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175B1 -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 - Google Patents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175B1
KR102322175B1 KR1020200062777A KR20200062777A KR102322175B1 KR 102322175 B1 KR102322175 B1 KR 102322175B1 KR 1020200062777 A KR1020200062777 A KR 1020200062777A KR 20200062777 A KR20200062777 A KR 20200062777A KR 102322175 B1 KR102322175 B1 KR 10232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ve
unit
wave generator
fixing
sub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호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18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발생부; 음파발생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음파발생부가 수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음파발생부와 고정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Sensor assembly for detecting submarine and method for detecting submarin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 잠수함 기지 근처의 목표지점에 투하되어 적 잠수함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잠수함은 은밀하게 기동하여 적진 깊숙히 침투하여 어뢰나 미사일로 적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수중 이동체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사드나 미사일 방어체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적 잠수함이 후방으로 침투하여 미사일을 발사하면 이에 대한 대책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과 같은 수중 이동체를 탐지하기 위해, 수중에서 전달 거리가 매우 짧아 활용도가 떨어지는 빛이나 전자파 대신 음향 신호를 주로 사용한다.
종래에는 잠수함을 탐지하기 위해 소노부이(Sonobuoy), 수상함 및 잠수함 탐
재 소나(SONAR), TASS(Towed Array Sonar System), HMS(Hull Mounted Sonar)등), 항만 감시 체계 등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지만, 비교적 넓은 수역을 장기간으로 잠수함을 탐지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103628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를 투하하고, 센서조립체가 근처를 지나는 잠수함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잠수함을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관점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발생부; 음파발생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음파발생부가 수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음파발생부와 고정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음파발생부는, 수중 이동체에 음파발생부를 부착시킬 수 있는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음파발생부는, 자석의 부착면에 음파발생부의 부착여부를 인식하는 부착 인식용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파발생부는, 부착 인식용 스위치가 음파발생부의 부착을 인식한 이후, 주기적으로 특정 음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음파발생부는 양성 부력을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고정부는, 상측 중앙에 원통형 음파발생부를 안착시키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는, 수용공간에 음파발생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음파발생부를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음파발생부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되, 고정핀은 고정부가 착저하기 전에는 안착홈에 위치되고 고정부가 착저한 이후에는 안착홈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부를 해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는, 음파발생부가 수중 이동체에 부착될 때, 음파발생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절단하는, 연결부재 커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는, 무인 잠수정에 탑재되어 목표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연결부재는,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는, 음파발생부가 수중 4 내지 5 m 또는 10m 부근에 위치되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잠수함 탐지방법은, (a)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를 무인 잠수정에 탑재하여 목표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b) 무인 잠수정이 목표 지점에 도달하면, 적 잠수함 예상 이동경로에 다수의 센서조립체를 수중으로 투하하는 단계; (c) 센서조립체가 착저된 이후, 고정부와 음파발생부가 분리되어 수중의 소정 깊이로 부양되며 대기하는 단계; (d) 음파발생부가 이동중인 적 잠수함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단계; (e) 음파발생부가 적 잠수함에 부착된 다음, 음파발생부가 특정 주파수의 음파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f) 음파발생부에서 생성된 특정 주파수의 음파를 수신하여 적 잠수함의 이동경로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를 무인 잠수정에 탑재되어 목표 지점에 투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 잠수함을 보다 쉽게 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파발생부가 자력에 의해 잠수함에 부착되고 주기적으로 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적 잠수함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초기 대응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에서 음파발생부와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에 구비된 고정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에 구비된 고정부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에 구비된 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에 구비된 고정부의 평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에 구비된 음파발생부의 대략적인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의 음파발생부에 구비된 제어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의 고정부에 구비된 제어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와 "기", "모듈"과 "부", "유닛"과 "부", "장치"와 "시스템"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 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에서 음파발생부와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100)는,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발생부(120)와, 음파발생부(1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110), 및 음파발생부(120)와 고정부(11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
음파발생부(120)는, 수중 이동체, 일례로 적 잠수함(미도시)에 부착되어 특정주파수의 음파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발생기(미도시)를 내장하고 적 잠수함(미도시)에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부착수단으로, 대부분 금속으로 외관이 형성되는 잠수함(미도시)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음파발생부(120)의 상측에 자석(123)을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음파발생부(12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위치한 음파발생부 본체(121)와, 음파발생부 본체(121)의 상부에 위치한 자석(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대략 원통형의 중량물로 형성되며 하부에 위치한 고정부 본체(111)를 포함하고, 고정부 본체(111)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돌기부(113)에 의해 음파발생부(12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고정부(110)의 무게는 음파발생부(120)가 분리된 이후에도 해저면에 착저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13)는 한쌍으로 형성되고 각각 원통형 음파발생부(120)의 좌우측에 위치됨으로써 음파발생부(12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돌기부(113)는 고정부 본체(111)의 상측 중앙에 음파발생부(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보다 안정적으로 음파발생부(120)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10)는, 음파발생부(120)가 수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부(113)의 상측에 음파발생부 체결부(115)를 더 포함한다.
음파발생부 체결부(115)는 음파발생부(120)를 수용공간에 체결상태 또는 해제상태를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대략 바(bar)형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서 음파발생부 체결부(115)가 수용공간 방향으로 이동되어 음파발생부 체결부(115)의 내측단이 수용공간의 상측 내부로 돌출되는 제1정지점(고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음파발생부(120)를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음파발생부(120)는 양성 부력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중에 음파발생부(120)가 위치할 때 상측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상기 음파발생부 체결부(115)가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음파발생부(120)가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또한, 음파발생부 체결부(115)가 수용공간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음파발생부 체결부(115)의 내측단이 수용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는 제2정지점(해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수중의 음파발생부(120)는 양성 부력에 의해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110)는 음성 부력을 가지며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위치한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100)에서 음파발생부 체결부(115)가 제2정지점에 위치되면 음파발생부(120)는 부양되어 고정부(110)와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음파발생부 체결부(115)의 제1정지점과 제2정지점 사이의 이동은 후술할 고정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고정부 제어부(150)는 일례로 수중으로 처음 투하된 때에는 음파발생부(120)와 고정부(11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고정부(110)가 하강하여 착저한 이후 음파발생부(120)를 해제시키도록 음파발생부 체결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고정부(110)와 음파발생부(12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일례로 연결부재(130)의 일단은 음파발생부 본체(121)의 저면에 연결되고 연결부재(130)의 타단은 수용공간 내의 고정부 본체(111)의 상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부재(130)는 고정부(110)가 착저한 다음 음파발생부(120)가 부력에 의해 부양될 때 수중에 부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연결부재(130)는 목표지점의 수심 등의 정보를 근거로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의 길이는, 음파발생부(120)가 일례로, 잠수함이 주로 운용되는 깊이인 수중 4 내지 5 m 또는 10m 부근에 위치되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0)는 해수에 장기간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식성을 가져야 하며, 물의 유동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소정 범위 이상의 강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 줄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에 구비된 고정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에 구비된 고정부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110)는 원통형 고정부 본체(111)의 상측면 좌우측에 이격되어 각각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113)에 의해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음파발생부(1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돌출부(113)의 상측에는 둘레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음파발생부(120)를 해제시키거나 고정시키는 음파발생부 체결부(115)가 설치된다.
또한, 수용공간에 위치한 고정부 본체(111)의 상측면에는 연결부재(130)를 절단할 수 있는 연결부재 커팅부(111a)가 구비된다.
연결부재 커팅부(111a)는 고정부 본체(111)에 내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 열선에 의해, 또는 물리적 절단장치에 의해 연결부재(130)를 커팅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 커팅부(111a)가 고정부 본체(111)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음파발생부 본체(121)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에 구비된 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에 구비된 고정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으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210)는 원통형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안착홈(111b)이 형성되고, 안착홈(111b)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안착홈(111b)에 결합되는 고정핀(11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핀(112)은 회전축(112a)에 의해 안착홈(111b)과 결합함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핀(112)이 구성됨으로써, 고정부(210)가 착저하기 전에는 접힌 상태로 안착홈(111b) 내에 위치되고 고정부(210)가 착저한 이후에는 안착홈(111b)으로부터 외측으로 회전되어 펴져서 둘레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고정부(210)를 해저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핀(112)는, 3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 설치되어 고정핀(112)을 통해 고정부(210)를 보다 안정적으로 해저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에 구비된 음파발생부의 대략적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파발생부(120)는, 음파발생부 본체(121)와 그 위에 위치한 자석(123)을 포함한다.
자석(123)의 상측면, 즉 부착면 상에는 음파발생부(120)의 부착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부착 인식용 스위치(125)가 설치될 수 있다.
부착 인식용 스위치(125)는 음파발생부(120)가 자석(123)에 의해 적 잠수함(미도시)에 부착할 때, 이를 인식하는 장치로서, 가압되거나 접촉될 때, 근접할 때 등을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의 음파발생부에 구비된 제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음파발생부 제어부(140)는 배터리(127)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음파발생부(120)에 포함된 음파발생기(126)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음파발생부 제어부(140)는 부착 인식용 스위치(125)와 연결된다. 음파발생부 제어부(140)는 음파발생부(120)가 부착된 상태를 인식한 이후 음파발생기(126)을 동작시켜 주기적으로 특정 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소정 주기로 적 잠수함(미도시)의 경로를 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의 고정부에 구비된 제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 제어부(150)는 배터리(117)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연결부재 커팅부(111a)와 고정핀(112) 및 음파발생부 체결부(115)에 각각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부 제어부(150)는 음파발생부(120)가 적 잠수함과 같은 수중 이동체(미도시)에 부착될 때(일례로, 부착 인식용 스위치(125)의 신호를 음파발생부 제어부(140)로부터 수신할 때), 음파발생부(120)와 고정부(1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절단하도록 연결부재 커팅부(111a)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고정부 제어부(150)는 고정부(110)가 착저될 때(일례로, 고정부(110)의 하측면에 착저여부를 센싱하는 별도의 센서가 부착되어 이를 통해 착저여부를 확인한 경우), 고정핀(112)을 구동 제어하여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부(210)를 해저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 제어부(150)는 고정부(110)가 착저될 때 음파발생부 체결부(115)를 해제하여 음파발생부(120)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 소정 깊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100)는, 목표 지점, 일례로 적 잠수함 기지 주변에 투하될 수 있도록 무인 잠수정에 탑재되어 이동될 수 있는데, 보다 자세한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잠수함 탐지방법은, 먼저 아군 잠수정(10) 내의 어뢰 발사관에 탑재된 어뢰 형상의 무인 잠수정(11)을 발사하고 무인 잠수정(11)을 미리 설정된 항로에 따라 목표 지점을 향해 이동시킨다(a). 상기 무인 잠수정(1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100)가 탑재되어 있다.
무인 잠수정(11)이 목표 지점, 도 10의 예에서는 적 잠수함(20)이 모여있는 적 잠수함 기지 주변에 도달하면, 적 잠수함 예상 이동경로에 다수의 센서조립체(100)를 수중으로 투하한다(b).
이후, 센서조립체(100)가 착저되고, 고정부(110)와 음파발생부(120)가 분리되고 음파발생부(120)는 연결부재(130)에 의해 적 잠수함(20) 예상 이동경로에 수중 10m 정도에서 부양된 상태를 유지하며 대기한다(c).
다음으로, 음파발생부(120)가 이동중인 적 잠수함(20)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d). 음파발생부(120)가 부착된 이후에는 연결부재(130)가 절단되어 고정부(110)와 분리된다.
음파발생부(120)가 적 잠수함(20)에 부착된 다음, 음파발생부(120)는 특정 주파수의 음파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게 된다(e).
이후, 음파발생부(120)에서 생성된 특정주파수의 음파를 수신함으로써 적 잠수함(20)의 이동경로를 탐지한다(f).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100)는 무인 잠수정에 탑재되어 목표 지점에 직접 투하하고 음파발생부가 자력에 의해 잠수함에 부착되고 주기적으로 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적 잠수함의 탐지 가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아군 잠수정
11: 무인 잠수정
20: 적 잠수함
100: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110: 고정부
120: 음파발생부
130: 연결부재

Claims (13)

  1.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발생부;
    음파발생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음파발생부가 수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 및
    음파발생부와 고정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음파발생부는 수중 이동체에 음파발생부를 부착시킬 수 있는 자석과, 자석의 부착면에 음파발생부의 부착여부를 인식하는 부착 인식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음파발생부가 수중 이동체에 부착될 때 음파발생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절단하는 연결부재 커팅부를 더 포함하며,
    고정부는,
    상측 중앙에 원통형 음파발생부를 안착시키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에 음파발생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음파발생부를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음파발생부 체결부 및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되, 고정핀은 고정부가 착저하기 전에는 안착홈에 위치되고 고정부가 착저한 이후에는 안착홈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부를 해저에 고정시키고,
    음파발생부는,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음파발생부에 포함된 음파발생기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음파발생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파발생부 제어부는 부착 인식용 스위치와 연결되어 음파발생부가 부착된 상태를 인식한 이후 음파발생기를 동작시켜 주기적으로 특정 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소정 주기로 적 잠수함의 경로를 탐지하고,
    고정부는,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연결부재 커팅부와 고정핀 및 음파발생부 체결부에 각각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고정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제어부는 고정부가 착저될 때 고정핀을 구동 제어하여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고정부를 해저에 고정시키고, 음파발생부 체결부를 해제하여 음파발생부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 소정 깊이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고, 음파발생부가 적 잠수함에 부착되어 부착 인식용 스위치의 신호를 상기 음파 발생부 제어부로부터 수신할 때 음파발생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절단하도록 연결부재 커팅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는,
    무인 잠수정에 탑재되어 목표 지점으로 이동되는,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음파발생부가 수중 4 내지 5 m 또는 10 m 부근에 위치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13. (a) 청구항 1 및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를 무인 잠수정에 탑재하여 목표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b) 무인 잠수정이 목표 지점에 도달하면, 적 잠수함 예상 이동경로에 다수의 센서조립체를 수중으로 투하하는 단계;
    (c) 센서조립체가 착저된 이후, 고정부와 음파발생부가 분리되어 수중의 소정 깊이로 부양되며 대기하는 단계;
    (d) 음파발생부가 이동중인 적 잠수함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단계;
    (e) 음파발생부가 적 잠수함에 부착된 다음, 음파발생부가 특정 주파수의 음파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f) 음파발생부에서 생성된 특정 주파수의 음파를 수신하여 적 잠수함의 이동경로를 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c)에서, 고정부는 상측 중앙에 원통형 음파발생부를 안착시키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에 음파발생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음파발생부를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음파발생부 체결부 및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되, 고정핀은 고정부가 착저하기 전에는 안착홈에 위치되고 고정부가 착저한 이후에는 안착홈 외부로 돌출되어 고정부를 해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단계(f)에서, 음파발생부는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음파발생부에 포함된 음파발생기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음파발생부 제어부를 포함하고, 음파발생부 제어부는 부착 인식용 스위치와 연결되어 음파발생부가 부착된 상태를 인식한 이후 음파발생기를 동작시켜 주기적으로 특정 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소정 주기로 적 잠수함의 경로를 탐지하고,
    단계(c)에서, 고정부는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연결부재 커팅부와 고정핀 및 음파발생부 체결부에 각각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고정부 제어부를 포함하고, 고정부 제어부는 고정부가 착저될 때 고정핀을 구동 제어하여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고정부를 해저에 고정시키고, 음파발생부 체결부를 해제하여 음파발생부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 소정 깊이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고, 단계(d)에서, 음파발생부가 적 잠수함에 부착되어 부착 인식용 스위치의 신호를 상기 음파 발생부 제어부로부터 수신할 때 음파발생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절단하도록 연결부재 커팅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잠수함 탐지방법.
KR1020200062777A 2020-05-26 2020-05-26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 KR10232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777A KR102322175B1 (ko) 2020-05-26 2020-05-26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777A KR102322175B1 (ko) 2020-05-26 2020-05-26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175B1 true KR102322175B1 (ko) 2021-11-05

Family

ID=7850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777A KR102322175B1 (ko) 2020-05-26 2020-05-26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1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5509A (ko) * 2007-03-20 2008-09-24 한국해양연구원 2개 기준점에 대한 거리정보와 관성센서를 이용한무인잠수정 선단의 수중 항법시스템
KR101036286B1 (ko) 2009-07-10 2011-05-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수중 표적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145772B1 (ko) * 2011-06-30 2012-05-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JP2013172449A (ja) * 2012-02-21 2013-09-02 Tung Thih Electronic Co Ltd 超音波センサー及び該超音波センサーの製造方法
JP2019138879A (ja) * 2018-02-15 2019-08-22 Necネットワーク・センサ株式会社 ソナー装置、応答装置、識別システム、識別方法、応答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49764B1 (ko) * 2019-08-01 2019-11-28 네이버시스템(주)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5509A (ko) * 2007-03-20 2008-09-24 한국해양연구원 2개 기준점에 대한 거리정보와 관성센서를 이용한무인잠수정 선단의 수중 항법시스템
KR101036286B1 (ko) 2009-07-10 2011-05-2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수중 표적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145772B1 (ko) * 2011-06-30 2012-05-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JP2013172449A (ja) * 2012-02-21 2013-09-02 Tung Thih Electronic Co Ltd 超音波センサー及び該超音波センサーの製造方法
JP2019138879A (ja) * 2018-02-15 2019-08-22 Necネットワーク・センサ株式会社 ソナー装置、応答装置、識別システム、識別方法、応答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49764B1 (ko) * 2019-08-01 2019-11-28 네이버시스템(주) 음향탐사를 통한 수로 지형변화 측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48499B2 (en) Recovery method for recovering an underwater vehicle, recovery device, submarine with recovery device, underwater vehicle for this purpose, and system equipped therewith
US5844159A (en) Method and system for destroying submerged objects, in particular submerged mines
US7496002B2 (en) Water submersible electronics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20180224543A1 (en) Vessel-towed multiple sensor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9753134B2 (en) Neutralization of a target with an acoustic wave
US8813628B2 (en) Weapon clearance device for clearing weapons under water, such as underwater mines, combined weapon clearance device comprising unmanned underwater vehicle and such a weapon clearance device as well as a method therefor
KR101281630B1 (ko) 수중 표적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US20040065247A1 (e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for tracking and homing in on submarines
RU2013127618A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морских целей
KR102322175B1 (ko)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
KR20130017095A (ko) 수중기만형 어뢰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2986A (ko) 군사용 수중로봇 및 그 운용방법
KR20120027668A (ko) 음성부력을 가진 수중 운동체의 부양장치 제어방법
WO2017170136A1 (ja) 水中設備への自律型無人潜水機のアプローチシステム
KR101145772B1 (ko) 부착형 음향 발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이동체 탐지 방법
KR101158721B1 (ko) 자항기뢰 및 자항기뢰를 부설위치로 유도하는 방법
US6647854B1 (en) Device and method for neutralization of underwater mines
US7752990B2 (en) Device for destroying subsea or floating objects
KR20150009081A (ko)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KR20140146282A (ko)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및 그 운용방법
JP6228052B2 (ja) 目標検知子弾とその散布用の飛翔体
RU2769559C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и поражения подводной цели
RU2755751C1 (ru) Акустический рефлектор мобильный
WO2010025951A2 (en) Marine defence system
EP3887242B1 (en) Underwater vehicle having directional eff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