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350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350B1
KR101144350B1 KR1020040060407A KR20040060407A KR101144350B1 KR 101144350 B1 KR101144350 B1 KR 101144350B1 KR 1020040060407 A KR1020040060407 A KR 1020040060407A KR 20040060407 A KR20040060407 A KR 20040060407A KR 101144350 B1 KR101144350 B1 KR 101144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er
user operation
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1524A (ko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6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3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면에 위치하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파지했을 때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외부의 접촉이 감지되면 반응신호를 출력하는 파지 센서부와, 파지 센서부가 반응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 조작을 활성화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 조작 인터페이스, 키버튼 누름 인식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ROM MISS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
도 2a는 본 발명의 파지 센서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파지 센서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배치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파지 센서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배치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것으로, 특히 키버튼 입력에 대응한 반응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키버튼이 마련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 키버튼을 누르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키버튼이 눌러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된다.
예를 들어, 주머니등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잦은 키눌림에 의해 배터리가 금방 닳게 된다. 또한 각각의 키마다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키의 경우에는 오래 누르고 있으면 에티켓모드로 바뀌거나 화면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또는 특정 키의 경우에는 눌러지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시각을 음성으로 알려준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오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바형에서 나아가,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등의 형태는 키버튼을 보호하고 잘못 눌러지는 현상을 어느 정도는 방지할 수 있으나 이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편리한 조작을 위해, 예를 들어 폴더나 슬라이드를 열지 않아도 동작될 수 있는 핫키가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핫키는 폴더부의 전면부나, 슬라이드부의 전면부나, 사이드에 배치되며, 그 갯수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핫키는 예컨대, 엠피쓰리 플레이키, 멀티미디어 사이트(JUNE, FIMM등) 접속키, 카메라 촬영키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핫키가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주지만, 반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면서도 이러한 핫키가 잘못 눌러지지 않도록 많은 조심을 하고 있고 또한 신경을 쓰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이 잘못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리한 조작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련되는 핫키가 잘못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면에 위치하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파지했을 때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외부의 접촉이 감지되면 반응신호를 출력하는 파지 센서부와, 파지 센서부가 반응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한하여, 키버튼을 활성화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일 예이다.
무선 처리부(109)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처리한다. 예컨대, 무선 처리부(109)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무선 출력용의 고주파로 주파수 대역을(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천이 시키고 이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출력하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베 이스 밴드로(중간 주파수 변환 단계를 거칠 수도 있음) 주파수 대역을 천이 시킨다.
음성 처리부(111)는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이야기한 음성 송신신호를 음성 인코딩을 포함하는 해당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고, 제어부(110)에 의해 복조된 음성 수신신호(상대측의 음성)에 대해 음성 디코딩을 포함하는 해당 처리를 수행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통상적으로 음성 처리부(111)는 음성 데이터에 대해 압축 및 압축해제를 수행하는 보코더(도시하지 않음)와, 증폭기와 필터 등의 아날로그 회로 그리고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회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상기 무선 처리된 해당 수신신호를 복조하고 해당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무선 처리부(109)에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이동통신용으로 기설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변/복조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컨대 채널 코딩/디코딩, 직교 부호/복호등의 CDMA 변/복조 동작을 수행 할 수가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석하고, 이에 대응하여 표시부(101), 무선 처리부(109) 및 음성 처리부(111)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조작부(103)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101, 105, 107, 109, 111, 113)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오동작 방지 방법을 제어한다.
조작부(103)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현되며, 숫자키 와 기능키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부(103)에는 핫키가 마련된다.
표시부(10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진행 상황과, 사용자의 메뉴 선택 화면, 통화 화면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표시부(101)는 그래픽 처리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각종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가 있다.
자기 센서부(105)는 플립형/폴더형/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본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자기 센서부(105)는 플립부 또는 폴더부 또는 슬라이드부에 마련되는 자석부(도 1에 도시하지 않음)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플립 닫침/열림 상태나 폴더 닫침/열림 상태나 슬라이드 닫침/열림 상태를 센싱한다. 자기 센서부(105)는 홀 센서부로 구현될 수 있다.
파지 센서부(107)는 본 발명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면에 위치하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파지했을 때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파지 센서부의 위치를 도시한 일 예를 나타내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203은 사용자의 오른손 엄지가 접촉되는 위치이고, 참조부호 205는 사용자의 오른손 중지가 접촉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01은 사용자의 왼손 엄지가 접촉되는 위치이고, 참조부호 207은 사용자의 왼손 중지가 접촉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도 1로 돌아와서, 이러한 파지 센서부(107)는 외부의 접촉이 감지되면 반응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파지 센서부(107)는 터치 센서부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13)는 제어부(110)의 각종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한 프로그램은 통상 저장부(113)에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가 가능한 롬으로서는 이이피롬, 플래쉬 메모리등이 있다. 또한, 저장부(113)는 여러 동작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있어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1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동작 방지 방법을 기술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은, 제어부(110)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면에 위치하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파지했을 때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며, 외부의 접촉이 감지되면 반응신호를 출력하는 파지 센서부(107)로부터 반응신호가 출력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303)와, 제어부(110)가 전술한 반응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 조작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305)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110)는 조작부(103)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검출한다. 조작 신호를 검출하는 것은, 제어부(110)에 구비되는 키입력 태스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에 대한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제어는 이러한 키입력 태스크의 실행 유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파지 센서 부(107)로부터 반응이 없으면, 키입력 태스크를 실행 시키지 않고, 파지 센서부(107)로부터 반응이 있으면, 키입력 태스크를 실행 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바형 이동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폴더형이나 슬라이드형이나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인 적용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폴더나 슬라이드나 플립이 닫친 상태에 한하여 전술한 사용자 조작 활성화 제한 동작을 수행한다(301). 이는 열린 상태에서는 기존과 동일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의 혼란을 막기 위해서이다. 또한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닫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주머니에 넣어 휴대하거나 하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에 많은 신경을 쓰지 못하는 상황으로 인식한다. 이때, 활성화에 제한이 따르는 조작은, 예를 들어 사이드 버튼, 폴더부에 마련되는 버튼, 슬라이드부에 마련되는 버튼등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활성화에 제한이 가해지는 사용자 조작은 닫침 상태에서도 눌러지면 동작하는 핫키 조작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주는 핫키가 잘못 눌러지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아,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버튼이 잘못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슬라이드형이나 폴더형이나 플립형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구체적 구현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주는 핫키가 잘못 눌러 지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아,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지 않으며, 이로부터 자명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0)

  1. 폴더형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면에 위치하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파지했을 때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외부의 접촉이 감지되면 반응신호를 출력하는 파지 센서부; 및
    상기 파지 센서부가 반응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 조작을 활성화 시키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가 닫침 상태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의 활성화를 제한하되, 상기 폴더가 닫침 상태에서도 상기 활성화가 제한된 사용자 조작이 눌러지면 상기 사용자 조작을 핫키로 동작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슬라이드형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면에 위치하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파지했을 때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외부의 접촉이 감지되면 반응신호를 출력하는 파지 센서부; 및
    상기 파지 센서부가 반응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 조작을 활성화 시키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닫침 상태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의 활성화를 제한하되, 상기 슬라이드가 닫침 상태에서도 상기 활성화가 제한된 사용자 조작이 눌러지면 상기 사용자 조작을 핫키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6. 폴더형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면에 위치하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파지했을 때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며, 외부의 접촉이 감지되면 반응신호를 출력하는 파지 센서부로부터 반응신호가 출력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 조작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와;
    상기 폴더가 닫침 상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조작의 활성화를 제한하되, 상기 폴더가 닫침 상태에서 상기 활성화가 제한된 사용자 조작이 눌러지면 상기 사용자 조작을 핫키로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슬라이드형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면에 위치하되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파지했을 때에 사용자의 손이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며, 외부의 접촉이 감지되면 반응신호를 출력하는 파지 센서부로부터 반응신호가 출력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 조작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드가 닫침 상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조작의 활성화를 제한하되, 상기 슬라이드가 닫침 상태에서 상기 활성화가 제한된 사용자 조작이 눌러지면 상기 사용자 조작을 핫키로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1020040060407A 2004-07-30 2004-07-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144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407A KR101144350B1 (ko) 2004-07-30 2004-07-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407A KR101144350B1 (ko) 2004-07-30 2004-07-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524A KR20060011524A (ko) 2006-02-03
KR101144350B1 true KR101144350B1 (ko) 2012-05-11

Family

ID=3712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407A KR101144350B1 (ko) 2004-07-30 2004-07-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31071A (zh) * 2013-06-08 2020-10-02 大众汽车有限公司 用于汽车的空调装置和其运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554A (ja) * 1997-12-05 1999-06-22 Denso Corp 携帯電話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554A (ja) * 1997-12-05 1999-06-22 Denso Corp 携帯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524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709B1 (ko) 모드에 따른 통신 출력 제어 방법
US7103396B2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197145A1 (en) Mobile phone capable of input of phone number without manipulating buttons and method of inputting phone number to the same
JP2009518919A (ja) 発呼中のキーロックを有する電子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544643A (ja) 開閉可能なカバー及びソフトキーを含む改良された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備える無線通信デバイス
JP2007081460A (ja) 携帯電話装置
JP4823163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14435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JPH11212689A (ja) 入力装置
JP2007228562A (ja) 暗証番号を入力するための入力装置及びその入力装置を備えた携帯電話装置
JP3606839B2 (ja) 自動及び手動兼用折り畳み型携帯用無線端末機でのサブボディー開閉制御装置及び方法
US8326367B2 (en) Foldable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9980075312A (ko) 터치패드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단말기
KR100744311B1 (ko) 이동통신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226222B1 (ko) 이어-마이크 접속 감지를 통한 자동 착신전환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JP2010226378A (ja) 携帯通信端末
KR200377021Y1 (ko) 충격감응 호출식 이동통신단말기
JP2005159965A (ja) 携帯通信端末装置
KR1005918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유지 방법
KR101360210B1 (ko) 휴대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0643736B1 (ko) 카메라폰의 플래시 제어방법
KR100393631B1 (ko) 이어폰-마이크로폰을 이용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안내 방법
KR20050051408A (ko) 얼굴 접촉을 감지하여 입력부와 마이크를 동작시키는이동통신단말기
KR2006013314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알림메시지 제공 방법
KR100672450B1 (ko) 동작 제어 버튼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