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837B1 -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그 통신 제어 방법, 전송국, 및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그 통신 제어 방법, 전송국, 및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837B1
KR101149837B1 KR20097012461A KR20097012461A KR101149837B1 KR 101149837 B1 KR101149837 B1 KR 101149837B1 KR 20097012461 A KR20097012461 A KR 20097012461A KR 20097012461 A KR20097012461 A KR 20097012461A KR 101149837 B1 KR101149837 B1 KR 101149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frame
transmission
communication por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1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171A (ko
Inventor
신야 고노
야스히사 시오바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091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3Loop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37Ring fault isolation or re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Abstract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한 쌍의 통신 포트(10, 11)를 구비한 두 개 이상의 전송국 #ST1 내지 전송국 #ST8의 내에서 어느 하나의 인접하는 두 개의 전송국이 종단국이 되고, 어느 하나의 전송국이 기점이 되어, 상호 간을 링 형상으로 접속하여 이중 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전송국 #ST1 내지 전송국 #ST8은 인접하는 접송국으로부터 프레임 신호가 수신됐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프레임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는, 경로 확인을 위한 경로 확인 프레임 신호를 인접한 전송국에 송신하고, 경로 확인 프레임이 인접한 전송국으로부터 반송신되지 않았을 때는, 현재의 종단국을 대신하여 자국을 종단국으로서 설정하여서, 링 형상으로 연결된 후속 전송국에는 송달하지 않도록 한다.
Figure R1020097012461
통신 포트, 전송국, 종단국, 네트워크

Description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그 통신 제어 방법, 전송국, 및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DOUBLE RING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TRANSMISSION STA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TRANSMISSION STATIONS}
본 발명은, 복수의 전송국이 쌍방향 통신에 적합한 통신로를 통해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된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각 전송국이 통상은 링의 양방향으로 동시에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고, 전송 프레임은 각각의 전송국에 의해 수신되고 중계됨으로써, 링 내의 모든 전송국과 상호 교신을 실행을 허용한다.
특히, 송출된 전송 프레임이 링을 따라 계속해서 순환하지 않도록, 인접한 한 쌍의 전송국이 종단국으로서, 전송 프레임의 쌍방향으로의 중계를 금지하고, 링 형상이지만 버스형과 등가인 이중 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중 링 네트워크에서 1 개소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건전 기능을 유지하는 전송국으로부터, 새로운 위치에서 쌍을 이루는 전송국을 종단국으로 변화시켜, 전면 정지를 피하도록 한 용장화(冗長化)의 제어 방식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전송국 간에서 전송되고 제어 시스템에 관계되는 전송 프레임이나 애플리케이션에 체용되는 데이터 프레임과 인터페이스가 ISO/IEC8802-3 이더넷(등록 상표) 규격에 준거하고, 또한 OSI(ISO/IEC7498-1) 물리층으로서, 상위층의 데이터 링크층, 특히 전송 프레임 사이의 공통 전송로 상에서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공통 전송로의 액세스 제어를 실행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 시스템(MAC)으로 한정하지 않는 물리층으로서의 이중 링 네트워크의 구성 제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전송국의 상호간을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로를 통해, 링 형상으로 차례로 접속하여 구성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각 전송국이 양방향으로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는데 적합하다.
이들 각 전송국은, 현재의 전송국 중 하나는 제어국이 되도록 정해져서, 각각의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된 전송 프레임이 링 내를 계속해서 순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전송국에서 전송 프레임 흐름을 차단하는 이 시스템의 종래 예로서는, 일본 특허 제3,461,954호 공보(특허문헌 1)가 있다.
이 특허문헌 1에서, 가동 중에, 어느 1 개소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전송국이 중앙 제어국으로서, 네트워크 내의 전송국과, 특히 고장을 검출한 전송국과 주로 교신에서 고장 부분을 분리하다.
또는, 정상 교신하는 전송 프레임이 끊어진 것으로 고장을 판단하면, 고장 부분을 분리하고, 제어국으로서 지금까지 차단하고 있던 전송 프레임의 쌍방향 중계를 실행함으로써, 1 개소 고장에 의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면 다운을 회피하는 시스템이 행해진다.
유사한 시스템으로서, IEEE 802.5 토큰 링 시스템 네트워크도 있다.
한편, 각 전송국은, 항상 링 상에서 일 방향으로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고, 각 전송국은 다른 전송국이 송출한 전송 프레임을 중계하고, 링을 순회하여 온 임의의 전송 프레임은, 그 전송 프레임을 송출한 전송국에서 폐기함으로써, 링 내를 전송 프레임이 계속해서 순환하지 않도록 한 링 형상 네트워크로서 ANSI X3T 9.5FD DI가 있다.
이 타입의 네트워크에서는, 상호 쌍방향 통신이 허용된 통신로를 가지고, 항상 한 방향의 통신로를 채용하고, 다른 방향의 통신로는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가동 중에, 어느 1 개소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거기에서 전송 프레임의 차단되고, 미리 지정된 중앙 전송국과 고장 개소에 인접한 전송 장치가 주로 교신함으로써, 고장 부분을 사이에 둔 쌍을 이루는 인접한 전송국에서 통신로를 반대로 꺾어, 지금까지 대기 상태에 있던 반대 방향의 통신로를 살림으로써, 통신로로서는 두 배 길이가 되지만 새로운 링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이로써, 1 개소 고장에 의한 네트워크의 전면 다운을 회피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예에서는, 보통은, 링 형상 네트워크의 고정된 1 개소에서 전송 흐름을 차단한다.
차단될 개소는, 미리 고정적으로 정해진 중앙의 제어국, 혹은 공통 전송로에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는 전송권이 일시적으로 주어진 전송국에 위치하며, 이 전송국은 전송권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 전송로를 제어하는 제어국이 된다.
또한, 각 데이터 전송 장치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1 개소로부터 송신 하고, 각 데이터 전송 장치를 1 개소로부터 원격 제어하여 관리하고, 관리 작업 효율의 향상과 작업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처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3,461,95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5-289968호 공보
그러나, 이들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1 개소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그 네트워크에 고유한 전송로 제어 시스템에 대한 처리 따라, 제어국과 고장 개소에 인접한 전송국이 그 사이에서 통신 타이밍을 결정하거나, 또는 동기화로, 전자의 경우에는 절단하고 있던 제어국 내에서, 또는 후자의 경우에는 고장 개소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개소에서 반대로 꺾음으로써, 전면 정지를 피하고, 전송 프레임이 계속해서 순환하는 것을 피한다.
양 시스템은 전송로 제어 시스템에 의존하며, 그들 중에는 범용성에 제한이 있고, 응용한다고 해도 고장으로부터 복귀를 위한 제어에 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1 개소 고장에 대해 범용적인 시스템으로서 전송 제어 시스템과는 독립된 버스형 전송로를 제공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1은, 노드(전송국)와 전송국 사이가 단선인 경우에는, 반대로 꺾는 대책이 있다. 대신, 단선은 항상 1 개소로 발생하지 않고, 2 개소에서 단선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 특허문헌 1은 1 개소 단선을 상정해 두고 있으므로 2 개소 단선에 대해서는 용이하게 대처할 수 없으므로 작업원이 현장에 가서 종단국을 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1 개소의 단선을 수복한 후에, 다른 개소가 단선할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종단국이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갯 수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종단국을 설정해서 전송 프레임의 순환을 정지시키는 버스형의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공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갱신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전송로에 접속된 1 개소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의 갱신이 가능해지지만, 펌웨어의 갱신을 위해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새로운 펌웨어를 인스톨해 재기동하기 위해서, 하드웨어적으로 장치의 상태를 일단 정지하고 재기동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조작은 비실용적이며 펌웨어를 갱신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새롭게 종단국을 설정할 경우에는, 펌웨어를 갱신시키는데, 비용이 들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고안된 것이고, 복수(홀수 개 또는 짝수 개)의 전송국을 전송로를 통해 접속한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우(right)순환의 종단국 및 좌(left)순환의 종단국을 자동적으로 결정한 순환형으로 하지 않는 버스형의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초기화 후의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마스터국과 양 종단국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
도 2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세트를 이루는 전송국이 쌍방향 전송로 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송국 구성의 일 실시예(제 1)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구성 도면.
도 4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송국 구성의 일 실시예(제 2)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구성 도면.
도 5는 초기화 후의 양 종단국에서의 스위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초기화 개시 시의 각 국에서의 스위치 상태와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초기화 후의 양 종단국 및 노멀국에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초기화 개시로부터의 국 모드 천이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초기화 시의 전송국 간의 INZ 프레임 교신의 일 실시예(제 1)의 순서도.
도 10은 #STj 전송국에서의 초기화 처리(제 1)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STj 전송국에서의 초기화 처리(제 1)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초기화 시의 전송국 간의 교신예(제 1)의 순서도(전송국 ST1, ST2, 및 ST8의 경우).
도 13은 초기화 시의 전송국 간의 교신예(제 1)의 순서도(전송국 ST1, ST2, 및 ST8의 경우).
도 14는 초기화 시의 전송국 간의 INZ 프레임 교신의 일 실시예(제 2)의 순서도.
도 15는 #STj 전송국에서의 초기화 처리(제 2)의 순서도.
도 16은 #STj 전송국에서의 초기화 처리(제 2)의 순서도.
도 17은 초기화 시의 전송국 간의 교신예(제 2)의 순서도(전송국-ST1, ST2, 및 ST8의 경우).
도 18은 초기화 시의 전송국 간의 교신예(제 2)의 순서도(전송국-ST1, ST2, 및 ST8의 경우).
도 19는 #ST10과 #ST9 사이에서 전송 이상이 발생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ST10과 #ST9 사이에서 전송 이상이 발생 후, 수신 이상 검출 및 SYN 무검출에 의한 각 국의 스위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1 개소 고장으로부터의 재구성의 일 실시예(제 1)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22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1 개소 고장으로부터의 제구성의 일 실시예(제 2)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23은 ISO/IEC 8802-3 이더넷(등록상표) 전송 프레임의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자동 종단국 설정 기능의 개략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5는 초기 단계에서의 종단국의 설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6은 종단국의 교환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7은 전송국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초기화 처리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초기화 처리 시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송국(#ST1) 2 : 전송국(#ST2)
3 : 전송국(#ST3) 4 : 전송국(#ST4)
5 : 전송국(#ST5) 6 : 전송국(#ST6)
7 : 전송국(#ST7) 8 : 전송국(#ST8)
10 : 통신 포트부 11 : 통신 포트부
12 : 리피터 A(FW-A) 18 : 수신 허가 스위치(SW-RVC-A)
31 : 프레임 검지 판정부 32 : 수신 이상 검출 회로(RCV-ERR-A)
34 : SYN 프레임 검출 회로(SYN-DET-A)
37 :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RRR-DET-A)
38 : RRR 프레임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RRR-RCV-ADRS)
<제 1 실시예>
이것은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한 쌍의 통신 포트를 구비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가, 상기 통신 포트 쌍에 의해 전송로를 통해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하여 전송국 상호 간에 교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어 방법이고,
상기 각각의 전송국에 대해,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을 한번에 상기 전송국의 쌍을 이루는 통신 포트로부터 동시에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쌍을 이루는 통신 포트 중 하나의 통신 포트에서 수신되는 다른 상기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된 전송 프레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통신 포트에 대해, 다른 쪽 통신 포트가 되는 다른 통신 포트로 중계할 수 있고, 상기 다른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된 상기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 중 인접하여 쌍을 이루는 상기 전송국 각각에 대해,
하나의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전송 프레임을 송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송로를 통해 연결되는 다른 전송국의 통신 포트에서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을 당해 전송국에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응답되지만, 상기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로의 중계를 통해 상기 다른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수신된 전송 프레임을, 그 중계 방향에 있는, 링 형상으로 연결하는 후속 전송국에는 송달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으로 구성한 네트워크 내를 순환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실시예>
이것은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어 방법이고,
상기 전송국 세트는,
하나의 상기 전송국을 기점으로,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 중 링 형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전송국의 총 수와 상기 전송국의 상호 간을 접속하는 전송로의 총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의 인접하여 쌍을 이루는 상기 전송국의 각각에서, 상기 전송 프레임을 한쪽의 상기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실시예 : 청구항 3>
이것은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제어 방법이고,
상기 통신 포트를 통해 송출 및 수신하는 상기 전송 프레임 포맷, 상기 통신 포트의 전송로 인터페이스로서, ISO/IEC8802-3 규격을 따른다.
<제 4 실시예 : 청구항 4>
이것은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한 쌍의 통신 포트를 각각 구비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가, 상기 통신 포트 쌍에 의해 전송로를 통해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하여 전송국 상호 간에 교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이중 링 네트워크의 초기화 방법이고,
상기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 중 하나의 상기 전송국을 기점으로 하고, 상기 기점의 전송국은,
주기적으로 초기화를 지시하는 전송 프레임(INZ 프레임)을 양방향으로 송출하는 단계와,
이것을 수신 검출하는 각각의 전송국에 대해,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측의 통신 포트로의 전송 프레임의 중계를 금지 상태로부터 허가 상태로 하는 단계와,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에서 이후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取入)을 허가하고, 수신한 통신 포트 측에서 응답 확인으로서의 INZ 프레임(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송출함으로써 수신 확인의 응답을 하는 단계와,
상기 INZ 프레임을 송출한 후에, 최초에 상기 INZ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측의 통신 포트로의 중계 방향에 있는 하나의 인접한 전송국으로부터, 상기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 검출에 응답하여,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측의 통신 포트로의 전송 프레임의 중계를 금지 상태로부터 허가 상태로 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에서 이후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을 허가함으로써, 상기 전송국에서는 이후 쌍방향 측의 통신 포트에서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과 다른 측으로의 중계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링 형상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전송국의 총 수와, 상기 전송국을 서로 접속하는 전송로의 총 길이에 따라 결정된 상기 INZ 프레임을 양측의 통신 포트에서 수신하는 위치에 있는 전송국과, 상기 전송국과는 전송로를 통해 인접하는 위치가 되는 전송국 각각에 대해,
한 쪽의 상기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다른 전송국의 대향하는 통신 포트에서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을 당해 전송국에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응답되어, 상기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로의 중계를 허가 상태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신 취입이 또한 금지가 되는 종단국으로서 구성함으로써, 상기 종단국의 각각에서, 다른 종단국으로부터 수신한 전송 프레임을, 그 중계 방향에 있는 링 형상으로 연결되는 후속 전송국에는 중계 송신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상기 링 형상으로 구성한 네트워크를 순환하지 않도록 한다.
<제 5 실시예 : 청구항5>
이것은 실시예 4(청구항 4)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의 초기화 방법으로, 상기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 중, 하나의 상기 전송국을 기점으로 하는 전송국에 대해, 초기화를 지시하는 전송 프레임(INZ 프레임)을 양방향으로 송출하는 단계와,
이것을 수신 검출한 당해 전송국의 하나의 인접한 전송국에 대해,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측의 통신 포트로의 전송 프레임의 중계를 금지 상태로부터 허가 상태로 하는 단계와,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에서 이후 전송 프레임의 수신 및 취입을 허가하는 단계와,
응답 확인으로서의 INZ 프레임(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처로서 상기 수신한 INZ 프레임의 송신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양방향으로 송출함으로써 수신 확인의 응답하는 단계와,
상기 INZ 프레임을 송출한 후에, 최초에 상기 INZ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로의 중계 방향에 있는 하나의 인접한 전송국으로부터, 상기 하나의 인접하는 전송국의 자국을 지정한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의 수신 검출에 응답하여,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측의 통신 포트로의 전송 프레임의 중계를 금지 상태로부터 허가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에서 이후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을 허가함으로써, 당해 전송국에서는 이후 양측의 통신 포트에서 수신하는 전송 프레임의 수신 및 취입과 다른 측으로의 중계를 가능하게 하고,
INZ 프레임을 양방향으로 송출한 상기 기점의 전송국으로부터 시작하여, 링 형상의 양쪽 방향에 위치하는 각각의 전송국에서, 차례로 INZ 프레임을 수신에 응답하여, 다시 INZ 프레임을 양측의 통신 포트에서 송출함으로써,
상기 링 형상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전송국의 총 수와, 상기 전송국의 상호 간을 접속하는 전송로의 총 길이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와,
INZ 프레임을 양측의 통신 포트에서 수신하는 위치의 전송국과, 상기 전송국과는 전송로를 통해서 인접하는 위치가 되는 전송국의 각각에 대해,
한쪽의 상기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다른 전송국의 대향하는 통신 포트에서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을, 당해 전송국에서 검출해 상기 전송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응답되어, 상기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로의 중계를 허가 상태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신 취입이 또한 금지 상태가 되는 종단국으로서 구성함으로써, 상기 종단국의 각각에서, 다른 종단국으로부터 수신한 전송 프레임을, 그 중계 방향에 있는, 링 형상으로 연결되는 후속 전송국에는 중계 송신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으로 구성한 네트워크 내를 순환하지 않도록 한다.
<실시예 6 : 청구항 6>
이것은 실시예 5(청구항 5)에 따른 이중 링 네트워크에 대한 초기화 방법으로,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초기화 기간 내에서 먼저 INZ 프레임을 수신하면, 수신한 통신 포트(MS 포트) 측에 대향한 인접하는 전송국의 어드레스로서, 상기 수신한 INZ 프레임 중의 소스 어드레스를 상기 수신 포트의 식별자와 함께 유지하여 INZ 프레임에 응답하는 단계와,
이어서 상기 인접하는 전송국의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지정한 INZ 프레임을 양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송출 후에, 미리 지정한 시간 내에서 자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INZ 프레임을 MS 포트의 반대 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하면, 이 통신 포트 측에 대향한 인접한 전송국에서의 상기 응답 확인 INZ 프레임으로 하고,
상기 INZ 프레임 내의 소스 어드레스를 상기 수신 포트의 식별자와 함께 유지함으로써, 상기 전송국의 양측에 인접하는 각각의 전송국의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있게 한, 이중 링 네트워크의 초기화 방법이다.
<실시예 7(청구항 7)>
실시예 4(청구항 4), 실시예 5(청구항 5) 또는 실시예 6(청구항 6)에 기재의 이중 링 네트워크의 초기화 방법에서,
상기 하나의 전송국을 기점으로 하여, 링 형상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전송국의 총 수와, 상기 전송국의 상호 간을 접속하는 전송로의 총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 인접하는 상기 두 개의 종단국이 구성된 시점에서, 또는
초기화 도중에, 자국의 인접하는 전송국으로부터의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의 수신이 없음으로써 종단국이 된 시점에서,
이중 링 네트워크의 두 개의 종단국의 각각은, 초기화 종료의 표시와, 종단국 어드레스 및 종단국 모드를 포함하는 종단국 정보를 포함한 INZ-COMP 프레임을 송출함으로써, 또는 기점이 된 상기 하나의 전송국에서, 상기 INZ-COMP 프레임을 수신 검지함으로써,
이중 링 네트워크의 초기화가 완료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 8 : (청구항 8)>
이것은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두 개의 통신 포트를 구비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의 세트가, 각각의 상기 두 개의 통신 포트에 의해 전송로를 통해 링 형상으로 접속하여 전송국 상호 간에 교신을 행하도록 구성한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전송국이고,
초기화의 완료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전송국의 하나 이상이, 특정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수단과,
상기 각각의 전송국은, 한 쌍의 통신 포트 A 및 통신 포트 B(이들 두 개의 통신 포트(이후, 통신 포트 A, -B로 기재. 또한, 통신 포트 A를 통해 전송 프레임을 송출 및 수신하는 것에 연결되는 수단, 기능 등에 대해서는, 서픽스(suffix) -A 를, 마찬가지로 통신 포트 B에 대한 것에는, 서픽스 -B를 붙여서 이후 기재)를 통해 전송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주기적으로 송출된 전송 프레임으로부터 특정 정보가, 설정된 조건에 맞는 전송 프레임(이후, SYN 프레임으로 각각 기재)을 검출하는 “SYN 프레임 검출 수단 A, -B”와,
상기 SYN 프레임 검출 수단 A, 및 -B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SYN 프레임의 수신이 미리 설정한 기간에 걸쳐 없는 것을 검출하는 “SYN 무검출 수단 A, 및 -B"와,
한쪽의 통신 포트를 통해 주기적인 SYN 프레임의 도래가 연속해서 계속되는 상태 하에서, 다른 쪽의 통신 포트를 통해 주기적인 도래가 연속해서 미리 지정한 기간에 걸쳐 없는 것을 검출하는 “SYN 부재(absence)검출 수단"과,
통신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의 수신 신호 상태의 이상을 검출하는 “수신 이상 검출 수단 A, 및 -B를 각각 구비하고,
SYN 무검출 수단 A 또는 -B에 의해, SYN 무검출 상태를 검출한 통신 포트 A 또는 -B를 통해서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은 검출 및 판별되고, 상기 전송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응답하고, 수신한 통신 포트(통신 포트 A)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통신 포트 B)로의 중계를 통해 다른 통신 포트(통신 포트 B)로부터는 상기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지 않는 “블록 상태"(한편,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로의 중계를 통해 다른 통신 포트로부터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는 통신 포트의 상태를, "비블록 상태"라 이하 기재함)로 상기 통신 포트(통신 포트 A)를 이행하는 수단과,
수신 이상 검출 수단 A 또는 -B에 의해, 수신 이상 검출 상태를 검출한 통신 포트 A 또는 -B를 블록 상태로 함으로써 고장 발생의 검출로부터, 회복 순서에 의한 네트워크 기능 회복되는 사이, 복수의 전송국의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유지하는 수단을 가지고, 상기 종단국의 기능을 복수 전송국에서 달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9 : 청구항 9>
이것은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한 쌍의 통신 포트를 구비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가, 상기 통신 포트 쌍에 의해 전송로를 통해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하여 전송국 상호 간에 교신을 행하도록 구성한 이중 링 네트워크에서 이상 발생 시의 재구성 방법이고,
상기 초기화가 완료하고, 두 개의 인접하는 종단국에 의해,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의 네트워크 내를 계속해서 순환하지 않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전송국의 하나 이상이,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에서, 그 중 상기 SYN 프레임이나, 단발적으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을,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전송 프레임끼리의 충돌을 회피하는 전송로 제어 시스템을 따라 송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전송국은,
특정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이후, RRR 프레임으로 각각 기재)의 수신을 검출하는 “RRR 프레임 수신 검출 수단 A, 및 -B”와,
자국의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자국 어드레스 설정" 수단과,
통신 포트 A, 및 -B에 인접하는 전송국의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인접국 어드레스 설정 수단 A, 및 -B"와,
RRR 프레임 수신 검출 수단의 수신 출력으로부터, 수신한 RRR 프레임 중의 수신처 정보와 자국 식별 정보 간의 비교 일치를 검출하는 “어드레스 일치 검출 수단"과,
어드레스 일치 검출 수단의 일치 출력에 응답해서, 상기 RRR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 포트(이후, RRR 수신 포트라 기재)를 비블록 상태로 변경하는 “블록 포트 재설정 수단"과,
어드레스 일치 검출 수단의 불일치 출력을 응답해서, RRR 수신 포트에 대응한 인접하는 전송국의 식별 정보를 인접국 어드레스 설정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수신처로 지정하고 생성한 RRR 프레임을, RRR 수신 포트를 통해, RRR 프레임의 수신 완료의 타이밍에서 즉시 송출하는 “RRR 수신 응답 수단”과,
상기 RRR 프레임의 송출 후, 미리 지정한 시간 이내에, 자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을 감시해 검출하는 “RRR 응답 확인 수단“을 구비하고,
SYN 프레임을 송출하는 전송국(이후, 동기국으로 기재)을 포함하는 당해 전송국으로부터, 종단국을 포함하는 경로 상에서, 전송로나 전송국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종단국에 이르는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이상 발생에 대응해서, SYN 무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동기국을 향하는 경로 상에서 이상 발생 개소에 인접 하는 전송국에서는, 수신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통신 포트의 상태를, 각각 블록 상태로 해서 상기 두 개의 종단국 중, 동기국으로부터 이상 개소를 향하는 경로 상의 후속 위치하는 하나의 종단국에서는, 상기 SYN 부재검출 수단에 의한 이상 상태의 검출 출력과, SYN 부재검출 수단에 의한 SYN 무검출 출력으로부터, 동기국을 향하는 경로 상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상기 종단국(이후,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 기재)이 판단하는 단계와,
다른 종단국(이후, SYN 정상 종단국으로 기재)에 대해, SYN 프레임을 계속해서 정상적으로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SYN 정상 종단국으로부터 동기국 간은 정상적으로 통신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 대해,
SYN 부재검출 및 SYN 무검출 수단으로부터 SYN 부재 상태의 이상 발생을 검출하면, 즉시 수신처로서 SYN 정상 종단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을, 통신 포트 A, 및 -B를 통해 송출하는 단계와,
RRR 응답 확인 수단에서, SYN 정상 종단국과는 반대 측에 인접하는 전송국으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하는 단계와,
SYN 정상 종단국에 대해,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의 RRR 프레임을 수신하면, 자국이 수신처로서, 상기 블록 포트 재설정 수단에 의해, 종단국으로서 블록 상태에 있던 RRR 수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하는 단계와,
종단국 상태를 해제하고,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에 이르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해당 전송국은,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의 RRR 프 레임을 수신하면, 수신처가 아닌 것으로서, 상기 RRR 수신 응답 수단에 의해, SYN 부재검출 종단국을 향하는 인접하는 전송국을 수신처로 하는 RRR 프레임을 RRR 수신 포트를 통해, RRR 프레임의 수신 완료 후에 즉시 송출하는 단계와,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서는, RRR 응답 확인 수단에 의해,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으로부터 자국을 지정하는 RRR 프레임의 시간 내에서의 수신이 있으면, 이상 검출 시점으로부터 블록 상태로 하고 있던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 후, RRR 응답 확인 수단의 미리 지정한 시간이 경과 후에, 종단국으로서 원래 블록 상태에 있었던 다른 통신 포트도 비블록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종단국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와,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에 이르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RRR 응답 확인 수단에 의해,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으로부터 자국이 지정된 RRR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면, 이상 검출 시점으로부터 블록 상태로 있었던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하는 단계와,
SYN 부재검출 종단국을 향하는 이상 발생 개소에 인접하는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RRR 응답 확인 수단에 의해, 지정 시간을 경과해도 자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이 없으면, 통신 포트의 블록 상태를 유지하고, 새로운 종단국으로서 기능하는 단계와,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 인접하는 개소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RRR 응답 확인 수단에 의해, 미리 지정한 시간을 경과해도 자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이 없는 경우는, 이상 검출 시점에서 블록 상태로 하고 있던 통신 포트의 블록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종단국으로서 원래 블록 상태에 있던 다른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하고 새로운 종단국으로서,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동기국을 향하는 종단국과,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반대측을 향하는 종단국을, 새로운 이중 링 네트워크의 종단국으로 하도록 변경함으로써, 통신 이상의 발생 시에, 링 형상의 네트워크가 재구성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0 : 청구항 10>
이것은 상기 실시예 9(청구항 9)에 기재의 이중 링 네트워크의 이상 발생 시의 재구성 방법이고,
상기 초기화가 완료되고, 두 개의 인접하는 종단국에 의해,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의 네트워크 내를 계속해서 순환하지 않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전송국 중 하나 이상이,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 그 중에서, 상기 SYN 프레임이나, 단발적으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을,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 이중 링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송 프레임끼리의 충돌을 회피하는 전송로 제어 방식을 따라 송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각각의 전송국은, 자국의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자국 어드레스 설정" 수단과, 통신 포트 A, 및 -B에 인접하는 전송국의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인접국 어드레스 설정 수단 A, 및 -B”를 각각 구비하고,
SYN 프레임을 송출하는 전송국(이하, 동기국으로 기재)을 포함시켜 상기 전송국으로부터, 종단국을 포함하는 경로 상에서, 전송로나 전송국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종단국에 이르는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이상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SYN 무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수단과,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동기국을 향하는 경로 상에서 이상 발생 개소에 인접하는 전송국에서는, 수신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수단과,
검출한 통신 포트의 상태를, 각각에서 블록 상태로 해서, 상기 두 개의 종단국 중, 동기국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를 향하는 경로 상의 후속 위치하는 하나의 종단국에서는, 상기 SYN 부재검출 수단에 의한 이상 상태의 검출 출력과, SYN 무검출 수단에 의한 SYN 무검출 출력에 의해, 동기국을 향하는 경로 상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상기 종단국(이후,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 기재)이 판단하는 수단과,
다른 종단국(이후, SYN 정상 종단국으로 기재)에서는, SYN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계속해서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SYN 정상 종단국으로부터 동기국 간은 정상적으로 통신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수단과,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서는, SYN 정상 종단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전송 프레임 순서를 감시하고, 이중 링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송 프레임끼리의 충돌을 회피하는 전송로 제어 방식에 따라 자국에 할당된 전송 프레임의 송출 타이밍에서, 수신처로서 SYN 정상 종단국을 지정한, 특정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이후, RRR 프레임으로 기재)을, 통신 포트 A, 및 -B를 통해서 송출하고,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에서 자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수단과,
SYN 정상 종단국에서는,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의 RRR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수신한 RRR 프레임 중의 수신처 정보와 자국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 결과가 자국이 수신처인 경우에는, 상기 RRR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 포트(이후, RRR 수신 포트로 기재)를, 종단국으로서 블록 상태이었던 것을 비블록 상태로 하고, 종단국 상태를 해제하는 수단과,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에 이르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전송국의 각각에서는,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의 RRR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수신한 RRR 프레임 중의 수신처 정보와 자국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 결과가 수신처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RRR 수신 응답 수단에 의해, SYN 부재검출 종단국을 향하는 인접한 전송국을 수신처로 하는 RRR 프레임을, RRR 수신 포트를 통해, RRR 프레임의 수신 완료 후에, 즉시 송출하는 수단과,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서는,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으로부터 자국이 지정된 RRR 프레임을 미리 지정한 시간 내에서 수신하면, 이상 검출 시점으로부터 블록 상태에 있었던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변경하는 수단과,
RRR 응답 확인 수단의 미리 지정한 시간이 경과 후에, 종단국으로서 원래 블록 상태에 있었던 다른 통신 포트도 비블록 상태로 변경하고, 종단국 상태를 해제하는 수단과,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에 이르는 정상으로 기능하는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으로부터 자국이 지정된 RRR 프레임의 미리 지정한 시간 내에 수신의 확인에 응답하여, 이상 검출 시점으로부터 블록 상태로 하고 있던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하는 수단과,
SYN 부재검출 종단국을 향하는 이상 발생 개소에 인접하는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RRR 응답 확인 수단에 의해, 미리 지정한 시간을 경과해도 자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이 없는 것으로써, 통신 포트의 블록 상태를 유지하고, 새로운 종단국으로서 기능하는 수단과,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 인접하는 개소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미리 지정한 시간을 경과해도 자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이 없는 경우는, 이상 검출 시점에서 블록 상태로 하고 있었던 통신 포트의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과,
종단국으로서 블록 상태에 있었던 다른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하여, 새로운 종단국으로 하고,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동기국을 향하는 종단국과,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반대 측을 향하는 종단국을, 새로운 이중 링 네트워크의 종단국으로 하도록 변경하여, 통신 이상의 발생 시에, 링 형상의 네트워크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1(청구항 11)>
상기 실시예 9(청구항 9)로부터 실시예 10(청구항 10)에 기재의 이중 링 네트워크의 이상 발생 시의 재구성 방법으로,
상기 통신 포트를 통해 송출하고 수신하는 상기 전송 프레임 포맷, 및 상기 통신 포트의 전송로 인터페이스로서, ISO/IEC8802-3 규격을 따른다.
이하에 이것들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간단히, 이중 링 네트워크라 할 경우가 있음)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8대의 각 전송국(전송국1 내지 8)이,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쌍방향 전송로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서 링 형상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도 2에서는, 전송국 1을 #ST1, 전송국 2를 #ST2, 전송국 3을 #ST3, 전송국 4를 #ST4, 전송국 5를 #ST5, 전송국 6을 #ST6, 전송국 7을 #ST7, 전송국 8을 #ST8로 기재하고, 각 국의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실시예 1에 대하여는, 도 1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예가 된다. 도 1에서는 전송국 1(#ST1)이 마스터국(MS)이 되고, 전송국 5(#ST5) 및 전송국 6(#ST6) 종단국이 된 일례이다. 전술한 마스터국은 최초에 전원 투입되어서 기동한 것이 된다.
도 1에서는, 총계 8대의 전송국이 도 2의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과 동일하도록 상호 접속되지만, 본 발명의 이중 링 네트워크에서는, 도 2의 링 형상 네트워크 시스템에 없는, 상기 자국 자동 종단국 기능을 각 전송국이 가지고 있다.
이 자국 자동 종단국 기능은, 일 측의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되어, 전송로를 통해서 연결되는 다른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을 전송국에서 검출하고, 전송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응답은 하지만,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에는 중계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통신 포트로부터는 그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지 않는 기능을 가지는 전송국이, 전송국 5(#ST5)가 종단국 ST-T-L이 되고, 전송국 6(#ST6)이 종단 국ST-T-R로서 되고, 이 두 개로 일 조가 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으로 구성한 네트워크 시스템 내를 순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종단국 ST-T-L 및 종단국 ST-T-R이 각각 #ST5와 #ST6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1의 네트워크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은,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두 개의 통신 포트를 구비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의 세트에서, 두 개의 통신 포트에 의해 전송로를 통해 서로 링 형상으로 접속하여, 전송국 상호 간에 교신을 행하도록 구성한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전송국은,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을 한번에 두 개의 통신 포트로부터 동시에 인접하는 전송국에 각각 송출하도록 한다.
또한, 전송국은 두 개의 통신 포트 중 하나로부터 수신하는 다른 전송국에서 송출된 전송 프레임을 검출하고, 다른 통신 포트로 중계하고, 다른 통신 포트로부터 그 전송 프레임을 송출한다.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의 세트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전송국의 하나에서, 후술하는 특정 조건일 때에 하나의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되어, 전송로를 통해 연결되는 다른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을 전송국에서 검출하고, 전송 프레임은 전송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응답은 하지만,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에는 중계하지 않는다.
즉, 홀수이든 짝수이든 간에 특정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는, 타 측의 통신 포 트로부터는 그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 중계 방향에 있는, 링 형상에 연결되는 후속 전송국에는 송달하지 않도록 하고, 전송국에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내를 순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 2에 대하여는, 도 1에서 나타내는 #ST1이 마스터국으로서, 기점인 #ST1에 대하여, 전송국 수(이 예에서는 8대)와, 각각의 전송국 간의 전송로 길이에 따라, #ST5와 #ST6이 고유하게 종단국으로서 결정된다.
구체적인 결정 순서는, 청구항 4, 청구항 5, 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지만, 마스터국으로서 선택한 전송국으로부터 볼 때, 링 내의 대향 측에, 마스터국으로부터 카운트하여 전송국 총 수의 반 정도의 카운트 수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전송국의 각각이 종단국의 위치가 된다.
즉, 마스터국에 대해 위치가 결정되는 종단국을 구성함으로써,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으로 구성한 네트워크 내를 순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두 개의 통신 포트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전송국을 서로 링 형상으로 접속하여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한다. 또한, 해당 전송국은 동일한 전송 프레임을 한번에 두 개의 통신 포트로부터 동시에 송출하고, 하나의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하는 다른 전송국으로부터의 전송 프레임은 수신을 검출하고, 다른 통신 포트로 중계하여 다른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나의 전송국을 기점으로,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의 세트 중, 링 형상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송국의 총 수와 전송국의 상 호 간을 접속하는 전송로의 총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홀수 또는 짝수 포함)에 인접하는 두 개의 전송국을 종단국으로 설정하고, 이 해당 전송국들의, 하나의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되어, 전송로를 통해 연결되는 다른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된 전송 프레임을, 그 전송국에서 수신 검출한다. 또한, 종단국이 된 각각의 전송국은, 전송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각각 응답하지만,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로의 중계는 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단국이 된 해당 전송국은, 다른 통신 포트로부터는 그 전송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수신한 전송 프레임을, 그 중계 방향에 있는, 링 형상으로 연결되는 후속 전송국에는 송달하지 않음으로써,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으로 구성한 네트워크 내를 순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3(청구항 3)에서는, 성능 향상과 가격 저하가 현저한 송신기나 수신기 IC, 데이터 송수신 LSI나 회로 부품 등의 네트워크 부품, 액세서리 용품, 매체 변환 장치나 인터페이스 장치, 테스트 시험 장치 등의 이로운 활용이나 생성뿐만아니라, 이더넷(등록상표) 위로 전개되는 통신 프로토콜 확장 순서, 프로토콜 처리 펌웨어나 미들웨어, 또는 범용 IT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테스트 시험 순서 등 정합성과 실리면에서 우위로 될 수 있다.
실시예 4(청구항 4)로부터의 실시예 및 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송국의 장치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송국 구성의 일 실시예(제 1 및 제 2)가 되는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의 하드웨어 구성의 서로 간의 차이는, 특히, 도 4는 도 3의 하드웨어 구성으로부터,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RRR-DET-A),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9)(RRR-DET-B), 및 RRR 프레임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가 생략된 구성이며, 도 3과 구별하기 위해 도 4는 프레임 검출부(45)라 한다.
한 쪽의 통신 포트부(10)인 포트 A는, 인접국과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도록 수신기(RVR-A) 및 송신기(TVR-A)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쪽의 통신 포트부(11)인 포트 B는, 인접국과의 쌍방향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수신기(RVR-B) 및 송신기(TVR-B)로 구성되어 있다.
포트 A로부터의 수신에서는, RVR-A의 출력이 되는 포트 A로부터의 수신 신호(SIG-RV-A)는, 12인 리피터 A(FW-A), 수신 허가 스위치(18)(SW-RVC-A), 프레임 검지 판정부(31) 내로 인도되고, 여기서 수신 이상 검출 회로(32)(RCV-ERR-A), SYN 프레임 검출 회로(34)(SYN-DET-A),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7)(RRR-DET-A), RRR 프레임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1)(INZ-TX-ADRS-A)에 인도된다.
마찬가지로, 타 측의 통신 포트부(11)인 포트 B로부터의 수신에서는, RVR-B의 출력이 되는 포트 B로부터의 수신 신호(SIG-RV-B)는 15인 리피터(B)(FW-B),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 수신 이상 검출 회로(33)(RCV-ERR-B), SYN 프레임 검출 회로(36)(SYN-DET-B),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9)(RRR-DET-B), RRR 프레 임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2)(INZ-DET-B),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3)(INZ-TX-ADRS-B)에 인도된다.
이더넷(등록상표) 프로토콜에 따른 전송 프레임의 송신과 수신을 제어하는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로부터의 송신 출력은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 및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에 인도된다.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가 ON인 허가 상태의 시에는,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의 송신 출력 신호는, 한 쪽의 통신 포트부(10)가 되는 포트 A의 TVR-A에, 그리고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가 ON인 상태의 시에는, 다른 쪽의 통신 포트부(11)의 TVR-B에 송출된다.
스위치 상태가 OFF인 시에는, 송수신 제어 장치(21)(MAC/DLC:전송로 제어 장치라 함)의 송신 출력 신호는 스위치에서 커트되고, 결과적으로 대응하는 통신 포트로부터는 전송 프레임이 송출되지 않는다.
포트 A로부터 수신한 전송 프레임은 리피터(12)(FW-A)의 출력 및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를 경유하고, 포트 B의 TVR-B에 인도된다.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A)가 ON의 경우는, 포트 A로부터 수신한 전송 프레임은 결과적으로 중계되어 포트 B로부터 송출된다.
OFF의 경우는,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에 의해 커트되어 중계 송출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포트 B로부터 수신한 전송 프레임은 리피터(15)(FW-B)의 출력 및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를 경유해서 포트 A의 TVR-A에 인도된다.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가 ON인 경우에는, 포트 B로부터 수신한 전송 프레임은, 결과적으로 중계되어 통신 포트(10)(간단히 포트 A라고도 함)로부터 송출된다. OFF의 경우에는,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에 의해 커트되어 중계 송출되지 않는다.
포트 A로부터 수신한 전송 프레임은,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를 경유해서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CV-SEL)에 인도된다. 마찬가지로, 통신 포트(B)(간단히 포트 B라고도 함)로부터 수신한 전송 프레임은, 19인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를 경유해서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CV-SEL)에 인도된다.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CV-SEL)에서는, 포트 A 및 포트 B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판단하여, 중첩이 있을 경우에는, 먼저 도착한 포트 측에서 수신하는 전송 프레임을 우선하여 수신 완료까지 선택한다. 이 선착 판정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이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CV-SEL)로부터의 RCV-SEL 출력은, 전송로 제어 장치인 송수신 제어 장치(21)(MAC/DLC)에 인도되어, 수신 처리된다. 본 발명의 이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건전 상태에서 가동하고 있는 동안은, 링 형상으로 버스형 네트워크와 등가가 되므로, 종단국을 제외하는 전송국에서는,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는 전송국과 자국과의 위치 관계에 의해, 일시적으로는 어느 하나의 포트로부터 전송 프레임을 수신한다.
그리고, 종단국에서는, 링 형상의 접속 상태이기 때문에, 양쪽의 포트로부터 전송 프레임을 수신되지만, 보통은, 블록 상태에 있는 포트 측의 수신 허가 스위치 를 OFF로 하고, 비블록 상태의 포트 측에서 수신 입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수신 허가 스위치, 송신 허가 스위치, 중계 허가 스위치의 ON, OFF 상태를 바꾸어 제어한다.
MPU(24)는, 프로그램 메모리(PROM, 워킹 RAM 메모리, 및 RAM이 채용되고, 그 중 PROM)에 저장된 프로그램 순서에 의해, 필요한 설정치를 판독하고, RAM 내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입하고, 일시적으로 유지 또는 판독하고, 본 발명의 전송국에서의 시퀸스 순서 및 이더넷(등록상표) 전송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중핵이 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구성된다.
IOC(22)는, MPU(24)로부터의 기입 데이터를 받고, 필요한 회로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또는 각 회로로부터 상태 입력을 받고, MPU(24)가 판독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 회로로서 구성된다.
DP-RAM(26)인 듀얼 포트?메모리 회로는, MAC/DLC로부터 송수신하는 전송 프레임의 데이터의 저장, 및 전송국에 접속하는 외부 포트 장치(29)와의 호스트 접속 인터페이스 회로(28)(HOST-IF를 통한 송수신 데이터나 제어 커맨드 및 상태 스테이터스의 교환을 위한 메모리 회로)가 된다. DP-RAM(26)은, MPU(24), HOST-IF(28), 및 MAC/DLC(21)로부터 액세스되고 DPRAM 컨트롤러는 DPRC(27)에 의해 판독 및 기입 타이밍이 제어된다.
수신 이상 검출 회로(32)(RCV-ERR-A) 및 수신 이상 검출 회로(33)(RCV-ERR-B)는 각각 포트 A 및 포트 B에 대응한 수신 이상을 검출하는 회로다.
수신 이상은, 도래하는 프레임의 캐리어 신호가 분리되는, 규정 이상의 이더 넷(등록상표) 특유의 수신 클록 동기용 신호인 프리앰블 패턴의 수신일 수 있다.
반대로, 필수적인 프리앰블 패턴을 검출할 수 없거나, 이더넷(등록상표) 전송 프레임에 구비하는 전송 프레임의 오검출 코드(FCS)의 체크에 의해 규정 이상의 오류를 연속하여 검출하는 등의, 수신 잘못이 연속해서 규정 회수 이상에 감지됨으로써 검출 이상 발생이라 판단하지만, 감지 회로에서는 DLC/MAC에 구비되는 FCS 체크 수단과 그 결과의 MPU(24)에 의한 통계 처리를 제외한 범위가 된다.
SYN 프레임 검출 회로(34)(SYN-DET-A) 및 SYN 프레임 검출 회로(36)(SYN-DET-B)는 각각 포트 A 및 포트 B에 대응한 SYN 프레임의 도래를 검출하는 회로이다.
한편, SYN 부재검출회로(35)(NO-SYN-DET-A/B)는, SYN이 없는 롱 사이런트(long silent) 상태의 발생을 검출하는 회로이다.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7)(RRR-DET-A) 및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9)(RRR-DET-B)는 각각 포트A 및 포트 B에 대응한 RRR 프레임 수신을 검출하는 회로이다.
RRR 프레임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는, 수신한 RRR 프레임 중의 수신처 어드레스(DA) 부분을 취입하여 유지하는 회로이다. RRR-RCV-ADRS는 양측의 수신 신호를 취입하는 것이 가능한 회로 구성이 된다.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7)(INZ-DET-A) 및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8)(INZ-DET-B)는 각각 포트 A 및 포트 B에 대응한 INZ 프레임 수신을 검출하는 회로이다.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1)(INZ-TX-ADRS-A) 및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1)(INZ-TX-ADRS-B)는 각각 포트 A 및 B에 대응하고, 수신한 INZ 프레임 중의 소스 어드레스(SA) 부분을 유지하는 회로이다.
인터럽 신호 검출 회로(23)(IRP)는, 전송국 회로에서 검출한 사태(event) 발생을 MPU(24)에 인터럽 신호로서 전송할 수 있는 인터럽 신호의 검출 회로로서 구성된다.
인터럽 신호에는, 수신 이상 발생 검출(IRP-RE-A, -B), SYN 부재검출(IRP-NO-SYN), SYN 프레임 수신 검출(IRP-SYN-A, -B), RRR 프레임 수신 검출(IRP-RRR-A, -B), INZ 프레임 수신 검출(IRP-INZ-A, -B), MAC/DLC 송수신 완료 검출(IRP-DLC), MPU로의 처리 요구(IRP-HOST), MPU로부터 호스트 장치로의 처리 요구(IRP-STN) 등이 있다.
C-BUS는, MPU(24)에 연결되는 공통 데이터 버스가 되고, C-BUS를 통해서, MPU(24)는, 그 중 특히 NO-SYN-DET-A/B의 검출 상태나 RRR-RCV-ADRS에 유지되어 있는 RRR 프레임 수신처 어드레스 정보의 조각 및 INZ-TX-ADRS-A, -B에 유지되어 있는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정보의 조각을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 11(청구항11)로서, ISO/IEC8802-3 이더넷(등록상표) 규격에 따른 전송 프레임의 사용을 전제로 한다.
도 23에는, ISO/IEC8802-3 이더넷(등록상표) 규격에 따른 전송 프레임 포맷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한다.
도 23에서, PRE는 수신 신호 동기용의 프리앰블 패턴에서 7바이트 길이이고, SFD는 프레임 개시 패턴에서 1 바이트 길이이고, DA는 수신처 어드레스이고, SA는 소스 어드레스이고, LEN/TYPE은 전송 프레임의 프로토콜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코드 번호이고, Inf는 전송 프레임의 정보 필드가 된다.
RRR 프레임 수신처 유지 회로(41)(RRR-RCV-ADRS)는 DA부분을, 또한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1)(INZ-TX-ADRS-A), INZ 프레임 송신원 어드레스 유지 회로(43)(INZ-TX-ADRS-B)의 각각은 SA 부분을 전용으로 취입 유지하는 회로가 된다.
실시예 11(청구항 11)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는, 본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SYN, RRR, INZ, 또는 INZ-COMP의 전송 프레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한 이더넷(등록상표) 프레임 포맷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들 제어 프레임을 식별할 수 있는 포맷으로서의 실시예이면 된다. 실제적으로는, LEN/TYPE 번호를 취득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것은 이더넷(등록상표)의 프로토콜 Type 번호를 관리하는 등록국의 허가가 필요하다.
또한, 이미 취득하고 있는 프로토콜 Type 번호에서 규정되는 정보 필드에 식별 정보의 조각을 매입하는 방법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이더넷(등록상표)에서 일반적인 TCP/IP 프로토콜에서 규정되는 TCP 헤더 확장부나 TCP 데이터 필드의 확정한 위치에 식별 정보의 조각을 매입하는 방법이나, UDP 프로토콜에서 전용의 포맷을 실시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실시예 4(청구항 4)로부터 실시예 10(청구항10)에 대하여는, 상기 전송국의 장치 구성에서,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 중계 허가 스위치(14)(SW -FW-B),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 수신 허가 스위치(18)(SW-REC-A), 수신 허가 스위치(19)(SW-REC-B)의 각 스위치의 상태 제어가 실시하는 프로토콜에 맞춘 것이 포인트의 하나가 된다.
예를 들면, 전송국의 초기화 상태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컴퓨터부(30)의 CPU가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를 OFF,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를 OFF,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를 ON,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를 ON,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를 OFF,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를 OFF에 설정하는 동시에, MS 포트를 일정하지 않게, 국 모드를 일정하지 않게 한다. 즉, 전송국의 전원이 투입된 상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상태가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컴퓨터부(30)의 MPU(24)에 의해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가 송신 출력 신호를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통신 포트 A의 TVR-A로부터 전송로에 송출되는 동시에,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를 통해 통신 포트 B의 TVR-B로부터 전송로에 프레임이 송신된다.
본 발명의 이중 링 네트워크와 그 제어 시스템을 활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제 1 매체 부분으로서의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초기 상태를 전제로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 4(청구항 4), 실시예 5(청구항 5), 실시예 6(청구항 6) 및 실시예 7(청구항 7)에 관해서, 초기화 개시 시의 각국 스위치 상태와 국 모드를 나타낸다. 전송국의 전원이 투입된 상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상태가 된다. MS포트는 2 개의 통신 포트 A 및 통신 포트 B 중 하나가, 최초에 INZ 프레임을 수신 검출한 포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송국의 구성에서는, 송신계 및 수신계로 대칭의 하드웨어 구조가 되는 것으로부터 통신 포트 A 또는 통신 포트 B를 고유하게 어느 쪽의 통신 포트에 한정할 필요성은 없다. 즉, 청구항에 기재의 순서를 실시하는데, 어느 쪽의 포트가 A 또는 포트 B가 되어도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이후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는데, 복잡함을 경감해 이해와 설명을 용이하게 할 이유로부터, 편의상, 각 전송국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낸 하드웨어 구성 예에 따라서, 관찰자의 좌측의 통신 포트를 포트 A라고 하고, 또한 관찰자의 우측의 통신 포트를 포트 B로서, 이후, 통일해서 기재한다.
국 모드는 각 청구항에 대응해서 후술하지만,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원 투입과 동일한 상태가 되는 "불확정(undefined)" 상태(스타트)로부터, "Not 종단국"의 중간 모드를 통해, 종단국 "ST-T-L", 중계국 "Normal", 및 종단국 "ST-R-R"의 상태를 천이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편의상 한정한 포트 A와 포트 B의 전송국 하드웨어 구성에서의 대응에 따라, 포트 B측이 블록 상태에 있는 전송국을 종단국 ST-T-L이라고 하고, 또한 포트 A측이 블록 상태에 있는 전송국을 종단국 ST-T-R로서, 이후, 기재한다.
실시예 4(청구항 4)에 대해서, 도 9는 각 전송국 간에서 교신을 위해 전송되 는 INZ 프레임의 순서를 나타낸다. 이 초기화의 순서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한다.
도 9의 순서도에서는, 마스터국 MS가 INZ 프레임을 전송국 #ST1로부터 ... 전송국 #ST4 및 전송국 #ST8 ... 전송국 #ST5에 전송한다. INZ 프레임을 수신한 전송국 #ST1로부터 ... 전송국 #ST4 및 전송국 #ST8 ... 전송국 #ST5는 어드레스가 아래(younger) 인접하는 전송국에 INZ 프레임을 되돌린다.
이러한 초기화가 종료하면, INZ 프레임을 특정 전송국에 송신하여도, 그 전송국으로부터 되돌아 오지 않는 경우는, 그 전송국과의 경로에는 이상(단선)이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어드레스가 아래 인접하는 전송국에 한 INZ 프레임을 되돌린다고 하지만, 그 INZ 프레임을 수신한 전송국은 그 INZ 프레임을 되돌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마스터(MS)국을 제외하고, 해당 전송국에서의 초기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초기화 시에는 부정 상태로 하여 두 개의 통신 포트로부터 INZ 프레임을 송출하여, 인접국, 종단국을 결정한다. 이 흐름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2 및 도 13은 MS국 ST1의 초기화 처리를 포함하는 흐름도이고, 특히 MS국의 인접국이 되는 전송국 ST2 및 ST8에서의 교신 처리의 동작을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해당 전송국에서의 초기와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예는, 도 1의 예를 따 르고, 전송국의 총 수나 전송국 식별인 #ST1로부터 #ST9의 번호 부여에 대응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 4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하드웨어의 실시예의 구성이 적용 가능하다.
기점이 되는 하나의 전송국으로서, #ST1이 MS국이 되면, MS국으로부터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한, 도 12, 도 13의 단계 S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MPU(24)에 의한 소프트웨어 제어된 ST 타이머를 개시하면서 초기화를 행한다.
또한, S1 단계에 의해 인접국, 이 경우는 ST2 및 ST8이 대응하는 인접국의 종단국 체크를 행한다. 이어서, ST 타이머 업의 타이밍마다, 초기화 종료가 되는 S3 단계가 종료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초기화를 지정한 INZ 프레임을 MPU(24)가 소프트웨어 제어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MPU(24)가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를 기동하여, 송신 허가 스위치(16)(SE-TX-A) 및 송신 허가 스위치(17)(SE-TX-B)를 ON 상태로 유지하고, 포트 A 및 포트 B로부터 INZ 프레임을 송출한다.
전송국의 초기화 시점의 각 스위치 상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포트 모두 블록 상태 및 수신 금지 상태가 되는 것으로부터, 도 12, 도 13에서 나타내는 각 처리 단계에서는,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 또는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2)(INZ-DET-B)에 의해 INZ 프레임의 도래를 검출한다.
이로써,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는 통신 포트 A에서 INZ 프레임을 검출하면, INZ 프레임 검출 신호(IRP-INZ-A)를 송출한다.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2)(INZ-DET-B)는 INZ 프레임 검출 신호(IRP-INZ-B)를 송출한다.
그리고, INZ 프레임 검출 신호(IRP-INZ-A) 또는 IRZ 프레임 검출 신호(IRP- INZ-B)의 인터럽 신호에 의해, MPU(24)의 소프트웨어 처리에서 INZ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하고, 어느 포트로부터 수신한 것인지 수신 포트를 확인한다.
포트 A(L측 순환)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즉 SIG-RV-A 수신 신호는, 프레임 검지 판정부(31)에 의해 프레임의 검지 판정이 행해진다. 이 검지 판정을 위한 프레임 검지 판정부(31)는 SIG-RV-A 수신의 이상을 검출할 때는 IRP-RE-A 신호(수신 신호 A 이상 검출 신호라 함)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하는 수신 이상 검출 회로(32)(RCV-ERR-A)를 포함한다.
SYN 프레임 검출 회로(34)(SYN-DET-A)는 통신 포트(10)로부터의 SIG-RV-A 수신 신호가 SYN 프레임인 경우는 IRP-SYN-A 신호(때로는, SYN 프레임 검출 신호 A라 함)를 컴퓨터부(30) 및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에 출력한다.
RRR 프레임 검출 회로(37)(RRR-DET-A)는 통신 포트(10)(포트 A)의 TVR-A로부터의 SIG-RV-A 수신 신호를 RRR 프레임으로 검출할 때는, IPR-RRR-A 신호(RRR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A)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는 통신 포트(10)(통신 포트 A)가 수신한 SIG-RV-A 신호의 INZ 프레임을 검출했을 때 IRP-INZ-A 신호(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A)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1)(INZ-TX-ADRS-A)는, 포트 A가 수신한 SIG-RV-A 신호의 INZ 프레임 중의 소스 어드레스(SA) 부분을 유지한다.
또한, 수신 이상 검출 회로(33)(RCV-ERR-B)는, 통신 포트(11)(포트 B)로부터의 SIG-RV-B 수신 신호의 이상을 검출하면, IRP-RE-B(수신 신호 이상 발생 검출 신 호)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SYN 프레임 검출 회로(36)(SYN-DET-B)는 통신 포트(11)로부터의 SIG-RV-B 수신 신호가 SYN 프레임인 경우는, IRP-SYN-B 신호(때로는, SYN 프레임 검출 신호 B라고도 함)를 컴퓨터부(30) 및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에 출력한다.
한편,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는, SYN 프레임 검출 회로(34)(SYN-DET-A)로부터 IRP-SYN-A 신호(SYN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A) 또는 SYN 프레임 검출 회로(36)(SYN-DET-B)로부터 IRP-SYN-B(SYN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B)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IRP-NO-SYN 신호(SYN 부재검출 신호)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9)(RRR-DET-B)는, 통신 포트(11)(포트 B)의 RVR-B로부터의 SIG-RV-B의 RRR 프레임을 검출하고, 검출했을 때는, IPR-RRR-B 신호(RRR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B)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RRR 프레임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는 통신 포트(11)(포트 B)가 수신한 SIG-RV-B 신호의 RRR 프레임 중의 수신처 어드레스(DA) 부분을 취입하고 유지한다.
RRR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는, 양측의 수신 신호를 취입한 때에 수신처 어드레스 부분을 취입한다.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3)(INZ-TX-ADRS-B)는, 포트 B가 수신한 SIG-RV-B의 수신한 INZ 프레임 중의 소스 어드레스(SA) 부분을 유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기화를 지정시킨 INZ 프레임을 양방향(통신 포트 A 및 B)로부터 송출시켜, 인접국으로부터의 INZ 프레임(응답 확인 프레임(INZ-COMP))의 도래를 대기하는 것으로 된다(도 12 참조).
이 INZ 프레임의 송출은 컴퓨터부(30)가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를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상태 및 수신 금지 상태(SW-TX-A 및 SW-TX-B를 ON 상태)로 하고, 양방향으로부터 송신된다.
그리고,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 또는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2)(INZ-DET-B)에 의해 통신 포트 A 또는 B로부터의 SIG-RV-B 수신 신호 또는 통신 포트 A로부터의 INZ 프레임의 도래를 검지하면, 컴퓨터부(30)는,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 또는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를 ON 상태로 하여 취입한다.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CV-SEL)는,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와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를 감시하고, 어느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한 것인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송수신 제어 장치(21)(MAC/DLC)에 알린다. 최초에 수신한 수신 포트를 MS 포트로 설정한다.
이로써, 초기화의 최초의 INZ 프레임의 수신 포트가, MS 포트로 설정된다.
이어서, 마스터국으로부터의 INZ 프레임을, 인접국(#ST2 또는 #ST8)이 도 12, 도13의 단계 S01 또는 SO2에 의해 수신하면, 그 수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로의 블록 상태를 수신 포트에 대응하는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 또는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를 ON으로 함으로써 비블록 상태로 변경한다.
마찬가지로, 수신 포트에 대응하는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 또는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를 ON으로 함으로써, 그 수신 포트로부터의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을 이후 허가한다.
또한, 인접국은 수신 포트에 대응하는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 또는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을 일시적으로만 ON으로 하고, 수신 포트 측으로부터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송출하고, 국모드를 "not 종단국"으로 한다. 그 후, 마스터국이 ST 타이머를 가동하여 S2 단계의 이벤트를 대기할 때, S11에서 마스터국으로부터 후속 INZ 프레임을 수신 검출한다.
이어서, 마스터국은, S01 또는 S02에서 INZ 프레임을 송출한 후, S11에서 후속 INZ 프레임의 도래를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MS 포트 측과는 대향 측의 인접국이 송출하는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하여, S21 또는 S23 단계에서 수신 확인하면, 이 수신 포트로부터 다른 쪽의 통신 포트로의 블록 상태를 비블록 상태로 하고, 도래하는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을 허가한다. 이 결과, 이 전송국에서는 쌍방향 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하는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과 다른 쪽으로의 중계가 가능해지는 중계국으로서, 국모드를 "normal"로 한다. 도 9에서는, ST2, ST3, ST4 및 ST8, ST7이 normal 모드가 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마스터(MS)국에서는, 도 12, 도 13의 S11 및 S12 단계에서, 인접국이 되는 ST2, ST8로부터의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하면, normal 모드가 된다. INZ-DET-A 및 -B는, 동시에 양방향으로부터 도래하는 응답 확인 INZ를 확실히 검출하는 수단이 된다.
이 시스템에서는, MS국으로부터 양 방향으로 하나씩 normal국이 증가하게 되어, 링 형상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송국의 총 수와 전송국의 상호 간을 접속하는 전송국의 총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MS국이 송출한 INZ 프레임을 양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시간 차이로 또는 동시에 수신하는 전송국이 나타난다.
도 10의 S03 또는 SO4 단계에 의해 MS 포트가 확정되고 있는 상황에서, 블록 상태의 포트로부터 INZ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그 수신 포트에 따라 일시적으로, 종단국 ST-T-L 및 ST-T-R이 결정된다. 예를 들면, #ST5가 INZ 프레임을 마스터(MS)로부터 수신한 포트 A에서 수신한 후에 L측 순환에서 INZ를 수신했을 때는, #ST5가 ST-T-R이 된다.
S03 또는 S04 단계에서,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 포트 측으로부터 송출하지 않음으로써, 또 다른 종단국이 되는 전송국(예를 들면, #ST6)에서는, S03에 대응하여 S24, 또는 S04에 대응하여 S22 단계에서, ST 타이머 업의 규정 시간 이내에, 미리 확정한 다른 종단국으로부터의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대향하는 종단국의 국모드로서 ST-T-R 또는 ST-T-L이 된다. 이 ST-T-L에 대해서는 도 29에서 설명하고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ST5 및 ST6가 상기한 정상인 순서 결과로서 종단국이 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11의 단계 S22 또는 S24에서, 기대하는 수신 포트 측의 인접국으로부터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기대하는 수신 포트 측에 따라, 종단국 ST-T-L 또는 ST-T-R이 된다.
MS국에서도 마찬가지로, 인접국에 이르는 전송로, 또한 인접국 통신 기능과 인접국으로부터의 자국에 이르는 전송로를 포함한 통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도 12의 단계 S13 또는 S14에서, 종단국 ST-T-L 또는 ST-T-R과 국모드가 결정된다.
또한, 도 12, 도 13의 #ST2 및 #ST8의 순서 단계 번호는, 도 10, 도 11의 단계 번호와 부합한다.
상기에 의해,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으로 구성한 네트워크 내를 순환하지 않도록 초기화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초기화에 의해 종단국이 된 ST-T-L 및 ST-T-R의 스위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7은 추가하여, Normal국의 스위치 상태를 나타낸다.
즉, ST-TL-L이 됐을 때는, 컴퓨터부(30)가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를 ON,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를 OFF,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를 ON,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를 OFF,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를 ON,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를 OFF로 한다. 따라서, ST-T-L과 ST-T-R 사이에 단선이 있으면, 포트 A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취입하고, 포트 A에서만 프레임을 되돌리도록 한다.
또한, ST-T-R이 되었을 때는, 컴퓨터부(30)가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를 OFF, 중게 허가 스위치(14)(SW-FW-B)를 ON,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를 ON,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를 ON,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를 OFF,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를 ON으로 한다.
따라서, 포트 B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취입, 포트 B에서만 프레임을 되돌리도록 된다.
실시예 5(청구항 5)에 대해서는, 도 14에 각 전송국 사이에서 교신되는 INZ 프레임의 순서를 나타내어 설명한다, 또한 도 15, 도 16은 마스터(MS)국을 제외하여 각 전송국에서의 초기화 처리를 나타낸다.
도 17, 도 18은 MS국 ST1의 초기화 처리를 포함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특히, MS국의 인접국이 되는 전송국 ST2 및 ST8에서의 교신 처리의 동작을, 도 14에 나타낸 각 전송국에서의 초기화 처리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예는, 도 1의 예를 따르고, 전송국의 총 수 및 전송국 식별인 #ST1으로부터 #ST9의 번호 부여에 대해서의 한정은 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5(청구항 5)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낸 하드웨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적용한다.
기점이 되는 하나의 전송국으로서, #ST1이 MS국이 되면, MS국으로부터는,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는 도 17 및 도 18의 단계 S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화를 지정하는 INZ 프레임을 양방향에 송출하는 동시에, ST 타이머를 스타트한다. 그리고, 도 17의 단계 S1에서 인접국, 이 예에서는 #ST2 및 #ST8로부터의 응답 확인 INZ 프레임(INZ-COMP)의 응답을 기다린다.
해당 전송국의 초기 시점의 각 스위치 상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포트가 동시에 블록 상태 및 수신 금지 상태가 되고, 도 17 및 도 18에서 나타내는 #ST2 및 #ST8의 S01, S03 단계에서는,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 또는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2)(INZ-DET-B)에 의해 INZ 프레임의 도래를 검출한다.
그리고, 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IRP-INZ-A) 또는 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IRP-INZ-B)의 인터럽 신호에 의해, MPU(24)의 소프트웨어 처리에서 INZ 프레임의 수신을 확인, 어느 쪽의 포트로부터 수신한 것인지 수신 포트를 확인한다(도 17의 S11 내지 S15 참조).
즉,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가 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A(IRP-INZ-A)를 출력한 것인지, 또는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2)(INZ-DET-B)가 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B(IRP-INZ-B)를 출력한 것인 지를 판정한다. 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IRP-INZ-A)가 출력된 때는,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A) 및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A)를 ON 상태로 한다. IRP-INZ-B가 출력된 때는, SW-TX-B 및 SW-RCV-B를 ON 상태로 한다.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CV-SEL)는, 어느 쪽의 통신 포트로부터 먼저 신호를 수신한 것인 지를 판정하고, 이 판정 결과를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에 출력한다.
이로써, 초기화의 최초의 INZ 프레임의 수신 포트가, MS 포트로 설정된다.
마스터(MS)국으로부터의 INZ 프레임을, 도 15, 도 16의 단계 S01 또는 S03에 의해 수신하면, MPU(24)는 그 수신 포트(MS 포트)로부터 다른 쪽의 통신 포트로의 블록 상태를, MS 포트에 대응하는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 또는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를 ON으로 함으로써, 비블록 상태로 한다.
마찬가지로, MS 포트에 대응하는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 또는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를 ON으로 함으로써, 그 수신 포트로부터의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을 이후는 허가한다.
또한, 수신 검지한 INZ 프레임 중의 소스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 포트에 대응하는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1)(INZ-TX-ADRS-A) 또는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2)(INZ-TX-ADRS-B)에 의해 판독하여 MS 포트 측 인접국 어드레스로서 유지한다. 또한, 국모드를 "not 종단국"으로 한다.
또한, MS 포트에 대응하여, 단계 S11 또는 S12에서,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처로서, 먼저 유지한 인접국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양 포트에 의해 송출하고, MS 포트와 반대 측의 포트로부터의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을 허가하는 동시에, ST 타이머를 기동하고, S2 단계의 이벤트를 대기한다.
S11 또는 S12에서 수신처로서 MS 포트 측 인접국 어드레스를 설정한 INZ 프레임을 송출한 후에, MS 포트 측과는 반대 측의 인접국이 송출하는 자국을 지정한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S21 또는 S22 단계에서 수신 확인하면, 이 수신 포트로부터 다른 쪽의 통신 포트로의 블록 상태를 비블록 상태로 하고, 도래하는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을 허가로 한다.
이 결과, 이 전송국에서는 쌍방향 측의 통신 포트로부의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과 다른 쪽으로의 중계가 허가로 되는 중계국으로서, 국 모드를 "normal"로 한다.
도 14는 ST2, ST3, ST4 및 ST8, ST7이 normal 모드가 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MS 국에서는, 도 12, 도 13의 S11 및 S12 단계에서, 인접국이 되는 ST2, ST8로부터의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하면, normal 모드가 된다.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 및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2)(INZ-DET-B)는, 동시에 양방향으로부터 도래하는 응답 확인 INZ를 확실하게 검출하는 수단이 된다.
이 시스템에서는, 마스터(MS)국으로부터 양측의 방향으로 하나씩 normal국을 증가시키므로, 링 형상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송국의 총 수와, 전송국의 상호 간을 접속하는 전송로의 총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MS국이 송출한 INZ 프레임을 양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시간 차이 또는 동시에 수신하는 전송국이 나타난다.
도 15, 도 16의 단계 S02, S04에서, MS 포트를 확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반대 측의 포트에 의해 INZ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종단국 ST-T-L 또는 ST-T-R이 MS 포트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종단국이 된 후에, 단계 S11 또는 S12에 의해, MS 포트 측 인접국을 지정한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송출한다. 한편, ST-T-L 또는 ST-T-R이 결정된 전송국 A에 대향하고, 또한 다른 측의 종단국이 되는 전송로 B에서는, 전송국 B가 송출한 INZ 프레임에 따라 전송국 A가 송출하는 것으로 기대되는 자국을 지정한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고 있는 중에, ST 타이머 업하기 전에, 자국이 수신처로 지정되어 있지 않는 INZ 프레임을 수신 검지하게 된다.
MS 포트와는 반대 측이 되는 수신 포트로부터, 자국을 수신처로 지정하지 않는 프레임을 수신 검지한 경우에는, 단계 S23 또는 S24에 의해 전송국 A에 대향하는 종단국 ST-T-R 또는 ST-T-L이 된다.
또한, 도 14에서는, ST5 및 ST6이 상기한 정상인 순서 결과로서 종단국이 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15, 도 16의 단계 S25 또는 S26에 의해, 기대하는 수신 포트 측의 인접국으로부터 자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기대하는 수신 포트에 따라, 종단국 ST-T-L 또는 ST-T-R이 된다.
MS국에서는 마찬가지로, 인접국에 이르는 전송로, 또한 인접국 통신 기능과 인접국으로부터의 자국에 이르는 전송로를 포함한 통신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3 또는 S14에서 종단국 ST-T-L 또는 ST-T-R이 결정된다.
또한, 도 17, 도 18의 #ST2 및 #ST8의 순서 단계 번호는, 도 15, 도 16의 단계 번호와 부합한다. 상기에 의해,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으로 구성한 네트워크를 순환하지 않도록 초기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초기화에 의해 종단국이 된 ST-T-L 및 ST-T-R의 스위치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7은, 추가하여 normal 국에서의 스위치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6(청구항 6)에 대해서, 도 14는 INZ 프레임의 교신 순서를 나타내고, 도 15 및 도 16은 MS국 이외의 전송국의 초기화 처리를, 또한 도 17 및 도 18은 MS 국의 초기화 처리를 나타낸다. 또한, 도 3 및 도 4가 전송국의 구성 예가 된다.
전송 프레임에는, 수신처를 나타내는 수신처 어드레스, 소스를 나타내는 소스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도 23에 나타내는 ISO/IEC 8802-3의 이더넷(등록상표) 전송 프레임에서는, 전송 프레임 중의 규정된 위치에 있는 필드 구성으로, 각각 DA, SA가 상당한다.
실시예 5(청구항 5)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 MS국을 제외한 각 전송국은, 초기화 기간 내에서 시작하여 INZ 프레임을 최초 수신하면, 수신 포트를 MS 포트로 하고, 수신한 INZ 프레임 중의 소스 어드레스(DA)를 취출하여, MS 포트 측에 인접하는 전송국의 어드레스로서 유지한다.
또한, 계속해서, MS 포트 측의 인접국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지정한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양방향으로 송출한다. MS 포트 측의 인접국에서는, 자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INZ 프레임을 MS 포트의 반대 측의 포트에 의해 수신하는 것이 되지만, 그 소스 어드레스는, 마스터(MS)국으로부터 자국에 후속하는, 즉 MS 포트의 반대 측 포트에 인접하는 전송국의 어드레스가 된다.
도 17의 마스터국(MS)에서의 단계 S11 및 S12에 의해, 또한, 도 15, 도 16의 마스터(MS)국 이외의 전송국에서는 단계 S01 또는 S03 및 S11 또는 S12 및 도 18의 S21 또는 S22의 일련의 순서에 의한 normal 모드로의 천이 정도에서, 또는, 단계 S02 또는 S04 및 S11 또는 S12 및 S23 또는 S24의 순서에 의한 ST-T-L 또는 ST-T-R 모드로의 천이 과정에서, MS 모드 측 및 반대 측 모드에 인접하는 전송국의 어드레스 정보를 취득하여 유지하는 것이 나타난다(도 17, 도 18 참조).
또한, 이 초기화 방법에서는, 마스터국 MS로부터 하나씩 전송국을 링 네트워크 시스템에 수용하는 과정에서, 각 전송국에서는, MS 포트 측의 수신 시스템의 건전성과, MS 포트의 반대 측 포트에 인접하는 전송국으로의 전송로와, 인접국의 수신과 송신 기능, 인접국에서 자국에 되돌아오는 전송로와 자국 수신 계통에 이상이 없으면, 반드시 인접국으로부터의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 감지함으로써, 인접국이 일체가 되어 인접국 간에서의 쌍방향 통신로의 건전성을 확인하면서, MS 포트 측 및 반대 측 포트에 인접하는 전송국의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 7(청구항 7)에 대하여는, 실시예 4(청구항 4), 실시예 5(청구항 5)로 상기한 초기화의 실시예에서, 링 형상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송국의 총 수와, 전송국의 상호 간을 접속하는 전송로의 총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 이접하는 두 개의 종단국 ST-T-L 및 ST-T-R이 구성된 시점에서, 또는 초기화의 도중에, 자국의 인접국에서의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의 수신이 없는 것에 의해 종단국이 되는 것을 판단한 시점에서, 즉 실시예 4(청구항 4)의 초기화 방법에서는, 도 10, 도 11의 단계 S03 또는 S04, 또는 S22 또는 S24에 의해, 또한 실시예 5(청구항 5)의 초기화 방법에서는, 도 15, 도 16의 단계 S02 또는 S04, 또는 S23 또는 S24, 또는 S25 또는 S26에 의해 ST-T-L 및 ST-T-R이 결정된 후에, 각각의 종단국에서는, 종단국 어드레스 및 종단국 모드를 포함하는 초기화 종료의 표시가 되는 INZ-COMP 프레임을 송출함으로써, MS국 및 전송국에 대하여, 이중 링 네트워크의 초기화가 완료한 것을 통지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초기화가 완료한 해당 전송국에서는, 양측 포트로부터의 전송 프레임의 송출 및 수신 취입이 가능해져, MPU의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INZ-COMP 프레임을 생성해 MAC/DLC에 의해 송신 제어해서 양측 포트로부터 송출할 수 있고, 또한 도래 수신한 INZ-COMP 프레임을 MAC/DLC에 의해 수신 제어해서 취입, MPU의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검출, 판단,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기화가 완료하면 기능적 구성으로 버스형 네트워크가 되므로, 각 전송국에서는, 양쪽 종단국이 거의 동시에 INZ-COMP 프레임을 송출하면 수신이 중첩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그 경우는, 선착 수신 선택 회로(50)(RCV-SEL)에 의해, 선착한 하나의 INZ-COMP 프레임은 MAC/DLC로 수신 제어되고, 취입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실시예 4(청구항 4)에 대응하는 초기화의 방법에서는, 도 10, 도 11의 단계 S3 및 S4에서, MS국을 지정한 INZ-COMP 프레임의 교신 순서를, 실시예의 일 예로서 나타낸다.
즉, MS국과의 응답 확인 순서에 의해 확실하게 INZ-COMP 프레임이 MS국에서 수신할 수 있게 한다. 마스터국 MS로부터, 자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수신 확인 INZ-C0MP 프레임을 수신할 때까지 재송 처리를 계속하지만, 재송을 위한 대기 시간을 S-T-L 및 ST-T-R에 따라 ST1 및 ST2와 다르게 함으로써 MS국에서의 INZ-COMP 프레임이 계속해서의 중첩을 회피하는 실시예가 된다.
도 12, 도 13의 단계 S3에서, MS국 측에서는 초기화 완료를 검출하고, 주기적인 INZ 프레임의 송출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청구항 5)에 대응하는 초기화의 방법에서는, 도 15, 도 16의 단계 S3 및 S4로서, 수신처로서 방송 어드레스(broadcast address)를 지정한 INZ-COMP 프레임의 교신 순서를 실시예의 일 예로서 나타낸다.
마스터국 MS는, 방송 어드레스가 지정된 INZ-COMP프레임을 수신하면, 그 소스 어드레스에 응답 확인의 INZ-COMP 프레임을 송출함으로써 마스터 MS와의 응답 확인 순서에 의해 확실하게 INZ-COMP 프레임이 마스터국 MS에서 수신할 수 있게 한다.
마스터국 MS로부터의 종단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수신 확인 INZ-COMP 프레임을 수신할 때까지 재송 처리를 계속하지만, 재송을 위한 대기 시간을 ST-T-L 및 ST-T-R의 국 모드에 따라 ST1 및 ST2와 다르게 하는 것으로 마스터국 MS에서 INZ-COMP 프레임이 계속해서 중첩을 회피하는 실시예가 된다.
도 17, 도 18의 단계 S3에서, MS국 측에서는 초기화 완료를 검출할 수 있다. 종단국으로부터 송출하는 INZ-COMP의 수신처가 방송 어드레스로 함으로써, 모든 전송국에서 초기화의 완료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 8(청구항8)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4가 전송국의 구성 예가 된다. 도 19는, #ST5 및 #ST6이 대향하는 종단국으로서 구성된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정상 가동 중에 #ST10과 #ST9를 접속하는 통신로에 전송 이상이 발생한 상황을 예시하고 있다.
그 밖에도, 발생 개소나 전송국 수, 동기국이나 종단국의 위치와의 관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20은 #ST10과 #ST9를 접속하는 통신로에 전송 이상이 발생한 후의 각 전송 국에서의 각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한 초기화가 완료하는 상태에서,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는, 전송국의 하나 이상이 하나 이상의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고 있는 일반적인 상황 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그것의 도래를 판별하는 SYN 프레임이, 어느 전송국(동기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출되어 있는 상황에서, SYN 프레임의 도래는, SYN 프레임 검출 회로(34)(SYN-DET-A) 또는 SYN 프레임 검출 회로(36)(SYN-DET-B)에 의해 판별되어 검출되고 IRP-SYN-A 또는 -B로서 출력된다.
또한, SYN 프레임의 수신이 미리 설정한 기간에 걸쳐 없는 것을, SYN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IRP-SYN-A) 또는 SYN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IRP-SYN-B)의 출력이 주기적으로 계속하지 않는 것으로, 통신 포트마다 판정 검출하는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에서 행해진다.
따라서,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에서는, IRP-SYN-A 및 -B 신호로부터, 하나의 통신 포트를 통해서는 주기적인 SYN 프레임의 도래가 연속적으로 계속하는 상태 하에서, 다른 쪽의 통신 포트를 통해서는 주기적인 도래가 연속해서 미리 지정한 기간에 걸쳐 없는 것도 검출할 수 있어서, 어느 쪽의 통신 포트로부터 SYN 프레임의 주기적으로 계속하는 도래 수신이 없는 지를, SYN 부재 상태의 검출 출력 신호인 IRP-NO-SYN의 상태 변화 인터럽 시점에서, C-BUS를 통해 MPU는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수신 신호 상태를 감시해서 이상이라고 판단한 조건에 의해, 수신 이상 검출 회로(32)(RCV-ERR-A), 수신 이상 검출 회로(33)(RCV-ERR-B)에 의해 통신 포트 A, -B를 통해서 수신하는 전송 프레임의 수신 신호 상태의 이상을 검출한다.
이어서, MPU(24)는,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와 IRP-NO-SYN 인터럽 신호에 응답해서 MPU(24)의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SYN 부재 상태의 포트 A 또는 포트 B에 대해서, 각각의 통신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다른 전송 프레임 중에서 상기한 INZ 프레임이나 도 3의 전송국 구성에 대응한 후술하는 RRR 프레임은 검출 판별해서 응답하지만, SYN 부재검출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쪽의 통신 포트로의 중계를 통해서 다른 쪽의 통신 포트로부터의 전송 프레임의 송출은 없도록, SYN 부재검출한 통신 포트에 대응하는 중계 허가 스위치 SW-FW-A 또는 -B를 ON으로부터 OFF상태에 변경하고, 포트 간의 중계 금지가 되는 블록 상태로 한다.
또한, SYN 부재를 검출한 포트로부터의 전송 프레임의 수신과 취입을, 대응하는 수신 허가 스위치(18)(SW-REC-A) 또는 수신 허가 스위치(19)(SW-REC-A)-B의 상태를 ON으로부터 OFF 상태로 변경해서 수신 금지 상태로 한다. REC-ERR-B)에서 수신 이상을 검출한 통신 포트에서는,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 또는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를 제어해서 블록 상태로 한다. 또한, SW-REC-A, 또는 -B를 제어해서 수신 금지 상태로 한다. MPU(24)로부터의 각 스위치에 대한 제어 신호는, IOC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에 의해, 고장 발생의 검출로부터, 회복 순서에 의한 네트워크 기능 회복에 이르는 사이, 전송국의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유지하고, 종단국의 기능을 전송국에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9(청구항 9)에 대하여는, 도 3이 전송국의 구성 예가 된다. 도 21이 대응하는 고장 발생의 검출로부터의 회복 순서를 나타낸다. 도 19는 #ST5 및 #ST6이 대향하는 종단국으로서 구성된 이중 링 네트워크이다. 그리고, 이 #ST5와 #ST6 간의 전송로가 복귀되어서, #ST5와 #ST6이 보통 모드로서, 정상적으로 가동 중에, #ST10과 #ST9를 접속하는 통신로에 전송 이상이 발생한 상황을 예시한다. 또한, 발생 개소나 전송국 수, 동기국이나 종단국의 위치와의 관계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20은 #ST10과 #ST9를 접속하는 통신로에 전송 이상이 발생한 후의 각 전송국에서의 각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은 실시예 5의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각 전송국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도 21은,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1 개소 고장으로부터의 재구성의 일례이다.
도 3의 실시예의 전송국 구성에 의해, #ST10과 #ST9를 접속하는 통신로에 전송 이상이 발생하면, 수신은 #ST9, #ST8, #ST7 경유하여 #ST6이 통신 포트 B측으로부터 이루어진다.
#ST6은, RRR 프레임의 도래가, RRR-DET-A, 또는 -B에서 판별되어 검출되어서, IRP-RRR-A, 또는 -B로서 출력한다. RRR 프레임을 수신했을 경우에, #ST6은, RRR 프레임 중의 수신처 어드레스 정보가, RRR-RCV-ADRS에 유지됨으로써, IPR-RRR-A, 또는 -B의 상태 변화 인터럽 시점에서, C-BUS를 경유해서 MPU는 판독할 수 있고, 어느 쪽의 통신 포트로부터의 수신인가를 포함해서 판단하고 처리할 수 있다.
자국의 식별 정보가 되는 자국 어드레스 정보는, PROM 내에 미리 설정하는, 혹은 스위치에 의한 설정 등으로, 또한 포트-A 및 -B측에 인접하는 전송국의 어드 레스 정보는, 상기한 실시예 6(청구항 6)의 초기화 순서나, 본 시스템에 의한 고장에서의 회복 순서의 시작 전에, 인접국 어드레스 정보로서 RAM 내에 설정하고 유지한다. 또한 이것들을 MPU는 판독하고, 수신한 RRR 프레임 중의 수신처 어드레스 정보와 자국 어드레스 정보를 비교하고, 그 일치나 불일치를, MPU의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판단하고 처리할 수 있다.
즉, 어드레스 일치를 판단하고 RRR 프레임의 수신 포트(이하 RRR 수신 포트라고도 함)를 비블록 상태로 변경하거나, 또는 어드레스의 불일치를 판단하고, RRR 수신 포트에 대응한 인접국 어드레스 정보(본 실시예에서는 #ST7 또는 #ST5)를 판독하고, 수신처로서 지정한 RRR 프레임을 생성하고, RRR 수신 포트를 통해서, RRR 프레임의 수신 완료의 타이밍에서 즉시 #ST7 또는 #ST5에 송출한다.
또한, #ST6의 MPU(24)는 RRR 프레임을 송출 후, 상기한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구성하는 ST 타이머를 기동하고, 미리 지정한 시간 이내에, 자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을 감시하고 검출하는 등의 처리는, MPU의 소프트웨어 제어에 의해 판단하고 처리될 수 있다. 한편, #ST10은, 통신 포트 A측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이상을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7)(RRR-DET-A) 등에 의해 검출하면, 도 20의 #ST10 O-R-M1 모드의 상태에 각 스위치를 제어한다. 즉, #ST10이 종단국 ST-T-R이 된다.
또한, #ST5는, 통신 포트 B측(#ST6 측이 되는 포트)으로부터 SYN 부재검출을 검출하면, #ST6 측으로부터의 자국을 지정하는 RRR 프레임을 수신하면, 종단국으로부터 중계국 모드가 된다.
즉, 도 20의 (a)의 스위치 상태로부터, 스위치 상태를 SW-FW-B, SW-RCV-B, SW-FW-A, SW-RCV-A를 ON 상태로 한다.
따라서, 동기국이 #ST1로 되어 있을 경우에, #ST5와 #ST6이 중계국이 되어、#ST10과 #ST9가 대신해서 자동적으로 종단국이 된다.
이 때문에,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을 다운시키지 않고, #ST10과 #ST9 간의 전송로를 작업원이 수복할 수 있다.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는, 동기국에서의 SYN 프레임에 더해, 각 전송국으로부터는,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나 단발적으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본 발명에 대하여는 특히 규정할 필요가 없는 OSI 상위층이 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전송 프레임끼리의 충돌을 회피하는 전송로 제어 시스템을 따라서 송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 19에 예시한, #ST10과 #ST9를 접속하는 통신로에 전송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실시예 8(청구항 8)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ST10 및 동기국이 되는 #ST1로부터 종단국 #ST5의 경로 상의 각국 #ST2, #ST3, #ST4와 #ST5에서는, 동기국으로부터의 주기적으로 계속한 SYN 프레임의 도래와 수신을 여전히 감지할 수 있으므로, SYN 부재검출은 되지 않는다.
한편, #ST9로부터 종단국 #ST6의 경로 상의 #ST9, #ST8, #ST7과 #ST6은 SYN 부재검출과, 상황에 의해 수신 이상 검출이 된다. 또한, #ST10에서는, SYN 프레임의 주기적인 도래 수신을 검출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전기한 조건에 의해 수신 이상 검출된다.
도 19의 예에서, #ST10과 #ST9를 접속하는 통신로에 전송 이상이 발생한 상 황에서는, 각 전송국에서의 각 스위치의 상태는 도 20이 된다. #ST9, #ST8, #ST7과 #ST6에서는, 따라서 SW-FW-B를 OFF함으로써(도 20의 (c)참조), 또한 SW-REC-B를 OFF 함으로써 #ST9, #ST8, #ST7과 #ST6의 포트 B측은 블록 상태 및 수신 금지 상태가 된다. #ST10에서는, SW-FW-A 및 SW-REC-A를 OFF 함으로써, 포트 A측이 블록 상태 및 수신 금지의 종단국 ST-T-R이 된다(도 20의 (d)참조).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종단국 중, 동기국 #ST1으로부터 이상 개소를 향하는 경로 상의 후속 위치하는 #ST6 종단국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단계 S-R0에서, 도 7에서 나타내는 ST-T-R의 스위치 상태 : T-R-M0 모드로, 원래 블록 상태 및 수신 금지 상태에 있던 포트 A측에 추가해, 이번은 포트 B도 동일한 상태가 되는 도 20에 나타내는 종단국 #ST6의 스위치 상태(T-R-M1)로 변화된다.
또한, #ST6에서는,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 및 IRP-SYN-A, -B에 의해, 포트 B측, 즉 동기국을 향하는 경로 상에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SYN 부재 검출 종단국으로서, 단계 S-R1에 의해, 즉시 대향하는 종단국 ST-T-L이 되는 #ST5의 어드레스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RAM 내에서 판독하고, 수신처(ST5)로 지정한 RRR 프레임을, 포트 A, -B를 통해 양방향으로 송출하고, 또한 미리 지정된 타이머 시간을 설정한 ST 타이머를 기동하고, 동기국을 향하는 포트 B측의 인접국, 이 경우에는 #ST7로부터의 응답 확인 RRR 프레임의 도래 수신을 대기한다.
RRR 전송 프레임의 수신처로 지정된 대향하는 종단국 ST-T-L의 #ST5에서는 #ST6으로부터 송출된 자국이 지정된 RRR 프레임을 수신하면, 단계 S-L1에 의해, 종단국으로서 블록 상태에 있는 포트 B측 SW-FW-B를 ON 및 SW-REC-B를 ON으로 함으로 써 포트 B를 비블록 상태, 수신 허가 상태로 해서, 종단국 상태로부터 중계국 normal 모드가 된다.
SYN 부재검출 종단국 #ST6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에 이르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전송국의 해당, #ST7, #ST8, #ST9에서는, 이 방향의 중계 기능이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단계 S1에 의해, SYN 부재검출 종단국 #ST6으로부터의 RRR 프레임을 각각이 전송로 상의 딜레이는 있지만, 거의 동시에 수신한다.
해당 전송국에서는, 도 21의 단계 S21에 의해, RRR-DET-A에 의해 RRR 프레임의 도래 수신을 검출하고, 자국이 수신처에서 없는 것을 판단하면,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 향하는 인접국의 어드레스를, 유지하고 있는 RAM 내에서 판독하여 수신처로 지정한 RRR 프레임을 생성한다. 그리고, SW-TX-B를 일시적으로 OFF함으로써 RRR 수신 포트가 되는 포트 A를 통해, MAC/DLC의 송수신 제어에 의해 RRR 프레임의 수신 완료 후에, 즉시 송출한다.
SYN 부재검출 종단국 #ST6에서는, ST-T-L 종단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RRR 프레임을 송출 후,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 #ST7로부터, 자국이 지정된 RRR 프레임을, 단계 S-R2에 의해 ST 타이머 업까지의 시간 내에 수신 검출한다.
그리고, ST 타이머 업까지 기다린 후에, 이상 검출 시점으로부터 블록 상태로 하고 있었던 동기국을 향하는 측의 포트 B 및 원래 블록 상태에 있었던 ST-T-L과 대향하는 포트 A를 비블록 상태로, 또 양쪽 포트를 수신 허가 상태로 해서 종단국 상태로부터 중계국 normal 모드로 한다.
SYN 부재검출 종단국 #ST6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에 이르는 정상적으로 기 능하는 전송국 각각 #ST7, #ST8, #ST9에서는, 도 21에 단계 S1에 의해 RRR 수신 포트 측의 인접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RRR 프레임을 RRR 수신 포트 측에서 송출 후, 송출 시에 기동한 ST 타이머의 업 전에,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에서 자국이 지정된 RRR 프레임의 수신을 단계 S21에서 확인한다. 그리고, ST 타이머가 업 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이상 검출 시점으로부터 블록 상태로 하고 있었던 포트 B를 비블록 상태로 해서 중계국 normal 모드에 복귀한다.
한편, SYN 부재검출 종단국 #ST6을 향하는 이상 개소에 인접하는 전송국 #S9에서는, 단계 S22에 의해 ST 타이머 업한 후에도 #ST10으로부터의 자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음으로써 포트 B의 블록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새로운 종단국 ST-T-L이 된다. 마찬가지로,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 인접하는 개소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미리 지정한 시간을 경과한 ST 타이머 업한 후에도 자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이 없는 것으로서, 단계 S-R2에 의해, 이상 검출 시점에서 블록 상태로 하고 있었던 포트의 블록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종단국으로서 원래 블록 상태에 있었던 다른 통신 포트는 비블록 상태로 하고, 종단국 St-T-R로부터 ST-T-L이 된다.
상기에 의해,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1 개소 고장에 의한 전송 이상 상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종단국의 위치를,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과,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반대 측을 향하는 인접국에 변화시키는 것으로 네트워크의 전면 정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종단국을 변화시킬 때에, 인접국과의 쌍방향 통신의 건전성을 확인하 면서, 새로운 종단국이 되는 전송국에 이르는 경로 상의 전송국 간에서, 거의 동시에 일시에 완료시킬 수 있고, 이상 상태로부터 복귀에 이르는 회복 시간을 매우 단시간에 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중앙국과의 교환을 개개의 전송국이 행하는 않고, 인접국 끼리 분산되어서 회복까지의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복잡한 교신 순서를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 10(청구항 10)에 대하여는, 도 4가 전송국의 구성 예가 된다. 도 22가 대응하는 고장 발생의 검출로부터의 회복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의 흐름도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1 개소 고장으로부터의 복구의 하나의 실시예(두번째 9)이고, #ST10과 #ST9 사이에서 이상 발생하고 MAC가 자국에 할당한 타이밍을 기다리고 종단국이 RRR 프레임을 송출 가능하게 하는 실시예이다.
도 19는 #ST5 및 #ST6이 대향하는 종단국으로서 구성된 이중 링 네트워크에서, 정상으로 가동 중에, #ST10과 #ST9를 접속하는 통신로에 전송 이상이 발생한 상황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발생 개소나 전송국 수, 또는 동기국이나 종단국의 위치 관계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0은, #ST10과 #ST9를 접속하는 통신로에 전송 이상이 발생한 후의 해당 전송국에서의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한 실시예 9(청구항 9)로 기술한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7)(RRR-DET-A),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9)(RRR-DET-B)와 그 검출 출력 신호 IRP-RRR-A, -B 및 RRR 프레임 수신처 유지 회로(38)를 제외하고, 전송국을 구성하는 각 회로의 기능과 작용은, 자국 어드레스 정보나 인접국 어드레스 정보의 설정 유지 등 기능 및 작용에서 동일한 것이 된다.
또한, 실시예 9(청구항 9)에서 기술한 것 같이,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는, 동기국에서의 SYN 프레임에 추가해, 각 전송국으로부터는,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나 단발적으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본 발명에 대하여는 특별히 규정할 필요가 없는 OSI 상위층이 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전송 프레임 끼리의 충돌을 회피하는 전송로 제어 방식을 따라 송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19에 예시한, #ST10과 #ST9를 접속하는 통신로에 전송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실시예 8(청구항 8)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ST10 및 동기국이 되는 #ST1로부터 종단국 #ST5의 경로 상의 각 국 #ST2, #ST3, #ST4와 #ST5에서는, 동기국에서의 주기적으로 계속한 SYN 프레임의 도래와 수신을 여전히 감지할 수 있는 것으부터, SYN 부재검출은 되지 않는다.
한편, #ST9로부터 종단국 #ST6의 경로 상의 #ST9, #ST8, #ST7과 #ST6에서는, SYN 부재검출과, 상황에 의해 수신 이상 검출이 된다. 또한 #ST10에서는, SYN 프레임의 주기적인 도래 수신을 검출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상기한 조건에 의해 수신 이상이 검출된다.
도 19의 예에서, #ST10과 #ST9를 접속하는 통신로에 전송 이상이 발생한 상황에서는, 각 전송국에서의 각 스위치의 상태는 도 20이 된다. 즉, #ST9, #ST8, #ST7에서는, 도 22의 단계 S0에 의해, 또한 #ST6에서는, 단계 S-R0에 의해, SW-FW-B를 OFF로, 또한 SW-REC-B를 OFF로 한, 각각 도 20에서 나타낸 O-L-M1 상태(도 20의 (c) 참조) 또는 T-R-M1 상태(도 20의 (b) 참조)가 된다.
또한, #ST10에서는, 단계 S-O1에 의해 SW-FW-A 및 SW-REC-A를 OFF로 하고, 새로운 종단국 ST-T-R이 된다. 한편, 종단국 #ST5에서는, 동기국 측 포트가 되는 포트 A로부터는 주기적으로 연속해서 SYN 프레임의 도래 검출이 나오지만, 다른 종단국 #ST6에 대향하는 포트 B로부터는 SYN 프레임의 도래 검출이 없음으로써, 전송로 상의 신호 딜레이가 있지만 종단국 #ST6과 거의 동시에, 전송 이상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는 것을 할 수 있다.
단계 S-L1에 의해, 동기국측 포트와 반대측의 포트 B에서, SW-REC-B를 ON으로 하여 수신 취입을 허가로 해서, 프로그램 제어에 의한 ST 타이머를 기동한다. 단계 S-L1에서 설정하는 ST 타이머 값은, 이중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송 프레임끼리의 충돌을 회피하는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 전송로 제어 방식을 따라 #ST6이 전송 프레임의 송출이 허가될 때까지의 최대 대기 시간보다 큰 값을 설정한다.
두 개의 종단국 사이에서, 동기국 #ST1로부터 이상 개소를 향하는 경로 상의 후속하여 위치하는 종단국 #ST6에서는, 단계 S-R1에 의해, 다른 종단국에 대향하는 측의 포트 A에 대응하는 SW-REC-A를 OFF로부터 ON으로 해서, 포트 A로부터의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다른 쪽의 종단국 #ST5로부터 전송 프레임 열을 MAC/DLC에서 수신 취입, MPU의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 판단하고, 이중 링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송 프레임끼리의 충돌을 회피하는 전송로 제어 시스템을 따라, 자국에 할당된 전송 프레임의 송출 타이밍을 대기한다. 단계 S-R2에서, 송출 타이밍 Tmac이 true 상태로 되면, SW-REC-A를 ON으로부터 OFF로 해서, 포트 A를 다시 수신 금지 상태로 한 뒤에서, SW-REC-B는 OFF로부터 ON으로 해서, 포트 B를 수신 허가 상태로 하고, 수신처를 #ST5로 지정한 RRR 프레임을 양쪽 포트로부터 송출하는 동시에 ST 타이머를 기동하고,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 #ST7로부터의 자국을 수신처로 지정하는 RRR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한다.
SYN 정상 종단국이 되는 #ST5에서는, 전송 이상을 검출한 이후, 단계 S-L21에서, SYN 부재검출 종단국 #ST6으로부터의 RRR 프레임을 수신하면, 수신한 RRR 프레임의 수신처를 자국으로 판단하고, 종단국으로서 블록 상태에 있었던 RRR 수신 포트 B를 비블록 상태로 해서, 종단국 상태로부터 중계국 normal 모드가 된다. 한편, 먼저 기동하고 있었던 ST 타이머 업까지 수신이 없는 경우에는, SW-REC-B를 OFF로 되돌리고, 종단국 ST-T-L을 유지한다.
SYN 부재검출 종단국 #ST6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에 이르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전송국 해당 #ST7, #ST8, #ST9에서는, 이 방향의 중계 기능이 유지되는 것부터, 단계 S1에서, #ST6이 송출한 RRR 프레임을 전송 딜레이는 있지만 일제히 수신하면, 수신처가 자국이 아닌 것부터 RRR 프레임의 수신 포트가 되는 포트 A 측의 인접한 전송국의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지정한 RRR 프레임을, SW-TX-B를 일시적으로 OFF로 함으로써, RRR 프레임 수신의 포트 A로부터 RRR 프레임의 수신 완료 후에, 즉시 송출, ST 타이머를 기동한다.
#ST6에서는, 단계S-R31에서, 동기국을 향하는 포트 B측의 인접국 #ST7에 의해 자국이 지정된 RRR 프레임을 ST타이머 업 전에 수신 검출하면, ST 타이머 업까지 기다린 후에, 이상 검출 시점으로부터 블록 상태로 하고 있었던 동기국을 향하 는 측의 포트 B 및 원래 블록 상태에 있었던 ST-T-L과 대향하는 포트 A를 비블록 상태로, 또한 양쪽 포트를 수신 허가 상태로 해서 종단국 상태로부터 중계국 normal 모드로 한다.
SYN 부재검출 종단국 #ST6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에 이르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각각, #ST7, #ST8 또는 #ST9에서는, 단계 S1에 의해 RRR 수신 포트 측의 인접하는 전송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RRR 프레임을 RRR 수신 포트 측에서 송출 후, 송출 시에 기동한 ST 타이머의 업 전에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으로부터 자국이 지정된 RRR 프레임의 수신을 단계 S21에서 확인하면, ST 타이머가 업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이상 검출 시점으로부터 블록 상태로 하고 있었던 포트 B를 비블록 상태로 하고 중계국 normal 모드에 복귀한다.
한편, SYN 부재검출 종단국 #ST6을 향하는 이상 개소에 인접하는 전송국 #S9에서는, 단계 S22에 의해 ST 타이머 업해도 #ST10으로부터의 자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음로써 포트 B의 블록 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새로운 종단국 ST-T-L이 된다. 마찬가지로,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 인접하는 개소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미리 지정한 시간을 경과한 자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이 없음으로써 단계 S-R2에 의해, 이상 검출 시점에서 블록 상태로 하고 있던 포트의 블록 상태를 유지하고, 또 종단국으로서 원래 블록 상태에 있었던 다른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하고, 종단국 St-T-R로부터 ST-T-L이 된다.
상기에 의해, 실시예 9(청구항 9)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1 개소 고장에 의한 전송 이상 상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종단 국의 위치를,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과,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반대 측을 향하는 인접국로 변화시킴으로써 네트워크의 전면 정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종단국을 변화시킬 때에, 인접국과의 쌍방향 통신의 건전성을 확인하면서, 또한 새로운 종단국이 되는 전송국에 이르는 경로 상의 복수의 전송국 간에서, 거의 동시에 일시에 완료시킬 수 있고, 이상 상태로부터 복귀에 이르는 회복 시간을 매우 단시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중앙국과의 교환을 개개의 전송국이 행하는 않아, 인접국끼리 분산하고 회복까지의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복잡한 교신 순서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초기화의 시스템에 의하면, 두 개의 종단국에 의해 각각이 수신하는 전송 프레임을 중계하지 않는 방법으로 구성되어서, 링 형상으로 구성한 네트워크 내를, 전송국에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순환하지 않도록, 논리적으로 버스형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초기화 시점에서, 초기화를 위한 특별히 이중 링 네트워크 상에서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 마스터국에서 볼 때, 종단국의 위치가 네트워크의 구성을 따라 고유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송 프레임은, 이더넷(등록상표) 규격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본 시스템에서 정의한 SYN 프레임, RRR 프레임, INZ 프레임이나 INZ-COMP는, 각각을 특정할 수 있는 전송 프레임이면 양호하고 특별한 프레임 포맷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시스템에 의한 초기화 시스템에서는, 인접국에 이르는 전송로, 또한 이접국 통신 기능과 인접국으로부터의 자국에 이르는 전송로를 포함한 통신 기능에, 양방향의 각각에서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이상의 없는 전송로에서 이중 링 네트워크를 초기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은 MS국으로부터 하나씩 전송국을 이중 링 네트워크에 수용하는 과정에서, 각 전송국에서는, MS 포트 측의 수신 계통의 건전성과, MS포트의 반대 측 포트에 인접하는 전송국에의 전송로, 인접국 수신과 송신 기능, 인접국으로부터 자국에 되돌아오는 전송로에 이상이 없으면, 반드시 인접국에서의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 감지하므로, 인접국이 일체가 되어 인접국 간에서의 쌍방향 통신로의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용하는 과정에서, 자국의 인접국의 어드레스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광범위한 응용에 의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송국의 접속 상태를 초기화 시점에서 파악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게 된다.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1 개소 고장에 의한 전송 이상 상태가 발생했을 경우에, 종단국의 위치를,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과,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반대 측에 향하는 인접국에 변화시킴으로써, 네트워크의 전면 정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종단국을 변화시킬 때에, 인접국과의 쌍방향 통신의 건전성을 확인하면서, 또한, 새로운 종단국이 되는 전송국에 이르는 경로 상의 전송국 간에서, 거의 동시에 일시에 완료시킬 수 있고, 이상 상태로부터 복귀에 이르는 회복 시간을 매우 단시간에 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중앙국과의 교환을 개개의 전송국이 행하지 않게 되고, 인접국끼리로 분산하여 회복까지의 처리를 행할 수 있음으로써, 복잡한 교신 순서를 생략할 수 있다.
(자동 종단국 설정 기능의 보충 설명)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를 가진다.
도 24는 본 실시예의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자동 종단국 설정 기능의 개략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초기에서의 종단국의 설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종단국의 전환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9개의 전송국 #ST1...전송국 #ST9로 구성된 이중 링?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ST1이 마스터국 MS가 되고, 전술한 INZ 프레임 및 INZ-CONP 프레임 등에 의해, #ST5 및 #ST6이 종단국이 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국 #ST5(이하, 종단국 LT라 함) 및 #ST6(이하, 종단국 RT라 함)은, 가상적으로 종단국 RT와 회선 단선의 상태로 하고 있다(S241, S243). 즉, 종단국 LT는 좌측의 전송국 #ST4로부터의 프레임은 수신하지만 #ST6에는 이를 송신할 수 없다. 또한, 종단국 RT는 우측의 전송국 #ST7로부터의 프레임은 수신하지만 #ST5에는 이를 송신할 수 없다.
또한, 종단국 LT는, 좌측의 #ST4로부터 SYN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45). 또한, 종단국 RT는 우측의 #ST7로부터 SYN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47).
그리고, 종단국 RT, LT는, SYN 프레임을 일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않을 때는, 종단국 상태를 벗어난다(S249, S251). 즉, #ST5와 #ST6은 종단국 상태를 벗어나서 #ST5는 #ST6에 송신할 수 있게 되고, #ST6은 #ST5에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점이 된 마스터국 MS(때로는, 동기국이라고도 함)는, SYN 프레임을 해당 전송국에 쌍방향(우(right)순환, 좌(left)순환에서의 송신)으로 송신한다(S253). 이 SYN 프레임은 해당 전송국의 하나의 통신 포트 A, 또는 다른 통신 포트에 입력해서 접수된다(S255).
그리고, 다른 각 전송국은, 쌍방향으로부터 SYN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57).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전송국에 설치되어 있는 SYN 프레임 검출 회로(34)(SYN-DET-A) 및 SYN 프레임 검출 회로(36)(SYN-DET-B)에 의해 SYN 프레임의 수신이 판별되어 검출되어, 우측 수신인 것을 나타내는 IRP-SYN-A 신호, 또는 좌측 수신인 것을 나타내는 IRP-SYN-B 신호로서 출력된다.
또한, SYN 부재검출로(35)(NO-SYN-DET-A/-B)는, IRP-SYN-A/-B가 연속해서 입력하지 않을 때는, IPR-NO-SYN을 출력한다.
따라서, MPU(24)는, IRP-SYN-A가 연속해서 출력되었을 때는, 하나의 통신 포트를 통해서 SYN 프레임이 연속해서 입력된 것을 안다. 또한, IRP-SYN-B가 출력된 후에, IPR-NO-SYN이 출력되면, 다른 측의 통신 포트를 통해서는 주기적인 도래가 연속해서 미리 지정한 기간에 걸쳐 입력되지 않는 것을 안다.
또한, MPU(24)는 전술한 수신 신호 상태를 감시해서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조건에 의해, RCV-ERR-A 또는 -B에 의해 통신 포트 A 또는 -B를 통해서 수신하는 전송 프레임의 수신 신호 상태의 이상을 검출한다.
즉, 단계 S257에서는 쌍방향으로부터 SYN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쌍방향으로부터 SYN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각 전송국은, 쌍방향으로 RRR 프레임을 송출한다(S259).
본 실시예에서는, #ST8이 #ST9로부터 SYN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고, #ST9는 #ST8로부터 SYN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었다고 가정한다.
#ST8은 #ST9 및 #ST7의 쌍방에 RRR 프레임을 송신하는 동시에, #ST9는 #ST8 및 #ST1의 쌍방에 RRR 프레임을 송신한다.
#ST8에 인접한 전송국(#ST9, #ST7) 및 #ST9에 인접하는 전송국(#ST8, #ST1)은, RRR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RRR 프레임을 쌍방향에 송신하고, RRR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RRR 프레임의 송출을 행하지 않는다(S261).
한편, 전송국 #ST8 및 전송국 #ST9는 RRR 프레임을 송신한 후에 인접한 전송국으로부터 RRR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S263).
단계 S263에서, RRR 프레임을 수신한 인접국에서 RRR 프레임의 수신이 없다고 #ST8 및 #ST9가 판단했을 때는, 그 인접국 #ST8 및 #ST9의 사이가 이상이라고 판단한다(S265). 이 판단에 의해, 도 2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ST8 및 #ST9는 종단국이 된다(S276).
즉, RRR 프레임을 송신해도 회신이 없는 인접한 전송국에 대하여는, 기점으로부터의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는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각 전송국은, 도 27에 나타내는 자동 종단국 설정 수단(50)을 구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ST3 및 #ST6을 대표로 해서 도시하고 있다.
자동 종단국 설정 수단(50)은 자국 종단 설정 수단(52)과, 종단국 해제 수단(54)과, 프레임 송신 수단(58) 등을 구비하고 있다.
자국 종단국 설정 수단(52)은, 인접국으로부터 SYN 프레임이 계속해서 입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계속해서 입력하지 않는 경우에는, 메모리(56)에 인접한 전송국과의 사이를 이상으로 하는 플래그(flag)를 설정한다. 프레임 송신 수단(58)은, 인접하는 전송국의 사이가 이상이라 하는 플래그가 메모리(56)에 설정되면, RRR 프레임을 인접하는 전송국 쌍방으로 송신하는 동시에, RRR 프레임의 송신을 자국 종단 설정 수단(52)에 알린다.
자국 종단 설정 수단(52)은 RRR 프레임의 수신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RRR 프레임의 수신이 없을 때는, 자국이 종단국이 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메모리(56)에 설정한다.
프레임 송신 수단(58)은 자국이 종단국이 되는 경우에는, 기점으로부터의 SYN 프레임을 수신해도 이를 후속 전송국에는 송신하지 않는다.
종단국 해제 수단(54)은 SYN 프레임이 연속해서 인접한 전송국, 쌍방으로부 터 입력했을 때는 RRR 프레임을 프레임 송신 수단(58)으로부터 인접한 전송국에 송신시키고, RRR 프레임이 회신되었을 때에, 메모리(56)로부터 자국이 종단이 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삭제한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송국은 도 3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의 전송국은, 통신 포트부(10)(포트 A)와, 통신 포트부(11)(포트 B)와, 송수신 허가 스위치부(9)와, 선착 수신 제어 회로(20)(RCV-SEL)와,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와, 컴퓨터부(30)와, 프레임 검지 판정부(31)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신 포트부(10)(포트 A)는, 인접국(예를 들면, 좌측의 인접국)과의 쌍방향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수신기(RVR-B) 및 송신기(TVR-A)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 포트부(11)(포트 B)는 인접국(예를 들면, 우측의 인접국)과의 쌍방향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있도록, 수신기(RVR-B), 송신기(TVR-A)로 구성된다.
송수신 허가 스위치부(9)는 리피터(12)(FW-A:리피터 A라고도 함)와,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와,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와, 리피터(15)(FW-B:리피터 B라고도 함)와,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와,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와,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과,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 등을 구비하고 있다.
컴퓨터부(30)는 IOC(22)와, IRP(23)와, MPU(24)와, PROM/RAM(25)과, DP/RAM(26)과, DPRC(27)와, HOST-IF(2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HOST-IF(28)는 호스트 장치(29)와의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프레임 검지 판정부(31)는, 이하에 설명하는 복수의 회로를 가지고 프레임의 종류 및 이상을 판정한다.
수신 이상 검출 회로(32)(RCV-ERR-A)와, 수신 이상 검출 회로(33)(RCV-ERR-B)와, SYN 프레임 검출 회로(34)(SYN-DET-A)와,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와, SYN 프레임 검출 회로(36)(SYN-DET-A)와,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7)(RRR-DET-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RRR 프레임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와,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9)(RRR-DET-B)와,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와,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1)(INZ-TX-ADRS-A)와,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2)(INZ-DET-B)와,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3)(INZ-TX-ADRS-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통신 포트(10)의 RVR-A(수신기 A : 기점국을 좌측으로 하는 경우에는, 좌측으로부터 수신함)는, 수신한 신호를 SIG-RV-A 수신 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통신 포트(11)의 RVR-B(수신기 B : 시계 방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는 수신한 신호를 SIG-RV-B 수신 신호로서 출력한다.
한편, 통신 포트(10)의 TRV-A는,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로부터의 수신 신호(통신 포트(11)의 RVR-B가 수신하고 리피터 B를 통해서의 수신 신호) 또는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로부터의 신호를 송신 신호 A로서 전송로에 송출한다.
또한, 통신 포트(11)의 TRV-B는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로부터의 수신 신호(통신 포트(10)의 RVR-A가 수신하고 리피터 A를 통해서의 수신 신호) 또는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로부터의 신호를 송신 신호 B로서 전송로에 송출한다.
리피터 A는, 통신 포트(10)의 RVR-A와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에 접속되고, RVA-A에서 수신한 SIG-RVR-A 수신 신호를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에 송출한다.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는, 통신 포트(11)의 TRV-B(송신기 B)에 접속되고, ON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한 SIG-RVR-A 수신 신호를 통신 포트(11)의 TRV-B에 출력한다.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는 통신 포트(10)의 TRV-A(송신기)에 접속되고, ON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한 SIG-RVR-B 수신 신호를 통신 포트(10)의 TRV-A에 출력한다.
상기 RVR-A의 출력이 되는 포트 A로부터의 SIG-RV-A 신호는, 리피터 A(FW-A)의 이외에,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신 허가 스위치(18)(SW-RVC-A)와, 프레임 검지 판정부(31) 내의 수신 이상 검출 회로(32)(RCV-ERR-A)와, SYN 프레임 검출 회로(34)(SYN-DET-A)와,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7)(RRR-DET-A)에 출력된다.
또한, RRR 프레임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와,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와,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 로(41)(INZ-TX-ADRS-A)에 송출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통신 포트부(11)인 포트 B로부터의 수신에서는, RVR-B의 출력이 되는 포트 B로부터의 수신 신호(SIG-RV-B)는, 리피터 B(FW-B),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와, 수신 이상 검출 회로(33)(RCV-ERR-B)와, SYN 프레임 검출 회로(36)(SYN-DET-B)와,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9)(SYN-DET-B)에 출력된다.
또한, RRR 프레임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와,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2)(INZ-DET-B)와,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3)(INZ-TX-ADRS-B)에 송출된다.
(회로의 설명)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는, ON인 허가 상태의 시에는,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의 송신 출력 신호(전송 프레임)를, 하나의 통신 포트부(10)인 포트 A의 TVR-A에 송출한다. 또한, OFF인 시에는, MAC/DLC의 송신 출력 신호는 스위치로 커트되고, 결과적으로 대응하는 통신 포트(10)의 TVR-A로부터는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지 않는다.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는, ON인 시에는, 다른 통신 포트부(11)의 TVR-B에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의 송신 출력 신호(전송 프레임)을 송출 한다. 또한, OFF인 시에는,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의 송신 출력 신호는 스위치로 커트되고, 결과적으로 대응하는 통신 포트(11)의 TVR-B로부터는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지 않는다.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는 SIG-RV-A 수신 신호를 입력하고, 이 수신 신호의 프레임을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CV-SEL)에 출력한다.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는 SIG-RV-B 수신 신호를 입력하고, 이 수신 신호의 프레임을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CV-SEL)에 출력한다.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CV-SEL)는,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로부터의 프레임,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로부터의 프레임을 판단하고, 중첩이 있을 경우에는, 먼저 도착한 포트 측에서 수신하는 수신 신호(전송 프레임)를 우선해 수신 완료로 한다.
이 RCV-SEL 출력은,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에 인도되고, 수신 처리된다. 본 실시예의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건전 상태로 가동하고 있는 사이에는, 링 형상으로 하는 버스형 네트워크와 등가가 되므로,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는 종단국을 제외하는 전송국에서는,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는 전송국과 자국과의 위치 관계에 의해, 한번에 하나의 포트로부터 전송 프레임을 수신시킨다.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는 이더넷(등록상표) 프로토콜에 의한 전송 프레임의 송신과 수신(SIG-RV-A, SIG-RV-B)을 제어하는 것이며,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로부터의 송신 출력을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와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에 송출한다.
또한, 컴퓨터부(30)의 IRP(23)에 IRP-DLC(MAC/DLC 송수신 완료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컴퓨터부(30)는 전술의 수신 허가 스위치, 송신 허가 스위치, 중계 허가 스 위치의 ON, OFF 상태를 바꾸어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MPU(24)는, 프로그램 메모리(PROM과 워킹 RAM 메모리, PROM)에 저장된 프로그램 순서에 의해, 또한 필요한 설정치를 판독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기입하고, 일시적으로 유지 또는 판독하고, 본 발명의 전송국에서의 시퀀스 순서나 이더넷(등록상표)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중핵이 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IOC(22)는 MPU(24)로부터의 기입 데이터를 받고, 필요한 회로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또는 각 회로부로부터 상태 입력을 받고, MPU(24)가 판독하기 위한 입출력 제어 회로이다.
인터럽 신호 검출 회로(23)(IRP)는 전송국 회로에서 검출한 사태 발생을 MPU(24)에 인터럽 신호로서 전하는 인터럽 신호의 검출 회로이다.
인터럽 신호에는, 수신 이상 발생 검출(IRP-RE-A, IRP-RE-B), SYN 부재검출(IRP-NO-SYN), SYN 프레임 수신 검출(IRP-SYN-A, IRP-SYN-B), RRR 프레임 수신 검출(IRP-RRR-A, IRP-RRR-B), INZ 프레임 수신 검출(IRP-INZ-A, IRP-INZ-B), MAC/DLC 송수신 완료 검출(IRP-DLC)이 있다.
또한, IOC(22)로부터의 호스트 장치에의 처리 요구(IRP-STN)와 MPU로부터 호스트 장치에의 처리 요구(IRP-HOST) 등이 있다.
IRP(23)는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로부터 입력된 IRP-DLC 신호와, 프레임 검지 판정부(31)로부터의 후술하는, IRP-RE-A(수신 이상 발생 신호 A), IRP-RE-B(수신 이상 발생 신호 B), IRP-NO-SYN(SYN 부재검출 신호), IRP-SYN-A(SYN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A), IRP-SYN-B(SYN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B), IRP-RRR-A(RRR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A), IRP-RRR-B(RRR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B), IRP-INZ-A(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A), IRP-INZ-A(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A), IRP-INZ-B(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B), IRP-DLC(MAC/DLC 송수신 완료 검출 신호), IRP-HOST(호스트로의 처리 요구 신호)를 입력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으로 입력했을 때, MPU(24)에, 어떤 이상의 검출인가를 알리는 인터럽을 출력한다.
상기 IRP-RE-A, IRP-RE-B를 총칭해서 수신 이상 발생 검출 신호라고 칭하고, IRP-SYN-A, IRP-SYN-A-B을 총칭해서 SYN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라고 칭한다.
또한, IRP-RRR-A, IRP-RRR-B를 총칭해서 RRR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라 칭하고, IRP-INZ-A, IRP-INZ-B를 총칭해서 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라고 칭한다.
C-버스는, MPU(24)에 연결되는 공통 데이터 버스가 되고, C-BUS를 통해, MPU(24)는, 특히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의 검출 상태나, RRR 프레임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에 유지되어 있는 RRR 프레임 수신처 어드레스 정보나,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1)(INZ-TX-ADRS-A) 및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3)(INZ-TX-ADRS-B)에 유지되어 있는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DP-RAM(26)인 듀얼 포트 메모리 회로는 MAC/DLC로부터 송수신하는 전송 프레임의 데이터의 저장, 및 전송국에 접속하는 외부 호스트 장치(29)와의 호스트 접속 인터페이스 회로(28)(HOST-IF를 통한 송수신 데이터나 제어 커맨드 상태 스테이터스의 교환을 위한 메모리 회로)로 구성된다.
DP-RAM(26)은 MPU(24), HOST-IF(28), MAC/DLC(21)로부터 액세스되고, DRAM 콘트롤러는 DPRC(27)에 의해 판독하고, 기입의 타이밍이 제어된다.
전술한 프로그램은,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건전 상태(보통 모드)에서 가동하고 있는 사이는, 링 형상인 버스형 네트워크와 등가가 되므로, 종단국을 제외하는 전송국이 된 경우에는,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는 전송국과 자국과의 위치 관계에 의해, 동시에 어느 하나의 포트로부터 전송 프레임을 수신하는 커맨드를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 또는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에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는, 종단국이 됐을 때는, 링 형상의 접속 상태이기 때문에, 양쪽의 포트로부터 전송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이 되지만, 보통은, 블록 상태에 있는 포트 측의 수신 허가 스위치를 OFF로서, 비블록 상태의 포트 측으로부터 수신 입력하는 커맨드를 송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수신 이상 검출 회로(32)(RCV-ERR-A)는, 통신 포트(10)(포트 A)에 대응한 수신 이상을 검출하는 회로이다. 즉, 통신 포트(10)(포트A)로부터의 SIG-RV-A 수신 신호의 이상을 검출하는 회로이고, 이상을 검출했을 때는 IRP-RE-A 신호(때로는, 수신 이상 검출 신호 A라고도 함)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수신 이상 검출 회로(33)(RCV-ERR-B)는, 통신 포트(11)(포트 B)에 대응한 수신 이상을 검출하는 회로이다. 수신 이상을 검출했을 때는, IRP-RE-A 신호를 컴퓨터부(30)에 송출한다. 즉, 통신 포트(11)(포트 B)로부터의 SIG-RV-B 수신 신호의 이상을 검출하는 회로이며, 이상을 검출하면 IRP-RE-B(수신 이상 검출 신호 B)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수신 이상은, 도래하는 프레임의 캐리어 신호가 분리되는 규정 이상의 이더넷(등록상표) 특유의 수신 클록 동기용 신호인 프리앰블(preamble) 패턴의 수신일 수 있다.
반대로, 필수적인 프리앰블 패턴을 검출할 수 없거나, 이더넷(등록상표) 전송 프레임에 구비되는 전송 프레임의 오류 검출 코드(FCS)의 체크에 의해 규정 이상의 오류를 연속하여 검출하는 등의, 수신 오류가 연속해서 규정 회수 이상으로 검지됨으로써 수신 이상의 발생일 수 있지만, 검지 회로에서는 DLC/MAC에 구비되는 FCS 체크 수단과 그 결과인 MPU(24)에 의한 통계 처리하는 것을 제외한 범위가 된다.
SYN 프레임 검출 회로(34)(SYN-DET-A)는, 통신 포트(10)(포트 A)에 대응한 SYN 프레임의 도래를 검출하는 회로이다.
즉, SYN 프레임 검출 회로(34)(SYN-DET-A)는 통신 포트(10)로부터의 SIG-RV-A 수신 신호가 SYN 프레임의 경우에는, 이것을 검출하는 회로이며, SYN 프레임을 검출한 경우에는, IRP-SYN-A 신호(때로는, SYN 프레임 검출 신호 A라고도 함)를 컴퓨터부(30) 및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에 출력한다.
SYN 프레임 검출 회로(36)(SYN-DET-B)는, 통신 포트(11)(포트 B)에 대응한 SYN 프레임의 도래를 검출하는 회로이다. 즉, SYN 프레임 검출 회로(36)(SYN-DET-B)는, 통신 포트(11)로부터의 SIG-RV-B 수신 신호가 SYN 프레임인 경우에는, 이것을 검출하는 회로이며, SYN 프레임을 검출한 경우에는, IRP-SYN-B(때로는, SYN 프 레임 검출 신호 B라고도 함)를 컴퓨터부(30) 및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에 출력한다.
한편,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는, SYN이 없는 롱 사이런트(long silent) 상태의 발생을 검출하는 회로이다. 즉,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는, SYN 프레임 검출 회로(34)(SYN-DET-A)로부터 IRP-SYN-A 신호(SYN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A) 또는 SYN 프레임 검출 회로(36)(SYN-DET-B)로부터 IRP-SYN-B 신호(SYN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B)가 일정 시간 내에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IRP-NO-SYN 신호(SYN 부재검출 신호)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7)(RRR-DET-A)는 통신 포트(10)(포트 A)에 대응한 RRR 프레임 수신을 검출하는 회로이다. 즉, 통신 포트(10)(포트 A)의 RVR-A로부터의 SIG-RV-A 수신 신호의 RRR 프레임(단선을 검지를 알리는 신호)을 검출하고, 검출했을 때는, IPR-RRR-A 신호(RRR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A)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9)(RRR-DET-B)는 통신 포트(11)(포트 B)에 대응한 RRR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를 검출하는 회로이다. 즉, 통신 포트(11)(포트 B)의 RVR-B로부터의 SIG-RV-B의 RRR 프레임을 검출하고, 검출했을 때는, IPR-RRR-B 신호(RRR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B)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RRR 프레임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는 통신 포트(11)(포트 B)가 수신한 SIG-RV-B 신호의 RRR 프레임의 수신처 어드레스(DA) 부분을 취입하여 유지하는 회로이며, 그 부분의 사이는 C-BUS에, 예를 들면 H 레벨의 신호 를 출력한다. RRR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는 양측의 수신 신호를 취입하여 타이밍을 잡아 수신처 어드레스 부분을 취입하는 것이 가능한 회로 구성이 된다.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는, 포트 A에 대응한 INZ 프레임을 검출하는 회로이다. 즉, 통신 포트(10)(통신 포트 A)가 수신한 SIG-RV-A 신호의 INZ 프레임을 검출했을 때, IRP-INZ-A(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A)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2)(INZ-DET-B)는, 통신 포트(11)(포트 B)에 대응한 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를 검출하는 회로이다. 즉, 통신 포트(11)(통신 포트 B)가 수신한 SIG-RV-B 신호의 INZ 프레임을 검출했을 때, IRP-INZ-B(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B)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1)(INZ-TX-ADRS-A)는, 포트 A에 대응하여, 포트 A가 수신한 SIG-RV-A 신호의 INZ 프레임의 소스 어드레스(SA) 부분을 유지하는 회로이다.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3)(INZ-TX-ADRS-B)는 포트 B에 대응해서, 포트 B가 수신한 SIG-RV-B 신호의 INZ 프레임의 소스 어드레스(SA) 부분을 유지하는 회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송국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중 링 네트워크에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송국의 초기화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초기화는, 도 2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하나를 기점국으로 한 복수의 전송국을, 제 1 통신 라인, 제 2 통신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의 전송로에서 각각을 접속하고, 각각의 전송국은 일 단부 측(우측 단부)에서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좌순환의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일 단부 측(우측 단부)으로부터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우순환으로 입력한 정보 또는 당해국에서 생성한 정보를 우순환의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 1 통신 포트와 다른 단부 측(좌측 단부)에서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우순환으로 입력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다른 단부 측(좌측 단부)으로부터 상기 좌순환의 정보 또는 당해국에서 생성한 정보를 좌순환의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 2 통신 포트를 구비해서 서로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상기 기점국은, 기동 초기에는,
소스를 상기 기점국으로 하고, 또한 전송국의 수신처를 지정시킨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화시키기 위한 제 1 프레임을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동시에 우순환 및 좌순환으로 송신하는 INZ 프레임 송신 수단(초기화 신호 송출 수단(63))을 구비한다. 이 초기화 신호 송출 수단(63)은 다른 전송국도 구비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전송국은, 기동 초기에는,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를 수신 가능하게 하는 INZ 프레임 수신 허가 수단과(도 28에서는 초기화 완료 응답 수단(61), 스위치 군 제어 수단(62), 스위치 제어 수단(62)에 의해 실현하고 있다),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가 상기 제 1 프레임을 수신했을 때, 상기 제 1 프레임을 먼저 수신한 통신 포트를 판단하는 선착 판정 수단과(도 28에서는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가 행함),
상기 제 1 전송국이 상기 우순환 및 제 2 전송국이 좌순환에서, 당해국을 수신처로 한 우순환 및 좌순환의 상기 제 1 프레임을 각각이 수신했을 때, 이들의 제 1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우순환 및 좌순환을 경유해 온 각 전송국의 식별 정보 및 상기 기점국에서 당해국까지의 라인 길이에 의거하여 좌순환의 단부 또는 우순환의 단부가 어느 쪽에 위치하고 있는 전송국인 것을 판정하고, 어느 쪽의 측의 종단국이 될지를 설정시키는 종단국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자국 위치 특정 수단과(도 28의 71),
상기 종단국 설정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선착의 판단 결과가 상기 제 1 통신 포트가 상기 우순환의 제 1 프레임을 먼저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기점국으로부터 좌측 단부의 종단국 모드인 것으로 자국을 설정하고, 일시적으로 상기 제 2 통신 포트가 수신한 상기 좌순환의 제 1 프레임을 좌측의 인접국에 송신시킨 후에,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하는 제 1 종단국 결정 수단과,
상기 종단국 설정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선착의 판단 결과가 상기 선착의 제 2 통신 포트가 먼저 제 1 프레임을 수신하고, 또한 제 1 통신 포트가 우측의 인접국으로부터 상기 좌순환의 제 1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기점국에서 우측 단부의 종단국 모드인 것으로 자국을 설정해서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하는 제 2 종단국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종단국 결정 수단은 도 28에서는 중계국/종단국 모드 설정 수단(68)과 함께 실행되고 있다.
도 28은 기동에 따라 초기화 신호 송출 수단(63)이 INZ 프레임을 프레임 송출 수단(69)에 의해 송출시킨다. 이 프레임 송출 수단(69)은 메모리(70)로부터 자국 어드레스와, 수신의 소스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이것을 프레임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한편, 초기화 신호 송출 수단(63)이 INZ 프레임을 송신함에 따라 스위치 군 제어 수단(62)은, 스위치 테이블(64)로부터 초기화 시의 스위치 설정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것을 출력 수단(65)으로부터 출력시킨다. 스위치 설정 데이터는, 도 6, 도 7, 도 20에 나타나 있다. 이 스위치 설정 데이터에 의해 각 스위치가 ON 또는 OFF 제어된다.
그리고, 자국 위치 특정 수단(71)이 SW-RCV-A 및 SW-RCV-B가 수신한 프레임을 판독하고, 메모리(70)의 자국 어드레스와 송신된 프레임의 소스 어드레스로부터 자국 위치를 특정한다. 이 특정된 위치에 의해, 중계국/종단국 모드 설정 수단(68)이 타이머(67)를 스타트시키면서, 중계국 또는 종단국이 된다.
그리고, 초기화 완료 응답 수단(66)이 초기화 시에 중계국 또는 종단국을 설정한 장소는 초기화 완료 프레임을 프레임 송출 수단(69)에 의해 송출시킨다.
도 29는 각 전송국 간에서 교신되는 초기화 시의 INZ 프레임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 9를 보충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29의 시퀀스도에서는, 마스터국 MS(전송국 #ST1)이 초기화 처리시키기 위한 INZ 프레임을 좌측 방향으로 송신(전송국#ST2, ...,전송국#ST4) 및 우측 방향으 로 송신한다(전송국 #ST8, ...,전송국 #ST5).
즉, MPU(24)가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를 ON 상태로 하는 동시에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를 ON 상태로 해서 송수신 제어 장치(21)(MAC/DLC)로부터 INZ 프레임을 쌍방향으로 송신시키는 초기화 처리를 위한 INZ 프레임 송신 수단이 된다.
그리고, 각 전송국의 MPU(24)가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 및 수신 허가 스위치(19)를 ON 상태로 해서 양쪽의 통신 포트로부터 INZ 프레임의 회신을,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CV-SEL)에 취입해서 그 결과를 송수신 제어 장치(21)(MAC/DLC)에 입력시킬 수 있는 프레임 수신 검출 수단이 된다.
이 선착의 판정은, 전송로의 라인 길이 및 전송국 수 등에 따라 동시에 프레임이 통신 포트 A, 통신 포트 B에 입력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미리 결정된 측을 선착으로 판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NZ 프레임의 검출은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와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2)(INZ-DET-B)가 검출한다. 프레임 수신 검출 수단은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와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2)(INZ-DET-B)를 포함한다.
도 29에서는, #ST5는 R측 순환(통신 포트 A)에서 마스터국으로부터의 INZ 프레임(수신처 #ST5)을 #ST8, #ST7, #ST6을 통해 수신하는(도 29의 동그라미 쳐진“1”) 동시에, L측 순환에서 마스터국(MS)으로부터의 INZ 프레임(수신처 #ST5)이 #ST2, #ST3, #ST4를 통해 #ST5에 도달한다(도 29의 동그라미 쳐진 “2”). 즉, 두 개의 INZ 프레임을 수신한다(da).
그리고, INZ 프레임은 R측 순환, L측 순환에서 #ST5에 도달하므로, 이 INZ 프레임에 각 전송국의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개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자국이 우순환 및 좌순환에서 몇 번째 인가를 안다.
또한, INZ 프레임에 대하여 응답 확인 프레임을 송출했을 때에 시간을 카운트하고, 이 프레임이 루프했을 때의 시간에서 자국으로부터 마스터국(R측 및 L측)까지의 라인 길이를 안다. 이 처리를 자국 위치 특정 수단이 행하고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이어서, 이 위치 특정 후에 초기 설정에서 종단국이 된 것을 알리는 INZ-COMP 프레임을 마스터(MS국)에 R측 순환으로 송신한다(db). 즉, 처음에 통신 포트 A(R측 순환)가 INZ 프레임을 먼저 수신한 후에, 통신 포트 B(L측 순환)에서 수신한 경우는, R측의 종단으로서 INZ-COMP를 R측 순환으로 마스터 MS에 송신한다.
이 통신 포트 A가 먼저 수신했는지 통신 포트 B가 먼저 수신했는지의 판정은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CV-SEL)가 행하고 있다.
또한, #ST5는 R측 순환으로 INZ-COMP를 마스터(MS)에 송출한 후에, 마스터국(MS국)으로부터 INZ 프레임이 R측 순환에서 송출된 경우에는, 이 INZ 프레임을 중계시키지 않도록 설정시키고 있다(통신 포트 B로부터 출력시키지 않음 : 종단국 결정 수단). 예를 들면,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를 OFF 상태로 한다.
한편, #ST6에는, 초기화 시에 도 29의 삼각 마크의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스터국(MS)으로부터는 R측 순환으로 INZ 프레임이 #ST6에 송신되어 있다. 또한, 마스터국(MS)으로부터는 L측 순환으로 INZ 프레임이 #ST6에 송신되어 있다(dc).
이 L측 순환의 INZ 프레임은, #ST4와 #ST5 간의 교신으로 인해 #ST4, #ST5, 및 #ST6에 도달한다. 여기에서, #ST5는, 이 때의 INZ 프레임을 통과시킨다.
즉, #ST6에는 INZ 프레임이 R측 순환 및 L측 순환에서 2회 수신되게 된다(도 29의 삼각 마크의 “2”). 이것에 의해, 종단국(R측)으로서 INZ-COMP 프레임을 마스터국(MS)에 송신한다(dd). 따라서, R측의 종단국이 #ST5가 되고, L측의 종단국이 #ST6이 된다.
R측의 종단국, L측의 종단국의 결정을 위해, 각 전송국은, 네트워크 상의 각각의 전송국의 어드레스를 파악하고 있다. 예를 들면, 통신 포트 A가 선착으로, 이 프레임에는 당해 전송국까지의 각 전송국의 어드레스 또는 개수가 부가되어서 송신되고, 또한 통신 포트 B에서 수신한 프레임에 당해 전송국까지의 각 전송국의 어드레스(순서가 순방향 순서) 또는 개수가 부가되어서 송신되어 왔을 경우에는,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자기의 위치를 특별히 지정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의 전체 선로 길이와 마스터국까지의 당해국과의 길이를 고려해서 R측 및 L측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전송국의 어드레스를 포함한 프레임의 경우에는, 인접국이 자기보다 작은 번호인가, 큰 번호인가도 판단할 수 있다.
전송국의 초기화 처리를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을 보충한다.
도 10의 단계 S101은, 전송국이 쌍방향(R측 순환, L측 순환)으로 INZ 프레임을 송신하는 처리이다(도 10의 S01 및 S02).
도 10에 나타내는 단계 S0로부터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01에서는, INZ 프레임 수신 검출, 수신 포트 A(통신 포트 A)가 블록 상태이고 MS포트=B가 false, 종단국이 false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제 1 조건
즉, 컴퓨터부(30)가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B)를 OFF,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를 OFF,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를 ON,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를 ON,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를 OFF,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를 OFF로 설정하여 단계 S01의 조건이 만족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로부터의 송신 출력 신호가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를 통해 통신 포트 A의 TVR-A로부터 전송로에 송출되는 동시에,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를 통해 통신 포트 B의 TRV-B로부터 전송로에 송신된다. 기점국(MS국에서, 작업원이 설정)은,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로부터의 송신 출력 신호에는, 각 전송국의 어드레스를 포함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9 및 도 29에 나타내는 시퀀스가 된다.
MPU(24)는, SW-FW-A 또는 B를 ON으로 함으로써, 비블록 상태로 하고, 동시에 SW-RCV-A 또는 B를 ON으로 함으로써 수신 포트로부터 전송 프레임의 취입을 이후 허가한다.
또한, 수신 포트에 대응하는 SW-TX-A 또는 B만을 일시적으로 ON으로 해서 수 신 포트 측으로부터 응답 확인 프레임을 송출하고, 국 모드를 not 종단으로 한다.
또한, MS 포트가 확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블록 상태의 포트로부터 INZ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그 수신 포트에 따라 종단국 ST-T-L 및 ST--T-R을 결정한다.
도 10의 단계 S01의 조건의 경우에는, 컴퓨터부(30)의 MPU(24)(이하 간단히 컴퓨터부(30)라고 함)는, MS국 어드레스를 소스 어드레스, 수신 포트 A(통신 포트 A)를 유지(통신 포트 A로부터의 신호를 취입) 상태로 한다.
컴퓨터부(30)는,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와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를 ON으로 한다. 즉, 통신 포트 A로부터의 수신 신호가 중계 허가 스위치(13)(SW-FW-A)를 통해 통신 포트(11)에 중계되는 동시에, 통신 포트(10)로부터의 수신 신호(SIG-RV-A)가 수신 허가 스위치(18)(SW-RCV-A)에 의해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VC-SEL)에 입력되어, 선착인가의 여부를 판정되고, 이 결과가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에 출력된다.
또한, 컴퓨터부(30)는,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를 OFF로 해서 INZ 프레임(수신처 MS국)을 MS 포트 = A(통신 포트 A)로부터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가 송출한다.
또한, 컴퓨터부(30)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는 송신 허가 스위치(17)(SW-TX-B)를 ON으로 해서 포트 B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수신 허가하고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VC-SEL)에 출력해서 선착을 판정한다. 이 때 컴퓨터부(30)의 CPU는 국 모드를 종단국은 not(부정)으로 하고 있다.
한편, 포트 A로부터 수신된 SIG-RV-A 수신 신호는, 프레임 검지 판정부(31)에 의해 검지 판정이 행하여진다. 이 프레임 검지 판정부(31)의 검지 판정은, 수신 이상 검출 회로(32)(RCV-ERR-A)가 SIG-RV-A 수신의 이상을 검출했을 때는 IRP-RE-A 신호(수신 신호 A 이상 검출 신호라고도 함)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SYN 프레임 검출 회로(34)(SYN-DET-A)는, 통신 포트(10)로부터의 SIG-RV-A 수신 신호가 SYN 프레임인 경우에는, IRP-SYN-A 신호(때로는, SYN 프레임 검출 신호 A라고도 함)를 컴퓨터부(30) 및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에 출력한다.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7)(RRR-DET-A)는, 통신 포트(10)(포트 A)의 RVR-A로부터의 SIG-RV-A의 RRR 프레임을 검출했을 때는, IPR-RRR-A 신호(RRR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A)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INZ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40)(INZ-DET-A)는 통신 포트(10)(통신 포트 A)에서 수신한 SIG-RV-A 신호의 INZ 프레임을 검출했을 때 IRP-INZ-A(INZ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A)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1)(INZ-TX-ADRS-A)는, 포트 A가 수신한 SIG-RV-A 신호의 INZ 프레임 중의 소스 어드레스(SA) 부분을 유지한다.
또한, 수신 이상 검출 회로(33)(RCV-ERR-B)는, 통신 포트(11)(포트 B)로부터의 SIG-RV-B 수신 신호의 이상을 검출하면 IRP-RE-B(수신 이상 발생 검출 신호)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SYN 프레임 검출 회로(36)(SYN-DET-B)는, 통신 포트(11)로부터의 SlG-RV-B 수신 신호가 SYN 프레임인 경우에는, IRP-SYN-B(때로는, SYN 프레임 검출 신호 B라고도 함)를 컴퓨터부(30) 및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에 출력한다.
한편, SYN 부재검출 회로(35)(NO-SYN-DET-A/B)는, SYN 프레임 검출 회로(34)(SYN-DET-A)로부터 IRP-SYN-A 신호(SYN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A), SYN 프레임 검출 회로(36)(SYN-DET-B)로부터 IRP-SYN-B 신호(SYN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B)가 일정 시간 내에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IRP-NO-SYN 신호(SYN 부재검출 신호)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RRR 프레임 수신 검출 회로(39)(RRR-DET-B)는, 통신 포트(11)(포트 B)의 RVR-B로부터의 SIG-RV-B의 RRR 프레임을 검출하고, 검출했을 시는, IPR-RRR-B 신호(RRR 프레임 수신 검출 신호 B)를 컴퓨터부(30)에 출력한다.
RRR 프레임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는, 통신 포트(11)(포트 B)가 수신한 SlG-RV-B 신호의 RRR 프레임 중의 수신처 어드레스(DA) 부분을 취입하여 유지한다.
RRR 수신처 어드레스 유지 회로(38)(RRR-RCV-ADRS)는, 양측의 수신 신호를 취입해서 타이밍을 잡아 수신처 어드레스 부분을 취입한다.
INZ 프레임 소스 어드레스 유지 회로(43)(INZ-TX-ADRS-B)는, 포트 B가 수신한 SIG-RV-B의 INZ 프레임 중의 소스 어드레스(SA) 부분을 유지한다.
또한, 도 10의 단계 S02는, INZ 프레임 수신 검출되고, 수신 포트 B(통신 포트 B)가 BLOCK 상태이고 MS 포트 = A가 false, 종단국=not의 조건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도 10의 단계 S02의 조건인 경우에는, 컴퓨터부(30)는, MS국 어드레스를 소스 어드레스로 하고, 수신 포트 B(통신 포트 B)를 유지(통신 포트 B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임) 상태로 한다.
컴퓨터부(30)는,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와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를 ON으로 한다. 즉, 통신 포트 B로부터의 수신 신호가 중계 허가 스위치(14)(SW-FW-B)를 통해서 통신 포트(10)에 중계되는 동시에 통신 포트(11)로부터의 수신 신호(SIG-RV-B)가 수신 허가 스위치(19)(SW-RCV-B)에 의해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VC-SEL)에 입력되어, 선착인가의 여부가 판정되어, 이 결과가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에 출력된다.
또한, 컴퓨터부(30)는 송신 허가 스위치(16)(SW-TX-A)를 OFF로 해서 INZ 프레임(수신처 MS국)을, MS포트 = B(통신 포트 B)로부터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가 송출한다.
또한, 컴퓨터부(30)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는, 송수신 허가 스위치(16)(SW-TX-A)를 ON으로 해서 포트 B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수신 허가하고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VC-SEL)에 출력해서 선착을 판정시킨다. 이 때, 컴퓨터부(30)의 CPU는, 국 모드를 종단국은 not(부정)으로 한다.
도 10의 단계 S03의 조건인 경우에는, 컴퓨터부(30)는 국 모드를 종단국 STL-T-L로 하고, INZ-COMP = time ... 정상 종단, INZ-COM 프레임을 송출한다.
이 때, MS국 어드레스를 소스 어드레스로 하고, 수신 포트 B(통신 포트 B)를 유지(통신 포트 B로부터의 신호를 취입) 상태로 한다.
도 10의 단계 S04는, INZ 프레임 수신 검출, 수신 포트 A(통신 포트 A)가 블록 상태이고, MS 포트 = B, 종단국 = not의 조건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조건인 경우에는, 국 모드를 종단국 ST-T-R으로 하고, INZ-COMP = true ... 정상 종단, INZ-COMP 프레임을 송출한다.
다음에, 단계 S0의 처리 후에, 도 10의 단계 S1의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도 10의 단계 S102는, 타이머 스타트 처리이다.
도 10의 단계 S102의 단계 S1은, 마스터국으로부터 후속 INZ 프레임을 검지하면, 타이머를 기동해서 S2의 이벤트를 대기한다.
INZ 프레임 수신 검지, 국 모드가 not 종단국, INZ-COMP = false, 수신 포트 = A/B의 조건의 경우에는,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그러므로, 초기화를 지정시키는 INZ 프레임을 양방향(통신 포트 A, 및 B)으로 송출시켜서, 인접국으로부터의 응답 확인 프레임(INZ-COMP)의 도래를 대기한다.
이 때, 컴퓨터부(30)는,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를 이용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상태, 수신 금지 상태(SW-TX-A 및 SW-TX-B를 ON 상태)로 해서, 양방향으로 송신시키고 있다.
이어서, SW-RCV-A 및 SW-RCV-B를 ON 상태로 해서, 프레임 검지 판정부(31)의 INZ-DET-A에 의해 통신 포트 A로부터의 SIG-RV-A 수신 신호의 INZ 프레임의 도래를 검지시킴과 동시에, INZ-DET-B에 의해 통신 포트 B로부터의 SIG-RV-B 수신 신호의 INZ 프레임의 도래를 검지시킨다.
또한, 선착 수신 선택 회로(20)(RCV-SEL)는 SW-TCV-A와 SW-RCV-B를 감시하고, 어느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송수신 제어 회로(21)(MAC/DLC)에 알린다. 최초에 수신한 수신 포트를 MS포트로 설정한다.
도 11의 단계 S103은, 전송국을 중계국(대향국) 또는 종단국 모드로 설정한 처리이다.
S0에서 INZ 프레임을 송출한 후, S1에서 후속 INZ 프레임의 도래를 검지하고 있는 조건 하에서, MS 포트 측과는 반대 측의 인접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하면, 이 수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로의 블록 상태를 비블록 상태로, 도래하는 전송 프레임을 수신 취입 허가로 한다.
이것에 의해, 이 전송국에서는 쌍방향 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하는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과 다른 측으로의 중계가 가능해지는 중계국으로서, 국 모드를 normal로 한다.
S21에서는, 타이머 업 전, INZ 프레임 수신 검지, 수신 포트 = B, 국 모드 = not 종단국의 조건의 경우는, 타이머 리셋, SW-FW-B를 ON, 국 모드 = normal, MS 포트 = A로 한다.
S22에서는, 타이머 업, INZ 프레임 수신 검지, (수신 포트 = B)=false, MS 포트 A, 국 모드 = not 종단국의 조건의 경우에는, 국 모드 = 종단국 ST-T-L, MS포트 = A, INZ-COMP = true ... 이상 종단 또는 S04 : 대향국으로 한다.
S23에서는, 타이머 업 전, INZ 프레임 수신 검지, (수신 포트 = A), MS 포트 B, 국 모드 = not 종단국의 조건의 경우에는, 타이머 리셋, SW-FW-A를 ON, 국 모드 = normal, MS 포트 = B로 한다.
S24에서는, 타이머 업, INZ 프레임 수신 검지, (수신 포트=A)=false, MS 포트 B, 국 모드 = not 종단국의 조건의 경우에는, 국 모드 = 종단국 ST-T-R, MS 포트 = B, INZ-COMP = true ... 이상 종단 또는 S03 : 대향국으로 한다.
도 11의 단계 S104는, R 측의 종단국 또는 L측의 종단국을 결정하는 처리이다. 도 11의 단계 S3은, 즉 MS 국과의 응답 확인 시퀸스에 의해 확실하게 INZ-COMP 프레임이 MS 국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마스터국 MS로부터, 자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수신 확인 INZ-C0MP 프레임을 수신할 때까지 재송 처리를 계속하지만, 재송을 위한 대기 시간을 ST-T-L 및 ST-T-R의 국 모드에 따라 ST1 및 ST2와 다르게 하여, MS국에서의 INZ-COMP 프레임이 계속하는 중첩을 회피하는 실시예가 된다.
도 11의 단계 S3에서, MS국 측에서는 초기화 완료를 검출하고, 주기적인 INZ 프레임의 송출을 정지할 수 있다.
S31에서는, INZ-COMP, 및 ST-T-L의 조건의 경우에는, SW-TX-B = OFF, INZ-COMP 프레임(수신처 = MS국), 국 모드 = ST-T-L을 송출, 및 SW-TX-B = ON, ST 타이머(타이머 값 = ST1) 스타트, INZ-COMP-SENT = true로 하고, S32에서는, INZ-COMP, 및 ST-T-R의 조건의 경우에는, SW-TX-A = OFF, INZ-COMP 프레임(수신처 = MS국), 국 모드 = ST-T-R을 송출, 및 SW-TX-A = ON, ST 타이머(타이머 값 = ST2) 스타트, INZ-COMP-SENT = true로 한다.
도 11의 단계 S105는 양쪽 종단국이 결정되었을 경우에 타이머를 리셋하는 처리와, INZ-COMP를 송신할 수 없었을 경우에 재송하는 처리이다.
S41에서, ST 타이머 업 전, INZ-COMP-REC(INZ-COMP-SENT), INZ-COMP 프레임 수신, 수신처(자국), 소스 = MS국의 조건의 경우에는, ST 타이머 리셋, INZ-COMP = false, INZ-COMP-sent = true ... 종단국의 확정, 및 INZ 프로세스 종료로 한다.
S42에서는, 타이머 업, INZ-COMP-REC = false의 조건의 경우에는, INZ-COMP 프레임의 재송 처리로 한다.
따라서, 전원 투입 등의 기동 시에는, 복수 개를 접속한 네트워크에서도, 전송국이 자동적으로 R 측의 종단국, L측의 종단국, 또는 중계국이 된다.

Claims (32)

  1.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한 쌍의 통신 포트를 각각 구비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가, 상기 통신 포트 쌍에 의해 전송로를 통해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하여 전송국 상호 간에 교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이중 링 네트워크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각각의 상기 전송국에 대해,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을 한번에 상기 전송국의 쌍을 이루는 통신 포트로부터 동시에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쌍을 이루는 통신 포트 중 하나의 통신 포트에서 수신되는 다른 상기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된 전송 프레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통신 포트에 대해, 다른 쪽 통신 포트가 되는 다른 통신 포트로 중계할 수 있고, 상기 다른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된 상기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 중 인접하여 쌍을 이루는 상기 전송국 각각에 대해,
    하나의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전송 프레임을 송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송로를 통해 연결되는 다른 전송국의 통신 포트에서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을 당해 전송국에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응답되지만, 상기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로의 중계를 통해 상기 다른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수신된 전송 프레임을, 그 중계 방향에 있는, 링 형상으로 연결되는 후속 전송국에는 송달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으로 구성한 네트워크 내를 순환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전송국 세트는,
    하나의 상기 전송국을 기점으로,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된 상기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 중 링 형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전송국의 총 수와 상기 전송국의 상호 간을 접속하는 전송로의 총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 인접하여 쌍을 이루는 상기 전송국의 각각에서, 상기 전송 프레임을 한 쪽의 상기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통신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포트를 통해 송출 및 수신하는 상기 전송 프레임 포맷, 상기 통신 포트의 전송로 인터페이스로서, ISO/IEC8802-3 규격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통신 제어 방법.
  4.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한 쌍의 통신 포트를 각각 구비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가, 상기 통신 포트 쌍에 의해 전송로를 통해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하여 전송국 상호 간에 교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이중 링 네트워크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된 상기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 중 하나의 상기 전송국을 기점으로 하는 기점의 전송국에 대해,
    주기적으로 초기화를 지시하는 전송 프레임(INZ 프레임)을 양방향으로 송출하는 단계와,
    이것을 수신 검출하는 각각의 전송국에 대해,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측의 통신 포트로의 전송 프레임의 중계를 금지 상태로부터 허가 상태로 하는 단계와,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에서 이후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取入)을 허가하고, 수신한 통신 포트 측에서 응답 확인으로서의 INZ 프레임(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송출함으로써 수신 확인의 응답을 하는 단계와,
    상기 INZ 프레임을 송출한 후에, 최초에 상기 INZ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로의 중계 방향에 있는 하나의 인접한 전송국으로부터, 상기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 검출에 응답하여,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측의 통신 포트로의 전송 프레임의 중계를 금지 상태로부터 허가 상태로 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에서 이후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을 허가함으로써, 상기 전송국에서는 이후 쌍방향 측의 통신 포트에서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과 다른 측으로의 중계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링 형상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전송국의 총 수와, 상기 전송국을 서로 접속하는 전송로의 총 길이에 따라 결정된 상기 INZ 프레임을 양측의 통신 포트에서 수신하는 위치에 있는 전송국과, 상기 전송국과는 전송로를 통해 인접하는 위치가 되는 전송국 각각에 대해,
    한 쪽의 상기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다른 전송국의 대향하는 통신 포트에서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을 당해 전송국에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응답되어, 상기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로의 중계를 허가 상태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신 취입이 또한 금지가 되는 종단국으로서 구성함으로써, 이 종단국의 각각에서, 다른 종단국으로부터 수신한 전송 프레임을, 그 중계 방향에 있는 링 형상으로 연결되는 후속 전송국에 중계 송신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상기 링 형상으로 구성한 네트워크를 순환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통신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된 상기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 중, 하나의 상기 전송국을 기점으로 하는 전송국에 대해,
    초기화를 지시하는 전송 프레임(INZ 프레임)을 양방향으로 송출하는 단계와,
    이것을 수신 검출한 당해 전송국의 하나의 인접한 전송국에 대해,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측의 통신 포트로의 전송 프레임의 중계를 금지 상태로부터 허가 상태로 하는 단계와,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에서 이후 전송 프레임의 수신 및 취입을 허가하는 단계와,
    응답 확인으로서의 INZ 프레임(응답 확인 INZ 프레임)을, 수신처로서 상기 수신한 INZ 프레임의 소스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양방향으로 송출함으로써 수신 확인의 응답하는 단계와,
    상기 INZ 프레임을 송출한 후에, 최초에 상기 INZ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로의 중계 방향에 있는 하나의 인접한 전송국으로부터, 상기 하나의 인접하는 전송국의 자국을 지정한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의 수신 검출에 응답하여,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측의 통신 포트로의 전송 프레임의 중계를 금지 상태로부터 허가 상태로 하는 단계와,
    수신한 측의 통신 포트에서 이후 전송 프레임의 수신 취입을 허가함으로써, 당해 전송국에서는 이후 양측의 통신 포트에서 수신하는 전송 프레임의 수신 및 취입과 다른 측으로의 중계를 가능하게 하고,
    INZ 프레임을 양방향으로 송출한 상기 기점의 전송국으로부터 시작하여, 링 형상의 양쪽 방향에 위치하는 각각의 전송국에서, 차례로 INZ 프레임을 수신에 응답하여, 다시 INZ 프레임을 양측의 통신 포트에서 송출함으로써,
    상기 링 형상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전송국의 총 수와, 상기 전송국의 상호 간을 접속하는 전송로의 총 길이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와,
    INZ 프레임을 양측의 통신 포트에서 수신하는 위치의 전송국과, 상기 전송국과는 전송로를 통해서 인접하는 위치가 되는 전송국의 각각에 대해,
    한쪽의 상기 전송국의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다른 전송국의 대향하는 통신 포트에서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을, 당해 전송국에서 검출해 상기 전송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응답되어, 상기 수신한 통신 포트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로의 중계를 허가 상태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신 취입이 또한 금지 상태가 되는 종단국으로서 구성함으로써, 상기 종단국의 각각에서, 다른 종단국으로부터 수신한 전송 프레임을, 그 중계 방향에 있는, 링 형상으로 연결되는 후속 전송국에는 중계 송신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전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으로 구성한 네트워크 내를 순환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통신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송국에 대해, 초기화 기간 내에서 먼저 INZ 프레임을 수신하면, 수신한 통신 포트(MS 포트) 측에 대향한 인접하는 전송국의 어드레스로서, 상기 수신한 INZ 프레임 중의 소스 어드레스를 상기 수신 포트의 식별자와 함께 유지하여 INZ 프레임에 응답하는 단계와,
    상기 인접하는 전송국의 어드레스를 수신처로 지정한 INZ 프레임을 양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송출 후에, 미리 지정한 시간 내에서 자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INZ 프레임을 MS 포트의 반대 측의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하면, 이 통신 포트 측에 대향한 인접한 전송국으로부터의 상기 응답 확인 INZ 프레임으로 하고,
    상기 INZ 프레임 내의 소스 어드레스를 상기 수신 포트의 식별자와 함께 유지함으로써, 상기 전송국의 양측에 인접하는 각각의 전송국의 어드레스를 취득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통신 제어 방법.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전송국을 기점으로 하여, 링 형상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전송국의 총 수와, 상기 전송국의 상호 간을 접속하는 전송로의 총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 인접하는 두 개의 전송국으로 두 개의 종단국이 구성된 시점에서, 또는
    초기화 도중에, 자국의 인접하는 전송국으로부터의 응답 확인 INZ 프레임의 수신이 없음으로써 종단국이 된 시점에서,
    이중 링 네트워크의 두 개의 종단국 각각은, 초기화 종료의 표시와, 종단국 어드레스 및 종단국 모드를 포함하는 종단국 정보를 포함한 INZ-COMP 프레임을 송출함으로써, 또는 기점이 된 상기 하나의 전송국에서, 상기 INZ-COMP 프레임을 수신 검지함으로써,
    이중 링 네트워크의 초기화가 완료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통신 제어 방법.
  8.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한 쌍의 통신 포트를 각각 구비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가, 상기 통신 포트 쌍에 의해 전송로를 통해 링 형상으로 접속하여 전송국 상호 간에 교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전송국으로서,
    초기화의 완료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전송국의 하나 이상이, 특정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수단과,
    상기 각각의 전송국은, 한 쌍의 통신 포트 A 및 통신 포트 B를 통해 전송 프레임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주기적으로 송출된 전송 프레임으로부터 특정 정보가 특정된 조건에 만족하는 SYN 프레임을 검출하는 "SYN 프레임 검출 수단 A, 및 -B”와,
    상기 SYN 프레임 검출 수단 A, 및 -B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SYN 프레임의 수신이 미리 설정한 기간에 걸쳐 없는 것을 검출하는 “SYN 무검출 수단 A, 및 -B"와,
    한쪽의 통신 포트를 통해 주기적인 SYN 프레임의 도래가 연속해서 계속되는 상태 하에서, 다른 쪽의 통신 포트를 통해 주기적인 도래가 연속해서 미리 지정한 기간에 걸쳐 없는 것을 검출하는 “SYN 부재(absence)검출 수단"과,
    통신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의 수신 신호 상태의 이상을 검출하는 “수신 이상 검출 수단 A, 및 -B"를 각각 구비하고,
    SYN 무검출 수단 A 또는 -B에 의해, SYN 무검출 상태를 검출한 통신 포트 A 또는 -B를 통해서 수신되는 전송 프레임은 검출 및 판별되고, 상기 전송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응답하고, 수신한 통신 포트(통신 포트 A)로부터 다른 통신 포트(통신 포트 B)로의 중계를 통해 다른 통신 포트(통신 포트 B)로부터는 상기 전송 프레임을 송출하지 않는 “블록 상태"로 상기 통신 포트(통신 포트 A)를 이행하는 수단과,
    수신 이상 검출 수단 A 또는 -B에 의해, 수신 이상 검출 상태를 검출한 통신 포트 A 또는 -B를 블록 상태로 함으로써 고장 발생의 검출로부터, 회복 순서에 의한 네트워크 기능 회복되는 사이, 복수의 전송국의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유지하는 수단을 가지고, 종단국의 기능을 복수 전송국에서 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전송국.
  9.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한 쌍의 통신 포트를 각각 구비한 두 개 이상의 전송국으로 이루어진 전송국 세트가, 상기 통신 포트 쌍에 의해 전송로를 통해 링 형상으로 상호 접속하여 전송국 상호 간에 교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이중 링 네트워크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이중 링 네트워크의 초기화가 완료하고, 두 개의 인접하는 종단국에 의해,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의 네트워크 내를 계속해서 순환하지 않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전송국의 하나 이상이,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에서, 그 중 SYN 프레임이나, 단발적으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을, 이중 링 네트워크의 전송 프레임끼리의 충돌을 회피하는 전송로 제어 시스템을 따라 송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전송국은,
    특정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RR 프레임의 수신을 검출하는 “RRR 프레임 수신 검출 수단 A, 및 -B”와,
    자국의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자국 어드레스 설정" 수단과,
    통신 포트 A, 및 -B에 인접하는 전송국의 식별 정보를 각각 설정하는 “인접국 어드레스 설정 수단 A, 및 -B"와,
    RRR 프레임 수신 검출 수단의 수신 출력으로부터, 수신한 RRR 프레임 중의 수신처 정보와 자국 식별 정보 간의 비교 일치를 검출하는 “어드레스 일치 검출 수단"과,
    어드레스 일치 검출 수단의 일치 출력에 응답해서, 상기 RRR 프레임을 수신한 RRR 수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변경하는 “블록 포트 재설정 수단"과,
    어드레스 일치 검출 수단의 불일치 출력에 응답해서, RRR 수신 포트에 대응한 인접하는 전송국의 식별 정보를 인접국 어드레스 설정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수신처로 지정하고 생성한 RRR 프레임을, RRR 수신 포트를 통해, RRR 프레임의 수신 완료의 타이밍에서 즉시 송출하는 “RRR 수신 응답 수단”과,
    상기 RRR 프레임의 송출 후, 미리 지정한 시간 이내에, 자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을 감시해 검출하는 “RRR 응답 확인 수단“을 구비하고,
    SYN 프레임을 송출하는 전송국(이후, 동기국으로 기재)을 포함하는 당해 전송국으로부터, 종단국을 포함하는 경로 상에서, 전송로나 전송국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종단국에 이르는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이상 발생에 대응해서, SYN 무검출 수단과 수신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동기국을 향하는 경로 상에서 이상 발생 개소에 인접하는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수신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통신 포트의 상태를, 각각 블록 상태로 해서 상기 두 개의 종단국 간에, 동기국으로부터 이상 개소를 향하는 경로 상의 후속 위치하는 하나의 종단국에서는, SYN 부재검출 수단에 의한 이상 상태의 검출 출력과, SYN 부재검출 수단에 의한 SYN 무검출 출력으로부터, 동기국을 향하는 경로 상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상기 종단국(이후,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 기재)이 판단하는 단계와,
    다른 종단국(이후, SYN 정상 종단국으로 기재)에 대해, SYN 프레임을 계속해서 정상적으로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SYN 정상 종단국으로부터 동기국 간은 정상적으로 통신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 대해,
    SYN 부재검출 및 SYN 무검출 수단으로부터 SYN 부재 상태의 이상 발생을 검출에 응답하여, 즉시 수신처로서 SYN 정상 종단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을, 통신 포트 A, 및 -B를 통해 송출하는 단계와,
    RRR 응답 확인 수단에서, SYN 정상 종단국과는 반대 측에 인접하는 전송국으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하는 단계와,
    SYN 정상 종단국에 대해,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의 RRR 프레임을 수신에 응답하여, 자국이 수신처로서, 블록 포트 재설정 수단에 의해, 종단국으로서 블록 상태에 있던 RRR 수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하는 단계와,
    종단국 상태를 해제하고,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에 이르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전송국의 각각은,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의 RRR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수신처가 아닌 것으로서, 상기 RRR 수신 응답 수단에 의해, SYN 부재검출 종단국을 향하는 인접하는 전송국을 수신처로 하는 RRR 프레임을 RRR 수신 포트를 통해, RRR 프레임의 수신 완료 후에 즉시 송출하는 단계와,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서는, RRR 응답 확인 수단에 의해,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으로부터 자국을 지정하는 RRR 프레임의 시간 내에서의 수신에 응답하여, 이상 검출 시점으로부터 블록 상태로 하고 있던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 후, RRR 응답 확인 수단의 미리 지정한 시간이 경과 후에, 종단국으로서 원래 블록 상태에 있었던 다른 통신 포트도 비블록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종단국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와,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에 이르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RRR 응답 확인 수단에 의해,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으로부터 자국이 지정된 RRR 프레임의 수신 확인에 응답하여, 이상 검출 시점으로부터 블록 상태로 있었던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하는 단계와,
    SYN 부재검출 종단국을 향하는 이상 발생 개소에 인접하는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RRR 응답 확인 수단에 의해, 지정 시간을 경과해도 자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이 없으면, 통신 포트의 블록 상태를 유지하고, 새로운 종단국으로서 기능하는 단계와,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 인접하는 개소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RRR 응답 확인 수단에 의해, 미리 지정한 시간을 경과해도 자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이 없는 경우는, 이상 검출 시점에서 블록 상태에 있던 통신 포트의 블록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종단국으로서 원래 블록 상태에 있던 다른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하고 새로운 종단국으로서,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동기국을 향하는 종단국과,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반대측을 향하는 종단국을, 새로운 이중 링 네트워크의 종단국으로 하도록 변경함으로써, 통신 이상의 발생 시에, 링 형상의 네트워크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통신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가 완료되고, 두 개의 인접하는 종단국에 의해, 전송 프레임이 링 형상의 네트워크 내를 계속해서 순환하지 않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전송국 중 하나 이상이,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 그 중에서, 상기 SYN 프레임이나, 단발적으로 송출되는 전송 프레임을, 이중 링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송 프레임끼리의 충돌을 회피하는 전송로 제어 방식을 따라 송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각각의 전송국은, 자국의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자국 어드레스 설정" 수단과, 통신 포트 A, 및 -B에 인접하는 전송국의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인접국 어드레스 설정 수단 A, 및 -B”를 각각 구비하고,
    SYN 프레임을 송출하는 전송국(이하, 동기국으로 기재)을 포함시켜 상기 전송국으로부터, 종단국을 포함하는 경로 상에서, 전송로나 전송국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종단국에 이르는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이상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SYN 무검출 수단과 상기 수신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수단과,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동기국을 향하는 경로 상에서 이상 발생 개소에 인접하는 전송국에서는, 수신 이상 검출 수단에 의해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수단과,
    검출한 통신 포트의 상태를, 각각에서 블록 상태로 해서, 상기 두 개의 종단국 중, 동기국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를 향하는 경로 상의 후속 위치하는 하나의 종단국에서는, 상기 SYN 부재검출 수단에 의한 이상 상태의 검출 출력과, SYN 무검출 수단에 의한 SYN 무검출 출력에 의해, 동기국을 향하는 경로 상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상기 종단국(이후,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 기재)이 판단하는 수단과,
    다른 종단국(이후, SYN 정상 종단국으로 기재)에서는, SYN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계속해서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SYN 정상 종단국으로부터 동기국 간은 정상적으로 통신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수단과,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서는, SYN 정상 종단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전송 프레임 순서를 감시하고, 이중 링 네트워크 상에서의 전송 프레임끼리의 충돌을 회피하는 전송로 제어 방식에 따라 자국에 할당된 전송 프레임의 송출 타이밍에서, 수신처로서 SYN 정상 종단국을 지정한, 특정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이후, RRR 프레임으로 기재)을, 통신 포트 A, 및 -B를 통해서 송출하고,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에서 자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는 수단과,
    SYN 정상 종단국에서는,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의 RRR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수신한 RRR 프레임 중의 수신처 정보와 자국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 결과가 자국이 수신처인 경우에는, 상기 RRR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 포트(이후, RRR 수신 포트로 기재)를, 종단국으로서 블록 상태이었던 것을 비블록 상태로 하고, 종단국 상태를 해제하는 수단과,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에 이르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전송국의 각각에서는,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의 RRR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수신한 RRR 프레임 중의 수신처 정보와 자국 식별 정보를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 결과가 수신처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RRR 수신 응답 수단에 의해, SYN 부재검출 종단국을 향하는 인접한 전송국을 수신처로 하는 RRR 프레임을, RRR 수신 포트를 통해, RRR 프레임의 수신 완료 후에, 즉시 송출하는 수단과,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서는,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으로부터 자국이 지정된 RRR 프레임을 미리 지정한 시간 내에서 수신하면, 이상 검출 시점으로부터 블록 상태에 있었던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변경하는 수단과,
    RRR 응답 확인 수단의 미리 지정한 시간이 경과 후에, 종단국으로서 원래 블록 상태에 있었던 다른 통신 포트도 비블록 상태로 변경하고, 종단국 상태를 해제하는 수단과,
    SYN 부재검출 종단국으로부터 이상 발생 개소에 이르는 정상으로 기능하는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동기국을 향하는 인접국으로부터 자국이 지정된 RRR 프레임의 미리 지정한 시간 내에 수신의 확인에 응답하여, 이상 검출 시점으로부터 블록 상태로 하고 있던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하는 수단과,
    SYN 부재검출 종단국을 향하는 이상 발생 개소에 인접하는 각각의 전송국에서는, RRR 응답 확인 수단에 의해, 미리 지정한 시간을 경과해도 자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이 없는 것으로써, 통신 포트의 블록 상태를 유지하고, 새로운 종단국으로서 기능하는 수단과,
    SYN 부재검출 종단국에 인접하는 개소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미리 지정한 시간을 경과해도 자국을 지정한 RRR 프레임의 수신이 없는 경우는, 이상 검출 시점에서 블록 상태로 하고 있었던 통신 포트의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과,
    종단국으로서 블록 상태에 있었던 다른 통신 포트를 비블록 상태로 하여, 새로운 종단국으로 하고,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동기국을 향하는 종단국과, 이상 발생 개소로부터 반대 측을 향하는 종단국을, 새로운 이중 링 네트워크의 종단국으로 하도록 변경하여, 통신 이상의 발생 시에, 링 형상의 네트워크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통신 제어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이중 링 네트워크의 이상 발생 시의 재구성 방법으로서의 이중 링 네트워크의 통신 제어 방법이며,
    상기 통신 포트를 통해 송출하고 수신하는 상기 전송 프레임 포맷, 및 상기 통신 포트의 전송로 인터페이스로서, ISO/IEC8802-3 규격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의 통신 제어 방법.
  12.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를 구비한 전송국을 전송로를 통해 링 형상으로 접속하고, 이들 전송국 중에서 기점국이 프레임 신호를 우순환의 경로 및 좌순환의 경로를 통해 송신하고, 우순환의 경로의 종단국 및 좌순환의 경로의 종단국이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프레임 신호를 각각 회신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송국, 종단국, 및 기점국 각각은,
    상기 우순환의 경로에서 통신 가능하게 하는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좌순환의 경로에서 통신 가능하게 하는 제 2 통신 포트에서 상기 프레임 신호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수신되지 않을 때는,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경로 확인을 위한 경로 확인 프레임 신호를 인접한 전송국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경로 확인 프레임에 대해 인접한 전송국으로부터 회신이 없을 때는, 자국을 종단국으로서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자국이 상기 종단국이 되어 있을 때, 상기 프레임 신호가 우순환의 경로 또는 좌순환의 경로에서 입력되지 않을 때는, 종단국으로서의 설정을 해제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14. 어느 하나를 기점국으로 한 복수의 전송국을, 제 1 통신 라인 및 제 2 통신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의 전송로에 의해 각각 접속하고, 전송국 각각은 그 일 단부 측에서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좌순환의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일 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우순환으로 입력된 정보 또는 당해국에서 생성한 정보를 우순환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 1 통신 포트와, 그 다른 단부에서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우순환으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다른 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좌순환의 정보 또는 당해국에서 생성한 정보를 좌순환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 2 통신 포트를 구비해서 서로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점국은, 기동 초기에는,
    소스를 상기 기점국으로 하고, 또한 전송국의 수신처를 지정시킨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화시키기 위한 제 1 프레임을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동시에 우순환 및 좌순환으로 송신하는 INZ 프레임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다른 전송국은, 기동 초기에는,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를 수신 허가하는 INZ 프레임 수신 허가 수단과,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가 상기 제 1 프레임을 수신할 때, 상기 제 1 프레임을 먼저 수신한 통신 포트를 판단하는 선착 판정 수단과,
    당해국을 수신처로 한, 우순환 및 좌순환의 상기 제 1 프레임을 제 1 전송국에서 우순환으로 및 제 2 전송국에서 좌순환으로 각각 수신했을 때, 상기 제 1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우순환 및 좌순환으로 경유해 온 각 전송국의 식별 정보 및 상기 기점국으로부터 당해국까지의 라인 길이에 의거하여 좌순환의 단부 또는 우순환의 단부의 어느 하나에 위치해 있는 전송국인지를 판정하고, 어느 쪽의 종단국이 될지를 설정시키는 종단국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자국 위치 특정 수단과,
    상기 종단국 설정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선착의 판단 결과가 상기 제 1 통신 포트가 상기 우순환의 제 1 프레임을 먼저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점국으로부터 좌측 단부의 종단국 모드로 자국을 설정하고, 일시적으로 상기 제 2 통신 포트가 수신한 상기 좌순환의 제 1 프레임을 좌측의 인접국에 송신시킨 후에, 상기 제 2 통신 포트으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시키는 제 1 종단국 결정 수단과,
    상기 종단국 설정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선착의 판단 결과가 상기 제 2 통신 포트가 먼저 제 1 프레임을 수신하고, 또한 제 1 통신 포트가 우측의 인접국으로부터 상기 좌순환의 제 1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기점국으로부터 우측 단부의 종단국 모드로 자국을 설정해서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시키는 제 2 종단국 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 위치 특정 수단은,
    상기 우순환 또는 좌순환으로 상기 제 1 프레임을 수신했을 때, 응답 확인의 프레임을 상기 우순환 또는 좌순환으로 송신시켜서 응답 시간을 계측하고, 그 계수치로 자국으로부터 우순환 또는 좌순환에의 기점국과의 선로 길이를 판정하고, 이 선로 길이와 상기 전송국의 식별 정보에 의해 판정한 계수로 상기 기점국으로부터 우순환의 단부 및 좌순환의 단부의 상기 위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단국 결정 수단은,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한 후에, 상기 좌측이 된 종단국의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를 포함한 좌측의 종단국 설정 완료 신호를 상기 기점국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종단국 결정 수단은,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한 후에, 상기 우측이 된 종단국의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를 포함한 우측의 종단국 설정 완료 신호를 상기 기점국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국은,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한 후는,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정보를 인접국에 대하여 좌순환으로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는 상기 제 1 종단국 결정 수단, 및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한 후는,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정보를 인접국에 대하여 우순환으로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는 상기 제 2 종단국 결정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18.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국의 상기 자국 위치 특정 수단은,
    제 1 통신 포트가 상기 우순환으로 및 제 2 통신 포트가 상기 좌순환으로 당해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상기 제 1 프레임을 각각 수신했을 때, 이 제 1 프레임이 경유해 온 중계국의 어드레스 및 기점국 및 당해 자국의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자국을 중계국으로 판정하는 수단, 및
    자국이 중계국으로 판정됐을 때는, 당해국의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를 각각 수신 허가 및 송신 허가 및 중계 허가 상태로 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19.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국은,
    이상이 있을 때는, 자국 어드레스를 포함한 이상을 알리는 제 2 프레임을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송신하는 이상 신호 송신 수단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상기 제 1 통신 포트 또는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했을 때, 이상 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이상 신호 송수신 수단과,
    상기 이상 검출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제 1 종단국 결정 수단 및 제 2 종단국 결정 수단은 종단국으로서의 설정 모드를 해제해서 중계국 모드로 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 포트에서 제 2 프레임의 전송국 어드레스와 자국 어드레스를 비교한 판단 결과를 판독하고, 전송국 어드레스와 자국 어드레스가 불일치하면, 제 1 통신 포트의 경우에는, 상기 제 2 프레임에 포함되는 전송국의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이 어드레스의 전송국에 인접하는 좌측의 전송국을 종단국으로 설정시키기 위한 제 3 프레임을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 포트에서 제 2 프레임의 전송국 어드레스와 자국 어드레스를 비교한 판단 결과를 판독하고, 전송국 어드레스와 자국 어드레스가 불일치하면, 제 2 통신 포트의 경우에는, 상기 제 2 프레임에 포함되는 전송국의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이 어드레스의 전송국에 인접하는 우측의 전송국을 종단국으로 설정시키기 위한 상기 제 3 프레임을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하는 수단과
    종단국으로 설정시키기 위한 상기 제 3 프레임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종단국 결정 수단 및 상기 제 2 종단국 결정 수단을 재차 수행하여 이중 링 네트워크를 재구성시키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20. 쌍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를 구비한 전송국을 전송로를 통해 링 형상으로 접속하고, 이들 전송국 중에서 기점국이 프레임 신호를 우순환의 경로 및 좌순환의 경로를 경유하여 송신해서 우순환의 경로의 종단국 및 좌순환의 경로의 종단국 각각이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프레임 신호를 회신하고, 어느 하나의 전송로에서 이상이 발생했을 때는, 새롭게 종단국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송국, 종단국, 및 기점국 각각에 대해,
    상기 우순환의 경로에서 통신 가능하게 하는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좌순환의 경로에서 통신 가능하게 하는 제 2 통신 포트에서 상기 프레임 신호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공정과,
    수신되지 않을 때는,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경로 확인을 위한 경로 확인 프레임 신호를 인접한 전송국에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경로 확인 프레임에 대해 인접한 전송국으로부터 회신이 없을 때는, 자국을 종단국으로서 설정하는 공정과,
    자국이 우순환의 경로에서 종단국이 되었을 때는, 상기 기점국으로부터 우순환의 프레임 신호를 후속 인접하는 우측의 전송국에 전송하지 않고, 또는 자국이 좌순환의 경로에서 종단국이 되었을 때는 후속 인접하는 좌측의 전송국에 전송하지 않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자국이 상기 종단국이 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 신호가 우순환의 경로 또는 좌순환의 경로에서 입력되지 않을 때는, 종단국으로서의 설정을 해제하는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방법.
  22.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송로 간에 배치되어, 우순환으로 통신이 가능한 제 1 통신 포트 및 좌순환으로 통신이 가능한 제 2 통신 포트를 구비한 전송국으로서,
    상기 우순환의 경로를 경유해 통신 가능하게 하는 제 1 통신 포트 및 상기 좌순환의 경로를 경유해 통신 가능하게 하는 제 2 통신 포트에서 프레임 신호가 수신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수신되지 않을 때는,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경로 확인을 위한 경로 확인 프레임 신호를 인접한 전송국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경로 확인 프레임 신호에 대해 인접한 전송국으로부터 회신이 없을 때는, 자국을 종단국으로서 설정하는 수단과,
    자국이 우순환의 경로에서 종단국이 되었을 때는, 기점국으로부터 우순환의 프레임 신호를 후속 인접하는 우측의 전송국에 전송하지 않고, 또는 자국이 좌순환의 경로에서 종단국이 되었을 때는, 후속 인접하는 좌측의 전송국에 전송하지 않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국.
  23. 어느 하나를 기점국으로 한 복수의 전송국을, 제 1 통신 라인 및 제 2 통신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의 전송로에 의해 각각 접속하고, 전송국 각각은 그 일 단부 측에서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좌순환의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일 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우순환으로 입력된 정보 또는 당해국에서 생성한 정보를 우순환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 1 통신 포트와, 그 다른 단부에서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우순환으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다른 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좌순환의 정보 또는 당해국에서 생성한 정보를 좌순환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 2 통신 포트를 구비해서 서로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송국으로서,
    상기 기점국은, 기동 초기에는,
    소스를 상기 기점국으로 하고, 또한 전송국의 수신처를 지정시킨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화시키기 위한 제 1 프레임을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동시에 우순환 및 좌순환으로 송신하는 INZ 프레임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다른 전송국은, 기동 초기에는,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를 수신 허가하는 INZ 프레임 수신 허가 수단과,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가 상기 제 1 프레임을 수신할 때, 상기 제 1 프레임을 먼저 수신한 통신 포트를 판단하는 선착 판정 수단과,
    당해국을 수신처로 한, 우순환 및 좌순환의 상기 제 1 프레임을 제 1 전송국에서 우순환으로 및 제 2 전송국에서 좌순환으로 각각 수신했을 때, 제 1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우순환 및 좌순환으로 경유해 온 각 전송국의 식별 정보 및 상기 기점국으로부터 당해국까지의 라인 길이에 의거하여 좌순환의 단부 또는 우순환의 단부의 어느 하나에 위치해 있는 전송국인지를 판정하고, 어느 쪽의 종단국이 될지를 설정시키는 종단국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자국 위치 특정 수단과,
    상기 종단국 설정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선착의 판단 결과가 상기 제 1 통신 포트가 상기 우순환의 제 1 프레임을 먼저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점국으로부터 좌측 단부의 종단국 모드로 자국을 설정하고, 일시적으로 상기 제 2 통신 포트가 수신한 상기 좌순환의 제 1 프레임을 좌측의 인접국에 송신시킨 후에, 상기 제 2 통신 포트으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시키는 제 1 종단국 결정 수단과,
    상기 종단국 설정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선착의 판단 결과가 상기 제 2 통신 포트가 먼저 제 1 프레임을 수신하고, 또한 제 1 통신 포트가 우측의 인접국으로부터 상기 좌순환의 제 1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기점국으로부터 우측 단부의 종단국 모드로 자국을 설정해서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하는 제 2 종단국 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국.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 위치 특정 수단은,
    상기 우순환 또는 좌순환으로 상기 제 1 프레임을 수신했을 때, 응답 확인의 프레임을 상기 우순환 또는 좌순환으로 송신시켜서 응답 시간을 계측하고, 그 계수치로 자국으로부터 우순환 또는 좌순환에의 기점국과의 선로 길이를 판정하고, 이 선로 길이와 상기 전송국의 식별 정보에 의해 판정한 계수로 상기 기점국으로부터 우순환의 단부 및 좌순환의 단부의 상기 위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국.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 위치 특정 수단은,
    상기 제 1 통신 포트가 상기 우순환으로 및 제 2 통신 포트가 상기 좌순환으로 당해국을 수신처로 한 상기 제 1 프레임을 각각 수신했을 때, 이 제 1 프레임이 경유하여 온 중계국의 어드레스 및 기점국 및 당해 자국의 어드레스를 특정 정보로서 이것에 의거하여 자국을 상기 기점국에서 볼 때, 복수의 전송국을 소정 개수로 좌우로 분단했을 때에 좌순환의 단부 또는 우순환의 단부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해야 할 전송국으로 판정했을 때에, 상기 종단국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국.
  26.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단국 결정 수단은,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한 후에, 상기 좌측이 된 종단국의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를 포함한 좌측의 종단국 설정 완료 신호를 상기 기점국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종단국 결정 수단은,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한 후에, 상기 우측이 된 종단국의 네트워크 상의 어드레스를 포함한 우측의 종단국 설정 완료 신호를 상기 기점국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국.
  27.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단국 결정 수단은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한 후는,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정보를 인접국에 대하여 좌순환으로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 2 종단국 결정 수단은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한 후는,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상기 정보를 인접국에 대하여 우순환으로 송신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국.
  28.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국의 상기 자국 위치 특정 수단은,
    제 1 통신 포트가 상기 우순환으로 및 제 2 통신 포트가 상기 좌순환으로 당해국을 수신처로 지정한 상기 제 1 프레임을 각각 수신했을 때, 이 제 1 프레임이 경유해 온 중계국의 어드레스 및 기점국 및 당해 자국의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자국을 중계국으로 판정하는 수단, 및
    자국이 중계국으로 판정됐을 때는, 당해국의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를 각각 수신 허가 및 송신 허가 및 중계 허가 상태로 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국.
  29.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국은,
    이상이 있을 때는, 자국 어드레스를 포함한 이상을 알리는 제 2 프레임을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송신하는 이상 신호 송신 수단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상기 제 1 통신 포트 또는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수신했을 때, 이상 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이상 신호 송수신 수단과,
    상기 이상 검출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제 1 종단국 결정 수단 및 제 2 종단국 결정 수단은 종단국으로서의 설정 모드를 해제해서 중계국 모드로 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 포트에서 제 2 프레임의 전송국 어드레스와 자국 어드레스를 비교한 판단 결과를 판독하고, 전송국 어드레스와 자국 어드레스가 불일치하면, 제 1 통신 포트의 경우에는, 상기 제 2 프레임에 포함되는 전송국의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이 어드레스의 전송국에 인접하는 좌측의 전송국을 종단국으로 설정시키기 위한 제 3 프레임을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수신한 통신 포트에서 제 2 프레임의 전송국 어드레스와 자국 어드레스를 비교한 판단 결과를 판독하고, 전송국 어드레스와 자국 어드레스가 불일치하면, 제 2 통신 포트의 경우에는, 상기 제 2 프레임에 포함되는 전송국의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이 어드레스의 전송국에 인접하는 우측의 전송국을 종단국으로 설정시키기 위한 상기 제 3 프레임을 상기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송출하는 수단과
    종단국으로 설정시키기 위한 상기 제 3 프레임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종단국 결정 수단 및 상기 제 2 종단국 결정 수단을 재차 수행하여 이중 링 네트워크를 재구성시키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국.
  30.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송로 간에 배치되어, 우순환으로 통신이 가능한 제 1 통신 포트 및 좌순환으로 통신이 가능한 제 2 통신 포트를 구비한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서,
    컴퓨터에,
    우순환의 경로에서 통신 가능하게 하는 제 1 통신 포트 및 좌순환의 경로에서 통신 가능하게 하는 제 2 통신 포트에서 프레임 신호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수신되지 않을 때는,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경로 확인을 위한 경로 확인 프레임 신호를 인접한 전송국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경로 확인 프레임에 대해 인접한 전송국으로부터 회신이 없을 때는, 자국을 종단국으로서 설정하는 수단,
    자국이 우순환의 경로에서 종단국이 되었을 때는, 기점국으로부터 우순환의 프레임 신호를 후속 인접하는 우측의 전송국에 전송하지 않고, 또는 자국이 좌순환의 경로에서 종단국이 되었을 때는, 후속 인접하는 좌측의 전송국에 전송하지 않는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자국이 상기 종단국이 되어 있을 때, 상기 프레임 신호가 우순환의 경로 또는 좌순환의 경로에서 입력되지 않을 때는, 종단국으로서의 설정을 해제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32. 어느 하나를 기점국으로 한 복수의 전송국을, 제 1 통신 라인 및 제 2 통신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의 전송로에 의해 각각 접속한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전송국 각각은 그 일 단부 측에서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좌순환의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일 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우순환으로 입력된 정보 또는 당해국에서 생성한 정보를 우순환 방향에 출력하는 제 1 통신 포트와, 그 다른 단부에서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우순환으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다른 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좌순환의 정보 또는 당해국에서 생성한 정보를 출력하는 제 2 통신 포트를 구비해서 서로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것이고,
    전송국 각각은 그 일 단부 측에서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좌순환의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일 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우순환으로 입력된 정보 또는 당해국에서 생성한 정보를 우순환 방향에 출력하는 제 1 통신 포트와, 그 다른 단부에서 상기 기점국으로부터의 우순환으로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다른 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좌순환의 정보 또는 당해국에서 생성한 정보를 좌순환 방향으로 출력하는 제 2 통신 포트를 구비해서 서로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것이고,
    상기 기점국에 대해, 기동 초기에는,
    소스를 상기 기점국으로 하고, 또한 전송국의 수신처를 지정시킨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화시키기 위한 제 1 프레임을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 동시에 우순환 및 좌순환으로 송신하는 INZ 프레임 송신 수단과,
    다른 전송국에 대해, 기동 초기에는,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를 수신 허가하는 INZ 프레임 수신 허가 수단과,
    상기 제 1 통신 포트 및 제 2 통신 포트가 상기 제 1 프레임을 수신할 때, 상기 제 1 프레임을 먼저 수신한 통신 포트를 판단하는 선착 판정 수단과,
    당해국을 수신처로 한, 우순환 및 좌순환의 상기 제 1 프레임을 제 1 전송국에서 우순환으로 및 제 2 전송국에서 좌순환으로 각각 수신했을 때, 제 1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우순환 및 좌순환으로 경유해 온 각 전송국의 식별 정보 및 상기 기점국으로부터 당해국까지의 라인 길이에 의거하여 좌순환의 단부 또는 우순환의 단부의 어느 하나에 위치해 있는 전송국인지를 판정하고, 어느 쪽의 종단국이 될지를 설정시키는 종단국 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자국 위치 특정 수단과,
    상기 종단국 설정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선착의 판단 결과가 상기 제 1 통신 포트가 상기 우순환의 제 1 프레임을 먼저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점국으로부터 좌측 단부의 종단국 모드로 자국을 설정하고, 일시적으로 상기 제 2 통신 포트가 수신한 상기 좌순환의 제 1 프레임을 좌측의 인접국에 송신시킨 후에, 상기 제 2 통신 포트으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시키는 제 1 종단국 결정 수단과,
    상기 종단국 설정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선착의 판단 결과가 상기 제 2 통신 포트가 먼저 제 1 프레임을 수신하고, 또한 제 1 통신 포트가 우측의 인접국으로부터 상기 좌순환의 제 1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기점국으로부터 우측 단부의 종단국 모드로 자국을 설정해서 상기 제 1 통신 포트로부터의 정보의 송출을 정지하는 제 2 종단국 결정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097012461A 2006-11-17 2007-03-15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그 통신 제어 방법, 전송국, 및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49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11274 2006-11-17
JP2006311274A JP4991254B2 (ja) 2006-11-17 2006-11-17 二重リング・ネットワークの通信制御方法及び二重リング・ネットワークの伝送局
PCT/JP2007/055292 WO2008059621A1 (fr) 2006-11-17 2007-03-15 Système de réseau en double anneau, procédé de commande de communication de celui-ci, station de transmission et programme de commande de communication du système de réseau en double annea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171A KR20090091171A (ko) 2009-08-26
KR101149837B1 true KR101149837B1 (ko) 2012-05-29

Family

ID=3940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12461A KR101149837B1 (ko) 2006-11-17 2007-03-15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그 통신 제어 방법, 전송국, 및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8411559B2 (ko)
EP (4) EP2728807B1 (ko)
JP (1) JP4991254B2 (ko)
KR (1) KR101149837B1 (ko)
CN (2) CN102307131B (ko)
AU (1) AU2007320662B2 (ko)
ES (4) ES2532388T3 (ko)
RU (1) RU2420899C2 (ko)
WO (1) WO20080596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393B1 (ko) 2013-10-28 2013-12-23 김봉국 링 구조를 갖는 필드버스 네트워크 시스템
KR20180085072A (ko) 2015-11-09 2018-07-25 리 탕 다수의 튜브 캐비티 후두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36681T1 (de) * 2007-10-04 2011-12-15 Harman Becker Automotive Sys Datennetzwerk mit zeitsynchronisationsmechanismus
CN105656513B (zh) * 2008-12-10 2019-05-03 太阳专利信托公司 终端装置、集成电路、基站装置以及通信方法
JP5397899B2 (ja) * 2009-10-23 2014-01-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アクセス制御方法、中継局装置、送信側処理方法、受信側処理システム及び受信側処理方法
JP5377663B2 (ja) * 2009-11-11 2013-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時刻同期方法
US8391160B2 (en) 2010-06-01 2013-03-05 Litepoi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ultiple network addresses to establish synchronization of a device under test and test equipment controlling the test
JP5537410B2 (ja) * 2010-12-28 2014-07-02 株式会社東芝 二重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二重リング・ネットワークの送信順位決定方法並びに伝送局装置
CN102799841B (zh) * 2011-05-25 2015-10-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超高频阅读器的组网方法及其环形网
CN103036610B (zh) * 2012-12-11 2015-08-19 上海交通大学 一种带冗余的链式储能系统通讯实现方法及系统
US9883474B2 (en) * 2013-07-19 2018-01-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ing-shaped synchronous network system and time slave station
US10205666B2 (en) * 2013-07-29 2019-02-12 Ampere Computing Llc End-to-end flow control in system on chip interconnects
MX2016007524A (es) * 2013-12-11 2016-09-13 Sca Hygiene Prod Ab Esquema para direccionamiento de estructuras de protocolo hacia dispositivos obtetivo.
JP6392093B2 (ja) 2014-11-18 2018-09-19 株式会社東芝 制御装置
US10114355B2 (en) * 2015-01-20 2018-10-30 Ultra Electronics Technique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ed nodes
CN104683153B (zh) * 2015-03-09 2019-03-05 佛山市轻遣网络有限公司 一种集群路由器主备mpu控制方法及其系统
WO2017026180A1 (ja) * 2015-08-12 2017-02-16 富士電機株式会社 制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そのノード装置
JP6713109B2 (ja) * 2017-04-20 2020-06-24 シーノ テレコム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大洋横断多重化セクション共有保護リングにおけるノード間サービスのトポロジーの自動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EP3439268B1 (en) * 2017-08-04 2020-09-30 TTTech Industrial Automation AG Method for fault tolerant message transmission in a computer network and computer network
CN107995309A (zh) * 2017-12-18 2018-05-04 苏州蜗牛数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分布式数据节点的协调方法及系统
CN108809791B (zh) * 2018-07-05 2020-10-13 福州福大海矽微电子有限公司 一种多设备环形结构通信方法及系统
CN112660212A (zh) * 2021-01-04 2021-04-16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区间方向控制方法及联锁系统
KR102513610B1 (ko) * 2021-04-05 2023-03-24 엘에스일렉트릭(주) 이더넷 네트워크의 단선 구간 확인 장치 및 방법
CN115189986B (zh) * 2022-05-31 2024-02-27 武汉迈威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环网网络冗余备份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3248A (ja) * 1993-04-19 1994-10-28 Hitachi Ltd ループドバスシステム
JPH11503584A (ja) * 1995-04-13 1999-03-2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ツ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光学的マルチチャネル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9150A (en) * 1979-12-20 1981-07-20 Hitachi Ltd Line control method for duplex data highway system
JPS59138151A (ja) * 1983-01-28 1984-08-08 Nec Corp ロ−カルエリアネツトワ−クにおける初期化方式
US4709365A (en) * 1983-10-31 1987-11-24 Beale International Technology Limited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5159595A (en) * 1988-04-08 1992-10-27 Northern Telecom Limited Ring transmission system
JPH05289968A (ja) 1992-04-10 1993-11-05 Toshiba Corp データ伝送・処理システム
US5517498A (en) * 1993-09-20 1996-05-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atial reuse of bandwidth on a ring network
US5740158A (en) 1993-10-01 1998-04-14 Hitachi, Ltd. ATM communication system
FR2714559B1 (fr) * 1993-12-23 1996-01-26 Plas Patrick Réseau d'accès en anneau d'un réseau de radiotéléphonie mobile.
US5535035A (en) * 1994-09-15 1996-07-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fiber ring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method
IT1267645B1 (it) * 1994-12-09 1997-02-07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Struttura di comunicazione ad anello su vettore ottico e relativo nodo riconfigurabile.
US5528594A (en) * 1994-12-22 1996-06-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ub-tokens on a token ring network
JP3461954B2 (ja) 1995-03-13 2003-10-27 株式会社東芝 データ伝送装置
US5663950A (en) * 1995-04-27 1997-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fault isolation and bypass in a dual ring communication system
US6920508B1 (en) 1998-08-31 2005-07-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WDM ring network
US20020024929A1 (en) * 1998-09-22 2002-02-28 Dieter Brueckner Network and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two segments in a network
US20030021251A1 (en) * 2001-07-30 2003-01-30 Ramin Moshiri-Tafreshi Self-heal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3931088B2 (ja) 2002-01-22 2007-06-13 三菱電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構成方法
EP1530842A4 (en) * 2002-07-10 2008-03-19 I O Controls Corp OPTICAL FIBER CONTROL NETWORK AND ASSOCIATED METHOD
KR100471928B1 (ko) * 2002-11-18 2005-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 링형 네트워크의 링 선택 방법
US20050037394A1 (en) 2002-12-03 2005-02-17 Keefe Anthony D. Method for in vitro selection of 2'-substituted nucleic acids
DE102004018319A1 (de) * 2004-04-13 2005-11-03 Robert Bosch Gmbh System zur Übertragung von Daten und Teilnehmer des Systems
US7974272B2 (en) * 2004-07-29 2011-07-05 Conexant Systems, Inc. Remote control of a switching node in a stack of switching nodes
DE102005016596A1 (de) * 2005-04-11 2006-10-19 Beckhoff Automation Gmbh Teilnehmer, Master-Einheit, Kommunikationssystem und Verfahren zu deren Betreiben
US8050183B2 (en) * 2005-05-06 2011-11-01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reflector ports within hierarchical networks
TWI308435B (en) * 2006-01-23 2009-04-01 Penton Media Technologies Co Ltd Ring-connected surveillance system with real-time backup monito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3248A (ja) * 1993-04-19 1994-10-28 Hitachi Ltd ループドバスシステム
JPH11503584A (ja) * 1995-04-13 1999-03-2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ツ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光学的マルチチャネル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393B1 (ko) 2013-10-28 2013-12-23 김봉국 링 구조를 갖는 필드버스 네트워크 시스템
KR20180085072A (ko) 2015-11-09 2018-07-25 리 탕 다수의 튜브 캐비티 후두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5115A1 (en) 2013-12-18
CN102307131A (zh) 2012-01-04
ES2544314T3 (es) 2015-08-28
US9100211B2 (en) 2015-08-04
US20120236764A1 (en) 2012-09-20
ES2532388T3 (es) 2015-03-26
US20100067408A1 (en) 2010-03-18
CN102307131B (zh) 2014-10-29
KR20090091171A (ko) 2009-08-26
US20120236711A1 (en) 2012-09-20
EP2709315A1 (en) 2014-03-19
RU2009122995A (ru) 2010-12-27
AU2007320662B2 (en) 2011-08-04
EP2093942B1 (en) 2016-02-03
AU2007320662A1 (en) 2008-05-22
EP2093942A1 (en) 2009-08-26
EP2709315B1 (en) 2015-03-11
EP2728807A1 (en) 2014-05-07
US8705343B2 (en) 2014-04-22
RU2420899C2 (ru) 2011-06-10
EP2728807B1 (en) 2015-06-03
ES2537927T3 (es) 2015-06-15
US8411559B2 (en) 2013-04-02
EP2675115B1 (en) 2014-12-31
CN101536423A (zh) 2009-09-16
JP4991254B2 (ja) 2012-08-01
CN101536423B (zh) 2012-06-27
EP2093942A4 (en) 2013-08-21
WO2008059621A1 (fr) 2008-05-22
JP2008131132A (ja) 2008-06-05
ES2569065T3 (es) 2016-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837B1 (ko)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 그 통신 제어 방법, 전송국, 및 이중 링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4815069A (en) Dat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reconfiguration control method
US7852779B2 (en) Communication node, and ring configuration method and ring establishment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US8971179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apparatus, communication nod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CN104378291A (zh) 用于在工业通信网络中进行冗余的信息传输的方法和通信设备
US8320387B2 (en) Ring type ethernet system, ring type switch, ring connection control circuit, ring type ethernet system control method, ring type switch control method and ring connection control method
CN103107940B (zh) 用于设备级环网的冗余网关系统
JP5586760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制御方法、伝送局、伝送局のプログラム
US20230231736A1 (en) Automation system having a master-subscriber structure, distributor and method for telegram transmission
JP5433671B2 (ja) 二重リング・ネットワークの伝送局及び二重リング・ネットワークの異常発生時の再構築方法
JP4585560B2 (ja) ネットワーク障害検知方法、データ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ノード装置
JP2011188414A (ja) リング型スイッチ、リング型イーサネットシステム、リング型スイッチ制御方法、およびリング型イーサネットシステム制御方法
JP2000316017A (ja) 光二重ループ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