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242B1 -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242B1
KR101144242B1 KR1020090076614A KR20090076614A KR101144242B1 KR 101144242 B1 KR101144242 B1 KR 101144242B1 KR 1020090076614 A KR1020090076614 A KR 1020090076614A KR 20090076614 A KR20090076614 A KR 20090076614A KR 101144242 B1 KR101144242 B1 KR 101144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ipe
heating
heating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671A (ko
Inventor
박춘영
Original Assignee
박춘영
진성씨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영, 진성씨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춘영
Priority to KR102009007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24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6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24H1/16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8In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됨에 따라서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증대된 물의 용량에 비례하여 증설이 간편한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관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1몸체와 그 제1몸체의 외부 면에 한쪽 끝단이 전력 원의 양극에 연결된 제1코일이 설치된 제1가열부와; 상기 제1몸체 내부에 제1가열부와 동일하게 하나 이상의 관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2몸체와 제2코일로 구성되되, 제2코일의 외부 면이 제1몸체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설치된 제2가열부와; 상기 제2몸체 내부에 제1가열부와 동일하게 하나 이상의 관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3몸체와 제3코일로 구성되되, 제3코일의 외부 면이 제2몸체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제3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상?하부에 관과 연통하여 외부의 물이 관으로 유입되거나 그 관으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관부와; 상기 배관부의 내부에 코일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되, 그 표면에 물의 접촉을 차단하는 보호관이 구비되어 상기 코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전력 원의 음극과 연결되어 그 코일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통하여 가열되는 물이 이동되는 제2관 또는 제3관이 구성된 제2가열부 또는 제3가열부의 증설에 의해서 가열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되고, 제1몸체와 제2몸체 및 제3몸체가 제1코일과 제2코일 및 제3코일에 의해서 각각 가열 됨에 따라서 사용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된다 하더라도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미 설치된 제1가열부 내부로 제2가열부 또는 제3가열부가 간편하게 삽입된 후, 제1코일과 제2코일 및 제3코일을 연결부재를 통해서 서로 연결하는 것만으로 증설작업이 완료되는바, 상기 증대시키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비례하여 제2가열부 내지 제3가열부를 간편하게 증설하는 것만으로, 증대시키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적합한 유도가열장치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일러, 유도가열장치, 유도코일, 다중, 연결부재

Description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multiplex induction heater Device for boiler}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됨에 따라서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도록 가열효율이 증대됨과 동시에 증대된 물의 용량에 비례하여 증설작업이 간편하도록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 제3가열부, 배관부 및 연결부재로 구성된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원형의 드럼형태로 형성되되, 하부 면에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부 면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된 몸체(10)와 그 몸체(10)의 내부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서 가열되는 유도코일(20)이 설치되고, 그 몸체(10) 내부에 설치된 유도코일(20)을 감싸는 원형의 관 형태로 형성된 유도코일덮개(3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일반적인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는 유입구(11)를 통하여 물이 몸체(10) 내부로 공급되면, 배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되는데, 유입된 물이 그 배출구(1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도코일(20)에 의해서 가열된다.
이러한 종래의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는 하나의 유도코일(20)에 의해서 가열됨으로써 가열효율이 낮고, 유도코일(20)에 의해서 몸체(10)에 유입된 물들이 가열됨에 있어서, 몸체(10)의 크기를 증대시켜서 물의 용량을 증대시킨다 하더라도 유도코일(20)과 인접하는 물의 면적이 항상 일정하여 증대된 물의 용량만큼의 가열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목욕탕 및 찜질방 등의 증축에 의해서 필요한 물의 용량이 증대될 경우에는 그 증대되는 물의 용량에 비례하는 유도가열장치를 새롭게 제작하거나, 또 다른 보일러를 더 설치하여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됨과 동시에 가열효율 또한 증대되어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도록 구성하되, 증대되는 물의 용량에 적합한 유도가열장치를 간편하게 증설하여 구성할 수 있는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의 완성함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관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1몸체와 그 제1몸체의 외부 면에 한쪽 끝단이 전력 원의 양극에 연결된 제1코일이 설치된 제1가열부와; 상기 제1몸체 내부에 제1가열부와 동일하게 하나 이상의 관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2몸체와 제2코일로 구성되되, 제2코일의 외부 면이 제1몸체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설치된 제2가열부와; 상기 제2몸체 내부에 제1가열부와 동일하게 하나 이상의 관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3몸체와 제3코일로 구성되되, 제3코일의 외부 면이 제2몸체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제3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상?하부에 관과 연통하여 외부의 물이 관으로 유입되거나 그 관으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관부와; 상기 배관부의 내부에 코일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되, 그 표면에 물의 접촉을 차단하는 보호관이 구비되어 상기 코일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전력 원의 음극과 연결되어 그 코일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연결부재로 구성함을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을 통하여 가열되는 물이 이동되는 제2관 또는 제3관이 구성된 제2가열부 또는 제3가열부의 증설에 의해서 가열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되고, 제1몸체와 제2몸체 및 제3몸체가 제1코일과 제2코일 및 제3코일에 의해서 각각 가열됨에 따라서 사용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된다 하더라도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미 설치된 제1가열부 내부로 제2가열부 또는 제3가열부가 간편하게 삽입된 후, 제1코일과 제2코일 및 제3코일을 연결부재를 통해서 서로 연결하는 것만으로 증설작업이 완료되는바, 상기 증대시키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비례하여 제2가열부 내지 제3가열부를 간편하게 증설하는 것만으로, 증대시키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적합한 유도가열장치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됨에 따라서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증대된 물의 용량에 비례하여 증설이 간편한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종래의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의 단면을 도 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다섯 가지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되는데 그 대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하나 이상의 관(1)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1몸체(110)와 그 제1몸체(110)의 외부 면에 한쪽 끝단이 전력 원의 양극에 연결된 제1코일(120)이 설치된 제1가열부(100)와; 상기 제1몸체(110) 내부에 제1가열부(100)와 동일하게 하나 이상의 관(1)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2몸체(210)와 제2코일(220)로 구성되되, 제2코일(220)의 외부 면이 제1몸체(110)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설치된 제2가열부(200)와; 상기 제2몸체(210) 내부에 제1가열부(100)와 동일하게 하나 이상의 관(1)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3몸체(310)와 제3코일(320)로 구성되되, 제3코일(320)의 외부 면이 제2몸체(210)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제3가열부(300)와; 상기 가열부(100, 200, 300)의 상?하부에 관(1)과 연통하여 외부의 물이 관(1)으로 유입되거나 그 관(1)으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관부(400)와; 상기 배관부(400)의 내부에 코일()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되, 그 표면에 물의 접촉을 차단하는 보호관(501)이 구비되어 상기 코일(120, 210, 31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전력 원의 음극과 연결되어 그 코일(120, 210, 31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연결부재(5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 명한다.
첫째, 제1가열부(100)는 다수개의 원형 관(1)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1몸체(110)와 제1몸체(110)의 외부 면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서 가열되는 통상의 전자유도코일인 제1코일(12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1가열부(100)는 전력 원의 양극에 제1코일(120)의 한쪽 끝단이 연결되어 제1코일(120)에 의해서 달궈지는 관(1)에 의해서 그 관(1)을 따라서 이동되는 물이 가열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둘째, 제2가열부(200)는 상기 제1가열부(100)와 동일하게 다수개의 원형 관(1)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2몸체(210)와 제2코일(220)이 설치되어 구성되되, 제2코일(220)의 외부 면이 제1몸체(110)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제2가열부(200)는 가열되어야 하는 물의 용량을 증대시키고자 할 경우에 증설되는 것으로, 상기 제1몸체(110) 내부에 간편하게 삽입되어 제2코일(220)이 제1몸체(110)의 내부 면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위와 같이 설치완료된 제2가열부(200)는 제2코일(220)의 한쪽 끝단이 이하 설명될 제1연결부재(510)에 의해서 제1코일(120)의 나머지 한쪽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의 관(1)이 달궈지도록 구성되어 제1가열부(100)에 간편하게 증설됨과 동시에 가열되는 물의 용량이 제2몸체(210)를 구성하는 관(1)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증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셋째, 제3가열부(300)는 상기 제1가열부(100) 및 제2가열부(200)와 동일하게 다수개의 원형 관(1)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3몸체(310)와 제3코일(320)로 구성되되, 제3코일(320)이 제2몸체(210)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3가열부(300) 또한 가열되어야 하는 물의 용량을 더욱 증대시키고자 할 경우에 증설되는 것으로, 상기 제2몸체(210) 내부에 간편하게 삽입되어 제3코일(320)의 외부 면이 제2몸체(210)의 내부 면과 접하여 설치된다.
위와 같이 설치완료된 제3가열부(300)는 제3코일(320)의 한쪽 끝단이 이하 설명될 연결부재(500)에 의해서 상기 제1코일(120)과 연결된 제2코일(220)의 다른 쪽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몸체(210)와 제3몸체(310)의 관(1) 가열되도록 구성되어 제2가열부(200)에 간편하게 증설됨과 동시에 가열되는 물의 용량이 제3몸체(310)를 구성하는 관(1)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증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넷째, 배관부(400)는 상기 제1 내지 제3몸체(110, 210, 310)에 형성된 관(1) 과 대응하는 구멍(411)이 형성된 격판(410)과, 그 격판(410)에 깔때기 형상의 배관(42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배관부(400)는 상기 가열부(100, 200, 300)의 상?하부에 관(1)과 구멍(411)이 연통하도록 격판(410)이 각각 설치되어 그 가열부(100, 200, 300) 하부에 설치된 배관(420)으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면 격판(410)에 의해서 관(1)으로 분산되어 이동되고, 그 관(1)을 통과한 물이 가열부(100, 200, 300) 상부에 설치된 배관부(400)의 배관(420) 내부에서 취합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섯째, 연결부재(500)는 상기 제1 내지 제3코일(120, 220, 32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되, 표면에는 물의 접촉을 차단하는 보호관(501)이 구비되어 구성된 제1연결부재(510)와 그 제1연결부재(510)와 동일하게 구성된 제2연결부재(520) 및 제3연결부재(5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510)는 가열부(100, 200, 300) 하부에 설치된 배관부(400)의 격판(410)과 배관(420)을 관통하여 제1코일(120)과 제2코일(22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력 원의 양극과 연결되지 않은 제1코일(120)의 한쪽 끝단과 제2코일(220)의 한쪽 끝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520)는 가열부(100, 200, 300) 상부에 설치된 배관부(400)의 격판(410)을 관통하여 제2코일(120)과 제3코일(22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510)와 연결되지 않은 제2코일(220)의 한쪽 끝단과 제3코일(320)의 한쪽 끝단에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연결부재(530)는 가열부(100, 200, 300) 하부에 설치된 배관부(400)의 격판(410)과 배관(420)을 관통하여 전력 원의 양극과 연결된 제1코일(120)과 제2코일(120) 및 제3코일(22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재(520)와 연결되지 않은 제3코일(320)의 한쪽 끝단에 설치되되, 다른 한쪽 끝단이 전력 원의 음극과 연결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기 코일(120, 220, 32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전력 원의 음극과 연결되어 그 코일(120, 220, 32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미 설치된 제1가열부(100)에 제2가열부(200)와 제3가열부(300)가 간편하게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500)가 배관부(400)를 관통함에 있어서, 각각의 코일(120, 220, 320)들의 끝단이 일치하는 위치로 전동드릴 등을 사용하여 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배관부(400)와 연결부재(500)의 결합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종 사하는 당업자가 위 설명만으로 본 발명을 극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결합완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와 같이 결합완성된 본 발명은 가열부(100, 200, 300) 하부에 설치된 배관부(400)의 배관(420)으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고, 그 유입된 물은 격판(410)에 의해서 각각의 관(1)으로 분산되어 이동되며, 다시 가열부(100, 200, 300) 상부에 설치된 또 다른 배관부(400)의 배관(420)에서 취합된 후에 배출된다.
이때, 전력공급에 의해서 가열되는 코일(120, 220, 320)과 접하는 가열부(100, 200, 300)의 몸체(110, 210, 310)를 구성하는 관(1)이 달궈져서 이동되는 물들이 가열되는 것이다.
상기 관(1)을 통과한 물이 배관부(400)에서 취합되는 과정에서 와류가 형성되어 가열된 물들이 골고루 섞이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가열되는 물의 용량에 적합한 가열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1가열부(100)만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열되는 물의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는 상기 배관부(400)를 각각 분해한 후, 제1가열부(100)의 내부로 제2가열부(200) 및 그 제2가열부(200)의 내부로 제3가열부(300)를 삽입한다.
상기 제2가열부(200)와 제3가열부(300)의 증설은 증대시키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맞추어 그 수량을 선택적으로 증설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제2가열부(200)와 제3가열부(300)로 한정하여 설명한 것일 뿐이다.
그 후, 상기 분해한 배관부(400)의 격판(410)을 상기 관(1)과 대응하는 구멍(411)이 형성된 다른 격판(410)으로 교환한 후, 가열부(100, 200, 300)의 상?하부에 다시 배관부(400)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제1가열부(100)에 설치된 제1코일(120)의 하부 끝단과 제2가열부(200)에 설치된 제2코일(220)의 하부 끝단이 일치하는 위치의 격판(510)과 배관(520)에 전동드릴 등을 사용하여 천공한 후, 제1연결부재(510)를 제1코일(120)의 끝단과 제2코일(220)의 끝단에 설치하여 제1코일(120)과 제2코일(2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500)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한쪽의 제2코일(220) 끝단과 제3코일(320)의 끝단이 일치하는 격판(510)에 상기와 동일한 전동드릴 등을 사용하여 천공하고, 제2연결부재(520)를 삽입한 후에 제2코일(220)의 끝단과 제3코 일(320)의 끝단에 설치하여 제2코일(220)과 제3코일(3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연결부재(500)가 설치되지 않은 제1코일(120)의 다른 한쪽은 전력공급의 양극에 연결되고, 또 다른 연결부재(500)가 설치되지 않은 제3코일(320)의 다른 한쪽에 또 다른 연결부재(500)를 설치하여 제3몸체(310)와 제2몸체(210) 및 제1몸체(110)를 관통하여 전력공급의 음극에 연결되어 증설이 완료된다.
여기서 제3가열부(30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4가열부(미도시)를 더 증설하고자할 경우에는 배관부(400)를 해체한 후에 제4가열부를 제3가열부(300) 내부에 삽입하고, 제4가열부를 포함한 관(1)과 대응하는 구멍(511)이 형성된 또 다른 격판(510)으로 교환하여 다시 배관부(400)를 설치하되, 제3코일(320)과 전력 원의 음극과 연결된 제3연결부재(530)를 분리한 후, 제4가열부를 설치하고, 그 제3코일(320)의 끝단과 제4코일의 끝단에 제2연결부재(520)와 동일한 구성의 제4연결부재를 설치하고 그 제4코일의 다른 쪽 끝단에 전력의 음극과 연결되는 상기 제3연결부재(530)를 설치함으로써 증설이 완료된다.
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열되는 물이 이동되는 관(1)이 형성된 제2몸체(210) 또는 제3몸체(310)가 구성된 제2가열부(200) 또는 제3가열부(300)의 증설에 의해서 가열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되고, 그 제2가열부(200)의 제2몸체(210)와 제3가열부(300)의 제3몸체(310)가 제2코일(220)과 제3코일(320)에 의해서 각각 개 별적으로 가열됨에 따라서 사용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된다 하더라도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미 설치된 제1가열부(100) 내부로 제2가열부(200) 또는 제3가열부(300)가 간편하게 삽입된 후, 제1코일(120)과 제2코일(220) 및 제3코일(320)이 연결부재(500)를 통해서 서로 연결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증설작업이 완료되는바, 증대시키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적합한 유도가열장치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상세한 설명 *
1 : 관 100 : 제1가열부
110 : 제1몸체 120 : 제1코일
200 : 제2가열부 210 : 제2몸체
220 : 제2코일 300 : 제3가열부
310 : 제3몸체 320 : 제3코일
400 : 배관부 410 : 격판
411 : 구멍 420 : 배관
500 : 연결부재 501 : 보호관
510 : 제1연결부재 520 : 제2연결부재
530 : 제3연결부재

Claims (3)

  1.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관(1)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1몸체(110)와 그 제1몸체(110)의 외부 면에 한쪽 끝단이 전력 원의 양극에 연결된 제1코일(120)이 설치된 제1가열부(100)와;
    상기 제1몸체(110) 내부에 제1가열부(100)와 동일하게 하나 이상의 관(1)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2몸체(210)와 제2코일(220)로 구성되되, 제2코일(220)의 외부 면이 제1몸체(110)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설치된 제2가열부(200)와;
    상기 제2몸체(210) 내부에 제1가열부(100)와 동일하게 하나 이상의 관(1)이 원형으로 배열된 제3몸체(310)와 제3코일(320)로 구성되되, 제3코일(320)의 외부 면이 제2몸체(210)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제3가열부(300)와;
    상기 제1,2,3가열부(100,200,300)의 상?하부에 관(1)과 대응하는 구멍(411)이 형성된 격판(410)과 그 격판(410)에 깔때기 형상의 배관(420)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상기 관(1)과 연통하여 외부의 물이 관(1)으로 유입되거나 그 관(1)으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관부(400)와;
    상기 배관부(400)의 내부에 코일(120, 220, 32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되, 그 표면에 물의 접촉을 차단하는 보호관(501)이 구비되어 상기 코일(120, 220, 32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전력 원의 음극과 연결되어 그 코일(120, 220, 320)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연결부재(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500)는 가열부(100, 200, 300) 하부에 설치된 배관부(400)의 격판(410)과 배관(420)을 관통하여 상기 전력 원의 양극과 연결되지 않은 제1코일(120)의 한쪽 끝단과 제2코일(220)의 한쪽 끝단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510)와;
    상기 가열부(100, 200, 300) 상부에 설치된 배관부(400)의 격판(410)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510)와 연결되지 않은 제2코일(220)의 한쪽 끝단과 제3코일(320)의 한쪽 끝단에 설치된 제2연결부재(520)와;
    상기 가열부(100, 200, 300) 하부에 설치된 배관부(400)의 격판(410)과 배관(420)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연결부재(520)와 연결되지 않은 제3코일(320)의 한쪽 끝단에 설치되어 전력 원의 음극과 연결된 제3연결부재(5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3. 삭제
KR1020090076614A 2009-08-19 2009-08-19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KR101144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614A KR101144242B1 (ko) 2009-08-19 2009-08-19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614A KR101144242B1 (ko) 2009-08-19 2009-08-19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671A KR20090096671A (ko) 2009-09-14
KR101144242B1 true KR101144242B1 (ko) 2012-05-09

Family

ID=41356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614A KR101144242B1 (ko) 2009-08-19 2009-08-19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2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1736A (ja) * 2001-11-13 2003-05-23 Meidensha Corp 電磁誘導による流体加熱装置
JP3642415B2 (ja) * 2001-03-07 2005-04-27 第一高周波工業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
KR200414996Y1 (ko) * 2006-02-10 2006-04-26 김성일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JP2008134041A (ja) * 2006-10-26 2008-06-12 Fuji Denki Thermosystems Kk 流体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2415B2 (ja) * 2001-03-07 2005-04-27 第一高周波工業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
JP2003151736A (ja) * 2001-11-13 2003-05-23 Meidensha Corp 電磁誘導による流体加熱装置
KR200414996Y1 (ko) * 2006-02-10 2006-04-26 김성일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JP2008134041A (ja) * 2006-10-26 2008-06-12 Fuji Denki Thermosystems Kk 流体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671A (ko) 2009-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69091A (zh) 内筒加热机构以及浸没式电极热水锅炉
KR20130058095A (ko) 양방향으로 히터봉이 설치되는 전기보일러
KR101080108B1 (ko)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KR101144242B1 (ko)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KR101339668B1 (ko) 응축수 회수 장치
KR101166324B1 (ko) 여과수 취수시스템
CN106369878A (zh) 一种地源热泵的地埋管系统
KR101194660B1 (ko) 보일러 장치의 복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난방수 배관 세정방법
KR101054106B1 (ko) 굴뚝 배출형 폐기열을 이용한 열교환장치
JP4637882B2 (ja) 導管装置
CN103899863A (zh) 平行式交叉连接导通管件
CN204214120U (zh) 容积式燃气热水器
KR100719439B1 (ko) 배관 보수장치의 튜브
RU2296283C2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и способ расположения вентиляционной трубы в теплообменнике
JP2006317136A (ja) 誘導加熱方式の貫流ボイラを用いた蒸気洗浄機
JP2018145606A (ja) 地下水利用システム
CN207646518U (zh) 一种d型碎浆机的专用除渣装置
CN107356139A (zh) 一种清洗方便的化工用快速换热快速清洗装置
CN205561595U (zh) 一种洗浴废水余热利用装置
CN216347133U (zh) 一种地热井的井下换热装置
RU158929U1 (ru) Поверхност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CN210840102U (zh) 一种加热模组和加热器
KR20170059562A (ko) 배열회수 열교환기 및 이러한 배열회수 열교환기를 구비한 보일러 시스템
CN104466825B (zh) 电缆支架装置
CN104114952B (zh) 用于加热器的壳体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