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925B1 - 통합 계좌 운영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계좌 운영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925B1
KR101144925B1 KR1020100051113A KR20100051113A KR101144925B1 KR 101144925 B1 KR101144925 B1 KR 101144925B1 KR 1020100051113 A KR1020100051113 A KR 1020100051113A KR 20100051113 A KR20100051113 A KR 20100051113A KR 101144925 B1 KR101144925 B1 KR 101144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deposit
withdrawal
integrated
accou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596A (ko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중소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소기업은행 filed Critical 중소기업은행
Priority to KR1020100051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92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다수의 입출금 계좌를 하나의 통합 입출금 계좌로 통합한 통합 계좌 운영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통합 계좌 운영 시스템의 일예에 따르면, 고객의 요청에 따라 통합 계좌를 설정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을 하나의 통합 계좌로 등록하고, 상기 하나의 통합 계좌로 등록된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한 입출금 동작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며, 상기 등록된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응하는 상기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를 발생하는 통합 계좌 관리부와, 금융 거래에 따른 이체 처리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금융 거래의 대상이 상기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이 설정된 통합 계좌인 경우, 상기 통합 계좌에 등록된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해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인 입출금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이체 처리부 및 상기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 정보, 상기 통합 계좌 각각에 등록된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의 계좌번호 정보 및, 상기 통합 계좌 각각에 등록된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의 입출금 동작의 우선순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합 계좌 운영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Integrated Account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계좌 운영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다수의 입출금 계좌를 하나의 통합 입출금 계좌로 통합한 통합 계좌 운영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이 발달하면서 계좌 이체 처리를 포함하는 각종 금융 거래가 인터넷 뱅킹을 통해 처리되고 있다. 각종 금융 거래의 일예로서, 각종 자동이체 처리, 신용 카드 결제 처리 등 출금성 업무가 상기 금융 거래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객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하나 이상 또는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 중 어느 하나의 계좌에 대하여 자동 이체 처리가 수행되도록 등록을 하면 일정한 주기, 일예로서 매달 설정된 날에 주기적으로 입출금 동작이 발생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금융 고객은 여러 개의 입출금 계좌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계좌별로 그 운영을 달리하고 있다. 그 운영 예로서, 각 계좌들의 이율 및 각종 특성을 참조하여 입금 위주의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계좌들이나, 또는 소비의 목적의 측면에서 출금 위주의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계좌들을 서로 달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재테크의 목적에 따라 적립식 입금 계좌를 따로 두어 소득의 일정 부분이 주기적으로 해당 계좌로 자동 이체가 처리되도록 하는 등 각 계좌별 예금액의 잔액의 정도가 다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입출금 계좌들의 잔액이 서로 분산되어 그 운영을 달리 하고 있으므로, 특정 행위(일예로서, 자동이체 금융거래)시 잔액 부족에 따른 불편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소정의 입출금 계좌에 매달 자동이체가 설정되어 출금 동작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입출금 계좌에 잔액 부족이 발생한 경우에는 연체, 지연 납입 및 이에 따른 연체료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체 입출금 계좌들을 하나의 통합계좌로 설정하여 운영하는 통합 계좌 운영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좌 운영 시스템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통합 계좌를 설정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을 하나의 통합 계좌로 등록하고, 상기 하나의 통합 계좌로 등록된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한 입출금 동작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며, 상기 등록된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응하는 상기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를 발생하는 통합 계좌 관리부와, 금융 거래에 따른 이체 처리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금융 거래의 대상이 상기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이 설정된 통합 계좌인 경우, 상기 통합 계좌에 등록된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해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인 입출금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이체 처리부 및 상기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 정보, 상기 통합 계좌 각각에 등록된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의 계좌번호 정보 및, 상기 통합 계좌 각각에 등록된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의 입출금 동작의 우선순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계좌 관리부는, 상기 고객의 요청에 따라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를 발생하는 통합 계좌 생성부와, 상기 통합 계좌에 대응하여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을 상기 통합 계좌에 등록하는 입출금 계좌 등록부 및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해 입출금 동작의 우선순위를 지정하기 위한 입출금 순위 지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체 처리부는, 금융 거래가 요청된 계좌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금융 거래가 요청된 계좌가 통합 계좌인지를 판단하는 계좌정보 판단부와, 상기 금융 거래가 요청된 계좌가 통합 계좌인 경우, 상기 통합 계좌에 등록된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등록 계좌 정보 제공부와,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 각각에 대한 입출금 동작의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우선순위 정보 제공부 및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와 관련된 정보 및 입출금 동작의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른 순차적인 입출금 동작을 수행하는 이체 수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방법은, 통합 계좌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계좌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된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에 대하여 입출금 동작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계좌에 대한 금융 거래 발생시, 상기 통합 계좌에 대응하여 등록된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의 계좌번호와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에 대하여 지정된 입출금 동작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른 순차적인 이체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통합 입출금 계좌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에 따르면, 고객의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을 하나의 통합 계좌로 관리하여 자동 이체 등의 금융 거래를 수행하므로, 금융 거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일부 계좌의 잔액 부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연체, 지연 납입 및 연체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좌 운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계좌 운영 시스템의 구성의 일예를 자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계좌 운영 시스템의 계좌 처리 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좌 운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계좌 운영 시스템(1000)과 네트워크 망(일예로서,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계좌 운영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게 되는 다수의 고객 단말기(2100, 2200)가 더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좌 운영 시스템(1000)은 시스템 제어부(1100), 통합계좌 관리부(1200), 이체 처리부(1300), 통합계좌 데이터베이스부(1400)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00)를 구비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1100)는 계좌 운영 시스템(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시스템 제어부(1100)는 고객 단말기(2100, 2200)로부터 계좌 이체 처리를 포함하는 각종 금융 거래와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금융 거래를 수행한다. 일예로서, 일부의 고객 단말기(2100)는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개인 고객이 사용하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개인 고객의 경우 개인이 직접 타 입출금 계좌로의 예금 이체의 요청을 계좌 운영 시스템(10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개인 고객이 다른 기업체(예컨대, 신용 카드 회사)와의 계약에서 개인 고객의 소정의 입출금 계좌에 대한 자동 이체 계약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다른 기업체에서 사용되는 고객 단말기(2200)가 개인 고객의 입출금 계좌에 대한 자동 이체 요청을 계좌 운영 시스템(10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인터넷 상거래가 발달하면서, 개인 고객의 입출금 계좌에 대한 상기와 같은 자동 이체 요청이 다양한 형태로 계좌 운영 시스템(10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좌 운영 시스템(1000)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금융 거래 이외에도 어느 하나의 고객의 다수의 입출금 계좌를 하나의 통합 계좌로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계좌 운영 시스템(1000)은 통합 계좌 관리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상기 통합 계좌를 운영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구비한다.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를 하나의 입출금 계좌와 같이 통합하여 운영될 수 있도록, 통합계좌 관리부(1200)는 고객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입출금 계좌에 대응하는 하나의 가상계좌(통합계좌)를 발생하고, 고객의 기 요청 및 설정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통합계좌를 다수의 입출금 계좌에 연동시킴으로써 금융 거래가 상기 통합계좌에 의해 수행되도록 한다.
계좌 운영 시스템(1000)은 고객의 통합계좌 설정 요청 및 상기 설정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계좌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통합 계좌의 발생 및 설정 등과 관련된 동작은, 인터넷 망을 통하여 고객 단말기(2100, 2200)로부터 직접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합계좌 설정 동작은 오프라인으로 은행 영업장에 직접 방문한 고객이 제공한 정보를 이용하여 은행 영업장 내에서 직접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즉, 고객 단말기가 아니라 은행 영업장에 배치된 직원 단말기(미도시)가 고객이 요청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통합 계좌를 설정 및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체 처리부(1300)는 일반적인 이체 처리동작 및 통합계좌 설정에 따른 통합계좌 이체 처리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계좌 운영 시스템(1000)에서 이체 처리 대상으로서의 입출금 계좌가 가상계좌로서 기 설정된 통합계좌인지를 먼저 판별되고,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이체 처리부(1300)는 일반적인 이체 처리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통합계좌 설정에 따른 통합계좌 이체 처리동작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이체 처리동작이란, 어느 하나의 계좌(일예로서, 제1 계좌)에서 일정 금액을 다른 계좌(일예로서, 제2 계좌)로 이체하는 일반적인 이체 처리동작으로서, 만약에 제1 계좌의 잔액이 이체 처리되어야 할 일정 금액보다 작은 경우에는 이체 처리 동작이 수행되지 않거나, 또는 제1 계좌의 잔액만이 제2 계좌로 이체되도록 한다. 반면에, 통합계좌 이체 처리동작이란, 통합 계좌에 등록된 다수의 입출금 계좌의 잔액 및 상기 다수의 입출금 계좌의 우선순위(예컨대, 출금 우선순위)에 따라 등록된 출금 계좌 순으로 이체 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통합계좌 데이터베이스부(1400)는 상기 통합 계좌를 관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일예로서, 고객의 요청에 따라 다수의 입출금 계좌를 어느 하나의 통합계좌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된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들이 데이터베이스부(1400)에 저장된다. 또한, 각각의 통합 계좌와 관련되어 이에 등록된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한 계좌 번호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1400)에 저장되며, 또한 금융 거래 수행에 따라 출금 동작이 수행될 입출금 계좌들의 출금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부(1400)에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00)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1400)에 저장된 각종 정보들을 갱신하거나 추가, 삭제 등을 할 수 있다. 일예로서, 고객의 요청에 따라 통합 계좌의 설정을 해지하거나, 또는 통합 계좌에 등록되는 입출금 계좌들을 추가하거나 또는 등록된 입출금 계좌들의 일부의 등록 취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계좌 운영 시스템(1000)의 자세한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계좌 운영 시스템(1000)의 구성의 일예를 자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의 계좌 운영 시스템(10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 중 통합 계좌를 설정, 관리하며, 상기 설정된 통합 계좌에 따른 금융 거래 동작을 수행하는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좌 운영 시스템(1000)은 통합계좌 관리부(1200), 이체 처리부(1300) 및 통합계좌 데이터베이스부(14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통합계좌 관리부(1200)는 통합계좌 생성부(1210), 입출금 계좌 등록부(1220) 및 입출금 순위 지정부(12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이체 처리부(1300)는 이체처리 제어부(1310), 통합계좌 이체 관리부(1320) 및 이체 수행부(13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계좌 이체 관리부(1320)는, 계좌정보 판단부(1321), 등록계좌 정보 제공부(1322) 및 우선순위 정보 제공부(132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계좌 데이터베이스부(1400)는, 통합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1410), 등록계좌 정보 데이터베이스(1420) 및 우선순위 정보 데이터베이스(1430)를 구비할 수 있다.
통합계좌 관리부(1200)는, 고객의 요청에 응답하여 통합 계좌를 설정한다. 즉, 고객이 고객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합계좌 설정 요청을 제공하면, 통합계좌 관리부(1200)는 사용자로부터의 통합 계좌 설정을 위한 각종 정보들을 수신하기 위한 화면이 고객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사용자는 해당 화면의 정보 입력란을 통하여 통합 계좌 설정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통합계좌 생성부(12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가상 계좌번호를 생성하고 이를 통합 계좌로서 등록한다. 또한, 입출금 계좌 등록부(1220)는 상기 통합 계좌와 연동되는 다수의 입출금 계좌와 관련된 리스트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통합 계좌에 대응하는 입출금 계좌로서 등록한다. 입출금 순위 지정부(1230)는 고객으로부터 상기 통합 계좌에 등록된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하여 자동 이체 처리시 입출금에 대한 우선순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각 입출금 계좌들에 대한 입출금 순위를 지정한다.
상기 입출금 순위를 지정하는 것은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통합 계좌에 대응하여 n 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입출금 계좌들이 등록된 경우, 각각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하여 제1 내지 제n 순위를 지정한다. 만약, 통합 계좌로부터 다른 계좌로 예금액의 이체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먼저 제1 순위로 지정된 입출금 계좌에 대하여 이체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순위로 지정된 입출금 계좌에 이체 처리가 요구되는 금액보다 많은 예금액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순위로 지정된 입출금 계좌에 대한 이체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이체 처리 동작이 종료된다. 반면에, 상기 제1 순위로 지정된 입출금 계좌에 잔액이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순위로 지정된 입출금 계좌의 모든 잔액에 대한 이체 처리를 수행한 후, 나머지 이체 처리 금액에 대해서는 차순위의 입출금 계좌로부터 이체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입출금 순위를 지정하는 것 이외에도 다른 다양한 형태로 이체처리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예로서, 소정의 입출금 계좌에 입출금 순위 이외에도 각 계좌의 최대 출금액이라던지 각각의 입출금 계좌별로 계좌 이체 처리가 소정의 비율로서 수행되도록 설정하는 기능이 부가되어도 무방하다. 즉,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이 하나의 통합 계좌로 등록되어 이에 대해 자동 이체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더라도, 각각의 입출금 계좌들은 다른 금융 거래에 있어서 서로 독립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므로, 소정의 입출금 계좌(예컨대 제1 순위의 입출금 계좌)에 일부의 잔액이 남아있을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우선순위의 유동적인 설정이 가능하게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상기 이체 처리부(1300)는 일반적인 금융 거래에 따른 이체 처리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앞서 통합계좌 관리부(1200)에서 설정된 통합 계좌에 따른 이체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체 처리 제어부(1310)는 상기 이체 처리부(1300) 내에서 수행되는 이체 처리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또한 이체 수행부(1330)는 실제 입출금 계좌들 사이의 이체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통합계좌 이체 관리부(1320)는 소정의 금융 거래가 통합 계좌와 관련된 거래인 경우 이에 따른 전체적인 동작을 관리하기 위해 배치된다.
계좌정보 판단부(1321)는, 소정의 금융 거래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금융 거래가 요청된 계좌 번호가 통합 계좌와 관련된 거래인가를 판단한다. 즉, 상기 금융 거래를 수행함에 있어서 출금을 필요로 하는 계좌가 통합 계좌인가를 판단하며, 이를 위하여 이체 계좌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부(1400)에 저장된 통합 계좌 정보들과 서로 비교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비교 동작에 의하여 계좌 정보를 판단하는 동작이 수행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일반 계좌이체 동작 또는 통합 계좌에 따른 계좌 이체 동작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이체 처리 제어부(1310)에서 상기 판단 결과를 수신하고 이체 수행부(1330)를 제어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해당 금융 거래가 통합 계좌로부터의 계좌이체 처리동작인 경우, 등록계좌 정보 제공부(1322)는 상기 통합 계좌에 등록된 입출금 계좌들과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400)로부터 읽어들이고, 이에 대응하는 등록 계좌 정보를 이체 수행부(1330)로 제공한다. 또한, 우선순위 정보 제공부(1323)는 각각의 입출금 계좌들의 입출금 순위와 관련된 우선순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400)로부터 읽어들이고, 이에 대응하는 우선순위 정보를 이체 수행부(1330)로 제공한다. 이체 수행부(1330)는 상기 각종 정보들을 수신하고 이에 대해 실제 이체 처리동작을 수행한다. 즉, 고객은 상기 계좌이체 처리와 관련하여 하나의 통합 계좌번호만을 지정하여 이체 처리가 수행되도록 설정을 하게 되며, 상기 통합 계좌는 실제 입출거래가 발생하는 실질적인 계좌가 아니라 다수의 입출력 계좌들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가상적인 계좌이다. 그러나, 이체 수행부(1330)는 상기 통합 계좌에 대응하는 각종 입출금 계좌 및 우선순위 정보들을 통합계좌 이체 관리부(1320)로부터 제공받으므로, 실제 입출거래가 발생하는 입출금 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우선순위에 따른 이체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부(1400)는 통합계좌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으로서, 통합계좌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410)와, 통합 계좌에 등록되는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420)와, 각각의 입출금 계좌들의 입출금 우선순위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4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400)가 서로 구분되는 데이터베이스들(1410, 1420, 143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와 같은 각종 정보들이 서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통합된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부(1400) 내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도 1의 계좌 운영 시스템의 계좌 처리 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계좌 처리 동작의 일예로서, 소정의 거래일자에 통합 계좌를 이용하여 이체 처리동작이 수행되고, 상기 이체 처리 동작은 고객의 신용카드(BC) 사용에 따른 자동 이체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어느 하나의 통합 계좌에 세 개의 입출금 계좌들(입출금 계좌 A, B, C)이 등록되고, 그 우선순위가 A, B, C의 순으로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금액 310,000원에 대한 계좌 이체 처리가 통합 계좌를 통해 수행되고, 입출금 계좌 A에는 100,000원의 잔액이 존재하며, 입출금 계좌 B에는 90,000원의 잔액이 존재하고, 입출금 계좌 C에는 700,000원의 잔액이 존재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신용카드(BC) 사용에 따른 자동 이체 동작이 통합 계좌를 통해 수행되는 것인가가 먼저 판별되며, 판별 결과에 따라 통합 계좌를 통한 자동 이체 처리동작이 수행된다.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먼저 입출금 계좌 A에 대에 자동 이체처리 동작이 수행된다. 입출금 계좌 A의 잔액이 상기 이체금액 310,000원보다 부족하므로, 먼저 입출금 계좌 A의 잔액 전체에 대한 이체 처리동작이 수행된다. 이후, 차순위의 입출금 계좌 B와 관련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입출금 계좌 B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이체 처리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입출금 계좌 B의 잔액 또한 입출금 계좌 A에 대한 이체 처리를 수행하고 난 후의 이체금액 210,000원보다 작으므로, 입출금 계좌 B의 잔액 전체에 대한 이체 처리동작이 수행된다. 이후, 그 차순위의 입출금 계좌 C와 관련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입출금 계좌 C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이체 처리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통합 계좌에 따라 상기와 같이 발생된 금융 거래 내역은 각각의 입출금 계좌의 조회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또는 통합 계좌의 조회를 통하여 확인될 수 있다. 통합 계좌의 조회가 요청되는 경우, 해당 금융 거래와 관련하여 실제 이체처리 동작이 수행된 입출금 계좌들의 계좌번호 정보와 실제 이체 수행된 금액과 관련된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합 계좌 관리에 의해 자동 이체 처리가 수행됨으로써, 잔액 부족에 따른 연체, 지연납입 및 연체료 발생 등의 문제를 방지한다.
도 4a,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좌 이체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a는 통합 계좌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4b는 통합 계좌에 따른 자동 이체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의 통합 계좌 설정 요청에 따라 통합 계좌 등록 절차가 발생된다(S11). 고객이 거래하는 은행의 다수의 입출금 계좌 전체 또는 고객이 원하는 일부의 입출금 계좌를 선택하면, 해당 선택된 다수의 입출금 계좌에 대해 통합 계좌로서 등록된다(S12). 또한 통합 계좌 등록시 다수의 입출금 계좌에 대한 입출금 순위가 지정되며(S13), 상기 다수의 입출금 계좌 및 이에 대한 우선순위의 지정이 완료되면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가 발생된다(S14). 상기와 같이 발생된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 상기 계좌번호에 등록된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의 계좌 번호 및, 자동 이체에 따른 이체 동작의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시스템 내에 저장된다(S25).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된 통합 계좌를 각종 이체 등록, 신용카드 결제계좌 등록 등의 금융 거래에 사용하기 위하여, 고객은 상기 이체 등록 또는 신용카드 결제계좌 등록 시 이체 대상 계좌를 상기 통합 계좌로서 설정한다(S21). 이에 따라, 소정의 주기에 따른 결제일에 상기 통합 계좌를 통한 이체 처리 요청이 은행의 계좌 운영 시스템으로 제공되며(S22), 상기 계좌 운영 시스템은 이체 처리가 요청된 계좌가 통합 계좌인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23). 그 판단 결과, 이체 처리가 요청된 계좌가 통합 계좌인 경우에는, 그 시스템 내부에 저장되는 상기 통합 계좌에 등록된 각종 입출금 계좌들의 계좌정보와, 각각의 입출금 계좌들의 우선순위 정보를 획득하고(S24),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른 순차적인 이체 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S25).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 이체 처리가 요청된 계좌가 일반 입출금 계좌인 경우에는, 상기 입출금 계좌에 대해서만 이체 처리가 수행되는 일반 이체처리를 수행한다(S26).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좌 운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출금성 금융 거래의 예를 중심으로 그 동작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합 계좌를 이용한 금융 거래는 입금과 관련된 거래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통합 계좌로 등록된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 중 제1 순위의 입출금 계좌로부터 우선적으로 이체 처리가 수행되므로, 상기 입금 거래에 있어서 모든 입금액이 제1 순위의 입출금 계좌로 입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입금 거래와 관련된 하나의 예일 뿐, 상기 입금거래와 관련하여 각종 정보들(예컨대, 비율 입금을 위한 각각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한 입금 비율 정보)이 시스템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비율 입금 처리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고객의 요청에 따라 통합 계좌를 설정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을 하나의 통합 계좌로 등록하고, 상기 하나의 통합 계좌로 등록된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한 이체 처리 동작을 위한 우선순위에 관계된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등록된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응하는 상기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를 발생하는 통합 계좌 관리부;
    금융 거래에 따른 이체 처리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금융 거래의 대상이 상기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이 설정된 통합 계좌인 경우, 상기 통합 계좌에 등록된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해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이체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이체 처리부; 및
    상기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 정보, 상기 통합 계좌 각각에 등록된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의 계좌번호 정보 및, 상기 통합 계좌 각각에 등록된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의 이체 처리 동작을 위한 우선순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합 계좌와 제1 입금 계좌 사이에 상기 이체 처리를 위한 금융 거래가 설정되고, 상기 통합 계좌를 통하여 상기 제1 입금 계좌와 상기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 사이에 이체 처리가 수행되며,
    상기 우선순위 정보는, 상기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 각각의 최대 출금액 정보 및 비율 이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좌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계좌 관리부는,
    상기 고객의 요청에 따라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를 발생하는 통합 계좌 생성부;
    상기 통합 계좌에 대응하여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을 상기 통합 계좌에 등록하는 입출금 계좌 등록부; 및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들에 대해 이체 처리 동작의 우선순위를 지정하기 위한 입출금 순위 지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좌 운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 처리부는,
    금융 거래가 요청된 계좌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금융 거래가 요청된 계좌가 통합 계좌인지를 판단하는 계좌정보 판단부;
    상기 금융 거래가 요청된 계좌가 통합 계좌인 경우, 상기 통합 계좌에 등록된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등록 계좌 정보 제공부;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 각각에 대한 이체 처리 동작의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우선순위 정보 제공부; 및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와 관련된 정보 및 이체 처리 동작의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른 이체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이체 수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좌 운영 시스템.
  4. 삭제
  5. 계좌 운영 시스템에서, 통합 계좌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통합 계좌 관리부에서, 상기 통합 계좌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를 등록하는 단계;
    통합 계좌 관리부에서, 상기 등록된 다수 개의 입출금 계좌에 대하여 이체 처리 동작을 위한 우선순위에 관계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통합 계좌 관리부에서, 상기 통합 계좌의 계좌번호를 발생하는 단계;
    계좌 운영 시스템에서, 상기 통합 계좌와 제1 입금 계좌 사이에 상기 이체 처리를 위한 금융 거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이체 처리부에서, 상기 통합 계좌와 상기 제1 입금 계좌 사이의 금융 거래시, 상기 통합 계좌를 통하여 상기 제1 입금 계좌와 상기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 사이에 이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입금 계좌와 상기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 사이에서 상기 설정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이체 처리 동작이 수행되며, 상기 우선순위 정보는 상기 다수의 입출금 계좌들 각각의 최대 출금액 정보 및 비율 이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좌 이체 처리방법.
  6. 삭제
KR1020100051113A 2010-05-31 2010-05-31 통합 계좌 운영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 KR101144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13A KR101144925B1 (ko) 2010-05-31 2010-05-31 통합 계좌 운영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13A KR101144925B1 (ko) 2010-05-31 2010-05-31 통합 계좌 운영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596A KR20110131596A (ko) 2011-12-07
KR101144925B1 true KR101144925B1 (ko) 2012-05-11

Family

ID=4549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113A KR101144925B1 (ko) 2010-05-31 2010-05-31 통합 계좌 운영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9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603B1 (ko) 2012-06-15 2015-01-14 주식회사 하나은행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0021271A (ja) * 2018-07-31 2020-02-06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振込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56B1 (ko) * 2012-10-18 2014-06-27 다산시스템(주) 통합 계좌 운영 및 관리 방법
CN107945095A (zh) * 2018-01-03 2018-04-20 王丽萍 一种基于冠字号的涉案人民币布控侦查方法
CN112215701B (zh) * 2020-10-13 2024-04-16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多账户间资金灵活管理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498A (ko) * 2002-04-23 2003-10-30 황성택 온라인상의 통합 가상계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498A (ko) * 2002-04-23 2003-10-30 황성택 온라인상의 통합 가상계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603B1 (ko) 2012-06-15 2015-01-14 주식회사 하나은행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0021271A (ja) * 2018-07-31 2020-02-06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振込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596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897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yptographic transactions
US5913202A (en) Financial information intermediary system
US87819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ayment due notifications
CN103366306B (zh) 共享资金数据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US9984367B2 (en) Paying non-settlement transactions
KR101144925B1 (ko) 통합 계좌 운영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
WO200902933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money transfers having a fluctuating parameter
JPH11154194A (ja) 複数企業の資金財務情報のコンピュータによる統合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40050014A (ko) 공유 아웃렛을 통해 다수의 금융 기관과 연관된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8189597A1 (en) Mobile bank account management systems
JP720842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1476460A (zh) 一种银行自助设备智慧运营调度的方法、设备和介质
CA3055038A1 (en) Service request matching based on provider compliance state
JP2001243400A (ja) 関連口座を用いた口座管理システム
JP2002169964A (ja) 預貯金口座管理装置、預貯金口座管理方法及び預貯金口座管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4653506B2 (ja) 外貨預金を用いた為替取引方法および銀行システム
WO2008123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fferential payment
JP2004164030A (ja) 金融機関取引における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JP7212186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2967047B (zh) 结算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以及程序产品
KR20150096569A (ko) 소셜 펀딩 서비스를 위한 포인트 펀드 시스템
RU2299469C2 (ru) Система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на основе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сетевых технологий с обеспечением компенсации затрат покупателей
Guo et al. Mechanism design for near real-time retail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s
JP6356326B1 (ja) ポイント変換システム
JP6224195B1 (ja) 支払い手段切替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