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583B1 -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 Google Patents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583B1
KR101567583B1 KR1020150028870A KR20150028870A KR101567583B1 KR 101567583 B1 KR101567583 B1 KR 101567583B1 KR 1020150028870 A KR1020150028870 A KR 1020150028870A KR 20150028870 A KR20150028870 A KR 20150028870A KR 101567583 B1 KR101567583 B1 KR 101567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module
amount
window
crime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영
Original Assignee
고구려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구려시스템(주) filed Critical 고구려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5002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Abstract

이 발명은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 방범창에 CCD카메라 등의 영상촬영모듈을 구성하고, 외부침입자에 의해 방범창에 설치된 방범망에 충격이 가해지면 영상촬영모듈을 동작(활성화)시켜, 외부침입자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외부침입자에 의한 침입시도시, 영상촬영모듈에 구비된 촬영용 램프나 방범창에 별도로 구비된 LED램프를 점등함으로써, 무단침입상황을 시각적으로 주위에 알리고 외부침입자에게 시각적 충격효과를 가함으로써, 외부침입자의 침입시도중단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일반적인 방범창뿐만 아니라, 상점 등의 출입문이나 쇼윈도우와 같이 노출된 창호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의 창호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방범 시스템 분야, 특히 방범창을 이용한 침입자 방지 분야는 물론, 쇼윈도우나 출입문 등의 각종 창호의 방범기능 적용분야 등의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Crime prevention windows with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이 발명은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범창에 CCD카메라 등의 영상촬영모듈을 구성하고, 외부침입자에 의해 방범창에 설치된 방범망에 충격이 가해지면 영상촬영모듈을 동작(활성화)시켜, 외부침입자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외부침입자에 의한 침입시도시, 영상촬영모듈에 구비된 촬영용 램프나 방범창에 별도로 구비된 LED램프를 점등함으로써, 무단침입상황을 시각적으로 주위에 알리고 외부침입자에게 시각적 충격효과를 가함으로써, 외부침입자의 침입시도중단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출입하여 거주하거나 특정 활동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는 건축물에는 실내공간의 환기를 위하여 창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창문의 설치목적은 실내공기의 환기뿐만 아니라 햇빛의 유입이나 외부풍경을 보기 위한 목적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창문에는 개방시 벌레 등이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창이나 방충망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며, 저층에 설치되는 창문의 경우에는 외부자의 불법적인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범창이 설치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기존의 방범 및 방충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보안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선행기술들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0773호 '다목적 경보 장치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창문 감시 방법 및 창문 감시 시스템'(이하, '선행기술1'이라 한다)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4234호 '방범기능을 갖는 다기능 창호시스템'(이하, '선행기술2'라 한다)는, 창문의 개방시 창문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외부침입을 감지하고, 침입이 감지된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는 기술이 포합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들은 창문의 개방(보다 정확히는 창문틀의 개방) 시 침입을 감지하는 것으로, 창문을 개방하지 않고 침입하게 되면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창문에 설치된 방충망이나 방범망을 절단하고 침입하는 경우, 선행기술로는 침입사실을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0773호 '다목적 경보 장치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창문 감시 방법 및 창문 감시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4234호 '방범기능을 갖는 다기능 창호시스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 발명은 방범창에 CCD카메라 등의 영상촬영모듈을 구성하고, 외부침입자에 의해 방범창에 설치된 방범망에 충격이 가해지면 영상촬영모듈을 동작(활성화)시켜, 외부침입자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발명은 바람 등의 자연환경에 의한 충격(진동)과, 외부침입자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 특히 다양한 도구(예를 들어, 해머 등)를 이용한 침입시도 등을 구분하여 해당 상황별로 대응함으로써, 무분별한 점등에 의한 침입방지효과의 저하를 방지하고 침입상황에 대한 분명한 상황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한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외부침입자에 의한 침입시도시, 영상촬영모듈에 구비된 촬영용 램프나 방범창에 별도로 구비된 LED램프를 점등함으로써, 무단침입상황을 시각적으로 주위에 알리고 외부침입자에게 시각적 충격효과를 가함으로써, 외부침입자의 침입시도중단을 유도할 수 있도록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은, 창호프레임(F)에 설치된 방범망(N)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감지센서(100); 상기 창호프레임(F)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촬영모듈(200); 상기 충격감지센서(100) 및 영상촬영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격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충격량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300); 및 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400)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300)은, 충격량에 따라 현재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설정정보와, 상기 충격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충격량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해상도제어정보를 호출한 후, 호출된 해상도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에서 촬영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판단설정정보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충격량의 최대값으로 설정된 제1 기준설정값(f1) 이하의 영역인 안전영역(R1); 육체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량의 최대값으로 설정된 제2 기준설정값(f2)과 상기 제1 기준설정값(f1) 사이의 영역인 주의영역(R2); 및 상기 제2 기준설정값(f2)보다 큰 영역인 경고영역(R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충격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충격량이 주의영역(R2)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하고, 상기 경고영역(R3)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에서 촬영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며,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침입경고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400)은, 상기 침입경고메시지를 사용자단말기 및 관련기관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주의영역(R2)에 해당하는 충격량이 침입판단설정시간(T1) 이내에 2회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주의영역(R2)에 해당하는 충격량이 침입판단설정시간(T1) 이내에 발생한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에서 촬영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주의영역(R2)에 해당하는 충격량이 침입판단설정시간(T1) 이내에 경고설정횟수 이상으로 발생한 경우,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침입경고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400)은 상기 침입경고메시지를 사용자단말기 및 관련기관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하상기 충격감지센서(100)는, 창호프레임(F)의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구성되고, 상기 제어모듈(300)은, 복수 개의 상기 충격감지센서(100)로부터 감지된 충격량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격량의 평균값과, 충격량에 따라 현재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설정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프레임(F)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LED램프(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LED램프(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격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충격량에 대응하여 상기 LED램프(50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이 발명은 방범창을 통해 외부침입자가 침입을 시도하는 경우, 영상촬영모듈을 동작(활성화)시켜 외부침입자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단말기 및 관련기관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외부침입자에 대한 대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평상시 자연환경에 의한 충격(진동)에는 반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무분별한 영상촬영에 의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불필요한 데이터(영상데이터)의 취합 및 관리에 따른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외부침입자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 특히 다양한 도구(예를 들어, 해머 등)를 이용한 침입시도 등을 구분하여 해당 상황별로 대응함으로써, 침입상황에 대한 분명한 상황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이 발명은 외부침입자에 의한 침입시도시, 영상촬영모듈에 구비된 촬영용 램프나 방범창에 별도로 구비된 LED램프를 점등함으로써, 무단침입상황을 시각적으로 주위에 알리고 외부침입자에게 시각적 충격효과를 가함으로써, 외부침입자의 침입시도중단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일반적인 방범창뿐만 아니라, 상점 등의 출입문이나 쇼윈도우와 같이 노출된 창호에도 쉽게 적용함으로써, 야간에 노출된 창호를 통해 침입하는 외부침입자의 침입시도시, 외부침입자에 대한 영상정보의 획득은 물론, 침입중단유도와 더불어 침입사실에 대한 시각적알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방범 시스템 분야, 특히 방범창을 이용한 침입자 방지 분야는 물론, 쇼윈도우나 출입문 등의 각종 창호의 방범기능 적용분야 등의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제어모듈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제어모듈의 동작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제어모듈의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제어모듈의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난 충격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은 충격감지센서(100), 영상촬영모듈(200) 및 제어모듈(300)을 포함한다.
충격감지센서(100)는 창호프레임(F)에 설치된 방범망(N)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진동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범망(N)은 외부인의 무단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재의 매쉬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당엄자의 요구에 따라 방충망이나 유리창 등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촬영모듈(200)은 창호프레임(F)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픽셀단위의 영상촬영이 가능한 CCD카메라(Charge coupled device camer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촬영모듈(200)은 외부침입자에 대한 촬영시 사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창호프레임(F)의 상부 중앙에 구성될 수 있다.
제어모듈(300)은 충격감지센서(100) 및 영상촬영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충격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충격량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모듈(300)의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이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충격감지센서(100)는 창호프레임(F)의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호프레임(F)이 사각형인 경우, 충격감지센서(100)는 각 프레임에 대응하여 4개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어모듈(300)은 각 충격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충격량에 따라 영상촬영모듈(200)의 동작(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300)은 복수 개의 충격감지센서(100)로부터 감지된 충격량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격량의 평균값과, 충격량에 따라 현재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설정정보를 비교하여 영상촬영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판단설정정보는 충격량에 따른 침입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 발명의 램프점등 기능을 갖는 방범창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신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400)은 충격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충격량이 매우 강한 경우, 급박한 상황임을 외부에 알리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통신을 수행하여 침입경고메시지를 사용자단말기 및 관련기관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관련기관서버는 경찰서, 보안업체 등에서 운용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모듈(300)은 일정세기 이상의 충격량이 발생한 경우,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침입경고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모듈(4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은 영상촬영장치(200)와 더불어, 외부침입자에게 시각적 충격효과를 가할 수 있는 LED램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ED램프(500)는 일정세기 이상의 충격량이 발생한 경우, 제어모듈(300)에 의해 점등이 제어되는 것으로, 창호프레임(F)의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어모듈(300)은 복수 개의 충격감지센서(100)로부터 감지된 충격량의 평균값 및 판단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LED램프(500)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점등, 점멸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각 구성들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전지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600)은 충격감지센서(100), 영상촬영모듈(200), 제어모듈(300), 통신모듈(400) 및 LED램프(5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상용전원이나 2차전지 등으로 변경하거나 추가 및 병행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제어모듈(30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제어모듈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모듈(300)은 충격감지센서(100)로부터 방범망(N)에 대한 충격발생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110), 수신된 충격발생신호를 분석하여 충격량을 확인하고 저장된 판단설정정보와 충격량을 비교할 수 있다(단계 S120). 여기서, 판단설정정보는 충격량에 따라 현재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전영역(R1), 주의영역(R2) 및 경고영역(R3)으로 구분될 수 있다.
비교결과, LED램프(500)의 점등이 요구될 정도의 충격량인 경우, 제어모듈(300)은 해당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영상촬용모듈(200)을 동작시켜 감시구역을 촬영할 수 있다(단계 S130).
도 4는 도 1에 나타난 제어모듈의 동작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모듈(300)은 충격감지센서(100)로부터 충격이 감지되면(단계 S201), 감지된 충격량을 확인하여(단계 S202) 판단설정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단계 S203).
판단설정정보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충격량의 최대값으로 설정된 제1 기준설정값(f1) 이하의 영역인 안전영역(R1)과, 육체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량의 최대값으로 설정된 제2 기준설정값(f2)과 상기 제1 기준설정값(f1) 사이의 영역인 주의영역(R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격적 요인은 바람 등에 의해 방범망(N)이 흔들린 경우를 포함할 수 있고, 육체적 요인은 외부침입자가 손 등으로 방범망(N)을 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300)은 가해진 충격량이 제1 기준설정값(f1) 이하인 경우(단계 S204), 해당 상황을 안전영역(R1)에 해당하는 안전상황으로 판단하고(단계 S205) 영상촬영모듈(200)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단계 S206).
이를 통해, 평상시 영상촬영모듈(200)의 동작 및 그에 따른 영상처리를 위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만약, 가해진 충격량이 제1 기준설정값(f1)보다 큰 경우(단계 S204), 제어모듈(300)은 해당 상황을 주의영역(R2)에 해당하는 주의상황으로 판단하고(단계 S207),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 상태로 변환하고(단계 S208), 해당 감시지역을 촬영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제어모듈의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충격감지센서(100)로부터 충격이 감지되고(단계 S211), 감지된 충격량이 주의상황으로 판단된 경우(단계 S212), 제어모듈(300)은 침입판단설정시간(T1)내에 추가 충격이 가해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S213). 여기서, 침입판단설정시간(T1)은 실수에 의한 충격과 고의에 의한 충격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시간 이내에 연속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고의적인 침입임을 판단하기 위한 최소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모듈(300)은 주의영역(R2)에 해당하는 충격량이 침입판단설정시간(T1) 이내에 경고설정횟수 이상으로 발생(도 7의 (b)에서 't23' 내지 't27')한 경우(단계 S214),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 할 수 있다(단계 S215).
이때, 영상촬영모듈(200)의 황성화와 더불어, 촬영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제어할 수 있다(단계 S215).
예를 들어, 영상촬영모듈(200)이 CCD카메라인 경우, 각 픽셀단위의 동작(활성화 및 비활성화)을 제어함으로써, 해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비활성화된 픽셀의 영상데이터는 인접한 픽셀의 영상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비활성화된 픽셀의 비율에 따라 해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모듈(300)은 주의상황에서는 해상도를 낮추도록 영상촬영모듈(200)을 제어하고, 경고상황에서는 해상도를 높이도록 영상촬영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촬영모듈(200)의 해상도를 제어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주의상황의 경우, 정확한 사물의 식별이 아닌 상황파악만으로도 충분하므로, 해상도를 낮추며, 이를 통해 전력소모를 최소화함은 물론,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영상처리속도의 향상 및 영상데이터의 저장에 요구되는 자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경고상황의 경우, 영상촬영모듈(200)의 해상도를 높여 정확한 사물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영상촬영모듈(200)의 해상도를 제어하면, 전력관리능력, 영상데이터의 효율적 처리능력 및 정보의 신뢰도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어모듈(300)은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영상촬영모듈(200)에 구비된 촬영용 램프 또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별도로 구비된 LED램프(500)의 점등과 더불어, 점멸 및 발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모듈(300)은 침입이 발생된 장소의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침입경고메시지를 생성하고, 통신모듈(400)을 통해 침입경고메시지를 사용자단말기 및 관련기관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216).
만약, 주의영역(R2)에 해당하는 충격량이 경고설정횟수에는 미치지 않으나, 설정횟수(예를 들어, 2회) 이상 발생(도 7의 (b)에서 't21' 및 't22')한 경우(단계 S214),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할 수 있다(단계 S217).
또한, 제어모듈(300)은 주의영역(R2)에 해당하는 충격량이 침입판단설정시간(T1) 이내에 발생한 횟수에 대응하여 LED램프(500)의 점멸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제어함으로써, 주위에 현재의 침입상황을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만약, 제어모듈(300)은 안전확보설정시간(T2)이 경과하는 동안 추가적인 충격이 없는 경우, 외부침입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하고 영상촬영모듈(200)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단계 S218), LED램프(500)를 소등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300)은 도 7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침입판단설정시간(T1)내에 추가 충격이 없는 경우에는, 영상촬영모듈(200)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거나 잠시 동안 활성화전환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활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LED램프(500)를 점등하지 않거나 잠시 동안 점등후 소등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제어모듈의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외부침입자가 해머 등의 도구 등을 이용하여 침입하는 경우에 대한 것으로, 판단설정정보는 물리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량에 해당하는 상기 제2 기준설정값(f2)보다 큰 영역인 경고영역(R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모듈(300)은 충격이 감지되고(단계 S221) 주의상황인 것으로 확인된 후(단계 S222), 제2 기준설정값(f2)보다 큰 충격량에 해당하는 경고영역(R3)에서 충격이 발생(도 7의 (b)에서 't27')된 경우(단계 S223), 현재 상황을 경고상황으로 곧바로 인식하고(단계 S224),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하고 LED램프(500)의 점등뿐만 아니라, 점멸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제어할 수 있다(단계 S225).
이와 동시에, 제어모듈(300)은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침입경고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모듈(400)을 통해 사용자단말기 및 관련기관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226),
만약, 감지된 충격량이 제2 기준설정값(f2)보다 작은 경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경고설정횟수에 따라(단계 S227) 경고상황으로 진입하여 해당 절차를 수행하거나 주의상황에 따라 영상촬영모듈(200)의 활성화하고(단계 S228) LED램프(500)를 점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100 : 충격감지센서 200 : 영상촬영모듈
300 : 제어모듈 400 : 통신모듈
500 : LED램프
f1 : 제1 기준설정값 f2 : 제2 기준설정값
R1 : 안전영역 R2 : 주의영역
R3 : 경고영역
T1 : 침입판단설정시간

Claims (10)

  1. 창호프레임(F)에 설치된 방범망(N)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감지센서(100);
    상기 창호프레임(F)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촬영모듈(200);
    상기 충격감지센서(100) 및 영상촬영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격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충격량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300); 및
    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400)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300)은,
    충격량에 따라 현재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설정정보와, 상기 충격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충격량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해상도제어정보를 호출한 후, 호출된 해상도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에서 촬영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판단설정정보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충격량의 최대값으로 설정된 제1 기준설정값(f1) 이하의 영역인 안전영역(R1);
    육체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량의 최대값으로 설정된 제2 기준설정값(f2)과 상기 제1 기준설정값(f1) 사이의 영역인 주의영역(R2); 및
    상기 제2 기준설정값(f2)보다 큰 영역인 경고영역(R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충격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충격량이 주의영역(R2)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하고, 상기 경고영역(R3)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에서 촬영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며,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침입경고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400)은,
    상기 침입경고메시지를 사용자단말기 및 관련기관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주의영역(R2)에 해당하는 충격량이 침입판단설정시간(T1) 이내에 2회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주의영역(R2)에 해당하는 충격량이 침입판단설정시간(T1) 이내에 발생한 횟수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에서 촬영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6. 제 5항에 있어서,
    외부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주의영역(R2)에 해당하는 충격량이 침입판단설정시간(T1) 이내에 경고설정횟수 이상으로 발생한 경우, 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침입경고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모듈(400)은
    상기 침입경고메시지를 사용자단말기 및 관련기관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및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지센서(100)는,
    창호프레임(F)의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구성되고,
    상기 제어모듈(300)은,
    복수 개의 상기 충격감지센서(100)로부터 감지된 충격량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격량의 평균값과, 충격량에 따라 현재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판단설정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영상촬영모듈(200)을 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F)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LED램프(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LED램프(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충격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충격량에 대응하여 상기 LED램프(500)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KR1020150028870A 2015-03-02 2015-03-02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KR101567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870A KR101567583B1 (ko) 2015-03-02 2015-03-02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870A KR101567583B1 (ko) 2015-03-02 2015-03-02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583B1 true KR101567583B1 (ko) 2015-11-11

Family

ID=5460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870A KR101567583B1 (ko) 2015-03-02 2015-03-02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883B1 (ko) * 2016-03-16 2017-01-25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침입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는 무인 경비 장치, 서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9840A (ja) * 2006-01-24 2007-08-09 Denso Corp 車両用盗難防止システム、車両用盗難防止装置、車両用盗難防止プログラム及び管理装置
KR101305998B1 (ko) * 2013-02-13 2013-09-12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문 충격 감지를 이용한 방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9840A (ja) * 2006-01-24 2007-08-09 Denso Corp 車両用盗難防止システム、車両用盗難防止装置、車両用盗難防止プログラム及び管理装置
KR101305998B1 (ko) * 2013-02-13 2013-09-12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문 충격 감지를 이용한 방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883B1 (ko) * 2016-03-16 2017-01-25 주식회사 에이디티캡스 침입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는 무인 경비 장치, 서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315B1 (ko) 객체의 움직임 감지에 의한 위험 감지 cctv 시스템 및 그 방법
CA2658347C (en) Intruder detection using video and infrared data
US9472067B1 (en) Security devices and related features
KR101619307B1 (ko) 군사용 경계초소의 주둔지 방호 시스템
CN113971782B (zh) 一种综合监控信息管理方法和系统
CN110930622A (zh) 一种供配电区域电子告警装置
KR20080044812A (ko) 컴퓨터 영상 분석기술을 이용한 범죄 및 사고예방 자동경비 시스템
KR20140122779A (ko) 위치기반 통합관제시스템
KR101014842B1 (ko) Rfid 리더를 사용하는 보안용 영상 감시 시스템 및방법
KR100948195B1 (ko) 영상 보안 시스템
KR101567583B1 (ko) 영상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창
KR101562321B1 (ko) 램프점등 기능을 갖는 방범창
KR101415848B1 (ko) 차량 및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스쿨존 방범장치
KR101452874B1 (ko) 주택 보안 시스템
KR200188880Y1 (ko) 영상 전송용 보안 시스템
JP2006277639A (ja) 画像センサ及び監視装置
CN204348013U (zh) 一种门窗用被动红外探测的防盗报警监控装置
KR20160095901A (ko)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는 안전창호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KR101393304B1 (ko) Cctv의 절취방지를 위한 제어방법
KR101440477B1 (ko)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및 방법
KR101167605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지능형 다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2023566A (ja) 監視装置および挙動監視用プログラム
KR102410061B1 (ko) 자동 위급상황 알림 기능을 갖는 보안등
KR101644032B1 (ko) 홈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JP4220322B2 (ja) 侵入者監視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