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197B1 - 잠수함 탐지용 소나 - Google Patents

잠수함 탐지용 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197B1
KR102011197B1 KR1020170077933A KR20170077933A KR102011197B1 KR 102011197 B1 KR102011197 B1 KR 102011197B1 KR 1020170077933 A KR1020170077933 A KR 1020170077933A KR 20170077933 A KR20170077933 A KR 20170077933A KR 102011197 B1 KR102011197 B1 KR 102011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ar
posture
disposed
propell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963A (ko
Inventor
최준서
Original Assignee
최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서 filed Critical 최준서
Priority to KR1020170077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19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01Auxiliary means for detecting or identifying sonar signals or the like, e.g. sonar jamming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23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rbines or similar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의 수온약층상에 배치되어 잠수함을 탐지하는 소나로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으로는 홀이 형성되는 소나 본체; 상기 소나 본체 중앙의 홀에 배치되고 해류의 움직임에 따라 전기를 생성하는 전원 발생부; 상기 소나 본체의 배치 위치와 자세를 감지하고 상기 소나 본체의 배치 위치와 자세가 기준을 벗어나면 이를 바로잡는 위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작에 필요로 하는 전원을 수중의 조류를 이용한 자가 발전에 의해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의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잠수함 탐지 임무의 수행이 중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잠수함 탐지용 소나{Sonar for detecting submarines}
본 발명은 잠수함 탐지용 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에 필요로 하는 전원을 자가 발전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잠수함 탐지용 소나에 관한 것이다.
수중으로 침투하는 잠수함, 잠수정 및 반잠수정 등의 특수함정을 탐지하고 감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나(SONAR; sound navigation and ranging)가 사용되고 있다.
가시광선 등의 전자파와 레이더파는 바다 속에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소나는 바다속에서 전달이 가능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중의 물체를 탐지 및 감시한다.
해수는 수심과 밀도에 따라 온도가 변화하는데, 온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구간을 수온약층(thermocline)이라 부른다. 수온약층에서는 음파가 반사되기 때문에 신호의 전달이 어렵다. 특히 음파의 전달이 어려운 구간을 새도우존(shadow zone)이라 부르고, 새도우존에서 잠수함이 운행하는 경우 탐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수중의 수온약층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된 디핑 소나(dipping sonar)를 헬기에 의해 예인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헬기에 의해 소나를 예인하기 위해서는 소나의 예인만을 위한 헬기 조종 훈련이 필요하므로, 조종사 교육과 관리를 위한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함선으로부터 잠수함 침입에 관한 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수중의 수온약층에 계속적으로 소나를 배치하여 적 잠수함 칩입에 대비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배치된 소나의 동작을 위해서는 소정의 전원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일정 시간마다 소나의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므로, 배터리 교체 시기에는 잠수함 탐지 임무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10-73958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작에 필요로 하는 전원을 수중의 조류를 이용한 자가 발전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잠수함 탐지용 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 발전에 의해 전원의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잠수함 탐지 임무의 수행이 중단되지 않는 잠수함 탐지용 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저의 수온약층상에 배치되어 잠수함을 탐지하는 소나로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으로는 홀이 형성되는 소나 본체; 상기 소나 본체 중앙의 홀에 배치되고 해류의 움직임에 따라 전기를 생성하는 전원 발생부; 상기 소나 본체의 배치 위치와 자세를 감지하고 상기 소나 본체의 배치 위치와 자세가 기준을 벗어나면 이를 바로잡는 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나를 제공한다.
상기 소나 본체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밸러스트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발생부는, 상기 소나 본체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상기 홀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링 형상의 덕트와, 상기 덕트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덕트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류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에 따라 전원을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원을 저장하는 충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제어부는, 상기 지지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와, 상기 소나 본체의 배치 위치의 좌표와 수심을 체크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부와, 상기 소나 본체의 자세를 감지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세 감지부와, 상기 위치 감지부와 상기 자세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나 본체의 배치 위치와 자세를 판단하고 이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로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터와 상기 발전기는 동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동작에 필요로 하는 전원을 수중의 조류를 이용한 자가 발전에 의해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의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잠수함 탐지 임무의 수행이 중단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소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소나 본체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원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연결체 상에 전원 발생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위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소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소나(100)는 소나 본체(110), 전원 발생부(130), 위치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소나 본체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나 본체(110)는 소정의 크기와 직경을 갖는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소나 본체(110)의 소정의 직경을 갖는 중앙홀(112)이 형성되고, 중앙홀(112)에는 후술하는 전원 발생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앙홀(112)의 내주면 상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 직경의 로드 삽입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로드 삽입홀(114)로는 후술하는 지지대(132)가 삽입된다.
소나 본체(110)의 외주면으로는 탐지용 음향을 발생시키고, 탐지 대상에서 반사되는 음향을 수신하는 액티브 소나(active sonar)(116A)가 배치될 수 있고, 소나 본체(110)의 하부로는 탐지 대상에서 발생된 음향을 수신하는 패시브 소나(passive sonar)(116B)가 연결되는 등 다양한 측정 장비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소나 본체(110)에는 탐지 결과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나 본체(110)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벽(115)이 서로 교차하며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나 본체(110) 내부에는 소나(100)의 부상 정도를 조정하는 밸러스트 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패시브 소나, 액티브 소나, 밸러스트 탱크는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원 발생부(130)는 소나 본체(110)의 중앙홀(112)에 배치되고, 해수의 흐름을 이용하여 소정의 전원을 발전하여 소나 본체(110) 상에 배치된 기기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원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원 발생부는 소나 본체(110)의 중앙홀(112)에 배치되지만, 전원 발생부(130)의 구성 요소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발생부(130)는 지지대(132), 덕트(134), 프로펠러(136) 및 발전기 본체를 포함한다.
지지대(132)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로드 형태로서, 중앙홀(112)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대(132)의 양단은 로드 삽입홀(114)에 삽입된다.
덕트(134)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의 중심점 상에는 후술하는 프로펠러(136)가 배치된다. 여기서, 덕트(134)의 직경은 중앙홀(112)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다.
덕트(134)는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지대(132)가 배치된다. 여기서, 덕트(134)는 지지대(132)에 고정되어, 지지대(132)의 회전에 따라 덕트(134)의 방향도 변화된다. 지지대(132)의 회전은 제1 모터(M1)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모터(M1)는 후술하는 동작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지지대(132)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프로펠러(136)는 덕트(134)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덕트(134)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한다. 프로펠러(136)의 회전 중심축은 덕트(134)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펠러(136)는 소정의 직경과 블레이드 개수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펠러(136)의 블레이드 개수는 4개이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펠러(136)의 중심축에는 발전기(미도시)가 연결되어 해류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136)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소정의 전류를 발생시킨다. 발전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프로펠러(136)의 중심축 상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발전기는 프로펠러(136)의 회전 운동에 따라 소정의 전원을 발생시켜 출력할 수 있다. 프로펠러(136)의 회전 운동에 따라 소정의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 발전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소정의 충전지에 저장된 후, 전원을 필요로 하는 구성 요소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소정의 충전지에 저장된 후, 전원을 필요로 하는 구성 요소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로펠러(136)의 회전축으로는 제2 모터(M2)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모터(M2)는 후술하는 동작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프로펠러(134)를 소정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키며, 본 발명에 따른 소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모터(M2)와 발전기는 동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위치 제어부(140)는 소나 본체(110)의 배치 위치 좌표와 배치 수심 그리고 자세를 감지하여, 배치 위치와 자세가 기준에서 벗어나면 이를 바로 잡는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위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치 제어부(140)는 위치 감지부(142A), 자세 감지부(142B), 동작 제어부(144), 제1 모터(M1), 제2 모터(M2)를 포함한다.
위치 감지부(142A)는 본 발명에 따른 소나(100)의 배치 위치의 좌표, 수심 등을 체크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위치 감지부(142A)는 GPS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 감지부(142B)는 원통형인 소나 본체(110)의 양단이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지 감지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자세 감지부(142B)는 자이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44)는 위치 감지부(142A)와 자세 감지부(142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고, 소나 본체(110)가 정해진 배치 위치와 배치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소나 본체(110)이 해류 등에 의해 정해진 배치 위치와 배치 자세가 기준에서 일정 이상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모터(M)는 지지대(132)에 연결되고, 동작 제어부(144)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지지대(132)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지지대(132)의 회전에 의해 덕트(134)는 소정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2 모터(M2)는 그 구동축이 프로펠러(136)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동작 제어부(144)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제2 모터(M2)의 동작에 따라 프로펠러(136)이 회전하며 소나 본체(110)가 이동하도록 한다.
프로펠러(136)는 동작 제어부(144)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므로, 프로펠러(136)가 소정 방향을 향하여 동작하며, 소나 본체(110)가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소나(100)는 해상으로 부상할 수 있지만, 소정의 수심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나(100)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해역에 배치된다. 소나의 배치는 항공기를 통한 투하, 선박을 통한 투하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소나(100)가 배치될 때 충전지를 만충전 상태로 하면 충전지에서 저장된 전원에 의해 위치 제어부(140)가 동작할 수 있고, 위치 제어부(140)에 의해 소나(100)는 필요로 하는 배치 위치에 소정의 자세로 배치될 수 있다.
소나(1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소나(100) 주위를 흐르는 해류에 의해 프로펠러(136)이 소정의 회전 동작을 수행하며, 소정의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전원은 충전지를 통해 소나(100)에 배치된 다양한 구성 요소에 공급될 수 있다.
소나(100)는 액티브 소나와 패시브 소나를 동작시켜 잠수함 탐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액티브 소나와 패시브 소나의 동작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소나(100)에 의해 소정의 잠수함이 탐지되면, 탐지된 잠수함에 대한 정보(위치, 거리, 속도, 이동 방향 등)는 소정의 신호(모스 신호 등)에 의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소나(100)의 동작 중, 소나(100) 주위의 온도와 수압을 측정한 후 소나(100)의 위치가 새도우존(shadow zone)에서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 제어부의 동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작에 필요로 하는 전원을 수중의 조류를 이용한 자가 발전에 의해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의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잠수함 탐지 임무의 수행이 중단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소나 110: 소나 본체
130: 전원 발생부 140: 위치 제어부

Claims (6)

  1. 해저의 수온약층상에 배치되어 잠수함을 탐지하는 소나로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으로는 홀이 형성되는 소나 본체;
    상기 소나 본체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상기 홀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링 형상의 덕트와, 상기 덕트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덕트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해류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프로펠러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에 따라 전원을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소나 본체 중앙의 홀에 배치되고 해류의 움직임에 따라 전기를 생성하는 전원 발생부;
    상기 지지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와, 상기 소나 본체의 배치 위치의 좌표와 수심을 체크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부와, 상기 소나 본체의 자세를 감지하고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자세 감지부와, 상기 위치 감지부와 상기 자세 감지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소나 본체의 배치 위치와 자세를 판단하고 이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로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나 본체의 배치 위치와 자세를 감지하고 상기 소나 본체의 배치 위치와 자세가 기준을 벗어나면 이를 바로잡는 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 본체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밸러스트 탱크를 더 포함하는 소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원을 저장하는 충전지를 더 포함하는 소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와 상기 발전기는 동축상으로 연결되는 소나.
KR1020170077933A 2017-06-20 2017-06-20 잠수함 탐지용 소나 KR102011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933A KR102011197B1 (ko) 2017-06-20 2017-06-20 잠수함 탐지용 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933A KR102011197B1 (ko) 2017-06-20 2017-06-20 잠수함 탐지용 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963A KR20180137963A (ko) 2018-12-28
KR102011197B1 true KR102011197B1 (ko) 2019-08-14

Family

ID=6500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933A KR102011197B1 (ko) 2017-06-20 2017-06-20 잠수함 탐지용 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1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534B1 (ko) * 2020-05-20 2021-01-08 국방과학연구소 소나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동해의 수온변동예측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908823B (zh) * 2023-09-07 2023-11-17 海底鹰深海科技股份有限公司 自发电声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7397A (ja) * 2009-12-05 2011-06-16 Noriaki Fujimura 波浪発電方式
US20140138954A1 (en) * 2012-11-16 2014-05-22 Hydro Alternative Energy, Inc. Hydrokinetic Energy Conversion System with Buoyancy and Ballast Controls to Harness Underwater Current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al Power
JP2015102090A (ja) * 2013-11-22 2015-06-04 國立臺灣▲海▼洋大學 境界層制御効果を生成する二重ダクトを用いた海流発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6249A2 (en) * 2009-11-09 2011-05-12 Anadarko Petroleum Corporation Fin-ring propeller for a water current power generation system
KR20120004889A (ko) * 2010-07-07 2012-01-13 임성호 분산 소나
DE102011121775B3 (de) * 2011-12-21 2013-01-3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Steuer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7397A (ja) * 2009-12-05 2011-06-16 Noriaki Fujimura 波浪発電方式
US20140138954A1 (en) * 2012-11-16 2014-05-22 Hydro Alternative Energy, Inc. Hydrokinetic Energy Conversion System with Buoyancy and Ballast Controls to Harness Underwater Current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al Power
JP2015102090A (ja) * 2013-11-22 2015-06-04 國立臺灣▲海▼洋大學 境界層制御効果を生成する二重ダクトを用いた海流発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963A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kekar et al. A robotic system for monitoring carp in Minnesota lakes
Vaganay et al. Homing by acoustic ranging to a single beacon
US10054104B1 (en) Autonomous underwater beacon locator
US20150003192A1 (en) Self-propelled buoy for monitoring underwater objects
US10545253B2 (en) AUV based seismic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Venkatesan AUV for Search & Rescue at sea-an innovative approach
Bellingham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docking
NO332115B1 (no) Styringsinnretning for posisjonering av instrumentert tauet kabel i vann
ES2452690T3 (es) Sistema de grupo sonar
EP2869092A2 (en) System and method for underwater distance measurement
KR102011197B1 (ko) 잠수함 탐지용 소나
US6378801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orienting and steering in three-dimensional space
KR20130024077A (ko) 자율 무인 잠수정의 해저면 위치 보정 방법 및 자율 무인 잠수정의 위치 측정 장치
Jung et al. A study on unmanned surface vehicle combined with remotely operated vehicle system
CN112835049A (zh) 一种水下淤泥厚度探测机器人及其系统
JP2016060451A (ja) 水中情報計測装置
KR20110008668A (ko) 수중 기뢰 제거 방법 및 장치
CN110068331A (zh) 水下导航定位设备及系统
US20210331774A1 (en) Modular underwater vehicle
JP6856209B2 (ja) 水中推進装置および水中探査装置
KR102011196B1 (ko) 잠수함 탐지용 소나
NO335485B1 (no) Fremgangsmåte og system for å bestemme posisjonen til styringsinnretninger på en seismisk instrumentert tauet kabel
KR101145772B1 (ko)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JP6777913B2 (ja) 水中推進装置および水中探査装置
Dzikowicz et al. Demonstration of spiral wavefront navigation on a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