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945B1 -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945B1
KR101148945B1 KR1020090026077A KR20090026077A KR101148945B1 KR 101148945 B1 KR101148945 B1 KR 101148945B1 KR 1020090026077 A KR1020090026077 A KR 1020090026077A KR 20090026077 A KR20090026077 A KR 20090026077A KR 101148945 B1 KR101148945 B1 KR 101148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support
water pipe
pipe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806A (ko
Inventor
나용주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6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945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00Measuring ang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체 부품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설치 후에 정확한 부위에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냉각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각수관이 안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외벽에 눈금이 새겨지는 측정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제선, 제강, 연주, 압연, 압연장치

Description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 {JIG FOR TESTING COOLER}
본 발명은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체 부품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설치 후에 정확한 부위에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냉각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쇳물)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광석으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 중 앞 단계인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철, 제선(製銑)이라 하고, 선철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강이라 한다.
연주공정은 액체생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용강을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기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앞에서 설명한 제선공정을 행하기 위해 고로 또는 전기로가 사용되며, 고로는 철광석으로부터 용선을 추출하는 노이고, 전기로는 유도 전류가 일으키는 열을 이용하여 고철을 용선으로 만드는 노이다.
전기로의 하부에는 하부전극이 설치되고, 전기로의 상측으로부터 전극봉이 전기로 내부로 삽입되면서 하부전극과 전극봉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열에 의해 고철이 용해되어 용선을 만들게 된다.
이렇게 전기로의 상부로부터 내부로 전극봉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이 전기로의 일측에 설치되고, 암에는 전극봉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전극봉의 과열을 방지토록 하는 냉각수관이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봉용 냉각수관은 전극봉에 인접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전극봉의 고열에 의해 냉각수관이 파손되기 쉬워 잦은 교체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각수관의 크기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전극봉과 호환되는 크기의 냉각수관인지를 판단하기 어렵고, 냉각수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의 살수 각도를 측정하기가 용이치 않으므로 냉각수가 전극봉의 정확한 부위에 공급되도록 냉각수관을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체되는 부품의 크기를 쉽게 판단할 수 있고, 분사되는 냉각수의 살수 각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각수관이 안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외벽에 눈금이 새겨지는 측정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대는, 상기 냉각수관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 및 상기 냉각수관으로부터 연장되는 급수관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냉각수관의 유동을 억제하는 고정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냉각수관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는 냉각수관의 크기를 측정대에 의해 쉽게 판단하고, 측정기둥에 의해 냉각수의 살수 각도를 쉽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전극봉에 호환되는 크기의 냉각수관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측정된 냉각수의 살수 각도를 이용하여 냉각수관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전극봉의 냉각작동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 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의 측정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는 냉각수관(80)이 안착되는 지지대(10)와, 지지대(10)에 연결되고 냉각수관(80)으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가 접촉되는 부위에 눈금(32)이 새겨지는 측정기둥(30)을 포함한다.
이로써, 지지대(10)에 냉각수관(80)을 안착시킨 후에 냉각수관(80)에 냉각수를 공급하면 냉각수관(80)으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가 눈금(32)이 새겨진 측정기둥(30)에 접촉되면서 냉각수의 분사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냉각수관(80)은 전기로의 전극봉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관(80)으로써, 전극봉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을 따라 다수 개의 분사홀부(84)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급수관(82)이 연장된다.
지지대(10)는 링 모양의 냉각수관(80)을 지지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의 지지대(10)가 원형의 선상에 배치되고, 지지대(10)의 상단에는 오목한 제1안착부(12)가 설치되어 냉각수관(80)이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 개의 지지대(10)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10)에서 측 방향으로 연 장되는 제2안착부(14)가 형성되어 급수관(82)이 안착되고, 제2안착부(14)의 저면과 지지대(10) 사이에 보강대(16)가 설치된다.
지지대(10)에는 냉각수관(80)의 유동을 억제하는 고정편(50)이 구비되어 제1안착부(12)에 냉각수관(80)이 안착된 후에 유동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러한 고정편(50)은 지지대(10)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52)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제1안착부(12)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제1안착부(12)에 안착되는 냉각수관(80)의 측면에 밀착되므로 냉각수관(80)이 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고정편(50)은 냉각수관(80)에 대향되는 면에 냉각수관(80)이 삽입되는 홈부(54)가 형성되므로 냉각수관(80)의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는 냉각수관(80)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대(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측정대(70)는 냉각수관(80)의 외경을 측정하기 위한 지그로서, 십자가 모양으로 형성된 지그의 네 단부에 걸림돌기(72)가 형성되어 측정대(70) 위에 냉각수관(80)을 놓았을 때에 냉각수관(80)의 외주면이 3개의 걸림돌기(72)에 동시에 밀착되면 전극봉에서 요구되는 크기의 냉각수관(80)임을 확인하게 된다.
측정대(70)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더 길게 형성되어 급수관(82)이 안착되고, 급수관(82)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86)가 밀착되는 걸림돌기(72)가 형성된다.
여기서, 돌기(86)는 전극봉 고정용 암에 결합되는 돌기이고, 돌기(86)와 냉 각수관(8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냉각수관(80)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대(70)를 제작할 때에 걸림돌기(72) 사이의 거리가 정확하게 성형한 후에 교체되는 냉각수관(80)의 돌기(86)가 걸림돌기(72)에 밀착되도록 측정대(70)에 안착시키면 냉각수관(80)의 단부가 다른 3개의 걸림돌기(72)에 밀착되는지를 인지하여 냉각수관(80)의 크기가 전극봉에 호환되는 크기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측정대(70)는 지지대(10)와 별도로 제작되어 냉각수관(80)의 지름을 측정대(70)에서 검사한 후에 냉각수관(80)의 지름이 전극봉에서 요구하는 크기로 판단되면 지지대(10)에 안착시켜 냉각수의 분사 각도를 측정하게 된다.
측정대(70)가 지지대(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면 지지대(10) 상단에 링 모양의 냉각수관(80)을 안착시켜 냉각수관(80)의 지름을 측정하고, 급수관(82)을 통해 냉각수관(80)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냉각수 살수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각수관(80)을 측정대(70) 상면에 안착시켜 링 모양의 냉각수관(80)이 4개의 걸림돌기(72)에 동시에 밀착되는지를 검사하여 냉각수관(80)의 외경이 전극봉에서 요구하는 크기인지를 판단한다.
냉각수관(80)의 외경이 적당한 크기로 판단되면 지지대(10) 상단의 제1안착부(12)에 냉각수관(80)을 안착키시고 제2안착부(14)에 급수관(82)을 안착시킨 후에 급수관(82)을 통해 냉각수관(80)에 냉각수를 공급한다.
이때, 냉각수관(80) 내부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분사홀부(84)를 통해 측정기둥(30) 외벽에 분사되는데, 측정기둥(30) 외벽에는 다수 개의 눈금(32)이 새겨지므로 냉각수가 접촉되는 눈금(32)을 측정하여 냉각수의 살수 각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지지대(10)와 측정기둥(30)은 연결대(34)에 의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토록 연결되므로 특정 눈금(32)에 냉각수가 접촉될 때에는 동일한 살수 각도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안착부(12)에 안착된 냉각수관(80)은 고정편(50)에 의해 유동이 억제되므로 냉각수가 분사되는 작동에 의해 냉각수관(80)이 제1안착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구성 및 작동에 의해 교체되는 부품의 크기를 쉽게 판단할 수 있고, 분사되는 냉각수의 살수 각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전극봉에 설치되는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전극봉에 설치되는 냉각수관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지그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의 측정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대 30 : 측정기둥
50 : 고정편 70 : 측정대
80 : 냉각수관

Claims (4)

  1. 냉각수관이 안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외벽에 눈금이 새겨지는 측정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냉각수관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 및
    상기 냉각수관으로부터 연장되는 급수관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냉각수관의 유동을 억제하는 고정편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는 링 모양의 상기 냉각수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의 상기 지지대가 원형의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수관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는 오목한 상기 제1안착부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이 안착되도록 다수 개의 상기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지지대에서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의 저면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 보강대가 설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관의 크기를 측정하는 측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
KR1020090026077A 2009-03-26 2009-03-26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 KR101148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077A KR101148945B1 (ko) 2009-03-26 2009-03-26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077A KR101148945B1 (ko) 2009-03-26 2009-03-26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806A KR20100107806A (ko) 2010-10-06
KR101148945B1 true KR101148945B1 (ko) 2012-05-22

Family

ID=4312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077A KR101148945B1 (ko) 2009-03-26 2009-03-26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9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488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방열기 냉각수 저장통의 유량 확인장치
KR20030015673A (ko) * 2001-08-17 2003-02-25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주조 몰드 레벨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488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방열기 냉각수 저장통의 유량 확인장치
KR20030015673A (ko) * 2001-08-17 2003-02-25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주조 몰드 레벨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806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7316B2 (en) Method for continuous-casting slab
KR101257472B1 (ko) 슬래그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148945B1 (ko) 압연장치용 냉각수관 시험장치
JP6036659B2 (ja) 連続鋳造機におけるロール開度管理方法
JP2018130751A (ja) 連続鋳造における鋳片の2次冷却方法および鋼の連続鋳造方法
KR20170049190A (ko) 주조기의 롤 갭 측정장치
JP2009255127A (ja) 連続鋳造鋳片の冷却方法及び冷却設備
KR20110060025A (ko) 링부재 세척장치
KR20120127795A (ko) 연주기 세그멘트 가이드롤러 용접 지그장치
KR101858864B1 (ko) 주편 냉각 방법 및 장치
KR101168385B1 (ko) 냉각성능 측정장치
KR20110010462A (ko) 냉각기를 구비하는 압연장치
JP6398413B2 (ja) 取鍋からのスラグ流出検知方法及びスラグ流出抑制方法
KR101368938B1 (ko) 후판용 평탄도 측정장치
KR101277585B1 (ko) 스카핑장치용 노즐 검사기
KR101919484B1 (ko) 연주설비용 쉬라우드 노즐의 수직도 조정장치
JP4760303B2 (ja) 連続鋳造鋳片の二次冷却方法
KR101225786B1 (ko) 압연제품용 측정장치
KR101493914B1 (ko) 연주기 세그먼트용 냉각노즐 거리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리측정방법
KR20100107803A (ko) 냉각기를 구비하는 압연장치
KR101424463B1 (ko) 가이드블록 중심 측정장치
CN216729548U (zh) 中包浸入式水口对中装置
KR20110000135A (ko) 고로 출선구용 지지장치
KR20110034356A (ko) 압연장치용 권취롤러
KR101546040B1 (ko) 주형 및 두께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