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996Y1 -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 Google Patents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996Y1
KR200414996Y1 KR2020060003811U KR20060003811U KR200414996Y1 KR 200414996 Y1 KR200414996 Y1 KR 200414996Y1 KR 2020060003811 U KR2020060003811 U KR 2020060003811U KR 20060003811 U KR20060003811 U KR 20060003811U KR 200414996 Y1 KR200414996 Y1 KR 200414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conductor
air
indu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2020060003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9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2Air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84The tubes being an electrode for the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 회사, 작업장, 자동차 또는 농업용 하우스 등 기타 실내 환경들에 적용 가능한 전기 온풍기용의 발열체에 관한 것으로서 니크롬선, 세라믹, 카본 등 기존의 발열체를 사용하는 대신, 종래 산업용 가열장치, 전기밥솥 또는 요리기 등의 가열방식으로 주로 사용되던 유도가열을 전기온풍기에 이용한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유도가열 발열체는 기존 니크롬선과 달리 발열판으로 열전도율이 큰 도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열변환 효율이 매우 좋으며 발열체를 일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전력을 계속 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비전력이 적게 들고, 또한 발열체와 공기의 접촉면적을 쉽게 늘릴 수 있어 열 공급능력이 좋아 기존 전기 온풍기보다 소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도가열, 전기 온풍기, 발열체, 유도코일, 솔레노이드, 평판

Description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INDUCTION HEATING ELEMENT FOR HEATER AND HEATER THEREOF}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유도가열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 온풍기의 예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제1 실시예의 전기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제2 실시예의 전기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제3 실시예의 전기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제4 실시예의 전기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제5 실시예의 전기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의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제6 실시예의 전기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의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제7 실시예의 전기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의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에 의한 제8 실시예의 전기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의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에 의한 회전 형태의 날개를 추가한 전기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의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14,15 : 도체관 13 : 내부도체관
16 : 외부관 20,21 : 유도코일
30 : 고주파 전력발생부 40 : 유도가열 발열체 다발
50 : 송풍기 60 : 자속 유도용 자성체
71,72,73 : 도체판 74 : 외부도체판
80 : 회전 날개(13번이 겹쳐서 번호를 바꿈.) 90 : 차가운 공기
91 : 뜨거운 공기 92 : 공기 입구
100 : 전기온풍기
본 고안은 유도코일에 의해 발생한 높은 주파수의 자기장(magnetic field)이 근처의 도체에 인가될 경우 상기 도체의 표면에 유도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도체의 표면이 가열되는 유도가열(induction heating)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를 데우는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겨울철에 보다 쾌적하고 깨끗한 실내 환경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석유나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산소를 소비하고 연소가스가 발생하는 기존의 온풍기보다 훨씬 쾌적한 전기 온풍기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전기 온풍기는 주로 니크롬선을 사용한 발열체와, 세라믹 표면에 얇은 금속 막의 저항을 이용한 세라믹 발열체 또는 카본의 저항을 이용하는 카본 발열체 등에 전류를 저항에 직접 흘려서 발생되는 주울열(joule heating)을 이용하여 공기 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실내 온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기존 일반 전기 온풍기는 구조적으로 발열체와 공기의 접촉 면적과 열전도율이 작아 온풍기의 열 공급능력과 에너지 효율이 매우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큰 소비전력을 요구하여 가정용 이외의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원하는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따라서 개량된 세라믹 발열체나 히트파이프(HEAT-PIPE)를 사용한 절전형 전기 온풍기가 점차 가정용으로 보급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도 가스 온풍기나 선풍기형 히터보다 많은 전력요금을 부담해야 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전기 온풍기만이 가지는 장점들은 관리가 쉬운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고 위험이 적으며 급속 가열이 가능하고, 특히 발열할 때 산소를 소비하지 않아 쾌적하고 신선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기존 전기 온풍기의 장점들은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서도 상기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 온풍기의 가열방식과 다른 가열방식인 유도가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데우는 절전형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전기온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도가열을 이용한 유도가열 발열체는 기존의 전기온풍기용의 발열체와 달리 열전도율이 큰 도체 자체가 발열판 역할을 하므로 열변환 효율이 매우 좋으며 유도가열 발열체를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계속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 전기 온풍기에 비해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 한 상기 유도가열 발열체는 공기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고, 공기와 발열체의 접촉면적을 쉽게 넓힐 수 있어 열 공급 능력이 좋으며 이로써 전기 온풍기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를 제공하는데,
전기 온풍기용 발열체로서,
속이 빈 형태의 도체관으로서 그 외주면을 따라 솔레노이드 형태의 유도코일이 감기며, 상기 유도코일에는 고주파 전력발생부에 의해 고주파 전류가 제공되고, 상기 도체관 안으로 공기를 강제로 통과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도체관의 안에는 공기와 발열체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일정한 축을 중심으로 몇 개의 직경이 다른 하나 이상의 내부 도체관들이 서로 겹쳐져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도체관과 유도코일 사이에 외부관이 더 포함되고 상기 외부관은 부도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도체관은 복수개의 도체로 된 관이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며 모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도코일의 외부에 외부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체관 안에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관과 상기 도체관 사이로도 공기를 이동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도체관과 유도코일의 외부에 외부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체관은 그 속이 꽉차있어 심 형태이고, 상기 외부관과 상기 도체관 사이로도 공기를 이동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큰 투자율을 갖는 자속유도용의 자성체 재료의 물질이 상기 도체관의 양쪽 끝단에 연결되고 이 물질이 유도코일을 외부로 감싸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것 일 수 있다.
상기 도체관의 입구 안쪽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전기 온풍기용 발열체를 하나이상 포함하여 다발로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도체관이나 혹은 내부 도체관들 중에서 제일 안쪽에 위치한 관 안에 공기의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날개부가 달린 모양의 심이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도체관 혹은 내부 도체관의 그 외주 혹은 내주의 표면에 공기와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상기 표면에 날개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도체판들과 상기 도체판들 사이에 있고 평면에 놓여져 감긴 유도코일과 상기 유도코일에는 고주파 전력발생부에 의해 고주파 전류가 공급되고, 두 도체판들 사이로 공기를 강제로 이동시켜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전기 온풍기용 발열체로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도체판과 상기 두 도체판들의 외부에 있고 평면에 놓여져 감긴 유도코일과 상기 유도코일에는 고주파 전력발생부에 의해 고주파 전류가 공급되고, 두 도체판들 사이로 공기를 강제로 이동시켜 가열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두 도체판들의 외부에 각각 한개 이상의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도체로 된 외부 도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체판들 사이로도 공기를 강제로 이동시켜 가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도체판들과 외부 도체판들은 그 옆단이 서로 각각 연결되어 있어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도체판들과 외부 도체판들 사이로만 공기가 통과하고 옆으로 공기가 새지 않도록 옆에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는 판은 높은 투자율의 자성체 재료의 물질로 이루어져서 자기장의 자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도체판들과 외부 도체판들 사이로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온풍기용 발열체를 하나이상 포함하여 다발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유도 가열에 의해서 가열되는 상기 도체로 된 판이나 관은 전력의 열변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높은 열전도율의 금속 혹은 높은 투자율의 자성체 재료의 물질 혹은 이 둘의 합금이나 코팅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유도가열에 의해 도체가 가열되는 원리는 높은 주파수의 전류가 유도 코일에 흐를 경우 유도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이 근처에 위치한 도체 속에 침투하고 이 자기장이 침투한 표피깊이(skin depth)의 도체 표면에 유도전류(induction current)가 흐르게 되어 주울열(joule heating)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더 구체적으로 도체 에 높은 주파수 자기장이 인가될 때 에너지 보존법칙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도체의 표면에 자기장을 거스르려는 방향으로 유도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도체의 자체 저항에 의해 상기 도체의 표면이 가열된다.
유도가열은 지금까지 담금질등 부분가열을 위한 산업용 히터의 가열방식으로서만 활발히 사용되었으나 최근 그 사용영역이 전기밥솥과 요리용의 가열방식 등으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본 고안의 경우 전기온풍기의 가열방식으로 유도가열을 이용한 유도가열 발열체를 사용하여 차가운 공기를 가열하여서 실내온도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온풍기(100)는 공기 입구(92)를 통해 들어온 차가운 공기(90)를 송풍기(50)를 사용하여 유도가열 발열체 다발(40) 안으로 강제로 통과시켜 공기를 가열하며 이 가열된 뜨거운 공기(91)는 전기 온풍기(100)에 위치한 출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유도가열 발열체 다발(40)은 고주파 전력발생부(30)에 의해 발생된 높은 주파수의 전류에 의해 유도 가열된다. 또한 상기 공기 출구에는 데워진 공기를 내보내기 위한 또 다른 송풍기가 위치할 수 있다.
유도가열 발열체 다발(40)은 한개 이상의 유도가열 발열체가 모여서 여러 다발로 이루어진 발열체들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솔레노이드 형태를 가진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솔레노이드 형태의 유도가열 발열체는 고주파 전력발생부(30)와 유도코일(20)과 상기 유도코일(20) 안에 금속 혹은 자성체 재료 혹은 이 둘의 합금이나 코팅으로 된 속이 빈 형태의 도체관(11)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며, 전력 발생부(30)는 유도코일(2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도코일(20)에 전력발생부(30)에 의해 발생한 고주파 전류가 흐르면 이 전류를 방해하기 위한 반작용으로 유도코일(20) 안에 위치한 도체관(11)의 표면에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유도전류에 의해 상기 도체관(11)이 가열된다. 상기 도체관(11)의 물질로 큰 열전도율을 가진 금속과 큰 투자율의 자성체 혹은 이 둘의 합금이나 코팅으로 이루어진 도체 등을 사용하여 발열체의 전력에 의한 열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2에서와 같이 고주파 자기장에 의해 가열되는 도체관(11)은 속이 빈 관(pipe) 형태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며 송풍기(50)를 이용하여 이 가열된 도체관(11) 안으로 찬 공기(90)를 강제로 통과시켜 공기를 가열시켜 온도를 조절한다.
상기 가열되는 도체관(11)의 재료로 열전도율이 높은 도체를 사용할 경우 열변환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고, 또한 도체관(11)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도체관(11)에 계속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없고, 열이 모두 발열판 역할을 하는 상기 도체관(11)에서 발생하므로 전력면에서 크게 효율적이다. 또한 유도가열 발열체를 사용한 전기 온풍기(100)의 열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유도코일(20)과 도체관(11)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하여 쉽게 발열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온풍기의 전체의 크기 또한 쉽게 줄일 수 있다.
유도가열 발열체의 가열되는 부분인 상기 도체관(11)에 열전도율이 큰 도체를 사용할 경우 열손실율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온풍기의 소비전력이 적게 든다. 예로 열손실율이 작은 알루미늄 냄비는 열손실율이 큰 철 냄비보다 약 25%의 적은 에너지로 같은 조건들에서 같은 조리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서도 이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판매되고 있는 유도가열(IH) 전기밥솥의 경우 내솥의 재료를 스테인리스 대신 열전도율이 좋은 황동을 이용하여 같은 조건들에서 조리시간을 줄이고 있다.
이하, 제시된 모든 도면들은 편의를 위해서 유도 코일(20,21)을 과장하여 성기게 그렸다.
(제2 실시예)
도3의 경우 공기와 가열된 도체관 사이의 가열 면적을 늘리기 위해서 각각 직경이 크고 얇은 원형 도체관(12) 속에 직경이 작은 얇은 원형 내부 도체관(13)이 들어가 있는 구조이며, 상기 도체관(12)과 내부 도체관(13)들의 안으로 찬 공기(90)를 강제로 통과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도체관(12)과 내부 도체관(13)은 도체이다. 상기 도체관들(12,13)이 얇아야 하는 이유는 유도코일(20)에 의해서 발생한 자기장이 양도체(good conductor)의 표면으로 침투한 깊이의 도체의 표면에서만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표피깊이(skin depth)라고 하며 양도체의 표피깊이는 다음의 식에 의해서 결정된다.
Figure 112006010046157-utm00001
여기서
Figure 112006010046157-utm00002
는 전류의 주파수,
Figure 112006010046157-utm00003
는 도체의 전도율,
Figure 112006010046157-utm00004
는 도체의 투자율, 그리고
Figure 112006010046157-utm00005
는 3.141592 이다. 일반적으로 자성체가 아닌 금속의 투자율은 공기 중의 투자율과 거의 같다.
유도가열 발열체로 하나의 도체관(11)을 사용하든지 또는 상기 도체관 안에 일정한 축을 중심으로 직경이 다른 여러 개의 도체로 된 내부 도체관들이 겹쳐있는 구조이든지 만일 두 경우 같은 재료의 도체이고 총 두께가 서로 같다면 두 경우 같은 깊이만큼 가열된다. 하지만 후자의 여러 겹의 도체로 이루어진 내부 도체관들이 있 는 경우 공기와 상기 관들 사이의 가열면적이 크게 늘어나기 때문에 여러 겹의 내부 도체관들이 있는 경우가 더 좋은 열변환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즉 도체관과 내부 도체관을 얇게 만들어 여러 겹의 도체의 관들이 겹쳐있을 경우 열변환 효율이 더 좋을 수 있다. 도3의 경우 도체관(12) 안에 하나의 내부 도체관(13)이 일정한 축을 중심으로 겹쳐있으나 1개 이상의 내부 도체관들이 겹쳐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체관과 유도코일의 사이에 부도체의 외부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4에서와 같이 가열되는 도체관(14)은 여러 개의 구멍이 뚫린 사각형태를 가지며 가열된 상기 도체관(14)의 빈 공간으로 공기를 강제로 통과시켜 가열한다.
(제4 실시예)
도5에서와 같이 유도코일(20) 외부에 공기를 유도하는 외부관(16)이 있고, 유도코일 안에 가열되는 도체관(15)이 있는 구조이며 가열된 이 도체관(15)과 외부관(16)의 사이의 빈 공간으로 공기를 강제로 통과시켜 가열한다. 상기 도체관(15)은 속이 빈 관(pipe)이나 속이 차있는 심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6과 같이 솔레노이드 형태의 유도가열 발열체의 경우 유도코일에 의해서 발생한 자기장이 자로(magnetic flux path)를 형성하여 자속(magnetic flux)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큰 투자율의 자성체 재료의 물질을 도체관(11)의 양쪽 끝단에 연결하고 이 물질이 유도코일(20)의 외부로 둘러서 서로 연결되어 감싸는 구조를 가진다. 이로써 도체관(11)의 발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유도코일(21)이 평판 형태로 감겨있는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7은 큰 투자율을 가진 자성체 재료와 큰 열전도율을 가진 금속 혹은 이 둘의 합금이나 코팅으로 이루어진 두 도체판들(71,72)과 상기 두 도체판들의 사이의 일정한 평면에 유도코일(21)이 위치하고 상기 유도코일(21)에 고주파 전력발생부(30)가 연결되는 구조이며 고주파 전력회로(30)에서 발생한 높은 주파수의 전류가 유도코일(21)에 흐르면 두 도체판들(71,72)이 가열되며 상기 두 도체판들 사이로 공기를 강제로 통과시켜 공기를 가열한다.
(제7 실시예)
도8에서와 같이 가열되는 두 도체판들(71,73)과 상기 두 도체판(71,73)들의 외부에 유도코일(21)이 있고 상기 유도코일(21)에 고주파 전력발생부(30)가 연결되는 구조이며 이 경우 상기 두 도체판들(71,73) 사이로 공기를 강제로 통과시켜 공기를 가열한다.
(제8 실시예)
도9에서와 같이 상기 두 도체판(71,72)들은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얇은 도체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도체판(71,72)들의 외부에 각각 한개 이상의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외부 도체판(74)을 더 포함하고, 이 외부 도체판(74)들 사이에도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를 데울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예와 제7 실시예의 경우 두 도체판들의 양옆에 공기가 새지 않도록 그 옆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상기 두 개의 판 사이로만 공기가 통과하는 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판들은 자기장의 자로를 형성하여 자속의 누설을 방지하는 자속유도용의 자성체 재료의 물질일 수 있다.
또한 모든 실시예에서 가열되는 부분인 도체와 공기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당한 구조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의 경우 회전 형태의 날개를 가진 금속으로 속이 빈 관이나 속이 찬 심을 상기 도체관(11)안에 넣어서 발열체와 공기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10에 이러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10과 같이 회전형태의 회전날개(80)를 제일 안쪽에 있는 관의 안에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실시예에서 도체의 안이나 밖의 표면에 회전형태의 날개를 추가하여 공기와 발열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모든 실시예에서 유도가열에 의해서 가열되는 상기 도체들은 큰 열전도율을 가진 금속과 큰 투자율의 자성체 혹은 이 둘의 합금이나 코팅으로 이루어진 도체 등을 사용하여 발열체의 열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모든 실시예에서 유도가열 발열체 다발(40)은 한개 이상의 유도가열 발열체가 모여서 여러 다발로 이루어진 발열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도가열 발열체는 가열방식으로 유도가열을 이용한 것으로서 종래 전기 온풍기의 발열체인 니크롬선 등의 경우와 달리 열전도율이 큰 도체를 발열판으로 사용하므로 열변환 효율이 매우 좋으며, 또한 발열판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력을 계속 공급할 필요가 없고 유도가열 발열체의 재료로 큰 투자율과 큰 열전도율을 가진 도체를 사용할 경우 기존 전기 온풍기 보다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 발열체는 전기가 인가되는 즉시 원하는 온도로 도체를 순간 가열할 수 있으며, 유도가열 발열체와 공기의 접촉면적을 쉽게 넓힐 수 있어 열 공급 능력 이 좋아 전기 온풍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 발열체는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 전기 온풍기의 장점인 산소를 소비하지 않고 연소가스가 발생하지 않아서 쾌적하고 깨끗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 종래 유도코일 발열체는 기존의 니크롬선 등의 경우와 달리 유도 코일이 단락이나 개회로가 될 염려가 적어 고장에 강한 특성을 지닌다.

Claims (17)

  1. 전기 온풍기용 발열체로서,
    속이 빈 형태의 도체관으로서 그 외주면을 따라 솔레노이드 형태의 유도코일이 감기며, 상기 유도코일에는 고주파 전력발생부에 의해 고주파 전류가 제공되고, 상기 도체관 안으로 공기를 강제로 통과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 온풍기용 유도가열 발열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관의 안에는 공기와 발열체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일정한 축을 중심으로 몇 개의 직경이 다른 하나 이상의 내부 도체관들이 서로 겹쳐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용 유도가열 발열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관과 유도코일 사이에 외부관이 더 포함되고 상기 외부관은 부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용 유도가열 발열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관은 복수개의 도체로 된 관이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며 모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용 유도가열 발열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코일의 외부에 외부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체관 안에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관과 상기 도체관 사이로도 공기를 이동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용 유도가열 발열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관과 유도코일의 외부에 외부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체관은 그 속이 꽉차있어 심 형태이고, 상기 외부관과 상기 도체관 사이로도 공기를 이동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용 발열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큰 투자율을 갖는 자속유도용의 자성체 재료의 물질이 상기 도체관의 양쪽 끝단에 연결되고 이 물질이 유도코일을 외부로 감싸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용 유도가열 발열체.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관의 입구 안쪽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전기 온풍기용 발열체를 하나이상 포함하여 다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관이나 혹은 내부 도체관들 중에서 제일 안쪽에 위치한 관 안에 공기의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날개부가 달린 모양의 심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용 발열체.
  10. 제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관 혹은 내부 도체관 의 그 외주 혹은 내주의 표면에 공기와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상기 표면에 날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용 유도가열 발열체.
  11. 전기 온풍기용 발열체로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도체판들과 상기 도체판들 사이에 있고 평면에 놓여져 감긴 유도코일과 상기 유도코일에는 고주파 전력발생부에 의해 고주파 전류가 공급되고, 두 도체판들 사이로 공기를 강제로 이동시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용 유도가열 발열체.
  12. 전기 온풍기용 발열체로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도체판과 상기 두 도체판들의 외부에 있고 평면에 놓여져 감긴 유도코일과 상기 유도코일에는 고주파 전력발생부에 의해 고주파 전류가 공급되고, 두 도체판들 사이로 공기를 강제로 이동시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용 유도가열 발열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두 도체판들의 외부에 각각 한개 이상의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도체로 된 외부 도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체판들 사이로도 공기를 강제로 이동시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 온풍기용 유도가열 발열체.
  14. 제11항에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체판들과 외부 도체판들은 그 옆단이 서로 각각 연결되어 있어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도체판들과 외부 도체판들 사이로만 공기가 통과하고 옆으로 공기가 새지 않도록 옆에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용 유도가열 발열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는 판은 높은 투자율의 자성체 재료의 물질로 이루어져서 자기장의 자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용 유도가열 발열체.
  16. 제11항에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체판들과 외부 도체판들 사이로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온풍기용 발열체를 하나이상 포함하여 다발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
  17. 제1항내지 제6항과 제11항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 가열에 의해서 가열되는 상기 도체로 된 판이나 관은 전력의 열변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높은 열전도율의 금속 혹은 높은 투자율의 자성체 재료의 물질 혹은 이 둘의 합금이나 코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온풍기용 유도가열 발열체.
KR2020060003811U 2006-02-10 2006-02-10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KR200414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811U KR200414996Y1 (ko) 2006-02-10 2006-02-10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811U KR200414996Y1 (ko) 2006-02-10 2006-02-10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053A Division KR100762734B1 (ko) 2006-02-10 2006-02-10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996Y1 true KR200414996Y1 (ko) 2006-04-26

Family

ID=4176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811U KR200414996Y1 (ko) 2006-02-10 2006-02-10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99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02B1 (ko) 2006-05-29 2007-09-03 박성돈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온풍기
KR100768704B1 (ko) 2006-05-24 2007-10-23 박용자 고주파유도가열을 이용한 온풍장치
KR100827469B1 (ko) 2006-11-10 2008-05-06 김방배 고주파유도가열방식의 전기온풍기
KR101064408B1 (ko) 2009-01-16 2011-09-14 정가영 인덕션 가열 방식의 전기 온풍기
KR101144242B1 (ko) * 2009-08-19 2012-05-09 박춘영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KR20200107162A (ko) 2019-03-06 2020-09-16 최윤수 유도가열기 및 이를 이용한 히터
WO2021023831A1 (fr) * 2019-08-08 2021-02-11 Eco-Tech Ceram Ensemble de génération de chaleur et procédé de pilotage dudit ensembl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04B1 (ko) 2006-05-24 2007-10-23 박용자 고주파유도가열을 이용한 온풍장치
KR100754002B1 (ko) 2006-05-29 2007-09-03 박성돈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온풍기
WO2007139328A1 (en) * 2006-05-29 2007-12-06 Sung Don Park Fan heater using plane heater
KR100827469B1 (ko) 2006-11-10 2008-05-06 김방배 고주파유도가열방식의 전기온풍기
KR101064408B1 (ko) 2009-01-16 2011-09-14 정가영 인덕션 가열 방식의 전기 온풍기
KR101144242B1 (ko) * 2009-08-19 2012-05-09 박춘영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KR20200107162A (ko) 2019-03-06 2020-09-16 최윤수 유도가열기 및 이를 이용한 히터
WO2021023831A1 (fr) * 2019-08-08 2021-02-11 Eco-Tech Ceram Ensemble de génération de chaleur et procédé de pilotage dudit ensemble
FR3099812A1 (fr) * 2019-08-08 2021-02-12 Eco-Tech Ceram Ensemble de génération de chaleur et procédé de pilotage dudit ensem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1242A (ko)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KR200414996Y1 (ko)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US9544945B2 (en) Magnetic induction heat engine and heat pipe delivery system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delivering heat
US5216215A (en) Electrically powered fluid heater including a coreless transformer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jacket
WO2016086795A1 (zh) 一种电磁发热装置
KR101827252B1 (ko) 확장성을 갖는 히팅 모듈이 일체로 형성된 소형 자기유도가열 보일러
CN111412650B (zh) 一种大流量纯净空气加热器
CN103543418B (zh) 一种用于激光探测核磁共振的加热与温控装置
CN106705428A (zh) 复式电磁加热器及电磁加热机组
JP5310736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8281287A (ja) 電気式連続湯沸器
KR20100123947A (ko)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온풍기
KR101558796B1 (ko) 와전류 유도 히팅장치
CN108882394A (zh) 一种欧姆式无磁加热结构
CN206739614U (zh) 复式电磁加热器及电磁加热机组
KR101064408B1 (ko) 인덕션 가열 방식의 전기 온풍기
JP2006147431A (ja) 流体加熱装置及び暖房システム
CN208987198U (zh) 一种欧姆式无磁加热结构
CN108507176B (zh) 电热水器内胆及热水器
RU18038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дукционного нагрева жидкости
JP2002313546A (ja) 電磁誘導式流体加熱装置の加熱セル
CN210463555U (zh) 一种带电磁加热的热水器
CN214009348U (zh) 采用中压风轮和直流电机的浴霸式供暖装置
JP2006147432A (ja) 流体加熱装置及び暖房システム
ES2340757B1 (es) Calentador instantaneo de agua por induccion electromagnet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