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282A -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282A
KR20140146282A KR1020130068531A KR20130068531A KR20140146282A KR 20140146282 A KR20140146282 A KR 20140146282A KR 1020130068531 A KR1020130068531 A KR 1020130068531A KR 20130068531 A KR20130068531 A KR 20130068531A KR 20140146282 A KR20140146282 A KR 20140146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propeller
enemy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일
오준
엄항섭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8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6282A/ko
Publication of KR20140146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2Manipulators for defensive or military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6Acoustical 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special application, e.g. multi-arm co-operation, assembly, gras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수중 생물체의 형상을 지닌 본체(10); 상기 본체(10)에 프로펠러(24)를 탑재한 추진부(20); 상기 본체(10)에 GPS수신기(31)와 송수신기(35)를 탑재한 통신부(30); 상기 본체(10)에 탄두(42)와 점화기(44)를 탑재한 폭발부(40); 및 상기 추진부(20), 통신부(30), 폭발부(40)에 전원을 제공하면서 설정된 조건으로 작동 신호를 입출력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중에서 장기간 대기와 유영 가능한 구조의 로봇을 활용하여 인명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작전지역의 군사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및 그 운용방법{Submarine robot for sea power command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중에서 장기간 대기와 유영 가능한 구조의 로봇을 활용하여 인명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작전지역의 군사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지전 혹은 전면전 발생시 인접한 해역 및 국가의 운용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바다에 대한 제해권 확보는 전쟁의 필수 요소이다. 과거 2차 대전에서 영국을 고립시키기 위하여 독일이 잠수함인 U-Boat를 이용하여 제해권을 확보하려 했으나, 대서양에서 미국에 제해권을 빼앗기게 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던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최근에는 바다에서 석유 자원 등이 발견되게 되면서 이해관계가 있는 바다에 대한 제해권을 지키는 일이 더욱더 중요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되어 수중 로봇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04419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75641호 등의 선행특허를 참조할 수 있다.
전자의 선행특허는 수중에서 유영 가능하며, 원격 통신 모듈 및 영상획득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수중 로봇; 상기 수중 로봇의 움직임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부; 상기 수중 로봇으로부터 획득된 수중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수중 로봇의 이동 목표를 설정하는 정보분석부; 및 상기 획득된 수중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어류에게 외부자극을 가하여 운동량을 증가시키면서 생태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후자의 선행특허는 전면 외부에 목표물에 접착될 수 있는 원형의 강력자석과 목표추적을 위한 카메라를 장착하고, 1단계 모터추진장치, 2단계 로켓 추진장치, 3단계 고폭탄 장치의 3단으로 분리해 각 부분이 연결조립되고, 본부지령실과 GPS 간에 교신을 할 수 있는 안테나를 구비하고, 공기탱크를 만들어 유도미사일이 항상 직립으로 부상 정지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은밀하게 수중항진 후 다양한 목표를 동시에 타격하여 제거함으로써 일시에 적의 연해 군사력을 무력화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전자의 선행특허는 원격에서 유연한 이동을 제어할 수 있지만 폭탄을 탑재한 군사용도로 활용하기 곤란하고, 후자의 선행특허는 작전지역의 수중에서 장기간 대기하면서 임무를 수행하는 용도로 활용하기 미흡하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04419호 "어류 관리용 수중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공개일자 : 2012. 5. 8.)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75641호 "수중과 지상 목표물 공격용 소형 스텔스 유도미사일"(공개일자 : 2012. 7. 9.)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에서 장기간 대기와 유영 가능한 구조의 로봇을 활용하여 인명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작전지역의 군사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은, 수중 생물체의 형상을 지닌 본체; 상기 본체에 프로펠러를 탑재한 추진부; 상기 본체에 GPS수신기와 송수신기를 탑재한 통신부; 상기 본체에 탄두와 점화기를 탑재한 폭발부; 및 상기 추진부, 통신부, 폭발부에 전원을 제공하면서 설정된 조건으로 작동 신호를 입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수중 생물체의 형상에 부합하는 방향타와, 부상력을 변동하기 위한 밸러스트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아군과 적군의 함정을 구분하기 위한 음파탐지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폭발부는 설정된 조건에서 부착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적함의 목표가 결정되기 전에는 본체를 최소한의 전력으로 유영시키는 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청구항 1의 수중 로봇에서 제어부의 주도하에 본체를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작전지역을 정찰하며 적함을 탐지하는 단계; (b) 적함의 목표가 결정되면 접근하여 프로펠러를 탐지하는 단계; 및 (c) 프로펠러가 탐지되면 충돌하여 자폭하고, 탐지되지 않으면 선체에 자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각 단계 중의 하나에서 주요부의 비정상작동이나 저전압 상태로 판단되면 수면으로 부상하여 회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에서 장기간 대기와 유영 가능한 구조의 로봇을 활용하여 인명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작전지역의 군사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로봇에 탑재된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로봇의 주요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로봇을 작전지역에 투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로봇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시 혹은 어떤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제해권 확보가 필요할 때, 작전지역에 침투한 적군의 수중함이나 수상함을 효과적으로 무력화시킬 수 있는 개념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은 수중 생물체의 형상을 지닌 본체(10)를 구비한다. 수중 생물체 형태의 본체(10)를 지닌 로봇을 이용하면 아군 인원을 최소한으로 투입하면서 작은 동력으로 비교적 넓은 지역에 대한 제해권 확보가 가능하다. 도 1은 수중 생물체로서 물고기를 예시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10)는 수중 생물체의 형상에 부합하는 방향타(12)와, 부상력을 변동하기 위한 밸러스트기(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가 물고기 형태라면 방향타(12)는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위치에 배치한다. 본체(10)의 급선회가 필요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프로펠러(24)가 탑재된 꼬리지느러미를 방향타(12)로 구성할 수도 있다. 밸러스트기(15)는 밸러스트탱크, 펌프, 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며 본체(10)를 원하는 수심에 위치시키거나 수면상으로 부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 프로펠러(24)를 탑재한 추진부(20)가 구비된다. 추진부(20)의 프로펠러(24)는 본체(10)의 선미(꼬리) 부분에 장착하고, 저소음 구동을 위해 엔진보다 모터(22)를 사용한다. 전술한 방향타(12)도 또 다른 모터(22)를 기반으로 하는 기구로 구동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 GPS수신기(31)와 송수신기(35)를 탑재한 통신부(30)가 구비된다. 통신부(30)는 양호한 송수신 감도 확보에 유리하도록 본체(10)의 상측으로 고감도 안테나와 함께 배치된다. GPS수신기(31)는 GPS 위성으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제어부(50)로 보낸다. 물론 GPS수신기(31)의 오류나 GPS의 불안정 상황에 대비하여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와 같은 센서의 신호를 병용할 수 있다. 송수신기(35)는 상기 GPS수신기(31)의 정보를 비롯한 종합적 제어 정보를 아군의 관제센터에 있는 서버로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30)는 아군과 적군의 함정을 구분하기 위한 음파탐지기(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중함이나 수상함의 음원에서 발생하는 음파에서 고유의 음색을 추출하여 적함의 종류를 판별한다. 물론 아군의 함정에서 사전에 약속된 신호패턴을 송출하는 방식으로 음파탐지기(33)에 의한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본체(10)는 어뢰나 기뢰와는 다르게 적함의 소나에 검출되지 않도록 충분히 작은 크기의 물고기 형태를 취하는 외에 흡음성, 전파흡수성, 열상감지 방지성을 지닌 특수 도료로 피복되는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 탄두(42)와 점화기(44)를 탑재한 폭발부(40)가 구비된다. 폭발부(40)는 물고기 형태의 본체(10)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일체화된다. 탄두(42)는 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되고 그 일측으로 기폭을 위한 점화기(44)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폭발부(40)는 설정된 조건에서 부착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기(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력발생기(46)는 본체(10)를 적함의 프로펠러에 부착시켜 탄두(42)의 폭발력을 증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평상시 운반과 보관의 편리성과 이물질 부착 방지를 위해 자력발생기(46)의 자력이 온오프되는 방식이 선호된다. 이를 위해 자력발생기(46)는 매그스위치 또는 전자석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추진부(20), 통신부(30), 폭발부(40)에 전원을 제공하면서 설정된 조건으로 작동 신호를 입출력하는 제어부(50)가 구비된다. 제어부(50)가 추진부(20), 통신부(30), 폭발부(40)에 제공하는 전원은 배터리(55)를 사용한다. 제어부(50)는 추진부(20)의 프로펠러(24)와 방향타(12)를 제어하여 적함을 추적하고 폭발부(40)의 점화기(44)에 신호를 보내어 탄두(42)의 폭발을 유발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50)는 GPS수신기(3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송수신기(35)가 전송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아군의 관제센터에 있는 서버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음파탐지기(33)의 신호를 필터링 및 푸리에 변환을 거친후에 광대역 기저신호를 추출하여 식별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50)는 적함의 목표가 결정되기 전에는 본체(10)를 최소한의 전력으로 유영시키는 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로봇은 평소에 수중에서 조류의 움직임에 연동하면서 이동하여 배터리(55)의 동력소모를 최소로 한다. 그리고 설정된 주기마다 수면위로 부상하여 아군의 관제센터와 통신을 하면서 자신의 위치를 송신하고 작전지 이동을 비롯한 각종 지시를 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생물체 형태의 로봇(R)을 작전지역(A)에 배치하여 운영하는 개념을 보여준다. 로봇(R)은 제해권 확보가 필요한 지역에 넓게 다량으로 분포되어 최소한의 동력을 소비하면서 작전지역에 머문다. 작전지역으로 적함(E)이 접근하게 되면 로봇은 자체추진 기능을 이용하여 적함(E)에 접근하여 폭파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도 4에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청구항 1의 수중 로봇에서 제어부(50)의 주도하에 본체(10)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본체(10) 상에 추진부(20), 통신부(30), 폭발부(40), 제어부(50)를 탑재한 수중 로봇을 작전지역(A)에 투입하여 작전을 수행하는 구체적 로직의 일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 (a)는 작전지역을 정찰하며 적함을 탐지하는 로직을 수행한다. 로봇의 각 객체가 분담할 수 있는 용량에 따라 작전지역에 배치되는 로봇의 수량이 결정된다. 각각의 로봇은 할당된 영역을 정찰하면서(S10) 음파탐지기(33) 등을 이용하여 수중함과 수상함을 탐지하여 적함을 식별한다(S20). 물론 적함의 식별시 아군의 관제센터와 교신하여 조력이나 지시를 받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 (b)는 적함의 목표가 결정되면 접근하여 프로펠러를 탐지하는 로직을 수행한다. 적함이 다수 존재하거나 할당 영역의 경계선 상에 위치하는 경우 아군의 관제센터에서 지시를 받아 공격 대상을 결정하고(S30), 추진부(20)를 가동하여 적함을 추적하면서 인접한 근거리로 접근하고(S40), 음파탐지기(33)를 이용한 음향해석을 통하여 프로펠러의 위치를 식별한다(S50). 물론 적함의 프로펠러 식별시 아군의 관제센터와 교신하여 조력이나 지시를 받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 (c)는 프로펠러가 탐지되면 충돌하여 자폭하고, 탐지되지 않으면 선체에 자폭하는 로직을 수행한다. 만일 단계 S50에서 프로펠러가 식별되면 금속의 특성을 이용하여 적함의 프로펠러 주위로 접근하고 자력발생기(46)를 가동하여 밀착한 다음 폭발하여 적함의 프로펠러를 손상시킨다. 만일 단계 S50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프로펠러가 식별되지 않으면 현재의 위치에서 자력발생기(46)를 가동하여 선체에 밀착한 다음 폭발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각 단계 중의 하나에서 주요부의 비정상작동이나 저전압 상태로 판단되면 수면으로 부상하여 회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S60에서 정상적인 임무 수행이 곤란한 경우 밸러스트기(15)를 작동하여 수면으로 부상한 후에 설정된 신호를 송출한다. 주요 기능부 이상으로 비정상작동인 경우 수거하여 정비소로 보내고, 저전압 상태인 경우 현장에서 배터리(55)를 충전이나 교체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아군의 수중함, 수상함의 운용을 최소로 축소하면서 상시 필요 해상에 대한 방어가 가능하다.
(2) 작전지역에 전투 인원을 배치하고 교전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명 손실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제해권을 장악할 수 있다.
(3) 해적 출몰 지역을 비롯한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방어가 가능하여 해적의 위협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2: 방향타
15: 밸러스트기 20: 추진부
22: 모터 24: 프로펠러
30: 통신부 31: GPS수신기
33: 음파탐지기 35: 송수신기
40; 폭발부 42: 탄두
44: 점화기 46: 자력발생기
50: 제어부 55: 배터리

Claims (7)

  1. 수중 생물체의 형상을 지닌 본체(10);
    상기 본체(10)에 프로펠러(24)를 탑재한 추진부(20);
    상기 본체(10)에 GPS수신기(31)와 송수신기(35)를 탑재한 통신부(30);
    상기 본체(10)에 탄두(42)와 점화기(44)를 탑재한 폭발부(40); 및
    상기 추진부(20), 통신부(30), 폭발부(40)에 전원을 제공하면서 설정된 조건으로 작동 신호를 입출력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수중 생물체의 형상에 부합하는 방향타(12)와, 부상력을 변동하기 위한 밸러스트기(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30)는 아군과 적군의 함정을 구분하기 위한 음파탐지기(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발부(40)는 설정된 조건에서 부착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기(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적함의 목표가 결정되기 전에는 본체(10)를 최소한의 전력으로 유영시키는 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6. 청구항 1의 수중 로봇에서 제어부(50)의 주도하에 본체(10)를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작전지역을 정찰하며 적함을 탐지하는 단계;
    (b) 적함의 목표가 결정되면 접근하여 프로펠러를 탐지하는 단계; 및
    (c) 프로펠러가 탐지되면 충돌하여 자폭하고, 탐지되지 않으면 선체에 자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의 운용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 중의 하나에서 주요부의 비정상작동이나 저전압 상태로 판단되면 수면으로 부상하여 회수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의 운용방법.
KR1020130068531A 2013-06-14 2013-06-14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및 그 운용방법 KR20140146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531A KR20140146282A (ko) 2013-06-14 2013-06-14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531A KR20140146282A (ko) 2013-06-14 2013-06-14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282A true KR20140146282A (ko) 2014-12-26

Family

ID=5267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531A KR20140146282A (ko) 2013-06-14 2013-06-14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62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4867A (zh) * 2022-06-01 2022-08-30 钱慧慧 回收式水声侦察设备及回收方法
KR102510469B1 (ko) * 2022-07-07 2023-03-1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정 방어시스템 및 함정 방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4867A (zh) * 2022-06-01 2022-08-30 钱慧慧 回收式水声侦察设备及回收方法
KR102510469B1 (ko) * 2022-07-07 2023-03-1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정 방어시스템 및 함정 방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4159A (en) Method and system for destroying submerged objects, in particular submerged mines
US201502250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ion Tracking of Approaching Magnetic-Detonated and Traditional Impact Torpedoes
KR101934776B1 (ko) 수중드론을 이용한 미사일 사전탐지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US20160040968A1 (en) Aquatic vessel fiber optic network
JP6950122B2 (ja) 魚雷防御システム
KR20150002988A (ko) 수중생물 형태를 지닌 수중로봇 및 그 운용방법
US9440718B1 (en) System and methods of using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UUVs) along with tethers and tethered devices
US20210331774A1 (en) Modular underwater vehicle
KR20150002986A (ko) 군사용 수중로봇 및 그 운용방법
RU2013127618A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морских целей
US6498767B2 (en) Cruise missile deployed sonar buoy
US5144587A (en) Expendable moving echo radiator
KR101141522B1 (ko) 수중 표적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RU2753986C1 (ru) Авиационный плавающий подводный снаряд
KR20140146282A (ko)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및 그 운용방법
RU2413156C1 (ru) Противовоздушный (противокорабельный) автономный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омплекс позиционный подводный управляемый ("паук" ппу)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GB24707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ence against persons intruding underwater
CN102963513A (zh) 一种拟音潜艇
RU2733732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надводного корабля и судна от поражения торпедой
RU2672827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дводным аппаратом
CN113342014A (zh) 一种用于滩头破障的水下航行器编队、系统及方法
CN103513251A (zh) 星控浮标声纳反潜阵
KR20150009081A (ko)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RU2651868C1 (ru) Противолодочный боеприпас
WO2010025951A2 (en) Marine defe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