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566B1 -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566B1
KR101147566B1 KR1020090129922A KR20090129922A KR101147566B1 KR 101147566 B1 KR101147566 B1 KR 101147566B1 KR 1020090129922 A KR1020090129922 A KR 1020090129922A KR 20090129922 A KR20090129922 A KR 20090129922A KR 101147566 B1 KR101147566 B1 KR 101147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sliding
backward
base plat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832A (ko
Inventor
최병일
Original Assignee
(주)네오하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하나텍 filed Critical (주)네오하나텍
Priority to KR1020090129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5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28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 B25J9/164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variable structure system, sliding mod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4/00Handling: hand and hoist-line implements
    • Y10S294/902Gripping element

Abstract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1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 보다 배속으로 이송되고, 전단부에 소정의 제품을 클램핑 및 이송시키는 클램핑장치가 설치된 제2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가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 장치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 보다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가 배속으로 전진 또는 후진 작동되도록 하는 배속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129922
배속 이송장치, 산업용 로봇, 취출장치, 사출기

Description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FORWARD AND BACKWARD SLIDING SPEED AND TRANSPORTATION DEVICE}
본 발명은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하여 여러 산업용 이송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로봇은 단순 반복작업을 무인 자동화하여 인력낭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데 유용하고, 사람이 하기 힘든 초정밀 작업까지도 가능하게 하여 각종 산업현장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용 로봇 중 예컨대,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는, 전진 및 후진 이송 작동되는 슬라이딩부재의 전단(또는 선단)에 각 공정에 필요한 장치 예컨대, 로봇 핸드(robot hand) 또는 클램핑 장치(clamping device) 등을 부착시켜 여러 생산공정에 범용적으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에는, 수평이송장치와 수직이송장치로 구성되어 제품을 취출하거나 조립 및 용접 등을 함으로써, 그 자체로 산업용 로봇이 될 수 있고, 산업용 로봇의 일부가 되어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에 구비된 슬라이딩부재는 구동장치에 의해 슬라이딩부재의 양 끝단 사이를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의 대표적인 예가 사출기용 취출로봇이다. 이 사출기용 취출로봇은, 사출기에 의해 성형된 사출물(또는 제품)을 취출할 수 있는 위치까지 전진 또는/및 후진 이동하여 사출물을 취출한 후, 사출물을 다른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로봇 핸드 또는 클램핑 장치 등을 움직이기 위해 고속 및 고정도 위치제어가 요구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렵고 유지보수가 까다로우며,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정밀 위치제어가 요구되는 장치에 대응하기 어려워 장치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되고, 장치의 크기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를 최대한 단순하게 하여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소음이 적고, 정밀제어가 용이하며,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한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1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 보다 배속으로 이송되고, 전단부에 소정의 제품을 클램핑 및 이송시키는 클램핑 장치가 설치된 제2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가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 장치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 보다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가 배속으로 전진 또는 후진 작동되도록 하는 배속구동장치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 또는 제2슬라이딩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2슬라이딩부재의 이송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 장치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딩 전진 및 후진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 사이에 설치된 제1슬라이드 엘엠블록과;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와 함께 슬라이딩 전진 및 후진되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 사이에 설치된 제2슬라이드 엘엠블록;을 포함하여 되고,
그리고, 상기 배속구동장치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의 후단부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구동풀리의 하부의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타이밍벨트와; 상기 종동풀리와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종동풀리와 수평으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회동풀리와; 상기 회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타이밍벨트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가 전진 또는 후진 슬라이딩 되게 하는 제2타이밍벨트와; 상기 제2타이밍벨트의 아래쪽을 회전 가능하게 잡고,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의 전진 및 후진 거리가 한정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된 고정블록과; 일측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타이밍벨트의 상부쪽에 상기 제2타이밍벨트를 잡는 동시에 상기 제2타이밍벨트와 함께 전진 및 후진되게 설치된 가동블록;을 포함하여 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부에는 지지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저부에는 지면으로부터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를 이격시키면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전후진 이송 로봇에 비해 그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전후진 슬라이딩되는 부재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가공(제조) 부품 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도 용이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구조가 매우 단순하여 정밀제어가 용이하며,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치(또는 로봇)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고속 및 고정도 제어를 가능케 함으로써 각종 산업용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취출장치 또는 이송장치가 적용된 산업현장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에는 도 1 장치의 앞쪽에서 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도 1 장치의 뒤쪽에서 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1의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13)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3) 상에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1슬라이딩부재(15)와, 이 제1슬라이딩부재(15)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1슬라이딩부재(15)에 설치된 제2슬라이딩부재(17)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 및 제1,2슬라이딩부재(15,17)에 설치되어 제1,2슬라이딩부재(15,17)가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 장치(41,45)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 및 제1,2슬라이딩부재(15,17)에 설치된 배속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7)는, 제1슬라이딩부재(15)에 설치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슬라이딩부재(15) 보다 배속으로 이송되고 전단부에 소정의 제품을 클램핑 및 이송시키는 클램핑 장치(50)(또는 로봇 핸드)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 장치(50)는, 제2슬라이딩부재(17)의 전단부에 설치된 구동부(51)와, 이 구동부(51)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사출품과 같은 취출물을 클램핑하는 클램퍼(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속구동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슬라이딩부재(15) 보다 제2슬라이딩부재(17)가 배속으로 전진 또는 후진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저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12)가 설치되고, 이 지지 플레이트(12)의 저부에는 지면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를 이격시키면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장치(41,45)는, 제1슬라이딩부재(15)가 슬라이딩 전진 및 후진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3)와 제1슬라이딩부재(15) 사이에 설치된 제1슬라이드 엘엠블록(LM block)(또는 엘엠 가이드)(41)과,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7)가 제1슬라이딩부재(15)와 함께 슬라이딩 전진 및 후진되도록 제1슬라이딩부재(15)와 제2슬라이딩부재(17) 사이에 설치된 제2슬라이드 엘엠블록(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속구동장치는, 제1슬라이딩부재(15)의 후단부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21)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를 관통한 구동모터(21)의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풀리(31a)와, 이 구동풀리(31a)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동풀리(31a)의 수직 하부의 제1슬라이딩부재(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종동풀리(31b)와, 상기 구동풀리(31a)와 종동풀리(31b)에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타이밍벨트(3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속구동장치에는, 종동풀리(31b)와 동일하게 회전이 될 수 있 도록 종동풀리(31b)와 수평으로 제1슬라이딩부재(15)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회동풀리(33)와, 이 회동풀리(33)와 종동풀리(31b)에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타이밍벨트(32a)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제1,2슬라이딩부재(15,17)가 전진 또는 후진 슬라이딩 되게 하는 제2타이밍벨트(32b)가 구비된다.
또한 배속구동장치는,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고 있는 제2타이밍벨트(32b)의 아래쪽을 회전 가능하게 잡고 제1,2슬라이딩부재(15,17)의 전진 및 후진 거리가 한정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3)에 고정 설치된 고정블록(35a)과, 일측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7)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이 제2타이밍벨트(32b)의 위쪽의 제2타이밍벨트(32b)를 잡는 동시에 제2타이밍벨트(32b)와 함께 전진 및 후진되도록 설치된 가동블록(35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블록(35b)은 고정블록(35a)과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블록(35a)은 제1슬라이딩부재(15)의 일측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3) 상에 고정 설치된 사각형의 적층형 블록이다.
하지만, 상기 가동블록(35b)은 제1,2슬라이딩부재(15,17)에 가로질러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가동블록(35b)의 일측이 제2슬라이딩부재(17)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타이밍벨트(32b)를 따라 제2슬라이딩부재(17)가 전진 및 후진 이송되도록 제2타이밍벨트(32b)에 고정되게 구비됨으로써, 가동블록(35b)은 전체적으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에는, 상기 베이스 플 레이트(13), 제1슬라이딩부재(15), 또는 제2슬라이딩부재(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2슬라이딩부재(15,17)의 이송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장치(18)가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센서장치(18)는, 제1,2슬라이딩부재(15,17)의 이송거리를 감지하여 이송거리를 한정할 수 있도록 제1,2슬라이딩부재(15,17)에 각각 설치되는데, 제1,2슬라이딩부재(15,17)의 작동을 각각 감지하는 센서(18a)와, 이 센서(18a)들에 의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18a)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도그(18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에는 제2슬라이딩부재(17)가 안착되어 원활한 전후진 슬라이딩 작동(또는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안착부(1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는 배속구동장치의 구동풀리(31a) 및 종동풀리(31b)가 설치될 수 있도록 모터장착부(20)가 구비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L'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15,17)는 긴 이송거리를 안정적으로 또는/및 정밀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길이에 비해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1)는 제1,2슬라이딩부재(15,17)가 전진 및 후진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한편, 도 4에서 도면부호 52는 클램핑 장치(50)의 제어반을 나타내 보인 것 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사출기(또는 사출성형기)로부터 성형된 제품(또는 사출물)을 취출하여 다른 작업(예컨대, 사출물의 게이트 커팅 작업) 위치로 이송하는 작업에 응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위해서는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15,17)가 전진 및 후진 이송을 해야 하고, 이러한 작동 중에 제2슬라이딩부재(17)의 전단부에 장착된 클램핑 장치(50)(또는 로봇 핸드)가 클램핑 장치(50)의 자체 제어에 의해 사출물을 취출하여 다른 작업 위치로 이송시킨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의 작동 설명을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를 사출물 취출장치(또는 취출로봇)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배속구동장치의 구동모터(21)가 작동을 하게 되면, 구동풀리(31a)의 회전축이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타이밍벨트(32a)에 의해 구동풀리(31a)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종동풀리(31b)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타이밍벨트(32b)에 의해 종동풀리(31b)의 회전력은 회동풀리(33)에 전달됨으로써,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딩부재(15)가 전진 이송되게 된다. 이렇게 제1슬라이딩부재(15)가 전진 이송될 때, 제1슬라이딩부재(15)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2슬라이딩부재(17)도 전진 이송하게 된다.
이와 함께 클램핑 장치(50)도 자체 제어에 의해 사출물을 잡을 수 있도록 위치(또는 자세)가 제어되며, 이에 따라 제1,2슬라이딩부재(15,17)는 전진하게 되고, 클램핑 장치(50)는 사출물을 클램핑한다.
그런 후, 사출물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제1,2슬라이딩부재(15,17)는 후진 슬라이딩 작동하게 되며, 이때에도 클램핑 장치(50)는 다른 작업을 위해 자세를 변경한다. 물론 이때의 구동모터(21)의 회전방향은 제1,2슬라이딩부재(15,17)가 전진할 때와 반대가 된다.
이와 같은 제1,2슬라이딩부재(15,17)의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 작동시 제1슬라이딩부재(15)는 고정블록(35a)과 제2타이밍벨트(32b)의 작동 관계상 제2타이밍벨트(32b)의 회전속도에 비례한 속도로 전후진 슬라이딩 작동한다.
하지만,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7)는 그 설치 상태에 의해 제1슬라이딩부재(15)의 속도에 상기 제2타이밍벨트(32b)의 속도를 더한 속도로 슬라이딩 작동한다.
즉,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7)는 제1슬라이딩부재(15) 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1슬라이딩부재(15)가 전후진 이송속도로 이송되는 동시에 상기 제2타이밍벨트(32b)와 제2슬라이딩부재(17)에 연결된 가동블록(35b)에 의해 제2슬라이딩부재(17)는 제2타이밍벨트(32b)의 속도가 더해져 전후진 슬라이딩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7)의 전후진 슬라이딩 이송속도는 제1슬라이딩부재(15) 보다 2배의 속도로 이송된다. 물론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7)의 슬라이딩 이송거리도 제1슬라이딩부재(15)의 이송거리의 2배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제1,2슬라이딩부재(15,17)의 이송거리 및 이송위치는 상기 센서장치(18)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된다.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는, 종래의 장치(또는 로봇)에 비해 그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작동 제어가 매우 단순하여 요구하는 신뢰성이 제고된다.
즉, 전후진 슬라이딩되는 제1,2슬라이딩부재(15,17)가 단순한 플레이트 형태 및 그 플레이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제1,2슬라이딩부재(15,17)를 전후진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동시에 제2슬라이딩부재(17)를 배속시키는 배속구동장치가 제1,2슬라이딩부재(15,17)에 설치됨으로써 구조가 매우 단순하다.
또한 상기 배속구동장치의 경우에도 구동모터(21)와, 구동풀리(31a), 종동풀리(31b) 및 회동풀리(33)와, 이들 풀리(31a,31b,33)의 회전 전달력 전달이 우수한 제1,2타이밍벨트(32a,32b), 제1,2타이밍벨트(32a,32b)를 적절하게 잡아 제1슬라이딩부재를 전후진 슬라이딩 작동되게 하는 고정블록(35a)과, 제2슬라이딩부재(17)를 배속으로 전후진 슬라이딩 작동시키는 가동블록(35b)으로만 이루어져 구성이 매우 단순하다. 따라서 제1,2슬라이딩부재(15,17)의 작동 제어가 매우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 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a는 도 1 장치의 앞쪽에서 본 측면도.
도 3b는 도 1 장치의 뒤쪽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전진 슬라이딩 작동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2의 전진 슬라이딩 작동 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지지프레임
12. 지지 플레이트
13. 베이스 플레이트
15. 제1슬라이딩부재
17. 제2슬라이딩부재
18a. 센서
18b. 센서도그
21. 구동모터
31a. 구동풀리
31b. 종동풀리
32a. 제1타이밍벨트
32b. 제2타이밍벨트
33. 회동풀리
35a. 고정블록
35b. 가동블록
41. 제1슬라이드 엘엠블록
45. 제2슬라이드 엘엠블록
50. 클램핑 장치

Claims (5)

  1. 베이스 플레이트(13)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 상에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1슬라이딩부재(15)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 보다 배속으로 이송되고, 전단부에 소정의 제품을 클램핑 및 이송시키는 클램핑 장치(50)가 설치된 제2슬라이딩부재(17)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 및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15,17)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15,17)가 전진 및 후진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드 장치(41,45)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15,17)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 보다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7)가 배속으로 전진 또는 후진 작동되도록 하는 배속구동장치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 또는 제2슬라이딩부재(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2슬라이딩부재(15,17)의 이송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장치(18);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 장치(41,45)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가 슬라이딩 전진 및 후진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 사이에 설치된 제1슬라이드 엘엠블록(41)과;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7)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와 함께 슬라이딩 전진 및 후진되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7) 사이에 설치된 제2슬라이드 엘엠블록(45);을 포함하여 되고,
    그리고, 상기 배속구동장치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의 후단부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의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풀리(31a)와;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구동풀리(31a)의 하부의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종동풀리(31b)와;
    상기 구동풀리(31a)와 상기 종동풀리(31b)에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타이밍벨트(32a)와;
    상기 종동풀리(31b)와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종동풀리(31b)와 수평으로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15)의 전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회동풀리(33)와;
    상기 회동풀리(33)와 상기 종동풀리(31b)에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타이밍벨트(32a)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15,17)가 전진 또는 후진 슬라이딩 되게 하는 제2타이밍벨트(32b)와;
    상기 제2타이밍벨트(32b)의 아래쪽을 회전 가능하게 잡고, 상기 제1,2슬라이딩부재(15,17)의 전진 및 후진 거리가 한정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에 고정 설치된 고정블록(35a)과;
    일측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17)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타이밍벨트(32b)의 상부쪽에 상기 제2타이밍벨트(32b)를 잡는 동시에 상기 제2타이밍벨트(32b)와 함께 전진 및 후진되게 설치된 가동블록(35b);을 포함하여 되며,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의 저부에는 지지 플레이트(12)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2)의 저부에는 지면으로부터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를 이격시키면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129922A 2009-12-23 2009-12-23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 KR101147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922A KR101147566B1 (ko) 2009-12-23 2009-12-23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922A KR101147566B1 (ko) 2009-12-23 2009-12-23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832A KR20110072832A (ko) 2011-06-29
KR101147566B1 true KR101147566B1 (ko) 2012-05-17

Family

ID=4440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922A KR101147566B1 (ko) 2009-12-23 2009-12-23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5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1031A (zh) * 2015-05-29 2015-09-02 南京理工大学 一种电力系统轨道式自动巡检机器人
CN104959986A (zh) * 2015-05-29 2015-10-07 南京理工大学 一种组合轨道式自动巡检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5179B (zh) * 2015-05-29 2017-06-27 南京理工大学 一种电力系统分段式自动巡检机器人
KR102316979B1 (ko) * 2021-04-27 2021-10-26 (주)시스콘 이송로봇용 도킹 가이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839Y1 (ko) * 1995-06-30 1998-10-15 김광호 위치검출수단을 개선한 직동배속장치
KR0175422B1 (ko) * 1995-01-26 1999-02-18 김광호 양방향 직동로봇의 배속장치
KR200270793Y1 (ko) 2001-12-31 2002-04-06 주식회사 하이로보텍 벨트식 사축 직교 로보트
JP2009160707A (ja) 2008-01-09 2009-07-23 Denso Wave Inc ロボ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5422B1 (ko) * 1995-01-26 1999-02-18 김광호 양방향 직동로봇의 배속장치
KR0124839Y1 (ko) * 1995-06-30 1998-10-15 김광호 위치검출수단을 개선한 직동배속장치
KR200270793Y1 (ko) 2001-12-31 2002-04-06 주식회사 하이로보텍 벨트식 사축 직교 로보트
JP2009160707A (ja) 2008-01-09 2009-07-23 Denso Wave Inc ロボ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1031A (zh) * 2015-05-29 2015-09-02 南京理工大学 一种电力系统轨道式自动巡检机器人
CN104959986A (zh) * 2015-05-29 2015-10-07 南京理工大学 一种组合轨道式自动巡检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832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4919C (en) Workpiece feeding apparatus
KR101147566B1 (ko) 전후진 슬라이딩 배속 이송장치
KR102359925B1 (ko) 자동차 조립라인의 차체 트랙킹 장치 및 방법
KR20170050580A (ko) 물품 이송 장치 및 물품 검사 장치
CN110027837B (zh) 一种发动机缸盖翻转机及其控制方法
CN202464724U (zh) 多段式轨道装置
CN109366241B (zh) 智能柔性封边线规方系统
CN101643148B (zh) 输送系统
CN103387127A (zh) 工件定位装置和皮带传输系统
JP6421323B2 (ja) 部品実装装置
CN105149900A (zh) 一种用于方向盘助力转向系统中侦测齿轮的充磁组装装置
CN110600412A (zh) 定位传输机构及定位传输生产系统
WO2009035391A1 (en) Diverting device for a conveyor system and a method for diverting objects which are conveyed along a conveying track
JP2008045848A (ja) パレット遠心脱水装置
CN107265071B (zh) 一种物料搬运流水线
CN211614619U (zh) 一种可下料的激光打标装置
KR20140123207A (ko)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을 위한 컨베이어 장치
KR101489847B1 (ko) 일축 다헤드 로봇
KR101262282B1 (ko) 프레스용 가공물 이송장치
JP2021187654A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CN110773452B (zh) 片纸歪斜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214297935U (zh) 一种辅助上料机
KR100785639B1 (ko) 이송로봇의 수직 회전식 팔구조
CN219057788U (zh) 线圈绕组上料输送结构
JP2020146858A (ja) ダブルエンドテノ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