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108B1 -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108B1
KR101080108B1 KR1020090076607A KR20090076607A KR101080108B1 KR 101080108 B1 KR101080108 B1 KR 101080108B1 KR 1020090076607 A KR1020090076607 A KR 1020090076607A KR 20090076607 A KR20090076607 A KR 20090076607A KR 101080108 B1 KR101080108 B1 KR 101080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eating
water
heating unit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9040A (ko
Inventor
박춘영
Original Assignee
박춘영
진성씨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영, 진성씨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춘영
Priority to KR1020090076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1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9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9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24H1/43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됨에 따라서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증대된 물의 용량에 비례하여 증설이 간편한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형 관 형태로 형성된 제1몸체와 그 제1몸체의 상부 면에 원형배열된 제1구멍이 형성되고, 그 제1몸체의 외부 면에는 전력공급에 의해서 가열되는 제1코일이 설치되어 제1몸체가 가열되도록 구성된 제1가열부와; 상기 제1몸체 내부에 제1가열부와 동일한 제2구멍이 형성된 제2몸체와 제2코일로 구성되되, 제2코일의 외부 면이 제1몸체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설치된 제2가열부와; 상기 제2몸체 내부에 제1가열부와 동일한 제3구멍이 형성된 제3몸체와 제3코일로 구성되되, 제3코일의 외부 면이 제2몸체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그 제3코일의 한쪽 끝단이 제2 내지 제3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된 제2가열부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각각의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가열부의 상·하부에 제1 내지 제3구멍과 연통하여 제1가열부 하부에서는 외부에서 유입된 물이 분산되고, 상부에서는 제1 내지 제3구멍을 통과한 물들이 취합되어 배출되는 배관부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을 통하여 가열되는 물이 이동되는 제2구멍 또는 제3구멍이 형성된 제2가열부 또는 제3가열부의 증설에 의해서 가열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되고, 그 제1가열부의 제1몸체와 제2가열부의 제2몸체 및 제3가열부의 제3몸체 가 제1코일과 제2코일 및 제3코일에 의해서 각각 가열됨에 따라서 사용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된다 하더라도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미 설치된 제1가열부 내부로 제2가열부 또는 제3가열부가 간편하게 삽입된 후, 제1코일과 제2코일 및 제3코일을 연결부재를 통해서 서로 연결하는 것만으로 증설작업이 완료되는바, 상기 증대시키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비례하여 제2가열부 내지 제3가열부를 간편하게 증설하는 것만으로, 증대시키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적합한 유도가열장치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일러, 유도가열장치, 유도코일, 다중, 연결부재

Description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multiplex induction heater Device for boiler}
본 발명은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됨에 따라서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도록 가열효율이 증대됨과 동시에 증대된 물의 용량에 비례하여 증설작업이 간편하도록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 제3가열부, 연결부재 및 배관부로 구성된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원형의 드럼형태로 형성되되, 하부 면에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부 면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된 몸체(10)와 그 몸체(10)의 내부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서 가열되는 유도코일(20)이 설치되고, 그 몸체(10) 내부에 설치된 유도코일(20)을 감싸는 원형의 관 형태로 형성된 유도코일덮개(3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일반적인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는 유입구(11)를 통하여 물이 몸체(10) 내부로 공급되면, 배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되는데, 유입된 물이 그 배출구(1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도코일(20)에 의해서 가열된다.
이러한 종래의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는 하나의 유도코일(20)에 의해서 가열됨으로써 가열효율이 낮고, 유도코일(20)에 의해서 몸체(10)에 유입된 물들이 가열됨에 있어서, 몸체(10)의 크기를 증대시켜서 물의 용량을 증대시킨다 하더라도 유도코일(20)과 인접하는 물의 면적이 항상 일정하여 증대된 물의 용량만큼의 가열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목욕탕 및 찜질방 등의 증축에 의해서 필요한 물의 용량이 증대될 경우에는 그 증대되는 물의 용량에 비례하는 유도가열장치를 새롭게 제작하거나, 또 다른 보일러를 더 설치하여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됨에 따라서 가열효율 또한 증대되어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도록 구성하되, 증대되는 물의 용량에 적합한 유도가열가열장치를 간편하게 증설하여 구성할 수 있는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의 완성함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원형 관 형태로 형성된 제1몸체와 그 제1몸체의 상부 면에 원형배열된 제1구멍이 형성되고, 그 제1몸체의 외부 면에는 전력공급에 의해서 가열되는 제1코일이 설치되어 제1몸체가 가열되도록 구성된 제1가열부와; 상기 제1몸체 내부에 제1가열부와 동일한 제2구멍이 형성된 제2몸체와 제2코일로 구성되되, 제2코일의 외부 면이 제1몸체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설치된 제2가열부와; 상기 제2몸체 내부에 제1가열부와 동일한 제3구멍이 형성된 제3몸체와 제3코일로 구성되되, 제3코일의 외부 면이 제2몸체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그 제3코일의 한쪽 끝단이 제2 내지 제3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된 제2가열부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각각의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가열부의 상·하부에 제1 내지 제3구멍과 연통하여 제1가열부 하부에서는 외부에서 유입된 물이 분산되고, 상부에서는 제1 내지 제3구멍을 통과한 물들이 취합되어 배출되는 배관부로 구성함을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을 통하여 가열되는 물이 이동되는 제2구멍 또는 제3구멍이 형성된 제2가열부 또는 제3가열부의 증설에 의해서 가열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되고, 그 제1몸체와 제2몸체 및 제3몸체가 제1코일과 제2코일 및 제3코일에 의해서 각각 가열됨에 따라서 사용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된다 하더라도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미 설치된 제1가열부 내부로 제2가열부 또는 제3가열부가 간편하게 삽입된 후, 제1코일과 제2코일 및 제3코일을 연결부재를 통해서 서로 연결하는 것만으로 증설작업이 완료되는바, 상기 증대시키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비례하여 제2가열부 내지 제3가열부를 간편하게 증설하는 것만으로, 증대시키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적합한 유도가열장치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됨에 따라서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증대된 물의 용량에 비례하여 증설이 간편한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종래의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의 단면을 도 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다섯 가지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되는데 그 대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관 형태로 형성된 제1몸체(110)와 그 제1몸체(110)의 상부 면에 원형배열된 제1구멍(111)이 형성되고, 그 제1몸체(110)의 외부 면에는 한쪽 끝단이 전력 원의 양극에 연결되어 제1몸체(110)를 가열시키는 제1코일(120)이 설치된 제1가열부(100)와; 상기 제1몸체(110) 내부에 제1가열부(100)와 동일한 제2구멍(211)이 형성된 제2몸체(210)와 제2코일(220)로 구성되되, 제2코일(220)이 제1몸체(110)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설치된 제2가열부(200)와; 상기 제2몸체(210) 내부에 제1가열부(100)와 동일한 제3구멍(311)이 형성된 제3몸체(310)와 제3코일(320)로 구성되되, 제3코일(320)의 외부 면이 제2몸체(210)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제3가열부(300)와; 상기 몸체(110, 210, 310)를 관통하여 각각의 코일(120, 210, 3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400)와; 상기 가열부(100, 200, 300)의 상·하부에 제1 내지 제3구멍(111, 211, 311)과 연통하여 외부의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배관부(5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제1가열부(100)는 원형의 관 형태로 형성된 제1몸체(110)와 그 제1몸체(110)의 상부 면에 제1구멍(111)이 하부 면까지 관통되되, 제1구멍(111)이 제1몸체(110)의 상부 면을 따라서 다수개로 원형배열되고,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서 가열되는 통상의 전자유도코일인 제1코일(120)이 상기 제1몸체(110)의 외부 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1가열부(100)는 전력 원의 양극에 제1코일(120)의 한쪽 끝단이 연결되어 제1코일(120)에 의해서 달궈지는 제1몸체(110)에 의해서 제1구멍(111)을 따라서 이동되는 물이 가열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둘째, 제2가열부(200)는 상기 제1가열부(100)와 동일하게 제2구멍(211)이 형성된 제2몸체(210)와 제2코일(220)로 구성되되, 제2코일(220)의 외부 면이 제1몸체(110)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2가열부(200)는 가열되어야 하는 물의 용량을 증대시키고자 할 경우에 실시되는 것으로, 상기 제1몸체(110) 내부에 간편하게 삽입되어 제2코일(220)이 제1몸체(110)의 내부 면과 접하도록 설치되고, 그 제2코일(220)의 한쪽 끝단은 이하 설명될 제1연결부재(400)에 의해서 제1코일(120)의 나머지 한쪽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가 달궈지도록 구성되어 제1가열부(100)에 간편하게 증설됨과 동시에 가열되는 물의 용량이 제2구멍(211)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증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셋째, 제3가열부(300)는 상기 제1가열부(100) 및 제2가열부(200)와 동일하게 제3구멍(311)이 형성된 제3몸체(310)와 제3코일(320)로 구성되되, 제3코일(320)이 제2몸체(210)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3가열부(300)는 상기 제2몸체(210) 내부에 간편하게 삽입되어 제3코일(320)의 외부 면이 제2몸체(210)의 내부 면과 접하여 설치되고, 그 제3코일(320)의 한쪽 끝단은 이하 설명될 연결부재(400)에 의해서 상기 제1코일(120)과 연결된 제2코일(220)의 다른 쪽 끝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2몸체(210)와 제3몸체(310)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제2가열부(200)에 간편하게 증설됨과 동시에 가열되는 물의 용량이 제3구멍(311)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증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넷째, 연결부재(400)는 상기 제1 내지 제3코일(120, 220, 32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1몸체(110)를 관통하여 제1코일(120)과 제2코일(220)의 각 끝단에 설치되고, 또 다른 연결부재(400)가 제2몸체(2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코일(120)과 연결된 제2코일(220)의 다른 쪽 끝단과 제3코일(320)의 끝단에 설치되어 그 제1코일(120)과 제2코일(220) 및 제3코일(320)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0)가 설치되지 않은 제3코일(320)의 다른 쪽 끝단에 또 다른 연결부재(400)가 설치되되,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 및 제3몸체(310)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구멍(111, 211, 311)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 및 제3몸체(310)를 관통하여 전력의 음극과 연결되어 각각의 코일(120, 220, 320) 들이 전력공급에 의해서 가열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400)가 몸체(110, 210, 310)를 관통함에 있어서, 각각의 코일(120, 220, 320)들의 끝단이 일치되는 위치로 전동드릴 등을 사용하여 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바, 연결부재(400)의 설치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섯째, 배관부(500)는 상기 제1몸체(110) 내지 제3몸체(310)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구멍(111, 211, 311)과 대응하는 제4구멍(511)이 형성된 격판(510)과, 그 격판(510)에 깔때기 형상의 배관(52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배관부(500)는 상기 가열부(100, 200, 300)의 상·하부에 제1 내지 제3구멍(111, 211, 311)과 제4구멍(511)이 연통하도록 격판(510)이 각각 설치되어 가열부(100, 200, 300) 하부에 설치된 배관부(500)의 배관(520)으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어 격판(510)에 의해서 각각의 제1 내지 제3구멍(111, 211, 311)으로 분산되고, 상부에 설치된 배관부(500)의 배관(520)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구 멍(111, 211, 311)을 통과한 물이 취합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위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결합완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와 같이 결합완성된 본 발명은 가열부(100, 200, 300) 하부에 설치된 배관부(500)의 배관(520)으로 외부의 물이 공급되면, 격판(510)의 제4구멍(511)을 통하여 분산되어 각각의 구멍(111, 211, 311)을 따라서 이동되고, 다시 가열부(100, 200, 300) 상부에 설치된 또 다른 배관부(500)의 격판(510)에 형성된 제4구멍(511)을 통과하여 배관(520)에서 취합된 후에 배출된다.
이때, 전력공급에 의해서 가열되는 코일(120, 220, 320)과 접하는 가열부(100, 200, 300)의 몸체(110, 210, 310)가 달궈져서 상기 각각의 구멍(111, 211, 311)을 통과하는 물들이 가열되는 것이다.
상기 구멍(111, 211, 311)을 통과한 물은 배관부(500)에서 취합되는 과정에서 와류가 형성되어 가열된 물들이 골고루 섞이게 된다.
한편, 제1가열부(100)만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열되는 물의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배관부(500)를 각각 분해한 후, 제1가열부(100)의 내부로 제2가 열부(200) 및 그 제2가열부(200)의 내부로 제3가열부(300)를 삽입한다.
상기 제2가열부(200)와 제3가열부(300)의 증설은 증대시키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맞추어 그 수량을 선택적으로 증설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제2가열부(200)와 제3가열부(300)로 한정하여 설명한 것일 뿐이다.
그 후, 상기 제1가열부(100)에 설치된 제1코일(120)의 한쪽 끝단과 제2가열부(200)에 설치된 제2코일(220)의 한쪽 끝단이 일치하는 위치의 제1몸체(110)에 전동드릴 등을 사용하여 천공한 후에 연결부재(400)를 삽설하여 그 제1코일(120)의 끝단과 제2코일(220)의 끝단에 설치하여 제1코일(120)과 제2코일(2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0)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한쪽의 제2코일(220) 끝단과 제3코일(320)의 끝단이 일치하는 제2몸체(210)에 상기와 동일한 전동드릴 등을 사용하여 천공한 후, 또 다른 연결부재(400)를 삽설하여 그 제2코일(220)의 끝단과 제3코일(320)의 끝단에 설치하여 제2코일(220)과 제3코일(3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연결부재(400)가 설치되지 않은 제1코일(120)의 다른 한쪽은 전력공급의 양극에 연결되고, 또 다른 연결부재(400)가 설치되지 않은 제3코일(320)의 다 른 한쪽에 또 다른 연결부재(400)를 설치하여 제3몸체(310)와 제2몸체(210) 및 제1몸체(110)를 관통하여 전력공급의 음극에 연결되어 제1코일(120)과 제2코일(220) 및 제3코일(320)이 일체형으로 가열된다.
상기 제3코일(320)이 몸체(110, 210, 310)를 관통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전동드릴 등을 사용하여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 및 제3몸체(310)를 관통한 후에 실시되는 것이다.
그 후, 상기 분해한 배관부(500)의 격판(510)을 상기 제1 내지 제3구멍(111, 211, 311)과 대응하는 제4구멍(511)이 형성된 다른 격판(510)으로 교환한 후, 가열부(100, 200, 300)의 상·하부에 다시 배관부(500)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간편하게 증설이 완료된다.
여기서 제3가열부(30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4가열부(미도시)를 증설하고자할 경우에는 제3코일(320)과 전력의 음극에 연결된 연결부재(400)를 분리한 후, 제4가열부를 설치하고, 그 제3코일(320)의 끝단과 제4코일의 끝단에 연결부재를 설치하고 그 제4코일의 다른 쪽 끝단에 전력의 음극과 연결되는 또 다른 연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증설이 완료된다.
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열되는 물이 이동되는 제2구멍(211) 또는 제3구 멍(311)이 형성된 제2몸체(210) 또는 제3몸체(310)가 구성된 제2가열부(200) 또는 제3가열부(300)의 증설에 의해서 가열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되고, 그 제2가열부(200)의 제2몸체(210)와 제3가열부(300)의 제3몸체(310)가 제2코일(220)과 제3코일(320)에 의해서 각각 가열됨에 따라서 사용되는 물의 용량이 증대된다 하더라도 가열시간이 늘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미 설치된 제1가열부(100) 내부로 제2가열부(200) 또는 제3가열부(300)가 간편하게 삽입된 후, 제1코일(120)과 제2코일(220) 및 제3코일(320)이 연결부재(400)를 통해서 서로 연결하는 것만으로 증설작업이 완료되는바, 상기 증대시키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비례하여 제2가열부(200) 내지 제3가열부(300)를 간편하게 증설하는 것만으로, 상기 증대시키고자 하는 물의 용량에 적합한 유도가열장치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상세한 설명 *
100 : 제1가열부 110 : 제1몸체
111 : 제1구멍 120 : 제1코일
200 : 제2가열부 210 : 제2몸체
211 : 제2구멍 220 : 제2코일
300 : 제3가열부 310 : 제3몸체
311 : 제3구멍 320 : 제3코일
400 : 연결부재 500 : 배관부
510 : 격판 511 : 제4구멍
520 : 배관

Claims (2)

  1. 보일러용 유도가열장치에 있어서,
    관 형태로 형성된 제1몸체(110)와 그 제1몸체(110)의 상부 면에 원형배열된 제1구멍(111)이 형성되고, 그 제1몸체(110)의 외부 면에는 한쪽 끝단이 전력 원의 양극에 연결된 제1코일(120)이 설치된 제1가열부(100)와;
    상기 제1몸체(110) 내부에 제1가열부(100)와 동일한 제2구멍(211)이 형성된 제2몸체(210)와 제2코일(220)로 구성되되, 제2코일(220)의 외부 면이 제1몸체(110)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설치된 제2가열부(200)와;
    상기 제2몸체(210) 내부에 제1가열부(100)와 동일한 제3구멍(311)이 형성된 제3몸체(310)와 제3코일(320)로 구성되되, 제3코일(320)의 외부 면이 제2몸체(210)의 내부 면과 접하는 크기로 형성된 제3가열부(300)와;
    상기 몸체(110, 210, 310)를 관통하여 각각의 코일(120, 220, 32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400)와;
    상기 제1,2,3가열부(100, 200, 300)의 상·하부에 제1 내지 제3구멍(111, 211, 311)과 대응하는 제4구멍(511)이 형성된 격판(510)과 그 격판(510)에 깔때기 형상의 배관(5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구멍(111, 211, 311)과 연통하여 외부의 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하는 배관부(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2. 삭제
KR1020090076607A 2009-08-19 2009-08-19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KR101080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607A KR101080108B1 (ko) 2009-08-19 2009-08-19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607A KR101080108B1 (ko) 2009-08-19 2009-08-19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040A KR20090099040A (ko) 2009-09-21
KR101080108B1 true KR101080108B1 (ko) 2011-11-04

Family

ID=4135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607A KR101080108B1 (ko) 2009-08-19 2009-08-19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1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818A (ko)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솔로에너지 자기저항을 이용한 열에너지 생성 장치
KR20210108607A (ko)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솔로에너지 열에너지생성장치를 이용한 히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463B1 (ko) * 2019-08-26 2021-02-22 유장석 순간온수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2415B2 (ja) * 2001-03-07 2005-04-27 第一高周波工業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
JP2008134041A (ja) * 2006-10-26 2008-06-12 Fuji Denki Thermosystems Kk 流体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2415B2 (ja) * 2001-03-07 2005-04-27 第一高周波工業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
JP2008134041A (ja) * 2006-10-26 2008-06-12 Fuji Denki Thermosystems Kk 流体加熱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818A (ko)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솔로에너지 자기저항을 이용한 열에너지 생성 장치
KR20210108607A (ko)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솔로에너지 열에너지생성장치를 이용한 히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9040A (ko) 2009-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108B1 (ko)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CN203147722U (zh) 蒸汽加热器和壶
US20150260151A1 (en) System for controlling water turbine generator for waterworks
RU2015134180A (ru) Ручной электроприбор
CN109269091A (zh) 内筒加热机构以及浸没式电极热水锅炉
MY160331A (en) Cleaning system for cleaning tubing
PL415426A1 (pl) Opalany wymiennik ciepła
KR102041421B1 (ko) 선박용 보일러
KR101339668B1 (ko) 응축수 회수 장치
WO2008125875A3 (en) Radiators
CN105617964B (zh) 电磁感应加热反应釜
KR101144242B1 (ko) 보일러용 다중 유도가열장치
CN103390988A (zh) 电力转换器
JP4637882B2 (ja) 導管装置
US1640049A (en) Electrically-operated water heater or boiler for heating purposes
KR101683011B1 (ko) 플렉시블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수모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
JP2006317136A (ja) 誘導加熱方式の貫流ボイラを用いた蒸気洗浄機
CN209165766U (zh) 内筒加热机构以及浸没式电极热水锅炉
KR101226630B1 (ko) 고효율 전기 보일러
EP3097366A1 (en) Modular fired heat exchanger
JP2018534522A5 (ko)
KR200369468Y1 (ko)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기
RU158929U1 (ru) Поверхност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US20210380925A1 (en) Fermentation tank
WO2009050396A3 (fr) Installation de chauffage comportant un ballon de distrib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8