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081A -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 Google Patents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081A
KR20150009081A KR1020130082674A KR20130082674A KR20150009081A KR 20150009081 A KR20150009081 A KR 20150009081A KR 1020130082674 A KR1020130082674 A KR 1020130082674A KR 20130082674 A KR20130082674 A KR 20130082674A KR 20150009081 A KR20150009081 A KR 20150009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my
propeller
ship
underwater
buoy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진
김신형
김연태
조신희
최영복
엄항섭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9081A/ko
Publication of KR20150009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22/00Marine mines, e.g. launched by surface vessels or submarines
    • F42B22/04Influenced mines, e.g. by magnetic or acoustic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22/00Marine mines, e.g. launched by surface vessels or submarines
    • F42B22/08Drifting m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를 개시한다.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중부력체; 적함을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수중부력체에 설치되는 피아식별 센서; 적함과 아군함을 식별할 수 있는 피아식별 센서에 의해서 확인된 적함에 상기 수중부력체를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에 설치되는 자력부; 상기 제1 몸체에 권취되며,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적함의 추진기를 파손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는 기폭 부; 및 상기 자력부에 의해서 상기 적함에 부착된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상기 제2 몸체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몸체 분리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Apparatus for attacking propeller of enemy}
본 발명은 적함의 추진기를 공격하기 위한 장치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중성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춰 작전 해역 및 수심에 방사해 놓은 후, 적함의 선미에 자력(磁力)으로 부착한 후, 와이어가 풀리고 기폭 부가 추진기(프로펠러)에 감기게 되며, 이때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서 기폭 부가 폭발하여 적함의 추진기에 손상을 주도록 구성된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쟁은 버튼 전쟁이라 불릴 정도로 과학 기술의 전쟁이라 할 수 있다. 버튼만 누르면 미사일이 자동으로 조준되어 발사되기 때문에 감지 장치 또는 조준 장치 등의 최첨단의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과학 기술의 집약체라 불리는 군함이나 잠수함의 경우에는 어뢰 및 어뢰의 방어 장치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최근의 어뢰는 함정으로부터 방사 또는 반사된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표적을 탐색하고 추적하는 음향 호밍(Acoustic Homming) 능력이 있다.
이로 인해 어뢰 공격을 조기에 탐지하고 공격어뢰의 음향 호밍 장치 기능을 교란 또는 기만하는 음향 대항 체계(Acoustic Countermeasure System) 등의 다양한 방어 장치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어뢰는 수중함 또는 수상함에 직접 발사하여 적함의 선체에 충돌하여 폭발하는 것으로, 어뢰에 의한 적함의 피해 효과는 크지만, 제조 비용이 비싸고, 어뢰 방어 시스템 등의 발전에 의해서 명중 확률이 낮은 단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성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춰 작전 해역 및 수심에 방사해 놓은 후, 적함의 선미에 자력(磁力)으로 부착한 후, 연결부재(와이어)가 풀리고 기폭 부가 추진기(프로펠러)에 감기게 되며, 이때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서 기폭 부가 폭발하여 적함의 추진기에 손상을 주는 구성으로, 전체 구성이 단순하여 저 비용이면서도 효과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며, 소형이며, 무 소음이므로 적함에 탐지되지 않아 매우 성능이 뛰어난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중부력체; 적함을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수중부력체에 설치되는 피아식별 센서; 적함과 아군함을 식별할 수 있는 피아식별 센서에 의해서 확인된 적함에 상기 수중부력체를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에 설치되는 자력부; 상기 제1 몸체 내부에 권취되며,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적함의 추진기를 파손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는 기폭 부; 및 상기 자력부에 의해서 상기 적함에 부착된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상기 제2 몸체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몸체 분리기;를 포함한다.
상기 수중부력체는 자체 추진을 위한 추진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폭 부가 장착된 상기 제2 몸체는 자체의 중성부력에 의해 해저 아래로 가라앉지 않고 상기 적함의 선미 쪽으로 흐르는 해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폭 부가 장착된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적함의 추진기에 감기면, 상기 연결부재에 일정 이상의 장력이 걸리게 되어서, 상기 기폭 부가 폭발하여 상기 적함의 추진기에 손상을 주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함의 추진기 공격방법은 제1 몸체와 제2 몸체로 구성된 수중부력체가 수중에서 이동하는 단계; 피아식별 센서가 적군을 탐지하는 단계; 자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수중부력체의 제1 몸체를 적함에 부착하는 단계; 몸체 분리기가 작동하여 제1 몸체로부터 제2 몸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기폭 부가 장착된 상기 제2 몸체가 자체의 중성부력에 의해 해저 아래로 가라앉지 않고 상기 적함의 선미 쪽으로 흐르는 해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서 상기 기폭 부가 폭발하여 상기 적함의 추진기에 손상을 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 구성 단순하여 저 비용이면서도 효과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소형이며, 무 소음이므로 적함에 탐지되지 않아 매우 성능이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를 보인 것으로, 적함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를 보인 것으로, 제1 몸체로부터 제2 몸체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측면 구성도
도 5는 기폭 부의 폭발을 보인 도면
도 6은 적함의 추진기 공격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100)는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중부력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수중부력체(110)는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중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다른 형상, 유선형 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1 몸체(111)는 적함(1)에 부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 몸체(112)는 제1 몸체(111)로부터 분리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중부력체(110)는 자체 추진을 위한 추진기(111a)를 구비한다.
상기 추진기(111a)에 의해서 상기 수중부력체(110)는 해저 면과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수중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적함을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수중부력체(110)의 제1 몸체(111)에는 피아식별 센서(120)가 설치된다.
적함1과 아군함을 식별할 수 있는 피아식별 센서(120)에 의해서 확인된 적함(1)에 상기 수중부력체(110)의 제1 몸체(111)를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111)에는 자력부(130)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는 와이어(140)로 연결되는 데, 연결부재, 예를 들어 와이어(140)는 상기 제1 몸체(111) 내부의 권취 바(111b)에 권취되어 있다.
상기 제2 몸체(112)가 상기 제1 몸체(111)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와이어(140)는 권취바(111b)에서 풀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적함(1)의 추진기(1a)를 파손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몸체(112)에는 기폭 부(150)가 설치된다. 상기 기폭 부(150)는 와이어(140)가 당겨질 때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력부(130)에 의해서 상기 적함에 부착된 상기 제1 몸체(111)로부터 상기 제2 몸체(112)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111)와 상기 제2 몸체(112) 사이에는 몸체 분리기(160)가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몸체 분리기(160)의 일 예로는 로킹 돌기와 로킹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111)에는 로킹 돌기가 형성되고 제2 몸체(112)에는 로킹 홈이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로킹 돌기가 로킹 홈에 로킹하여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가 결합되어 있다가, 적함 공격시 로킹 돌기가 로킹 홈에서 언로킹하여 제1 몸체(111)에서 제2 몸체(112)가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 분리기(160)는 자력부(130)에 의해서 제1 몸체(111)가 적함(1)에 부착된 이후에 일정시간 이후에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폭 부(150)가 장착된 상기 제2 몸체(112)는 자체의 중성부력에 의해 해저 아래로 가라앉지 않고 상기 적함(1)의 선미 쪽으로 흐르는 해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폭 부(150)가 장착된 상기 제2 몸체(112)가 상기 제1 몸체(111)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와이어(140)가 상기 적함(1)의 추진기(1a)에 감기면, 상기 와이어(140)에 일정 이상의 장력이 걸리게 되어서, 상기 기폭 부(150)가 폭발하여 상기 적함(1)의 추진기(1a)에 손상을 주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함의 추진기 공격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함의 추진기 공격 방법은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로 구성된 수중부력체(110)가 수중에서 이동하는 단계(S 10); 피아식별 센서(120)가 적군(1)을 탐지하는 단계(S 20); 자력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수중부력체(110)의 제1 몸체(111)를 적함(1)에 부착하는 단계(S 30); 몸체 분리기(160)가 작동하여 제1 몸체(111)로부터 제2 몸체(112)를 분리하는 단계(S 40); 상기 기폭 부(150)가 장착된 상기 제2 몸체(112)가 자체의 중성부력에 의해 해저 아래로 가라앉지 않고 상기 적함(1)의 선미 쪽으로 흐르는 해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단계(S 50); 및 상기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를 연결하는 와이어(140)의 장력에 의해서 상기 기폭 부(150)가 폭발하여 상기 적함(1)의 추진기(1a)에 손상을 주는 단계(S 6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적함의 추진기 공격 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자체적으로 중성부력 기능을 갖는 수중부력체(110) 다수를 작전 해역 및 수심에 방사해 놓는다. 수중부력체(110)가 수중으로 이동하다가 함선이 접근하면, 피아식별 센서(120)가 적군(1)을 탐지한다.
여기서, 피아식별 센서(120)가 아군과 적군(1)을 구별하는 방법의 일 예로는 아군에서 특정 주파수를 감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피아식별 센서(120)가 접근하는 함선으로부터 특정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감지하는 경우에 아군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피아식별 센서(120)가 적군(1)을 탐지한 경우에 자력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수중부력체(110)의 제1 몸체(111)를 적함(1)에 부착한다. 함선은 대부분 스틸로 제작되므로, 자력체인 자력부(130)가 적군(1)에 부착될 수 있다.
그 다음, 몸체 분리기(160)가 작동하여 제1 몸체(111)로부터 제2 몸체(112)를 분리한다. 상기 몸체 분리기(160)는 평상시에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를 로킹하고 있다가 필요시에 로킹을 해제하여 제1 몸체(111)로부터 제2 몸체(112)를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폭 부(150)가 장착된 상기 제2 몸체(112)는 자체의 중성부력에 의해 해저 아래로 가라앉지 않고 상기 적함(1)의 선미 쪽으로 흐르는 해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기폭 부(150)가 장착된 상기 제2 몸체(112)가 상기 제1 몸체(111)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와이어(140)가 상기 적함(1)의 추진기(1a)에 감기면, 상기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를 연결하는 와이어(140)의 장력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140)의 장력에 의해서, 상기 기폭 부(150)가 폭발하여 상기 적함(1)의 추진기(1a)에 손상을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 구성 단순하여 저 비용이면서도 효과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이며, 무 소음이므로 적함에 탐지되지 않아 매우 성능이 뛰어나다.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적함
1a: 적함의 추진기
100: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110: 수중부력체
111: 제1 몸체
111a: 추진기
111b: 권취 바
112: 제2 몸체
120: 피아식별 센서
130: 자력부
140: 와이어
150: 기폭 부
160: 몸체 분리기

Claims (6)

  1. 제1 몸체와 제2 몸체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중부력체;
    적함을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수중부력체에 설치되는 피아식별 센서;
    적함과 아군함을 식별할 수 있는 피아식별 센서에 의해서 확인된 적함에 상기 수중부력체를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에 설치되는 자력부;
    상기 제1 몸체 내부에 권취되며,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적함의 추진기를 파손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몸체에 설치되는 기폭 부; 및
    상기 자력부에 의해서 상기 적함에 부착된 상기 제1 몸체로부터 상기 제2 몸체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몸체 분리기;를 포함하는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중부력체는 자체 추진을 위한 추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폭 부가 장착된 상기 제2 몸체는 자체의 중성부력에 의해 해저 아래로 가라앉지 않고 상기 적함의 선미 쪽으로 흐르는 해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폭 부가 장착된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적함의 추진기에 감기면, 상기 연결부재에 일정 이상의 장력이 걸리게 되어서, 상기 기폭 부가 폭발하여 상기 적함의 추진기에 손상을 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중부력체는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6. 적함의 추진기를 파손하기 위한 적함의 추진기 공격방법에 있어서,
    제1 몸체와 제2 몸체로 구성된 수중부력체가 수중에서 이동하는 단계;
    피아식별 센서가 상기 적군을 탐지하는 단계;
    자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수중부력체의 제1 몸체를 적함에 부착하는 단계;
    몸체 분리기가 작동하여 제1 몸체로부터 제2 몸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기폭 부가 장착된 상기 제2 몸체가 자체의 중성부력에 의해 해저 아래로 가라앉지 않고 상기 적함의 선미 쪽으로 흐르는 해수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장력에 의해서 상기 기폭 부가 폭발하여 상기 적함의 추진기에 손상을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함의 추진기 공격방법.
KR1020130082674A 2013-07-15 2013-07-15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KR20150009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674A KR20150009081A (ko) 2013-07-15 2013-07-15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674A KR20150009081A (ko) 2013-07-15 2013-07-15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081A true KR20150009081A (ko) 2015-01-26

Family

ID=5257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674A KR20150009081A (ko) 2013-07-15 2013-07-15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90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966A1 (ko) * 2017-02-24 2018-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484576A (zh) * 2020-12-07 2021-03-12 湖南翰坤实业有限公司 一种作战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966A1 (ko) * 2017-02-24 2018-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484576A (zh) * 2020-12-07 2021-03-12 湖南翰坤实业有限公司 一种作战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1899B1 (en) Multiple torpedo mine
US5677506A (en) Submarine extendible turret system
US3811379A (en) Encapsulated torpedo mine weapon system
US9440718B1 (en) System and methods of using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UUVs) along with tethers and tethered devices
US6766745B1 (en) Low cost rapid mine clearance system
RU2654435C1 (ru)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охотник
RU265759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оторпедной защиты надводного корабля
KR101060153B1 (ko) 함정 피격성 향상을 위한 위협세력 기만선박
KR20130017095A (ko) 수중기만형 어뢰시스템 및 방법
KR200378614Y1 (ko) 어뢰 방어 장치
RU2753986C1 (ru) Авиационный плавающий подводный снаряд
KR20150009081A (ko)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US6305263B1 (en) Appended pod underwater gun mount
US20120012022A1 (en) Device and method for warding off objects approaching a ship under or on water
KR20150002986A (ko) 군사용 수중로봇 및 그 운용방법
CN102963513B (zh) 一种拟音潜艇
CN103673760A (zh) 潜水式/浮力动力/滑翔(导弹/鱼雷)系统
GB2277980A (en) Gun launchable shell and fuse
RU2733732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надводного корабля и судна от поражения торпедой
US6868768B1 (en) Surf zone mine clearance and assault system
RU26055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ничтожения кораблей противника
RU2733734C2 (ru) Способ поражения морской цели торпедами
RU2325613C2 (ru) Способ боевого применения ракеты
US6923105B1 (en) Gun-armed countermeasure
KR20140146282A (ko) 제해권 장악을 위한 수중 로봇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