그러한 중량물의 테이크업 스풀을 고정자와 가동자로 이루어 개폐되는 척유닛으로부터 수거 하는 작업은 수공적으로는 불가하여 액추에이터를 이용해 일측을 지축으로 하여 구동하는 크랭크방식의 리프트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크랭크방식의 리프트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안정되지 못하였다.
또 중량의 테이크업 스풀을 척유닛에 공급 또는 수거하기 위해서는 그 척유닛에 접촉 또는 이탈이 요구되고 있는 것으로 그러한 접촉.이탈은 중량의 테이크업 스풀을 리프트상에서 좌.우로 이동시키어야 하는데, 중량의 테이크업 스풀이 리프트상에 직접 실어져 리프트 상에서 이동 시 마찰 등으로 인해 그 접촉.이탈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척유닛에 테이크업 스풀을 공급 또는 수거하는 과정을 보면, 개폐되는 척유닛의 고정자와 가동자 사이로 삽입ㆍ이탈하게 되는데, 먼저 테이크업 스풀의 공급 시는 개방된 척유닛의 고정자와 가동자 사이로 테이크업 스풀을 삽입 후 가동자를 이용해 테이크업 스풀을 고정자 측으로 밀착시키어 고정되게 하고, 그리고 수거 시에는 폐쇄된 척유닛의 가동자를 일 측으로 끌어내어 분리 후 고정자 측에 일단이 걸쳐있는 테이크업 스풀을 일 측으로 이탈시키어 수거케 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테이크업 스풀을 고정ㆍ해제하는 가동자의 개폐는 기계적으로 이루지 못하고 작업자가 수공적으로 이루고 있는, 즉 척유닛의 주위로 아치형의 아암이 공전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가동자 구동을 위한 유압이나 공압관로들의 연결이 불가하여서 작업자의 수공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중량의 테이크업 스풀 교체 작업이 용이 하지 않아 작업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관리성이 저조한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한 쌍의 리드스크루 칼럼을 타고 승강하는 캐리어 상에 자유로이 이동하고 중량의 테이크업 스풀이 탑재되는 캐리지를 갖추어 리프트를 구성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테이크업 스풀의 교체 작업성을 향상시킨 연선기의 선재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척유닛 가동자의 구동을 액추에이터로 이루게 하고 그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유체의 공급이 양분되어 선택적으로 분리.접속하는 고정측과 가동측으로 이루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가능하게 함으로써, 척유닛의 구동을 기계적으로 이루어 안정되고 확고하며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선기의 선재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또는 전력공급의 선로로 사용되는 케이블 등 전선의 선재를 제조하는 연선기의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장전장치는 몇가닥의 선이 집합다이스를 통해 유입되며 1차 꼬임공정으로 이룬 합사가 아치형의 아암을 따라 이송안내되어 가이드롤을 통과하면서 2차 꼬임, 그리고 이렇게 1.2차 연사과정을 거치어 이룬 선재가 일정 피치로 캡스턴롤에 의해 견인되어 고정자와 가동자로 이루는 척유닛에 교체식으로 설치되는 테이크업 스풀에 감겨지도록한 연선기로서, 척유닛의 하부에 한 쌍의 리드스크루 칼럼을 타고 승강하는 캐리어와, 캐리어상에서 그 캐리어를 타고 자유로이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테이크업 스풀이 탑재되는 캐리지로 이룬 리프트 및 척유닛 가동자의 구동을 액추에이터로 이루게 하고,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유체의 공급이 가동자 측에 설치되는 고정측과 아암의 공전 경로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는 가동측으로 양분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접속하는 것으로 이루게한 어댑터를 갖추어서, 테이크업 스풀의 교체작업이 간편 용이하고 관리성이 우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선기의 선재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에 의하면, 종래 척유닛이 아암의 공전 내에 위치되어 척유닛 측으로 기계적인 동력전달이 불가하여 테이크업 스풀의 교체 작업을 수공적으로 이루었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척유닛의 가동자를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게 함과 아울러, 그 액추에이터에 고정측과 가동측으로 양분되어 아암의 구동 시에서는 분리되어 단절되고 아암의 정지에서는 접속하는 어댑터를 이용해 공압의 공급되게하여 소기의 교체작업을 이루게 함으로써, 테이크업 스풀의 장착이 안정되고 확고하며 기계적인 신뢰성을 얻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한 쌍의 리드스크루 칼럼을 타고 상하로 승강하는 캐리어상에 그 캐리어를 타고 좌.우로 이동되게 설치되는 캐리지를 이용해 중량의 테이크업 스풀을 척유닛으로 부터 간편히 수거되게 함으로써, 교체 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안전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장전장치가 적용된 연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정면도로서, 선재의 와인딩 공정을 위해 테이크업 스풀이 척유닛에 장전된 모습을 보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 장전장치가 적용된 연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정면도로서, 어댑터가 접속되어 척유닛의 가동자를 해제시킴과 동시 와인딩이 완료된 테이크업 스풀을 리프트가 상승되어 받아내는 과정의 모습을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 장전장치가 적용된 연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정면도로서, 와인딩이 완료된 테이크업 스풀이 탑재된 리프트가 하강되어 수거 과정의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 장전장치가 적용된 연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정면도로서, 어댑터가 접속되어 척유닛의 가동자를 해제시킴과 동시 와인딩이 완료된 테이크업 스풀을 리프트가 상승되어 받아내는 과정의 모습을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 장전장치가 적용된 연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정면도로서, 와인딩이 완료된 테이크업 스풀이 탑재된 리프트가 하강되어 수거 과정의 모습을 보여 주는 설명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선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대(10) 상부의 일 측에 집합다이스(12)가 설치되고, 이 집합다이스(12)에 연이어서 그 집합다이스(12)와 동일한 축길이방향에서 고정자(20a)와 가동자(20b)로 양분되어 이루는 척유닛(20)이 설치되며, 그리고 이 척유닛(20)의 주위에 별도의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집합다이스(12)와 동심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고속하는 아치형의 아암(14)을 구비하여서, 기대(10) 상의 일 측에 설치되는 집합다이스(12)에 몇가닥의 선들(W)이 유입되어 1차 꼬임공정으로 이룬 합사가 별도의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으로 회전하는 아치형의 아암(14) 일단으로 유입되어 이송안내되고, 그 아암(14)의 타단으로 유출되어 가이드롤(16)을 통과하면서 2차 꼬임, 그리고 이렇게 1.2차 연사과정을 거치어 이룬 선재(WR)가 일정 피치로 캡스턴롤(18)에 의해 견인되어 척유닛(20)에 교체방식으로 설치되는 테이크업 스풀(22)에 와인딩시키어 선재를 제조하는 연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핵심적인 기술은 척유닛(20)에 공 테이크업 스풀(22)을 공급 또는 연사 제조공정을 이룬 선재(WR)가 와인딩 완료된 테이크업 스풀(22)을 수거해내는 장전장치의 구조 혁신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장전장치는 척유닛(20)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공 또는 와인딩이 완료된 테이크업 스풀(22)을 들어 올리고 내리는 리프트(30)와, 척유닛(20)의 가동자(20b)가 공압을 이용한 액추에이터(40)로 구동되게 함과 아울러, 그 액추에이터(40) 구동을 위한 공압의 공급경로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즉 액추에이터(40)가 아암(14)의 공전 내측에 위치되어 연선기의 제조과정에서는 분리되어 있다 연선기의 구동이 정지되어 테이크업 스풀(22)의 교체 시 선택적으로 접속되면서 액추에이터(40) 측으로 공압을 임의적이고 선택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게한 어댑터(50)를 구비하여 이루고 있다.
먼저, 장전장치의 리프트(30)는 척유닛(20)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리드스크루 칼럼(3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것으로 승강하는 캐리어(34)와, 이 캐리어(34) 상에서 레일(34a)을 타고 자유로이 좌.우로 이동하며 테이크업 스풀(22)이 탑재되는 캐리지(3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캐리지(36)가 레일(34a)을 타고 이루는 이동은 도 2에서와 같이 중량의 테이크업 스풀(22)을 척유닛(20)으로 부터 수거 시 그 척유닛(20)의 고정 또는 가동자(20a,20b)가 분리된 후 고정자(20a) 측으로부터 테이크업 스풀(22)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이탈과정의 도움은 물론, 반대로 고정자(20a) 측으로 테이크업 스풀(22)을 정전하는 경우에도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또 어댑터(50)는 척유닛(20)의 가동자(20b) 측에 설치되는 고정측(52)과, 이 고정측(52)과 분리되어 접속.분리됨과 동시 고정측(52)과 분리되어 대기 시에서는 아암(14)의 공전 경로를 벗어나 외측에 위치하는 가동측(54)으로 양분되어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액추에이터(54a)에 의해 도 2에서와 같이 접속되면서 척유닛(2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될 것이다.
또한 어댑터(50)의 고정측(52)이 척유닛(20)의 가동자(20b) 측에 코일형의 완충요소(52a)를 이용해 일단이 의지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설치되어 가동측(54)의 접속 시, 예를 들어 고정측(52)과 가동측(54)이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못하고 다소 어긋난 위치에 있는 경우 고정측(52)이 유연하고도 자유로이 탄력적으로 유동하면서 어댑터(50)의 결합 정렬을 자동적으로 이루게 하고 있다.
본 발명 연선기의 정전장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도 1은 척유닛(20)에 테이크업 스풀(22)이 장전되어 연사공정이 완료된 선재가 와인딩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선재의 와인딩 공정이 완료된 테이크업 스풀(22)을 척유닛(20)으로부터 해제시키어 수거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먼저 분리되어 아암(14)의 공전 외측에서 대기하고 있던 어댑터(50)의 가동측(54)이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결합됨과 동시, 공압이 척유닛(20)의 가동자(20b)로 공급되면서 테이크업 스풀(22) 일단으로부터 분리시키어 해제상태를 이룬다. 이때 리프트(30)의 캐리어(34)는 상승되어 대기하고 있다 테이크업 스풀(22)을 캐리지(36)으로 받아냄과 동시, 그 캐리어(34) 상에서 레일(34a)을 타고 자유로이 좌.우로 이동하는 캐리지(36)를 도면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시키어 중량의 테이크업 스풀(22)을 척유닛(20)의 고정자(20a)로 부터 이탈시킨 후 하강을 대기 한다.
도 3은 테이크업 스풀(22)이 척유닛(20)으로부터 분리되어 받아낸 신호가 주어지면 리프트(30)의 캐리어(34)가 하강되어 수거과정이 완료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이렇게 리프트(30)의 캐리어(34)가 하강된 상태는 상기의 수거과정과 공 테이크업 스풀(22)의 교체과정을 이루게 될 것이다.
또한 척유닛(20)으로 공 테이크업 스풀(22)의 공급은 상기에서 설명한 수거과정이 역순으로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기대 12 :집합다이스
14 :아암 16 :가이드롤
18 :캡스턴롤 20 :척유닛
20a :고정자 20b :가동자
22 :테이크업 스풀 30 :리프트
32 :리드스크루칼럼 34 :캐리어
36 :캐리지 40 :액추에이터
50 :어댑터 52 :고정측
54 :가동측
14 :아암 16 :가이드롤
18 :캡스턴롤 20 :척유닛
20a :고정자 20b :가동자
22 :테이크업 스풀 30 :리프트
32 :리드스크루칼럼 34 :캐리어
36 :캐리지 40 :액추에이터
50 :어댑터 52 :고정측
54 :가동측
Claims (2)
- 몇가닥의 선이 집합다이스를 통해 유입되며 1차 꼬임공정으로 이룬 합사가 아치형의 아암을 따라 이송안내되어 가이드롤을 통과하면서 2차 꼬임, 그리고 이렇게 1.2차 연사과정을 거치어 이룬 선재가 일정 피치로 캡스턴롤에 의해 견인되어 고정자와 가동자로 이루는 척유닛에 교체식으로 설치되는 테이크업 스풀에 감겨지도록한 연선기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것:
상기 척유닛의 하부에 한 쌍의 리드스크루 칼럼을 타고 승강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상에서 그 캐리어를 타고 자유로이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테이크업 스풀이 탑재되는 캐리지로 이룬 리프트; 및
상기 척유닛 가동자의 구동을 액추에이터로 이루게 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유체의 공급이 상기 가동자 측에 설치되는 고정측과 상기 아암의 공전 경로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는 가동측으로 양분되어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이루게한 어댑터를 갖추어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선기의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고정측에 상기 가동측의 접속 시 자유로이 유동하면서 상기 어댑터의 결합 정렬이 이루도록한 완충요소를 갖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연선기의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9079A KR101150188B1 (ko) | 2010-08-17 | 2010-08-17 | 연선기의 선재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9079A KR101150188B1 (ko) | 2010-08-17 | 2010-08-17 | 연선기의 선재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6704A KR20120016704A (ko) | 2012-02-27 |
KR101150188B1 true KR101150188B1 (ko) | 2012-06-12 |
Family
ID=4583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9079A KR101150188B1 (ko) | 2010-08-17 | 2010-08-17 | 연선기의 선재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018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2880B1 (ko) * | 2015-03-23 | 2015-05-27 | 이중태 | 집합기 |
CN106486211A (zh) * | 2016-11-01 | 2017-03-08 | 沈晓坤 | 移动式电缆立体存储加工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1239B1 (ko) * | 2012-03-02 | 2013-06-07 | 관 욱 김 | 전선의 제조장치 |
CN106205877A (zh) * | 2016-09-30 | 2016-12-07 | 巢湖市金业电工机械有限公司 | 可进行高效收线的电缆成缆机 |
CN108190651A (zh) * | 2017-12-28 | 2018-06-22 | 内蒙古万琪机械加工有限责任公司 | 一种采煤巷道电缆收卷装置 |
KR102517084B1 (ko) | 2021-04-22 | 2023-03-31 | 김진영 | 연선기의 선재 소성 장치 |
CN113321051B (zh) * | 2021-06-25 | 2022-08-26 | 上海南洋电工器材股份有限公司 | 一种电线加工用调节式并联放线机 |
CN115472342B (zh) * | 2022-09-24 | 2024-07-12 | 华辰电缆有限公司 | 复合电缆用成缆机及加工工艺 |
CN117292893B (zh) * | 2023-11-27 | 2024-01-26 | 天津小猫天缆集团有限公司 | 一种旋转合股的电缆合股机 |
CN118197713B (zh) * | 2024-05-17 | 2024-09-17 | 北京电线电缆总厂保定有限责任公司 | 一种电缆生产用的可调节型束丝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8368A (ko) * | 1998-12-07 | 2000-07-05 | 정생규 | 스틸코드 권취 구동 시스템 |
KR20020001268A (ko) * | 2000-06-27 | 2002-01-09 | 윤종용 | 이온 주입 장치 |
KR100825063B1 (ko) | 2006-08-25 | 2008-04-24 | 주식회사 효성 | 권선기 |
-
2010
- 2010-08-17 KR KR1020100079079A patent/KR1011501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8368A (ko) * | 1998-12-07 | 2000-07-05 | 정생규 | 스틸코드 권취 구동 시스템 |
KR20020001268A (ko) * | 2000-06-27 | 2002-01-09 | 윤종용 | 이온 주입 장치 |
KR100825063B1 (ko) | 2006-08-25 | 2008-04-24 | 주식회사 효성 | 권선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2880B1 (ko) * | 2015-03-23 | 2015-05-27 | 이중태 | 집합기 |
CN106486211A (zh) * | 2016-11-01 | 2017-03-08 | 沈晓坤 | 移动式电缆立体存储加工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6704A (ko) | 2012-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0188B1 (ko) | 연선기의 선재 테이크업 스풀 장전장치 | |
CN107146710B (zh) | 一种电子变压器全自动穿套管绕线机 | |
CN201825596U (zh) | 一种自动排线收线机 | |
US20160307698A1 (en) | Full-automatic Network Transformer Winding Machine | |
CN105378165B (zh) | 纱线制造装置 | |
CN207651340U (zh) | 一种电子变压器全自动穿套管绕线机 | |
JP2008022696A (ja) | 複数ワイヤ同時巻線方法及びその巻線装置 | |
CN106586678A (zh) | 纱线收集装置 | |
CN201256031Y (zh) | 管绞机和框绞机结合的电缆绞制生产线 | |
CN201004314Y (zh) | 自动琴弦缠绕排线机 | |
CN104428229B (zh) | 细长元件从一个卷轴向另一卷轴的传递 | |
CN107272128B (zh) | 一种具有独立式飞梭的高速光缆成缆扎纱绞合机 | |
CN112430852B (zh) | 天然纤维丝制取抽丝系统 | |
CN109911703A (zh) | 一种零张力光纤复绕设备 | |
KR101271239B1 (ko) | 전선의 제조장치 | |
CN112575390B (zh) | 天然纤维原料对齐设备 | |
CN211812710U (zh) | 一种同步绕制多个导电纤维丝团的装置 | |
CN211254793U (zh) | 一种具有限位导线功能的钢丝合股机 | |
CN210349448U (zh) | 一种笼式绞线机的主动放线恒张力装置 | |
CN210676781U (zh) | 一种多杆联动式铁网丝绕簧机 | |
ITBO940047A1 (it) | Ritorcitoio a raccolta interna, con collettore ad anelli a ridotto numero di componenti | |
CN217024791U (zh) | 一种数控电熔管件绕线机用压线装置 | |
CN105914033A (zh) | 一种汽车电磁阀线圈卷绕工艺 | |
CN215558607U (zh) | 一种智能电动导绳器 | |
CN111824851A (zh) | 蝶型光缆加强件生产用绕线盘自动定位安装的放线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