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657B1 -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657B1
KR101147657B1 KR1020100056664A KR20100056664A KR101147657B1 KR 101147657 B1 KR101147657 B1 KR 101147657B1 KR 1020100056664 A KR1020100056664 A KR 1020100056664A KR 20100056664 A KR20100056664 A KR 20100056664A KR 101147657 B1 KR101147657 B1 KR 101147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nzyme
ginseng
cosmetic composition
bitter buckw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6567A (ko
Inventor
김윤정
손지현
이유리
이현상
Original Assignee
(주)에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씨티 filed Critical (주)에이씨티
Priority to KR102010005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65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쓴메밀 새싹, 인삼 , 단삼 및 한인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쓴 메밀 새싹추출물 및 인삼추출물을 당결합분해효소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더욱 우수한 지방합성 저해효과, 지방세포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내므로 국부비만을 해소하고 또한 피부탄력을 개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SLIMMING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NATURAL COMPLEX EXTRACT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복합 추출물, 구체적으로는 쓴메밀 새싹, 인삼, 단삼 및 한인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여 지방세포분화 저해활성, 셀룰라이트 제거 및 피부탄력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식습관이 서구화되고 경제 및 산업이 발달하면서 삶이 안락해졌으며 생활의 편리화, 자동화로 인한 신체의 움직임이 줄어들고 있다. 활동량의 저하로 인해 비만의 문제가 서구 여러 나라의 문제가 아닌 우리나라에서도 심각한 문제로 자리 잡게 되었다. 비만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원인으로 다양한 질병과 관련되어 있으며 외모상의 문제가 아닌 성인병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정상인에 비해 비만인의 성인병 발생 위험도는 당뇨병은 10배, 고혈압은 4배나 높고 사망률 또한 정상체중의 25%를 초과한 경우 39% 증가된다고 보고되었다.
인체의 피부는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피 아래에 존재하는 피하지방층은 주로 지방세포로 구성되어 있는데, 지방세포는 생체 내에서 에너지를 축적하거나 방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에너지의 공급이 수요보다 많은 경우에는 에너지가 지방세포 내에 중성지방(triglycerides) 으로 저장되었다가, 필요할 때에는 다시 글리세롤(glycerol)과 지방산(fatty acids)으로 분해되어 혈액을 통해 공급된다. 비만은 이 과정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과도한 에너지의 축적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것으로, 과잉 에너지가 지방질의 형태로 축적되어 지방세포가 커지거나 그 수가 증가하는 현상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도한 지방의 축적은 고혈압, 당뇨 등의 질병을 유발하여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이러한 지방의 축적은 주로 허벅지, 복부, 팔뚝과 같은 일부 신체부위에 이루어져 체형의 변화를 가져오며, 운동이나 식이요법에 의해서도 쉽게 분해되지 않으므로 미용상으로도 문제가 된다.
이에 따라 국소비만상태의 개선, 즉 지방세포내의 과도한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셀룰라이트를 제거하고 피부를 탄력 있게 바꾸어 주는 슬리밍화장품이 개발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슬리밍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에 대한 연구 중에 쓴메밀새싹 추출물이 슬리밍효과가 우수함을 발견하여, 특허출원 제10-2010-9534호 "쓴메밀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을 출원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쓴메밀 새싹추출물과 함께 인삼, 한인진, 단삼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더욱 우수한 슬리밍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쓴메밀 새싹, 인삼, 단삼, 한인진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지방세포분화 저해활성이 우수하고, 피부탄력을 증진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효소 처리함으로써 경피흡수율이 촉진된 슬리밍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쓴메밀 새싹, 인삼, 단삼, 한인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화장료조성물 총중량에 대해서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20중량% 함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쓴 메밀 새싹추출물 및 인삼추출물은 당결합 분해 효소 처리된 것이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쓴메밀 새싹추출물, 인삼추출물, 단삼추출물 및 한인진 추출물이 1:1~3:1~5:1~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각 생약재를 혼합한 후 추출한 것이거나,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한 후에 혼합한 것이다.
상기 당결합 분해효소 처리된 쓴 메밀 새싹추출물은,
건조된 쓴 메밀 새싹에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 5~10배를 가하여 추출하는 쓴 메밀 새싹추출물 제조단계;
상기 쓴 메밀 새싹추출물을 용매에 용해시키고 글루코시다제(glucosidase), 자일로시다아제(xylosidase), 자일라나제(xylanase), 셀룰라제(cellulase), 갈락토시다제(galactosidase), 펙티나제(pectinase) 및 나린지나아제(naringinas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당결합 분해효소를 첨가하는 효소첨가단계; 및
상기 효소가 첨가된 추출물을 pH 3.5 ~ 5.0, 반응온도 25 ~ 50℃ 및 반응시간 12 ~ 60시간의 조건하에서 교반하면서 효소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결합분해효소가 펙티나제(pectinase)이다.
상기 당결합 분해효소 처리된 인삼 추출물은,
건조된 인삼에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용매 5~10배를 가하여 추출하는 인삼추출물 제조 단계;
상기 인삼추출물을 용매에 용해시키고 글루코시다제(glucosidase), 자일로시아다제(xylosidase), 자일라나제(xylanase), 셀룰라제(cellulase), 갈락토시다제(galactosidase), 펙티나제(pectinase) 및 나린지나아제(naringinas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당결합 분해효소를 첨가하는 효소첨가단계; 및
상기 효소가 첨가된 추출물을 pH 3.5 ~ 5.0, 반응온도 25 ~ 50℃ 및 반응시간 12 ~ 60시간의 조건하에서 교반하면서 효소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결합분해효소가 펙티나제이다. 상기 당결합 분해효소 처리된 인삼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효소첨가단계 및 효소반응단계를 2~3회 반복 실시하면 수율과 활성이 증가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쓴 메밀 새싹, 인삼, 단삼 및 한인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세포분화 저해활성, 셀룰라이트제거 및 피부탄력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허벅지, 복부 등의 부분비만을 개선하는 슬리밍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쓴 메밀 새싹, 인삼, 단삼, 한인진 추출물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활성성분들의 상승작용을 이용하여 더욱 우수한 지방세포분화 저해활성, 셀룰라이트제거 및 피부탄력개선과 같은 슬리밍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쓴 메밀 새싹추출물 및 인삼추출물에 당결합분해효소 처리를 통하여 경피흡수율을 향상시켜 더욱 우수한 슬리밍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쓴 메밀 새싹추출물에는 플라보노이드, 특히 지방합성을 방해하고, 지방세포의 위축을 유도해 성숙한 지방세포의 파괴를 증가시키는 퀘르세틴 성분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인삼은 전통적으로 동양에서 건강증진을 위한 약용으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져 오고 있을 뿐 아니라 인삼차로도 널리 음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삼은 면역, 심혈관, 신경계 관련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의 주요한 인자는 인삼사포닌으로 기본구조는 17개 탄소원자로 된 4개의 링 구조(gonane steroid nucleus)로 이루어져있다. 이러한 인삼추출물을 당결합 분해효소로 처리하면 특정성분이 강화되며, 세포독성이 완화된다. 본 발명에서 글루코시다제(glucosidase), 자일로시다아제(xylosidase), 자일라나제(xylanase), 셀룰라제(cellulase), 갈락토시다제(galactosidase), 펙티나제(pectinase) 및 나린지나아제(naringinas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당결합 분해효소 처리된, 특히 펙티나제 효소처리된 인삼 추출물은 인삼 농축액 성분 중, 진세노사이드 Rg 3(Ginsenoside Rg3) 성분이 강화되어 항비만 효과가 증대되며, 진세노사이드의 셀 보호(cell protecting) 효과가 세포 독성을 완화시켜 준다.
단삼 추출물에는 테오필린(theophylline)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고농도로 투여되면 포스포디에스테라제(phosphodiesterase, cAMP degradation에 관여하는 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cAMP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지방분해를 촉진하고 아데노신(adenosine)을 억제 하여 열을 생성하고 기분을 상승시켜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인진 추출물에는 에스쿨린(esculin)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지방조직의 턴오버를 촉진하고 혈관을 강하게 해주며 미세 순환 향상에 도움을 준다. 또한 항염 인자로 활성 산소를 없애주는데 효과적이며 자체 보호 속성이 잘 알려져 종기, 멍, 부풀음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천연물에 포함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고효율로 추출하고, 또한 특정 생리활성물질을 강화하고 경피흡수를 촉진하기 위하여 당결합분해 효소처리하여 슬리밍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쓴 메밀 새싹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건조된 쓴 메밀 새싹을 5~10배의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로 약 50℃에서 3시간 정도 추출하여 추출원액을 얻고, 이를 감압 농축하여 쓴 메밀 새싹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삼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건조된 인삼을 5~10배의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로 약 50℃에서 3시간 정도 추출하여 추출원액을 얻고, 이를 감압 농축하여 인삼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삼 추출물, 한인진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건조된 단삼, 한인진을 5~10배의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클로로포름,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로 약 80℃에서 3시간 정도 추출하여 추출원액을 얻고, 이를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쓴메밀 새싹추출물과 인삼추출물은 특정 생리활성성분을 강화하고 경피흡수를 촉진하기 위하여 당결합분해 효소처리 하여 사용된다.
이하 상기 쓴메밀 새싹추출물의 당결합분해 효소반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천연물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는 대부분 당(sugar) 한 분자 이상이 결합된 배당체(glycosides)로서 존재하여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피부 외용제로 적용하는 경우에 피부 각질층을 쉽게 통과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피하지방층으로의 유입이 어렵게 되어 생체이용률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생리활성성분을 강화하고 경피흡수를 촉진하기 위하여 상기 쓴 메밀 새싹추출물을 당결합분해 효소처리하여 슬리밍화장료 조성물에 이용하였다.
상기 당결합분해 효소반응은 당결합 분해작용을 하는 효소,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시다제(glucosidase), 자일로시다아제(xylosidase), 자일라나제(xylanase), 셀룰라제(cellulose), 갈락토시다제(galactosidase), 펙티나제(pectinase) 및 나린지나아제(naringinas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펙티나제(pectinase)로 처리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효소반응은 반응pH 3.5 ~ 5.0, 반응온도 25 ~ 50℃ 및 반응시간 12 ~ 60시간의 조건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결합 분해효소에 의하여 쓴 메밀 새싹추출물에 함유된 루틴 배당체의 당은 선택적으로 분해되어 분자량이 저하되고 추출물내의 퀘르세틴 성분의 함량이 증대된다. 상기 효소들은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속, 바실러스(basillus)속, 페니실리움(penicillium)속, 리조푸스(rhizopus)속, 리조무코르(rhizomucor)속, 탈라로마이세스(talaromyces)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tium)속, 모르티엘렐라(mortierella)속의 미생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하 상기 인삼추출물의 당결합분해 효소반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당결합분해 효소반응은 당결합 분해작용을 하는 효소,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시다제(glucosidase), 자일로시다아제(xylosidase), 자일라나제(xylanase), 셀룰라제(cellulose), 갈락토시다제(galactosidase), 펙티나제(pectinase) 및 나린지나아제(naringinas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펙티나제(pectinase)로 처리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효소반응은 반응pH 3.5 ~ 5.0, 반응온도 25 ~ 50℃ 및 반응시간 12 ~ 60시간의 조건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효소반응은 예를 들어 당결합 분해효소를 첨가한 후, pH 4.5, 45℃조건에서 24 시간 교반하면서 효소반응 시킨 후, 다시 당결합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효소 반응시키는 것을 2~3회 반복하는 다단계 반응에 의할 경우에, 더욱 우수한 효소 반응 추출물이 얻어진다. 상기 효소반응에 의하여 경피흡수가 촉진되며,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g3 성분이 강화되어 항비만 효과가 증대되며, 진세노사이드의 셀 보호 효과로 인해 세포 독성이 완화된다.
상기 천연추출물들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복합추출물을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쓴메밀 새싹추출물, 인삼추출물, 단삼추출물 및 한인진 추출물이 1:1~3:1~5:1~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1로 혼합되는 것이다. 상기의 혼합비를 가지는 경우에 가장 우수한 슬리밍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천연 복합추출물은 각각의 생약제를 혼합 한 후 추출한 것이거나,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 한 후 이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상기 천연복합추출물을 리포좀화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경피흡수율이 촉진되며, 피부자극이 더욱 완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천연 복합 추출물은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서 0.005~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20중량% 함유된다. 상기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적용되어질 수 있다.
[실시예]
이하, 하기의 실시예와 시험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 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쓴 메밀 새싹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쓴메밀 새싹 100g을 70% 에탄올 600g에서 50℃로 3시간 추출하여 쓴 메밀 새싹추출액을 얻은 후, 이를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쓴 메밀 새싹추출물 5.29g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인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인삼 1kg을 10배의 70% 에탄올로 약 70℃에서 24시간 정도 추출하여 추출원액을 얻고, 이를 고형분이 60%가 되도록 감압 농축한 후, 회수하여 인삼 농축액 218g을 제조하였다. 이를 동결 건조하여 인삼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한인진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한인진 200g에 정제수 800g을 넣어 80℃로 가온하여 3시간 추출하여 30분간 냉침한 후, 여과하여 한인진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감압 농축하여 동결 건조하여 한인진 추출물 7.08g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단삼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단삼 200g을 정제수 500g을 넣어 가온하여 3시간 추출하여 30분간 냉침한 후, 여과하여 한인진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감압 농축하여 동결 건조하여 한인진 추출물 8.97g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당결합 분해 효소 처리된 쓴 메밀 새싹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쓴 메밀 새싹 추출물을 농축한 농축액(100g당 고형분 함량 1.83g) 200g에 정제수 1600ml과 펙티나제류 효소액 200ml를 혼합하여 pH 4.5, 45℃조건에서 48시간 교반하면서 효소반응을 진행시켰다. 효소를 실활시킨 후, 여과하여 여과물을 약 10배의 45℃로 가온한 에탄올에 용해한 후 재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효소반응에 의한 쓴 메밀 새싹 추출물 파우더 9.20g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당결합 분해 시간별 다단계 효소 처리 인삼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인삼 농축액 100g을 정제수 1kg에 50℃로 혼합 후, 펙티나제(Pectinase)류 효소 10ml를 혼합하여 50mM Phosphate Beffer solution(pH 5.0), 40℃ 조건에서 12 시간 교반하면서 효소반응을 진행시켰다. 그리고 12시간이 지난 후, 같은 조건 하에서 펙티나제류 효소 10ml를 추가 투입 과정을 2회 반복하여 효소 반응을 진행하였다. 효소를 실활시킨 후, 여과하여 여과물을 약 10배의 에탄올에 용해한 후 재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효소반응에 의한 파우더 11.05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천연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4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5g씩 취하여 부틸렌글리콜과 정제수 혼합 용액 500g에 용해 후, 제균하여 천연복합추출물 480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천연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3~6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5g씩 취하여 부틸렌글리콜과과 정제수 혼합 용액 500g에 용해 후, 제균하여 천연복합추출물 480g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지방세포분화 저해율 측정
상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미분화 상태의 3T3-L1 세포주(Korean Cell Line Bank , KCLB 10092.1)의 지방세포(adipose cell)로의 분화 저해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분화된 3T3-L1 세포주는 10% 우아혈청(bovine calf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유지하였다. 미분화 3T3-L1 세포주를 밀도가 90% 정도될 때까지 배양한 다음,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10%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과 덱사메타손, IBMX, 인슐린이 포함된 DMEM 배지를 교체주었다.
8일간 배양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한 다음, 10% 우태혈청, 인슐린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이틀 간격으로 4일간 10% 우태혈청 만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교체해 주었다. 지방세포 분화가 완결 된 후 상기 제조예 1~6과 실시예 1~2를 지방세포에 처리하고 1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실험군과 완전히 동일한 간격으로 배지를 교체하되, 동일한 농도의 DMSO만을 처리하였다. 그 다음 지질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빨간색으로 염색시키는 오일레드오로 염색한 후, 오일 레드 오 염색약을 세포로부터 추출한 다음, 이 용액의 흡광도(500 nm)를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지방세포분화 저해율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지방세포분화저해율(%)=(시료무처리구 흡광도-시료처리 흡광도)/시료무처리 흡광도
그 실험결과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분화 저해율(%)
제조예 1 0.025% 41.21
0.05% 40.19
제조예 2 0.025% 37.12
0.05% 35.27
제조예 3 0.025% 29.50
0.05% 24.20
제조예 4 0.025% 35.72
0.05% 32.86
제조예 5 0.025% 36.12
0.05% 30.17
제조예 6 0.025% 33.77
0.05% 30.54
실시예 1 0.025% 27.88
0.05% 23.59
실시예 2 0.025% 19.80
0.05% 17.26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 1의 복합추출물의 경우 개별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지방세포분화 저해활성을 나타내며, 당결합 분해 효소 처리 쓴 메밀 새싹추출물, 당결합 분해 시간별 다단계 효소 처리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 실시예 2의 경우에는 더욱 우수한 지방세포분화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방조직은 체지방 저장역할뿐 아니라 내분비기관의 역할도 하여 다양한 신호인자(signaling molecular factors), 즉 PPARγ, 아딥신(adipsin), 레지스틴(resistin), FAS(fatty acid synthase),PDE4A(Phosphodiesterase 4A)같은 유전자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PPARγ는 지방조직에서 주로 발현되므로 PPARγ 목적 유전자(target gene)는 지방조직에 집중되어 있고, 지방조직생성과 지질(lipid) 저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지방조직생성 뿐만 아니라 지방생성(lipogenesis)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지방조직에서 LPL, ACS, CD36/FAT, 그리고 FATP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지방세포로의 지방산 유입을 조절한다. 아딥신(Adipsin)은 지방선구세포(preadipocyte)가 증식과 분화과정을 거쳐 성숙한 지방세포(adipocyte)로 될 때 지질이 축적되는데 아딥신(adipsin)과 같은 지방조직에 특이적인 유전자(adipose specific gene)가 발현된다. 레지스틴(Resistin)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 인삼의 사포닌은 지방세포에 저장된 중성지방을 가수분해하여 체지방량 감소와 지방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레지스틴(Resistin)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AS(Fatty acid synthase)는 지방을 합성하는 유전자이며 PDE4A(Phosphodiesterase 4A)가 저해되면 cAMP를 증가시킴으로서 지질 분해를 촉진한다.
시험예 2: PPARγ 유전자 발현율 측정
상기 시험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지방 세포 분화 후 상기 추출물을 처리하여 배양한 이후 Trizol reagent(invitrogen, USA)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여 mRNA를 추출하여 일련의 과정을 거쳐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로부터 지방세포분화 유전자 부위를 증폭시켜 전기영동을 통해 유전자 발현 양을 확인하였으며, 유전자 증폭은 thermal cycler(GenePro, Hangzhou bioer tech., CHINA)를 사용하여 10x taq polymerase buffer, 10 mM dNTP, 10 pmol primer(F:5'CCC TGG CAA ACG ATT TGT AT 3', R: 5'AAT CCT TGG CCC TCT GAG AT 3), taq polymerase를 혼합하고 증류수를 더하여 50 uL로 조정 후 95도 5분 1cycle/95도 1분/57도 1분/72도 1분 30 cycle 증폭, 72도에서 5분간 반응하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생성된 유전자의 발현율은 아래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를 사용하였다.
발현율(%) = B/A × 100(%)
A: 상기 대조군에서의 PPARγ 발현량
B: 시료 처리 세포의 PPARγ 발현량
상기 시험결과 하기의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발현율(%)
제조예 1 0.025% 61.12
0.05% 55.08
제조예 2 0.025% 58.15
0.05% 54.11
제조예 3 0.025% 68.22
0.05% 44.28
제조예 4 0.025% 51.21
0.05% 32.86
제조예 5 0.025% 56.11
0.05% 51.02
제조예 6 0.025% 56.78
0.05% 52.16
실시예 1 0.025% 45.19
0.05% 41.99
실시예 2 0.025% 41.29
0.05% 31.28
시험예 3: Adipsin 유전자 발현 저해율 측정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10 pmol primer(F: 5'CCT GAA CCC TAC AAG CGA TG 3', R: 5' GGT TCC ACT TCT TTG TCC TCG 3')를 이용하여 95도 5분 1cycle/95도 1분/54도 1분/72도 1분 30 cycle 증폭, 72도에서 5분간 반응하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생성된 유전자의 발현율은 아래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를 사용하였다.
발현율(%) = B/A × 100(%)
A: 상기 대조군에서의 adipsin 발현 량
B: 시료 처리 세포의 adipsin 발현 량
상기 시험결과 하기의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발현율(%)
제조예 1 0.025% 51.18
0.05% 48.06
제조예 2 0.025% 55.08
0.05% 51.16
제조예 3 0.025% 58.12
0.05% 42.23
제조예 4 0.025% 50.11
0.05% 32.16
제조예 5 0.025% 45.14
0.05% 42.23
제조예 6 0.025% 45.18
0.05% 42.06
실시예 1 0.025% 39.19
0.05% 36.21
실시예 2 0.025% 41.39
0.05% 30.28
시험예 4: Resistin 유전자 발현율 측정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10 pmol primer(F: 5' CTT CAA CTC CCT GTT TCC AA 3', R: 5' AAG TAT GTG TGC TTG TGT GTG G 3')를 이용하여 94도 5분 1cycle/94도 45초/53도 45초/72도 1분30초 30 cycle 증폭, 72도에서 5분간 반응하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생성된 유전자의 발현율은 아래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를 사용하였다.
발현율(%) = B/A × 100(%)
A: 상기 대조군에서의 resistin 발현량
B: 시료 처리 세포의 resistin 발현량
상기 시험결과 하기의 표 4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발현율(%)
제조예 1 0.025% 51.18
0.05% 46.06
제조예 2 0.025% 49.08
0.05% 44.13
제조예 3 0.025% 58.12
0.05% 46.13
제조예 4 0.025% 50.91
0.05% 40.16
제조예 5 0.025% 47.08
0.05% 41.12
제조예 6 0.025% 43.78
0.05% 40.06
실시예 1 0.025% 45.12
0.05% 40.02
실시예 2 0.025% 43.19
0.05% 32.02
시험예 5: Fatty acid synthase(FAS) 유전자 발현율 측정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10 pmol primer(F: 5' GAA ACT GCA GGA GCT GTC 3', R: 5' CAC GGA GTT GAG GCG CAT 3')를 이용하여 95도 5분 1cycle/95도 1분/60도 1분/72도 1분 30 cycle 증폭, 72도에서 5분간 반응하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생성된 유전자의 발현율은 아래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를 사용하였다.
발현율(%) = B/A × 100(%)
A: 상기 대조군에서의 FAS 발현 량
B: 시료 처리 세포의 FAS 발현 량
상기 시험결과 하기의 표 5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발현율(%)
제조예 1 0.025% 49.24
0.05% 46.22
제조예 2 0.025% 49.08
0.05% 44.13
제조예 3 0.025% 48.02
0.05% 41.93
제조예 4 0.025% 55.11
0.05% 44.26
제조예 5 0.025% 44.16
0.05% 42.87
제조예 6 0.025% 41.08
0.05% 35.16
실시예 1 0.025% 44.11
0.05% 35.16
실시예 2 0.025% 43.19
0.05% 31.12
시험예 6: Phosphodiesterase 4A(PDE4A) 유전자 발현율 측정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10 pmol primer(F: 5' CCT GAA CAT CTT TCG CGT GTC AG 3', R: 5' CTC ACT GGT GTT AAT GAG GAA CTG A 3')를 이용하여 95도 5분 1cycle/95도 1분/52도 1분/72도 1분 30 cycle 증폭, 72도에서 5분간 반응하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생성된 유전자의 발현율은 아래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를 사용하였다.
발현율(%) = B/A × 100(%)
A: 상기 대조군에서의 PDE4A 발현량
B: 시료 처리 세포의 PDE4A 발현량
상기 시험결과 하기의 표 6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발현율(%)
제조예 1 0.025% 46.14
0.05% 42.99
제조예 2 0.025% 49.08
0.05% 44.13
제조예 3 0.025% 41.92
0.05% 37.51
제조예 4 0.025% 51.91
0.05% 42.41
제조예 5 0.025% 45.18
0.05% 42.05
제조예 6 0.025% 37.78
0.05% 25.16
실시예 1 0.025% 40.84
0.05% 34.18
실시예 2 0.025% 40.04
0.05% 29.02
상기 시험예들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들은 지방세포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7: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시험
섬유아세포를 10% FBS를 첨가한 IMDM 배지에 5 × 105의 세포농도로 접종하여 37℃, 5% CO2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하여 상기 제조예 1~6,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최종 농도가 0.5%가 되도록 디메틸설폭시드에 희석하여 제조한 희석용액을 첨가하여 18시간 동안 동일 조건에서 배양 하였다. 이후 Trizol reagent(invitrogen, USA)를 이용하여 섬유아세포를 회수하여 mRNA를 추출하여 일련의 과정을 거쳐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로부터 PROCOLLAGEN TYPEⅠ유전자 부위를 증폭시켜 전기영동을 통해 유전자 발현 양을 확인하였으며, 유전자 증폭은 thermal cycler (GenePro, Hangzhou bioer tech., CHINA)를 사용하여 10x taq polymerase buffer, 10 mM dNTP, 10 pmol primer(F: AGC CAG CAG ATC GAG AAC AT, R: TCT TGT CCT TGG GGT TCT TG), taq polymerase를 혼합하고 증류수를 더하여 50 uL로 조정 후 95도 5분 1cycle/95도 1분/51도 2분/72도 1분 28 cycle 증폭, 72도에서 5분간 반응하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생성된 procollagen의 발현율은 아래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UV를 조사하지 않은 정상 섬유아세포를 사용하였다.
procollagen 발현율(%) = B/A × 100(%)
A: 상기 대조군에서의 procollagen 발현 량
B: 시료 처리 된 섬유아세포의 procollagen 발현 량
상기 시험결과 하기의 표 7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료 농도
(%)
procollagen 발현율(%)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5 제조예 6 실시예1 실시예 2
0 4.12 4.12 4.12 4.12 4.12 4.12 4.12 4.12
0.025 28.06 22.16 36.12 38.42 38.36 32.56 43.14 48.56
0.05 31.12 29.72 49.12 38.86 41.10 49.75 49.92 59.92
상기 표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 1의 복합추출물은 상승효과에 따라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를 가지며, 당결합 분해효소 처리 쓴 메밀새싹추출물 및 당결합 분해 시간별 다단계 효소 처리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 실시예 2의 복합추출물은 더욱 높은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를 가져 탄력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마사지 젤 제조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활성성분으로서 상기 천연 복합추출물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리포좀화하여 첨가하였다.
유상 부분으로 레시틴분말(Lecithin Powder) 12g과 Ethanol 15g, Caprylic/Capric triglyceride 30g, Polyglyceryl-10 Oleate 1.5g을 혼합 하고, 수상 부분으로 정제수 250g, Propylene Glycol 15g, Disodium EDTA 0.03g, 위의 제조예 3 내지 제조예 6의 추출물을 1.5g씩 투입하여 혼합한다. 유상 부분과 수상 부분을 75℃에서 3500rpm으로 3분간 1차 유화한다. 유화가 끝난 후, 40℃까지 냉각 후, 1000bar 조건의 고압 균질기를 이용하여 280g의 천연 복합추출물 리포좀을 얻는다.
성분 실시예 3
(중량%)
비교예 1
천연 복합추출물 리포좀 0.50 -
글리세린 4.00 4.35
베타인 1.00 1.00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카보머 0.50 0.50
하이알루로닉애씨드 0.02 0.02
트리에탄올아민 0.50 0.50
프로필파라벤 0.10 0.10
메칠파라벤 0.20 0.20
에탄올 3.00 3.00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50 0.50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시험예 8: 슬리밍효과 임상시험 평가
1.허벅지에 대한 슬리밍 효과
국소 비만이나 셀룰라이트가 있는 여성 중 BMI(Body Mass Index)가 21~27인 20세 이상의 성인 여성 20명을 10명씩 2개 그룹으로 나누어, 8주 동안 아침과 저녁에 각 1회, 1회당 5분씩 실시예 3 또는 비교예 1의 맛사지 젤을 사용하게 하였다. 각 그룹 20명중 10명은 왼쪽 허벅지에, 다른 10명은 오른쪽 허벅지에 상기 표 8의 조성을 갖는 실시예 3의 맛사지 젤을 적용하도록 하였고, 그 반대 허벅지는 비교예 1의 맛사지 젤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맛사지 젤 사용 8주 후, 사용 전과 후의 허벅지 중간의 둘레를 줄자(mm)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허벅지 둘레의 차이를 계산하여 슬리밍 효과를 평가하였다. 허벅지 둘레길이의 차이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비교예 1
평균 길이 변화 15mm 10mm
상기 표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마사지젤을 사용한 평가자 집단의 팔 둘레의 길이변화가, 비교예 1의 마사지젤을 사용한 집단의 길이변화보다 훨씬 큼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의 슬리밍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2.복부에 대한 슬리밍 효과
국소 비만이나 셀룰라이트가 있는 여성 중 BMI(Body Mass Index)가 21~27인 20세 이상의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5주 동안 아침과 저녁에 각 1회, 10분씩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마사지 젤을 마사지하도록 했다. 5주 후, 적용 전과 후의 복부 지방율과 신체 지방율을 체성분 측정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복부 지방율은 배꼽선에서의 최대 허리둘레 측정값을 엉덩이 둘레 길이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결과는 하기의 표 10에 나타내었다.
적용 전 적용 후
실시예 3 체지방율(%) 28.7 22.7
복부지방율 0.85 0.72
비교예 1 체지방율(%) 28.6 25.0
복부지방율 0.79 0.71
상기 표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마사지젤을 사용한 경우, 비교예 1의 마사지젤을 사용한 경우보다 체지방율 또는 복부지방율이 크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3.피부탄력증진 효과
상기 허벅지 슬리밍 효과 시험 참가자에 대해 탄력증진효과에 대한 설문 평가를 실시하였다. 탄력증진정도를 아래와 같이 5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1에 나타내었다.
-2:탄력매우감소 -1:탄력약간감소 0:탄력변화없음
1:탄력약간증진 2:탄력매우증진
실시예 3 비교예 1
탄력증진정도 1.3 1.0
상기 표 1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3의 마사지젤을 사용한 경우, 비교예 1의 마사지젤을 사용한 경우보다 탄력이 크게 증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쓴메밀 새싹, 인삼, 단삼, 한인진 복합추출물을 화장료조성물 총중량에 대해서 0.001~50중량%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쓴메밀 새싹추출물, 인삼추출물, 단삼추출물 및 한인진 추출물이 1:1~3:1~5:1~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쓴 메밀 새싹추출물 및 인삼추출물은 당결합 분해 효소 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리포좀화 되어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결합 분해 효소 처리된 쓴 메밀 새싹출물은
    건조된 쓴 메밀 새싹에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 5~10배를 가하여 추출하는 쓴 메밀 새싹추출물 제조단계;
    상기 쓴 메밀 새싹추출물을 용매에 용해시키고 글루코시다제(glucosidase), 자일로시다아제(xylosidase), 자일라나제(xylanase), 셀룰라제(cellulase), 갈락토시다제(galactosidase), 펙티나제(pectinase) 및 나린지나아제(naringinas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당결합 분해효소를 첨가하는 효소첨가단계; 및
    상기 효소가 첨가된 추출물을 pH 3.5 ~ 5.0, 반응온도 25 ~ 50℃ 및 반응시간 12 ~ 60시간의 조건하에서 상기 효소가 첨가된 추출물을 교반하면서 효소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결합 분해 효소 처리된 인삼추출물은
    건조된 인삼에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용매 5~10배를 가하여 추출하는 인삼추출물 제조 단계;
    상기 인삼추출물을 용매에 용해시키고 글루코시다제(glucosidase), 자일로시다아제(xylosidase), 자일라나제(xylanase), 셀룰라제(cellulase), 갈락토시다제(galactosidase), 펙티나제(pectinase) 및 나린지나아제(naringinas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당결합 분해효소를 첨가하는 효소첨가단계; 및
    상기 효소가 첨가된 추출물을 pH 3.5 ~ 5.0, 반응온도 25 ~ 50℃ 및 반응시간 12 ~ 60시간의 조건하에서 교반하면서 효소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당결합 분해 효소는 펙티나제(pectinase)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당결합 분해 효소 처리된 인삼추출물은 상기 효소첨가단계 및 효소반응단계를 2~3회 반복하는 다단계 효소반응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56664A 2010-06-15 2010-06-15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7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664A KR101147657B1 (ko) 2010-06-15 2010-06-15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664A KR101147657B1 (ko) 2010-06-15 2010-06-15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567A KR20110136567A (ko) 2011-12-21
KR101147657B1 true KR101147657B1 (ko) 2012-05-23

Family

ID=4550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664A KR101147657B1 (ko) 2010-06-15 2010-06-15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104A (ko) * 2013-02-28 2014-09-05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인진 및 울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355A (ko) * 2003-12-30 2005-07-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대사활성을 촉진시키는 탄시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비만 및 대사증후군 치료제
WO2006053415A1 (en) 2004-11-18 2006-05-26 Biopharmacopae Design International Inc. Plant extract having matrix metalloprotease inhibiting activity and dermatological uses thereof
KR20110089995A (ko) * 2010-02-02 2011-08-10 (주)에이씨티 쓴 메밀 새싹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355A (ko) * 2003-12-30 2005-07-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대사활성을 촉진시키는 탄시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비만 및 대사증후군 치료제
WO2006053415A1 (en) 2004-11-18 2006-05-26 Biopharmacopae Design International Inc. Plant extract having matrix metalloprotease inhibiting activity and dermatological uses thereof
KR20110089995A (ko) * 2010-02-02 2011-08-10 (주)에이씨티 쓴 메밀 새싹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567A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53716A (zh) 一种茯茶提取物在制备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CN103585097A (zh) 一种白及多糖载表皮生长因子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10138075A (ko) 인삼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주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914345B1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58B1 (ko) 홍삼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0658B1 (ko) 마테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CN111840201A (zh) 一种含干细胞因子的抗衰修复复合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111752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20130039145A (ko) 인삼 및 톳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1476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01921B1 (ko) 쓴 메밀 새싹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0946A (ko) 한약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273027B1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및항비만용 조성물
KR102239415B1 (ko) 발효 삼칠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960757B1 (ko) 지방 분해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US20210315799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r Proliferation of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
KR101658333B1 (ko) Bca 복합 발효물 및 모낭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KR20160054672A (ko) 대맥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2588877B1 (ko) 국소지방분해용 주사제 조성물 및 이의 투여방법
JP2020182415A (ja) 真皮幹細胞の分化促進剤
CN114788796B (zh) 一种含福鼎白茶提取物的美白抗菌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101680294B1 (ko)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657593B1 (ko)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필라그린 활성이 우수한 피부장벽 강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11169B1 (ko) 지각 추출물 및 콜레우스 포스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092105B1 (ko) 슬리밍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