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399B1 - 인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399B1
KR101149399B1 KR1020100117455A KR20100117455A KR101149399B1 KR 101149399 B1 KR101149399 B1 KR 101149399B1 KR 1020100117455 A KR1020100117455 A KR 1020100117455A KR 20100117455 A KR20100117455 A KR 20100117455A KR 101149399 B1 KR101149399 B1 KR 101149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unit
tension
sig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00117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 신호가 전달되는 선로, 상기 선로가 통과하며 보안 대상의 장력 변화를 기초로 상기 감시 신호를 변화시키는 장력 감지부, 상기 선로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신호의 변화를 기초로 보안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보안 이상의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 및 상기 감시 신호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인체 감지부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감시 신호의 전달을 차단하는 것인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SECURITY SYSTEM USING HUMAN BODY SENSING}
본 발명은 인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지역의 침입자를 감시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으로 적외선을 이용한 시스템,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시스템, 그리고 펜스를 이용하는 시스템 등 다양한 시스템들이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적외선을 이용하는 시스템은 밀폐된 공간에서 이용하는 경우에 그 활용성이 높은 반면에, 공항이나 군사경계지역을 감시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으로는 적당하지 않다. 왜냐하면, 적외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침입자뿐만 아니라 짐승들이나 혹은 나뭇잎과 같은 모든 움직이는 물체에 대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하므로 오작동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카메라를 이용하는 보안 시스템의 경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처리 과정을 통해 침입자의 발생을 판단해야 하므로 그 처리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모든 경계구역에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직접 감시하는 경우에는 모든 경계구역에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항상 감시하고 있어야 하는 시간적인 제약 등이 발생한다. 따라서, 공항이나 군사시설, 위험지역 혹은 목장 등과 같은 특정 야외 공간에 대한 보안 경비를 위해 펜스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이 주로 이용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력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펜스(10)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일정한 거리마다 장력 감지부(40)를 설치하고 장력 감지부(40)에 인가되는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자를 탐지하였다. 구체적으로, 펜스(10)에 가로로 설치된 복수의 장력선(20)에 침입자의 무게에 의한 장력이 인가되면 장력은 세로로 설치된 수집전(30)에 전달된다. 수집선(30)에 전달된 장력은 다시 장력 감지부(40)에 전달되고, 장력 감지부는 장력을 감지함으로써 침입자를 탐지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경사지, 굴곡지 또는 배수로와 같이 설치 지형 또는 다른 시설물의 존재에 따라 침입감지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펜스(10) 하단에 배수로가 설치된 경우, 호우 시 침입방지를 위해 폐쇄되었던 배수로가 개방될 수 있으며, 개방된 배수로를 통하여 침입자가 침투할 경우 장력 감지부(40)는 침입자의 침입을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수로 개방에 의한 원격 감시를 위해 별도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경우, 이에 따른 비용 및 노력이 많이 소요되므로, 기존에 구축된 보안 시스템을 기초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력 감지 및 인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감시 신호가 전달되는 선로, 상기 선로가 통과하며 보안 대상의 장력 변화를 기초로 상기 감시 신호를 변화시키는 장력 감지부, 상기 선로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신호의 변화를 기초로 보안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보안 이상의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 및 상기 감시 신호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인체 감지부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감시 신호의 전달을 차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인체를 감지하거나, 장력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감시신호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감시신호의 변화를 검출하여 침입자의 침입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장력 감지부를 이용하여 구축된 기존 보안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개조하거나 변경하지 않고, 인체 감지부를 더 추가한 새로운 형태의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인체의 열을 감지하거나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기존에 구축된 장력 감지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인체 감지부 및 스위치부를 추가로 설치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개조 비용이나 노력 등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력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 감지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시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 감지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감시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외부 침입자의 침입을 감지하고 알람 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장력 감지신호뿐 아니라 인체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감시신호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보안 시스템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시신호 생성부(100), 장력 감지부(200), 인체 감지부(300), 스위치부(400), 제어부(500) 및 알람부(600)를 포함한다.
감시신호 생성부(100)는 감시신호를 생성하여 장력 감지부(200)로 전달한다. 감시신호는 기정의된 신호일 수 있으며, 예컨대 사인파일 수 있다.
장력 감지부(200)는 장력선에 가해진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장력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감시신호 생성부(100)로부터 입력 선로(250)를 통해 감시신호를 수신하고, 장력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감시신호를 변화시켜 출력 선로(260)를 통해 송신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 감지부(2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싱부(210) 및 증폭부(220)를 포함한다.
센싱부(210)는 장력선에 가해진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장력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장력 감지부(200)가 펜스에 설치된 경우, 장력선은 펜스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칩입자가 펜스를 넘기 위해 장력선에 무게를 가할 경우, 장력선에 가해진 장력의 변화는 수집선으로 전달된다. 수집선은 센싱부(210)에 연결되므로, 센싱부(210)는 수집선을 통해 장력 변화를 센싱하여 장력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부(210)는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소자는 인가되는 장력의 변화에 따라 장력 감지신호를 압전류 또는 압전압 형태로 발생한다. 압전소자는 종래기술에 의한 모든 형태의 소자일 수 있으며, LiTiO3, TGS(triglycine sulphate), PZT, PbTiO3, SBN와 같은 강유전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장력이 감지되면 장력 감지신호는 활성화되고, 장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장력 감지신호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센싱부(210)에 의해 생성된 장력 감지신호는 증폭부(220)로 전달된다.
증폭부(220)는 일단에 연결된 입력 선로(250)를 통해 장력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증폭부(220)는 입력 선로(250)를 통해 수신한 감시신호를 증폭한 후, 타단에 연결된 출력 선로(260)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증폭부(220)는 센싱부(210)로부터 전달된 장력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여 감시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부(220)는 센싱부(210)로부터 수신된 장력 감지신호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이한 감시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폭부(220)는 센싱부(210)로부터 활성화된 장력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감시신호를 기설정된 증폭율로 증폭하고, 비활성화된 장력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감시신호를 증폭하지 않고 동일 배율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증폭부(220)가 활성화된 장력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기설정된 증폭율로 증폭하고, 비활성화된 장력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감시신호를 증폭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원부(280)는 장력 감지부(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8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모든 형태의 전기 소자일 수 있으며, 전원은 전력 계통 선로(270)를 통해 장력 감지부(200)로 전달된다. 전력 계통 선로(270)는 복수 개의 선로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전력 계통 선로(270)는 예컨대 세 개의 선로로 구비되고, 각각은 5V, -5V 및 0V(그라운드) 전원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장력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된 장력 변화가 감시신호의 변화로 나타나므로, 이를 이용하여 침입자의 침입을 감시할 수 있다. 만약, 침입자가 장력 감지부(200)의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해 전력 계통 선로(270)를 해제하거나 전원부(280)를 제거할 경우, 장력 감지부(200)는 감시신호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침입자의 행동이 감시신호의 변화로 나타나므로, 이를 이용하여 침입자를 감시할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인체 감지부(300)는 인체를 감지하여 인체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인체 감지부(300)는 열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열 감지센서는 인체 열을 감지하여 열 감지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열 감지신호는 인체 감지신호로 사용된다. 열 감지센서에 의해 인체 열이 감지될 경우 열 감지센서는 열 감지신호를 활성화하고, 인체 열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열 감지센서는 열 감지신호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인체 감지부(300)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센서는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적외선 감지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적외선 감지신호는 인체 감지신호로 사용된다. 적외선 감지센서에 의해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적외선 감지센서는 적외선 감지신호를 활성화하고,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적외선 감지센서는 적외선 감지신호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스위치부(400)는 입력 선로(250)에 연결된다. 스위치부(400)는 턴온(turn on) 동작에 따라 입력 선로(250)의 접속을 유지하고, 턴오프(turn off) 동작에 따라 입력 선로(250)를 차단할 수 있다. 스위치부(400)는 전기 신호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 동작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스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400)는 인체 감지부(3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턴온 또는 턴오프될 수 있다. 스위치부(400)가 턴온된 경우 감시신호 생성부(100)에서 전송된 감시신호는 장력 감지부(200)로 전달되나, 스위치부(400)가 턴오프될 경우 입력 선로(250)가 차단되어 감시신호의 전달이 차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400)는 입력 선로(250)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출력 선로(260)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스위치부(400)가 출력 선로(260)에 설치된 경우, 턴오프 동작에 의해 출력 선로(260)가 차단되어 감시신호의 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스위치부(400)의 턴오프 동작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위치부(400)에 의해 감시 신호의 전달이 차단될 경우 경보등은 경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참고로 경보등은 스위치부(400)와 릴레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알람부(600)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부(400)가 턴오프되면, 보안 시스템 관리자는 감시신호의 변화뿐 아니라 경보등을 통해 스위치부(400)의 턴오프 동작도 확인할 수 있다.
스위치부(400)는 인체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감시신호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400)는 활성화된 인체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감시신호의 전달을 차단하고, 비활성화된 인체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 감기신호의 전달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400)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제어 정류기는 인체 감지부(300)에 접속된 게이트(gate), 스위치부(400)에 접속된 애노드(anode) 및 그라운드에 접속된 캐소드(cath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인체 감지부(300)로부터 활성화된 인체 감지신호가 게이트에 전달될 경우 실리콘 제어 정류기는 턴온 상태가 되고, 애노드에 접속된 스위치부(400)를 턴오프한다. 이와 반대로, 인체 감지부(300)로부터 비활성화된 인체 감지신호가 게이트에 전달될 경우 실리콘 제어 정류기는 턴오프 상태가 되고, 스위치부(400)는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부(400)를 실리콘 제어 정류기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치부(400)를 제어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전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인체 감지부(300)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인체 감지신호가 변화되고, 변화된 인체 감지신호는 스위치부(400)에 의해 감시신호의 전달을 중단시키므로, 이를 이용하여 침입자의 침입을 감시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선로에 연결되어 장력 감지부(200)로부터 감시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감시신호의 변화를 기초로 보안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하기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알람부(600)는 제어부(500)에 의해 보안 이상이 판단되면 알람 메시지를 생성한다. 알람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영상 메시지 등 임의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생성된 알람 메시지는 보안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펜스에 설치될 수 있다. 펜스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장력 감지부(2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장력 감지부(200)는 신호 선로를 통해 연결된다. 또한, 펜스 하단 배수로 근처에는 인체 감지부(300)가 설치된다. 이는, 펜스 하단 등에 있는 배수로를 통하여 침입자가 침투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력 감지부(200)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보완할 수 있다.
인체 감지부(300)에 의해 인체 감지신호가 생성되면, 스위치부(400)는 감시신호의 전달을 차단한다. 그 결과 제어부(500)는 감시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보안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스위치부(400)의 턴오프 동작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위치부(400)에 의해 감시 신호의 전달이 차단될 경우 경보등은 경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경보등은 예를 들어 스위치부(400)와 릴레이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기존에 구축된 장력 감지부(200)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인체 감지부(300) 및 스위치부(400)를 추가로 설치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개조 비용이나 노력 등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b는 본 발명의 변형된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400)는 전력 계통 선로(270)에 설치된다. 스위치부(400)는 인체 감지부(300)에 의한 인체 감지 여부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동작하고, 턴오프 동작 시 전력 계통 선로(270)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계통 선로(270)가 복수로 구비되어 양극, 음극 및 그라운드에 각각 연결될 경우, 스위치부(400)는 복수의 전력 계통 선로(27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인체 감지부(300)로부터 활성화된 인체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스위치부(400)는 턴오프되어 장력 감지부(200)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장력 감지부(200)는 셧다운(shut down)되고, 감시신호의 전달을 차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500)는 감시신호를 수신할 수 없고, 이를 기초로 보안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그 밖에 보안 시스템의 하위 구성 각각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a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범위 내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시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안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감시신호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시신호 생성부(100)에서 생성되고, 장력 감지부(200)를 거쳐 제어부(500)로 전달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부(400)를 추가적으로 통과할 수도 있다. 도 4는 제어부(500)에 의해 수신되는 감시신호를 나타낸 것으로서, 외부 침입자의 침입을 감시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침입자의 침입이 감지되는 않는 경우, 감시신호는 도 4 신호 ①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기에 변화가 없다. 즉, 침입이 감지되지 않으면, 장력 감지부(200)가 셧다운되거나 장력 감지부(200)에 의해 감시신호가 증폭되지 않으므로 감시신호는 동일한 크기를 유지한 채 제어부(500)로 수신된다.
만약, 침입자의 침입에 의해 장력의 변화가 감지된 경우, 장력 감지부(200)는 감시신호를 기설정된 증폭율로 증폭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감시신호는 도 4 신호 ②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시신호는 증폭된다. 제어부(500)는 증폭된 감시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침입자의 침입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침입자의 침입에 의해 인체가 감지된 경우, 장력 감지부(200)에 연결된 입력 선로(250), 출력 선로(260) 및 전력 계통 선로(270) 중 적어도 하나가 차단됨으로써 감시신호의 전달은 차단된다. 그 결과 감시신호는 도 4 신호 ③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된다. 제어부(500)는 이러한 변화에 기초하여 침입자의 침입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력 감지시 감시신호를 기설정된 증폭율로 증폭하고 인체 감지시 감시신호를 차단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기설정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감시신호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장력 감지신호뿐만 아니라 인체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침입자의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력 감지부(200)를 이용하여 구축된 기존 보안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개조하거나 변경하지 않고, 인체 감지부(300) 및 스위치부(400)를 더 추가한 새로운 형태의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신호는 직류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인파 또는 그 밖의 임의의 파형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안 시스템(700)은 복수의 장력 감지부(720) 및 인체 감지부(730)를 포함한다. 보안 시스템(700)이 설치되는 영역이 넓은 경우, 장력 감지부(720) 및 인체 감지부(730)는 복수로 구비되고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보안 시스템(7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신호 생성부(710), 제 1 장력 감지부(722), 제 2 장력 감지부(724), 제 1 인체 감지부(732), 제 2 인체 감지부(734), 제 1 스위치부(742), 제 2 스위치부(744), 제어부(750) 및 알람부(760)를 포함한다.
감시신호는 감시신호 생성부(710)에서 생성되어 제 1 장력 감지부(722), 제 2 장력 감지부(724) 및 알람부(760)를 통해 차례로 전송되며, 각 장력 감지부(720)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장력 감지부(722)는 장력선에 가해진 장력을 감지하여 제 1 장력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입력 선로(725)를 통해 수신한 감시신호를 제 1 장력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감시신호는 전송 선로(726)를 통해 제 2 장력 감지부(724)로 전송된다. 제 2 장력 감지부(724)는 제 1 장력 감지부(722)와 연결되어 전송 선로(726)를 통해 전송된 감시신호를 수신한다. 제 2 장력 감지부(724)는 장력선에 가해진 장력을 감지하여 제 2 장력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제 1 장력 감지부(722)로부터 수신한 감시신호를 제 2 장력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감시신호는 출력 선로(727)를 통해 제어부(750)로 전송된다.
또한, 제 1 스위치부(742) 및 제 2 스위치부(74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선로(726) 및 출력 선로(727)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각 스위치는 턴오프 동작에 따라 각 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부(742) 및 제 2 스위치부(744) 각각 제 1 인체 감지부(732) 및 제 2 인체 감지부(734)에 연결된다.
제 1 인체 감지부(732)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제 1 인체 감지부(732)는 활성화된 인체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제 1 스위치부(742)는 활성화된 인체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전송 선로(726)를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750)는 감시신호의 수신이 차단되므로 보안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제 2 인체 감지부(734)에 의해 인체가 감지될 경우, 제 2 스위치부(744)는 출력 선로(727)를 차단하여, 제어부(750)는 감시신호의 수신이 차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700)은 제 1 인체 감지부(732) 및 제 2 인체 감지부(734)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둘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하거나 더 많은 인체 감지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700)은 제 1 장력 감지부(722) 및 제 2 장력 감지부(724)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둘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하거나 더 많은 장력 감지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보안 시스템(700)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직렬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보안 시스템(700)의 하위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범위 내에서 설명을 생략한다.
펜스에는 장력선 및 이에 연결된 장력 감지부(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펜스 하단 배수로 근처에는 인체 감지부(300)가 설치된다. 이는, 펜스 하단 등에 있는 배수로를 통하여 침입자가 침투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력 감지부(200)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을 보완할 수 있다.
인체 감지부(300)에 의해 인체 감지신호가 생성되면, 스위치부(400)는 감시신호의 전달을 차단한다. 그 결과 제어부는 감시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보안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스위치부(400)의 턴오프 동작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위치부(400)에 의해 감시 신호의 전달이 차단될 경우 경보등은 경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경보등은 예를 들어 스위치부(400)와 릴레이로 연결될 수 있다.
인체 감지부(300)는 열 감지센서 또는 적외선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은 기존에 구축된 장력 감지부(200)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에 인체 감지부(300) 및 스위치부(400)를 추가로 설치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개조 비용이나 노력 등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 도 3a, 도 3b 및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감시신호 생성부 200: 장력 감지부
210: 센싱부 220: 증폭부
250: 입력 선로 260: 출력 선로
270: 전력 계통 선로 280: 전원부
300: 인체 감지부 400: 스위치부
500: 제어부 600: 알람부
700: 보안 시스템 710: 감시신호 생성부
720: 장력 감지부 722: 제 1 장력 감지부
724: 제 2 장력 감지부 730: 인체 감지부
732: 제 1 인체 감지부 734: 제 2 인체 감지부
742: 제 1 스위치부 744: 제 2 스위치부
750: 제어부 760: 알람부

Claims (11)

  1.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 신호가 전달되는 선로,
    상기 선로가 통과하며 보안 대상의 장력 변화를 기초로 상기 감시 신호를 변화시키는 장력 감지부,
    상기 선로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신호의 변화를 기초로 보안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보안 이상의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 및
    상기 감시 신호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체 감지부는 상기 장력 감지부를 통한 감지가 제한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선로, 또는 상기 장력 감지부로 전원을 전달하는 전력 계통 선로에 연결되어 상기 인체 감지부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감시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인 보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선로에 연결되어 상기 인체 감지부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선로를 차단하는 보안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부는 상기 인체를 감지하여 인체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인체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선로를 차단하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Silicon controlled rectifier, SCR)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전력 계통 선로에 연결되어 상기 인체 감지부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전력 계통 선로를 차단하고,
    상기 장력 감지부는 상기 전력 계통 선로의 차단에 의해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감시 신호의 전달을 차단하는 것인 보안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부는 상기 인체를 감지하여 인체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인체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전력 계통 선로를 차단하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부는 인체의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부는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감지부는,
    보안 대상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장력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장력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감시신호를 기설정된 증폭율로 증폭하는 증폭부
    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시신호가 증폭되거나 상기 감시신호의 전달이 차단된 경우 보안 이상으로 판단하는 보안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되는 경보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감시 신호의 전달을 차단할 경우, 상기 경보등은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인 보안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신호는 기정의된 사인파 신호인 보안 시스템.
KR1020100117455A 2010-11-24 2010-11-24 인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1149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455A KR101149399B1 (ko) 2010-11-24 2010-11-24 인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455A KR101149399B1 (ko) 2010-11-24 2010-11-24 인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399B1 true KR101149399B1 (ko) 2012-06-01

Family

ID=4668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455A KR101149399B1 (ko) 2010-11-24 2010-11-24 인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3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47B1 (ko) * 2007-10-19 2009-01-13 (주)조은시스템 장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047B1 (ko) * 2007-10-19 2009-01-13 (주)조은시스템 장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3145B2 (en) Security monitoring arrangement and method using a common field of view
KR100888951B1 (ko) 경보장치를 갖는 다기능 배전반
US20080048870A1 (en) Pool video safety, security and intrusion surveillance and monitoring system
US200800431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video data of a security system based on infrared data
US20070139192A1 (en) Sensor unit having a network video camera
KR102019340B1 (ko) 복합 센서 기반 이동체 무인 상시 감시 시스템
CN104599417A (zh) 一种房间的安保管理系统
CN104050771A (zh) 异常检测的系统和方法
Saeed et al. IoT based smart security system using PIR and microwave sensors
KR101014842B1 (ko) Rfid 리더를 사용하는 보안용 영상 감시 시스템 및방법
US201901148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alarm levels for a motion detector monitoring a region
KR101149399B1 (ko) 인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100950923B1 (ko)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KR20160088174A (ko) 무인 감시시스템 장치
KR20120052015A (ko) 영상과 usn을 이용한 울타리 경계장치
JP5097452B2 (ja) 感度切替型の侵入検知システム
KR20100106135A (ko)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CN104050766A (zh) 一种脉冲电子围栏接触报警系统及检测方法
JP2000295598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100949838B1 (ko) 창문형 적외선 감지장치
KR101567583B1 (ko)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JP6454909B2 (ja) 位置検出部付き監視装置
KR20040039661A (ko) 마이크로웨이브 감지기
KR101703751B1 (ko) 형광물질 분사장치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US11277590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preserving intrusion event/s captured by camer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