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351B1 -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351B1
KR101147351B1 KR1020100094970A KR20100094970A KR101147351B1 KR 101147351 B1 KR101147351 B1 KR 101147351B1 KR 1020100094970 A KR1020100094970 A KR 1020100094970A KR 20100094970 A KR20100094970 A KR 20100094970A KR 101147351 B1 KR101147351 B1 KR 101147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information
guidance
serv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3455A (ko
Inventor
김종오
유인철
이진오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스뷰테크
주식회사 이젠우리기술
(주) 유일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스뷰테크, 주식회사 이젠우리기술, (주) 유일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 에이스뷰테크
Priority to KR102010009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35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Abstract

본 발명의 비상 안내 단말기는, 외부의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비상 안내 정보를 포함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방문자 요청 사항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조작부; 상기 비상 안내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 비상 상황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비상 안내 정보 또는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비상 상황에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시스템{Emergency Information Terminal and Emergency Enformation System}
본 발명은 건물 등 특정 사이트(관리 지역)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비상 상황에서 사이트 거주인들에게 비상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병원이나 도서관 같이 익숙하지 않은 방문자가 많은 장소(사이트)에는, 방문자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안내 단말기가 방문자에게 잘 보이는 위치들에 설치되어 있다.
최초의 사이트 안내 수단은 단순히 안내 정보가 기재된 보드 형태였지만, 가벼운 평판형 디스플레이가 널리 보급된 후에는, 전자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재생할 수 있는 전자적 안내 단말기로 대체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안내 단말기는 매우 수동적이어서, 관리자가 출력하기로 결정한 정보들을 단순히 디스플레이할 뿐이었다. 현대의 발달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묶인 안내 단말기들의 경우에도, 네크워크는 단순히 관리자가 표시할 정보를 안내 단말기에 편리하게 공급/갱신할 수단으로 이용될 뿐이었다.
한편, 건물 등 특정 사이트(관리 지역)의 관리 주체에게는 상기 사이트에 비상 상황이 발생시 사이트 내 거주인들을 신속하게 보호할 적절 조치를 취할 의무가 있다. 예컨대, 화재 상황시 건물의 관리자는 건물 거주인들을 신속하게 건물 밖으로 대피시켜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안내 단말기들은 이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전혀 쓸모없는 장비가 되었다.
본 발명은 관리 지역에 비상 상황이 발생시 거주인들에게 신속하게 대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 안내 단말기는, 외부의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비상 안내 정보를 포함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방문자 요청 사항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조작부; 상기 비상 안내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 비상 상황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비상 안내 정보 또는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비상 상황에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평상시 상기 디스플레이에 관리 지역에 대한 사내 조직도를 출력하고, 비상 상황시 비상 안내 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비상구 방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면 비상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는, 외부에서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구성 요소들로 공급하거나,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입력부로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인트라넷을 통해 서버 시스템으로 문의하고, 문의가 안되는 경우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비상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비상 상황에서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서 전송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비상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는, 방문자가 인가하는 오디오 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및 방문자에게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내 인트라넷에서의 내부 식별용 IP 어드레스를 가지는 랜 카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IP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비상 안내 시스템은, 관리 지역에 설치된 비상 안내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관리 지역의 대피 경로들을 포함한 비상 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비상 안내 DB와,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들과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말 통신부와, 상기 비상 안내 정보를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들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상 안내 서버; 및
상기 비상 안내 서버로부터 상기 비상 안내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서버 통신부와, 비디오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비상 상황시 비상 안내 정보 또는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상 안내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 안내 서버는, 상기 관리 지역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 등 재난 감지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 안내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로부터 비상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 안내 서버는, 관리자로부터 비상 상황을 통보받거나, 상기 관리 지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 안내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로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상기 안내 단말기의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 안내 DB에는, 상기 관리 지역에 설치된 다수개의 비상 안내 단말기들에 대하여, 각 비상 안내 단말기의 식별 정보, 설치 위치, 및 상기 설치 위치에서의 비상 대피로 안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비상 안내 방법은, 비상 안내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관리 지역에 설치된 비상 안내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비상 안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비상 안내 서버와 통신이 불가능하면,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면 외부에서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 외부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이 되고 있으면,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서 비상 상황이 통보되는 것을 대기하는 단계; 외부에서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 이를 통지하고 비상 상황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비상 안내 서버로부터 접수한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이 비상 상황 통보이면,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비상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상 안내 정보는, 비상 안내 단말기가 설치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비상구 방향을 가리키는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서버를 이용한 안내 시스템은, 관리 지역에 비상 상황이 발생시 거주인들에게 신속하게 대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안내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비상 안내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도 1의 비상 안내 단말기를 지원하는 비상 안내 서버이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비상 안내 서버 및 도 1의 비상 안내 단말기로 이루어진 비상 안내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는 비상 안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제1 비상 대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안내 단말기의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제2 비상 대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안내 단말기의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제3 비상 대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안내 단말기의 화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서버가 비상 정보를 관리 영역의 모든 거주인들에게 제공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비상 안내 단말기는 방문자에게 비상 정보 뿐만 아니라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비상 정보나 안내 정보는 관리 영역의 방문자에게 더욱 유익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서버가 비상 정보를 제공하는 대상을 '방문자'라고 통칭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한 안내 단말기(100)는, 일종의 사설망으로서 사내 인트라넷에 접속하여 도시한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 비상 안내 정보를 포함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 방문자 요청 사항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조작부(150); 상기 비상 안내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130); 비상 상황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비상 안내 정보 또는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제어부(120); 및 비상 상황에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90)를 포함한다.
구현에 따라,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100)는, 방문자가 인가하는 오디오 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160); 및 방문자에게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100)는, 외부에서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구성 요소들(110 ~ 170)로 공급하거나, 상기 배터리(190)를 충전하는 전원 입력부(19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원 입력부(195)로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비상 안내 서버로 문의하고, 문의가 안되는 경우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비상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관리 지역에 대한 사내 조직도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조작부(150)는 상기 사내 조직도 상에서 방문자가 통화를 원하는 전화기를 지정받을 수 있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130)에는 상기 사내 조직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지정받은 전화기에 대한 호 연결을 요청하고, 연결된 상기 전화기와 상기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비상 안내 서버로부터 비상 상황임을 통보받으면 비상 상황으로 판단한다. 그런데, 화재나 지진 등 비상 상황에서는 통신망이 파괴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비상 단말기와 비상 안내 서버와 통신이 불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여, 상기 비상 안내 서버로부터 비상 상황을 통보받는 것이 곤란하면, 바로 비상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100)는, 상기 비상 안내 서버의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비상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비상 상황에서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100)가 설치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비상구 방향을 상기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비상 상황에서 전체 관리 지역의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비상 안내 서버의 관리자가 판단하여, 각 설치 지점의 비상 안내 단말기들에, 비상시 변화되는 상황에 적합한 대피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비상 안내 서버에서 전송받은 대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시나리오는 모두 상기 비상 안내 서버와 비상 안내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만 유효하다. 통신망이 파괴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기 저장된 비상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비상 안내 정보는, 가장 가까운 비상구 방향을 가리키는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사내 인트라넷이 IP망을 기반으로 하는 로컬 IP망인 경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로컬 IP망에서 내부 식별용 IP 어드레스를 가지며,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일종의 유선 또는 무선 랜 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이 구현에서 안내 단말기(100)는 내부 식별용 어드레스로 식별될 수 있다. 이는 외부로 연결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범용 IP 어드레스 영역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사내 인트라넷이 범용 IP 어드레스을 가지는 기기들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진 경우, 상기 통신부(110)는, 범용 IP 어드레스를 가지는 랜 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내 인트라넷은 예컨대, VPN [Virtual Private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와 동일 평면 좌표계를 구성하는 터치스크린인 것이 사용자 편의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방문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조직도 상의 특정 부서의 내선 전화기에 터치 입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부서의 내선 전화기와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90)는 정전 등 비상시에도 안내 단말기(100)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특히, 안내 단말기(100)를 이용해서 비상 상황에서 비상구 안내등 역할 및 비상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190)는 더욱 유용하다. 상기 배터리(190)는 2차 전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1차 전지로도 구현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본 발명의 안내 단말기(100)는 상기 마이크로폰(160) 및 스피커(170)를 이용하여 일종의 전화기로 기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내 인트라망이 IP 망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 일종의 IP폰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본 발명의 안내 단말기(100)의 전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다른 다양한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사내 조직도에 대한 터치에 따른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20)는, IP폰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내 조직도 표시기능, 비상시 비상 정보 표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안내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들은,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됨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의 비상 안내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100)는, 안내 단말기 시스템이 설치된 사이트(예: 건물)에 대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안내 어플리케이션(2), 상기 사이트에 화재 등 응급상황 발생시 수행되는 비상안내 어플리케이션(3), 상기 사이트 방문객 등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어플리케이션(4), 인터넷 폰 기능을 제공하는 VoIP 어플리케이션(6), 및 상기 사이트 내 내선 전화기로 TXT 메시지 작성 어플리케이션(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치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안내 어플리케이션(2)에 따라 상기 안내 단말기(100)는, 방문자가 요청한 부서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안내 어플리케이션(3)에 따라 상기 안내 단말기(100)는, 화재시 사이트 내부에 있는 사람들에게 긴급 비상 탈출로를 알려 줄 수 있다. 즉, 각 안내 단말기가 설치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비상 탈출로의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어플리케이션(4)은, MP3 플레이어나, 동영상 재생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설치한 상기 안내 단말기(100)는, 상기 사이트 방문자에게 원하는 음악이나 동영상을 재생시켜 줄 수 있다.
상기 VoIP 어플리케이션(6)에 따라 상기 안내 단말기(100)는, 사이트 내 다른 안내 단말기 또는 내선 전화기와 인터넷 폰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TXT 메시지 작성 어플리케이션(7)에 따라 상기 안내 단말기(100)는, 사이트 내 내선 전화기로 TX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비상 안내 단말기 및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비상 안내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시한 비상 안내 서버(400)는, 관리 지역에 설치된 비상 안내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관리 지역의 대피 경로들을 포함한 비상 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비상 안내 DB(480);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들과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말 통신부(460); 및 상기 비상 안내 정보를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들에 전송하는 제어부(420)를 포함한다.
구현에 따라, 상기 비상 안내 서버(400)는, 상기 관리 지역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 지진 감지 센서 등 재난 감지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490); 및 관리자로부터 비상 상황을 통보받거나, 상기 관리 지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관리자 인터페이스(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입력부(490)를 구비한 비상 안내 서버(400)의 제어부(420)는 상기 센싱 정보로부터 비상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단말 통신부(400)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컴퓨터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크워크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TCP/IP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해 IP 어드레스를 가지는 유선 또는 무선 랜카드 장비를 보유한 인터넷 게이트웨이 설비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비상 안내 서버(400)는 상기 인터넷 게이트 웨이 설비를 통해, 상기 관리 지역을 위한 다른 서버(예: 관리 지역의 내선 관리를 위한 PBX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비상 안내 단말기(100)가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이용한 IP 폰 기능을 수행하는 구현의 상기 비상 안내 서버(400)는, 일종의 IP-PBX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이 경우 도시한 구성요소들 외에도 IP-PBX 기능을 위한 일반적인 구성요소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비상 안내 서버(400)는 상기 비상 안내 DB(480) 또는 별도의 저장부에, 비상이 아닌 평상시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에 출력할 정보 즉, 평상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평상 컨텐츠로서 내선 조직 정보 및 내선 조직에 속한 각 내선 전화기의 부재 정보를 취함하여 작성된 조직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조직도는 상기 관리 지역의 사내 전화망의 연결 구조(예: 트리구조) 및/또는 사내 전화망에 속한 각 내선 전화기들의 설치위치의 소속 부서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직도 상의 각 노드(소속 부서의 각 내선 전화기들이 설치되는 위치에 해당)들에 대하여, 구성원의 부재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비상 안내 서버(400)는, 내선 관리를 수행하는 다른 서버(예: PBX 서버)로부터 기 작성된 조직도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또는 조직도를 생성하기 위한 기반 정보들을 전송받아, 조직도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기반 정보로는, 예컨대, 사내 전화망의 연결 구조(예: 트리구조) 정보, 사내 전화망에 속한 각 전화기들의 설치위치의 소속 부서에 대한 정보, 사내 전화망에 속한 전화기들의 부재 정보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430)는 관리자가 서버 내 정보를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및 관리자가 원하는 지시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등 조작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430)로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상기 안내 단말기의 동작을 원격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안내 서버(400)의 관리자는 관리자 인터페이스(430)를 이용하여 비상 안내 단말기를 포함한 비상 안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비상 상황 전 설정 작업으로서 상기 관리자는, 각 안내 단말기의 설치 및 설치 위치 변경시마다, 상기 비상 안내 DB(480)에서 해당 안내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항목(예: 필드)을 수정할 수 있다.
예컨대, 비상시 대응 조치 작업으로서 상기 관리자는, 비상 대피로의 상황을 파악하여, 대피가 곤란한 대피로를 가리키고 있는 비상 안내 단말기에, 대피가 가능한 다른 대피로를 지정할 수 있고, 상기 비상 안내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의 설치 위치에서 상기 새로 지정된 다른 대피로를 가리키는 이미지를 가리키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해당 비상 안내 단말기에 생성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안내 DB(480)에는, 상기 관리 지역에 설치된 다수개의 비상 안내 단말기들에 대하여, 각 비상 안내 단말기의 식별 정보, 설치 위치, 및 상기 설치 위치에서의 비상 대피로 안내 이미지 등 비상 안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안내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비상 안내 방법을 도시한다.
도시한 비상 안내 방법은,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S120); 상기 비상 안내 서버와 통신이 불가능하면,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단계(S125); 상기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면 외부에서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130); 외부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이 되고 있으면,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서 비상 상황이 통보되는 것을 대기하는 단계(S140); 외부에서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 이를 통지하고 비상 상황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S150); 상기 비상 안내 서버로부터 접수한(S160)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이 비상 상황 통보이면(S170),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단계(S190); 및 비상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20 단계는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의 서버 통신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 소정의 파일럿 신호를 이용한 문의 및 이에 대한 응답을 접수하는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125 단계는, 비상 상황에서 비상 안내 서버가 파손되거나, 비상 안내 서버와의 통신 채널이 파괴된 경우, 바로 비상 상태로 판단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비상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기 위함이다.
상기 S140 단계는,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 라인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단지 비상 안내 서버로부터 비상 상황에 대한 통보를 기다리고 있는 과정이다.
상기 S150 단계는, 외부의 구동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은 비상 상황일 수 있으나, 아직, 비상 안내 서버와의 통신 채널이 건재하므로, 일단 비상 안내 서버에 적극적으로 외부 구동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을 통보하고, 이에 대한 대처를 문의하기 위함이다. 상기 S130 단계의 문의를 받은 비상 안내 서버는, 관리자에게 이를 경보하여, 외부 전원 공급 라인을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S160 단계에서는 상기 S150 단계의 문의에 대한 응답을 접수한다. 즉, 상기 S170 단계에서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서 비상 상황임을 통보하면,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는 비상 상황에 대한 조치를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S200 단계에서 비상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S170 단계와 함께 또는 상기 S170 단계 이후,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서, 각 비상 안내 단말기의 설치 위치에 적합한 비상 안내 정보(예: 비상 안내 단말기가 설치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비상구 방향을 가리키는 이미지)를 각 비상 안내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S200 단계에서, 상기 전송받은 비상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및 도 6은, 비상 안내 단말기가 설치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비상구 방향을 가리키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비상 안내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비상 안내 서버의 관리자가 입력한 비상 대피 정보를 표시하는 비상 안내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의 이미지 정보는 상기 비상 안내 서버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고, 저장부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비상 안내 서버의 관리자는 비상 상황시 각 대피로의 상황을 파악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시지를 해당 비상 안내 단말기에 표시하여, 관리지역 거주자들의 안전한 대피를 도울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안내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데이터 저장부
140 : 디스플레이 150 : 조작부
160 : 마이크로폰 170 : 스피커
190 : 배터리

Claims (14)

  1. 외부의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비상 안내 정보를 포함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방문자 요청 사항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조작부;
    상기 비상 안내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
    비상 상황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비상 안내 정보 또는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비상 상황에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평상시 상기 디스플레이에 관리 지역에 대한 사내 조직도를 출력하고,
    비상 상황시 비상 안내 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비상구 방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안내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면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비상 안내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구성 요소들로 공급하거나,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입력부로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인트라넷을 통해 서버 시스템으로 문의하고, 문의가 안되는 경우 비상 상황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문의에 대한 응답으로 비상 상황을 인식하는 비상 안내 단말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상 상황에서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서 전송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비상 안내 서버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비상 안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비상 안내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방문자가 인가하는 오디오 정보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및
    방문자에게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비상 안내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내 인트라넷에서의 내부 식별용 IP 어드레스를 가지는 랜 카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IP폰 기능을 수행하는 비상 안내 단말기.
  8. 관리 지역에 설치된 비상 안내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관리 지역의 대피 경로들을 포함한 비상 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비상 안내 DB와,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들과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말 통신부와,
    상기 비상 안내 정보를 상기 비상 안내 단말기들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상 안내 서버; 및
    상기 비상 안내 서버로부터 상기 비상 안내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서버 통신부와,
    비디오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비상 상황시 비상 안내 정보 또는 상기 비상 안내 서버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상 안내 단말기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평상시 상기 디스플레이에 관리 지역에 대한 사내 조직도를 출력하고,
    비상 상황시 비상 안내 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비상구 방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안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안내 서버는,
    상기 관리 지역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 등 재난 감지 센서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입력받는 센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 안내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로부터 비상 상황을 판단하는 비상 안내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안내 서버는,
    관리자로부터 비상 상황을 통보받거나, 상기 관리 지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관리자 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는 비상 안내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안내 서버의 제어부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로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상기 안내 단말기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비상 안내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안내 DB에는,
    상기 관리 지역에 설치된 다수개의 비상 안내 단말기들에 대하여, 각 비상 안내 단말기의 식별 정보, 설치 위치, 및 상기 설치 위치에서의 비상 대피로 안내 정보가 저장된 비상 안내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KR1020100094970A 2010-09-30 2010-09-30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시스템 KR101147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970A KR101147351B1 (ko) 2010-09-30 2010-09-30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970A KR101147351B1 (ko) 2010-09-30 2010-09-30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455A KR20120033455A (ko) 2012-04-09
KR101147351B1 true KR101147351B1 (ko) 2012-05-23

Family

ID=4613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970A KR101147351B1 (ko) 2010-09-30 2010-09-30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774A (ko) 2014-11-28 2016-06-08 (주)매트론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KR102014099B1 (ko) * 2018-02-19 2019-08-26 에이엘 주식회사 사물제어유닛을 이용한 IoT기반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079B1 (ko) * 2014-04-19 2015-02-11 (주)신화유디텍 다중매체의 hd급 디지털 방송 통합전송 제어시스템
KR102558389B1 (ko) * 2016-02-29 2023-07-24 팅크웨어(주) 통신 인프라와 연동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95986B1 (ko) * 2019-07-08 2020-04-01 주식회사 신관산업 화재 조기 감지 및 안전 대피 유도 시스템과 그 방법
CN111063176B (zh) * 2019-12-24 2021-08-27 郑州欧丽信大电子信息股份有限公司 基于人防警报系统的突发事件预警系统、信息上报方法、信息下达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1907A (ja) 2006-04-07 2007-10-25 Nakayo Telecommun Inc 緊急情報通知方法および構内電話装置
KR100891250B1 (ko) * 2007-10-26 2009-04-01 김윤겸 비상상황 안내문구 표시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JP2009111752A (ja) * 2007-10-30 2009-05-21 Aiphone Co Ltd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0034697A (ja) * 2008-07-25 2010-02-12 Hitachi Ltd 緊急情報通報を行う電話交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1907A (ja) 2006-04-07 2007-10-25 Nakayo Telecommun Inc 緊急情報通知方法および構内電話装置
KR100891250B1 (ko) * 2007-10-26 2009-04-01 김윤겸 비상상황 안내문구 표시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JP2009111752A (ja) * 2007-10-30 2009-05-21 Aiphone Co Ltd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0034697A (ja) * 2008-07-25 2010-02-12 Hitachi Ltd 緊急情報通報を行う電話交換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774A (ko) 2014-11-28 2016-06-08 (주)매트론 비상 대피 안내 시스템
KR102014099B1 (ko) * 2018-02-19 2019-08-26 에이엘 주식회사 사물제어유닛을 이용한 IoT기반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455A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351B1 (ko) 비상 안내 단말기 및 비상 안내 시스템
US9466199B2 (en) Responder-ready reporting network
US87046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esence-based communication over a cellular network for a dwelling
JP6126778B2 (ja) 火災報知設備の支援システム
JP2014507838A (ja) 緊急呼び出しに応答する緊急応答システムに向上した位置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VoIPシステム、コンポーネント、及び方法
KR101741974B1 (ko) 지리정보를 이용한 소방 관제 시스템
JP5489248B2 (ja) 避難通知システム、携帯端末、サーバ、避難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JP2017225003A (ja) 携帯端末、プレゼンス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レゼンス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2006000451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재 경보 장치와 방법
JP6052715B2 (ja) 住宅情報盤および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6000093B2 (ja) 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91323B2 (ja) 地震報知システム
JP5587813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9110117A (ja) 地震報知システム
JP6228254B2 (ja) 火災報知設備の支援システム
JP2010154360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機器
JPWO2009122482A1 (ja) 端末、ネットワーク装置、該端末と該ネットワーク装置とからなるネットワーク装置検索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装置検索方法
JP5297783B2 (ja) 緊急地震通報システム
JP2017117472A (ja) 火災報知設備の支援システム
US11908314B2 (en) Digital emergency alarms with intelligent evacuation plan
JP2004247847A (ja) ガス漏れ情報の通知システム
JP2007096859A (ja) 通信中継装置及び通信中継方法
KR20180059732A (ko) 택시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
KR20150029823A (ko) 택시 콜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택시 콜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와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