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772B1 -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 Google Patents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772B1
KR101145772B1 KR1020110064517A KR20110064517A KR101145772B1 KR 101145772 B1 KR101145772 B1 KR 101145772B1 KR 1020110064517 A KR1020110064517 A KR 1020110064517A KR 20110064517 A KR20110064517 A KR 20110064517A KR 101145772 B1 KR101145772 B1 KR 101145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transmitting device
attached
underwater
sound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환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66Sonar track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IFF, i.e.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이동체 탐지를 위한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일정 형태의 하우징; 자성체인 수중 이동체 표면에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부착되도록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기; 및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 이동체를 탐지하는 측의 위치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수중 이동체를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Attachable sound transmitter and method for detecting underwater moving obje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중 이동체 탐지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 이동체 탐지를 위한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잠수함 등 수중 이동체를 탐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소나(sonar)가 이용된다. 소나에는 스스로 음향을 발사하고 물체에 부딪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를 감지하여 물체를 탐지하는 능동 소나(active sonar)와,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를 측정하여 물체를 탐지하는 수동 소나(passive sonar)가 있다.
잠수함은 그 은밀성으로 인해 수동 소나로 탐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능동 소나를 이용하면 탐지 성능을 높일 수 있으나, 잠수함 측에서 탐지하는 측의 위치를 먼저 파악하여 선제 공격을 할 위험성과 회피 기동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탐지하는 측의 위치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수중 이동체를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의 탐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이동체 탐지를 위한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일정 형태의 하우징; 자성체인 수중 이동체 표면에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부착되도록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기; 및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발신 장치는 수중에서 하강하도록 제작되며, 심도를 측정하는 심도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력 발생기는 상기 측정된 심도가 일정 심도 이상이면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발신 장치는 상기 측정된 심도가 일정 심도 이상이면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수중에 계류하도록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발신 장치는 상기 자력 발생기 주변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자기장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발신 장치는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면 상기 수중 이동체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수중 이동체가 아군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아군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기는 상기 수중 이동체가 아군으로 식별되지 않는 경우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정사면체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력 발생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각 면마다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이동체의 탐지 방법은, 일정 형태의 하우징,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기,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를 구비하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를 수중에 계류시키는 단계; 상기 자력 발생기가 자력을 발생시켜 자성체인 수중 이동체 표면에 상기 음향 발신 장치를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면 상기 음향 발생기가 음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은, 상기 계류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음향 발신 장치를 수중에서 하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류시키는 단계는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일정 심도에 도달하면 수중에 계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은, 상기 음향을 발생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면 상기 수중 이동체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수중 이동체가 아군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중 이동체가 아군으로 식별되지 않는 경우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이동체 탐지를 위한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일정 형태의 하우징; 심도를 측정하는 심도계; 상기 측정된 심도가 일정 심도 이상이면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수중에 계류하도록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 상기 측정된 심도가 일정 심도 이상이면 자성체인 수중 이동체 표면에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부착되도록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기; 및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발신 장치는 상기 자력 발생기 주변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자기장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 이동체를 탐지하는 측의 위치를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수중 이동체를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자력이 발생되고 있는 한 외부적인 힘으로 분리시키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음향을 발생시켜 수중 이동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잠수함의 은밀성에도 불구하고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통하여 잠수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수동 소나를 이용하면 되므로 아군의 위치가 적의 잠수함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이동체의 탐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발생기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편(440)과 음성 부력제(430)를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이동체의 탐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명세서에서 수중 이동체는 잠수함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수중 이동체는 잠수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뢰, 침몰선 등이 될 수도 있다.
우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210), 헬기(220) 또는 수상함(230)에서 잠수함이 있거나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 근방에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240)를 다수 살포한다(110단계).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음성 부력(Negative Buoyancy)을 가지도록 제작되며, 따라서 도 2b에 도시된바와 같이 수중에 입수함과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120단계).
특정 해역에서 잠수함이 존재할 만한 수심을 예상할 수 있는 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가 해당 일정 심도에 도달하면 부력 조절부를 이용하여 부력을 중성 부력으로 변화 시켜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수중에 계류하도록 한다(130단계).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를 구비한다. 이에 관하여는 뒤에서 더욱 설명하기로 한다.
다수의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마다 계류할 심도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잠수함이 존재할 만한 수심의 범위 내에서 여러 심도에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를 계류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의 표면은 철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이러한 잠수함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기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일정 심도에 도달하게 되면 자력 발생기로 자력을 발생시킨다(140단계). 물론, 항상 자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자력 발생에는 전력이 소모되므로 일정 수심에 도달하면 비로소 자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력이 발생된 후 근처에 잠수함이 나타나게 되면, 자력에 의해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잠수함(250)에 부착된다(150단계).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가 잠수함에 부착된 후에는, 잠수함이 아군인지 여부를 식별한다(160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의 잠수함을 탐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어서 아군의 잠수함은 탐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잠수함이 아군인지의 식별은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특정 신호를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확인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식별 결과 아군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음향을 발생시킨다(170단계). 이렇게 발생된 음향은 수중을 전파하여 아군의 수상함(260)에 설치되는 수동 소나를 통해서 감지됨으로써 잠수함이 탐지된다(180단계).
한번 잠수함에 부착된 음향 발신 장치는 자력이 발생되고 있는 한(즉, 전원이 소진되지 않는 한) 외부적인 힘으로 분리시키기 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음향을 발생시켜 잠수함의 위치를 알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잠수함의 은밀성에도 불구하고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통하여 잠수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수동 소나를 이용하므로 아군의 위치가 적의 잠수함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일정 형태의 하우징(미도시)과,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어부(310), 메모리(313), 부력 조절부(315), 자기장 감지부(317), 심도계(320), 자력 발생기(330), 신호 생성기(340), D/A컨버터(350), 증폭기(360), 음향 발생기(370), 전원부(380), 아군 식별부(390)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10)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을 제어하고 각 요소들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전원부(380)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메모리(313)에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의 일련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특히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의 임무 정보로서, 계류할 심도 정보, 아군 식별 정보, 음향 신호 정보 등아 저장된다.
심도계(320)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가 존재하는 위치의 심도를 측정한다. 부력 조절부(315)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의 부력을 조절한다.
자력 발생기(33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킨다. 자력 발생기(330)는 통상의 전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기장 감지부(317)는 자력 발생기(330) 주변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가 자성체에 부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신호 생성기(340)는 제어부(315)의 제어에 따라 발생시킬 음향 신호의 소스 신호를 생성하고, D/A컨버터(350)는 이 신호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하며, 증폭기(360)는 변환된 신호를 증폭한다.
음향 발생기(370)는 제어부(315)의 제어에 따라 증폭기(360)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음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음성 부력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수중 입수와 함께 하강한다. 하강하면서 심도계(320)는 계속적으로 심도를 측정한다. 제어부(320)는 심도계(320)로부터 심도 정보를 얻고, 측정된 심도가 메모리(313)에 저장된 일정 심도와 일치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경우 부력 조절부(315)를 제어한다. 그러면 부력 조절부(315)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를 중성 부력을 가지도록 변형하여 수중에 계류하도록 한다.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가 중성 부력을 가지도록 변형하는 것은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에 구비되는 음성 부력을 가지는 일정 부분을 분리하여 제거함으로써 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제어부(320)는 또한 측정된 심도가 메모리(313)에 저장된 일정 심도와 일치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경우 자력 발생기(330)를 제어한다. 그러면 자력 발생기(330)는 자성체인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가 부착되도록 자력을 발생시킨다.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근처에 잠수함 등 그 표면이 자성체인 수중 이동체가 존재하게 되면 이러한 자력으로 인하여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해당 수중 이동체에 부착된다.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가 자성체에 부착되면 자력 발생기(330) 주변의 자기장이 변화하게 된다. 자기장 감지부(317)는 이러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 변화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가 자성체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제어부(310)는 아군 식별부(390)를 제어하고, 아군 식별부(310)는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특정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잠수함으로부터 미리 약속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아군 식별부(310)는 잠수함을 아군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미리 약속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아군 식별부(310)는 잠수함을 아군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아군 식별부(310)에 의해 잠수함이 아군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10)는 신호 생성기(340), DAC(350), 증폭기(360), 음향 발생기(370)를 제어한다. 그러면 신호 생성기(340)는 발생시킬 음향 신호의 소스 신호를 생성하고, D/A컨버터(350)는 이 신호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하며, 증폭기(360)는 변환된 신호를 증폭한다. 음향 발생기(370)는 증폭기(360)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음향을 발생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다.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의 하우징(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면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으나, 구형인 경우 다른 물체에 부착되기 어렵고, 육면체인 경우 물의 저항을 많이 받아 부착된 후에 수류에 의해 수중 이동체로부터 쉽게 분리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정사면체 형태로 함으로써 부착면을 최대화할 수 있고, 부착된 후에 수류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 조절부(315)를 함께 도시한다. 부력 조절부(315)는 하우징(4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단편(440), 음성 부력제(430), 단편(440)과 음성 부력제(430)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420)(예컨대,노끈)을 포함한다. 음성 부력제(430)는 음성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단편(440)과 음성 부력제(430)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전체적인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음성 부력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단편(440)과 음성 부력제(430)가 분리된 후의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중성 부력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음성 부력 또는 중성 부력의 구현은 하우징(410)의 재질 및 크기, 하우징(410) 내의 빈 공간, 음성 부력제(430)의 재질 및 크기 등을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단편(440)과 음성 부력제(430)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는 수중에서 하강한다.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가 일정 심도에 도달하면 부력 조절부(315)는 단편(440)과 음성 부력제(430)를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를 중성 부력으로 변형하여 더 이상 가라앉지 않고 수중에 계류하게 한다. 한편, 음성 부력제(430)의 음성 부력을 장치마다 달리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하강 속도를 달리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발생기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자력 발생기(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으로 구현되며, 전자석은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38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자력을 발생시킨다. 정사면체 하우징의 네 면 중 임의의 면이 수중 이동체에 부착되므로, 자력 발생기(330)는 정사면체 하우징의 내부의 각 면(510)마다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사면체 하우징의 내부의 각 면에 전자석이 설치되므로, 네 개의 전자석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을 통하여 자기장이 외부로 최대한 통과할 수 있도록 하우징은 비자성체의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편(440)과 음성 부력제(430)를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각각 측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단편(440)의 연결 부위에는 잠금 막대(620)와, 잠금 막대(620)를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610)가 구비된다. 디폴트 상태에서 단편(440)은 잠금 막대(620)가 분리홀(710)과 어긋나 있음으로 인하여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에 고정되어 있고, 단편(440)과 음성 부력제(430)를 제거하여야 할 경우 부력 조절부(315)는 모터(610)를 이용하여 잠금 막대(620)를 회동시켜 잠금 막대(620)가 분리홀(710)을 통과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든다.
도 7에서 (a)는 단편(440)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잠금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단편(440)이 분리되는 상태(분리 상태)를 나타낸다. (a)를 참조하면, 잠금 상태에서 잠금 막대(620)는 분리홀(710)과 어긋난 위치에서 멈춤부재(730) 측에 고정되어 있어서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와 분리되지 않는다. (b)를 참조하면, 모터(61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을 축으로 잠금 막대(620)는 회전하게 되고, 분리홀(710) 측에 마련되는 멈춤 부재(720)까지 회전하면 잠금 막대(620)는 분리홀(710)과 평행하게 되어 잠금 막대(620)가 분리홀(720)을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수류에 의해 자연스럽게 단편(440)과 음성 부력제(430)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로부터 분리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수중 이동체 탐지를 위한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로서,
    일정 형태의 하우징;
    자성체인 수중 이동체 표면에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부착되도록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기; 및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신 장치는 수중에서 하강하도록 제작되며,
    심도를 측정하는 심도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발생기는 상기 측정된 심도가 일정 심도 이상이면 자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심도가 일정 심도 이상이면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수중에 계류하도록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발생기 주변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자기장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면 상기 수중 이동체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수중 이동체가 아군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아군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발생기는 상기 수중 이동체가 아군으로 식별되지 않는 경우 음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정사면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발생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각 면마다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9. 수중 이동체의 탐지 방법에 있어서,
    일정 형태의 하우징,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기,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를 구비하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를 수중에 계류시키는 단계;
    상기 자력 발생기가 자력을 발생시켜 자성체인 수중 이동체 표면에 상기 음향 발신 장치를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면 상기 음향 발생기가 음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음향 발신 장치를 수중에서 하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류시키는 단계는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일정 심도에 도달하면 수중에 계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을 발생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면 상기 수중 이동체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수중 이동체가 아군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수중 이동체가 아군으로 식별되지 않는 경우 음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12. 수중 이동체 탐지를 위한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로서,
    일정 형태의 하우징;
    심도를 측정하는 심도계;
    상기 측정된 심도가 일정 심도 이상이면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수중에 계류하도록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
    상기 측정된 심도가 일정 심도 이상이면 자성체인 수중 이동체 표면에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부착되도록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 발생기; 및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면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발생기 주변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음향 발신 장치가 상기 수중 이동체 표면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자기장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KR1020110064517A 2011-06-30 2011-06-30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KR101145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517A KR101145772B1 (ko) 2011-06-30 2011-06-30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517A KR101145772B1 (ko) 2011-06-30 2011-06-30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772B1 true KR101145772B1 (ko) 2012-05-16

Family

ID=46272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517A KR101145772B1 (ko) 2011-06-30 2011-06-30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7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524A (ko) * 2018-01-04 2019-07-12 국방과학연구소 폭뢰 기폭 제어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어뢰 대응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 방법
KR102049302B1 (ko) 2019-03-11 2019-11-28 (주)턴온전자 수중 금속 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 탐지장치
KR102322175B1 (ko) * 2020-05-26 2021-11-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7138A (ja) * 1992-04-17 1993-11-12 Oki Electric Ind Co Ltd 水中航走体の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位置検出方法
JPH07198844A (ja) * 1993-12-28 1995-08-01 Mitsubishi Precision Co Ltd 水中物体位置計測装置及び物体位置計測装置及び遠隔投下装置
KR20080085509A (ko) * 2007-03-20 2008-09-24 한국해양연구원 2개 기준점에 대한 거리정보와 관성센서를 이용한무인잠수정 선단의 수중 항법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7138A (ja) * 1992-04-17 1993-11-12 Oki Electric Ind Co Ltd 水中航走体の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位置検出方法
JPH07198844A (ja) * 1993-12-28 1995-08-01 Mitsubishi Precision Co Ltd 水中物体位置計測装置及び物体位置計測装置及び遠隔投下装置
KR20080085509A (ko) * 2007-03-20 2008-09-24 한국해양연구원 2개 기준점에 대한 거리정보와 관성센서를 이용한무인잠수정 선단의 수중 항법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524A (ko) * 2018-01-04 2019-07-12 국방과학연구소 폭뢰 기폭 제어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어뢰 대응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 방법
KR102078710B1 (ko) * 2018-01-04 2020-02-19 국방과학연구소 폭뢰 기폭 제어 장치,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어뢰 대응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설치 및 운용 방법
KR102049302B1 (ko) 2019-03-11 2019-11-28 (주)턴온전자 수중 금속 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 탐지장치
KR102322175B1 (ko) * 2020-05-26 2021-11-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368B2 (en) Aircraft location system for locating aircraft in water environments
US201502250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ion Tracking of Approaching Magnetic-Detonated and Traditional Impact Torpedoes
US6683819B1 (en) Sonar array system
EP3107806B1 (en) Method and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ble to maintain a planned arrangement
JP5923169B2 (ja) 通信ブイおよび展開の方法
WO2012061097A3 (en) Sonar data collection system
KR101580922B1 (ko) 관성형 벡터 수중 청음기
KR101145772B1 (ko)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US8355295B1 (en) Underwater mobile sensing/communications node and network of such nodes
WO2019055583A1 (en) METHOD FOR TRACKING OBJECTS UNDER WATER
US20040065247A1 (e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for tracking and homing in on submarines
JP2015104934A (ja) 水中音計測装置
KR102389050B1 (ko) 해양탐사용 자력계 가변익 견인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수로조사시스템
JP2006220436A (ja) マルチビーム音響測深装置の動揺影響軽減装置又はこれを備えた海底探査船
EP3304132B1 (en) Smart streamer recovery device
KR101081876B1 (ko) 예인형 수중음향센서
US20220378026A1 (en) Ropeless fishing system and method
KR102049302B1 (ko) 수중 금속 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잠수함 탐지장치
KR102011197B1 (ko) 잠수함 탐지용 소나
JP4003696B2 (ja) 海域侵犯警告方法
KR102322175B1 (ko)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
Acharya Sono bouys
JP6973735B2 (ja) 被放出物の保持放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水中航走体
KR101524135B1 (ko) 수상 선박 기포항적 교란 장치 및 방법
KR102180570B1 (ko) 수중 자기 탐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