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084B1 -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 - Google Patents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084B1
KR101149084B1 KR1020100114115A KR20100114115A KR101149084B1 KR 101149084 B1 KR101149084 B1 KR 101149084B1 KR 1020100114115 A KR1020100114115 A KR 1020100114115A KR 20100114115 A KR20100114115 A KR 20100114115A KR 101149084 B1 KR101149084 B1 KR 101149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topper
rotational force
housing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주)세신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신정밀 filed Critical (주)세신정밀
Priority to KR1020100114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26Control means;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61C1/003Control of rotation of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5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6Drives or transmissions with torque adjusting or limi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100)는, 상판(111)에 관통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111)의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115)으로 구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측벽(115)의 내측면(116)에 형성된 암나사부(120)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관통구(113)로 돌출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수용되어 회전축(130) 하부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140)과, 상기 암나사부(120)에 체결되는 판상의 마개(15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130)의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삽입홀(131)과, 상기 회전축(1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113) 보다 폭이 큰 플랜지(133)를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전동부(미도시)에 다수의 앵글(210)을 구비하고, 상기 앵글(210)들이 서로 다른 제조회사로부터 제작된 것이더라도, 동일한 회전력을 출력하도록 세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Moment measure for handpieces}
본 발명은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핸드피스의 전동부에 장착되는 상이한 제조회사의 앵글들을, 동일한 회전력으로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는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피스(10)는 치과병원에서 치아의 절삭 내지는 치조골에 홀을 뚫는 드릴링 및 탭핑, 그리고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형성된 탭홀에 체결하는 시술도구이다.
이러한 핸드피스(10)는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전방으로 회전축(12)이 돌출되는 자루 형상의 전동부(11)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12)이 삽입되고 전방에 장착된 버(17, bur)가 상기 회전축(1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자루 형상의 앵글(15)이 구성된다.
상기 전동부(11)는 내부에 모터가 내장되고 케이블(13)을 통해 전력을 인가받는다. 또한, 상기 앵글(15)은 내부에 기어가 조합되어 상기 회전축(12)의 회전을 버(17)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17, bur)의 회전력(torque)은 상기 모터(미도시)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에 의해 조정된다. 상기 버(17)는 드릴, 탭, 연마공구, 임플란트를 잡고서 회전시키는 공구 등 다양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10)는 컨트롤박스(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수(rpm, 분당 회전수), 세팅 회전력, 실시간 회전력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박스(미도시)를 통해 전류의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회전수와 회전력의 세기를 조정한다. 또한, 핸드피스(10)가 세팅된 회전력 이상의 부하가 감지되면 전력의 공급을 중단하여 버(17)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핸드피스(10)를 이용한 치과시술 중 하나인 임플란트 삽입시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드피스(10)를 이용하여 치조골에 홀을 천공한다. 그리고, 핸드피스(10)를 이용하여 상기 홀에 탭홀을 시술한다. 그리고나서, 핸드피스(10)를 이용하여 상기 탭홀에 임플란트를 돌려서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버(17)의 회전력을 임플란트 체결에 적합하도록 조정함은 물론이다.
이때, 치과병원에서는 하나의 전동부(11)를 구비하고 다양한 회사에서 제조된 앵글(15)을 다수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다수의 환자를 시술해야 하기 때문에, 위생상 환자마다 다른 앵글(15)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앵글(15)은 동일 회사의 제품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치과병원에서는 상이한 회사의 앵글(15)들이 모두 하나의 전동부(11)에 호환이 되는 것으로 오인하고서 다양한 종류의 앵글(15)들을 구비하고 사용하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병원에서는 하나의 전동부와 상기 전동부에 연결된 컨트롤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앵글들은 다양한 회사의 것들로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박스를 통해서 조정한 세팅 회전력이 정확하게 상기 앵글들의 버를 통해서 출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전동부와 동일 회사의 앵글을 사용할 경우, 컨트롤박스에서 조정한 세팅 회전력이 고스란히 상기 앵글의 버를 통해 출력된다. 그러나, 상이한 제조회사의 앵글을 상기 전동부에 장착한다면, 컨트롤박스에서 조정한 세팅 회전력이 상기 앵글의 버를 통해 출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상기 앵글 내부의 기어 조합의 방식 및 기어의 사이즈가 제조회사마다 상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전동부의 회전축을 통해서는 동일한 회전력이 공급되지만, 각 앵글들을 통해서는 상이한 회전력이 출력될 수밖에 없다.
일례로,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체결하기 위해서 치조골에 적합한 회전력으로 30Ncm로 세팅 회전력을 설정하였다면, 상기 전동부와 동일 제조회사의 앵글이라면 30Ncm의 출력이 나오기 때문에 시술에 전혀 문제가 없다. 그러나, 타 제조회사의 앵글일 경우에는 40Ncm 내지는 25Ncm의 출력이 나오게 된다. 따라서, 세팅 회전력의 이상인 40Ncm가 출력된다면, 치조골의 강도에 부합하지 않는 회전력으로 인해서 치조골에 비틀림 하중을 부가하게 되어 균열이 생기거나 부서지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또한, 세팅 회전력의 이하인 25Ncm가 출력된다면, 버에 부하가 감지되어 컨트롤박스는 전류의 공급을 중단하여 버의 회전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시술을 진행할 수가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이한 제조 회사의 앵글들을 사용하기 전에 세팅 회전력으로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는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는 상판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측벽의 내측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관통구로 돌출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어 회전축 하부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과,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판상의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삽입홀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 보다 폭이 큰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판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으로 구성된 하우징과, 상기 측벽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관통구로 돌출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어 회전축 하부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마개와,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삽입홀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 보다 폭이 큰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용기 형상으로서 내측면에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마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압축스프링을 관통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이 끼워지도록 상기 플랜지 하면을 통해 형성된 지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압축스프링을 관통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이 끼워지도록 상기 플랜지 하면을 통해 형성된 지지홀과, 상기 마찰판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이 통과하는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는 하나의 전동부에 다수의 앵글을 구비하고, 상기 앵글들이 서로 다른 제조회사로부터 제작된 것이더라도, 동일한 회전력을 출력하도록 세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부에 연결된 컨트롤박스에 회전력을 세팅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앵글들이 상이한 회전력을 출력함으로써 의료사고를 발생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박아 넣는 과정에서 적정 회전력 이상으로 회전력이 출력되어 치조골에 균열이 생기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출력 회전력이 세팅 회전력보다 작게 출력되어 버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불합리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핸드피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핸드피스를 전동부와 앵글로 분리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에 구성되는, 회전축의 버홀에 핸드피스의 버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압축스프링의 하단에 마찰판이 구성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압축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에 마찰판이 구성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마개가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수나사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실시예 및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에 구성되는, 회전축의 버홀에 핸드피스의 버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압축스프링의 하단에 마찰판이 구성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압축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에 마찰판이 구성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마개가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수나사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핸드피스(200)는 치과병원에서 치아의 절삭 내지는 치조골에 홀을 뚫는 드릴링 및 탭핑, 그리고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형성된 탭홀에 체결하는 시술도구로서, 전방으로 회전축(미도시)이 돌출되는 자루 형상의 전동부(미도시)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미도시)이 삽입되고 전방에 장착된 버(213, bur)가 상기 회전축(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자루 형상의 앵글(210)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전동부(미도시)에 타 제조회사의 앵글(210)들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앵글(210)들의 회전력이 세팅 회전력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확하게 세팅 회전력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3, 도 5, 도 6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판(111)에 관통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111)의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115)으로 구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측벽(115)의 내측면(116)에 형성된 암나사부(120)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관통구(113)로 돌출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수용되어 회전축(130) 하부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140)과, 상기 암나사부(120)에 체결되는 판상의 마개(15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130)의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삽입홀(131)과, 상기 회전축(1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113) 보다 폭이 큰 플랜지(133)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판(111)에 관통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111)의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115)으로 구성됨으로써 하방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이 되는데, 상기 측벽(115)의 내측면(116)은 원형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형의 내측면(116)에 암나사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 내부를 통해서 상기 관통구(113)로 돌출되는 회전축(130)은 하단에 상기 관통구(113) 보다 폭이 큰 플랜지(1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관통구(113)를 통해 상방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30)의 상단에는, 단면이 다각형인 버(213)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다각형의 삽입홀(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33) 하부에 압축스프링(140)이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 (110) 내부에 수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스프링(140)을 받치면서 상기 하우징(110)의 암나사부(120)에 체결되는 원형의 판인 마개(150)가 체결되어 구성된다. 물론, 상기 마개(150)는 측면에 상기 암나사부(120)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1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150)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면에 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51)은 나사 머리에 형성된 일자홈일 수도 있고 십자홈일 수도 있고, 도 5에서처럼 다수 개의 홈(151)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홈(151)에 핑거가 삽입되는 연장을 통해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133)의 하면(136) 및 마개(150)의 상면(155)이 압축스프링(140)으로 인해서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마개(150)와 회전축(130)의 회전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플랜지(133)의 하면(136)과 압축스프링(140)의 사이 및 마개(150)의 상면(155)과 압축스프링(140)의 사이에 마찰판(160)을 개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판(160)과 마개(150)의 상면(155) 및 플랜지(133)의 하면(136)에서 슬립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즉, 마개(150)의 상면(155) 및 플랜지(133)의 하면(136)이 바로 압축스프링(140)에 밀접하면서 마찰하는 것에 비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마찰판(160)은 필요에 따라, 압축스프링(140)의 상단과 플랜지(133)의 하면(136) 또는 압축스프링(140)의 하단과 마개(150)의 상면(155)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개(15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압축스프링(140)을 관통하는 지지축(157)과, 상기 지지축(157)이 끼워지도록 상기 플랜지(133) 하면(136)을 통해 형성된 지지홀(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157)은 마개(150)의 상면(155)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135)이 상기 플랜지(133)의 하면(136)을 통해서 회전축(130)의 중심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축(157)과 지지홀(135)의 중심은 회전축(13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회전축(130)이 지지축(157)에 지지되어 편심 없이 회전하도록 한다. 즉, 기울어지지지 않고 수직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보다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축(157)과 지지홀(135)이 구성된 상태에서 마찰판(160)이 더 구성된다면, 상기 마찰판(160)에 상기 지지축(157)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구(165)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7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판(111)에 관통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111)의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115)으로 구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측벽(115)의 외측면(118)에 형성된 수나사부(180)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관통구(113)로 돌출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수용되어 회전축(130) 하부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140)과, 상기 수나사부(180)에 체결되는 마개(150)와,상기 회전축(130)의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삽입홀(131)과, 상기 회전축(1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113) 보다 폭이 큰 플랜지(133)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150)는 용기 형상으로서 내측면에 상기 수나사부(180)에 체결되는 암나사부(159)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판(111)에 관통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111)의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115)으로 구성됨으로써 하방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이 되는데, 상기 측벽(115)의 외측면(118)은 원형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형의 외측면(118)에 수나사부(180)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 내부를 통해서 상기 관통구(113)로 돌출되는 회전축(130)은 하단에 상기 관통구(113) 보다 폭이 큰 플랜지(1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관통구(113)를 통해 상방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30)의 상단에는, 단면이 다각형인 버(213)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다각형의 삽입홀(1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33) 하부에 압축스프링(140)이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 (110) 내부에 수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스프링(140)을 받치면서 상기 하우징(110)의 수나사부(1802)에 체결되도록 내측면에 암나사부(159)가 형성된 용기 형상의 마개(150)가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마개(150)는 원형의 평판(152)과 상기 평판(152)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벽(156)이 구성되고 상기 측벽(156)의 내측면에 상기 하우징(110)의 수나사부(180)에 체결되는 암나사부(159)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156)이 하우징(110)을 수용하는 크기임은 물론이다. 상기 평판(152)의 상면 즉 마개(150)의 바닥면(154)이 압축스프링(140)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33)의 하면(136) 및 마개(150)의 바닥면(154)이 압축스프링(140)으로 인해서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마개(150)와 회전축(130)의 회전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플랜지(133)의 하면(136)과 압축스프링(140)의 사이 및 마개(150)의 바닥면(154)과 압축스프링(140)의 사이에 마찰판(160)을 개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판(160)과 마개(150)의 바닥면(154) 및 플랜지(133)의 하면(136)에서 슬립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즉, 마개(150)의 바닥면(154) 및 플랜지(133)의 하면(136)이 바로 압축스프링(140)에 밀접하면서 마찰하는 것에 비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마찰판(160)은 필요에 따라, 압축스프링(140)의 상단과 플랜지(133)의 하면(136) 또는 압축스프링(140)의 하단과 마개(150)의 바닥면(154)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개(15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압축스프링(140)을 관통하는 지지축(157)과, 상기 지지축(157)이 끼워지도록 상기 플랜지(133) 하면(136)을 통해 형성된 지지홀(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157)은 마개(150)에서 압축스프링(140)을 받치는 바닥면(154)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135)이 상기 플랜지(133)의 하면(136)을 통해서 회전축(130)의 중심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축(157)과 지지홀(135)의 중심은 회전축(13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회전축(130)이 지지축(157)에 지지되어 편심 없이 회전하도록 한다. 즉, 기울어지지지 않고 수직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보다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축(157)과 지지홀(135)이 구성된 상태에서 마찰판(160)이 더 구성된다면, 상기 마찰판(160)에 상기 지지축(157)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구(165)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앵글(210)들을 30Ncm의 회전력으로 일치시킬 경우, 본 발명의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100)를 30Ncm로 세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개(150)를 정역방향으로 돌려서 상향 또는 하향시킨 후, 토오크 드라이브(미도시)로 회전력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마개(150)가 상향하게 되면 압축스프링(140)을 압축하게 되어, 상기 플랜지(133)를 밀어올리는 힘이 커지게 되어 회전축(130)을 돌리는데 큰 회전력을 필요로 하게 되고, 상기 마개(150)를 하향하게 되면 압축스프링(140)이 느슨하게 되어, 회전축(130)을 돌리는 회전력이 작아진다. 이때, 상기 마개(150)가 제1실시예의 경우처럼 판 형상이면, 상기 마개(150)에 형성된 홈(151)을 통해 마개(150)를 정역방향으로 돌리게 된다.
상기 마찰판(160)이 마개(150)와 압축스프링(140) 사이에 개재된 경우에는 원활한 슬립을 유도하여 마개(15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즉, 압축스프링(140)과 바로 접촉하는 것에 비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토오크 드라이브(미도시) 대신에, 핸드피스(200)에 구성된 컨트롤박스(미도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전동부(미도시)와 한 세트인 앵글(210)에 상기 회전축(130)에 형성된 삽입홀(131)에 부합하는 버(213, 단면이 삽입홀의 다각형과 일치)를 장착한 후, 상기 전동부(미도시)에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131)에 버(213)를 끼우고 전원을 인가하여 돌리면 현재 실시간의 회전력이 출력된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회전력을 보면서 상기 마개(150)를 조정하여 본 발명을 세팅한다. 이때, 상기 앵글(210)은 전동부(미도시)와 한 세트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회전력은 실제 회전력이 된다.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면서 본 발명을 30Ncm의 회전력으로 회전축(130)을 돌릴 수 있도록 세팅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전동부(미도시)와 다른 제조회사에서 제작된 앵글(210)에 상기 다각형의 버(213)를 끼우고 상기 전동부(미도시)에 조합한다. 그리고 상기 버(213)를 본 발명의 삽입홀(131)에 끼우고 돌린다. 이때, 컨트롤박스(미도시)를 통해서 회전력을 30Ncm로 세팅한다. 이때, 앵글(210)의 회전력이 상기 30Ncm 보다 크면, 본 발명의 회전축(130)은 겉돌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박스(미도시)에는 30Ncm가 세팅되어 있더라도, 상기 앵글(210)이 전동부(미도시)와 다른 회사 제품이므로, 실제로 출력되는 회전력은 30Ncm 이상인 것이다. 이때는, 상기 세팅 회전력을 하향조정하도록 한다. 만약, 실시간 출력 회전력이 35Ncm라면, 상기 세팅 회전력을 25Ncm로 하향 조정한다. 그러면, 상기 전동부(미도시)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조정되어 실제로 출력되는 회전력은 30Ncm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출력되는 회전력이 30Ncm 이하가 되면, 컨트롤박스(미도시)에서 부하를 감지하고, 즉시, 전원 인가를 중단하여 버(213)의 회전을 멈추게 된다. 만약, 이때, 실시간 출력 회전력이 27Ncm였다면, 상기 세팅 회전력을 33Ncm로 상향 조정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전동부(미도시)에 33Ncm의 회전력이 출력되도록 전류의 세기가 조정된다. 그러나 상기 앵글(210)에 의해서 3Ncm가 감소되어, 상기 버(213)의 회전력을 정확히 30Ncm로 세팅할 수 있다.
만약, 앵글(210)의 버(213)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이 30Ncm에 부합하게 되면, 회전축(130)은 돌지 않게 된다. 그러나 손으로 한 번 돌려주게 되면 가속이 붙으면서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박스(미도시)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회전력을 감지하게 되면 정확히 30Ncm가 표시됨으로써, 상기 앵글(210)이 컨트롤박스(미도시)와 한 세트로 사용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컨트롤박스(미도시)는 상기 버(213)에 세팅 회전력 이상의 부하가 감지되면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여 의료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부(미도시)와 상이한 회사의 앵글(210)들을 미리 한 번 본 발명을 통해서 출력되는 회전력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출력값을 세팅된 회전력으로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100: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 110: 하우징
111: 상판 113: 관통구
115: 측벽 120: 암나사부
130: 회전축 131: 삽입홀
133: 플랜지 135: 지지홀
140: 압축스프링 150: 마개
151: 홈 153, 180: 수나사부
155: 상면 154: 바닥면
160: 마찰판

Claims (5)

  1. 상판(111)에 관통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111)의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115)으로 구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측벽(115)의 내측면(116)에 형성된 암나사부(120)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관통구(113)로 돌출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수용되어 회전축(130) 하부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140)과,
    상기 암나사부(120)에 체결되는 판상의 마개(15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130)의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삽입홀(131)과,
    상기 회전축(1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113) 보다 폭이 큰 플랜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
  2. 상판(111)에 관통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111)의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115)으로 구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측벽(115)의 외측면(118)에 형성된 수나사부(180)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관통구(113)로 돌출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수용되어 회전축(130) 하부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140)과,
    상기 수나사부(180)에 체결되는 마개(150)와,
    상기 회전축(130)의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삽입홀(131)과,
    상기 회전축(1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113) 보다 폭이 큰 플랜지(133)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150)는 용기 형상으로서 내측면에 상기 수나사부(180)에 체결되는 암나사부(15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14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마찰판(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5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압축스프링(140)을 관통하는 지지축(157)과,
    상기 지지축(157)이 끼워지도록 상기 플랜지(133) 하면(136)을 통해 형성된 지지홀(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5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압축스프링(140)을 관통하는 지지축(157)과,
    상기 지지축(157)이 끼워지도록 상기 플랜지(133) 하면(136)을 통해 형성된 지지홀(135)과,
    상기 마찰판(160)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157)이 통과하는 관통구(1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
KR1020100114115A 2010-11-16 2010-11-16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 KR10114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115A KR101149084B1 (ko) 2010-11-16 2010-11-16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115A KR101149084B1 (ko) 2010-11-16 2010-11-16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084B1 true KR101149084B1 (ko) 2012-05-24

Family

ID=4627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115A KR101149084B1 (ko) 2010-11-16 2010-11-16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0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508B1 (ko) * 2019-05-13 2019-09-20 백용기 다중 스프링이 내장된 권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6663A1 (en) 2001-01-25 2002-10-10 Eiichi Nakanishi Torque control unit, drilling system for implant surgery having torque control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rque with torque control unit
KR20040106155A (ko) * 2003-06-11 2004-12-17 경희문 치과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토오크 드라이버
KR20080040703A (ko) * 2005-07-11 2008-05-08 메드트로닉 스파인 엘엘씨 토크 제한 장치 및 방법
KR100948726B1 (ko) 2008-02-13 2010-03-22 문현일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렌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6663A1 (en) 2001-01-25 2002-10-10 Eiichi Nakanishi Torque control unit, drilling system for implant surgery having torque control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rque with torque control unit
KR20040106155A (ko) * 2003-06-11 2004-12-17 경희문 치과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토오크 드라이버
KR20080040703A (ko) * 2005-07-11 2008-05-08 메드트로닉 스파인 엘엘씨 토크 제한 장치 및 방법
KR100948726B1 (ko) 2008-02-13 2010-03-22 문현일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렌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508B1 (ko) * 2019-05-13 2019-09-20 백용기 다중 스프링이 내장된 권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9046B2 (ja) 骨内単一歯インプラント
JP5442007B2 (ja) インプラント取り外し工具
JP2012501768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を埋入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手順
JP2013132553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連結ねじ
BR112017002062B1 (pt) Parafuso com pino de inserção e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um parafuso
KR101042372B1 (ko) 일체형 임플란트
KR101149084B1 (ko) 핸드피스용 회전력 측정기
EP3954322A1 (en) Torque wrench for implant procedure
JP4481461B2 (ja) 歯科および外科用のハンド・ピースのトルクを制限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948726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렌치
KR100788240B1 (ko) 왼나사로 된 치과용 임플란트 추출유니트
KR20160008887A (ko) 어버트먼트 스크류 제거 드릴 및 어버트먼트 스크류 제거 장치
US10034723B2 (en) Tooth bracket extraction device and methods for extracting a bracket section from teeth
KR10108792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317310B1 (ko) 원터치식 핸드피스용 앵글
TW200940035A (en) Universal contra-angle screwdriver for implantology
KR20130049514A (ko) 베벨기어를 갖는 치아 발치용 엘리베이터
KR100893787B1 (ko) 핸드 콘트라앵글 마이크로임플란트 토크 드라이버
JP2016154856A (ja) 歯科用治具、除去穴充填用人工骨、トレフィンバーおよび歯科用治具の製造方法
ITBA20110054A1 (it) "equipaggiamento per la composizione di fratture ossee in chirurgia ortopedica"
ES2758093T3 (es) Dispositivo médico, particularmente dental, para determinar la calidad de un hueso
KR101408909B1 (ko) 보조드릴이 구비된 상악동 거상술용 임플란트 드릴
KR200386076Y1 (ko) 픽스처 드라이버
US20120021377A1 (en) Electric implant torque wrench
KR200417708Y1 (ko) 치과용 회전기구의 생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